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172A -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172A
KR20160140172A KR1020150076454A KR20150076454A KR20160140172A KR 20160140172 A KR20160140172 A KR 20160140172A KR 1020150076454 A KR1020150076454 A KR 1020150076454A KR 20150076454 A KR20150076454 A KR 20150076454A KR 20160140172 A KR20160140172 A KR 2016014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eight
waiting
time
st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김준형
윤영석
이의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172A/ko
Publication of KR2016014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5Taking into account predicted future events, e.g. predicted future call input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는 승강기 내부 무게 및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대기 인원들의 무게, 상기 승강기 내부 무게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NDICATING AVAILABILITY OF RIDING ELEVATOR USING PREDICTED WEIGHT OF ELEVA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승강기 탑승 전에 미리 탑승 가능 여부를 알리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인원들 중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들의 수를 확률적으로 예측하여 승강기의 무게를 예측하고, 승강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탑승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물에 보편적으로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기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갈 수 있도록 설계된 건물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건물을 구성하는 층 수도 증가하게 되며, 층 수가 증가함에 따라 승강기를 이용하는 인원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하지만, 설치한 승강기의 개수는 한정적이며, 따라서 대기 인원도 많아지게 된다.
종래의 승강기와 승강기의 입구에는 승강기가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 방향을 표시하는 부분과, 승강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하지만, 대기 인원이 승강기에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부분은 단순히 승강기가 만원인 경우에만 표시가 될 뿐,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인원이 만원이 아닌 경우에는 표시가 되지 않으며, 만원이 아닌 경우라도 탑승 가능 인원의 여유가 별로 없는 경우, 대기 인원들 중 일부만이 탑승이 가능하고, 탑승이 불가능한 대기 인원들은 또 다시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를 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 1998-0020685호는 승강기 내부의 탑승 인원의 수를 적외선을 이용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대기 인원에게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공개 특허 제 1998-0020685호는 단순히 승강기 내부의 탑승 인원의 수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대기 인원들의 무게와 대기 인원들 중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들의 수를 파악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대기 인원들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빌딩의 고층화로 인한 승강기의 이용 시간 및 대기 인원이 많아지는 추세를 볼 때, 좀 더 효과적으로 대기 인원들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를 대기하고 있는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하고, 대기 인원의 무게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을 확률적으로 미리 파악해 승강기 내부 무게를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는 승강기 내부 무게 및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대기 인원들의 무게, 상기 승강기 내부 무게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은 승강기 내부 무게 및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인원들의 무게, 상기 승강기 내부 무게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를 대기하고 있는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하고, 대기 인원의 무게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할 수 있어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을 확률적으로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승강기 내부 무게를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를 이용하는 승강기, 층별 대기자 무게 측정기 및 중앙 제어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기 인원 및 이를 이용한 승강기 무게 예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무게 예측을 통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는 측정부(110), 예측부(120) 및 판단부(130)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승강기 내부 무게 및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한다.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는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인원들 및 승강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들의 무게의 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승강기 하부에 설치된 무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승강기 상부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승강기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는 승강기가 도착할 수 있는 층들 각각에서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인원들의 무게의 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승강기 입구의 앞에 설치된 무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의 증가 또는 감소를 반영하기 위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특정 주기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주기 값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각 층의 대기 인원의 변화에 기반하여 특정 주기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인원의 변화가 큰 경우에는 정확한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 주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대기 인원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는 특정 주기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예측부(120)는 상기 대기 인원들 중 상기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대기 인원들의 수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들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한다.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함에 있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할 수도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i층에 도달하는 승강기 내부 무게의 예측 결과,
Figure pat00003
: 측정부에서 측정한현재 승강기 내부 무게,
Figure pat00004
: n층에 있는 대기 인원들의 무게,
Figure pat00005
: n층에 있는 대기 인원들이 승강기를 탈 확률, i: 예측대상이 되는 층, C: 승강기의 도착 층)
이 때,
Figure pat00006
은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승강기 동작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
Figure pat00007
의 값은 1이 되며, 승강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기 동작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
Figure pat00008
의 값은 0이 될 수 있다.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눌러져 있는 경우에만 승강기가 멈춰서 대기 인원을 탑승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 승강기가 그대로 지나간 후, 다시 돌아와서 대기 인원을 탑승시키기 때문이다.
이 때,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에 상응하는 승강기 동작 버튼과 승강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에 상응하는 승강기 동작 버튼이 모두 눌려 있는 경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09
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대기자들이 승강기를 탑승하는 확률, N: 건물의 전체 층의 수, f(t): 시간 t에 상응하는 가중치)
판단부(130)는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이 때,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를 비교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고,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000KG 인 경우,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이 탑승하였을 경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200KG 이고,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면,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대기 인원들이 볼 수 있도록 LED 전구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를 이용하는 승강기, 층별 대기자 무게 측정기 및 중앙 제어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기(200)는 내부 무게 측정부(201) 및 송신부(202)로 구성되어 있고, 층별 대기 인원 무게 측정기(210)는 무게 측정부(211), 송신부(212), 수신부(213) 및 출력부(214)로 구성되고, 중앙 제어 서버(220)는 수신부(221), 예측부(222), 판단부(223) 및 송신부(2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내부 무게 측정부(201)는 승강기 내부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승강기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무게는 보정을 통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속도가 있는 경우, 실제 무게보다 크게 측정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무게를 보정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의 가속도가 있는 경우, 실제 무게보다 작게 측정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무게를 보정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송신부(202)는 내부 무게 측정부(201)에서 측정한 승강기 내부의 무게를 네트워크(230)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무게 측정부(211)는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는 승강기가 도착할 수 있는 층들 각각에서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인원들의 무게의 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승강기 입구의 앞에 설치된 무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의 증가 또는 감소를 반영하기 위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특정 주기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주기 값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각 층의 대기 인원의 변화에 기반하여 특정 주기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인원의 변화가 큰 경우에는 정확한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 주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대기 인원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는 특정 주기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송신부(212)는 무게 측정부(211)에서 측정한 무게를 네트워크(230)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13)는 중앙 제어 서버(220)로부터 현재 대기 인원들의 탑승 가능 여부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214)는 수신부(213)에서 수신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대기 인원들이 볼 수 있도록 LED 전구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수신부(221)는 내부 무게 측정부(201)에서 측정한 승강기 내부 무게 및 무게 측정부(211)에서 측정한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수신한다.
이 때, 예측부(222)는 수신부(221)에서 수신한 무게 정보 및 현재 시간에 기반한 확률을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한다.
이 때, 대기 인원들 중 일부는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인원이며, 나머지 인원은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인원일 수 있으므로, 현재 시간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 중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인원일 확률을 계산하고, 확률과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현재 시간에 대기 인원 중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인원의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기존에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확률을 미리 계산할 수도 있으며, 대기 인원의 무게의 총합에서 탑승하는 인원들에 상응하는 무게의 비율을 계산하여 확률을 계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판단부(223)은 예측부(222)에서 예측한 승강기의 무게에 기반하여 승강기의 탑승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를 비교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고,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000KG 인 경우,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이 탑승하였을 경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200KG 이고,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면,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송신부(224)는 승강기의 탑승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부(213)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310) 및 무게 측정 센서(320)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 인원들은 주로 승강기 입구 앞의 특정 영역에 대기하고 있으며, 특정 영역에 무게 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310)는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승강기 탑승이 가능한 경우에는 녹색 불빛을 발사하여 대기 인원에게 승강기 탑승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으며, 승강기 탑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적색 불빛을 발사하여 대기 인원에게 승강기 탑승이 불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기 내부의 바닥 부분에 무게 측정 센서(410)를 설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무게 측정 센서(410)가 설치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정확한 무게 측정을 위하여 무게 측정 센서를 다수 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다수 개 설치하는 경우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정확한 무게 측정을 위하여 가속도 측정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승강기가 이동하는 동안에 측정된 무게는 보정을 통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속도가 있는 경우, 실제 무게보다 크게 측정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무게를 보정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승강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의 가속도가 있는 경우, 실제 무게보다 작게 측정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무게를 보정하여 실제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에서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기 인원 및 이를 이용한 승강기 무게 예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이 올라오고 있는 승강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은 올라오는 방향의 승강기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들(510 내지 530)과 내려가는 방향의 승강기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들(540 내지 5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측정부(110)는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의 무게와 올라오고 있는 승강기 내부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부(120)는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의 무게와 승강기 내부 무게와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의 무게가 500KG이고, 승강기 내부의 무게가 300KG이며, 현재 시간이 오전 8시로서, 현재 대기 인원들(510 내지 550)중 올라가는 대기 인원일 확률이 0.6인 경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는 수학식 1을 이용하면, 600KG가 된다.
이 때, 판단부(130)는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를 비교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700KG인 경우,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이어서, 도 6을 설명하면, 올라오는 승강기를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 인원들(510 내지 530)이 승강기에 탑승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5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대기 인원(510 내지 530)들은 탑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결과를 인지하고, 승강기에 탑승하게 되고,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탑승 후 올라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승강기 내부 무게 및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한다(S810).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는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인원들 및 승강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들의 무게의 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승강기 하부에 설치된 무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승강기 상부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승강기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는 승강기가 도착할 수 있는 층들 각각에서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인원들의 무게의 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승강기 입구의 앞에 설치된 무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층별 대기 인원의 증가 또는 감소를 반영하기 위하여,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특정 주기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주기 값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각 층의 대기 인원의 변화에 기반하여 특정 주기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인원의 변화가 큰 경우에는 정확한 대기 인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특정 주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대기 인원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는 특정 주기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 인원들의 무게, 승강기 내부 무게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무게를 예측한다(S820).
이 때,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함에 있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할 수도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i층에 도달하는 승강기 내부 무게의 예측 결과,
Figure pat00014
: 측정부에서 측정한현재 승강기 내부 무게,
Figure pat00015
: n층에 있는 대기 인원들의 무게,
Figure pat00016
: n층에 있는 대기 인원들이 승강기를 탈 확률, i: 예측대상이 되는 층, C: 승강기의 도착 층)
이 때,
Figure pat00017
은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승강기 동작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
Figure pat00018
의 값은 1이 되며, 승강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기 동작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
Figure pat00019
의 값은 0이 될 수 있다.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눌러져 있는 경우에만 승강기가 멈춰서 대기 인원을 탑승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 승강기가 그대로 지나간 후, 다시 돌아와서 대기 인원을 탑승시키기 때문이다.
이 때, 승강기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에 상응하는 승강기 동작 버튼과 승강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에 상응하는 승강기 동작 버튼이 모두 눌려 있는 경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20
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대기자들이 승강기를 탑승하는 확률, N: 건물의 전체 층의 수, f(t): 시간 t에 상응하는 가중치)
또한,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S830).
이 때,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를 비교하여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고,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000KG 인 경우,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이 탑승하였을 경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가 1200KG 이고, 승강기가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무게가 1100KG 이면, 대기하고 있는 인원은 탑승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대기 인원들이 볼 수 있도록 LED 전구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대기 인원들이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를 이용하여 탑승 가능 여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00: 승강기
210: 층별 대기 인원 무게 측정기
220: 중앙 제어 서버
230: 네트워크
310: 출력부
320, 410: 무게 측정 센서
510, 520, 530, 540, 550: 대기 인원

Claims (1)

  1. 승강기 내부 무게 및 각 층별 대기 인원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대기 인원들의 무게, 상기 승강기 내부 무게 및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확률에 기반하여 대기 인원이 탑승한 경우의 승강기 내부 무게를 예측하는 예측부; 및
    상기 예측된 승강기 내부 무게에 기반하여 상기 승강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KR1020150076454A 2015-05-29 2015-05-29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60140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54A KR20160140172A (ko) 2015-05-29 2015-05-29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54A KR20160140172A (ko) 2015-05-29 2015-05-29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72A true KR20160140172A (ko) 2016-12-07

Family

ID=5757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54A KR20160140172A (ko) 2015-05-29 2015-05-29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1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489B2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CA2899621C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safety in a boarding area and for optimising usage of the capacity in transport means
JP2009084020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KR10137731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US20120118677A1 (en)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1181555B1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JP5400674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6524199B1 (ja) 利用者誘導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誘導方法
JP6417293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JP2016222437A (ja) 交通手段案内システム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CN110304500A (zh) 来自移动装置应用程序的无缝电梯呼叫
JP5570901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CN113401746A (zh) 用于机器人和个人的电梯召唤协调
JP2017052578A (ja) エレベーター用乗りかご到着時の降車状況予測提示方法及び装置
JP201702481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23405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22512203A (ja) エレベーターの搭乗情報案内システム
WO201822078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0401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140172A (ko) 승강기의 예측된 무게를 이용한 승강기 탑승 가능 여부 알림 장치 및 방법
CN108975107B (zh) 电梯系统
WO2019087703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降り人数推定装置、乗り降り人数推定方法及び乗り降り人数推定プログラム
EP3912946A1 (en) Passenger waiting assessment system
CN111320042B (zh) 具有负载因子检测的输送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