KR20140052627A -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627A
KR20140052627A KR1020120118962A KR20120118962A KR20140052627A KR 20140052627 A KR20140052627 A KR 20140052627A KR 1020120118962 A KR1020120118962 A KR 1020120118962A KR 20120118962 A KR20120118962 A KR 20120118962A KR 20140052627 A KR20140052627 A KR 2014005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device
mode
service
us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266B1 (ko
Inventor
이승엽
최규만
박상명
Original Assignee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2011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 설치된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상태를 지능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모드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현황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단절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모니터링 중 통신 단절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 모드로 전환하여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외출 모드 서비스 제공 중 가정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intelligent mode switching using home gateway device}
본 발명은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 설치된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상태를 지능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모드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을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과 관련기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기에 더하여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 및 환경에 관련된 대용량 센싱 데이터를 전송, 취합, 저장,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적절히 제공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환경과 개인 상황의 자동 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을 위해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단말과 이러한 센서 단말을 원격에서 관리하는 관리 서버 간에 매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매개 장치가 구축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가스 사용량과 전기 사용량 등이 급증함에 따라, 화재,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인명 사고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무실, 집, 공장 등의 장소에서는 화재,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사용자들은 이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누출에 따른 비상상황을 조기에 인지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활동량을 감지하는 활동량 감지 센서 등을 집에 설치하여, 이 활동량 감지 센서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활동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파악하는 기술도 공지되었다.
이러한, 특정 지역의 센서를 통해 수집 감지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리 서버와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주로 홀로 생활하는 독거 노인들을 위해 많이 이용된다. 즉, 홀로 생활하는 독거 노인들은 주변에 돌봐줄 사람이 부족해서 센서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이들을 돌봐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솔루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나아가,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에 다른 영역의 서비스가 접목되어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최근 개발되고 있다. 그 중,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거주지에 생활하고 있을 때에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U-케어 서비스 및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사용자가 외출을 할 경우에는 댁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자를 감시하는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위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가 외출시 버튼입력을 통해 외출 상황을 입력하면, 방범 서비스 모드로 동작하고 복귀시 복구 버튼을 입력하거나 사용자 키 입력을 통해 복귀 상황을 입력하여, 일반적인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U-케어 서비스 등의 모드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는 외출 및 복귀시에 게이트웨이 장치에 외출 및 복귀 사실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독거 노인이나 지적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작 절차를 숙지하고, 매번 전자 기기 장치를 조작해야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작 미숙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 확률이 높고, 서비스 이용시 능숙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 단말과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하여, U-케어 서비스와 방범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되,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상황을 지능적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은,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현황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단절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모니터링 중 통신 단절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 모드로 전환하여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외출 모드 서비스 제공 중 가정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현황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며, 근거리 통신 수단 및 긴급 호출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긴급 호출 장치; 및 상기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단절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 통신 단절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 모드로 전환하여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출 모드 서비스 제공 중 가정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 설치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 U-케어 서비스 및 방범 서비스를 상황에 따라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서비스 전환 처리시 사용자의 외출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단절 여부를 통해 파악하고, 복귀 여부의 판단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 감지를 통해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별도의 조작 입력 없이 정확하고 효율적인 모드 전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이용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긴급 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복귀 모드에서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외출 모드에서 복귀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센서(110, 120, 130-N), 게이트웨이 장치(200),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 및 관리센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110, 120, 130-N) 및 긴급 호출 장치(300)와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관리센터(500)는 WCDMA망, CDMA망, Wibro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 또는 PSTN망, IP망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600)을 이용하여 원거리 통신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인 가정, 댁내, 거주지 같은 특정 지역(100)에는 다수의 센서(110, 120, 130-N)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센서(110, 120, 130-N)는 가스감지 센서(110), 화재감지 센서(120), 활동량감지 센서(130-N) 등으로서 댁내의 가정과 같은 특정 지역(100)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부착된다.
가스감지 센서(110)는 LNG/LPG/CO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동작 버튼이 구비되고 또한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LED, 경고 부저가 구비된다. 가스감지 센서(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가스 감지시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가스감지 센서(110)는 가스 미감지시 일정 주기 간격(예를 들어, 90분)으로 정상동작확인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화재감지 센서(120)는 이온화식으로 댁내 가정(100)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동작 버튼이 구비되고 또한 전원 공급을 표시하는 LED, 경고 부저가 구비된다. 화재감지 센서(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화재 감지시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화재감지 센서(120)는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일정주기 간격(예컨대, 90분)으로 정상동작확인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활동량감지 센서(130-N)는 인체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동작 버튼, 동작 감지시 감지 확인을 알리는 LED가 구비되고,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활동량감지 센서(130-N)는 사용자의 활동량을 감지하면 활동량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또한, 활동량감지 센서(130-N)는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일정 주기 간격(예를 들어, 90분)으로 정상동작확인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러한 특정 환경 상태를 수집하는 각 센서(110, 120 130-N)는 하나의 복합 센서로 통합되어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복합 센서에서 화재, 가스 및 활동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센싱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할 수 있도록 휴대형 구조를 이루며, 긴급 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휴대형 장치이다.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수단(210)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수단(210)이 통신 가능한 커버리지 영역(C) 내에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 상기 커버리지 영역(C)을 벗어날 경우에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통신이 단절된다.
이와 같은,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커버리지 영역(C)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커버리지 영역(C) 내에 위치한 것(300)으로 판단하고, 통신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커버리지 영역(C) 외에 위치한 것(300')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사이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수단(210)에서 근거리 통신 가능한 커버리지 영역(C)은 가정내 거주지 영역과 근사한 범위를 갖도록 설정한다.
관리센터(50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을 긴급상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집단으로서, 각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센싱 정보를 보고받아 해당 사용자의 비상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한다. 즉, 관리센터(500)는 특정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화재발생과 관련된 센싱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로 119 소방대원과 구조원을 출동시키거나,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자동으로 통화연결하여 특정 사용자의 위급 사항을 구체적인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센터(50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 중에서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1일) 활동량 정보가 변화하지 않거나 미세한 활동량만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파악하고 해당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통화를 연결하여 정확한 원인 파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로 생활관리사를 파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리센터(500)에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가 구축된다.
아울러, 상기 관리센터(500)는 가정에 설치된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또는 복귀 여부의 정보를 제공받고, 사용자의 외출 또는 복귀 상태에 따라 각 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외출 상태인 외출 모드에서는 가스나 화재 감지 센서(110,120)를 통한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활동량 감지 센서(130-N)를 통한 방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복귀 상태인 복귀 모드에서도 역시 가스나 화재 감지 센서(110,120)를 통한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며, 나아가 사용자를 감시하는 사용자 감시 서비스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 또는 복귀 상태의 판단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 및 댁내에 구비된 센서(130-N)들을 통해 지능적으로 판단하며,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모드를 전환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다수의 센서(110, 120, 130-N)와 외부의 관리센터(500) 사이의 관문으로서, 센서들(110, 120, 130-N)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광역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센터(50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긴급 호출 입력시,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관리센터(500)로 전달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 상태 및 센서(130-N)의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수단(210)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C) 내에 긴급 호출 장치(300)가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고, 센서(130-N)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는 복귀 모드로 판단하고 해당 사실을 관리센터(500)에 제공한다. 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수단(210)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C) 내에 긴급 호출 장치(300)가 위치지 않을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통신 단절에 따라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외출 모드로 판단하고 해당 사실을 관리센터(500)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망(600)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상기 관리 센터(500)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프라로, LTE망, WCDMA망, CDMA망, Wibro망과 같은 광역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망, PSTN 망과 같은 유선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이용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원거리 통신부(220), 스피커(230), 마이크(240), 표시부(250), 입력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해당 가정(100) 내에 설치된 각종 센서(110, 120, 130-N) 및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10)는 설치된 지점에서 소정의 반경 또는 소정의 영역의 범위를 갖는 통신 커버리지를 갖는다. 상기 통신 커버리지 내에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커버리지 밖에서는 통신이 불가하다.
원거리 통신부(220)는, LTE 모뎀, CDMA 모뎀 또는 WCDMA 모뎀 등과 같은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통신망(600)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센터(5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랜카드, PSTN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 PSTN 망을 매개로 하여 상기 관리센터(5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화출력수단인 스피커(230)는 상기 원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관리센터(500)와 통화 연결이 되면, 상기 관리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사용자가 쉽게 들을 수 있도록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통화입력수단인 마이크(240)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관리센터(500)로 송신한다.
표시부(25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LED, 처리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수단을 구비하고,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동작상태, 통화연결 상태, 외출/복귀 모드 전환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260)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며, 특정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260)에는 원격 관리, 비상 상황 및 기타 서비스를 위한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 수집하는 각종 센서(110, 120, 130-N) 및 긴급 호출 장치(300)의 센싱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저장부(270)는 관리센터(500) 및 긴급 상황실의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입력부(260)의 각 단축 버튼에 대응되어 저장된다. 또한, 각종 서비스 제공시 또는 통화 중단시 전송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관리센터(500)로 전송하고, 외부에 위치한 관리센터(500)와 통화호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해당 가정(100)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110, 120, 130-N) 및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 긴급 호출 신호 및 근거리 통신 상태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원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센터(500)로 송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상태를 판단하고, 각 상태에 따른 지능적 모드 전환 처리를 수행하며, 전환된 모드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8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을 축가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데이터 처리 모듈(282), 모드 판단 모듈(284), 모드 전환 모듈(286), 서비스 제공 모듈(288)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282)은 상기 제어부(28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센터(500)와의 통신 및 통화호 제어 처리 등의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모드 판단 모듈(284)은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 및 센서(130-N)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상태를 판단하여, 해당 판단에 근거한 현재의 모드를 지능적으로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모드 판단 모듈(284)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활동량 감지 센서(130-N)의 움직임 감지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 상태 확인은, 소정 시간을 주기로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는, 과도한 통신 상태 확인은 시스템에 부하를 가중하기 때문이다.
먼저, 사용자의 외출 판단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이 두절되었음을 확인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긴급 호출 장치(300)를 휴대하고 거주지를 이탈하여 외출하게 되면, 상기 장치(300)와 게이트웨이 장치(2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통신 상태를 통해 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에는 우선, 현재의 모드가 복귀 모드인 경우에 이루어진다.
다음, 사용자의 복귀 판단은, 현재 모드가 외출 모드인 경우에 이루어지며, 가정(100) 내에 구비된 활동량 감지 센서(103-N)에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복귀한 것으로 판단한다. 나아가, 움직임 감지와 함께, 사용자가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근거리 통신 연결시에 사용자가 복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이유는, 먼저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통신 가능 여부만으로 복귀를 판단할 시에,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 항상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 여부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복귀 판단의 정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복귀를 판단하는 것이 복귀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움직임 감지만으로 사용자의 복귀를 판단하게 되면, 사용자 이외의 외부 침입 발생시에도 복귀로 판단할 우려가 있으므로, 움직임 감지와 동시에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통신 상태 확인을 통해 정확한 사용자의 복귀를 판단하게 된다. 즉, 근거리 통신 수단을 계속적으로 가동하지 않고, 외출 모드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복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 근거리 통신 수단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 모듈(286)은 상기 모드 판단 모듈(284)에서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판단에 따른 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모드로 전환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외출 모드로 판단시에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현재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관리센터(500)에 현재 전환된 모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복귀 모드로 판단시에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현재 모드를 복귀 모드로 설정하고, 관리센터(500)에 역시 현재 전환된 모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센터(500)에서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모듈(288)은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구성들과 원격지의 관리센터(500)를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는 도 1 및 도 2에서 각종 센서(110,120,130-N)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는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와 상관없이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외출 모드 및 복귀 모드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제공된다.
반면, 사용자 감시 서비스 및 헬스 케어 서비스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상기 모드 전환 모듈(286)에서 복귀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 감시 서비스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긴급 호출 장치(300)로부터 발생하는 긴급 호출 신호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이상 여부의 정보를 감시하는 서비스이다. 헬스 케어 서비스는 움직임 센서 및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원격지의 관리센터(500)를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에는, 담당 간호사 또는 의사와의 통화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방범 서비스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상기 모드 전환 모듈(286)에서 외출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제공되도록 한다. 방범 서비스는 활동량감지 센서(130-N)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방범 알람 신호를 발생 또는 출력하고, 관리센터(500)로 알람 신호 전송 및 추가적인 방범 대응을 진행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사용자가 외출한 후, 사용자 이외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고, 외부 침입에 따른 각종 조치를 수행하는 서비스이다. 물론, 복귀 모드 판단시에서와 마찬가지로, 움직임 감시지 사용자가 휴대한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 여부 확인을 통해, 사용자가 복귀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에 외부 침입으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긴급 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출 장치(300)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할 수 있는 크기와 외형을 갖으며, 근거리 통신 수단 및 비상 호출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는 긴급 호출 입력부(310), 긴급 신호 발생부(320), 긴급 신호 전송부(330), 근거리 통신부(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긴급 호출 장치(300)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팔찌 형태나 목걸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긴급 호출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 발생시 버튼 입력 등을 통해 긴급 호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긴급 신호 발생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긴급 신호 전송부(330)는 발생된 긴급 신호를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340)는 게이트웨이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연결 및 접속, 이를 통한 데이터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긴급 호출 장치(300)는 가정(100) 내에서는 사용자의 긴급 호출 신호를 게이트웨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가정(100) 외로 외출 시에는 근거리 통신 두절로 인해,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 외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모드가 복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정(100)에 구비된 센서(110,120,130-N)들 및 관리센터(500)와 연동하여,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비상 상황 감시, 사용자 감시 및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S1)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과 함께,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300)에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근거리 통신 접속하여 연결하고, 해당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2)
통신 상태 모니터링 중,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는 긴급 호출 장치(300)와의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지 통신 연결이 해제되어 통신이 단절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통신 연결이 유지되어 정상적으로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는 계속해서 긴급 호출 장치와 접속하고,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3)
반면,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단절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긴급 호출 장치(300)를 항시 휴대하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의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를 벗어나 외출한 것으로 판단한다.(S4)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는 현재의 모드를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외출 모드로 전환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현재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외출 모드 전환 사실을 관리센터(500)에 전송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후의 절차부터는 현재 제공되고 있던 복귀 모드가 외출 모드로 전환된다.(S5)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는 외출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외출 모드시 제공되는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와,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 및 방범 서비스 역시, 가정(100)에 구비된 센서(110,120,130-N)들 및 관리센터(500)와 연동하여,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S6)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는 외출 모드에 따라, 방범 서비스 제공 중 활동량감지 센서(130-N)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비상 상황 감시 및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처리가 진행된다.(S7)
반면,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의 접속을 시도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긴급 호출 장치(300)로 근거리 통신 접속 연결일 시도한다.(S8)
접속 시도를 통해, 긴급 호출 장치(300)와 게이트웨이 장치(200)가 접속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즉, 해당 장치(300)가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C) 내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 접속 연결되는지, 아니면 해당 장치(300)가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C) 내에 위치하지 않아 근거리 통신 접속 연결이 실패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9)
접속 여부 판별 결과, 접속 연결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10)
사용자가 복귀한 것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 장치(200)에서는 사용자 복귀에 따른 복귀 모드로 전환하고, 게이트웨이 장치(200)에 복귀 모드를 설정한 후, 관리센터(500)로 복귀 모드 전환 사실을 전송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복귀 모드 전환과 함께,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단계 S1의 절차부터 진행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11)
반면, 접속 여부 판별 결과, 접속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외부에서의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 외출 후, 가정(100)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는데, 실제 사용자의 위치가 가정(100) 내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사용자 이외의 누군가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12)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게 되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외부 침입 사실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가정(100) 내에 출력하거나 또는 관리센터(500)로 침입 사실을 전송하여 알리도록 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13)
이러한 절차를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보다 지능적으로 사용자의 외출 및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외출 및 복귀 상태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복귀 모드에서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서비스가 복귀 모드에서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현재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에 위치하는 복귀 모드 상태이므로, 복귀 모드에서의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하여,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가 이루어지며, 수집된 센싱 정보를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와 사용자 감시 서비스 및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21,S22)
아울러, 사용자 본인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에 긴급 호출 버튼 입력을 통해 긴급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23)
이렇게 긴급 호출 장치에서 호출 신호가 발생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로 발생된 긴급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관리센터로 긴급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센터에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한다.(S24,S25)
이러한 복귀 모드에 따른 각종 서비스 제공과 함께, 사용자의 외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절차가 이루어지는데, 먼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26) 여기서, 긴급 호출 장치가 가정(100) 내에 위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사용자가 외출하여 긴급 호출 장치(200)가 가정(100)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통신 연결 상태 확인 중, 긴급 호출 장치가 통신 커버리지를 벗어남에 따라 통신 연결이 해제되어,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통신 단절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27)
통신 단절을 확인함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는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진행한다. 즉, 게이트웨이 장치에 설정된 복귀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외출 모드 전환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28,S29)
이와 같이, 긴급 호출 장치가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날 경우, 즉시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외출 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외출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외출 모드에서 복귀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각 노드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서비스가 외출 모드에서 복귀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현재는 사용자가 가정(100) 내에 위치하지 않는 외출 모드 상태이므로, 외출 모드에 따른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센서에서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비상 상황 여부를 감시하는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와 함께, 방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가 실제 외출 중인 상태에서 가정(100) 내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가정에 따라, 활동량감지 센서(130-N) 등의 센서에서 가정(100) 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41)
센서는 움직임을 감지한 센싱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한다.(S4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긴급 호출 장치와의 토신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43)
이때, 사용자는 실제로 외출 중이므로 긴급 호출 장치 역시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통신 연결 확인 결과, 통신 단절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S44)
게이트웨이 장치는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나 긴급 호출 장치와의 통신이 단절되었음을 확인하고, 현재 가정(100) 내에 외부 침입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 침입 신호를 발생한다.(S45)
외부 침입 신호 발생과 함께, 관리센터로 외부 침입 사실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에는 외부 침입에 대비한 방범 서비스 절차대로 후속 대응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46)
반면에,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중, 실제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하여 가정(100) 내로 사용자가 진입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가정에 따르면, 역시 활동량감지 센서(130-N) 등의 센서에서 가정(100) 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51)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된 센싱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로 전송한다.(S52)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긴급 호출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긴급 호출 장치를 휴대하고 가정(100) 내로 복귀한 상태이므로, 해당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S53)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통신 상태 확인 결과, 통신 연결을 확인한다.(S54)
게이트웨이 장치는 움직임을 감지함과 함께, 긴급 호출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였으므로 외부 침입이 아닌, 사용자가 실제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게이트웨이 장치의 모드를 복귀 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55)
이와 함께, 관리센터로 사용자의 복귀 사실과 복귀 모드 전환을 알리는 복귀 모드 정보를 전송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56)
이와 같이, 긴급 호출 장치가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먼저,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고, 추가로 호출 장치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외부 침입인지 사용자 복귀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복귀 파악시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장치는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그에 따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댁내 가정 300 : 긴급 호출 장치
500 : 관리센터 600 : 통신망

Claims (12)

  1.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현황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단절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모니터링 중 통신 단절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 모드로 전환하여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외출 모드 서비스 제공 중 가정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움직임 감지 신호 수신과 함께, 상기 긴급 호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연결이 확인될 경우에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는,
    상기 관리센터와 연동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방범 서비스 및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b-1) 외출 모드 전환시, 상기 센서를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긴급 호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고 방범 서비스에 따른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1) 이후에,
    상기 발생된 알람 신호를 상기 원격지의 관리센터로 전송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 구비된 출력 수단을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는,
    상기 관리센터와 연동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감시 서비스, 헬스케어 서비스 및 비상 상황 감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 함께, 상기 단계 (a)의 모니터링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된, 상기 긴급 호출 장치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원격지의 관리센터로 긴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다수의 센서가 설치된 가정에 구비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은 소정 반경 내의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WiFi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11.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원격지의 관리센터 간에 통신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외출 현황을 지능적으로 파악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며, 근거리 통신 수단 및 긴급 호출 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긴급 호출 장치; 및
    상기 긴급 호출 장치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고,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 단절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 통신 단절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 모드로 전환하여 외출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출 모드 서비스 제공 중 가정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외출에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 모드로 전환하여 복귀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복귀 판단시,
    움직임 감지 신호 수신과 함께, 상기 긴급 호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연결이 확인될 경우에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118962A 2012-10-25 2012-10-25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41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62A KR101413266B1 (ko) 2012-10-25 2012-10-25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962A KR101413266B1 (ko) 2012-10-25 2012-10-25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27A true KR20140052627A (ko) 2014-05-07
KR101413266B1 KR101413266B1 (ko) 2014-06-27

Family

ID=5088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962A KR101413266B1 (ko) 2012-10-25 2012-10-25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102113594B1 (ko) * 2019-12-31 2020-06-02 (주)세정이에프씨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200094953A (ko) *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고독사 방지 및 침입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27B1 (ko) 2017-06-30 2017-11-28 (주)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스누설 사고방지장치
KR101774772B1 (ko) 2017-07-04 2017-09-06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스누설 사고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083A (ja) * 2000-12-21 2002-07-05 Sharp Corp 緊急情報発信システム
KR101014842B1 (ko) * 2008-07-04 2011-02-15 권영현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20100026850A (ko) * 2008-09-01 2010-03-10 (주)이젠솔루션 원격 보호 관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20200094953A (ko) *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고독사 방지 및 침입감지 시스템
KR102113594B1 (ko) * 2019-12-31 2020-06-02 (주)세정이에프씨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266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8578B2 (en) Interactive wireless life safety communications system
KR101413266B1 (ko)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2982654B (zh) 一种便携式智能化老人看护仪
CN107464406A (zh) 基于可穿戴装置的报警方法、系统及相应的可穿戴装置
KR100792014B1 (ko) Usn 기반 상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20100032586A (ko)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05869350A (zh) 一种便携式智能报警设备及其报警方法
CN103338316B (zh) 整合型安全确认系统与方法
CN105072407A (zh) 基于4g和有线宽带实现智能居家养老监控的系统及方法
KR20040087226A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101627188B1 (ko)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JP2014102586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検出プログラム
KR100796143B1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10126411A (ko) 경보출력을 제어하는 센서 장치
CN105141908A (zh) 基于4g网络实现智能居家养老监控的系统及方法
CN212342012U (zh) 一种物联网家用火灾报警监控系统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CN209746764U (zh) 一种物联网山林报警装置
CN103716479A (zh) 突发健康事件家庭报警系统
JP2004242129A (ja) 構内通信システム
KR101378296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방법
CN207638783U (zh) 一种远程家庭安防看护系统
KR20120024266A (ko) Wll 터미널 기능을 가지는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에서의 센싱 정보 처리 방법
JP2017117141A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20210076694A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