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15B1 -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15B1
KR102520415B1 KR1020220088121A KR20220088121A KR102520415B1 KR 102520415 B1 KR102520415 B1 KR 102520415B1 KR 1020220088121 A KR1020220088121 A KR 1020220088121A KR 20220088121 A KR20220088121 A KR 20220088121A KR 102520415 B1 KR102520415 B1 KR 10252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apartment house
control unit
stairs
emergency st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8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마련되는 창틀과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마련되는 창틀에 체결되어,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와, 상기 건축물에 마련된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와, 상기 창틀에 설치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감지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촬영전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시 출입자를 감지한 후 촬영하여 관리자단말로 촬영정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기 경고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되고, 상기 창틀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 후 환기시키도록 온도감지형환기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온도감지형환기수단은 상기 창틀에 형성되는 중공의 관통구와,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설치관과, 상기 설치관의 내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송풍팬과,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져, 비상계단이 마련된 공동주택에 위치감지센서와 감시카메라와 송,수신기 및 경고스피커를 마련하여, 위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침입자가 발생시 경고하여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Emergency stair system of apartment hous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본 발명은 건축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계단이 마련된 공동주택에 위치감지센서와 감시카메라와 송,수신기 및 경고스피커를 마련하여, 위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침입자가 발생시 경고하여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건물들은 내부 공간을 확대하고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점차 고층화 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만, 내부에서 생활하는 인원수가 많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층건물의 경우 지상으로 연결된 비상계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많이 승강기를 이용하지 않은 거주자나 저층의 거주자는 건물에 마련된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물의 비상계단에는 거주자가 보행중 넘어지거나 건강상 위급상황이 발생이 이를 감지하거나 알리는 수단이 없어, 비상계단에 다른 보행자가 없을 경우 방치되어 신속한 응급처치가 어려워 심각한 건강상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침입자가 발생시 이를 경고하도록 된 기능이 없어 빈번하게 도난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7479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계단이 마련된 공동주택에 위치감지센서와 감시카메라와 송,수신기 및 경고스피커를 마련하여, 위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침입자가 발생시 경고하여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련되는 창틀과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마련되는 창틀에 체결되어,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와, 상기 건축물에 마련된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와, 상기 창틀에 설치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감지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촬영전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시 출입자를 감지한 후 촬영하여 관리자단말로 촬영정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기 경고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되고, 상기 창틀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 후 환기시키도록 온도감지형환기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온도감지형환기수단은 상기 창틀에 형성되는 중공의 관통구와, 상기 창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설치관과, 상기 설치관의 내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는 송풍팬과,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마련되는 창틀과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마련되는 상기 창호의 창틀에 달라붙은 이물질과 먼지를 제거하는 창틀 세척단계와, 상기 창틀의 외면에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창틀 이동감지센서 체결단계와, 상기 건축물에 마련된 상기 창틀에 고정브라켓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창틀 고정브라켓 연결단계와, 상기 창틀에 설치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감시카메라를 체결하여,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하는 고정브라켓 감시카메라 체결단계와, 상기 이동감지센서의 감지신호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도록 상기 창틀에 제어부를 설치하는 창틀 제어부 설치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촬영전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를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고정시키는 창틀 송,수신기 체결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를 상기 창틀에 설치하는 창틀 경고스피커 체결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시 출입자를 감지한 후 촬영하여 관리자단말로 촬영정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기 경고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창틀을 통해 출입자가 출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출입자에게 감시되고 있음을 경고하여 인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비상계단이 마련된 공동주택에 위치감지센서와 감시카메라와 송,수신기 및 경고스피커를 마련하여, 위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침입자가 발생시 경고하여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상계단 시스템이라 명명함)는 공동주택(100)의 비상계단(200)에 마련되어 위급상황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시스템(10)은 위치감지센서(20)와 제어부(30)와 감시카메라(40)와 송,수신기(50)와 경고스피커(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0)는 상기 비상계단(200)이 형성된 상기 공동주택(100)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계단(200)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0)는 비상계단(200)이 형성된 상기 공동주택(100)의 통로 내벽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벽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20)에서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감시카메라(4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비상계단(200)으로 이동하는 출입자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감시카메라(40)는 상기 공동주택(100)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상계단(200)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감시카메라(4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내벽에 고정브라켓(71)을 나사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71)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송,수신기(50)는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시카메라(40)에서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송,수신기(50)는 상기 건축물의 내벽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관리자가 출입자를 확인 한 후 거주자가 아니거나 위급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5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송,수신기(50)는 수신받은 관리자 신호를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경고스피커(60)에 신호를 보내 경고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경고스피커(60)는 상기 공동주택(100)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경고스피커(60)로 인해 출입자가 감시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출입자로 인한 도난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고, 이용자가 쓰러지는 위급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경고스피커(6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여 쓰러진 이용자의 의식을 찾도록함과 아울러 응급센터에 연락하여 신속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비상계단(200)에는 이용자 또는 물품이 상기 비상계단(200)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형슬라이드안내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회동형슬라이드안내수단(70)은 상기 비상계단(200)에 마련되는 난간(300)의 지주들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고정브라켓(71)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라켓(72)과, 상기 회전브라켓(72)에 나사체결되어 연결되고, 상기 비상계단(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이송패널(73)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을 회전시켜 상기 비상계단(200)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을 따라 이용자 또는 물품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와 같은 물품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비상계단(200)에서 이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시 이용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가 마련된 이동식 들것의 이동 및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지지패드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지지패드가 상기 계단에 배치되어 탄성에 의해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고, 마찰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 상면에는 베어링홈들을 더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홈에 볼에어링의 일부가 외부에 돌출됨과 아울러 회전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볼베어링이 물품을 안내하여 물품이 회동패널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간(300)의 지주에는 승강실린더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에 상기 고정브라켓(71)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의 높이를 변경하여 이송시키는 물품의 높이를 변경하여 용이하게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73)에서 분리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이송과정에서 물품의 파지를 위해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동주택(100)의 비상계단(200)에 마련되어 위급상황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10)의 시공방법은 상기 비상계단(200)이 형성된 상기 공동주택(100)의 내벽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탈거시키는 공동주택 세척준비단계(S1)와, 상기 비상계단(200)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감지하도록 상기 공동주택(100)의 내벽에 위치감지센서(20)를 설치하는 공동주택(100) 위치감지센서(20) 설치단계(S2)와, 상기 위치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공동주택(100)의 내벽에 제어부(30)를 설치하는 공동주택 제어부 설치단계(S3)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상계단(200)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상기 제어부(30)에 전달하도록 상기 공동주택(100)에 감시카메라(40)를 설치하는 공동주택 감시카메라 설치단계(S4)와,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시카메라(40)에서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상기 공동주택에 송,수신기(50)를 설치하는 공동주택 송,수신기 설치단계(S5)와,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상기 공동주택에 경고스피커(60)를 설치하는 공동주택 경고스피커 설치단계(S6)를 거치면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공동주택의 비상계단(200)을 통해 이용자가 통행시 관리자가 이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상계단(200)에서 위급상황발생시 관리자가 상기 송,수신기(50)로 위급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경고스피커(6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도록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시스템 20 : 위치감지센서
30 : 제어부 40 : 감시카메라
50 : 송,수신기 60 : 경고스피커
70 : 회동형슬라이드안내수단 71 : 고정브라켓
72 : 회전브라켓 73 : 슬라이드이송패널
100 : 공동주택 200 : 비상계단
300 : 난간 S1 : 공동주택 세척준비단계
S2 : 공동주택 위치감지센서 설치단계
S3 : 공동주택 제어부 설치단계
S4 : 공동주택 감시카메라 설치단계
S5 : 공동주택 송,수신기 설치단계
S6 : 공동주택 경고스피커 설치단계

Claims (2)

  1. 공동주택의 비상계단에 마련되어 위급상황을 감지하도록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상계단이 형성된 상기 공동주택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계단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공동주택에 마련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공동주택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상계단을 통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촬영한 후 촬영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전달받은 촬영정보를 송출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공동주택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스피커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상계단에는 이용자 또는 물품이 상기 비상계단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형슬라이드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회동형슬라이드안내수단은,
    상기 비상계단에 마련되는 난간의 지주들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비상계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이송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비상계단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을 따라 이용자 또는 물품이 이동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지주에는 승강실린더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서,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이송패널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88121A 2022-07-18 2022-07-18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2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121A KR102520415B1 (ko) 2022-07-18 2022-07-18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121A KR102520415B1 (ko) 2022-07-18 2022-07-18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415B1 true KR102520415B1 (ko) 2023-04-12

Family

ID=8598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121A KR102520415B1 (ko) 2022-07-18 2022-07-18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41B1 (ko) 2016-06-14 2017-06-1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고층 건물용 소방장치
KR20190051180A (ko) * 2017-11-06 2019-05-15 (주)은성이엔지 계단설치용 접이식 컨베이어
KR20200098033A (ko) * 2019-02-11 2020-08-20 유수원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KR102172463B1 (ko) * 2020-09-15 2020-10-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출입자 모니터링 및 통제 시스템
KR102407942B1 (ko) * 2022-01-04 2022-06-14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41B1 (ko) 2016-06-14 2017-06-15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고층 건물용 소방장치
KR20190051180A (ko) * 2017-11-06 2019-05-15 (주)은성이엔지 계단설치용 접이식 컨베이어
KR20200098033A (ko) * 2019-02-11 2020-08-20 유수원 고소 작업용 사다리의 안전난간
KR102172463B1 (ko) * 2020-09-15 2020-10-30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출입자 모니터링 및 통제 시스템
KR102407942B1 (ko) * 2022-01-04 2022-06-14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16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US7750803B2 (en) Security system and moving robot
US9802789B2 (en) Elevator security system
FI123062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alvontaan
EP2929517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U20222024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KR102520415B1 (ko) 공동주택의 비상계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7104015A (ja) 防犯機能付き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5026146A (ja) 建物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KR102536631B1 (ko) 친환경 건축물의 창호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5219220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101131659B1 (ko)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US11798397B2 (en) Configurable security system
KR10252087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계단 안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657066B1 (ko) 세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81562B1 (ko) 유아용 추락방지 알람 시스템
JP4936311B2 (ja) 監視システム
KR20240077028A (ko) 고독사 방지 및 층간소음 알림 장치
JPH119560A (ja) 生活異常検知システム
JP2011034136A (ja) 警備システム
JPH08245101A (ja) 防犯機能付エレベータ
JP200823448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311872B2 (ja) エレベータ通報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AU2006100294A4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JP2009032023A (ja) 閉じ込み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