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79B1 -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79B1
KR101992979B1 KR1020170141511A KR20170141511A KR101992979B1 KR 101992979 B1 KR101992979 B1 KR 101992979B1 KR 1020170141511 A KR1020170141511 A KR 1020170141511A KR 20170141511 A KR20170141511 A KR 20170141511A KR 101992979 B1 KR101992979 B1 KR 10199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home
home
unit
module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530A (ko
Inventor
최정환
권윤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주택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들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PLC 모듈, 및 상기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측정, 저장 및 외부로의 전송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모듈이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상기 주택 내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주택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상기 주택 내의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IHD 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SMART HOME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들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PLC 모듈, 및 상기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측정, 저장 및 외부로의 전송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모듈이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상기 주택 내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주택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상기 주택 내의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IHD 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가전기기간 연결 중심의 홈 네트워크, 홈 오토메이션을 제공하는 공급자 위주의 홈 네트워크에서, 댁내 가전 기기(이를테면, TV, 냉장고, 에어컨, 정수기, 오디오 등)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 홈 게이트웨이(또는 홈서버)를 중심으로 각 가전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각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에 힘입어 각 가전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가전으로 발전하고 지능화되어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가전 기기로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기기의 전력제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도의 기기를 콘센트에 부착하여 Wi-fi를 통한 종래의 스마트 홈 시스템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콘센트와 연결된 기기의 정보(이를테면, TV, 세탁기, 기기별 소비전력 등)를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알 수 없어 단순히 전력사용량, 차단/공급 기능만 가능하다.
즉 종래의 스마트 홈 시스템은 가정별 개별 시스템으로 인해 이웃과의 전력사용량 비교가 불가능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전기 사용량이 타 이용자 대비 많은지 적은지 등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스마트 홈 시스템은 스마크 홈 사용자에게 각종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이를테면, 독거노인 서비스, 노후 가전기기 교체 유도 서비스 등)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514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택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들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PLC 모듈, 및 상기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측정, 저장 및 외부로의 전송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모듈이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상기 주택 내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주택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상기 주택 내의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IHD 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주택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들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PLC 모듈, 및 상기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측정, 저장 및 외부로의 전송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모듈이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상기 주택 내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주택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상기 주택 내의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IHD 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마트 홈 시스템과 달리 시스템을 위한 외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대형가전 내부에 PCL 모듈 및 스마트 홈 모듈을 설치하여 수분 및 염분으로 인한 누전 및 열화 등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와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홈 관리 서버를 활용한 주변 사용자간의 비교를 통한 에너지 관리 효율 향상시키고, 전력 사용량 분석을 통한 각종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1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스마트 홈에 대해 적용된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1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스마트 홈에 대해 적용된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1000)은, 제1 스마트 홈(H10)의 내부에 구성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부(100)와 IHD 부(200) 및 상기 제1 스마트 홈(H10)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부(100)는 제1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100-1) ~ 제n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100-n)를 포함하며, 도 2a에 도시된 바대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 내부에는 PLC 모듈(110) 및 스마트 홈 모듈(120)이 공통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이를 부연설명하면, 제1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100-1)는 TV로 내부에 PLC 모듈(110) 및 스마트 홈 모듈(120)이 삽입되어 있고, 마찬가지 방식으로 세탁기(100-2), 냉장고(100-3), 김치 냉장고(100-4) 및 에어컨(100-5)의 내부에 PLC 모듈(110) 및 스마트 홈 모듈(120)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은 전력선을 통해 IHD 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PLC)을 구현하며, 또한 IHD 부(200)는 전력선을 통해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PLC)을 구현한다.
여기서, PLC 모듈(110)은 상기 IHD 부(200)와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 모듈(120)은 각각의 전기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량 측정 및 저장, 상기 IHD 부(200)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한 각종 데이터들의 송신 및 수신, 필요시 각각의 전기기기의 전력 차단 또는 연결 등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제1 스마트 홈(H1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스마트 홈(H20) ~ 제4 스마트 홈(H40)이 메인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PLC)을 구현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스마트 홈과의 연결된 개수(이를테면, 아파트 단지의 각각의 개별 주택 개수 등) 및 각각의 스마트 홈 내부에 설치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의 종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IHD 부(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대로, PLC 모듈(210), 데이터 저장부(220), 터치 패널(230) 및 제어 명령부(2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PLC 모듈(210)은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 및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저장부(220)는 스마트 홈(H10) 별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 각각의 전력 데이터 정보를 상기 PLC 모듈(210)을 통해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20)는 사용자가 타 스마트 홈(H20 ~ H40)과 비교를 위한 전력 사용 정보(이를테면, 다른 가정의 최근 전력 사용량(1일, 1주일, 1개월 등), 실시간 전력 사용량, 평균 전력 사용량 등)를 요청한 경우에, 외부의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로부터 타 스마트 홈(H20 ~ H40)의 최근 전력 사용 정보를 읽어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데이터 저장소의 크기, 개인정보(타 가정의 전력 사용량), 고 사양의 처리 프로세서 탑재 등을 이유로 스마트 홈(H10 ~ H40)에 설치된 인홈디스플레이(IHD)에 저장하여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식(이를테면, googleDrive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터치 패널(230)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 또는 읽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를테면, 가정 내 전체 전기사용량, 가전기기별 전기사용량, 시간/일/월별 전기사용량, 주변 가정과의 사용량 비교 등의 정보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경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이를테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명령부(240)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징후로 판단된 경우(이를테면, 갑작스런 전력사용량 증가/감소 등), 가전기기의 이상 등을 알리는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단말(이를테면, 스마트 폰 등)로 자동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를 수리 또는 구매를 유도하여 불필요한 전력에너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이동단말(이를테면, 스마트 폰 등) 통해 상기 IHD 부(200)로 자전기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각각의 자전기기의 동작(이를테면, 집 도착 10분 전 에어컨 전원 온(on), 세탁기 전원 온(on)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독거노인일 경우 해당 가족에게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거주자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고독 사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IHD 부(200)는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와 주기적으로 통신 상태를 체크하여, 만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가전기기 제어 및 사용량 조회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는 상기 IHD 부(200)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이를테면, 주변 사용자간의 전력 사용량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코디하는 전력 사용량 코디네이터 서비스, 특정 가전기기 사용량 변화 분석을 통한 기기고장 알림 및 가전기기 판매회사 정보제공을 통한 신규 구매를 유도하는 전자기기 구매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량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가족 구성원 이상 유무를 알리는 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는 클라우드 기반의 PaaS를 제공하여, 상기 IHD 부(200)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를테면, 전력 사용량 비교, 실시간 사용량 검색 등)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위에서 API 기반으로 상호 데이터 접근 및 기능을 구현한다.
즉 개별 주택의 가전기기 제어와 관리는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가 메인(main)이 되어 관리하며, IHD 부(200)는 상기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와 연계하여 보조적으로 개별 주택의 가전기기 제어와 관리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모듈(120)은, 전력 사용량 측정부(121), 데이터 저장부(122), PLC 통신부(123), 데이터 전송부(124), 기기명령 처리부(125), 전력 차단 및 연결부(126) 및 제어부(127)를 포함한다.
이하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마트 홈 모듈(12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력 사용량 측정부(121)는 스마트 홈(H10) 별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데이터 저장부(122)는 상기 전력 사용량 측정부(121)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 값을 일정기간(이를테면, 1달 또는 1년) 동안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는 상기 IHD 부(200)의 고장 시 스마트 홈(H10) 별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의 전력 사용량을 스마트 홈 관리서버(300)가 실시간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에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이다.
PLC 통신부(123)는 상기 IHD 부(200)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각종 데이터(이를테면, 전력 데이터, 명령 신호,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테면, PLC 통신부(123)는 PLC 모듈(110)로 들어오는 IHD 부(200)의 명령 신호(이를테면, 전력차단 및 연결 등)를 수신하고, 이상 여부를 검사 후 수신한 명령 신호를 기기명령 처리부(125)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IHD 부(200)로 전송되는 전력 데이터 정보에는 상기 전력 사용량 측정부(121)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 값 뿐 만 아니라, 이를테면,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100-1 ~ 100-5)의 모델명, 제조사, 크기, 용량, 중량, 소비전력, 주요기능, 안전기능, 편의기능, 고장증상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24)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PLC 통신부(123)를 통해 상기 IHD 부(200)로 주기적으로(이를테면, 15분 단위) 전송해 준다.
기기명령 처리부(125)는 상기 IHD 부(200)로부터 들어오는 명령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만일 전력 사용량 송신 요청 시에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124)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122)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을 전송하라는 명령을 전달하고, 만일 전력차단/복귀 명령 시에는 상기 전력 차단 및 연결부(126)로 전력차단/복귀 명령을 전달하여 가전기기의 전력을 차단/복귀 하도록 한다.
전력 차단 및 연결부(126)는 상기 기기명령 처리부(125)를 통해 전원차단 명령 또는 전원차단 복귀 명령을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전력을 차단 또는 복귀 시킨다.
제어부(127)는 전력 사용량 측정부(121), 데이터 저장부(122), PLC 통신부(123), 데이터 전송부(124), 기기명령 처리부(125) 및 전력 차단 및 연결부(126)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H10 : 제1 스마트 홈
100 :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부
100-1 ~ 100-n : 제1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 ~ 제n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
200 : IHD 부
300 : 스마트 홈 관리서버

Claims (4)

  1. 주택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가전기기들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하기 위한 PLC 모듈, 및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 측정, 저장 및 외부로의 전송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홈 모듈이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주택 내에 설치되며,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주택 외부에 설치된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주택 내의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IHD 부를 포함하고;
    IHD 부는 PLC 모듈, 데이터 저장부, 터치 패널 및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며;
    PLC 모듈은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및 스마트 홈 관리서버와 전력선 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부는 스마트 홈 별로 모듈 삽입형 가전기기들 각각의 전력 데이터 정보를 PLC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데이터 저장부는 사용자가 타 스마트 홈과 비교를 위한 전력 사용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 외부의 스마트 홈 관리서버로부터 타 스마트 홈의 최근 전력 사용 정보를 읽어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터치 패널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 또는 읽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정 내 전체 전기사용량, 가전기기별 전기사용량, 시간/일/월별 전기사용량, 주변 가정과의 사용량 비교 정보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 명령부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징후로 판단된 경우 가전기기의 이상을 알리는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단말로 자동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를 수리 또는 구매를 유도하여 불필요한 전력에너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IHD 부는 스마트 홈 관리서버와 주기적으로 통신 상태를 체크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가전기기 제어 및 사용량 조회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스마트 홈 관리서버는 IHD 부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초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주변 사용자간의 전력 사용량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코디하는 전력 사용량 코디네이터 서비스, 특정 가전기기 사용량 변화 분석을 통한 기기고장 알림 및 가전기기 판매회사 정보제공을 통한 신규 구매를 유도하는 전자기기 구매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량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가족 구성원 이상 유무를 알리는 독거노인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고; 스마트 홈 관리서버는 클라우드 기반의 PaaS를 제공하여, IHD 부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위에서 API 기반으로 상호 데이터 접근 및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모듈은,
    상기 가전기기들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력 사용량 측정부;
    상기 전력 사용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 값을 일정기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IHD 부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LC 통신부; 및
    상기 IHD 부로부터 들어오는 명령 신호를 분석하여,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기기명령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명령 처리부를 통해 전원차단 명령 또는 전원차단 복귀 명령을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가전기기들의 전력을 차단 또는 복귀 시키는 전력 차단 및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4. 삭제
KR1020170141511A 2017-10-27 2017-10-27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KR10199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511A KR101992979B1 (ko) 2017-10-27 2017-10-27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511A KR101992979B1 (ko) 2017-10-27 2017-10-27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30A KR20190047530A (ko) 2019-05-08
KR101992979B1 true KR101992979B1 (ko) 2019-06-25

Family

ID=6658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511A KR101992979B1 (ko) 2017-10-27 2017-10-27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816B1 (ko) * 2019-09-09 2021-08-24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IoT 기반의 전력소모기기 융합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96947B1 (ko) * 2019-09-09 2020-12-31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IoT 기반의 전력소모기기 융합 컨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83B1 (ko) * 2013-08-12 2014-10-08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101497984B1 (ko) * 2010-10-28 2015-03-05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 전력 관리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18B1 (ko) * 2006-09-21 2008-06-17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KR101285148B1 (ko) 2013-04-03 2013-07-11 주식회사 세운기업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6745B1 (ko) * 2015-09-01 2023-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84B1 (ko) * 2010-10-28 2015-03-05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 전력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1448683B1 (ko) * 2013-08-12 2014-10-08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30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009B2 (en) Monitoring and recoverable protection of switching circuitry for smart-home devices
CA2926423C (en) Automated crowdsourced power outage identification and staggering of hvac system restarts
AU2018202477A1 (en) Automated adjustment of an hvac schedule for resource conservation
KR102303150B1 (ko) 수요 반응 이벤트들 동안 hvac 시스템 제어
JP636263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
ES2645712T3 (es) Sistema de automatización de edificios e información de edificios
CA2873116C (en)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088189B2 (en) Smart-home device robust against anomalous electrical conditions
US20150198938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210298557A1 (en) Residential device feedback system and method
CN104995877A (zh) 使用便携装置的智能家居系统
CN104040820A (zh) 用于经由使用现场装置网络控制实现对电力的建筑管理的系统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101992979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CN107707444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KR101194567B1 (ko)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1043828B1 (ko)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의 주거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Barker et al. Smart Homes or Real Homes: Building a Smarter Grid With “Dumb” Houses
CN111133483A (zh) 监视系统、服务器装置及程序
KR101495600B1 (ko)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KR100839028B1 (ko) 홈 네트워크 통합 관리 시스템
Srivastava et al. An innovative ghost power wastage reduction system
NZ730125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NZ730125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JPH10112761A (ja) 家庭用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