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027B1 - 화재 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027B1
KR101375027B1 KR1020070086413A KR20070086413A KR101375027B1 KR 101375027 B1 KR101375027 B1 KR 101375027B1 KR 1020070086413 A KR1020070086413 A KR 1020070086413A KR 20070086413 A KR20070086413 A KR 20070086413A KR 101375027 B1 KR101375027 B1 KR 10137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crew
wall
main body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2042A (ko
Inventor
토시유키 이케하타
Original Assignee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방수형의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회로기판 수납부에 봉지재를 충전할 때에 회로기판에 접속한 리드선이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에 접촉하지 않아 충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감지기 본체와, 센서 또는 전기 부품을 실장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회로기판 수납부와,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회로기판 수납부를 충전하는 봉지재와,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내측에 둘레벽보다 낮은 안내벽을 설치하였다.
방수형, 화재 감지기, 봉지재, 안내벽, 둘레벽, 내측, 회로기판, 리드선

Description

화재 감지기{FIRE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방수형의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리드선이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본체가 천정 등에 나사고정되는 직접 고정형의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간단하게 고정이 가능한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방수형의 화재 감지기는 리드선이 충전제의 표면으로부터 뻗어 나올 때,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에 대해서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은 아니었다. 또,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천정에 고정할 때에 손으로 본체를 천정에 눌러 붙이면서 한 쌍의 부착 구멍을 나사고정하므로 작업 효율이 좋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589154호 공보
종래, 방수형의 화재 감지기는 리드선이 회로기판 수납부의 바닥부 부근을 경유하여 충전제의 표면으로부터 뻗어 나올 때,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에 접촉하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리드선의 주위가 충전 불량으로 되어 방수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최초로 천정의 소정 위치에 두 개의 부착나사로 나사고정하고 있으므로, 화재 감지기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 조정을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방수형의 화재 감지기의 회로기판 수납부에 봉지재를 충전할 때에 회로기판에 접속한 리드선이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에 접촉하지 않아 충전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본체가 천정 등에 나사고정 되는 직접 고정형의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소망의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이 가능한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감지기는, 감지기 본체와, 센서 또는 전기 부품을 실장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회로기판 수납부와,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회로기판 수납부를 충전하는 봉지재(封止材)와,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내측에 둘레벽보다 낮은 안내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리드선이, 봉지재의 충전시에 상기 둘레벽에 대해서 소정의 간극을 두도록 안내벽에 의해 유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감지기는, 천정에 부착나사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쌍의 대략 긴 구멍 형상의 나사 부착 구멍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나사 부착 구멍의 어느 한쪽에, 상기 천정에 고정된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는 절결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천정에 부착나사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쌍의 대략 긴 구멍 형상의 나사 부착 구멍과, 상기 나사 부착 구멍의 구멍 주위벽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구멍 주위벽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는 절결부와, 상기 천정에 고정된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이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고 나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하여 상기 나사 부착 구멍까지 안내하는 나사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감지기는, 회로기판에 접속된 리드선이 봉지재를 충전할 때에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의 내측에 설치된 안내벽에 의해 중앙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리드선이 둘레벽과 접촉하지 않아 충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재 감지기는, 천정 등에 임시로 고정된 한 개의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을 절결부에 삽입한 후, 감지기 본체를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상기 부착나사를 나사 부착 구멍 내에 위치시켜 단단히 조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한 개의 부착나사에 본체를 임시로 고정한 상태로 이 감지기 본체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다른 한 개의 부착나사를 나사고정하여 고정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화재 감지기를 소망의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 능률도 향상된다. 또, 나사 안내부를 설치하였으므로 부착나사를 부드럽게 부착 구멍에 안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의 일례인 열감지기(20)의 배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회로기판 수납부(3)의 둘 레벽(11)과 안내벽(7)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감지기 본체(1)는 중앙에 회로기판 수납부(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 수납부(3)는 열감지부(8)의 삽입통과 구멍(15)과 안내벽(7)을 가지고 있다. 감지기 본체(1)의 경사면(14)의 양측에는 대향하여 열감지기(20)를 천정 등에 달기 위한 나사 부착 구멍(4a, 4b)이 설치되어 있다. 감지기 본체(1)의 전면측은 열감지부(8) 및 집열판(9)을 보호하는 프로텍터(protector)(10)가 장착되어 있다. 열감지기(20)는 회로기판 수납부(3)를 봉지재(6)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나사 부착 구멍(4a)은, 대략 긴 구멍 형상을 이루고, 한편 제2 나사 부착 구멍(4b)은 대략 긴 구멍 형상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사 안내부(1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천정에 임시로 고정된 제1 부착나사(18)는, 즉석에서 나사 안내부(12)에 의해 제2 나사 부착 구멍(4b)까지 유도된 후에 나사고정된다. 또, 도시하지 않는 제2 부착나사는 제1 나사 부착 구멍(4a)에 나사고정된다. 이에 의해 열감지기(20)를 천정에 고정하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의 일례의 열감지기(20)의 나사 안내부(1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즉, 제2 나사 부착 구멍(4b)의 선단부(4d)측, 즉 감지기 본체(1)의 중심측의 구멍 주위벽(4g)에는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제2 나사 부착 구멍(4b)은 감지기 본체(1)의 중심을 향해 개구한 U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절결부는 제1 부착나사(18)의 머리 부분(18a)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6)의 근방에는 나사 안내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 안내부(12)는 수평 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좌우방향 규제 부재(12a)와 수직 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상하방향 규제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멍 주위벽(4g) 근방에는 복수의 보강 돌기(4f)를 설치하고 있다.
회로기판 수납부(3)의 둘레벽(11)은 회로기판(2)을 수납할 수 있는 정도로 대략 네모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11)의 높이는 회로기판(2)에 실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 부품을 봉지재(6)의 충전으로 완전하게 봉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회로기판(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5)은 회로기판 수납부(3)의 바닥부(13)에 설치한 안내벽(7)을 경유할 때에 중앙 방향으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봉지재(6)의 표면 높이에 있어서 리드선(5)과 둘레벽(11)은 접촉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충전된 봉지재(6)는 리드선(5)과 둘레벽(11)의 간극으로 흘러들어가고, 리드선(5)의 외주는 봉지재(6)로 확실하게 덮여진다. 따라서, 봉지재(6)의 충전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열감지기(20)의 회로기판(2)은 침수하지 않는다.
안내벽(7)은 판 형상을 이루고, 회로기판 수납부(3)의 바닥부(13)에 임의로 배치된다. 안내벽(7)의 치수 형상은 회로기판 수납부(3)의 리드선(5)의 위치나 개수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또, 열감지기(20)에 있어서는 복수의 리드선(5)의 주위에 격벽(7a)을 설치하고 있지만 격벽(7a)은 없어도 좋다. 또한, 안내벽(7)과 격벽(7a)의 높이는 회로기판 수납부(3)의 둘레벽(11)보다 낮게 되어 있고, 봉지재(6)가 둘레벽(11)의 높이 부근까지 충전되면, 안내벽(7)과 격벽(7a)은 메워지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봉지재(6)는 안내벽(7)과 격벽(7a)에 의한 균열이나 박리는 생기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열감지기(20)의 조립 순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회로기판(2)은 미리 도시하지 않는 전자 부품, 열감지부(8) 등이 탑재되고, 복수의 리드선(5)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감지기 본체(1)의 회로기판 수납부(3)에 회로기판(2)을 넣는다. 이때 열감지부(8)와 리드선(5)은 회로기판 수납부(3)의 바닥부(13)측으로 하지만, 리드선(5)은 안내벽(7)에 의해 회로기판 수납부(3)의 정수리부측을 향해 절곡시킨다. 이때 열감지부(8)는 감지기 본체(1)에 설치한 삽입통과 구멍(15)에 삽입통과시킨다. 회로기판(2)은 감지기 본체(1)의 도시하지 않는 위치 결정에 의해 임시로 고정된 후 나사고정된다.
다음에, 열감지부(8)의 선단에 집열판(9)을 넣어 부착하고 도시하지 않지만 조임부는 접착제 등으로 보호한다. 또한, 감지기 본체(1)에 프로텍터(10)를 계지(係止)하여 고정한다. 감지기 본체(1)와 프로텍터(10)는 접착이나 용착이나 나사고정 등으로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회로기판 수납부(3)에 봉지재(6)를 충전한다. 이때 충전재(6)의 표면 높이는 회로기판 수납부(3)의 정수리면 이하로 하고, 또한 안내벽(7)의 정수리면 이상으로 한다. 또, 복수의 리드선(5)은 안내벽(7)에 의해 둘레벽(11)에 대해서 간극을 두고, 그 간극에 충전재(6)가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충전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봉지재(6)의 경화 중에 리드선(5)이 둘레벽(11)과 접촉하지 않게 치구 등으로 고정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는 필요가 없다. 또, 열감지기(20) 이외에 화염 감지기, 연기 감지기 등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천정면에의 부착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재 감지기의 일례의 열감지기(20)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천정(25)의 관통 구멍(27) 근방의 소정의 개소에 제1 부착나사(18)를 임시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머리 부분(18a)의 바닥면(18c)과 천정(25)의 간격은 구멍 주위벽(4g)의 높이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천정(25)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설치되어 있는 감지기 배선(29)과 열감지기(20)의 리드선(5)을 압접하여 일체로 한다.
다음에, 이 열감지기(20)의 감지기 본체(1)를 손에 쥐고 절결부(16)에 제1 부착나사(18)의 머리 부분(18a)을 가까이 한다. 이때 절결부(16)는 제1 부착나사(18)의 위치를 하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절결부(16)를 제1 부착나사(18)의 머리 부분(18a)에 삽입한 후 이 감지기 본체(1)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그렇게 하면 제1 부착나사(18)는 머리 부분(18a)의 외경이 대략 끝부분이 넓은 형상을 이루는 좌우방향 규제 부재(12a)에 맞닿아 이동 방향이 규제되고, 또 머리 부분(18a)의 정수리부(18b)가 대략 볼록 형상을 이루는 상하방향 규제 부재(12b)에 맞닿아 이동 방향이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부착나사(18)가 나사 안내부(12)에 의해 간단하게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수정시키기 때문에, 절결부(16)를 경유하여 제2 나사 부착 구멍(4b)에 안내되고, 그 정수리부(18b)의 바닥면(18c)을 구멍 주위벽(4g)의 계지단 면(係止端面)(4e)을 따라 이동한다. 또, 절결부(16)의 하단의 위치에 맞추어 좌우방향 규제 부재(12a)의 확대 각도나 상하방향 규제 부재(12b)의 천정면의 경사 각도를 설정하여도 좋다.
그렇게 하면 제2 나사 부착 구멍(4b)의 후단부(4c)가 이 제 1의 부착나사(18)에 맞닿아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감지기 본체(1)는 한쪽 잡음의 상태로 되므로 감지기 본체(1)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낙하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감지기 본체(1)를 상기 제 1의 부착나사(18)를 중심으로 하여 이동 또는 회전시켜 열감지기(2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소망의 위치가 결정되면 제1 나사 부착 구멍(4a)에 도시하지 않는 부착나사를 나사고정하여 고정한다. 그 후 상기 제 1의 부착나사(18)를 단단히 조여 도 5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하여 고정 작업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한정하지 않고 감지기 베이스에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재 감지기의 일례의 열감지기(20)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회로기판 수납부(3)의 둘레벽(11)과 안내벽(7)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재 감지기의 일례의 열감지기(20)의 나사 안내부(1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재 감지기의 일례의 열감지기(20)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지기 본체 2 회로기판
3 회로기판 수납부
4a, 4b 나사 부착 구멍
4c 후단부 4d 선단부
4e 계지단면 4f 보강 돌기
4g 구멍 주위벽
5 리드선 6 봉지재
7 안내벽 7a 격벽
8 열감지부 9 집열판
10 프로텍터(protector)
11 둘레벽
12 나사 안내부
12a 좌우방향 규제 부재
12b 상하방향 규제 부재
13 바닥부 14 경사면
15 삽입통과 구멍 16 절결구멍
18 제1 부착나사
18a 머리 부분 18b 정수리부
18c 바닥부 20 열감지기
25 천정
27 관통 구멍
29 감지기 배선

Claims (4)

  1. 감지기 본체와,
    센서 또는 전기 부품을 실장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회로기판 수납부와,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리드선과,
    상기 회로기판 수납부를 충전하는 봉지재와,
    상기 감지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회로기판 수납부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상기 둘레벽과 이격하여 상기 둘레벽과 나란히 뻗어 있으며 상기 둘레벽보다 낮은 안내벽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드선과 상기 둘레벽이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이, 상기 봉지재의 충전시에 상기 둘레벽에 대해서 소정의 간극을 두도록 상기 안내벽에 의해 유도되는 화재 감지기.
  3. 삭제
  4. 천정에 부착나사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한 쌍의 긴 구멍 형상의 나사 부착 구멍과, 상기 나사 부착 구멍의 구멍 주위벽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구멍 주위벽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기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는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나사 부착 구멍까지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가, 수평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끝부분이 넓은 형상의 좌우방향 규제 부재와, 수직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볼록 형상의 상하방향 규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에 의해, 상기 천정에 고정된 부착나사의 머리 부분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어긋남을 수정하여 상기 나사 부착 구멍까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
KR1020070086413A 2006-09-05 2007-08-28 화재 감지기 KR101375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9733 2006-09-05
JP2006239733A JP2008065404A (ja) 2006-09-05 2006-09-05 火災感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042A KR20080022042A (ko) 2008-03-10
KR101375027B1 true KR101375027B1 (ko) 2014-03-14

Family

ID=3919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413A KR101375027B1 (ko) 2006-09-05 2007-08-28 화재 감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065404A (ko)
KR (1) KR101375027B1 (ko)
CN (1) CN101140293B (ko)
TW (1) TWI430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8591B2 (ja) * 2008-10-22 2011-11-30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警報器
JP5484219B2 (ja) * 2010-06-30 2014-05-07 ニッタン株式会社 熱煙複合式感知器
CN106781204B (zh) * 2017-03-09 2017-11-21 江苏迈道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简便的交流烟感器装置
KR101917719B1 (ko) * 2017-08-04 2018-11-13 김현주 방폭형 연기감지기
US11024140B2 (en) 2019-05-06 2021-06-01 Carrier Corporation Air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with communication port acc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674A (ja) 2000-03-06 2001-11-22 Hochiki Corp 火災感知器
JP2002074540A (ja) * 2000-08-30 2002-03-15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JP2004046384A (ja) * 2002-07-10 2004-02-12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100508772B1 (ko) 2005-04-06 2005-08-17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탄성력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부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95A (ja) * 1983-07-13 1985-01-31 株式会社東芝 走行車の端子箱装置
US5053754A (en) * 1990-04-02 1991-10-01 Gaztech Corporation Simple fire detector
US5475222A (en) * 1994-12-05 1995-12-12 Detector Electronics Corporation Ruggedized gas detector
CN2407356Y (zh) * 2000-01-23 2000-11-22 赵首哲 激光反射感烟火灾探测器
CN2752757Y (zh) * 2004-08-17 2006-01-18 袁大奎 一种光电感烟火灾探测器
CN2722244Y (zh) * 2004-08-27 2005-08-31 王殊 一种吸气式烟雾和气体复合火灾探测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674A (ja) 2000-03-06 2001-11-22 Hochiki Corp 火災感知器
JP2002074540A (ja) * 2000-08-30 2002-03-15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JP2004046384A (ja) * 2002-07-10 2004-02-12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100508772B1 (ko) 2005-04-06 2005-08-17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탄성력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부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0293A (zh) 2008-03-12
TW200832290A (en) 2008-08-01
CN101140293B (zh) 2011-12-07
JP2008065404A (ja) 2008-03-21
TWI430208B (zh) 2014-03-11
KR20080022042A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027B1 (ko) 화재 감지기
US7762415B2 (en) Waterproof box for a wiring harness connector
US20080009154A1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00037046A (ko) 방수형 커넥터, 방수형 커넥터의 실장구조 및 방수형 커넥터의 실장방법
JP4848700B2 (ja) 産業用ロボット
US794468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727641B1 (ko) 와이어 하니스의 고정 구조
EP3495211A1 (en) Sensor mount structure
JP4750604B2 (ja) 回路基板収容ケース
JP2006316818A (ja) 樹脂成形ハウジングのセルフタップ用ボス
JP200806051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CN106571708B (zh) 将动力线固定于基础部件的固定用具、固定组件以及固定方法
JP3201242B2 (ja) センサ組立体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63429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ケース
JP2011117853A (ja) 電流検出装置
JP2011097712A (ja) 電気接続箱
JP2007059095A (ja) 基板用コネクタ
JP5135525B2 (ja) 樹脂封止型モジュール
JP2017171219A (ja) 電子制御装置
JP2006332574A (ja) 回路基板ケース
WO2013080588A1 (ja) ダイオードの取付構造
JP6743729B2 (ja) 固定具
JP2009278799A (ja) 電気接続箱
JP6498742B1 (ja)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JP7055763B2 (ja) 保護部品及び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