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 제어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층이 설치된 건물(이 예에서는 지상 45층 건물; 1)에는 2층 ~ 16층의 각 층을 포함하는 저층 서비스 존(2)과, 16층 ~ 31층의 각 층을 포함하는 중층 서비스 존(3)과, 31층 ~ 45층의 각 층을 포함하는 고층 서비스 존(4)이 마련되어 있다. 즉, 건물(1)에는 복수의 층을 각각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층이 서로 다른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서비스 존(2 ~ 4)이 마련되어 있다. 또, 건물(1)에는 각 서비 스 존(2 ~ 4) 중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공통의 피난층도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건물(1)의 최하층인 1층이 피난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건물(1)에는 저층 서비스 존(2)에 포함되는 각 층(1층 ~ 16층)을 서비스 층으로 하는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5)와, 중층 서비스 존(3)에 포함되는 각 층(16층 ~ 31층)을 서비스 층으로 하는 중층 뱅크의 엘리베이터(6)와, 고층 서비스 존(4)에 포함되는 각 층(31층 ~ 45층)을 서비스 층으로 하는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7)가 설치되어 있다. 즉, 건물(1)에는 각 서비스 존(2 ~ 4)에 포함되는 각 층을 서비스 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5 ~ 7)가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각 뱅크의 엘리베이터(5 ~ 7)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호기(號機)(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갖고 있다.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5)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호기는 저층 서비스 존(2)내의 각 서비스 층과 피난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갖고 있다. 중층 뱅크의 엘리베이터(6)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호기는 중층 서비스 존(3)내의 각 서비스 층과 피난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갖고 있다.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7)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호기는 고층 서비스 존(4)내의 각 서비스 층과 피난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갖고 있다.
또, 각 뱅크의 엘리베이터(5 ~ 7)에는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전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그룹 관리 장치(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엘리베이터(5 ~ 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8)의 관리하에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개별로 이동된다.
건물(1)의 각 층에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화재 감지기(9)로부터의 정보는 건물(1) 전체의 방재 기기를 총 괄 관리하는 방재 관리 장치(10)로 전송된다. 방재 관리 장치(10)는 각 화재 감지기(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유무의 검출과, 화재 발생층의 특정을 행한다. 또한, 도 2에는 방재 관리 장치(10)에 의해 특정되는 화재 발생층이 18층으로 되어 있을 때의 건물(1)이 도시되어 있다.
방재 관리 장치(10)로부터의 정보는 각 그룹 관리 장치(8)를 화재 발생시에 총괄 관리하기 위한 피난시 관리 장치(11)로 전송된다. 피난시 관리 장치(11)는 방재 관리 장치(10)에 의해 화재 발생이 검출된 후, 건물(1)내에 남겨진 재관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기 위한 피난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5 ~ 7)에 대해 행한다.
피난시 관리 장치(11)는 통신부(12), 구출층 설정부(13), 피난 운전 지령부(14), 피난 운전 가부(可否) 판정부(15) 및 구출층 조정부(16)를 갖고 있다.
통신부(12)는 각 그룹 관리 장치(8) 및 방재 관리 장치(10)의 각각과 피난시 관리 장치(11)의 정보 통신을 행한다.
구출층 설정부(13)는 각 서비스 존(2 ~ 4)의 각각에 대해, 소정의 서비스 층을 구출층으로서 설정한다. 이 예에서는 구출층 설정부(13)는 각 서비스 존(2 ~ 4)의 각각에 포함되는 각 서비스 층 중에서 서비스 존(2 ~ 4)마다 구출층을 1개씩 설정한다.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 층) 및 피난층의 특정은 높이 방향에 대해 건물(1)을 복수의 분할 존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존 중, 최하의 분할 존의 최하층을 피난층으로 하는 동시에, 최하의 분할 존을 제외한 다른 각 분할 존의 최하층의 각각을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 층)으로 함으로써 행해진다. 분할 존의 수는 각 서비스 존(2 ~ 4)보다 1개 많은 수로 된다. 즉, N뱅크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1)에 있어서는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 층) 및 피난층의 특정은 (N+1)개의 분할 존으로 건물(1)을 분할한 후, 각 분할 존 중, 최하의 분할 존의 최하층을 피난층으로 하고, 최하의 분할 존을 제외한 N개의 분할 존의 최하층의 각각을 소정의 서비스 층으로 함으로써 행해진다.
피난시 관리 장치(11)에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서비스 층이 서비스 존(2 ~ 4)마다 미리 기억되어 있다. 구출층 설정부(13)가 구출층을 설정할 때에는 피난시 관리 장치(11)에 기억된 각 구출층이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해 독취된다.
또한, 각 서비스 존에 포함되는 서비스 층의 수에 따라, 각 서비스 존으로 설정하는 구출층의 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존(2)에 포함되는 서비스 층의 수가 다른 서비스 존(3, 4)에 포함되는 서비스 층의 수보다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서비스 존(2)에 설정하는 구출층의 수를 다른 서비스 존(3, 4)에 설정하는 구출층의 수보다 많게 해도 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건물(1)에 설정된 각 구출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 뱅크의 엘리베이터(5 ~ 7)가 설치된 건물(1)은 4개의 분할 존으로 분할된다. 또, 최하의 분할 존의 최하층이 피난층으로 되고, 최하의 분할 존을 제외한 2개의 분할 존의 최하층의 각각이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 층)으로 된다. 따라서, 피난층 및 각 구출층은 서로 다른 층으로 된다.
각 분할 존내의 재관자는 아랫쪽의 구출층 또는 피난층에 계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구출층은 각 분할 존내의 재관자가 구출층 또는 피난층에 계단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재관자가 계단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시간과,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운반될 때의 운반 시간의 합계가 균등하게 되도록 각 구출층을 정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1층에서 12층까지의 제1 존, 13층에서 23층까지의 제2 존, 24층에서 34층까지의 제3 존, 및 35층에서 45층까지의 제4 존이 각 분할 존으로 된다. 따라서, 소정의 서비스 층(구출층)은 13층, 24층 및 35층으로 된다. 또한, 화재 발생층(18층)은 제2 존내에 위치하고 있다.
피난 운전 지령부(14)는 구출층 설정부(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그룹 관리 장치(8)에 피난 운전의 지령을 출력한다. 각 그룹 관리 장치(8)는 피난 운전 지령부(14)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지령을 받으면, 엘리베이터 칸을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각 엘리베이터 호기를 관리 제어한다. 피난 운전시의 각 엘리베이터 칸은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 직통 운전으로 된다. 즉, 피난 운전시의 각 엘리베이터 칸은 구출층 및 피난층에만 정지되며,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 위치하는 각 층은 모두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는 방재 관리 장치(10) 및 구출층 설정부(1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5 ~ 7)에 대한 피난 운전의 가부를 판정한다. 즉,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는 각 구출층과 화재 발생층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각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 각각의 가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는 화재 발생층 또는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층 등, 건물(1)내에서의 연소(延燒)가 예상되는 층(이하, 「연소 예측층」이라고 함)과 구출층이 일치할 때에 해당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판정을 행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에 해당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정이 가능하다고 하는 판정을 행한다. 피난 운전의 가부 판정은 각 구출층에 대해 개별로 행한다.
구출층 조정부(16)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한 구출층의 설정을 조정한다. 즉, 구출층 조정부(16)는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에 의한 판정을 받은 구출층의 설정을 해제하고, 화재 발생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서비스 층을 구출층으로서 재설정한다. 또한, 구출층의 재설정은 화재 발생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층이 아니더라도 화재 발생층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층이면 된다.
여기서, 도 4는 도 3의 건물(1)내에 있어서 재설정 후의 각 구출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해서 설정된 각 구출층 중의 하나인 24층이 화재 발생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과 일치하는 24층의 구출층의 설정이 구출층 조정부(16)에 의해 해제된다. 또, 화재 발생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23층이 구출층으로서 구출층 조정부(16)에 의해 재설정된다.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연소 예측층과는 다른 13층 및 35층의 구출층으로서의 설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즉, 구출층 조정부(16)에 의한 재설정 후의 구출층은 13층, 23층 및 35층으로 된다.
피난 운전 지령부(14)는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한 구출층의 조정이 행해졌 을 때에는 재설정 후의 각 구출층의 각각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을 행하기 위한 피난 운전의 지령을 각 그룹 관리 장치(8)로 출력한다.
건물(1)내의 각 층에는 피난 운전시에 재관자를 구출층 또는 피난층으로 유도하기 위한 비상 방송 장치(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비상 방송 장치(17)는 각 계단 이동 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구출층 또는 피난층에 계단으로 이동하는 취지를 건물(1)내의 재관자에 대해 음성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피난시 관리 장치(11)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2), 구출층 설정부(13), 피난 운전 지령부(14),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 및 구출층 조정부(16)의 기능은 피난시 관리 장치(11)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통신부(12), 구출층 설정부(13), 피난 운전 지령부(14),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 및 구출층 조정부(16)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각 구출층 등의 정보도 기억부에 격납된다. 연산 처리부는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피난시 관리 장치(11)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피난시 관리 장치(11)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재 관리 장치(10)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S1), 화재 발생층 등의 정보가 방재 관리 장치(10)로부터 피난시 관리 장치(11)로 전송된다. 이 후, 피난시 관리 장치(11)로부터 각 그룹 관리 장치(8)로 지령이 출력되고, 각 엘리베이터(5 ~ 7)의 운전이 관 제 운전으로 된다. 관제 운전은 이동 중인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고 문 열림을 대기시키는 운전이다(S2).
이 후, 각 서비스 존(2 ~ 4)에 대한 구출층(13층, 24층 및 35층)의 설정이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 각 분할 존의 설정도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해 동시에 행해진다(S3).
이 후, 방재 관리 장치(10) 및 구출층 설정부(1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의 가부가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에 의해 판정된다(S4).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구출층 조정부(16)에 의해, 연소 예측층과 일치하는 구출층의 설정이 해제되고, 화재 발생층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서비스 층이 구출층으로서 재설정된다. 즉, 각 구출층의 조정이 구출층 조정부(16)에 의해 행해진다(S5).
피난 운전이 가능하다고 하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구출층의 조정이 행해지지 않고,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한 각 구출층의 설정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 후, 각 비상 방송 장치(17)에 의한 관내 방송이 피난시 관리 장치(11)의 관리하에서 개시된다(S6). 이에 의해, 제1 존내의 재관자는 1층의 피난층으로, 제2 존내의 재관자는 13층의 구출층으로, 제3 존내의 재관자는 24층의 구출층으로, 제4 존내의 재관자는 35층의 구출층으로 각각 계단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게 된다.
또, 각 엘리베이터(5 ~ 7)에 대한 피난 운전도 개시된다(S7). 피난 운전시에 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이에 의해, 각 구출층의 재관자는 각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되게 된다.
이 후, 피난시 관리 장치(11)가 종료 지령을 받았는지의 여부가 피난시 관리 장치(11)에 의해 판정된다(S8). 피난시 관리 장치(11)가 종료 지령을 받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각 엘리베이터(5 ~ 7)에 설치된 종료 버튼이 조작된 경우나, 각 엘리베이터(5 ~ 7)에 설치된 이상 검지 센서가 화재의 연소나 소화 활동에 의한 침수 등에 의해 작동된 경우, 또는 각 구출층에서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가 없게 된 것이 승강차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즉, 피난시 관리 장치(11)는 피난 운전의 계속이 곤란해진 경우나 피난 운전의 완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종료 지령을 받도록 되어 있다.
종료 지령을 받지 않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각 비상 방송 장치(17)에 의한 관내 방송과 각 엘리베이터(5 ~ 7)의 피난 운전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또, 종료 지령을 받았다는 판정을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5 ~ 7)의 피난 운전은 종료한다(S9).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1)에 설치되어 있는 각 서비스 존(2 ~ 4)의 각각에 대해 소정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부(13)와, 각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왕복 이동시키는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각 엘리베이터(5 ~ 7)를 제어하는 피난 운전 지령부(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층을 줄일 수 있어, 건물(1)내의 재관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할 때 운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재관자를 단시간에 피난층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 N 뱅크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1)에 대해, 소정의 서비스 층은 건물(1)을 높이 방향에 대해 (N+1)개의 분할 존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존 중, 최하의 분할 존을 제외한 N개의 분할 존의 각 최하층을 소정의 서비스 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특정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수에 따른 적절한 수의 구출층을 설정할 수 있고, 각 구출층의 간격도 건물(1)의 층 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각 구출층과 화재 발생층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각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의 가부를 판정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와,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15)에 의한 판정을 받은 구출층의 설정을 해제하고, 화재 발생층보다 아랫쪽에 위치하는 서비스 층을 구출층으로서 재설정하는 구출층 조정부(16)를 피난시 관리 장치(11)에 설치했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연소 등의 영향을 피해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출층의 설정이 각 서비스 존(2 ~ 4)에 대해 1개씩으로 되어 있으나, 구출층으로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층과 다른 층을 구출층으로서 추가 설정하고, 1개의 서비스 존으로 설정된 구출층의 수가 복수로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구출층의 추가 설정은 예를 들어 재관자의 수에 대해 구출층에서의 승강장의 넓이가 지나치게 좁은 경우 등, 구출층에서의 재관자에 의한 혼잡이 예측될 때에, 구출층 설정부(13)에 의해 행해진다. 또, 각 엘리베이터(5 ~ 7)는 각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 호기로 분담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1개의 서비스 존에 2개의 구출층이 설정된 경우에는, 반수(半數)의 엘리베이터 호기가 한 쪽의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행하고, 나머지 반수의 엘리베이터 호기가 다른 쪽의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구출층에서 재관자에 의한 혼잡을 완화할 수 있고, 또 재관자의 피난층에 대한 운반 효율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