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251B1 -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251B1
KR100611251B1 KR20050005344A KR20050005344A KR100611251B1 KR 100611251 B1 KR100611251 B1 KR 100611251B1 KR 20050005344 A KR20050005344 A KR 20050005344A KR 20050005344 A KR20050005344 A KR 20050005344A KR 100611251 B1 KR100611251 B1 KR 10061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873A (ko
Inventor
박노천
Original Assignee
박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천 filed Critical 박노천
Priority to KR2005000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2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2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출차 등의 주차 상황을 무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여 주는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주차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줌으로써 사고 예방을 돕는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주차관제 시스템은, 소정의 차량이 진입/출차 할 시에 해당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판독하여 주차관제를 수행하는 관제호스트 PC로 전송하는 차량주차 감지부와, 상기 차량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여 주는 관제호스트 PC와, 상기 관제호스트 PC로부터 통보받은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 안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다.
주차, 차량, 이동통신단말기, 아파트, 주차관제 시스템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Parking management system reporting parking state to mobile phone and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 상황을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는 시스템도.
도 2는 주차관제 기지국을 이용하여 주차 상황을 직접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는 시스템도.
도 3은 관제호스트 PC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주차 상황 통보받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주차 감지부 102: 입구 감지부
104: 출구 감지부 110: 관제호스트 PC
120: 이동통신망 130: 이동통신단말기
220: 주차관제 기지국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출차 등의 주차 상황을 무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여 주는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주차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줌으로써 사고 예방을 돕는 주차관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주상복합빌딩 및 아파트 등을 비롯한 지하 주차장 및 옥외 주차장에는 대개 주차 통제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첨단의 주차관리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차관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입출고 차량이 기등록된 아파트 거주 주미의 차량인지 또는 방문 차량인지를 감지하는 등록감지 장치수단과, 차량의 입출고가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차단기를 구비하는 차단 장치수단과, 이들을 제어하는 통합제어서버 장치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주차장 입구에 차량이 들어오면, 관제호스트 PC는 주차차량 감지부를 통해 입고 차량이 기등록된 아파트 거주 주민의 차량인지 방문 차량인지 감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차차 량 감지부의 감지는 RF 리더(Radio Frequency reader) 등의 전용 독취기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입고 차량을 촬영하여 이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관제호스트 PC에는 정기차량의 차량번호가 기억되어 있으며, 이 차량 번호는 수시로 변경 및 갱신(update)될 수 있디.
그리고, 입고 차량이 등록 차량이면 관제호스트 PC는 차량의 주차장 진입이 가능하도록 차단기를 개방 작동하고, 입고 차량이 미등록 차량이면 주차권을 발행한 후 차단기를 개방 작동하거나 또는 입고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통보한다. 이에 따라, 건물 입주 주민들은 주차장 입/출구에서 차량의 진출입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단순히 차량의 입출고만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근래 들어 지하 주차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차량 도난 및 납치 등의 사고와 긴급 상황 발생시에 즉각 조치하고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전혀 없으며, 이로 인해 아파트 거주 주민들의 지하 주차장의 사용을 회피하는 문제점이 발생됨으로써 주차장의 효율적인 운영에 취약하고 옥외 주차장의 혼잡 및 교통 체중을 가중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은 차량 출입 상황을 가족 등의 관련 인물에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차량 주차 후 납치 등의 사고 발생시에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차량 출입을 집안에 유선전화기로 통보해준다 하더라도, 사고 발생시에 집안에 가족 누구도 없다면 누구도 사고 발생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통보 장소의 제한성이라는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차량출입 상황을 집안에 있는 유선 전화기를 통하여 알려준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의 대응 방법이 없어 그 효율성에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집에 있는 유선전화 단말기에 차량 출입 통보가 있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차량 운전자가 무사히 집에 들어오지 않은 경우, 유선전화 단말기가 자동으로 경찰에 사고 사실을 알리는 등의 동작 등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장에 차량 출입 상황을 미리 등록한 휴대단말기로 무선망을 이용하여 전송해주는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차량 진입 사실을 통보받은 후 소정의 입력을 받지 않은 경우, 사고가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자동으로 경찰서, 관리실 등에 사고 사실을 통보하는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차량이 진입/출차 할 시에 해당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판독하여 주차관제를 수행하는 관제호스트 PC로 전송하는 차량주차 감지부와, 상기 차량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여 주는 관제호스트 PC와, 상기 관제호스트 PC로부터 통보받은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 안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주차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주차 출입을 제어하는 차량주차 감지부가 진입/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주차상황을 총괄 제어하는 관제호스트 PC가 차량의 진입/출차 시에 해당 차량이 등록차량인가를 판단하여, 등록 차량이 아닐 시에는 진입/출차를 거부하며, 등록 차량일 시에는 진입/출차 상황을 무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의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안내 하는 과정과, 일정시간 경과 후 차량 소유주의 안전을 문의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소유주의 안전에 이상이 있다는 입력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관제호스트 PC로 사고 발생을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은 셀룰라폰, PCS, PDA, DMB폰 등 무선망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차량 출입 여부를 통보해 주는 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주차 감지부(100)가 차량의 출입상황을 감지하여 관제호스트 PC(110)로 전송하여 주면, 상기 관제호스트 PC(110)는 해당 차량에 미리 등록한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 진입/출차 시각을 문자메시지(SMS)로 알려준다. 상기 문자메시지는 이동통신망(120), 즉, PSTN망/인터넷망(122)과 기지국(124;BTS)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 어디에라도 특정 이동통신단말기에 문자메시지가 발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30,140)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은 집이 아닌 외부 다른 장소에 있다 하더라도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메시지 이외에도 신호음, 음성안내, 경고램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표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차량주차 감지부(100)는 입구 감지부(102)와 출구 감지부(104)를 구비하는데, 입구 감지부(102)는 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출구 감지부(104)는 차량의 출차여부를 감지한다. 감지 방법은 차량의 유리면 등에 붙어 있는 RF 태그(RF tag)를 입구/출구 게이트에 있는 RF 태그 리더(RF tag reader)가 판 독하여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RF 태그에는 차량고유 번호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RF 태그 리더는 RF 태그에 기록되어 있는 차량고유 번호를 관제호스트 PC(110)에 전송하여 주는 것이다.
관제호스트 PC(110)는 전송되어 온 차량고유 번호를 보고서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검색함으로써, 해당 차량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소유주 이름, 주소, 통보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제호스트 PC는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 내에 구비해야하는데,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고유번호 별로 차량소유주 이름, 주소, 통보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의 차량 관련 정보들을 미리 등록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표 1]
차량 고유번호 차량소유주 이름 차량소유주 주소 통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12 가1234 홍길동 서울 역삼동 역삼아파트1-2 010-123-4567 (부인)
45 허5678 김철수 서울 역삼동 역삼아파트5-1 011-123-1234 (아버지) 016-234-0987 (어머니)
23 다2345 이만수 서울 역삼동 역삼아파트3-1 019-456-7999 (남동생) 011-654-2546 (아버지)
.. .. .. .. .. .. .. .. .. .. .. ..
예를 들어, 차량주차 감지부의 입구 감지부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RF 태그 판 독 결과, "12 가1234" 차량 고유번호를 판독한 경우에는, 관제호스트 PC에 판독된 상기 차량 고유번호를 전송한다. 관제호스트 PC는 차량고유 번호를 상기 [표 1]과 같은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 부인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로 남편 차량의 주차장 진입 사실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여 준다. 상기 통보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문자메시지 통보가 가능하므로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SMS)를 전송하는 경우, 차량 진입/출차 시마다 문자메시지를 발송해야하기 때문에 문자메시지 발송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관제실에 소형 기지국 역할을 하는 주차관제 기지국(220)을 직접 설치하여 유료의 이동통신망을 거치지 않고 무료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도록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관제 기지국(220)은 도 1의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24;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의 기능과 동일하게 구현한다. 다만, 무선 상에 출력 전력만 약하게 하여 인접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간섭이 안 생기도록 무선망 셀(cell)을 설계하여 구현한다. 따라서, 아파트 등의 주차장에서는 상기 주차관제 기지국을 이용하여 해당 아파트 지역 주민에게 차량의 주차 진입/출차 여부를 무료로 문자메시지 통보를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관제호스트 PC의 내부 구성 블록을 나타낸 그림이다.
관제호스트 PC는 개인용컴퓨터, 서버 등과 같이 CPU를 구비한 컴퓨터로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기능블록들만 간단히 설명한다. 차량주차 감지부 접속부(302)는 차량주차 감지부(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기능 블록으로서, 직렬 통신, TCP/IP, LAN 접속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망 접속부(304)는 이동통신망과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로서, TCP/IP, 유무선 접속 프로토콜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SMS 서버에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SMS 서버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30,140)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문자메시지 발송부(306)는 차량 진입 사실을 통보할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통보 내용 등을 문자메시지 포맷으로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308)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종 차량 관련정보들을 저장한 기록매체이다. 표시부(310)는 LCD, CRT와 같은 모니터로서 각종 차량 진입/출차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고, 키입력부(312)는 주차관제 관리자로부터 필요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진입/출차 상황을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해주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의 상태도를 참고하여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설명하면, 특정 차량이 주차관제 가능한 주차 구역에 진입(이하, 주차 구역에서 출차할 시에도 동일 플로우가 적용됨)하는 경우에 입구 감지부(102)의 RF 태그 리더는 진입하려는 차량에 부착된 RF 태그를 판독(S402)하여 차량 고유번호를 읽어온다. 판독된 차량 고유번호는 관제호스트 PC(110)로 전송되는데, 관제호스트 PC(110)는 수신한 차량 고유번호가 등 록된 차량인가 판단(S404)한다. 판단 결과, 등록차량이 아닐 시에는 관제호스트 PC는 입구 감지부에 진입 차단기를 개방하지 말도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S410)하며, 반면에 등록된 차량일 시에는 진입 차단기를 개방할 것을 입구 감지부(102)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시에 해당 차량의 관련 정보를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S406)한다. 조회가 완료되면, 진입차량의 진입 사실을 통보할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메시지로 진입차량 번호 및 진입 시각, 진입 주차장 구역을 통보(S408)해 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보 방식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지만, 상기 문자메시지 통보 이외에도 미리 등록한 안내 음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통보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5는 차량 진입/출차 여부를 통보받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 사고 발생시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특정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는 경우, 관제호스트 PC(110)는 해당 차량이 진입함을 관련정보(차량번호, 진입시각, 진입 주차장 구역)를 미리 등록해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S502)한다. 상기 통보를 받은 이동통신단말기(130,140)는 진입하는 차량 고유번호, 진입시각, 진입 주차장 구역을 LCD 창에 디스플레이(S504;이하, 진입 상황 디스플레이라 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로 하여금 관련 차량의 주차장 진입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입 상황 디스플레이(S504)가 있은 후 설정해 놓은 일정시간(예컨대, 10분)이 경과(S506) 되었을 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차량 소유주의 안전 여부(예 컨대, 차량 소유주가 무사히 집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질의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S508;이하, 모드선택 디스플레이라 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의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모드선택 디스플레이를 보고 차량 소유주가 안전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는 차량 소유주가 안전하다는 응답을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가 집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진입 상황 디스플레이 및 모드선택 디스플레이를 본 경우, 차량 소유주에 아무 이상이 없을 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는 차량 소유주의 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입력(이하, 안전모드 입력이라 함)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한다. 상기 안전모드 입력을 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차량 소유주에 아무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S514)한다. 반면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선택 디스플레이 시까지도 차량 소유주가 집에 들어오지 않은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는 차량 소유주가 들어오지 않았음(S510;이하, 비상모드 입력이라 함)을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비상모드 입력을 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관제호스트 PC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전송(S512)한다(아울러 다른 실시 예로서, 경찰청 신고 서버 등과 같은 치안센터 서버에 사고구역과 사고 사실을 통보하도록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을 받은 관제호스트 PC(110)는 비상 알람(S516)을 발생시켜 경비직원으로 하여금 해당 주차구역에 가보도록 하여 사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 알람은 경고벨, 경고등, 경고 디스플레이 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경비직원에게 비상상황임을 알릴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주가 안전모드 입력/비상모드 입력을 수행하는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특수 기능키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 LCD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드 메뉴(안전모드 입력 아이콘, 비상모드 입력 아이콘이 표시됨)를 보고서 이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주차장 진입사실을 장소와 관계없이 운전자를 포함하여 운전자와 관련된 일정한 사람의 기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자동으로 통보해 줌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여부를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알 수 있다. 둘째, 운전자의 안전에 이상이 있을 시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동으로 관리실에 통보해 줄 수 있음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차량의 운전자를 비롯한 운전자와 관련된 일정한 사람의 기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한 사람이 사고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비상호출기능을 기 등록 사람들과 해당 경비실 및 관리소에 비상호출이 동시에 가능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차량의 주차장 진입 사실이 차량 운전자를 비롯한 운전자와 관련된 일정한 사람의 기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자동으로 통보되고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비상 호출시스템이 작동된다는 등의 메시지를 표시한 간판을 주차장 입구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납치범 또는 기타 불순 행위자 등의 범행 의욕을 반감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특히, 여성 운전자) 납치 등의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시스템을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과 접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스템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을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가 구비된 빌딩, 보안이 필요한 연구소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경영자를 포함한 임원급 직원과 특수 직책의 중요 간부의 외출 사항을 비서실 또는 상기 직원의 외출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할 부서에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고 산업 스파이를 통한 납치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비상호출로 즉각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소정의 차량이 진입/출차할 시에 해당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판독하여 주차관제를 수행하는 관제호스트 PC로 전송하는 차량주차 감지부와,
    상기 차량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하여 주는 관제호스트 PC와,
    상기 관제호스트 PC로부터 통보받은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 안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주차 감지부는,
    차량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여 진입 시각과 진입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상기 관제호스트 PC로 전송하는 입구 감지부와,
    차량의 출차 상황을 감지하여 출차 시각과 출차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상기 관제호스트 PC로 전송하는 출구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차량 고유번호는 차량에 부착된 RF 태그를 판독한 차량 고유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관제호스트 PC는 등록 차량에 관련된 차량 관련 정보를 기록한 차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 고유번호, 차량 소유주 이름, 차량 소유주 주소, 진입/출차 통보받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출차 여부를 미리 등록해 놓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통보해주는 것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관제호스트 PC에 직접 접속되어 무선 데이터를 처리하는 주차관제 기지국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
  7. 소정의 주차 구역들을 관제하는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주차 출입을 제어하는 차량주차 감지부가 진입/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고유번호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주차상황을 총괄 제어하는 관제호스트 PC가 차량의 진입/출차 시에 해당 차량이 등록차량인가를 판단하여, 등록 차량이 아닐 시에는 진입/출차를 거부하며, 등록 차량일 시에는 진입/출차 상황을 무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의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안내 하는 제3과정
    을 구비한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의 진입/출차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음성안내하는 제3과정이 있은 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정시간 경과 후 차량 소유주의 안전을 문의하는 제4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차량 소유주의 안전에 이상이 있다는 입력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관제호스트 PC로 사고 발생을 통보하는 제5과정
    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5과정에서 사고 발생을 통보받은 관제호스트 PC는, 주차관제실에서 사고 발생을 알 수 있도록 비상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비상 알람은 사고 발생 차량 고유번호, 사고 발생 주차구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050005344A 2005-01-20 2005-01-20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R10061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5344A KR100611251B1 (ko) 2005-01-20 2005-01-20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5344A KR100611251B1 (ko) 2005-01-20 2005-01-20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73A KR20060084873A (ko) 2006-07-25
KR100611251B1 true KR100611251B1 (ko) 2006-08-10

Family

ID=3717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5344A KR100611251B1 (ko) 2005-01-20 2005-01-20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2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01B1 (ko) 2012-01-12 2013-04-08 (주)토마토전자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806322B1 (ko) * 2016-08-17 2017-12-07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영상정보를 활용한 도로상 휴게소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60B1 (ko) * 2011-05-23 2013-07-1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충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781A (ko) * 2000-09-04 2002-03-09 이선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20092669A (ko) * 2001-06-05 2002-12-12 지오커뮤니케이션(주)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781A (ko) * 2000-09-04 2002-03-09 이선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20092669A (ko) * 2001-06-05 2002-12-12 지오커뮤니케이션(주)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관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01B1 (ko) 2012-01-12 2013-04-08 (주)토마토전자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806322B1 (ko) * 2016-08-17 2017-12-07 유에프엠시스템즈 주식회사 영상정보를 활용한 도로상 휴게소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73A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319B2 (en) Security system tracking of remote items using reduced power
US20200126333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US8532615B2 (en)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US8653969B2 (en) Home security system
KR101187342B1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CN104488007B (zh) 数字安全网络系统和方法
US20080304641A1 (en) Apparatus for citizen requests for assistance
US20120286951A1 (en) Consumer alarm with quiet button
CN100383826C (zh) 用网络通知危险状况的系统和方法
KR102097755B1 (ko)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
WO2004109618A1 (ja) 機械警備システム、制御装置、リモート報知器、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134255B2 (en) Digital future now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50008976A (ko) 위급상황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JP6799028B2 (ja) 不審者推定システム
KR100680904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1006112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주차 상황을 통보하는 주차관제 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R100697987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5548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KR101977263B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JP2005216186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KR100343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방법
KR10032943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4112481B2 (ja) 特定地域防犯システム
KR20030087313A (ko)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