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226A -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226A
KR20040087226A KR1020030021506A KR20030021506A KR20040087226A KR 20040087226 A KR20040087226 A KR 20040087226A KR 1020030021506 A KR1020030021506 A KR 1020030021506A KR 20030021506 A KR20030021506 A KR 20030021506A KR 20040087226 A KR20040087226 A KR 20040087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erver system
central control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904B1 (ko
Inventor
최용학
Original Assignee
최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학 filed Critical 최용학
Priority to KR102003002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904B1/ko
Priority to AU2003271218A priority patent/AU2003271218A1/en
Priority to US10/551,491 priority patent/US20070032218A1/en
Priority to PCT/KR2003/002167 priority patent/WO2004089007A1/en
Publication of KR2004008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일정장소에 체류하는 경우 미리 체류 장소 및 체류 시간을 입력하고 체류 시간 내에 고객이 긴급신호를 송신하면 출동요원이 정확하게 고객의 위치로 출동할 수 있게 하는 긴급출동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NOTICE METHOD FOR EMERGENT DISPATCH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객이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고객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긴급출동고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일정장소를 방문하는 경우 미리 장소 및 체류시간을 입력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고객이 긴급신호를 송신하면 출동요원이 정확하게 고객의 위치로 출동할 수있게 하는 긴급출동고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긴급출동고지를 이용하여 회원이 집에 있는 동안 회원의 신체보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긴급출동서비스에 이용되는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회원의 위치파악 서비스로는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방식, 이동통신사에서 서비스중인 지피에스원(gpsOne)방식 등의 방식이 있다. 그러나 지피에스(GPS)방식은 회원이 실내에 있는 경우는 위치파악이 불가능하며, 지피에스원(gpsOne)방식의 경우도 회원이 실내에 있는 경우는 위치 오차가 1㎞가 넘게 되어, 이를 이용한 종래의 긴급출동서비스는 실내에 있는 회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회원을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구제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집에 대한 도난 방지시스템은 주로 집의 귀중품 등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재산이 아닌 사람만을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고가의 컨트롤러를 설치해야 하는 등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긴급출동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이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회원이 있는 장소가 실내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회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회원을 위급한 상황에서 구할 수 있는 긴급출동고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고지방법을 이용하여 회원이 집에 머무르는 동안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신속하게 회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고지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고지방법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신체보호를 위한 긴급출동고지방법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중앙통제서버시스템 15 - 이동통신시스템
21 -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31 -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
51 - 회원의 이동통신기기 61 -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에 대한 것으로 정보의 송수신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서버시스템 구축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연동하여 가입회원의 성명, 나이, 휴대폰 번호 등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연동하여 상기 회원의 체류장소 및 체류시간을 저장하는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체류시간이 시작되는 회원의 체류장소와 체류시간을 관리하는 보호상태개시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이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송신하는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긴급신호수신단계 및 긴급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이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로 회원의 기본정보와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정보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긴급신호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의 단축키 또는 미리 약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긴급신호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근거리 송신장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으로 긴급신호를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긴급신호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회원 신체의 상태변화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으로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긴급신호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집에 설치된 침입감지센서가 송신하는 침입감지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고지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고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앙통제서버시스템 구축단계(S10),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20),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30), 보호상태개시단계(S40), 긴급신호 수신단계(S50), 위치정보송신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 구축단계(S10)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출동서비스의 각 단계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인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을 구축하는 단계이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는 웹사이트를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20)는 회원을 모집하고 회원자료를 수집하는 과정과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본 발명의 긴급출동서비스에 가입하는 회원의 성명, 나이, 주소, 휴대폰 번호 등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1)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상기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20)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회원을 모집하고 회원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기타 전화 또는 우편을 통하여 회원을 모집하고 회원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수집된 회원정보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1)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제어된다.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30)는 회원의 체류장소 및 시간, 일회성 여부의 위치정보를 입력과정과 입력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회원이 특정장소에 체류하는 경우 회원이 회원의 기본정보와 체류장소, 체류시간, 일회성 여부를 입력하고 입력된 위치정보를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과 연동하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회원이 입력하는 위치정보는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제어된다.
회원은 체류하고자 하는 장소와 체류시간을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과 연동하는 인터넷상의 웹사이트에서 입력하거나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는 일회성과 연속성으로 구별된다. 일회성은 회원이 특정한 장소에 일회성으로 체류하는 경우 사용되며 체류장소와 체류시간을 입력하고 체류시간이 경과하면 긴급신호서비스가 종료되는 방식으로 회원이 위치정보를 입력할 때 일회성 여부를 표시하여야 한다. 연속성은 회원이 특정 요일 또는 특정일의 특정시간대에 반복적으로 동일한 장소에 체류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회원이 한 번 체류장소와 체류시간을 입력하면 특별히 회원이 종료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긴급신호서비스가 적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회원의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는 일회성과 연속성으로 구별되어 구축된다.
상기의 보호상태개시단계(S40)에서는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이 체류시간이 시작되는 회원의 위치정보에 대한 정보를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는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의 저장장치에서 수신하여 별도로 관리하는 단계이다. 회원의 체류장소에서의 체류시간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서 별도로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모니터 등 표시장치(구성도에 표시하지 않음)에 표시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하는 데이터는 회원의 기본정보와 체류장소, 체류시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긴급신호 수신단계(S50)는 회원이 직접 또는 별도의 송신장치(55)를 이용하여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를 작동하여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가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이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회원이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를 사용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를 이동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시스템(15)을 통하여 상기의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이 수신하는 단계이다.
회원은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를 사용하여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의 긴급신호번호로 긴급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 단축키를 설정하여 단축키를 사용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은 회원과 미리 긴급신호번호를 설정하여 이 번호가 울리면 긴급신호로 인식하도록 하거나 특정한 프로토콜을 긴급신호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원은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별도의 근거리 송신장치(55)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이어폰 또는 악세사리 등 몸에 지닐 수 있는 소형물품에 버튼을 누르면 특정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장착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는 이 특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회원이 상기 특정신호를 발생하는 근거리 송신장치(55)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서 특정신호를 수신하여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가 자동으로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으로 긴급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근거리 송신장치(55)와 유사하게 신체의 심장박동수, 체온 등을 측정하고 이상이 감지되면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장치(구성도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신체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송신부를 부가하여 상기 심장박동수 등의 측정결과 이상이 감지되면특정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면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긴급신호를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신체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땀을 측정하는 장치는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에 칩 또는 모듈형태로 소형화하여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면 회원이 긴급한 상황에서도 손쉽게 긴급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 송신단계(S60)는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이 출동요원을 선정하는 과정과 긴급신호를 송신한 회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회원의 긴급신호가 수신되면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은 회원의 위치에서 가장 근거리에 있는 출동요원을 선정하여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61)에 회원에 관한 기본정보와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위치정보는 단문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한 업로드방식 등을 통해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61)로 송신한다.
상기 출동요원은 긴급신호와 회원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경우 출동하여 회원을 긴급상황에서 구제하기 위한 자로서,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으로부터 긴급신호와 회원의 기본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61)를 구비하여야 하며 구역을 나누어 소정의 인원이 배치됨으로써 모든 지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의 긴급출동고지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은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 이동통신사업자의이동통신시스템(15),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1),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61)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은 유선 및 무선인터넷에 연결되어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1)와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의 정보의 송수신을 통제하는 기능과, 회원의 긴급신호를 이동통신시스템(15)을 통하여 수신하여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61)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선인터넷은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규약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등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인터넷은 휴대폰이나 개인용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들이 전자우편, 음성 및 화상전송 등의 인터넷 접속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한 통신규약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무선 응용 통신프로토콜) 등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1) 및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31)는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정보를 저장하고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는 휴대폰이나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기기(51)는 별도의 근거리 송신장치(55)에서 발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근거리 송신장치(55)는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신호송신장치이다.
상기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61)는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으로부터 긴급신호가 송신된 회원의 기본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기로 휴대폰, 개인정보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다음은 상기의 긴급출동고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회원이 집에 있는 동안에 회원의 신체보호를 위한 긴급출동고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의 긴급신호 수신단계(S50)에서 근거리 송신장치가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침입감지센서(58)가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의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30)에서 회원의 체류장소는 자신의 집으로, 체류시간은 집에 머무르는 시간대로 저장된다.
상기 도 1의 긴급신호 수신단계(S50)에서는 회원의 집에 설치된 침입감지센서(58)가 작동하여 침입이 감지되면 침입감지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 송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가 긴급신호를 중앙통제서버시스템(11)으로 송신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회원이 집에 있는 동안에 회원의 신체보호를 위한 긴급출동고지방법의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2의 시스템에서 회원의 집에 설치되는 침입감지센서(5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의 침입감지센서(58)는 회원의 집에서 외부로 통하는 출입문, 창문 등에 설치되는 센서로서 외부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침입감지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침입감지센서(58)로는 적외선 감지센서, 자석감지센서 등 사람의 움직임이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제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자석감지센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는 침입감지센서(58)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의 침입감지센서(58)와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간의 신호 송수신은 직접할 수 있으며, 중간에 집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중계기(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서의 별도 송신장치(55)에서 발신하는 신호와 침입감지센서(58)에서 송신하는 신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의 중계기가 침입감지센서(58)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상기 별도의 송신장치(55)에서 송신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중계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도 2의 근거리 송신장치(55)와 상기 도 3의 침입감지센서(58)에서 송신하는 신호가 다른 경우에도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에 한 종류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만을 부가하여 상기 두 가지 실시예의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침입감지센서(58)는 회원의 이동통신기기(51)와의 신호 송수신범위가 작기에 회원이 집을 머무르는 경우에만 상기 다른 실시예의 이용이 가능하며, 집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침입감지센서(58)의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회원이 집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발명에 의하면, 회원이 실내에 있는 등 기존의 위치추적시스템으로 정확한 위치추적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회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회원의 긴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위난으로부터 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원이 집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신체보호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회원의 신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정보의 송수신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서버시스템 구축단계;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연동하여 가입회원의 성명, 나이, 휴대폰 번호 등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연동하여 상기 회원의 체류장소 및 체류시간을 저장하는 위치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체류시간이 시작되는 회원의 체류장소와 체류시간을 관리하는 보호상태개시단계;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이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송신하는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긴급신호 수신단계; 및
    긴급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통제서버시스템이 출동요원의 이동통신기기로 회원의 기본정보와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정보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 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의 단축키 또는 미리 약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 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근거리 송신장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으로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 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이동통신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회원 신체의 상태변화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으로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 수신단계에서 회원의 집에 설치된 침입감지센서가 송신하는 침입감지신호를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수신하고, 회원의 이동통신기기가 중앙통제서버시스템에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1020030021506A 2003-04-04 2003-04-04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10068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06A KR100680904B1 (ko) 2003-04-04 2003-04-04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AU2003271218A AU2003271218A1 (en) 2003-04-04 2003-10-17 Notice method for emergent dispatch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551,491 US20070032218A1 (en) 2003-04-04 2003-10-17 Notice method for emergent dispatch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CT/KR2003/002167 WO2004089007A1 (en) 2003-04-04 2003-10-17 Notice method for emergent dispatch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506A KR100680904B1 (ko) 2003-04-04 2003-04-04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26A true KR20040087226A (ko) 2004-10-13
KR100680904B1 KR100680904B1 (ko) 2007-02-09

Family

ID=3312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506A KR100680904B1 (ko) 2003-04-04 2003-04-04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32218A1 (ko)
KR (1) KR100680904B1 (ko)
AU (1) AU2003271218A1 (ko)
WO (1) WO200408900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85B1 (ko) * 2005-09-23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성항법 시스템 단말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1958572B1 (ko) 2017-11-06 2019-03-14 박순호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66199A (ko) 2017-12-05 2019-06-13 박순익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13284B1 (ko) 2020-05-07 2021-10-14 김도연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54901B1 (ko) 2020-11-27 2022-01-24 (주)클로드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83050B1 (ko) 2021-02-22 2022-04-04 김도연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발신번호 변경 기기
KR20230022483A (ko) 2021-08-09 2023-02-16 (주)클로드 긴급출동 알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5528A1 (en) * 2005-11-10 2007-05-10 Juergen Haa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mergency data
US7698344B2 (en) * 2007-04-02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Search macro suggestions relevant to search queries
US8494482B2 (en) * 2008-10-24 2013-07-23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US8494574B2 (en) 2008-10-24 2013-07-23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eature of a telecommunications device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US8560872B2 (en) * 2009-03-31 2013-10-1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Body heat sens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9773404B2 (en) * 2014-07-11 2017-09-26 SHIELDtech Inc. Module mobil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101999691B1 (ko) 2017-10-17 2019-07-15 부산광역시 골든아워 확보를 위한 긴급출동 알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긴급출동 알림시스템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535A (en) * 1992-06-01 1996-10-22 Trackmobile, Inc. Alarm system for enclosed area
US5742666A (en) * 1994-10-05 1998-04-21 Tele Digital Development, Inc. Emergency mobile telephone
JP3115268B2 (ja) * 1997-10-08 2000-12-04 孝雄 三枝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1008265A (ja) * 1999-06-25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ーソナ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386702B1 (ko) * 2001-03-22 2003-06-02 (주)파워링크 응급환자 감시 시스템
AU2002356555A1 (en) * 2001-10-09 2003-04-22 Sirf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location coded images over a wireless network
KR100463435B1 (ko) * 2002-02-27 2004-12-23 최용학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회원보호방법
US7260186B2 (en) * 2004-03-23 2007-08-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olutions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911 location ser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85B1 (ko) * 2005-09-23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성항법 시스템 단말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
KR101958572B1 (ko) 2017-11-06 2019-03-14 박순호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66199A (ko) 2017-12-05 2019-06-13 박순익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13284B1 (ko) 2020-05-07 2021-10-14 김도연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54901B1 (ko) 2020-11-27 2022-01-24 (주)클로드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83050B1 (ko) 2021-02-22 2022-04-04 김도연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발신번호 변경 기기
KR20230022483A (ko) 2021-08-09 2023-02-16 (주)클로드 긴급출동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904B1 (ko) 2007-02-09
WO2004089007A1 (en) 2004-10-14
US20070032218A1 (en) 2007-02-08
AU2003271218A1 (en) 2004-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nditions
KR100993733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US11659075B2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100680904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101633006B1 (ko) 감시구역 이탈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3167778U (ja) 弱者見守りシステム
US20140361874A1 (en) Tracking and emergency alert device
JP2006293519A (ja) 安否確認方法、安否確認システム、自宅内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8282249A (ja) 見守り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70085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grammable chime for security system proximity alerts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JP3714213B2 (ja) 安否確認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463435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회원보호방법
KR1006112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JP4379145B2 (ja) 線量計装置
WO2016153348A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101534838B1 (ko)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원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5224997B2 (ja) 携帯端末
JP2005328392A (ja) 移動体監視装置、移動体監視システム及び移動体監視方法
KR200425605Y1 (ko) 근거리 위치 확인을 통한 안전구역 이탈 방지장치
KR100620555B1 (ko) 미아 위치 확인 및 검색 방법과 그 시스템
JP2006085250A (ja) 防災システム
JP3893373B2 (ja) 携帯端末管理装置
NL2016620B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KR101421729B1 (ko) 위치확인 알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1

Effective date: 2006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