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76B1 -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 Google Patents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76B1
KR101376176B1 KR1020070115984A KR20070115984A KR101376176B1 KR 101376176 B1 KR101376176 B1 KR 101376176B1 KR 1020070115984 A KR1020070115984 A KR 1020070115984A KR 20070115984 A KR20070115984 A KR 20070115984A KR 101376176 B1 KR101376176 B1 KR 10137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opening
cloth
right direction
slid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629A (ko
Inventor
히로아키 키타와키
쇼고 오하라
요코 오세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8005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6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과제] 제조작업이 용이하고, 게다가 포켓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 정도를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의 본체의 앞길(1)에 판상의 부력재(3, 4)를 구비하고, 앞길(1)을 구성하는 겉감(15, 16) 중 좌우의 하측(下側) 부분의 각각에 하 포켓(7, 9)을 구비하고, 각 하 포켓(7, 9)의 개구(開口)를, 가로방향의 제1 개구부(21)와, 제1 개구부(21)의 외측단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22)로 구성하고, 각 포켓(7, 9)의 개구에, 개구를 닫는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23)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슬라이드 파스너(23)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프를 각 하 포켓(7, 9)의 개구를 구성하는 포켓용 천의 가장자리부(緣部)와 이것에 대응하는 겉감(15, 16)의 부위에 각각 직접 또는 천을 사이에 두어 지착(止着)하는 것에 의하여 이어댐부(28)를 구성하였다.
앞길, 부력재, 하 포켓, 개구부, 슬라이드 파스너, 이어댐부

Description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POCKET STRUCTURE OF UPPER GARMENT FOR FISHING WITH BUOYANCY MATERI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로팅 베스트(floating vest)라고 불리우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앞길에 포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플로팅 베스트는, 상의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의 앞길 및 뒷길 내에, 발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板狀)의 부력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부력재는, 앞길이나 뒷길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고, 좌우의 앞길 및 뒷길 내를 거의 메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는, 라인이나 커터 등의 각종의 낚시용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을 좌우의 앞길 각각의 하측(下側)의 외면에 부설한 것이 많다.
이와 같이 판상의 부력재를 앞길에 구비시키는 것에 의하여, 앞길 그 자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되고, 이 두께가 있는 앞길의 표면에, 전측(前側)으로 돌출(突出)하여 구비된 포켓에 낚시용 소품을 수납하면, 포켓이 전방(前方) 측(側)으로 팽출(膨出)해 버리는 결과, 앞길의 두께와 더불어 더욱 전방 측으로 포켓이 크게 위치하여 버리는 것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발 밑을 보기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앞길의 전방에서 조작하는 경우에, 돌출한 포켓이 방해가 되어 버리는 불편이 있다.
그래서, 포켓의 돌출을 억제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부력재의 표면 중, 포켓에 대응한 위치에 오목부(凹部)를 형성하고, 포켓의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 내에 형성된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003-129311호 공보(도 1 참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부력재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그 오목부에 맞추어 포켓 형성용 천의 상하좌우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당해 포켓 형성용 천을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작업에 수고가 드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부분만 부력재의 체적이 줄어들어 버리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부분의 부력재의 강도가 약해지는 불편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이 전술의 상황을 감안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점은, 제조작업이 용이하고, 게다가 포켓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 정도를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는, 상의 본체의 앞길에 판상의 부력재를 구비하고, 당해 앞길을 구성하는 겉감 중 좌우의 하측(下側) 부분의 각각에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각 포켓의 개구(開口)를, 좌우방향에 이르는 것과 함께 상단(上端)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의 제1 개구부와, 이 제1 개구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측으로 되는 외측단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로 구성하고, 각 포켓의 개구에, 당해 개구를 닫는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당해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프를 각 포켓의 개구를 구성하는 천의 가장자리부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에 각각 직접 또는 천을 사이에 두어 지착(止着)하는 것에 의하여 이어댐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프를 각 포켓의 개구를 구성하는 천의 가장자리부(緣部)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에 각각 직접 또는 천을 사이에 두어 지착하는 것에 의하여, 각 포켓의 앞길의 중앙단에 이어댐부가 존재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각 포켓 내에 낚시용의 소품을 수납하더라도, 각 포켓의 앞길의 중앙단 측이 전방 측으로 크게 팽출(돌출)하는 것이 없다. 게다가, 각 포켓의 개구가, 좌우방향에 이르는 것과 함께 상단(上端)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의 제1 개구부와, 이 제1 개구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側)으로 되는 외측단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과 같은 쪽에 위치하는 손을 포켓 내에 삽입하기 쉬워져, 포켓 내의 수납물을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천이 상기 겉감과는 다른 이어댐부 형성용 천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일단(一端)을 당해 겉감에 지착하고, 당해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타단(他端)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일방(一方)의 테이프를 지착하고,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폭(幅)을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개구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을, 상기 포켓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보다도 외측으로 이간한 위치로 옮겨도 무방하다.
상기 포켓용 천의 이어댐부 형성 측 단 가장자리 중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상단을,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의 상하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닫은 상태로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이어댐부가 전방 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앞처짐 경사자세(傾斜姿勢)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앞길의 좌우 각각에 상기 부력재를 구비하고, 각 부력재를, 앞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과, 이 중앙 부분의 표면과 면일(面一)상태로 배치되고 앞길의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횡측부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의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중앙 부분과 횡측 부분을 따로따로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메쉬(mesh)상(狀)의 수납대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각 포켓의 앞길의 중앙단에 이어댐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이어댐부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포켓 내에 낚시용의 소품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각 포켓의 앞길의 중앙단 측이 전방 측으로 크게 팽출(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력재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 등의 여분의 가공을 하는 것이 불요(不要)하게 되고, 제조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부력재의 강도적(强度的)인 문제도 없고, 게다가 포켓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 정도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고, 낚싯대의 조작도 행하기 쉬운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각 포켓의 개구가, 좌우방향에 이르는 것과 함께 상단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의 제1 개구부와, 이 제1 개구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되는 외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과 동일 측에 위치하는 손을 포켓 내에 삽입하기 쉬워져, 수납물의 출납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 천이 상기 겉감과는 다른 이어댐부 형성용 천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일단을 당해 겉감에 지착하고, 당해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타단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일방의 테이프를 지착하고,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폭을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포켓 내의 수납 체적을 증대(增大)시키면서도,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에서의 포켓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을, 상기 포켓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보다도 외측으로 이간한 위치로 옮기는 것에 의하여,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에서의 포켓의 돌출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발 밑이 보다 한층 보이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낚싯대를 앞길의 전방에서 보다 한층 조작하기 쉬워진다.
상기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포켓 형성용 천의 이어댐부 형성 측 단 가장자리 중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상단을,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의 상하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닫은 상태로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이어댐부가 전방 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앞처짐 경사자세(傾斜姿勢)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에 서의 포켓의 돌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앞길의 좌우 각각에 상기 부력재를 구비하고, 각 부력재를, 앞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부분과, 이 중앙부분의 표면과 대략 면일(面一)상태로 배치되고 앞길의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횡측부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의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그들 중앙 부분과 횡측부를 일체화(一體化)한 것에 비하여, 신체에 따라 부력재를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켓이 돌출하는 돌출 위치도 그 만큼, 신체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더욱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부분과 횡측 부분을 따로따로 수납 가능한 수납 공간을 갖춘 메쉬상의 수납대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하여, 통기성(通氣性)을 확보하면서도, 앞길 내에서 부력재를 구성하는 중앙 부분과 횡측 부분이 크게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에,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일 예인 민소매의 상의인 베스트를 도시하고 있지만, 소매가 있는 상의여도 무방하다. 이 베스트는, 예를 들면 갯바위 낚시 시에 장착되는 플로팅 베스트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파지(波止: 방파제 또는 부두) 낚시나 배 낚시 등에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베스트는, 상의 본체를 구성하는 앞길(1)과, 이 앞길(1)의 좌우양단을 사이에 두어 연결되는 뒷길(2)을 구비하고, 특히 뒷길(2)을 구성하는 안감의 대부분을 통기성이 좋은 메쉬(mesh)상(狀)의 천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높은 통기 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뒷길(2)을 구성하는 안감의 대부분을 통기성이 좋은 메쉬상의 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기성을 갖지 않는 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앞길(1)은 왼쪽 앞길(1A)과 오른쪽 앞길(1B)을 구비하고, 그들 왼쪽 앞길(1A)과 오른쪽 앞길(1B) 각각의 내부(內部)에, 부력재(3 또는 4)를 구비시키고 있다. 이들 왼쪽 앞길(1A) 및 오른쪽 앞길(1B)의 좌우방향 중심부 측 단에 구비시킨 베스트 착탈(着脫)용 슬라이드 파스너(5)를 개폐 조작하는 것으로 신체에 베스트를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베스트 착탈용 슬라이드 파스너(5)로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다른 개폐 수단을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개폐 수단을 없게 한 구성, 즉 머리부터 써서 입는 베스트여도 무방하다.
상기 좌우에 배치된 부력재(3, 4)는,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있는 이외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좌측에 배치한 부력재(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력재(3 또는 4)는, 앞길의 중앙부(전방 측)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3A 또는 4A)과, 이 중앙 부분(3A 또는 4A)의 표면과 대략 면일(面一: 단차(段差: 단의 차이)가 없음) 상태로 배치되어 앞길의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에 위치하고, 신체의 횡측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3B 또는 4B)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부분(3A 또는 4A)이, 상부(上部)에 위치하는 산(山) 형상의 상측 부분(3a)과, 이 상측 부분(3a)의 하측(下側)에 위치하는 중앙부 본체부분(3b)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력재(3, 4)를 3개로 분할하는 것에 의하여, 신체의 표면을 따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상측 부분(3a)과 중앙부 본체부분(3b)을 일체화한 중앙 부분(3A 또는 4A)과, 횡측 부분(3B 또는 4B)의 2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4개 이상으로 분할한 부재로 구성하는 것 외,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부재의 두께를 모두 동일(거의 동일하여도 무방하다)하게 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두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3개의 부재, 상측 부분(3a), 중앙부 본체부분(3b), 횡측 부분(3B)을, 각각 따로따로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메쉬(mesh)상(狀)의 수납대(收納袋, 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납대(10)는, 2장의 메쉬상의 천(10A, 10B)을 그들의 외주연(外周緣)을 안으로 접어서 포개어 맞추고, 그 포개어 맞춰진 부분을 봉착(縫着: 꿰매어 붙임)하는 것에 의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상측 부분(3a), 중앙부 본체부분(3b), 횡측 부분(3B)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 간에서 천(10A, 10B) 사이를 2개의 실(13, 13)로 꿰매는 것에 의하여, 3개의 부재(3a, 3b, 3B)를 따로따로 나눈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나누어도 무방하다. 도 5의 (a), (b)에서 도시하는 11은, 상기 3개의 부재(3a, 3b, 3B)가 수납된 수납대(10)를 앞길의 내부에 수납했을 때에 당해 앞길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계지부(係止部)로서의 암놈(또는 수놈)의 똑딱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계지하여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계지구(係止具)로서의 수놈(또는 암놈)의 똑딱 단추를 나타내고 있고, 수납대(10)가 앞길의 내부에서 이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앞길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계지부로서의 암놈의 똑딱 단추에 계지하여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계지구로서의 수놈의 똑딱 단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없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상기 계 지구(11)는, 수납대(10)에 봉착된 천(12)에 구비시키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앞길(1) 중 왼쪽 앞길(1A)의 상측 부분에 상 포켓(6)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왼쪽 앞길(1A)의 하측 부분에 하 포켓(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른쪽 앞길(1B)의 상측 부분에 상 포켓(8)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오른쪽 앞길(1B)의 하측 부분에 하 포켓(9)을 구비하고 있지만, 상 포켓(6, 8)의 개수 및 형상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상측의 상 포켓(6 또는 8)은, 좌우 대칭으로 되는 형상(도 1에서는 좌우의 형상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이 되어 있는 것과 함께, 모두 정면에서 볼 때 거의 직각 삼각형상이 되어 있지만, 직사각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상 포켓(6 또는 8)의 개구를, 상방(上方)으로부터의 수납물의 출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의 본체의 좌우방향 양단 측으로부터 중심부로 향하는 만큼 하방(下方)에 위치하는 경사(傾斜) 개구로 형성되고, 이 개구를 닫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개폐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드 파스너(14)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드 파스너(14)는, 한 쌍의 테이프(기포(基布))와, 그들 테이프에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이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무치부(務齒部))와, 상기 한 쌍의 엘리먼트를 맞물리게 하는, 또는 그 맞물림을 해제 조작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더(개폐 부재)와, 이들 슬라이더에 장착된 손잡이부(14A, 14B)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14)의 개폐 방향을 상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1개의 슬라이더만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상 포켓(6, 8)은, 앞길(1A, 1B)을 구성하는 좌우의 겉감(15, 16)에, 이어댐부를 구성하는 L자상(字上)으로 접어 구부러진 좌우의 천(17, 18)의 폭 방향 겉감 측 단을 봉착하고, 그 각 천(17, 18)의 폭 방향 타단 측(전방 측)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4, 14)를 사이에 두어 포켓용 천(19, 20)의 외주연(外周緣)을 봉착하는 것과 함께, 당해 포켓용 천(19, 20)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단을 겉감(15, 16)에 봉착하였다.
상기 하 포켓(7, 9)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하 포켓(7, 9)의 개구를, 좌우방향에 이르는 것과 함께 상단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의 거의 수평으로 되는 제1 개구부(21)와, 이 제1 개구부(21)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되는 외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원호(圓弧) 형상으로 되어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22)로 구성하고, 각 하 포켓(7, 9)의 개구에, 당해 개구를 닫는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23)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당해 슬라이드 파스너(23)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프(25, 24)를 각 하 포켓(7, 9)의 개구를 구성하는 포켓용 천(26, 27)의 가장자리부(緣部)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15, 16)의 부위에 각각 지착(止着: 움직이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개구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하여, 포켓과 같은 쪽에 위치하는 손을 포켓 내에 즉시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하면, 한 쌍의 테이프(24, 25) 중 포켓용 천(26) 측의 테이프(25)를 당해 포켓용 천(26)에 직접 봉착하고, 타방의 테이프(24)를 겉감(15)과는 다른 이어댐부 형성용 천(28)을 사이에 두어 봉착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파스너(23)와 이어댐부 형성용 천(28)으로 이어댐부(M)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어댐부 형성용 천(28)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테이프(24)를 상기 겉감(15)에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폭이 넓은 테이프(24, 25)를 이용하고, 그 테이프(24)를 상기 겉감(15)에 직접 고정하여, 슬라이드 파스너(23)만으로 이어댐부(M)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측의 테이프(25)와 포켓용 천(26)과의 사이에 다른 이어댐부 형성용 천을 개재(介在)시켜도 무방하고, 양방의 테이프에 이어댐부 형성용 천을 각각 개재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28)의 폭(H)을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하 포켓(7) 내의 수납 체적을 증대시키면서도,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도 2에서는 좌측)에서의 하 포켓(7)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하 포켓(7)의 저부(底部)를 구성하는 저부 형성용 천(29)도 구비시키는 것과 함께, 그 저부 형성용 천(29)도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28)과 마찬가지로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에서는 매우 좁은 폭이 되고,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에서 수납 체적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구부(21)의,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21A)을, 상기 하 포켓(7)의,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보다도 외측으로 이간한 위치로 옮기고, 제1 개구부(21)의,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21A)과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와의 사이에 이어댐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R)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영역(R)에서의 하 포켓(7, 9)의 전방 측으로의 팽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어댐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R)를 구비하지 않고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 포켓(7, 9)을 형성하기 위한 포켓 형성용 천(26, 27)의 이어댐부 형성 측 가장자리(도 1에서는 상단 가장자리) 중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상단(7A, 9A)을,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15, 16)의 부위(이어댐부 설치 위치)의 상하위치(15A, 16A)보다도 낮은 위치로 설정하고, 다른 나머지의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7B, 9B)을,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15, 16)의 부위의 상하위치(15B, 16B)와 거의 동일 높이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23, 23)를 닫은 상태에서 앞길(1A, 1B)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이어댐부(M)가 도 3의(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앞처짐 경사자세(傾斜姿勢)가 되고, 앞길(1A, 1B)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 부분의 이어댐부(M)가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 자세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이어댐부(M)를 앞처짐 경사자세로 하는 점과, 전술한 이어댐부 형성용 천(28)의 폭(H)을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하는 점으로부터,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 포켓(7) 내의 전후 방향의 거리 중,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거리(D1)를,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 부분의 거리(D2)보다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하 포켓(7)의 돌출 위치를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도 3의 (a)에 도시한다)을, 왼쪽 앞길(1A)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 부분(도 3 (b)에 도시하고 있다)보다도 후방(後方)에 위치시킬 수 있어, 하 포켓(7)이 방해가 되기 어려워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을 상기 제1 개구부(21)의 범위로 하고, 앞길(1A, 1B)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 부분을 상기 제2 개구부(22)의 범위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 포켓(7, 9)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앞길(1A, 1B)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외측 부분이 앞길에 대하여 전방으로 팽출(돌출)하는 정도가 커지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재(3, 4)가 앞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3A, 4A)과, 이 중앙 부분(3A, 4A)의 표면과 대략 면일 상태로 배치되어 앞길의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횡측부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3B, 4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신체에 따른 상태로 앞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상(平板狀)의 중앙 부분(3A, 4A)에 대하여 횡측 부분(3B, 4B)을 평판상으로 늘어나도록 그것들을 일체화했을 경우에 비하여, 횡측 부분(3B, 4B)을 신체 측으로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횡측 부분(3B, 4B)에 있어서의 하 포켓(7, 9)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 위치를 후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23)는, 도 2 및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 의 테이프(기포, 24, 25)와, 그것들 테이프(24, 25)에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된 다수의 이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무치부, 30, 30)와, 상기 한 쌍의 엘리먼트(30, 30)를 서로 맞물리게 하고, 또는 그 맞물림을 해제 조작하기 위한 2개의 슬라이더(개폐 부재, 31, 32)와, 이 슬라이더(31, 32)에 장착된 손잡이부(33, 34)로 되어 있지만, 개폐 수단은, 전술과 마찬가지로,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23)의 긴 쪽 방향 양단에는, 그들 양단부를 위로부터 가리는 루프(loop)상(狀)으로 구성된 커버 부재(35, 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포켓 내에는 겉감(15)에 내 포켓용 천(37)을 꿰맨, 좌우방향으로 2개의 내(內) 포켓(38, 3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23)를 개방하여 하 포켓(7) 내의 수납물을 꺼낼 때에, 제2 개구부(22)의 하측부분으로부터 수납물이 튀어 나오는 것이 없도록, 상 포켓(6)의 입구를 여는 것에 따라, 하측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튀어나옴 방지 부재(39)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튀어나옴 방지 부재(39)는, 슬라이드 파스너(23)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면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어 개진 상태가 되고, 슬라이드 파스너(23)을 개방하여 개구를 크게 여는 것에 의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로 되어 하측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없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낚시용 상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왼쪽 앞길의 하측의 부분의 포켓을 도시하는 요부(要部)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b)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왼쪽 앞길의 하측의 부분의 포켓을 개방 상태로 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부력재를 수납한 수납대의 정면도, (b)는 도 5의 (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앞길, 1A 왼쪽 앞길,
1B 오른쪽 앞길, 2 뒷길,
3,4 부력재, 3A,4A 중앙 부분,
3B,4B 횡측 부분, 3a 상측 부분,
3b 중앙부 본체부분, 5 베스트 착탈용 슬라이드 파스너,
6,8 상 포켓, 7,9 하 포켓,
7A,9A 상단, 7B,9B 상단,
10 수납대, 10A,10B 천,
11 계지구, 12 천,
13 실, 14 슬라이드 파스너,
14A,14B 손잡이부, 15,16 겉감,
15A,16A,15B,16B 상하위치, 17,18 천,
19,20 포켓용 천, 21 제1 개구부,
21A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 22 제2 개구부,
23 슬라이드 파스너, 24,25 테이프,
26,27 포켓용 천, 28 이어댐부 형성용 천,
29 저부 형성용 천, 30 엘리먼트,
31,32 슬라이더, 33,34 손잡이부,
35,36 커버 부재, 37 내 포켓용 천,
38 내 포켓, 39 튀어나옴 방지 부재,
H 폭, M 이어댐부,
R 영역

Claims (6)

  1. 상의 본체의 앞길에 판상(板狀)의 부력재를 구비하고,
    상기 앞길을 구성하는 겉감 중 좌우의 하측(下側) 부분의 각각에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각 포켓의 개구(開口)를, 좌우방향에 이르는 것과 함께 상단(上端)에 위치하는 가로방향의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측(側)으로 되는 외측단(外側端)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향하는 세로방향의 제2 개구부로 구성하고,
    상기 각 포켓의 개구에, 상기 개구를 닫는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프를 상기 각 포켓의 개구를 구성하는 포켓용 천의 가장자리부(緣部)와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에 각각 직접 또는 천을 사이에 두어 지착(止着)하는 것에 의하여 이어댐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상기 겉감과는 다른 이어댐부 형성용 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일단을 상기 겉감에 지착하며,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타단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일방의 테이프를 지착하고, 상기 이어댐부 형성용 천의 폭(幅)을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측일수록 넓은 폭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을, 상기 포켓의,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단보다도 외측으로 이간한 위치로 옮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용 천의, 상기 이어댐부 형성 측 단 가장자리 중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상단을, 이것에 대응하는 상기 겉감의 부위의 상하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를 닫은 상태로 상기 앞길의 좌우방향 중앙부 측 부분의 이어댐부가 전방 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앞처짐 경사자세(傾斜姿勢)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길의 좌우 각각에 상기 부력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부력재를, 상기 앞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의 표면과 면일(面一)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앞길의 중앙부로부터 이간하는 횡측부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의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과 상기 횡측 부분을 따로따로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메쉬(mesh)상(狀)의 수납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KR1020070115984A 2006-12-18 2007-11-14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KR101376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0009 2006-12-18
JP2006340009A JP4834534B2 (ja) 2006-12-18 2006-12-18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のポケット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29A KR20080056629A (ko) 2008-06-23
KR101376176B1 true KR101376176B1 (ko) 2014-03-19

Family

ID=3956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84A KR101376176B1 (ko) 2006-12-18 2007-11-14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34534B2 (ko)
KR (1) KR101376176B1 (ko)
CN (1) CN101204254B (ko)
TW (1) TWI4210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8157A1 (en) * 2014-11-24 2017-09-14 Pfanner Schutzbekleidung Gmbh Garment Including an Integrated Po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8245B2 (ja) * 2008-07-08 2013-10-30 株式会社シマノ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DE102021214255A1 (de) * 2021-12-13 2023-06-15 Schöffel Sportbekleidung Gmbh Kleidungsstü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311A (ja) 2000-01-26 2001-08-03 Shimano Inc 浮力材付き衣服
JP2002058405A (ja) 2000-08-23 2002-02-26 Daiwa Seiko Inc 釣用救命胴衣
JP2003239116A (ja) 2002-02-15 2003-08-27 Kenji Hanami 衣 服
JP2006176925A (ja) 2004-12-22 2006-07-06 Shimano Inc 浮力材を有するベス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206B1 (ja) * 1999-05-28 2000-09-1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サポーター
JP2001130484A (ja) * 1999-11-04 2001-05-15 Daiwa Seiko Inc フロ−ティングベスト
JP2001200412A (ja) * 2000-01-17 2001-07-27 Shimano Inc レジャーウェア
JP3831674B2 (ja) * 2001-08-15 2006-10-11 株式会社シマノ 浮力材付き衣服及び浮力材付きベスト
JP2004229554A (ja) * 2003-01-30 2004-08-19 Shimano Inc 釣り用上衣
CN1520759B (zh) * 2003-01-31 2010-12-08 株式会社岛野 钓鱼用上衣
JP4454435B2 (ja) * 2004-08-24 2010-04-21 株式会社シマノ 身体装着体
JP2006089016A (ja) * 2004-08-24 2006-04-06 Shimano Inc 身体装着体
JP4761518B2 (ja) * 2005-07-14 2011-08-31 株式会社シマノ 身体装着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311A (ja) 2000-01-26 2001-08-03 Shimano Inc 浮力材付き衣服
JP2002058405A (ja) 2000-08-23 2002-02-26 Daiwa Seiko Inc 釣用救命胴衣
JP2003239116A (ja) 2002-02-15 2003-08-27 Kenji Hanami 衣 服
JP2006176925A (ja) 2004-12-22 2006-07-06 Shimano Inc 浮力材を有するベス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8157A1 (en) * 2014-11-24 2017-09-14 Pfanner Schutzbekleidung Gmbh Garment Including an Integrated P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4254B (zh) 2011-09-07
CN101204254A (zh) 2008-06-25
TW200840497A (en) 2008-10-16
JP2008150742A (ja) 2008-07-03
TWI421038B (zh) 2014-01-01
KR20080056629A (ko) 2008-06-23
JP4834534B2 (ja)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8252T3 (es) Diente de doble cara metálico y cierre de cremallera
KR101376176B1 (ko)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JP3575007B2 (ja) 車両用シート
US11154127B2 (en) Clamshell pack
JP6338844B2 (ja) ペット収容具
JP5095283B2 (ja)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KR20080049620A (ko) 낚시용 상의의 포켓 구조
JP5095282B2 (ja)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JP6333543B2 (ja) ペット収容具
JP2009019298A (ja) 浮力材付き釣り用上着
KR101376177B1 (ko) 부력재 부착 낚시용 상의
JP7159826B2 (ja) 鞄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鞄
KR101254072B1 (ko) 신체 장착옷
KR101350647B1 (ko) 후크 겸용 컨실드 지퍼
JP6857969B2 (ja) 釣り用上着のポケット構造
JP2006188789A (ja) ベスト型身体装着体
JP6204667B2 (ja) 釣り用上着
JP3161321U (ja) ランドセル
JP2005273021A (ja) 掛止具、衣料、掛止具の配設方法
KR100958824B1 (ko) 낚시용 상의
JP2011030986A (ja) ランドセル用カバー
JP2006176925A (ja) 浮力材を有するベスト
JP2004229554A (ja) 釣り用上衣
JP6895932B2 (ja) 帯状体又は紐状体の留め付け構造、及び衣服
JP2008011724A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