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00B1 -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00B1
KR101495600B1 KR20130020335A KR20130020335A KR101495600B1 KR 101495600 B1 KR101495600 B1 KR 101495600B1 KR 20130020335 A KR20130020335 A KR 20130020335A KR 20130020335 A KR20130020335 A KR 20130020335A KR 101495600 B1 KR101495600 B1 KR 10149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unit
light emitting
electric devic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392A (ko
Inventor
연규혁
송진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2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6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하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발광부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구동제어부; 및 상기 발광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한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대기전력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LED 등과 같은 발광장치를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구동제어함으로써,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기는 냉장고 등과 같이 언제나 전원이 연결되어야 하는 것도 있지만, 공조기, 텔레비젼, 컴퓨터, 조명장치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 및 환경에 의해 특정 시점에만 전원 연결이 필요한 전기 기기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시점에만 전원 연결이 필요한 전기 기기들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해야 대기 전력의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 기기의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전원 콘센트에 전기 기기 플러그를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기 기기는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때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항상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방치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상당량의 대기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최근 동절기와 하절기에 극심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위에서 설명한 대기 전력 소모를 체계적으로 그리고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0394호(2010.03.18),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대기전력 제어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09598호(2009.07.21),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LED 등과 같은 발광장치를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구동제어함으로써,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하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발광부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구동제어부; 및 상기 발광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상기 온구간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온구간 및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만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발광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의 차단 요청을 수신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기기는, 멀티탭,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 콘센트, 가전 제품 및 전기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상술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상술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기 기기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요청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온구간과 상기 오프구간에서,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오프구간에서,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상술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상술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기 기기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요청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에 의하면,
첫째, LED 등과 같은 발광장치를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구동제어함으로써,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전기 기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교체가 용이한 발광부 또는 발광장치에 새로운 구동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기존 전기 기기의 발광부 또는 발광장치에 이와 같은 새로운 구동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더라도, 발광장치가 깜빡거리는 구동은 사람의 눈에 식별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발광부 또는 발광장치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넷째, 최근 동절기 및 하절기에 자주 발생하는 전력난은 연중으로 보았을 때는 아주 짧은 시간으로, 이와 같이 며칠되지 않는 전력 부족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나 수력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사회 경제적으로 비용 낭비가 크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이와 같은 사회 경제적인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동제어신호의 오프구간 동안의 시간을 3개 구간(그 각각을 C1, C2, C3라고 함)으로 나누고, C1구간에서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정보가, C2구간에서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가, C3구간에서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와 대기전력 관리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발광장치는 멀티탭 각 단자의 스위치 등(스위치 조명)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와 대기전력 관리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발광장치는 콘센트 스위치 조명, TV 표시등, 냉장고 표시등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와 대기전력 관리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발광장치는 플러그 표시등, 실험 장비의 스위치등, 전기 기기의 컨트롤러의 표시등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 발광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100)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110)와, 발광구동제어부(120)와, 발광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110)는,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전기 기기는, 멀티탭,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 콘센트, 가전 제품 및 전기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 별로 전기 기기의 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임에도 전기 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판단하여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한다. 멀티탭 내부의 회로에서 전류 소모를 확인하는 회로를 통해서 쉽게 대기전력의 유무를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구동제어부(120)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위에서 설명한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110)의 판단 결과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후술할 발광부(13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는 전기 기기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있는 ID로서, 후술할 대기전력 관리장치(통상 스마트 폰 등)에서 해당 전기 기기를 인식하거나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발광부(130)는, 발광구동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구성으로, LED 등의 조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장치(100)는, 전기 기기의 외부로부터 전기 기기(100)의 대기전력의 차단 요청을 수신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140)와,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140)에 기초하여,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칭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후술할 대기전력 관리장치(20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장치 외부에서 대기전력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140)과 대기전력 관리장치(2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수광 소자를 통한 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고, 근거리에서는 블루투스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반적인 3G, 4G 등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140)와 대기전력 관리장치(200) 사이에 중계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 망의 서버를 거칠 수 있는 등 다이렉트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발광구동제어부(120)의 구동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동제어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구동제어부(120)는, 발광부(130)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발광부(130)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구형파(square wave) 또는 직사각파(rectacgular wave) 형태로 제어하고,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온구간과 오프구간에 조합하여 포함되도록, 구동제어신호(A)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발광구동제어부(120)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뿐만 아니라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도, 온구간 및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동작 시간 고유 번호라는 것은, 해당 전기 기기가 최초로 세팅되어 동작하고 나서부터 동작 시간을 고유하게 나타내는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어서, 예를 들어, 해당 전기 기기가 최초로 세팅되어 동작하면서부터, 고유 번호 1, 고유 번호 2, 고유번호 3, ... 순으로 진행되고, 현재 검측된 동작 시간 고유번호가 "고유번호 30억"이라고 가정하고 해당 전기 기기가 60Hz on/off 구동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30억/{(60회/초)*3600초/시간*24시간/일*365일/년)} = 1.59년이 되어, 해당 전기 기기가 1.59년 동안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1초에 고유번호가 1개씩 나오도록 구동제어신호를 구성한다면, 위와 같은 예에서, 30억/{3600초/시간*24시간/일*365일/년)} = 95.1년이 되어, 해당 전기 기기가 95.1년 동안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광구동제어부(120)는, 발광부(130)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되,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오프구간에만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발광구동제어부(120)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는 물론이고,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오프구간에만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제어신호(A)의 오프구간 동안의 시간을 3개 구간으로 나누고, 그 각각을 C1, C2, C3라고 하면, C1구간에서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C2구간에서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C3구간에서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은 구동제어신호(A)의 일례로서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으며, 본 장치의 설계자가 공지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동작 시간 고유 번호가 포함되도록 설계하면 족하다.
또한, 동작 시간 고유 번호는 해당 정보를 검출하면 해당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알 수 있는 정보로서, 다수 개의 고유 번호 파의 조합이나 혹은 파 모양의 변경 등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발광구동제어부(120)는, 발광부(130)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발광부(130)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되,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가 오프구간에서 검출이 되면 해당 전기 기기는 대기 전력이 존재하는 것이고,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가 오프구간에서 검출이 되지 않으면 해당 전기 기기는 대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이와 반대로,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가 오프구간에서 검출이 되면 해당 전기 기기는 대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고,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가 오프구간에서 검출이 되지 않으면 해당 전기 기기는 대기 전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발광구동제어부(120)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만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 대기전력 관리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관리장치(200)는, 광센서(210)와 정보 추출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대기전력 관리장치(200)의 일례로서 스마트 폰을 들어 설명하지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광센서(210)는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발광장치(100)의 발광부(130)의 빛을 센싱하는 구성요소로서, 발광부의 발광신호에서 후술할 정보 추출부(220)가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정밀도를 가져야 한다.
대기전력 관리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광센서(210)는 스마트 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정보 추출부(220)는 광센서(210)의 출력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나아가 동작 시간 고유 번호가 구동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더 읽어 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추출부(220)는, 발광부(130)의 온구간과 오프구간에서,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정보추출부(220)는, 발광부(130)의 오프구간에서, 해당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기전력 관리장치(2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정보추출부(220)는 스마트 폰의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230)는 위에서 설명한 정보 추출부(220)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로서, 대기전력 관리장치(2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스마트 폰의 화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전력 관리 프로그램이 앱(app) 형태로 되어서 사용자에게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검출 또는 인식이 가능한 전기 기기 또는 등록을 미리 해둔 전기 기기가 표시되고, 해당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유무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240)는, 해당 전기 기기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요청하는 구성요소로서, 대기전력 관리장치(2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전력 관리 프로그램이 앱(app) 형태로 되어서 사용자에게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대기 전력이 존재하는 전기 기기에 대해서 대기전력 차단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현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장치는 멀티탭 각 단자의 스위치 등(스위치 조명)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도 5 참조), 발광장치는 콘센트 스위치 조명, TV 표시등, 냉장고 표시등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도 6 참조), 발광장치는 플러그 표시등, 실험 장비의 스위치등, 전기 기기의 컨트롤러의 표시등이고, 대기전력 관리장치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발광장치
110...대기전력 유무 확인부
120...발광구동제어부
130...발광부
140...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
150...스위칭부
200...대기전력 관리장치
210...광센서
220...정보 추출부
230...디스플레이부
240...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

Claims (16)

  1. 삭제
  2.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 유무를 확인하는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발광부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구동제어부; 및
    상기 발광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되,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상기 온구간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등하는 온(On)구간과 상기 발광부를 소등하는 오프(Off)구간이 반복되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온구간 및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동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전기 기기의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라 대기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만 상기 오프구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발광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의 차단 요청을 수신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신호 수신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멀티탭, 멀티탭의 각 콘센트 단자, 콘센트, 가전 제품 및 전기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광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인, 발광장치.
  11. 제 2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온구간과 상기 오프구간에서,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대기전력 관리장치.
  12. 제 8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기 기기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요청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온구간과 상기 오프구간에서,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대기전력 관리장치.
  13. 삭제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기 오프구간에서,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대기전력 유무 확인부에 따른 대기전력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대기전력 관리장치.
  15.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관리장치.
  16.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의 상기 발광부의 빛을 센싱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기기의 식별 번호, 상기 대기전력 유무 정보 및 상기 동작 시간 고유 번호를 읽어 내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읽어 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기 기기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요청하는 대기전력 차단신호 발신부;
    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관리장치.
KR20130020335A 2013-02-26 2013-02-26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KR10149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335A KR101495600B1 (ko) 2013-02-26 2013-02-26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335A KR101495600B1 (ko) 2013-02-26 2013-02-26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92A KR20140108392A (ko) 2014-09-11
KR101495600B1 true KR101495600B1 (ko) 2015-02-27

Family

ID=5175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335A KR101495600B1 (ko) 2013-02-26 2013-02-26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073B1 (ko) * 2020-08-25 2023-02-2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형 절전 콘센트 시스템
KR102505741B1 (ko) * 2020-08-25 2023-03-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형 절전 콘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28B1 (ko) * 2009-04-06 2011-06-30 신성그린텍(주) 절전형 콘센트장치
KR101061676B1 (ko) * 2010-01-27 2011-09-01 클리오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5718A (ko) * 2010-10-06 2012-04-16 주식회사 엠에이티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28B1 (ko) * 2009-04-06 2011-06-30 신성그린텍(주) 절전형 콘센트장치
KR101061676B1 (ko) * 2010-01-27 2011-09-01 클리오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5718A (ko) * 2010-10-06 2012-04-16 주식회사 엠에이티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92A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095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照明制御システムの電気コネクタ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27006B2 (en) Device for disconnecting at least one appliance from the electrical mains, which provides at least one override operating mode, a configurable device, system and configuration method
US20100197364A1 (en) Apparatus controllable by mobile phone for power management
US20150263663A1 (en) Light-Harvesting Power Supply With Power Management and Load Identification Capability
CN103901863A (zh) 基于实景控制界面的智能家居控制系统及方法
CN104411060A (zh) 基于智能手机的照明控制系统
JP2016092881A (ja) ブレーカおよびブレーカ装置制御
US11906941B2 (en) Intelligent three-way switch systems
KR101495600B1 (ko)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CN204287781U (zh) Led照明装置、智能家庭控制服务器、智能家庭终端及智能家庭控制系统
CN103048957B (zh) 智能型电源控制系统
CN104460641A (zh) 一种智能家居的无线通信网络
CN108183819B (zh) 组网模式的配置方法、装置和led照明装置
CN103619109B (zh) 照明网络中灯具的调试系统和调试方法
KR101039580B1 (ko) 스마트 조명 제어 스위치 장치 및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US20230268141A1 (en) Intelligent multi-way switch systems
CN104521098B (zh) 具有省电功能性的dc配电系统
KR20160079638A (ko) 조명기의 디밍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318862B1 (ko) 조명 제어장치
CN204362351U (zh) 基于智能手机的照明控制系统
KR101964628B1 (ko) 별도의 배선추가 없이 교류전원 벽스위치를 이용한 led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5285B1 (ko) 리모컨 통신을 이용한 절전 제어시스템
CN203704250U (zh) 一种对流式暖空调控制器
US8829803B2 (en) Power supply system
KR200469313Y1 (ko) 다기능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