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169B1 - 광·전기 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전기 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169B1
KR101371169B1 KR1020077021000A KR20077021000A KR101371169B1 KR 101371169 B1 KR101371169 B1 KR 101371169B1 KR 1020077021000 A KR1020077021000 A KR 1020077021000A KR 20077021000 A KR20077021000 A KR 20077021000A KR 101371169 B1 KR101371169 B1 KR 10137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ceiving
transmitting
receptacle hous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414A (ko
Inventor
마사유키 츠노다
츠요시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일체화한 구조를 가지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장착되는 리셉터클 하우징(3)과,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측에서 송신측 모듈(14)을 수납하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와,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측에서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수신측 모듈(11)을 수납하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와,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측에 돌출되는 전기단자(6)와,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송신측 모듈 수납부와 전기단자를 포위하는 일체화된 쉴드 케이스(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전기 복합 커넥터{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일체화한 구조를 가지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기도 하고, 고도 도로교통 시스템(ITS)를 이용하여 차량의 지체 상황을 파악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처리, 관리하는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처리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 전달방법으로서 광 화이버를 이용한 광 정보 전달이 자동차 등의 차량 내에서도 이루어지도록 되어 가고 있다. 광통신은, 광 송신 모듈에서 출력된 광 신호를 광 화이버의 단부에 입사시키고, 그 타단에 설치된 광 수신 모듈에 의해 광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반된다.
광 화이버를 광 수신 모듈이나 광 송신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광접속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광접속장치는 광 수신 모듈 및 광 송신 모듈을 내장한 커넥터와, 커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에 꽂혀있는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이 플러그는 광 화이버의 단부에 취부되어 있다.
또, 차량 내에서는 광 정보뿐만 아니라 전기 신호의 처리, 관리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과 전기 양방의 접속 기능을 구비한 광·전기 복합 커넥터가 알려 져 있다.
광·전기 복합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에 광 송신 모듈과 광 수신 모듈이 취부되고, 이들 모듈의 측방에서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을 관통하는 전기용 단자를 설치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광·전기 복합 커넥터는, 광 송신 모듈, 광 수신 모듈의 외주만을 쉴드 케이스로 에워싸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광 송신 모듈과 광 수신 모듈이 외부에 대하여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광·전기 복합 커넥터는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 있어서 광 커넥터 영역과 전기 커넥터 영역 사이에 도전성 판상 부재를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광 커넥터 영역과 전기 커넥터 영역 사이가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이 도전성 판상 부재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내부 공간만을 칸막이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1-167828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2-193044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2-365475호 공보
이들 광·전기 복합 커넥터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일체화한 것으로부터 생기는 그들 사이의 전자적 결합을 차폐하고, 또 광 송수신 모듈을 외부로부터 전자적으로 차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에 대한 전기 커넥터 영역의 차폐가 충분하지 못하여 전기 커넥터 영역에 전자 노이즈가 입 사하기 쉬운 상태로 되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 도전성 판상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광 송수신 모듈과 전기 커넥터의 전자적 결합은 차폐되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에 대해서는 차폐 효과가 없고, 노이즈 특성이 오히려 악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 원인으로서, 전기 커넥터 영역에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 이외에 도전성 판상부재에 의해 반사한 전사 노이즈가 더 플러그에 입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광·전기 복합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통신·제어 등에 이용되는 집적회로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실장되는 것이 많은데, 최근에는 이들의 집적회로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가 그 주파수나 전력 레벨의 점에서 무시될 수 없는 상황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를 종래보다도 더 제어할 수 있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장착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측에서 송신측 모듈을 수납하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배면측에서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수신측 모듈을 수납하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배면측에 돌출되는 전기단자와,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전기단자의 외면을, 전면 및 하면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포위하는 일체화된 쉴드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를 전자적으로 쉴드하는 쉴드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로부터 상기 전기단자를 전자적으로 쉴드하는 쉴드 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개구부측 전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서 상기 수신측 모듈에 광신호를 전반하는 방향에는 통상의 제 1 페룰(ferrule)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측 모듈로부터 광신호를 전반시키는 방향에는 통상의 제 2 페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서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송신측 모듈 수납부와 전기단자를 쉴드 케이스에 의해 일체화하여 포위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집적회로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실장한 때에, 리셉터클 하우징의 후방에 있는 수신측 모듈, 송신측 모듈 및 전기단자로의 전자 노이즈의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 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광·전기 복합 커넥터 2;개구부
3;리셉터클 하우징 4;플러그 접속 스페이스
5;단자 고정부 6;전기단자
7;수신측 광결합부 7a;제 1 페룰 수용부
7b;수신측 모듈 결합부 8;송신측 광결합부
8a;제 2 페룰 수용부 8b;송신측 모듈 결합부
8c;송신측 모듈 수납부 9;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
10;수신측 계지체 11;수신측 모듈
12;송신측 계지체 13;렌즈
14;송신측 모듈 15;송신측 IC
16,26,36;쉴드 케이스 16a;광모듈 쉴드부
16b;전기단자 쉴드부 16c;경계 쉴드부
16d,16e;쉴드 벽 16f;단차부
16g,16h;쉴드 벽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하부에서 바 라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광·전기 복합 커넥터는, 일단(정면)에 개구부(2)를 갖춘 리셉터클 하우징(3)을 구비하고, 리셉터클 하우징(3)의 내부에는 개구부(2)에 통하는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는 개구부(2)를 통하여 플러그(30)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은 횡방향으로 전기 커넥터 영역과 광 커넥터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전기 커넥터 영역의 타단면(배면)에는 두꺼운 두께의 단자 고정부(5)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자 고정부(5)에는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부로부터 리셉터클 하우징(3) 배면의 외부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전기단자(6)가 취부되어 있다.
그들 전기단자(6)는, 예를 들면 상하좌우로 간격을 두고 4개 배치되어 있으며,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에서는 플러그(30)의 잭부(33)에 들어맞는 길이와 방향을 가지는 한편, 리셉터클 하우징(3) 배면의 후방에서는 L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굽어지고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3)의 저면보다 아래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3)의 광 커넥터 영역의 타단(배면)에는, 리셉터클 하우징(3)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걸쳐 중공의 수신측 광결합부(7)와 중공의 송신측 광결합부(8)가 각각 인접하여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수신측 광결합부(7)의 일단에는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에서 플러그(30) 선단의 제1광 화이버용 페룰(31)을 삽입하는 크기를 가지는 통상의 제1페룰 수용부(7a)가 형성되고, 또, 수신측 광결합부(7)의 타단에는 내부가 통상인 수신측 모듈 결합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후단 개구부에는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이 접속되어 있다.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의 일단은,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에 삽입됨과 동시에 수신측 광결합부(7) 내에 전반되는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광통과공(9a)이 형성된 접속부(9b)를 가지고 있다. 또,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의 타단은, 전기단자(6)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넓게 내어 붙인 수신측 모듈 수납부(9c)를 가지고 있다.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의 후단 개구부는, 절연성 수지 또는 도선성 수지로 된 수신측 계지체(10)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며, 수신측 계지체(10) 중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내로 향하는 면 위에는 수신측 모듈(11)이 취부되어 있다. 수신측 모듈(11) 내에는 수신소자(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수신소자는 그 수신면이 수신측 광결합부(7) 내의 광축 연장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또, 수신측 모듈(11)의 하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의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도선성단자(11a)가 취부되어 있다.
송신측 광결합부(8)의 일단에는,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에서 플러그(30) 선단에 있는 제2광 화이버용 페룰(32)를 삽입하는 크기를 가지는 통상의 제2페룰 수용부(8a)가 형성되고, 또, 송신측 광결합부(8)의 타단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는, 송신측 모듈 결합부(7b)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또 내부가 통상인 송신측 모듈 결합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송신측 모듈 결합부(8b) 내에 있는 광통과공에는 렌즈(13)가 끼워져 있다.
송신측 모듈 결합부(8b)의 후단에는, 송신측 모듈(14)을 수납하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8c)가 수신측 광결합부(7)와 반대측으로 내어 붙인 부분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의 후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는, 절연성 수지 또는 도전성 수지로 된 송신측 계지체(1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송신측 계지체(12) 중 송신측 모듈 수납부(8b) 내로 향하는 면 위에는 송신측 모듈(14)이 취부되어 있다. 송신측 모듈(14)에는 발광소자(미도시)가 내장되고, 그 발광소자의 발광면이 송신측 광결합부(8) 내의 광축 연장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송신측 모듈(14)이 배치된다. 또, 송신측 모듈(14)에는 송신측 광결합부(8)의 하면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도전성단자(14a)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송신측 모듈(14)에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송신측 IC(15)가 내장되어 있다.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의 후단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의 후단과 전후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로 나란하게 있다. 이에 의해,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각각의 후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송신측 계지체(12)와 수신측 계지체(10)는, 전후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나란하게 취부되어 있다.
한편, 제1페룰 수용부(7a) 및 수신측 모듈 결합부(7b)를 구비한 수신측 광결합부(7b)와, 제2페룰 수용부(8a), 송신측 모듈 결합부(8b) 및 송신측 모듈 수납 부(8c)를 구비한 송신측 광결합부(8)는, 각각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와 함께 절연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수지로서 예를 들면, 글래스 필러 첨가의 폴리부틸렌테레후타레이트(PBT)가 있다. 또한, 상기한 도전성 수지로서, 예를 들면 카본 필러 첨가의 PBT가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후방에 있는 송신측 모듈 결합부(8b), 송신측 모듈 수납부(8c),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및 전기단자(6)의 외면은 전면 및 하면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금속제 쉴드 케이스(16)에 의해 피복되어 포위되어 있다.
쉴드 케이스(16)의 광 모듈 쉴드부(16a)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각각의 상면, 측면, 배면을 피복함과 아울러 송신측 모듈 수납부(8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을 피복하고 있다. 또, 쉴드 케이스(16)의 전기단자 쉴드부(16b)는 전기단자(6)의 주위 중 수신측 모듈 결합부(7b) 및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에 둘러 쌓이지 않은 부분과 하방을 제외하고 전기단자(6)를 측방, 후방 및 상방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피복되어 있다. 또한, 쉴드 케이스(16)의 모듈 결합영역 쉴드부(16c)는 송신측 모듈 결합부(8b)와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상면 및 송신측 모듈 결합부(8b)의 측면을 피복하고 있다.
광 모듈 쉴드부(16a)와 전기단자 쉴드부(16b)와 모듈 결합영역 쉴드부(16c)는, 예를 들면, 황동 금속판을 절곡하여 가공한 박스형의 것으로 전자적으로 묶여 있다.
한편, 도 1, 도 2에서 부호 18은 리셉터클 하우징(3)의 배면 중앙 부근에 형 성된 위치결정핀, 19는 리셉터클 하우징(3)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편, 20은 리셉터클 하우징(3)의 양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나사 멈춤 고정부, 21은 나사 멈춤 고정부(20)에 형성된 나사공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적회로(미도시)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35) 상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30)를 광·전기 복합 커넥터(1)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플러그(30)의 선단 측부를 리셉터클 하우징(3) 정면의 가이드편(19)에 접하게 하면서 플러그(30)를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에 끼워 넣으면, 도 1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30)의 잭부(33)에는 전기단자(6)의 일단이 꽂히고, 또 제1광 화이버용 페룰(31)이 제1페룰 수용부(7a)에 삽입되며, 제2광 화이버용 페룰(32)이 제2페룰 수용부(8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회로기판(35) 상의 전기부품(미도시)은 전기단자(6)와 잭부(33)와 회로기판(35) 상의 배선(미도시)을 개재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제1광 화이버용 페룰(31)을 통과한 광신호는 수신측 광결합부(7)를 전반하여 수신측 모듈(11)의 수광소자로 입력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또, 송신측 모듈(14)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는 송신측 광결합부(8) 내를 전반하여 제2광 화이버용 페룰(32)로 입력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금속으로 형성된 쉴드 케이스(16)는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 하측과 전측을 제외하고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를 포함하는 영역을 외측 주위로부터 전체적으로 피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로기판(35), 그외 외부로부터의 전자적 노이즈가 수신측 모듈(11)에 입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수신측 모듈(11)의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금속제의 쉴드 케이스(16)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을 주위 및 상방으로부터 포위하고, 게다가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 있는 전기단자(6)의 외주 및 상방을 포위하고 있으므로,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를 외부의 전자 노이즈로부터 차폐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뒤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로의 회로기판(35), 그외 외부로부터의 전자적 노이즈의 침입이 방지되어, 내부에서의 전자적 노이즈 반사가 미연에 방지된다.
게다가,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서 전기단자(6)를 외부로부터 에워싸는 전기단자 쉴드부(16b)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와 함께 외부로부터의 이물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또,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는 광통과공(9a) 및 그 주변을 제외하고 수신측 모듈(11)을 포위하므로,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를 도전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면, 수신측 모듈(11)은 쉴드 케이스(16),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자적으로 차폐되게 된다. 이에 의해 회로기판(35), 그 외 다른 외부로부터의 전자적인 노이즈가 수신측 모듈(11)에 입사하는 것을 막으므로, 수신측 모듈(11)의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계지체(10)를 도전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경우, 이들과 금속으로 된 쉴드 케이스(16)는 각각 전자적인 차폐가 목적이나, 이들의 구성재료가 상위하기 때문에 노이즈의 주파수대에 의해 차폐효과가 다르다. 즉, 도전성 수지로 된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는 비교적 저주파측, 예를 들면 100MHz 이하의 전자적 차폐에 이용되고, 금속제의 쉴드 케이스(16)는 비교적 고주파측, 예를 들면 400MHz 이상의 전자적 차폐에 이용된다. 따라서,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의 배치 영역과 쉴드 케이스(16)의 배치 영역이 겹치는 영역에서는 그들의 차폐효과가 중첩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의 예에서는 수신측 모듈(11)의 주위를 도전성 수지로 포위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송신측 모듈(14) 또는 수신측 모듈(11)의 일측 또는 양측 주위를 도전성 수지로 포위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 비교적 저주파측의 전자적 차폐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송신측 모듈(14) 및 수신측 모듈(11)의 쌍방 주위를 절연성 수지로 포위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제2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의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 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쉴드 케이스(16)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 모듈 쉴드부(16a)와 전기단자 쉴드부(16b)와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를 가지는 외에, 리셉터클 하우징(3)의 배면측에서 수신측 광결합부(7)와 송신측 광결합부(8) 사이에 끼워져 있는 황동 등의 금속으로 된 제1쉴드 벽(16d)을 가지고 있다. 제1쉴드 벽(16d)은 광 모듈 쉴드부(16a), 전기단자 쉴드부(16b) 및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에 전자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쉴드 벽(16d)은 송신측 모듈(14) 내의 송신측 IC(15)로부터 리셉터클 하우징(3) 내의 전기단자(16)로의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는 형성 및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쉴드 벽(16d)은 금속판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광 모듈 쉴드부(16a) 등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혹은 별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조의 광·전기 복합 커넥터(1)에 의하면,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후방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의 오부로부터의 침입이 쉴드 케이스(16)에 의해 차폐된다.
게다가, 수신측 광결합부(7)와 송신측 광결합부(8) 사이에 있는 제1쉴드 벽(16d)은 송신측 모듈(14) 내의 송신측 IC(15)로부터 전기단자(6)로 방사되는 전 자 노이즈를 차폐하므로, 쉴드 케이스(16)와 함께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를 충분히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3의 화살표). 또한, 제1쉴드 벽(16d)은 송신측 모듈(14)과 수신측 모듈(11)의 상호간을 전자적으로 쉴드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IC(15)로부터의 전자 노이즈가 회로기판(35)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보다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제1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쉴드 벽(16d)을 설계하지 않아도 좋다.
(제3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쉴드 케이스(16)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 모듈 쉴드부(16a), 전기단자 쉴드부(16b),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를 가지는 외에,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연속하여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e)을 가지고 있다.
광 모듈 쉴드부(16a), 전기단자 쉴드부(16b),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 및 제2쉴드 벽(16e)은, 예를 들면 황동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가공한 박스형상의 것으로서 묶여 있다. 이에 의해, 전기단자(6)는 제2쉴드 벽(16e)과 전기단자 쉴드부(16b)에 의해 전방 및 하방을 제외하고 포위된 상태로 되어 외부로부터 전자적으로 차폐됨과 함께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로부터 전자적으로 차폐된 상태로 된다.
상기 구조의 광·전기 복합 커넥터(1)에 의하면,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이 쉴드 케이스(16)에 의해 차폐된다. 게다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e)은 송신측 모듈(14), 수신측 모듈(11)로부터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로부터 전기단자(6)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 도 3, 도 4와 동일 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쉴드 케이스(16)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 모듈 쉴드부(16a)와, 전기단자 쉴드부(16b)와,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를 가지는 외에, 제2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신측 광결합부(7)와 송신측 광결합부(8) 사이에 끼워진 제1쉴드 벽(16d)과, 제3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연속하여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e)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쉴드 케이스(16)를 구비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송신측 모듈(14), 수신측 모듈(15)로부터 전기단자(6)로 방사될 염려가 있는 전자 노이즈를 제1, 제2쉴드 벽(16d,16e)에 의해 차폐하여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 쉴드 벽(16d)에 의해 송신측 모듈(14)과 수신측 모듈(11) 상호간을 전자적으로 쉴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쉴드 케이스(16)에 의하면,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 있어서, 수신측 모듈(11) 및 송신측 모듈(14), 전기단자(6)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을 각각 개별로 차폐할 수 있다.
(제5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의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을 가지고 있다. 또, 리셉터클 하 우징(3)의 배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늘어서 존재하는 수신측 광결합부(7) 및 송신측 광결합부(8)가 각각 인접하여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수신측 광결합부(7)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내측에 형성된 통상의 제1페룰 수용부(7a)와, 리셉터클 하우징(3)의 배면보다 뒤에 형성된 통상의 수신측 모듈 결합부(7b)를 가지고 있다. 또,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후부 개구부에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신측 모듈(11)를 수용하는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의 접속부(9b)가 접속되고, 그 광통과공(9a)의 축이 수신측 광결합부(7)의 내부 축과 일치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또한,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의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의 내에는 수신측 모듈(11)이 취부되고, 또, 그 후단의 개구부에는 수신측 계지체(10)가 끼워져 있다.
송신측 광결합부(8)는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에서 플러그 선단에 있는 제2광 파이버용 페룰(32)을 삽입하는 크기를 가지는 통상의 제2페룰 수용부(8a)가 일단에 형성되고, 또, 타단에는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서 송신측 모듈(14)을 수납하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송신측 모듈 수납부(8c)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에 대하여 리셉터클 하우징의 개구부(2) 측, 전방 위치에 배치되며, 그 후부의 개구부에는 송신측 계지체(12)가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의 후단과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의 후단 사이에는 단차가 이루어져 있다.
수신측 모듈 수납부(8c)와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전기단자(6)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서 쉴드 케이스(16)에 포위되어 있다. 쉴드 케이스(16)는 제1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조에 더하여,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사이의 단차에 맞는 형상의 단차부(16f)를 가지고 있다. 또 쉴드 케이스(16)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의 앞부분의 홈에 끼워져 있는 경사진 전방을 쉴드하는 끼움부(16k)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면 중 부호 17은 쉴드 케이스(16)를 외측에서 누르는 틀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쉴드 케이스(16)를 구비한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 또는 도전성 수지로 된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통과공(9a) 및 그 주변을 제외하고 수신측 모듈(11)을 포위하고 있다.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및 수신측 계지체(10)가 도전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로기판(35), 그 외 외부로부터의 전자적인 노이즈가 수신측 모듈(11)에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수신측 모듈(11)의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으로 형성된 쉴드 케이스(16)는, 리셉터클 하우징(1)의 후방 하측과 앞측을 제외하고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를 포함하는 영역을 외측주위로부터 피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금속제의 쉴드 케이스(16)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를 주위 및 상방으로부터 포위하고,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 있는 전기단자(6)를 일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포위하고 있으므로,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전기단자(6)를 외부 노이즈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게다가,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에 대하여 송신측 모듈 수납부(8c)가 전방의 위치로 되고, 수신측 모듈 수납부(9c)의 측면과 송신측 모듈 수납부(8c)의 배면을 피복하는 쉴드 케이스(16)의 단차부(16f)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내의 수신측 모듈(11)과 송신측 모듈 수납부(8c) 내의 송신측 모듈(14) 사이를 전자적으로 차폐하므로, 서로 전자적 노이즈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뒤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로의 회로기판(35) 등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이 방지되고, 내부에서의 전자 노이즈의 반사가 미연에 방지된다.
(제6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6과 동일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5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틀체(17),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3)의 배면측에 있어서 수신용 광결합부(7)와 송신용 광결합부(8) 사이의 홈에는, 황동 등의 금속으로 된 제1쉴드 벽(16g)가 끼워져 있 고, 제1쉴드 벽(16g)은 쉴드 케이스(16)에 전자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쉴드 벽(16g)은 송신측 모듈(14) 내의 송신측 IC(15)로부터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조의 광·전기 복합 커넥터(1)에 의하면,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의 후방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의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쉴드 케이스(16)에 의해 차폐된다. 게다가, 수신용 광결합부(7)와 송신용 광결합부(8) 사이에 있는 제1쉴드 벽(17g)은, 송신측 모듈(14) 내의 송신측 IC(15)로부터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 내의 전기단자(6)로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도 7 화살표)를 차폐하므로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를 충분히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7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6과 동일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5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틀체(17),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또, 쉴드 케이스(16)는 제5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 모듈 쉴드부(16a)와 전 기단자 쉴드부(16b)와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를 가지는 외에, 리셉터클 하우징(3)의 배면측에 있어서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h)을 가지고 있다.
광 모듈 쉴드부(16a), 전기단자 쉴드부(16b), 결합부 쉴드부(16c), 제2쉴드 벽(16h)은, 예를 들면 황동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가공한 박스형상의 것으로 전자적으로 묶여 있다.
상기 구조의 광·전기 복합 커넥터(1)에 의하면, 제5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3)의 플러그 접속 스페이스(4)의 후방에 있는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모듈(14) 및 전기단자(6)에 회로기판(35) 등의 외부로부터 전자 노이즈의 침입이 쉴드 케이스(16)에 의해 차폐된다.
또,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h)은, 송신측 모듈(14), 수신측 모듈(11)로부터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로부터 전기단자(6)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8실시 형태)
도 9은 본 발명의 제8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아래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6, 도 7, 도 8과 동일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광·전기 복합 커넥터(1)는,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셉터클 하우징(3), 단자 고정부(5), 전기단자(6), 수신측 광결합부(7), 송 신측 광결합부(8), 수신측 모듈 수납 소켓(9), 수신측 계지체(10), 수신측 모듈(11), 송신측 계지체(12), 송신측 렌즈(13), 송신측 모듈(14), 쉴드 케이스(16), 위치결정핀(18), 가이드편(19), 나사 멈춤 고정부(20) 등을 가지고 있다.
쉴드 케이스(16)는 제5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광 모듈 쉴드부(16a)와 전기단자 쉴드부(16b)와 모듈 결합 영역 쉴드부(16c)를 가지는 외에, 제6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신측 광결합부(7)와 송신측 광결합부(8)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제1쉴드 벽(16g)과, 제7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신측 모듈 수납부(9c) 중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면과 수신측 모듈 결합부(7b)의 측면을 피복하는 제2쉴드 벽(16h)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쉴드 케이스(16)를 갖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에 있어서, 송신측 모듈(14), 수신측 모듈(11)로부터 전기단자(6)로 방사되는 전자 노이즈를 제1, 제2쉴드 벽(16g,16h)에 의해 차폐하여 전기단자(6)로의 전자 노이즈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쉴드 케이스(16)에 의하면, 리셉터클 하우징(3)의 후방에 있어서, 수신측 모듈(11) 및 송신측 모듈(14), 전기단자(6)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을 각각 개별로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전기 복합 커넥터의 실시 형태는, 전술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35) 상의 집적회로 등의 배치에 의해서는 리셉터클 하우징(3)의 측면 등에 쉴드 케이스(16)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도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전자 노이즈를 종래보다도 더 잘 제어할 수 있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장착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측에서 송신측 모듈을 수납하는 송신측 모듈 수납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배면측에서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수신측 모듈을 수납하는 수신측 모듈 수납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배면측에 돌출되는 전기단자; 및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전기단자의 외면을, 전면 및 하면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포위하는 일체화된 쉴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로부터 상기 전기단자를 전자적으로 쉴드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쉴드 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를 전자적으로 쉴드하는 쉴드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는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개구부측 전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서 상기 수신측 모듈에 광신호를 전반하는 방향에는 통상의 제 1 페룰(ferrule)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측 모듈로부터 광신호를 전반시키는 방향에는 통상의 제 2 페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모듈 수납부와 상기 송신측 모듈 수납부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 커넥터.
  6. 삭제
KR1020077021000A 2006-01-31 2007-01-30 광·전기 복합 커넥터 KR101371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2344 2006-01-31
JP2006022344 2006-01-31
PCT/JP2007/051524 WO2007088863A1 (ja) 2006-01-31 2007-01-30 光、電気複合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414A KR20080091414A (ko) 2008-10-13
KR101371169B1 true KR101371169B1 (ko) 2014-03-07

Family

ID=3832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000A KR101371169B1 (ko) 2006-01-31 2007-01-30 광·전기 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31058A1 (ko)
EP (1) EP1981126A4 (ko)
JP (1) JP4851462B2 (ko)
KR (1) KR101371169B1 (ko)
CN (1) CN101310417A (ko)
WO (1) WO2007088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8314B2 (en) 2007-03-30 2013-03-19 Intel Corporation Optical universal serial bus (USB)
CN104793299B (zh) * 2009-09-18 2020-10-16 英特尔公司 组合光和电气接口
EP2478597B1 (en) 2009-09-18 2020-07-01 Intel Corporation Combined optical and eletrical interface
US8682003B2 (en) 2009-11-19 2014-03-25 Apple Inc. Equipment with optical paths for noise cancellation signals
US8577195B2 (en) * 2009-11-19 2013-11-05 Apple Inc. Interface accessorie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paths
US8651750B2 (en) * 2009-11-19 2014-02-18 Apple Inc. Audio connectors with optical structures and electrical contacts
US8718294B2 (en) * 2009-11-19 2014-05-06 Apple Inc. Audio connectors with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capabilities
US8573861B2 (en) * 2009-11-19 2013-11-05 Apple Inc. Audio jack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paths
US8620162B2 (en) 2010-03-25 2013-12-31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transmitters
US8565562B2 (en) 2010-09-21 2013-10-22 Intel Corporation Connector optical lens with alignment features
JP2012215153A (ja) * 2011-04-01 2012-11-08 Denso Corp 電子部品装置
US9011022B2 (en) 2012-05-29 2015-04-21 Intel Corporation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interface
CN106532381B (zh) * 2016-12-30 2018-11-30 珠海市业成轨道交通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动车用控制及网络集中的圆形连接器系统
WO2018235633A1 (ja) * 2017-06-19 2018-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プラグ、及び接続装置
CN114077020A (zh) * 2020-08-18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复合模块及其制造方法
CN115113344A (zh) * 2021-03-18 2022-09-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无接触式连接器及其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408A (en) * 1994-10-12 1996-06-18 Methode Electronics, Inc. Small footprint optoelectronic transceiver with laser
US20020164899A1 (en) * 2001-05-07 2002-11-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JP2002328272A (ja) * 2001-04-27 2002-11-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9905A (ja) * 1986-10-27 1988-05-14 Sankyo Seiki Mfg Co Ltd タレツトヘツドの工具解除装置
JPS63109905U (ko) * 1987-01-09 1988-07-15
JPH03106558U (ko) * 1990-02-21 1991-11-05
JP3067249U (ja) * 1999-09-07 2000-03-31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複合コネクタ
JP3646979B2 (ja) * 1999-12-08 200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JP3885988B2 (ja) * 2000-07-03 2007-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JP3801464B2 (ja) * 2000-07-03 2006-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JP2002193044A (ja) * 2000-12-25 2002-07-10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電子機器
JP2002365475A (ja) * 2001-06-13 2002-12-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
FR2875646B1 (fr) * 2004-09-17 2006-12-29 Thales Sa Embase de connecteur a contacts electriques et optiqu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408A (en) * 1994-10-12 1996-06-18 Methode Electronics, Inc. Small footprint optoelectronic transceiver with laser
JP2002328272A (ja) * 2001-04-27 2002-11-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
US20020164899A1 (en) * 2001-05-07 2002-11-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1058A1 (en) 2008-06-05
JPWO2007088863A1 (ja) 2009-06-25
JP4851462B2 (ja) 2012-01-11
WO2007088863A1 (ja) 2007-08-09
EP1981126A1 (en) 2008-10-15
KR20080091414A (ko) 2008-10-13
EP1981126A4 (en) 2010-02-24
CN101310417A (zh)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169B1 (ko) 광·전기 복합 커넥터
US6341899B1 (en) Hybrid connector
KR100486474B1 (ko) 커넥터
US9348102B2 (en) Pin cadence for high-speed connectors
US20050213871A1 (en) Integral insert molded fiber optic transceiv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CN108808295B (zh) 车载摄像机
EP3745702A2 (en) Camera module
JP2010026345A (ja) 光コネクタ
KR20150130215A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전자기기
US7090410B2 (en) Optical receptacle with low transmission loss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for the same
JP2011100033A (ja) 光コネクタ
JP4256728B2 (ja) 光コネクタ
KR10223153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전기 차폐 부재
JP2015500517A (ja) 光モジュール
EP1102099A2 (en) Hybrid connector
US7186037B2 (en) Optical active connector
KR101565207B1 (ko) 전자 부품
JP5162500B2 (ja) シールドを有する光コネクタ
KR102330376B1 (ko) 광 섬유 커넥팅 구조체
JP5941378B2 (ja) 光コネクタ
US20220281331A1 (en) Lock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Plug Contour of a Charging Socket of an Electric Vehicle
JP6845175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伝送装置
JP2014052506A (ja) 光コネクタ、通信基板、および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