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942B1 -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942B1
KR102407942B1 KR1020220000972A KR20220000972A KR102407942B1 KR 102407942 B1 KR102407942 B1 KR 102407942B1 KR 1020220000972 A KR1020220000972 A KR 1020220000972A KR 20220000972 A KR20220000972 A KR 20220000972A KR 102407942 B1 KR102407942 B1 KR 10240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usehold
protruding
fix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이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6Electrical actuation by proximity of an intruder causing variation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a circ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내에서 정보 통신라인을 통해 세대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주자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천재지변은 물론 전쟁,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정부통신망과 위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비상통신수단도 갖추고, 이동형으로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초기 진압용 화재진압기를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하여 초기 화재 발생을 차단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Firefight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건축물의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내에서 정보 통신라인을 통해 세대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주자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천재지변은 물론 전쟁,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정부통신망과 위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비상통신수단도 갖추고, 이동형으로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초기 진압용 화재진압기를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하여 초기 화재 발생을 차단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택은 가족구성의 핵화(核化)와 순수한 가정생활의 장소로서 소형화 및 단순화가 이루어져 가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인구 증가와 인간의 집단화 과정이 더욱 적극화되어 도시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유형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공동 주택에는 아파트, 연립 빌라,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이 있다.
공동 주택은 보다 쾌적한 주거 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지구 환경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인해 친환경 건축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친환경 아파트라 불리는 아파트들은 단지 내에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물길을 내어 삭막해지기 쉬운 고층아파트에 인위적이나마 자연적인 요소를 도입해 더욱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고 있다.
상기한 친환경 아파트들 중에는 산이나 호수, 강을 배경으로 건축이 되어 있어 조망권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해 오히려 자연을 파괴하여 환경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아파트에 거주하는 입주민들도 베란다나 현관을 활용하여 작은 실내 정원을 꾸미거나, 실내 공간에 화초류나 나무 등을 활용하여 더욱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아파트들은 아파트 외관에 녹지 공간을 조성하면서 주차 공간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때문에 대부분의 공동주택들은 지상에 주차 공간을 없애고, 주차장을 전부 지하화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예컨대, 2021년 천안 지하주차장에서 세차대행업체의 실수로 발생한 화재사고는 차량 160대 이상을 소손하고, 엄청난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하지만, 여전히 지하 주차장의 화재 진압은 스프링클러 설비 외에는 전혀 없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54848호(2020.09.04.)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내에서 정보 통신라인을 통해 세대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주자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천재지변은 물론 전쟁,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정부통신망과 위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비상통신수단도 갖추고, 이동형으로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초기 진압용 화재진압기를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하여 초기 화재 발생을 차단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와도 통신하는 세대통신기기(100);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관리서버(200);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200)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게시판(300);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1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400); 각 세대내 계단참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 혹은 지하주차장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휴대형감지기(1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형감지기(10)는 고정유닛(5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유닛(50)은 피착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휴대형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내에서 정보 통신라인을 통해 세대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주자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천재지변은 물론 전쟁,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정부통신망과 위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비상통신수단도 갖추고, 이동형으로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초기 진압용 화재진압기를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하여 초기 화재 발생을 차단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형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형감지기의 장탈착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위성안테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위성안테나 위성수신각도 조절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세대통신기기(100), 관리서버(200), 전자게시판(300), 인체감지센서(400), 비상통신기지국(500), 중계기(600)를 포함한다.
이때, 세대통신기기(1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전력선통신이나 광통신 등을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통신기기(100)를 통한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세대통신기기(100)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변경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로 구성하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칩 안에 집적시킨 SoC(System on Chip)로 메인보드를 설계하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세대통신기기(100)는 각 세대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P)과 연동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관리서버(200)는 상기 세대통신기기(100)로부터 입력되어 전달된 입력신호는 물론 자신이 갖는 출력신호에 대해 정보 전송과 의사소통 등의 다양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한다.
특히, 상기 관리서버(200)는 상기 세대통신기기(100)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세대 입주자들의 정보 및 기타 정보들을 기록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0) 등을 비롯한 공동주택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0) 등을 비롯한 공동주택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기와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0) 등을 비롯한 다수의 기기를 개별 인식 및 식별하도록 식별자가 각각 기록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0) 및 전자게시판(300)과 통신을 인증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서버(200)에는 휴대형감지기(10)가 더 연결된다.
이러한 휴대형감지기(10)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검출기로서 지하주차장, 계단참, 엘리베이터 내부 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끌어 쓰기 어려운 곳에 배터리 교체형으로 된 착탈하기 쉽게 설치되며, 특히 계단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비상통신기지국(500)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이때, 휴대형감지기(10)는 중계기(6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중계기(600)는 관리서버(200)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특정장소에 중계기(600)가 설치되고,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고유식별코드를 가진 휴대형감지기(10)가 설치된 후 중계기(60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엘리베이터, 계단참 모두 동일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휴대형감지기(10)는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교체가능한 배터리 사용방식을 통해 상용전원을 끌어오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휴대형감지기(10)를 쉽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50)은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착시트(51)는 겔타입의 시트이다.
이러한 부착시트(51)는 일반 접착제와 달리 액상이 아니며, 고정력은 높이고, 방수성, 내열성, 방오성, 내침식성, 내후성, 내수성을 강하게 하여 외부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열화되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열화되어 부착면으로부터 쉽게 탈거되거나 크랙이 발생되어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력이 너무 강하게 경화되면, 이를 테면 순간접착제와 같이 리지드(Rigid)하게 경화되면 고정력은 매우 높지만 부착면이 콘크리트 재질일 때는 콘크리트면은 손상시키고 쉽게 부서져 떨어져 내리는 한계와, 접착부가 파단되거나 파열되어 장수명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착시트(51)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5중량부, 하이드로콜로이드 25중량부, PEBAX(Polyether-block-amide) 10중량부,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5중량부, 키실렌설폰산나트륨 5중량부, 2-페닐이미다졸 5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중량부 및 실리콘수지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다링한 다음,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는 혼합물이 분산되는 과정에서 서로 엉기거나 미분산되는 것을 막아 표면과 이면 균일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상의 시트를 만들어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유연성은 물론 방수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 완충성을 유지하면서 변형억제력을 증대시키고,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접착성을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트리페닐포스핀은 내후성을 증대시켜 표면 균질화로 내수압특성, 방수성을 강화시키고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방오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키실렌설폰산나트륨은 부착 안정성을 높이고 플러핑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2-페닐이미다졸은 건조수축률을 적게 하여 겔형 시트의 변형을 막고 표면이 평활한 상태로 매끄럽게 유지하여 이물부착억제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구조식(-CF2-CF2-)n인 폴리프론 PTFE-D(Dispersion)로서, 내열성은 물론 윤활성을 증대시키므로 내구성과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실리콘수지는 점착성, 고정력,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내오염성,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은 내부가 비어 있고, 돌출부(54)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구(59)가 출몰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삽입될 때는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 걸려 삽입편(57)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작동바(59e)를 제끼면 코일스프링(59d)이 압축되면서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삽입편(57)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 용이하게 조립 고정 분리 해체할 수 있어서 설치 사용하게 편리하고, 취약지구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감지기(10)가 계단참에 설치될 경우에는 비상통신기지국(500)으로서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예컨대, 도 4의 예시와 같이, 휴대형감지기(10)에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되는 위성안테나(70)가 연결된다.
상기 위성안테나(70)는 실외 벽체나 지붕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휴대형감지기(10)에는 와이파이모듈(14)이 탑재되고, 방사안테나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서비스관제서버(30)로부터 특정신호가 수신되면, 컨트롤러(13)가 와이파이모듈(14)을 켜고 위성안테나(70)로부터 받은 신호를 통해 일정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휴대폰을 통한 무선통신이 가능토록 하여 화재는 물론 지진, 폭우 등 천재지변으로 인해 무선통신 기지국을 사용할 수 없는 비상시 입주민들이 통신두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강화시키는 비상통신기지국(500)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성안테나는 저궤도 위성신호를 수신한 후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가능하게 변환시켜 주는 것으로 보통 인터넷 음영지역이나 취약지역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위성안테나를 이용하여 와이파이모듈(14)을 통해 일정반경내 입주자들이 자유롭게 와이파이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무엇보다도 위성신호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해, 즉 안테나 이득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위성안테나(70)가 특수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안테나(70)는 일반적인 접시형 안테나이지만, 그 표면에 다수의 누설슬롯(73)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즉 다수의 누설슬롯이 배열된 안테나(Leaky slot array antenna)를 구현한다.
이러한 누설슬롯(73)은 위상정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주빔을 스캐닝(scanning) 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도록 하여 준다.
여기에서, 위상정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누설슬롯(73)의 관벽을 특정한다.
예컨대, 누설슬롯(73)의 간격이 s로 주기적 배열된 경우 위성안테나의 주빔 방향θ는,
Figure 112022000862600-pat00001
로 주어지고,
엔드파이어(end-fire)와 브로드사이드(broadside) 방향을 향하지 못하게 되므로 배열 이론에 따라 정확한 주빔 방향 θ는,
Figure 112022000862600-pat00002
가 되게 된다.
따라서, 그레이팅로브(grating lobe)가 나타나지 않도록 s를 조절하게 되면 안테나 이득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λ는 자유공간 내에서 전파의 파장이고, λs는 안테나본체 내에서 전파의 파장, 즉 전송선로(72)를 따라 이동하는 전파의 파장이다.
이에 따라, 안테나 이득을 최대로 얻기 위해서는 누설슬롯(73) 앞에 유전체로 된 반사벽(74)을 세우고, 누설슬롯(73)의 폭은 0.5-0.8mm, 누설슬롯(73)간 간격 s는 3.0-3.4mm를 유지하고, 반사벽(74)은 1.3-1.5mm 높이로 수직하게 세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설슬롯(73)은 당연히 전송선로(72)와 연통되어야 하며, 반사벽(74)을 만드는 유전체는 안테나바디(71)와 동일재질, 바람직하게는 에폭시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게 되면, 그레이팅로브가 나타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의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어 위성신호 수신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위성안테나(70)의 위성신호 수신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각도조절구(80)를 더 포함한다.
위성신호 각도조절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대한민국 서울의 경우 45°일 때 최대 수신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이 각도는 지역마다 혹은 국가마다 정해져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구(80)는 안테나바디(71)의 볼록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81)과, 상기 돌출편(8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환(82)과, 상기 고정환(82)의 내경에서 원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출키(82a)와, 상기 고정환(82)의 내경에 끼워지는 회동축(83)과, 상기 회동축(83)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돌출키(82a)가 삽입되는 키홈(83a)과, 위성안테나(70)를 지지하는 지지대(75) 상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83)의 양단이 각각 관통하는 제1,2축가이드(84a,84b)와, 상기 제1축가이드(84a)를 관통한 회동축(83)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동축(8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노브(85)와, 상기 제2축가이드(84b)를 관통한 회동축(83)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축가이드(84b) 보다 작은 크기의 고정대(86)와, 상기 회동축(83)에 끼워지고 상기 제2축가이드(84b)와 고정대(86)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87)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83)은 각도조절노브(85)를 잡고 당기게 되면 탄성스프링(87)이 압축되면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축가이드(84a)는 상기 각도조절노브(85)와 마주하는 면에 원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노브(85)의 제1축가이드(84a)를 마주하는 면에도 대응되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호 톱니끼리 결합되는 부위를 달리하게 되면, 즉 각도조절노브(85)를 돌려 회동축(83)을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성안테나(7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환(82)은 상기 제1,2축가이드(84a,84b) 사이에 끼워지며, 돌출키(82a)와 키홈(83a) 간의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회동축(83)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환(82)은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고수할 수 있으며, 회동축(83)이 회전할 때는 고정환(82)도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각도조절노브(85)를 통한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자게시판(300)은 공동주택의 출입을 위한 공동현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서버(200)와는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자게시판(300)을 통해서는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나 구청 및 시청 등지에서 공지되는 사항을 문서 전달에 의한 게시가 아닌 전자매체로 바로 공지하므로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자게시판(300)을 통해 게시되는 정보는 세대통신기기(100)를 통해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세대 내 정보수집이 빠르고 이전 문서 공지에 비해 높은 전달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내 관청과도 통신할 수 있고 정보 교환할 수 있는 등 통합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체감지센서(4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1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인체감지센서(400)를 통해서는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세대통신기기(100)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0)에서 관리서버(200)는 물론 세대 사용자 및 기 설정된 세대관계자의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세대 내 사람의 움직임을 유용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대통신기기(100)에서는 외출 메뉴 이외에 상기 인체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미 전송시 세대 내 사람에 대해 이상이 있는 것으로로 판단하고 긴급신호를 자동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긴급신호는 관리서버(200)나 기 설정된 세대관계자의 스마트폰 또는 119구조대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400)는 포토센서나 초음파센서 또는 레이저펄스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대통신기기(100) 측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신호의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100: 세대통신기기 200: 관리서버
300: 전자게시판 400: 인체감지센서
500: 비상통신기지국 600: 중계기

Claims (1)

  1.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와도 통신하는 세대통신기기(100);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관리서버(200);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200)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게시판(300);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1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400); 각 세대내 계단참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 혹은 지하주차장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휴대형감지기(1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형감지기(10)는 고정유닛(50)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유닛(50)은 피착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휴대형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형감지기(10)에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되는 위성안테나(70)가 더 연결되고; 상기 위성안테나(70)는 실외 벽체나 지붕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형감지기(10)에는 와이파이모듈(14)이 탑재되고; 상기 위성안테나(70)는 접시형 안테나로서 표면에 다수의 누설슬롯(73)이 형성되며;
    상기 위성안테나(70)에는 수신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각도조절구(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구(80)는 위성안테나(70)의 안테나바디(71) 볼록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81)과, 상기 돌출편(8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환(82)과, 상기 고정환(82)의 내경에서 원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출키(82a)와, 상기 고정환(82)의 내경에 끼워지는 회동축(83)과, 상기 회동축(83)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돌출키(82a)가 삽입되는 키홈(83a)과, 위성안테나(70)를 지지하는 지지대(75) 상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동축(83)의 양단이 각각 관통하는 제1,2축가이드(84a,84b)와, 상기 제1축가이드(84a)를 관통한 회동축(83)의 단부에 고정되어 회동축(8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노브(85)와, 상기 제2축가이드(84b)를 관통한 회동축(83)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축가이드(84b) 보다 작은 크기의 고정대(86)와, 상기 회동축(83)에 끼워지고 상기 제2축가이드(84b)와 고정대(86)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220000972A 2022-01-04 2022-01-04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0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72A KR102407942B1 (ko) 2022-01-04 2022-01-04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72A KR102407942B1 (ko) 2022-01-04 2022-01-04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942B1 true KR102407942B1 (ko) 2022-06-14

Family

ID=8198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72A KR102407942B1 (ko) 2022-01-04 2022-01-04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15B1 (ko) * 2022-07-18 2023-04-12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20877B1 (ko) * 2022-06-20 2023-04-14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계단 안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95B1 (ko) *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102154848B1 (ko)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95B1 (ko) *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102154848B1 (ko) 2019-12-30 2020-09-1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설비를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877B1 (ko) * 2022-06-20 2023-04-14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계단 안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20415B1 (ko) * 2022-07-18 2023-04-12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942B1 (ko)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US11929554B2 (en) Method for restoring radio coverage
US6756896B2 (en) Distributed residental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080303678A1 (en) Combination smoke detector, carbon monoxide detector and cellphone
US11361650B2 (en) Wireless leak alarm camera and sensors, and wireless val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84593B1 (ko)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US11438990B2 (en) Wireless layered security system
KR102398441B1 (ko) 공동주택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 정보통신 시스템
KR10217552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제어시스템
CN110573420B (zh) 固定设施
KR102437427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소방용 대피시설 관리 시스템
KR10205419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경보 방송 시스템
KR102181333B1 (ko) 공동주택 통신 케이블 시스템
KR1021755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장비 관리시스템
WO2003023729A1 (en) Smoke detector combination
KR102384013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Derbel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for fire detection systems in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KR102499119B1 (ko) 공동주택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384018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운용시스템
KR10243560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자동 신고 시스템
KR102499109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467630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52103B1 (ko) 실외용 기둥형 전원공급장치
KR102416732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KR102434089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단자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