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955B1 -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55B1
KR960013955B1 KR1019930012185A KR930012185A KR960013955B1 KR 960013955 B1 KR960013955 B1 KR 960013955B1 KR 1019930012185 A KR1019930012185 A KR 1019930012185A KR 930012185 A KR930012185 A KR 930012185A KR 960013955 B1 KR960013955 B1 KR 960013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ommunication
center
control room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62A (ko
Inventor
이희무
이기행
Original Assignee
한국텔레컴 주식회사
이회무
이기행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심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텔레컴 주식회사, 이회무, 이기행,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심현영 filed Critical 한국텔레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955B1/ko
Publication of KR95000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세대와 통제실간의 통신은 물론, 각각의 세대간에도 통신이 가능한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 주택이 각 세대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서 인터폰 기능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선택해 주는 통화 장치와; 통제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방송할 때 사용하는 앰프 장치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주는 화재 수신반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에 방송해 주는 기능과, 세대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각세대를 연결해 주는 센터와; 상기한 각 세대에 설치된 각각의 통화 장치간의 통신 및 통제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선로를 분배해 주는 분배기와; 상기한 분배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한 센터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 세대간의 통시 및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주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각 세대에 설치된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세대와 통화를 하고자 송수화기를 들면 센터에서 발신음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센터로부터 제공된 발신음이 들리면 상대방의 번호를 다이얼하여 센터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상대방의 번호를 수신한 센터는 수신된 번호를 주제어 장치로 출력하여 상대방의 번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분석된 번호에 해당디는 세대를 호출하기 위하여 분배기 및 센터를 제어하여 상대방 세대를 호출하여 통신 선로를 구축해 주는 단계와; 통제실로부터 각 세대에 방송을 하거나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주제어 장치는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 시설 및 화재 수신반으로부터 그 내용을 입력받아 분배기 및 센터를 제어하여 각 세대로 방송 내용을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의 제어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나.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 및 그 제어 방법의 구성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간선 계통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서 인터폰 기능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선택해 주는 통화 장치(40)와; 통제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방송할 때 사용하는 앰프 장치(51)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주는 화재 수신반(5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에 방송해 주는 기능과, 세대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각세대를 연결해 주는 센터(30)와; 상기한 각 세대에 설치된 각각의 통화 장치(40)간의 통신 및 통제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선로를 분배해 주는 분배기(20)와; 상기한 분배기(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한 센터(3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 세대간의 통시 및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주제어 장치(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통화 장치(40)는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된 것으로, 인터폰 기능과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인데, 그 구성은 인터폰 기능을 갖고 있는 인터폰(42)과, 통제실로 부터 송출되는 방송을 출력해 주는 앰프 및 스피커(43)와, 인터폰 기능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선택해 주는 셀렉터(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터(30)는 통제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방송할 때 사용하는 앰프 장치(51)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부는 화재 수신반(5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에 방송해 주는 기능과, 세대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각 세대를 상호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통화 장치(40)내의 셀렉터(41)에 각각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라인 인터페이스(34)와, 분배기(20)를 통하여 주제어 장치(10)의 제어를 받아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 시설(51)및 화재 수신반(52)의 기능을 제어하여 그 내용을 라인 인터페이스(34)를 통해 각 세대로 송출해 주는 앰프 컨트롤러(33)와, 상기한 주제어 장치와 각 센터(30)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분배기(20)내의 모뎀과 통신을 위한 모뎀(32)과, 상기한 모뎀(32)과 앰프 컨트롤러(33) 그리고 라인 인터페이스의 세부 기능을 제어해 주는 제어부(3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의 작용을 본 발명이 또 다른 발명인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의 제어 방법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각 세대에 설치된 통화 장치(40)를 이용하여 세대간에 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각 세대에 설치된 통화 장치(40)를 이용하여 다른 세대와 통화를하고자 통화 장치(40)의 송수화기를 들면 센터(30)에서 그 세대의 통화 장치(40)에 발신음을 제공한다.
센터(30)로부터 제공된 발신음이 들리면 상대방의 번호를 다이얼하면, 그 번호는 센터(30)로 송출되고, 상대방 즉, 피호출자의 번호를 수신한 센터(30)는 수신된 번호를 주제어 장치(10)로 출력하여 피호출자의 번호를 분석한다.
주제어 장치(10)에 의해 피호출자의 번호가 분석되면, 그 번호에 해당되는 세대를 호출하기 위하여 분배기(20)및 센터(30)를 제어하여 피호출자의 세대를 호출해 주는 링 신호르 피호출자의 통화 장치(4)에 송출하고, 피호출자가 응답하면 통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제실로부터 각 세대애 안내 방송을 하거나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주제어 장치(10)는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 시설(51)및 화재 수신반(52)으로부터 그 내용을 입력받아 분배기(20)및 센터(30)를 제어하여 각 세대로 방송 내용을 송출하여 각 세대에서 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은 각세대와 통제실간이 통신은 물론, 각각의 세대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간선 계통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설비의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제어 장치 20 : 분배기
30 : 센터 40 : 통화 장치
가. 발명의 목적
(1)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공동 주택용 통신망 설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에 설치된 인터폰및 방송 회선을 1회선만 설치하여 방송 및 인터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동 주택용의 통신 설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제실의 앰프(63)와 각 세대에 설치된 스피커(61)를 연결하고, 각 세대에 설치된 인터폰(62)과 통제실의 스피커(64)를 각각 연결 구성하여, 각 세대에서 통제실 쪽으로 의사를 전달할 경우에는 각 세대에 설치된 인터폰(62)을 통해 전달하면 통제실에 설치된 스피커(64)를 통해 출력되어 전달되고, 반대로 통제실에서 각 세대로 전달할 경우에는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63)를 통하여 전달하면 각 세대에 설치된 스피커(61)를 통해 전달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송 및 인터폰 설비는 통제실과 각각의 세대를 연결해 주는 인터폰 선로와 방송 선로가 필요하고, 중간 중간에 스피커 단자함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각각의 세대와 통제실간에만 통신이 이루어질 뿐, 각각의 세대간에는 쌍방향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등의 세대간에 통신을 해야 할 경우에는 다른 통신 수단 즉, 전화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Claims (4)

  1.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어 통제실로부터의 방송 및 각 세대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에 있어서, 공동 주택의 각 세대애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 기능과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서 인터폰 기능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주는 통화 장치(40)와; 통제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방송할 때 사용하는 앰프 장치(51)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주는 화재 수신반(5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에 방송해 주는 기능과, 세대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각세대를 상호연결해 주는 센터(30)와; 상기한 각 세대에 설치된 각각의 통화 장치(40)간의 통신 및 통제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선로를 분배해 주는 분배기(20)와; 상기한 분배기(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한 센터(3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 세대간의 통시 및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주제어 장치(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화 장치(40)는 공동 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된 것으로, 인터폰 기능과 통제실로부터의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도록, 인터폰 기능을 갖고 있는 인터폰(42)과, 통제실로 부터 송출되는 방송을 출력해 주는 앰프 및 스피커(43)와, 인터폰 기능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선택해 주는 셀렉터(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센터(30)는 통제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에 방송할 때 사용하는 앰프 장치(51)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경보를 발생시켜 주는 화재 수신반(5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에 방송해 주는 기능과, 세대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각 세대를 상호 연결해 주는 것으로, 상기한 통화 장치(40)내의 셀렉터(41)에 각각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라인 인터페이스(34)와, 분배기(20)를 통하여 주제어 장치(10)의 제어를 받아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 시설(51)및 화재 수신반(52)의 기능을 제어하여 그 내용을 라인 인터페이스(34)를 통해 각 세대로 송출해 주는 앰프 컨트롤러(33)와, 상기한 주제어 장치와 각 센터(30)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분배기(20)내의 모뎀과 통신을 위한 모뎀(32)과, 상기한 모뎀(32)과 앰프 컨트롤러(33) 그리고 라인 인터페이스의 세부 기능을 제어해 주는 제어부(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4.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를 제어 방법으로써, 각 세대에 설치된 통화 장치(40)를 이용하여 세대간에 통화를 하고자 송수화기를 들면 센터(30)에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센터(30)로부터 제공된 발신음이 들리면 상대방의 번호를 다이얼하면, 센터(30)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상대방의 번호를 수신한 센터(30)는 수신된 번호를 주제어 장치(10)로 출력하여 상대방의의 번호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분석된 번호에 해당되는 세대를 호출하기 위하여 분배기및 센터를 제어하여 상대방 세대를 호출하여 통신 선로를 구축해 주는 단계와; 통제실로부터 각 세대에 방송을 하거나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주제어 장치는 통제실에 설치된 앰프 시설및 화재 수신반으로부터 그 내용을 입력받아 분배기및 센터를 제어하여 각 세대로 방송 내용을 송출하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의 제어 방법.
KR1019930012185A 1993-06-30 1993-06-30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KR960013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185A KR960013955B1 (ko) 1993-06-30 1993-06-30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185A KR960013955B1 (ko) 1993-06-30 1993-06-30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62A KR950002262A (ko) 1995-01-04
KR960013955B1 true KR960013955B1 (ko) 1996-10-10

Family

ID=1935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185A KR960013955B1 (ko) 1993-06-30 1993-06-30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466B1 (ko) * 2011-04-15 2013-01-31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배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93B1 (ko) * 2018-04-11 2018-08-01 이광흠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62A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289A (en) Signal multiplexing circuit
US4731821A (en) Single wire telephone intercommunication system
US5390237A (en) Weather information interface system
HK1018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computer network/internet telephone system
US5027347A (en) Intercom system
US3999006A (en) Visitor confirmation system
US4802206A (en) Calling system for enabling speech transmission from a caller to a called busy party in a telephone system
JPS63248269A (ja) 電話機
KR960013955B1 (ko)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US7599477B2 (en) Telephone system using one or several micro-computers
HUT54446A (en) Computer controlled telecommunication equipment
KR100506281B1 (ko) 사설교환기의디지털일제지령시스템
JP2650766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JP2810726B2 (ja) 電話システム
JP2825998B2 (ja) 集合住宅向け通信システム
JP3036123B2 (ja) 伝送装置の情報配信方式
RU2078402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пряжения двухпроводных линий с четырехпроводными каналами
EP0340231A1 (en) Communications systems
JP2927592B2 (ja) 集合住宅用ノーリンギング通信システム
JPS6229385A (ja) インタ−ホンシステム
JPS63153993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113679B2 (ko)
JPH06152794A (ja) Isdn端末装置の通信リンク形成方法
JPH07322314A (ja) 小形構内回線制御装置の内線増設方法
JPH0220163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