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314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314B1
KR101377314B1 KR1020127027191A KR20127027191A KR101377314B1 KR 101377314 B1 KR101377314 B1 KR 101377314B1 KR 1020127027191 A KR1020127027191 A KR 1020127027191A KR 20127027191 A KR20127027191 A KR 20127027191A KR 101377314 B1 KR101377314 B1 KR 10137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levator
information
pers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399A (ko
Inventor
유지 후지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재해 발생시의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최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건물의 복수 층상 사이에서 운전되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가지고, 건물이 화재나 지진 등으로 피재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에 의해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층상에 있어서의 재해에 의한 피해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피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피재 감지 장치와, 각각의 층상에 소재하는 사람의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사람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 본체는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위치, 피재 정보,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하고, 이 책정한 피난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내에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도록 관제 운전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건물 내의 인원수와 화재 등의 발생층(발생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층의 선정이나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층상(floor)의 순서 결정 등을 행해서 비상 운전을 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건물의 각 층상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 인원수나 각 층상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의 이동 인원수에 기초하여, 이들 승강 인원수 및 이동 인원수의 증감을 적산해서 각 층상의 체재(滯在) 인원수를 추측한다. 그리고 이 추측한 각 층상의 체재 인원수와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된 화재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층을 결정한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은 각 층상의 사람 유무 정보와 화재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층을 제1 우선층, 화재층의 상층을 제2 우선층, 화재층의 하층을 제3 우선층으로 하는 순서로, 사람이 있는 층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순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완료되기 전에, 당해 순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층상으로부터 안전상의 허용값을 넘은 화재 환경 정보가 출력된 경우에는, 당해 화재 환경 정보가 출력된 층상을 제1 우선층으로 다시 설정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행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6-19329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8-308309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재해 발생시에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할 때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현재 위치나, 화재 발생층 등의 피난층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까지 도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는 층상(의 순서)을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현재 위치나 피난층의 사람 위치에 따라서는 승차 엘리베이터칸이 도착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피난하는 사람이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대기가 발생하거나, 또 반대로 먼저 승강장에 도착한 피난층의 사람이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도착을 기다려야 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재해 발생시의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반드시 최적으로(예를 들어 최단 시간에 필요한 사람의 피난을 완료시키도록) 승차 엘리베이터칸을 운행시킬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재해 발생시의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최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를 운행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건물의 복수 층상 사이에서 운전되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가지고, 상기 건물이 화재나 지진 등으로 피재(被災)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의해 상기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층상에 있어서의 재해에 의한 피해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피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피재 감지 장치와 각각의 상기 층상에 소재하는 사람의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사람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위치, 상기 피재 정보,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하고, 이 책정한 상기 피난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재해 발생시의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최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를 운행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이다. 이 건물(1)은 복수의 층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건물(1)에는 이 건물(1)의 복수 층상 사이에 있어서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마련되어 있다. 즉, 건물(1)의 복수 층상을 연직(鉛直)으로 관통해서 승강로(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승강로(2) 내에는 사람이나 물건을 적재해서 주행하는 승차 엘리베이터칸(3)이 승강 자재(自在)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주행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전반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에 의해 제어된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제어하고 있다. 재해의 발생 등이 없는 통상시에 있어서, 운전 모드는 통상 운전 모드이다. 그리고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이 검지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운전 모드를 발생한 재해의 종류에 따른 각종 비상시 관제 운전 모드나,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피난 운전 모드로 이행시킨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가 여기서는 예를 들어 승강로(2)의 최상부에 마련된 기계실 내에 배설되어 있다.
건물(1)의 각 층상에는 그 층상에 있어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화재 감지 장치(5)는 각 층상의 전역을 감지의 대상 범위로 하도록, 필요에 따라서 복수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각 층상의 화재 감지 장치(5)는 각 층상에 있어서 감지한 화재의 규모나 상황 등에 따라서, 감지 결과를 3 단계의 피해 레벨로서 출력한다. 이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의 피해 레벨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출력된다.
이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되는 3 단계의 피해 레벨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우선, 제1 레벨은 초기 단계의 피해 레벨이고, 가장 경미한 피해 레벨이다. 다음에, 제2 레벨은 긴급하게 탈출이 필요한 피해 레벨이고, 제1 레벨보다 중대하고 다음의 제3 레벨보다 경미한 피해 레벨이다. 그리고 제3 레벨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탈출은 불가능한 피해 레벨이고, 가장 중대한 피해 레벨이다. 또한, 화재 감지 장치(5)는 감시 카메라와 병용하는 것에 의해, 각 층상의 플로어의 피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이어도 좋다.
또, 건물(1)의 각 층상에는 그 층상에 소재하는 사람을 검출하는 사람 검지 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사람 검지 장치(6)도 화재 감지 장치와 마찬가지로, 각 층상의 전역을 감지의 대상 범위로 하도록, 필요에 따라서 복수 설치된다. 이들 사람 검지 장치(6)는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의 검출 및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인원수의 계수(計數) 및 사람이 있는 위치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들 정보는 화재 감지 장치(5)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출력된다. 또한, 사람 검지 장치(6)는 각 층상 내의 사람이 휴대하는 무선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장치이어도 좋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건물(1) 내에서 발생한 화재(7)를 검지했다고 하는 피해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피난 운전 모드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이 피난 운전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된 각 층상의 피해 레벨에 기초하여, 각 층상에 대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우선 도착순을 결정한다. 이 때, 피해 레벨이 제2 레벨인 층상이 우선되고, 상위의 우선 도착순으로 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현재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위치를 취득하고, 승차 엘리베이터칸(3)이 현재 위치로부터 건물(1)의 각 층상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간을 각 층상마다 산출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상에 있는 사람(피난자(8))이 그 층상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간 및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도착시에 피난자(8)가 승강장으로부터 승차 엘리베이터칸(3)으로 탑승하는데 필요한 승차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방금전 결정한 각 층상에 대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우선 도착순, 산출한 각 층상으로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이동 시간, 각 층상에 있어서 피난자(8)의 승강장으로의 이동 시간 및 피난자(8)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으로의 승차 시간에 기초하여, 각 층상의 피난자(8)를 탈출층(9)으로 운반하는데 최적이 되도록(최단 시간에 모든 피난자(8)를 탈출층(9)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각 층상으로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도착순을 포함하는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이 책정한 피난 운행 계획에 따라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주행을 제어하여, 피난자(8)를 탈출층(9)으로 운반한다.
도 2의 플로우도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인 경우에(단계 S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된 건물(1) 내에서 발생한 화재(7)를 검지했다고 하는 피해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확인을 행한다(단계 S1). 이 단계 S1에 있어서,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된 피해 정보를 수신했던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2로 진행한다. 한편,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된 피해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피해 정보의 수신이 확인될 때까지 이 단계 S1의 확인을 반복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피난 운전 모드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3으로 진행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 출력된 각 층상의 피해 레벨에 기초하여, 각 층상에 대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우선 도착순을 결정한다. 이 단계 S3 이후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이 단계 S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우선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현재 위치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 층상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건물(1)이 가지는 복수의 층상의 수를 n(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하고, 설명의 편의상, 이전의 단계 S3에 대해서 결정한 우선 도착순에 1 내지 n의 번호를 순서대로 각 층상에 할당한다. 그리고 여기서, 우선 도착순 제1위가 화재(7)의 발생층인 피재층(10a), 우선 도착순 제2위가 피재층(10a)의 하나 위의 층상인 피재 상층(10b), 우선 도착순 제3위가 피재층(10a)의 하나 아래의 층상인 피재 하층(10c), 우선 도착순 제4위 내지 제n위가 나머지의 그 외의 층(10d)의 각각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각 층상에 1 내지 n의 번호를 할당한 다음, 이전의 단계 S4에서 산출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현재 위치로부터 피재층(10a)까지의 이동 시간을 a1, 피재 상층(10b)까지의 이동 시간을 a2, 피재 하층(10c)까지의 이동 시간을 a3, 그 외의 층(10d) 각각까지의 이동 시간을 a4 ~ an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는 이동 시간 a2 및 a3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계 S4 이후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이 단계 S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상마다, 각 층상의 피난자(8)가 그 층상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간 b1 ~ bn을 산출한다. 도 1에 있어서, 피재층(10a)에 있어서 피난자(8)의 이동 시간 b1, 피재 상층(10b)에 있어서 피난자(8)의 이동 시간 b2 및 피재 하층(10c)에 있어서 피난자(8)의 이동 시간 b3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단계 S5 이후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각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 유무 및 인원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상마다, 각 층상의 피난자(8)가 그 층상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으로부터 승차 엘리베이터칸(3)에 탑승하는데 필요한 승차 시간 c1 ~ cn을 산출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단계 S7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각 층상으로부터 우선 도착순 제1위의 층상(이하, 우선층이라고 함. 여기서, 우선층은 피재층(10a)이 됨)까지 승차 엘리베이터칸(3)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간 d1 ~ dn을 산출한다. 도 1에 있어서는 피재 상층(10b)으로부터 우선층(피재층(10a))까지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이동 시간 d2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7 이후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이 단계 S8에 있어서는 우선층 이외의 각 층상의 각각에 대해서, 단계 S4에서 산출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현재 위치로부터 당해 층상까지의 이동 시간, 단계 S5에서 산출한 당해 층상의 피난자(8)의 승강장까지의 이동 시간, 단계 S6에서 산출한 당해 층상의 피난자(8)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으로의 승차 시간 및 단계 S7에서 산출한 당해 층상으로부터 우선층까지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이동 시간의 총합과, 단계 S5에서 산출한 우선층에 있어서 피난자(8)의 승강장까지의 이동 시간과의 비교를 행한다.
즉, x〓2 ~ n에 대해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이동 시간 ax, 피난자(8)의 이동 시간 bx, 피난자(8)의 승차 시간 cx 및 우선층까지의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이동 시간 dx의 총합이, 우선층에 있어서 피난자(8)의 이동 시간 b1보다 작은(ax+bx+cx+dx<b1이 성립함) x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순서대로 확인한다. 이 단계 S8에 있어서, ax+bx+cx+dx<b1이 성립하는 x가 발견된 경우에는, 단계 S9로 이동한다.
이 단계 S9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이전의 단계 S8에서 ax+bx+cx+dx<b1이 성립하는 것이 확인된 x에 대응하는 층상을, 우선 도착순 제1위의 우선층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단계 S1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이 변경된 우선 도착순에 기초하여 피난 운행 계획을 갱신한다. 이 단계 S10 이후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8에 있어서, ax+bx+cx+dx<b1이 성립하는 x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층 및 피난 운행 계획을 갱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 S9 및 S10를 건너뛰고 단계 S11로 이행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피난 운행 계획에 따라서 승차 엘리베이터칸(3)의 주행을 제어하여, 피난자(8)를 탈출층(9)으로 운반한다. 그리고 모든 피난자(8)를 탈출층(9)으로 다 운반하고, 피난이 완료됐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확인을 행한다. 이 단계 S11에 있어서, 피난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단계 S4로 돌아와서, 이상의 단계 S4 내지 S11까지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S11에 있어서, 피난이 완료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피난 운전 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화재 감지 장치(5)로부터의 피해 정보 및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의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에 있어서 피난 운행 계획의 갱신도 이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행하는 것에 의해, 순서대로 변화하는 상황에 맞은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피난 운전 계획을 책정할 때에, 각 층상에 있어서 호출 등록의 상황을 고려하도록 해도 좋다.
또, 여기서는 화재에 의한 피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장치(5)를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감지한 피해로서는 화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진에 의한 피해를 감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화재 감지 장치(5)로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에 의한 피해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피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피재 감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사람 검지 장치(6)로서 각 층상 내 각각의 사람이 휴대하는 무선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해서 각 층상에 있어서의 인원수 및 위치 등을 검출하는 장치를 채용한 경우, 무선 발신 장치에, 당해 무선 발신 장치를 휴대하는 사람의 성명, 연령, 신체장애의 유무 및 거실 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미리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환언하면, 이 무선 발신 장치는 성명 등의 정보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 비접촉 데이터 캐리어이다.
그리고 무선 발신 장치는 이들 성명, 연령, 신체장애의 유무 및 거실 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신호로서 발신한다. 사람 검지 장치(6)는 무선 발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들 정보를, 층상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로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4)는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자(8)의 승강장까지의 이동 시간 및 승차 엘리베이터칸(3)으로의 승차 시간을 산출할 때에, 사람 검지 장치(6)로부터의 사람 유무, 인원수 및 위치에 관한 정보 외에, 성명, 연령, 신체장애의 유무 및 거실 번호 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1 이상을 이용하여, 사람의 이동 시간이나 승차 시간의 산출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한 이동 시간이나 승차 시간의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각 층상마다 재해에 의한 피해를 검출하고, 피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피재 감지 장치인 화재 감지 장치와, 각 층상마다 소재하는 사람의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여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사람 검지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는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위치, 상기 피재 정보,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하고, 이 책정한 피난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재해 발생시의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최단 시간에 피난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최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를 운행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건물의 복수 층상 사이에서 운전되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가지고, 건물이 화재나 지진 등으로 피재된 경우에 엘리베이터에 의해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건물
2 승강로
3 승차 엘리베이터칸
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체
5 화재 감지 장치
6 사람 검지 장치
7 화재
8 피난자
9 탈출층
10a 피재층
10b 피재 상층
10c 피재 하층
10d 그 외의 층

Claims (5)

  1. 건물의 복수 층상(floor) 사이에서 운전되는 1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본체를 가지고, 상기 건물이 화재나 지진 등으로 피재(被災)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의해 상기 건물 내의 사람을 피난시키는 비상시 피난 운전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층상에 있어서의 재해에 의한 피해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피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피재 감지 장치와,
    각각의 상기 층상에 소재하는 사람의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여 각 층상마다의 인원수 정보 및 사람 위치 정보로서 출력하는 사람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비상시 피난 운전에 있어서, 상기 피재 정보로부터 우선층을 설정하고,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층상의 각각에 소재하는 사람이 당해 층상의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이동 시간, 및 상기 사람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당해 층상에 도착한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서 필요한 승차 시간을 산출하고, 이들 이동 시간 및 승차 시간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위치 및 상기 우선층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층에 있어서의 사람의 이동 시간과, 상기 우선층 이외의 층상까지의 상기 승차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시간, 당해 층상에 있어서의 사람의 이동시간 및 승차 시간의 합을 비교함으로써, 탈출층까지의 상기 비상시 피난 운전을 최단 시간에 완료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하고, 이 책정한 상기 피난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재 정보는 초기 단계의 피해 레벨인 제1 레벨, 긴급하게 탈출이 필요한 피해 레벨인 제2 레벨 및 상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탈출은 불가능한 피해 레벨인 제3 레벨의 3 단계의 피해 레벨이고,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피난 운행 계획을 책정할 때에, 상기 피해 레벨이 상기 제2 레벨인 상기 층상으로의 상기 엘리베이터의 우선 도착순이 상위로 되도록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사람에게 휴대되어, 당해 사람의 성명, 연령, 신체장애의 유무 및 거실 번호 중 1 이상에 관한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이 정보를 무선 신호로서 발신하는 무선 발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사람 검지 장치는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층상의 각각에 소재하는 상기 사람의 인원수 및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 및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얻은 상기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 및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얻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시간 또는 상기 승차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재 감지 장치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피재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람 검지 장치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인원수 정보 및 상기 사람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피난 운행 계획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27027191A 2010-06-29 2010-06-29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377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1012 WO2012001764A1 (ja) 2010-06-29 2010-06-29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99A KR20120136399A (ko) 2012-12-18
KR101377314B1 true KR101377314B1 (ko) 2014-03-25

Family

ID=454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91A KR101377314B1 (ko) 2010-06-29 2010-06-29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0642B2 (ko)
EP (1) EP2589560A4 (ko)
JP (1) JP5500253B2 (ko)
KR (1) KR101377314B1 (ko)
CN (1) CN102869593B (ko)
WO (1) WO2012001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5211B2 (en) * 2012-10-23 2016-05-12 Xorro Pty Ltd Distributed Monitoring System and Was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5184217A1 (en) * 2014-05-29 2015-12-03 Otis Elevator Company Occupant evacuation control system
JP6046784B1 (ja) * 2015-09-14 2016-12-21 コネクトフリー株式会社 建物用の情報記録装置
JP6288391B1 (ja) * 2016-06-21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復旧支援システム
US10683189B2 (en) 2016-06-23 2020-06-16 Intel Corporation Contextual awareness-based elevator management
US10294075B2 (en) 2016-09-30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Re-dispatching unoccupied elevator car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CN108460474B (zh) * 2017-02-20 2024-03-12 开利公司 疏散系统和疏散方法
KR101828005B1 (ko) * 2017-11-22 2018-03-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전략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116946B (zh) * 2018-02-07 2022-10-1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疏散的电梯控制装置和电梯控制方法
CN110054050A (zh) * 2019-05-17 2019-07-26 快意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机房消防监控系统
CN113003325B (zh) * 2019-12-19 2024-04-16 奥的斯电梯公司 自智能乘客疏散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309A (ja) * 2007-06-15 2008-12-25 Taisei Corp エレベータを利用した火災時避難誘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0060U (ko) * 1977-03-02 1978-09-25
JPS6056921B2 (ja) 1977-03-28 1985-1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制御装置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CN100364872C (zh) * 2003-05-14 2008-0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火灾控制系统
WO2005121004A1 (ja) * 2004-06-10 2005-12-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JP4679909B2 (ja) 2005-01-14 2011-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火災時運転システム
CN101006002B (zh) * 2005-02-14 2011-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火灾时管制运转系统及电梯火灾时管制运转方法
JP4772457B2 (ja) * 2005-11-08 2011-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避難運転装置
WO2007066390A1 (ja) 2005-12-07 2007-06-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US7938232B2 (en) * 2006-01-19 2011-05-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WO2007096969A1 (ja) * 2006-02-23 2007-08-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JP5088362B2 (ja) 2007-03-02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0082650A1 (ja) * 2009-01-19 201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I125122B (fi) * 2010-02-01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309A (ja) * 2007-06-15 2008-12-25 Taisei Corp エレベータを利用した火災時避難誘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9560A4 (en) 2017-11-29
CN102869593A (zh) 2013-01-09
JPWO2012001764A1 (ja) 2013-08-22
KR20120136399A (ko) 2012-12-18
EP2589560A1 (en) 2013-05-08
CN102869593B (zh) 2015-01-07
WO2012001764A1 (ja) 2012-01-05
JP5500253B2 (ja) 2014-05-21
US9120642B2 (en) 2015-09-01
US20130025973A1 (en)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1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203357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CN109789998B (zh) 电梯系统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JP5308662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火災時避難運転装置
KR100968311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
FI125122B (fi) Hissijärjestelmä
WO2019087249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JP6125842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WO2010023736A1 (ja) エレベータ避難支援システム
KR20100051112A (ko) 더블 덱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시스템
CN113924262A (zh) 电梯联动装置
JP7097533B2 (ja) 移動体の移動制御システム
CN106414297B (zh) 使用电梯系统的方法以及电梯系统
CN104379481B (zh) 电梯的控制装置及电梯的控制方法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3518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災害発生時のエレベータ避難運転方法
JP642967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CN110844728A (zh) 避免危险状况的电梯控制
JP5637617B2 (ja) エレベータの避難運転システム
WO2010029616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KR100896868B1 (ko)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JP2005225604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避難運転方法
CN102190226A (zh) 避难系统
KR20160140172A (ko)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