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003B1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003B1
KR101369003B1 KR1020070073831A KR20070073831A KR101369003B1 KR 101369003 B1 KR101369003 B1 KR 101369003B1 KR 1020070073831 A KR1020070073831 A KR 1020070073831A KR 20070073831 A KR20070073831 A KR 20070073831A KR 101369003 B1 KR101369003 B1 KR 10136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information
reproduction procedure
divided
division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154A (ko
Inventor
요시아키 시바타
미노루 가와하라
유우이치 모토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Abstract

기록장치가 제공된다. 기록 장치는, 동영상 및/또는 음성의 정보로 분할하고, 분할된 소재를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기록 장치는, 상기 소재를 복수의 분할된 소재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소재에 대한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순서 정보를, 상기 각 분할 소재마다 작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접속시키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분할 소재, 및 상기 분할된 소재에 대한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순서 정보를, 상기 각 분할 소재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73831
기록부, 인터페이스부, 편집 리스트, 분할 소재, 재생 순서 정보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 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 방법{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image capt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nd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2006년 7월 31일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 JP2006-208677호에 기재된 주제와 관련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해, 기록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 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촬상 기록 장치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로 촬상한 비디오 데이터(동영상)나 오디오 데이터(음성) 등을, 반도체 메모리에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촬상 장치를 이용해 촬상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기록하는 경우, 그 데이터 압축 방법으로서는, 인트라 코덱 방식과 인터 코덱 방식의 2개의 방식이 이용되고 있었다. 인트라 코덱 방식은, 촬상한 1 프레임마다 정 지화면으로 압축하는 방식이다. 한편, 인터 코덱 방식은, 1 프레임이 기본이 되는 화상(I 픽쳐)과 기본이 되는 화상에 대한 수 프레임 분의 차분 정보(P픽쳐, B픽쳐 )를 추출 분리해 압축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I픽쳐, P픽쳐, B픽쳐의 프레임의 덩어리를 GOP(Group Of Picture) 로 칭하고 있다. 그리고, 몇 개의 방식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파일로서 기록된다.
근년,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영상, 음성, 문자, 그래픽스 등의 멀티미디어 소재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 언어로서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영상과 음성의 양쪽 모두를, AV(오디오-시각) 소재라고 칭한다. 그리고, 복수의 AV소재에 대해서, 재생해야 할 장소를 열거한 재생 순서 정보를 “편집 리스트(Edit List)”로 칭한다. 편집 리스트는, 플레이 리스트, 비파괴 편집 기술 데이터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임의 길이의 화상 데이터의 단위를 “클립(소재)”으로 칭한다. “클립”은 또, 하나의 파일로서 구성된 AV소재도 의미한다. 그리고 다른 클립을 준비하기 위해, 소정 길이의 구간이 다른 클립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분할된 클립(또는 분할 소재)으로 사용되도록 클립이 분할될 수 있다.
근년,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각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서 취급하고, 그 메타 데이터의 방송국간의 국제 통일을 도모하기 위해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메타 데이터의 형식을 표준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메타 데이터 항목의 사양이 제안되고 있다. 메타 데이터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SMPTE(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전미 영화 텔레비젼 기술자 협회)가 책정한 UMID(Unique Material Identifier)등이 있다. UMID는, 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서 독특한 ID를 부여하여 필요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일시, 국명, 지역, 회사명 등의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32바이트 데이터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번호 2005-309503(JP 2005-309503 A)에는, 시간적으로 연속한 데이터를 복수의 기록 매체(광디스크)에 분할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장착한 기록 매체의 식별자를 포함한 이력 정보를 다중화된 정보내에 포함되도록하고 기록 매체에 재기입 되도록 하여, 기록 매체 이전의 기록 매체의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번호 2005-309504 (JP 2005-309504 A)는 JP 2005-309503 A에 기술된 기술의 기록 매체가 데이터라고 정의한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번호 2004-328073 (JP 2004-328073 A)에는, 시간적으로 연속한 동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2개의 기록 매체에 기입할 때에, 양자를 관련짓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 파일명(예를 들면, 접미어)을 관련짓는 기술(예를 들면, DSCF0001A.AVI와 DSCF0001B.AVI 등), 2) Exif 파일 또는 AVI 파일내의 이용자 영역에 서로의 참조 파일명을 쓰는 기술, 3) 양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파일을 각각의 기록 매체에 제공하는 기술이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번호 2004-328034 (JP 2004-328034 A)에는, 시간 적으로 연속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기록 매체에 분할하고 다른 파일명으로 기록했을 경우에도, 그 동영상 데이터를 한 개의 데이터로 재생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이전에 위치하는 동영상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 뒤에 위치하는 동영상 파일의 관련 정보를 부가하여 기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단의 동영상 파일의 파일명 등을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독립한 텍스트 데이터 파일로서 처음 부분의 1/2과 함께 기록하는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번호 H11-341434(JP H11-341434 A)에는, 편집시 취급을 용이하게 하거나 데이터의 파괴 내성을 높이기 위해, 일련의 동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혹은 데이터량 마다 분할한 파일로서 기록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분할 파일들을 연관시키는 기술로서는, 각 분할 파일의 헤더 부분에, 「전의 파일」정보와 「다음의 파일」정보를 보관 유지해 두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 클립을 복수의 분할 파일로 분할하여 기록하고, 어느 분할 파일과 그 전후의 분할 파일을 관련지어 기술하는 기술은, 전제한 것처럼, 종래에, 다수 보고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술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어디까지나 분할 파일간의 국소 정보에 지나지 않으며, 원래의 장시간(long-duration) 클립 전체의 정보를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의 어느 위치로부터 추출되었는지가 용이하게 검사될 수 없다. 게다가, 어느 분할 파일이 무효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외되는 무효 구간을 지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것은, 종래, 분할 파일의 연관성을 기술하는 경우에, 무효 프레임 구간의 영향의 배제를 지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무효 프레임이란, 예를 들면 GOP 기록에 있어서의 P픽쳐, B픽쳐의 프레임이 유효 구간의 개시 프레임이었을 경우에, 참조되는(시간적으로 이전에 존재하는) I프레임 등이며, GOP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한 인터 코덱 방식으로 데이터를 압축했을 때에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단지 분할 파일의 전후의 링크 관계를 기술하는 것만으로는, 무효 프레임 구간을 중복 재생하는 경우가 생기며,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게다가, 종래에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대해서, 고유의 타이틀 혹은 주석을 용이하게 붙일 수 없었다. 즉, 각각의 분할 파일에 대해서 1개씩 해당 고유 타이틀 혹은 주석을 붙일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예를 들면 다른 분할 파일에 다른 타이틀을 붙여 버렸을 경우에, 파일들을 취급하기 어려웠다.
게다가 특허 문헌 JP 2005-309503 A, JP 2005-309504 A, JP 20045 328073-A, JP 2005-328034와, JP H11-341434 A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어디까지나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분할하고, 어느 분할 파일과 그 직전(경우에 따라 직후)의 분할 파일과의 연관성을 기술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었다. 여기서 분할 파일의 연관성을 기술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JP 2004-328073 A에 개시되어 있듯이 이용자 영역을 이용하면, 범용의 파일 포맷을 채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 영역에 대한 특수한 처리를 별도 추가해야 하게 된다. 또, 특허 문헌 JP H11-341434 A에 개시되어 있듯이 전용의 헤더를 제공하면, 파일 포맷 자체가 독자적인 것이 되어 버려, 기기 의존성이 높아져, 사용의 편리성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분할 파일의 연관성에 대한 기술은, 전용의 처리를 별도 추가할 필요가 있어, 실장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또, 촬상 장치로 촬상하는 화상이 개선됨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 가능한 촬상 시간은 수십분 정도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촬상 장치에 반도체 메모리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복수개 준비해도, 장시간의 촬상을 실시하는 경우, 빈번히 반도체 메모리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경우, 반도체 메모리를 바꾸어 곧바로 데이터를 읽어내고,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전송했다고 해도, 전송한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메타 데이터는 각 반도체 메모리의 정보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연결하여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파일명칭은, 파일 1, 파일 2, … 라고 붙일 수 있다. 그렇지만, 분할 파일의 파일명칭을 연속적인 번호로 붙일 필요는 없으며, 또, 파일명칭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의 순서가 오해되는 가능성이 생겨 버린다. 또, 분할 파일의 차례를 타임 스탬프 등으로 관리해도, 반도체 메모리를 읽어들일 때까지는, 어느 반도체 메모리에 무슨 데이터가 기억되고 있는지를 빨리 알 수 없었다.
삭제
삭제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장시간의 소재(클립)가 분할되어 기록될 경우, 어려움없이 분할 소재를 원래의 장시간의 소재로 재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및/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되는 소재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소재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분할 소재를 작성해, 복수의 분할 소재의 기록 정보가 기술되는 재생 순서 정보를, 분할 소재마다 작성하여, 분할 소재 및 재생 순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분할 소재 및 재생 순서 정보를 재생하고, 분할 소재의 재생 순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생 순서 정보를 참조하면서, 복수의 분할 소재를 연속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록장치가 제공된다. 기록 장치는, 동영상 및/또는 음성의 정보로 분할하고, 분할된 소재를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기록 장치는, 상기 소재를 복수의 분할된 소재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소재에 대한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순서 정보를, 상기 각 분할 소재마다 작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접속시키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분할 소재, 및 상기 분할된 소재에 대한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 순서 정보를, 상기 각 분할 소재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한 재생 순서 정보를 참조하고, 복수의 분할 소재를 연속해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기록 매체에서, 장시간의 소재가 기록되고 있어도 분할 소재를 원래의 장시간의 소재에 용이하게 재구 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분리가능한 복수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고, 영상과 음성의 기록과 재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1)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촬상 장치(1)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어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부(2)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메타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부(3)로 구성된다.
우선, 촬상부(2)를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개구부, 필터 등으로 구성된 광학부(11)로부터 입력된 촬상빛을, 전하결합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s)등으로 구성되는 촬상부(12)가 광전 변환하고,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촬상부(12)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화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비디오 프로세서(13)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3)는, 공급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13)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하는 비디오 신호 압축부(16)로, 변환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비디오 신호 압축부(16)는,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압축한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 압축부(16)는, 비디오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압축한 비디오 신호를 데이터 버스 (20)에 공급한다. 압축한 비디오 신호는, 후술하는 기록부 인터페이스(26)를 통해 기록부(3)에 공급되며, 후술하는 제 1 또는 제 2의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다.촬상부(2)에서 이용되는 각종의 신호, 데이터 등은, 데이터 버스(20)를 통해 각 부에 전송된다.
후술하는 조작부(39)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조작하면, 조작 신호가, 기록부(3)로부터 후술하는 촬상부 인터페이스(41), 기록부 인터페이스(26), 데이터 버스(20)를 통해, 촬상부(2)내의 각 부의 처리를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에 공급된다. 그리고, CPU(21)는, 공급된 조작 신호를 해석한다. 조작 신호를 해석할 때에, CPU(21)는, 읽기만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22)보다,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냄과 동시에, 일시 데이터, 파라미터등을, 기입할 수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23)에 일시 보존한다.
CPU(21)는, 조작부(39)로부터 공급된 조작 신호를, 촬상부(1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카메라 제어기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카메라 제어기(14)에 공급한다. 카메라 제어기(14)는, 공급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조리개 제어, 주밍(zooming), 필터 등의 제어를 실시한다. CPU(21)는, 화상 처리를 지시하는 화상 처리 신호를, 비디오 프로세서 인터페이스(18)를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3)에 공급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3)는, 공급된 화상 처리 신호에 근거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압축 처리 등을 실시한다.
촬상부(2)는, 촬영중의 화상, 재생 화상, 메타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뷰파인더(25)를 갖추고 있다. 데이터 버스(20)를 통해 전송된 촬영중의 화상, 재생 화 상, 메타 데이터 등은, 뷰파인더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액정화면을 가지는 뷰파인더(25)에 표시된다.
다음에, 기록부(3)를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 설명한다. 피사체의 방향으로 향해진 마이크로폰(30)이 주위의 음성을 집음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로폰(3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음성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오디오 프로세서(31)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오디오 프로세서(31)는, 공급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조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오디오 프로세서(31)는, 오디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버스(50)에 공급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후술하는 제 1 또는 제 2의 반도체 메모리에 보존된다. 기록부(3)에서 이용되는 각종의 신호, 데이터 등은, 데이터 버스(50)를 통해 각 부에 전송된다.
도시하지 않는 버튼, 스윗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작부(39)는, 촬상부(2)와 기록부(3)의 기록, 재생, 편집 조작에 이용된다. 촬상 개시 등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조작부(39)는 조작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조작 신호는, 조작부(39)로부터 조작부 인터페이스(40)와 데이터 버스(50)를 통해, 기록부(3)내의 각 부의 처리를 제어하는 CPU(34)에 공급된다. 또, 기록시에는, 후술하는 촬상부 인터페이스(41)를 통해 촬상부(2)로 조작 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CPU(34)는, 공급된 조작 신호를 해석하여, 읽기만 가능한 ROM(35)보다, 소정의 타이밍에서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냄과 동시에, 일시 데이터, 파라메타 등을, 기입할 수 있는 RAM(36)에 일시 보존한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는, 슬롯 형태로 형성된 2개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기록 매체로서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와 제 2의 반도체 메모리(37b)가 슬롯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순서대로 데이터의 기입과 읽기를 실시할 수 있다. 카드 형상의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는, 제 1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38a)에 삽입되면, 데이터의 기입과 읽기를 한다. 이와 같이, 카드 형상의 제 2의 반도체 메모리(37b)가, 제 2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38b)에 삽입되면 데이터의 기입과 읽기를 한다.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와 제 2의 반도체 메모리(37b)를 이용하면,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메타 데이터, 각종 시스템 설정 정보, 프록시(proxy) 데이터를 기억하고 메타 데이터 및 각종 설정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와 제 2의 반도체 메모리(37b)를 모두 메모리 카드라고도 부른다.
촬상부(2)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촬상부 인터페이스(41)가 데이터 버스 (50)에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2)에 의해 촬상된 비디오 데이터는, 기록부 인터페이스(26), 촬상부 인터페이스(41), 데이터 버스(50), 제 1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38a)를 통해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에 보존된다. 또,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의 기억용량이 부족했을 경우에는, 제 2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 (38b)를 통해 제 2의 반도체 메모리(37b)에 비디오 데이터가 보존된다.
CPU(34)는, 데이터 버스(50), 액정 표시 인터페이스(43)를 통해, 액정화면을 가지는 액정 표시부(44)에 모니터 영상, 타임 코드, 오디오 레벨, 메타 데이터, 각종 메뉴 등을 표시시킨다. 제 1의 반도체 메모리(37a) 또는 제 2의 반도체 메모 리(37b)로부터 읽혀진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은, 액정 표시부(44)상에서 재생된 비디오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촬상 장치(1)는, 외부의 컴퓨터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42)를 갖추고 있다. 컴퓨터 인터페이스(42)는, 예를 들면 USB 규격에 준거한 인터페이스이며, 도시하지 않는 외부의 컴퓨터 장치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스피커에 접속되어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음할 수 있다. 게다가, 촬상 장치(1)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교환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를 갖추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1394 규격에 준거한 인터페이스이며, 도시하지 않는 서버나 외부의 컴퓨터 장치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화상을 재생, 기록, 편집할 때의 처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편집 리스트의 개념을 기술예와 함께 설명한다. 클립을 편집 또는 기록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촬상 장치(1)에 의해 기록된 AV 클립 동안에, 각 메모리 카드에서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를 표현한 편집 리스트가 생성된다. 편집 리스트란, 복수의 AV소재 가운데, 재생해야 할 장소를 열거한 것이다. 종래, EDL(Edit Decision List)로 불리는 데이터에 의해서, 비슷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AV소재가 파일화 되어 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지향적인 영상 제작 환경이 요구됨에 따라, EDL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자는 새로운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 때문에, 편집 리스트는, 구체적으로는 SMIL를, 업무용의 영상 제작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 생성한 편집 리스트는, 메모리 카드마다 보존된다.
여기에서는, 간편성을 위해, 편집 리스트의 사양중,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것에 대해 설명을 실시한다. SMIL에 근거하는 편집 리스트 자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표기의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데이터의 표기의 방법이 어떠한 것이든, 이하에 설명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도 또 편집 리스트의 범주에 포함된다.
우선, 편집 리스트를 이용한 클립의 순서대로 재생하는 예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AV소재(51), 제 2의 AV소재(52), 제 3의 AV소재(53)는 원래의 클립으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의 AV소재(51)로부터 추출된 1500~2800 프레임 구간을, 제 1의 클립(61)으로 칭한다. 이와 같이, 제 2의 AV소재(52)로부터 추출된 500~800 프레임 구간을, 제 2의 클립 (62)으로 칭한다. 제 3의 AV소재(53)로부터 추출된 50~1350 프레임 구간을, 제 3의 클립(63)으로 칭한다. 제 1~제 3의 클립은, 각각 Clip1~Clip3으로서 후술 하는 편집 리스트에 기술된다.
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을 순서대로 재생시키는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이 때, 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을 순서대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순서 정보가 제 1의 편집 리스트(55)에 기술된다. 재생 순서 정보는, 대상으로 하는 AV소재를 특정하는 명칭과 해당 AV소재에 대해 실제로 재생 대상이 되는 부 분(클립)을 지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의 편집 리스트(55)는, 가상적인 것이며, 실제로, 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이 편집되고, 합쳐지지는 않았다. 또한, 제 1의 편집 리스트(55)는, EditList1로서 후술하는 편집 리스트에 기술된다. 촬상 장치(1)가 제 1의 편집 리스트(55)를 참조해 클립의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 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이 합쳐진 재생 클립(56)으로서 재생된다. 재생 클립(56)은, 재생 시간축(57)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서 재생된다.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에는, 중복하는 프레임은 없다.
다음에, 순서대로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의 편집 리스트(55)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재생 순서 정보가 기술된 제 1의 편집 리스트(55)는, <smil>요소를 루트 요소로 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서 표기된다. 그리고, 재생 순서 정보는, 분할 클립마다 재생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 및 재생 종료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것이다. <smil>요소의 name 속성에는, 제 1의 편집 리스트(55)의 명칭인“EditList1”가 기술된다. 그리고,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body>요소가, <smil>요소에 네스트된다(nested). 게다가, 기술된 구간을 위로부터 순서대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video>요소가, <body>요소의 아래에 네스트된다. 각<video>요소는, AV소재를 src 속성으로 지정한다. 또, AV소재에 대해 실제로 재생 대상이 되는 부분을, 재생 개시 위치인 인 포인트(in-point)를 나타내는 clipBegin 속성과 재생 종료 위치인 아웃 포인트를 나타내는 clipEnd 속성으로 지정한다.
Clip1~Clip3은, 편집 리스트로 표기되는 명칭이지만, 이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서는, src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값으로 Clip1”등으로 표기되는 AV소재의 추상적인 이름을 이용하고 있지만, src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값으로서 AV소재 파일에 대한 파일 패스(예를 들면, src="D:\video\Clip1.mxf")나, UMID등의 AV소재를 식별하기 위한 독특한 식별자(예를 들면, src="urn:smpte:umid:060E2B34…FF") 등을 붙일 수 있다. 또, clipBegin 속성과 clipEnd 속성은, 선두로부터 프레임수를 취할 수 있는 값(프레임 번호)이지만, 그 외에도 경우에 따라 타임 코드(예를 들면, clipBegin="hh:mm:ss:ff") 등을 취할 수 있는 값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clipBegin 속성과 clipEnd 속성은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clipBegin 속성이 생략되었을 경우에는, 선두 프레임(clipBegin="0")이 지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또, clipEnd 속성이 생략되었을 경우에는, 최종 프레임의 다음의 프레임(clipEnd="n+1")이 지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다음에, 제 1의 편집 리스트(55)의 기술예(description example)의 다른 표현으로서, 병행 재생의 기술이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 1의 편집 리스트(55)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과 등가이지만, <par>요소를 포함한 기술예이다.
도 4에서, 각 <video>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 clipBegin 속성, clipEnd 속성의 의미는 도 3에서 설명한 것 것과 같다. 도 4에서 가리키는 편집 리스트는, 새롭게 begin 속성을 도입하여, 재생 시간축상에 있어서의 클립 마다의 재생 개시 위치를 지정하고 있다. “Clip1”을 참조하는 <video> 요소에는 begin 속성이 생 략되어 있다. 이것은 Clip1”을 참조하는 <video>요소에서 begin="0"이 지정된 것, 즉 재생 시간축상의 선두 위치로부터 제 1의 클립(61)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Clip2”를 참조하는 <video>요소에 대해서는, begin 속성치는 1300이다. 이 경우, 재생 시간축상에 있어 1300 프레임번째, 즉, 제 1의 클립(61)의 재생을 끝낸 직후에, 제 2의 클립(62)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Clip3”을 참조하는 <video>요소에 대해 begin 속성치는 2600이다. 이것은 재생 시간축상에 있어 2600 프레임번째, 즉, 제 2의 클립(62)의 재생을 끝낸 직후에 제 3의 클립(63)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리스트에 <par>요소를 도입하여, 복수의 지정 구간을 거듭해 재생시키는 등의 기술(description)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천이 효과의 표현 등, 복수의 구간을 거듭해 표현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표현을 실시하기 위해서, <par>요소를 도입하여, <par>요소를 <body> 요소와 <video> 요소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때, <video>요소에 의해서 지정된 구간은, 재생 시간축상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출력 포토가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복수의 지정 구간을 거듭해 재생시킨다고 하는 기술을 어떻게 해석할지가 문제가 된다. 이 경우, 언어 사양으로서는 후단에 위치하는<video> 요소의 재생 지정 구간이 우선된다. 즉 <video> 요소의 기술에서는, 그 이전의 지정 구간의 재생 클립은, 후단에서 지정된 지정 구간의 재생에 의해서 대체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도 4에서 모든 begin 요소를 생략하면, 실제의 디스플레이에는, 제 3의 클립(63)을 참조하는 <video>요소에 의해서 기술된 구간만 표시되어, 제 1의 클립(61)과 제 2의 클립(62)은 재생되지 않는다.
다음에, 다른 편집 리스트를 참조한 편집 리스트의 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해 설명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편집 리스트 자체는, 어디까지나 재생 순서를 기술한 데이터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다른 견해를 살펴보면, 편집 리스트는, 참조하는 AV소재를 추출하여 편집한 결과로서 얻을 수 있는 가상적인 2차 소재로 간주할 수도 있다. 편집 리스트를 가상적인 2차 소재로 간주하면, <video> 요소내의 src 속성은 (2차 소재로서의) 편집 리스트 자체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예로서, 지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AV소재(51)~제 3의 AV소재(53)로부터 추출된 제 1의 클립(61)~제 3의 클립(63)에 대해 검토한다. 제 1의 AV소재(51)로부터 추출된 1500~2800 프레임의 Clip1 구간과 제 2의 AV소재(52)로부터 추출된 500~1800 프레임의 Clip2 구간을 제 2의 편집 리스트(65)로서 기술한다. 그리고, 제 3의 AV소재(53)로부터 추출된 50~1350 프레임의 Clip3 구간을, 제 3의 편집 리스트(66)로서 기술한다. 게다가, 제 2의 편집 리스트(65)와 제 3의 편집 리스트(66)를 연속하여 참조하는 제 4의 편집 리스트(67)를 생성한다. 제 2의 편집 리스트(65)~제 4의 편집 리스트(67)는, 각각 EditList2~EditList4로서 편집 리스트에 기술된다.
이 경우, 제 2의 편집 리스트(65)~제 4의 편집 리스트(67)는, 도 6~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술된다.
도 6은, 제 2의 편집 리스트(65)의 기술예이다. <body> 요소, <par> 요소 는, 도 4에서 도시한 제 1의 편집 리스트(55)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2”로 한다.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Clip1“, clipBegin속성은 “1500”, clipEnd 속성은 “2800”으로 한다. 게다가, 후단의 <video>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2“, clipBegin 속성은“500“, clipEnd 속성은 “1800“, begin 속성은 “1300”으로 한다.
도 7은, 제 3의 편집 리스트(66)의 기술예이다. <body> 요소, <par> 요소는, 도 4에 도시된 제 1의 편집 리스트(55)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smil>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3”로 한다.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3“, clipBegin속성은 “50”, clipEnd 속성은 “1350“으로 한다.
도 8은, 제 4의 편집 리스트(67)의 기술예이다.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4”로 한다. 그리고,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EditList2”로 한다. 또, 후단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3”로 한다.
도 6~도 8에서 도시한 것처럼,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을 기술하여, 편집 리스트 자체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재생 순서 정보로서의 편집 리스트는, 다른 편집 리스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는, <par> 요소와 begin 속성을 생략하여, <video> 요소를 <body> 요소의 아래에 나열해도 괜찮다. 또, 도 8에서, <body> 요소의 아래에 <par> 요소를 삽입하여, 하위의<video> 요소에 begin="2600"을 부여해도 괜찮다.
다음에, <video> 요소의 추가 속성으로서 도입하는 alt 속성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해 설명한다. alt 속성은, 참조에 관한 주석 등을 기술한 속성이다. 도 9에서는, 제 3의 편집 리스트(66)의 <video> 요소에, alt 속성으로서 “In Memory Card #3”이 추가되어 있다. alt 속성에 의해서, 제 3의 클립(63)이 메모리 카드#3에 기록되어 있다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이러한 특징은 모두 기본이 되는 SMIL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또, 편집 리스트는 어디까지나 복수의 AV소재 가운데, 재생해야 할 부분을 열거하기 위한 범용 툴(tool)이다. 이 때문에, 「복수의 메모리 카드상에 장시간 클립을 기록하는 경우에,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분할 클립의 기술을 통일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포함되는 분할 파일에 기록된 만큼 분할 클립은, 어디까지나 원래의 장시간 클립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분할 파일을 모아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재구축 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내에 대한 각각의 분할 파일(분할 클립)의 위치를 기술한 보조 정보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대상이 되는 분할 클립에 대해, 그 전후가 되는 분할 클립을 어떠한 수단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i)에 대해서, 「전방향분할 클립=“Clip-(i-1)”, 후방향분할 클립=“Clip-(i+1)”」과 같은 하는 기술 내용을, 파일로서 메모리 카드(i)에 기록해 두는 것과 동일하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각각의 분할 파일에 기록된 분할 클립의, 원래의 장시간 클립내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의 기술을, 편집 리스트를 이용해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분할 파일에 기록된 분할 클립을 장시간 클립으로서 취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장시간의 촬영을 실시하고, 그 장시간 클립을 n개의 메모리 카드에 분할 기록했을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 순서에 따라서, 제 1의 메모리 카드(100a)-제 n의 메모리 카드(100n)에 대해서, 각각의 메모리 카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부여된다. 제 1의 메모리 카드(100a)에는, 제 1의 클립(101a)이 기록되며, 제 1의 편집 리스트(102a)가 기술되고 있다. 제 2의 메모리 카드(100b)에는, 제 2의 클립(101b)이 기록되며, 제 2의 편집 리스트(102b)가 기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i의 메모리 카드(100i)에는, 제 i의 클립(101i)이 기록되며, 제 i의 편집 리스트(102i)가 기술되고 있다. 그리고, 제 n의 메모리 카드(100n)에는, 제 n의 클립(101n)이 기록되며, 제 n의 편집 리스트(102n)가 기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i의 메모리 카드에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그 선두로부터 시작하여 i번째까지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분할 클립으로서 제 i의 클립이 기록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집 리스트의 기술에 대해서, 제 1의 클립(101a)을 Clip-1, 제 1의 편집 리스트를 EditList-1로 기술한다. 이와 같이, 제 i의 클립을 Clip-i, 제 i의 편집 리스트를 EditList-i라고 기술한다. 그리고, 제 n의 클립을 Clip-n, 제 n의 편집 리스트를 EditList-n이라고 기술한다.
본 실시의 형태예에 의하면, 각각의 메모리 카드가 보조 정보로서 편집 리스 트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종래의 기술과 크게 다른 점은, 편집 리스트의 기술 내용에 있다. 즉,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포함되는 편집 리스트에는, 단지 분할 클립의 전후관계를 기술하기 보다는, 편집 리스트 단독으로,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와 재생 순서를 표현한다는 점에 있다.
여기서, 미디어상에 형성된 편집 리스트와 클립의 개념예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어느 장시간 클립이 분할되고, 제 1의 메모리 카드(100a)~제 3의 메모리 카드(100c)의 각각의, 제 1의 클립(101a)~제 3의 클립(101c)이 제공된다. 촬상 장치(1)로 재생을 개시하면, 우선 제 1의 메모리 카드(100a)에 기술되어 있는 제 1의 편집 리스트(102a)에 액세스한다. 제 1의 편집 리스트(102a)에는, 제 1의 클립(101a)의 정보와 제 2의 편집 리스트(102b)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의 클립(101a)이 재생된다. 제 1의 클립(101a)의 재생이 끝나면, 촬상 장치(1)는, 제 2의 메모리 카드(100b)에 기술되어 있는 제 2의 편집 리스트(102b)에 액세스한다. 제 2의 편집 리스트(102b)에는, 제 1의 클립(101a)과 제 2의 클립(101b)의 정보와 제 3의 편집 리스트(102c)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클립(101b)이 재생된다.
제 2의 클립(101b)의 재생이 끝나면, 촬상 장치(1)는, 제 3의 메모리 카드(100c)에 기술되어 있는 제 3의 편집 리스트(102c)에 액세스한다. 제 3의 편집 리스트(102c)에는, 제 1의 클립(101a)~ 제 3의 클립(101c)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제 3의 클립(101c)이 재생된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제 2의 메모리 카드(100b)가 삽입되는 동시에, 제 2의 메모리 카드(100b)에 기록된 제 2의 클립(101b)의, 전체의 클립에 있어서의 재생 시간축상의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된다.
게다가, Clip-i를 생성할 단계에서 Clip-1로부터 Clip-(i-1)에 관한 정보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명시적으로 편집 리스트에 기술할 수 있다.즉, EditList-i와 EditList-n는 각각 이하와 같이 기술된다.
여기서, 제 i의 편집 리스트(102i)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body> 요소, <par> 요소는, 도 4에 도시한 제 1의 편집 리스트(55)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i”로 한다. 모두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1”로 한다. <video> 요소는, i번째까지 이와 같이 열거된다. 그리고, i번째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i”로 한다. i번째 이후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i+1)”, clipBegin 속성은 “Dur(Clip-1)+…+Dur(Clip-i)”로 한다. 여기서, clipBegin 속성으로 지정한 “Dur”이란, <video> 요소에 기술된 Clip-1~Clip-n의 재생을 행한 후에, 제 i+1번째의 클립을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Dur(Clip-1)+…+Dur(Clip-i)”란, EditList-(i+1)가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표현하고 있는 경우에, 이미 재생이 종료된 제 1의 클립~ 제 i의 클립까지의 구간을 스킵하고, 제 i+1번째의 클립으로부터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편집 리스트를 중도 편집 리스트라고 칭한다.
중도 편집 리스트
여기서, 중도 편집 리스트가 재생시에 이용되는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기록된 카드의 매수보다, 재생장치의 카드 슬롯의 수가 적은 경우와 서버나 컴퓨터 장치에 촬영순서대로 이미지를 얻는 동안에 영상을 모니터 하는 경우와 서버나 컴퓨터 장치에, 전체 클립과 전체 편집 리스트가 갖추어져 있지만, 중도의 클립이 선택되었을 경우가 있다.
기록 도중의 메모리 카드에는, 기록 동안에 중도 편집 리스트를 작성한다.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 이후의 클립은 기록 도중에는 미정이지만, 기록하는 메모리 카드가 바뀔 때는 전후의 메모리 카드가 촬상 장치(1)내에 존재하므로, 다음의 메모리 카드의 클립이나 편집 리스트를 특정하는 명칭, 예를 들면 UMID를 쓸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메모리 카드에 자신의 클립과 다음의 편집 리스트를 포함하는 중도 편집 리스트를 기술한다. 종래와 같이, 다음의 클립의 UMID가 기입된다면, 단지 전후의 클립이 검사되므로, 모든 클립의 위치 정보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나중에 다음의 편집 리스트를 검색해야 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와 같이 편집 리스트를 참조하는 방식이면, 차례차례 편집 리스트를 추적하면, 모든 편집 리스트가 논리적으로 등가가 된다, 즉 원래의 장시간 클립의 재생을 나타내게 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의 선택 실수 등에 의한 재생 불량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중도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3(a)는, 제 1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다. 제 1의 편집 리스트의 파일 이름은, ABCD1001E01.SMI로 한다. 제 1의 편집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는 제 1의 메모리 카드에는, ACD1001Q01.MP4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도 13(b)는,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다.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파일명은, ABCD1001E02.SMI 로 한다. 제 2의 편집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는 제 2의 메모리 카드에는, ACD1002Q01 .MP4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도 13(c)는,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다.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파일명은, ABCD1001E03.SMI로 한다. 제 3의 편집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는 제 3의 메모리 카드에는, ABCD1003Q01.MP4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제 1의 편집 리스트~제 3의 편집 리스트에 기입된 재생 순서 정보는, 분할 클립마다 재생 개시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재생 종료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3(a)의 제 1의 편집 리스트는, ABCD1001Q01.MP4 파일을 “00:00:00:00”으로부터 “00:29:59:29”까지 재생을 행한 후, 제 2의 편집 리스트를 참조하여, 00:30:00:00” 이후부터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3(b)의 제 2의 편집 리스트는, ABCD1002Q01.MP4 파일을 “00:30:00:00”으로부터 “00:59:59:29”까지 재생을 행한 후, 제 3의 편집 리스트를 참조해 “01:00:00:00” 이후로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3(c)의 제 3의 편집 리스트는, ABCD1003Q01.MP4 파일을 “01:00:00:00”으로부터 “01:09:59:29”까지 재생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제 3의 편집 리스트에서 재생된 클립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참조함으로써, 클립 전체에 대한 분할 클립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마지막 ABCD1001E03.SMI는, 후술하는 완성판의 “전편 편집 리스트”이다.
다음에, 제 n의 편집 리스트(102n)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해 설명 한다. <body> 요소와, <par>요소는, 도 4에 도시된 제 1의 편집 리스트(55)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n”로 한다. 초기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1”로 한다. <video> 요소는, n번째까지 이와 같이 열거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ditList-n는 이미 다른 중도 편집 리스트를 통해 간접적인 표현을 하지 않고, 모든 분할 클립(Clip-1~Clip-n)을 직접 참조한다. 이러한 편집 리스트를 전편(comprehensive) 편집 리스트라고 칭한다.
전편 편집 리스트
여기서, 전편 편집 리스트가 재생시에 사용되는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기록된 메모리 카드의 매수보다, 재생장치의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의 수가 적은 경우와 서버나 컴퓨터 장치에, 전체 클립과 전체 편집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녹화시에는, 상술한 전편 편집 리스트는, 마지막 메모리 카드에 제공된다. 마지막 메모리 카드에만 제공된 이유는, 기록 도중에는, 전편 편집 리스트가 확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편 편집 리스트의 내용은, 예를 들면 ABCD1001Q01.MP4, AB CD1002Q01.MP4,…등, 선두로부터의 분할 클립을 참조하여 <video> 요소를 나열 한 것이 된다. 전편 편집 리스트 자체도 그것을 특정하는 명칭, 예를 들면 UMID를 가지며, 연결 결과를 하나의 클립, 즉 원래의 장시간 클립으로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편 편집 리스트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5(a)는, 서버에 축적된 제 1~제 3의 클립과 편집 리스트의 개념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읽어낸 클립은, 서버(70)에 축적된다. 서버(70)상에서 재생이나 편집을 실시하는 경우, 제 1의 클립(101a)~제 3의 클립 (101c)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편집 리스트(102s)를 이용한다.
도 15(b)는, 전편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편집 리스트(102s)는, 서버(70)내에서, 전편 편집 리스트로서 기능하고 있다. 편집 리스트 (102s)에는, 제 1의 클립(101a)의 파일명칭인 “ABCD1001Q01.MP4”, 제 2의 클립(101b)의 파일명칭인 “ABCD1002Q01.MP4”, 제 3의 클립(101c)의 파일명칭인“ABCD1003Q01.MP4”를 지정한 src 속성 및, 각각의 재생 대상 구간을 지정한 clipBegin 속성, clipEnd 속성이 기술되어 있다. 서버(70)는, 이 편집 리스트(102s)를 참조하여,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내에서, 어느 분할 클립의 재생 시간축상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i의 편집 리스트, 제 n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2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이하와 같이 고쳐 쓸 수도 있다. 이하,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제 1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제 1의 편집 리스트, 제 i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제 i의 편집 리스트, 제 n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제 n의 편집 리스트의 다른 기술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1의 편집 리스트(102a)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해 설명한다.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1”로 한다.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1”로 한다. 그리고, 다음에 열거되는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2”, cl pBegin 속성은 “Dur(Clip-1)”로 한다. 이와 같이, 지정하여, 제 1의 클립의 재생이 종료한 후, 제 2의 편집 리스트를 검색하여, 재생 끝난 부분을 스킵하고, 이후의 재생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제 i의 편집 리스트(102i)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해 설명한다. <smil>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i”로 한다. 선두의<video>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i-1)”, clipEnd 속성은 “Dur(Clip-1)+…+Dur(Clip-(i-1))”로 한다. 다음에 열거되는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Clip-1”로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열거되는 <video>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i+1)”, clipBegin 속성은 “Dur(Clip-1)+…+Du r(Clip-i)”로 한다. 이와 같이 지정하여, 제 1~제 i-1번째의 클립까지 재생한 후, 제 i번째의 클립을 재생하고, 제 i+1번째의 편집 리스트를 검색하여, 재생이 끝난 부분을 스킵하고, 이후의 재생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제 n의 편집 리스트(102n)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해 설명한다. <smil> 요소가 가지는 name 속성은 “EditList-n”로 한다. 최초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EditList-(n-1)”, clipEnd 속성은“Dur(Clip-1)+…+Dur(Clip-(n-1))”로 한다. 그리고, 다음에 열거되는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은, “Clip-n”으로 한다. 이와 같이 지정하여, 제 1~제 n-1번째의 클립까지 재생한 후, 제 n번째의 클립을 재생하고 재생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EditList-i는, 메모리 카드 i에 기록된 Clip-i를 직접 참조하는 것외에도, Clip-i의 전방에 위치하는 메모리 카드 (i-1)에 기록된 EditList-(i-1)와 Clip-i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모리 카드 (i+1)에 기록된 EditList-(i+1)를 참조하고 있다.
그리고, Clip-i의 시간 구간(또는 프레임수)을 Dur(Clip-i)로 나타내면, EditList-(i-1), EditList-(i+1)는, 모두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재생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최초의 <video> 요소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의 선두로부터 메모리 카드 i에 포함된 Clip-i의 개시 직전까지가 재생 대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3번째의 <video>요소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대해 Clip-i의 종료 직후부터 그 끝까지가 재생 대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EditList-i도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재생 방법)를 표현하게 된다.
도 16과 도 18에 도시한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는, 일련의 장시간 클립을 참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선두와 말미의 기술에 상당한다. 즉, 도 16에서는, 제 1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선두의 분할 파일인 Clip-1을 직접 참조해 재생한다. 이어서, 원래의 장시간 클립의 선두로부터 Clip-1의 재생 부분을 스킵한 나머지를 재생한다. 이와 같이 재생하여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재생을 표현하고 있다.또, 도 18에서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의 선두로부터 말미의 분할 파일인 Clip-(n-1)을 없앤 부분까지 재생한다. 이어서, Clip-n을 직접 참조해 재생한다. 이와 같이 재생을 통하여, 역시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재생을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예를 들면 EditList-1을 생성하는 경우, 상술한 것처럼 clipEnd 속성을 생략했을 때의 해석이 대상 소재의 최후(엄밀하게는 최종 프레임의 다음의 프레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문에, EditList-1을 생성한 시점에서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시간 구간이 불명확해도, EditList-1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EditList-1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Clip-1의 시간구간과 제 2의 메모리 카드가 보유하는 EditList-2의 참조 정보(그것을 특정하는 명칭으로서의 파일명 혹은 식별자)가 되므로, 제 1의 메모리 카드의 분할 파일인 Clip-1의 생성이 완료한 단계에서 EditList-1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par>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순서대로 재생을 실시하는 표현에 근거하여 편집 리스트를 기술했다. 그 외에도, <par> 요소를 이용한 병행 재생을 실시하는 표현에 근거하여 편집 리스트를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 시간축상에 있어서의 각각의 재생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재생 위치의 모두가 clipBegin속성치와 clipEnd 속성치에 대응하는 것이며, 편집 리스트의 생성시에 알려지게 된다.
타이틀 부여
다음에,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타이틀과 주석을 부여하는 경우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9는, 모든 편집 리스트가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체의 재생 순서 정보를 표현하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타이틀을 부여하는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편집 리스트에 부여되는 재생 순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분할 클립 전체에 공통되는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다.
도 19에서는, <Metadeta> 요소의 “targetClip”속성은, “EditList-n”이다. 그리고, <Title> 요소는, “My long AV clip”이라고 한다. 게다가, <Description>요소는, “World cup Football Gam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임의의 편집 리스트를 참조로서 먼저 지정하는 것은,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대해서 “My long AV clip” 타이틀과, “World cup Football Game”을 부여하는 것과 같다.
무효 프레임 구간의 고려
다음에, 기록된 클립에 존재하는 무효 프레임 구간의 영향을 고려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해 설명한다. 인터 코덱 방식에 대해 GOP 단위로 기록했을 경우, 클립의 최초와 마지막에는, 유효 구간의 외부에서도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프레임이 기록되는 무효 프레임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클립을 단지 편집 리스트로 클립명을 지정하는 것 만으로는, 재생 시간축상에서 중복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무효 프레임 구간을 배제하기 위해, 도 20과 같이 편집 리스트를 기술한다.
128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Clip-i 가운데, 유효 프레임 영역은 3~120 프레임이다. 이 경우, 두 번째의 <video> 요소가 가지는 src 속성을 “Clip-i”, clip Begin 속성은 “3”, clipEnd 속성은 “121”로 한다. 이와 같이 clipBegin 속성과 clipEnd 속성을 지정하여 무효 프레임 구간의 영향을 배제하여 중복없는 연속 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의 기록 도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해, 기록이 중단함과 동시에, 기록한 데이터가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데이터 재생성시에 사용하기 위해 리던던시를 가지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샐베이지(salvage)" 기법 이 이용된다. 지금, "샐베이지“ 실행시에 클립만이 사용되고, 편집 리스트에 적용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녹화중에 메모리 카드가 바뀔 때, 이전의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 편집 리스트를, 이후의 메모리 카드에도 기입하고, "샐베이지” 처리의 단계에서, 해당 편집 리스트의 맨 마지막 줄을 그것과 함께 기록된 클립명에 재기입한다. 또, 적절한 clipEnd 치를 지정하여, 전편 편집 리스트를 부활시킬 수 있다.
다음에, 편집 리스트를 이용해 클립의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의 처리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편집 리스트가 주어졌을 경우에, 편집 리스트에 근거하여 복수의 AV소재의 지정 구간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처리에 대해 말한다. 이 재생 처리는, 어느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편집 리스트를 바탕으로 분할 파일을 연결하고,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재구축 하는 것과 대응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처리의 대상이 되는 편집 리스트의 사양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하며, 또 지정 구간이 중복하거나 지정 구간의 사이에 갭이 생기는 하는 상황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재생 구간 리스트
우선, 편집 리스트를 이용해 재생 처리를 실시하는 촬상 장치(1)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21은, 도 2에 설명한 클립의 예를 참조하고, 촬상 장치(1)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즉 세로축을 재생 구간, 횡축을 재생 시간 축으로 하고, 실데이터로서 참조하는 클립과 재생 대상 구간을 리스트로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재생 대상이 되는 클립의 참조를 클립명에서, 또 그 재생 대상 구간을 클립에 대한 인 포인트, 아웃 포인트의 프레임수로 표현하며, 그것들을 재생 시간축상에 열거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재생 구간 리스트라고 칭한다.
재생 구간 리스트의 처리
다음에, 재생 구간 리스트의 처리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2는, 주어진 편집 리스트에 근거하여 소정 구간을 순서대로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 처리예에 대해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지정된 편집 리스트를 재생 구간 리스트로 변환하고, 촬상 장치(1)의 내부에 보관 유지한다(스텝 S1). 스텝 S1의 상세한 처리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재생 구간 리스트에 열거된 항목에 따라서, 클립에 액세스한다(스텝 S2).구체적으로는, 참조하는 클립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열어, 소정의 재생 구간의 개시 위치에서 읽어내고 포인터를 진행시키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소정의 재생 구간의 클립을 읽어내고, 재생한다(스텝 S3). 소정의 재생 구간의 클립 재생이 종료한 후, 다음의 재생 구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4). 재생 구간이 있는 경우, 스텝(S2)으로 돌아오고 처리를 반복한다. 재생해야 할구간이 없는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재생 구간 리스트의 처리
다음에, 편집 리스트의 재생 구간 리스트의 처리의 예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23은, 도 22에서 설명한 스텝(S1)의 처리(재생 구간 리스트의 생성 처리)를,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다.
우선, 지정된 편집 리스트가 보존된 파일을 연다(스텝 S11). 그리고, <video>요소를 검출하여, 구문 분석을 실시한다(스텝 S12). 게다가 src 속성의 값을 추출하여, 참조하는 AV소재의 유무를 확인한다. 참조하는 AV소재가 존재하지 않으면,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 보고를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3).
AV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src 속성으로 참조하는 AV소재가 클립인지 편집 리스트인지를 확인한다(스텝 S14). 참조하는 AV소재가 편집 리스트인 경우, 편집 리스트를 입력으로서 도 23의 처리 플로우를 재귀적으로 호출하여, 재생 구간 리스트를 생성하고(스텝 S20), 스텝(S15)으로 처리가 이동한다.
참조하는 AV소재가 클립인 경우, 참조하는 AV소재(혹은 스텝(20)에서 얻어지는 재생 구간 리스트의 순수한 결과)의 재생 구간을 지정하기 위해서, clipBegin 속성치와 clipEnd 속성치를 추출한다(스텝 S15). 또, 재생 시간축상의 재생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begin 속성치를 추출한다(스텝 S16). 참조하는 AV소재, 혹은, 스텝(S20)에서 얻을 수 있는 재생 구간 리스트에 대해서, 추출한 clipBegin 속성치와 clipEnd 속성치에 의한 지정에 근거하여, 재생 시간축상에서의 재생 구간을 결정한다(스텝 S17).
이후에, 결정된 재생 구간을 재생 구간 리스트에 추가한다(스텝 S18). 그리고, 다음의 <video> 요소의 존재의 유무를 확인한다(스텝 S19). 다음의 <video>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든 <video>요소가 처리된 것이 되므로,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의 <video>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미처리된 <video> 요소를 처리하기 위해서, 스텝(S12)으로 처리가 이동하며,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재생 처리
어느 편집 리스트를 재생하는 처리는, 전편 편집 리스트와 중도 편집 리스트와 같다. 유일한 차이는, 다른 편집 리스트를 참조하는지의 유무이다. 촬상 장치(1)의 재생 처리는, 일반적인 SMIL의 재생 순서와 차이가 없지만, 이해나 참고를 위해, 처리의 흐름을 도 24의 플로차트를 참조해 설명한다. 처리시에 사용되는 인자는 파일명과 재생 개시시각이다.
우선, 재생 처리의 초기 동작을 개시한다(스텝 S21). 이 때, 이용자에 의해 재생해야할 편집 리스트가 선택된다. 여기서, UMID로 재생해야할 편집 리스트가 지정되었을 경우는, UMID를 이름 해석하고 파일명을 얻는다. 그리고, 파일명과 재생 개시시각=0을 인수로 하고,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다음에, 처리 루틴의 개시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22). 이 때, 재생해야할 파일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라고 촉구하고, 메모리 카드가 장착될 때까지 대기한다. 재생해야할 파일이 발견되었을 경우, 그 파일을 열어, 인수의 재생 개시시각까지, 편집 리스트를 스킵한다. 그리고, 스킵한 부분의 이전 포인트의 UMID를 이름 해석하고 파일명을 얻는다.
다음에, 클립의 재생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23). 재생해야할 클립을 저장한 파일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에게 메모리 카드의 장착을 촉구하고, 메모리 카드가 장착될 때까지 대기한다. 재생해야할 클립을 저장한 파일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그 클립의 파일을 연다. 그리고, 클립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선두와 재생 개시시각이 다른 경우, 그 차분만큼 영상 데이터를 스킵한 다. 그리고, 재생 모듈이 데이터의 입력을 허락할 때까지 기다리며, 길이(clipEnd 속성치로부터 clipBegin 속성치)를 인수로 지정하여, 재생 모듈을 기동한다.
다음에, 클립 재생을 종료한다(스텝 S24). 이 때, 촬상 장치(1)는, 클립의 읽기가 끝날 때까지 대기한다. 다만, 클립의 읽기는 빠르기 때문에 재생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편집 리스트를 읽어나가면, 다음에 재생하는 UMID를 요구하고 파일명을 얻는다. 게다가, 다음의 편집 리스트 또는 클립의 재생 개시시각을, clipBegin 속성치로부터 계산해 구한다. 재생을 위한 다음의 항목이 편집 리스트라면 스텝(S22)으로 처리가 이동한다. 다음 항목이 클립이라면 스텝(S23)으로 처리가 이동한다. 다음에 편집 리스트 또는 클립이 없는 경우는, 재생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처리
다음에, 장시간 클립을 분할하고, 복수의 메모리 카드에 분할 클립으로서 기록하는 처리예에 대해서, 도 25를 참조해 설명한다. 복수의 메모리 카드상에서 분 클립을 연관시키기 위해서, 편집 리스트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편집 리스트가 사용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미리 모든 메모리 카드의 내용을 서버 등에 복사한 후에, 순서대로 재생하는 경우와, 메모리 카드를 바꾸면서, 메모리 카드를 직접 읽어들여 순서대로 재생하는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클립 전체를 알 수 있다면, 복수의 분할 클립을 결함하여 원래의 장시간 클립으로서 취급하는 전편 편집 리스트가 편리하다. 이 경우, 편집 리스트에는 도 3에서 설명한 것 같은, 분 할 클립을 재생순서대로 기술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여기서, 각각의 분할 클립은, 그것을 특정하는 명칭으로서의 UMID를 이용해 참조된다.
전편 편집 리스트는, 녹화 종료시에 확정된다. 이 때문에,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가 두 개 있어도, 녹화에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가 3매 이상이 되면, 전편 편집 리스트를 확정하여 기입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마지막 메모리 카드 이외에 다른 메모리 카드에 중도 편집 리스트를 기록하고, 자신의 클립의 UMID의 다음의 행에, 다음의 메모리 카드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기입한다. 그러므로, 소망하는 클립은, 간접 참조에 의해서 액세스할 수 있다. 그 편집 리스트에는, 그 다음의 편집 리스트가 쓰여져 있으므로, 그것들을 순서대로 추적함으로써, 최종 클립에 도달할 수 있다. 즉, 각 메모리 카드에 쓰여진 편집 리스트는, 다단계 참조에 의해서 모두 동일하게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나타낸 것이 되므로, 어느 편집 리스트로부터 읽기 시작해도 원래의 장시간 클립 전편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촬상 장치(1)의 기록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클립의 기록중에, 제 1의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고,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빈 용량이 있고, 이용자의 설정으로 연속 기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이하의 처리를 한다. 제 1의 메모리 카드에 배치된 최초의 클립을 제 1의 클립으로 한다. 이 때, 촬상 장치(1)에는, 제 1과 제 2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우선, 기록을 실시하고, 제 1의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고,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빈 곳이 있는 경우, 제 1의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 제 1의 편집 리스트의 UMID와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결정한다(스텝 S31).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놓여진 클립을 제 2의 클립으로 한다.
그리고, 제 1의 클립을 닫고 제 2의 클립을 제 2의 메모리 카드에서 열고, 녹화를 계속한다. 제 1의 클립의 UMID, 길이(clipEnd 속성치로부터 clipBegin 속성치)와,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이용하여 제 1의 편집 리스트를 만들어, 제 1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스텝 S32). 또, 제 1의 편집 리스트의 내용은, 촬상 장치(1)의 RAM(36)에 보존해 둔다. 그리고, 제 1의 메모리 카드를 뽑고, 제 3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한다. 이 때, 촬상 장치(1)에는, 제 2와 제 3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 있다.
계속 기록을 실시하며, 제 2의 메모리 카드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고, 제 3의 메모리 카드에 빈 곳이 있는 경우,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UMID와, 제 3의 메모리 카드에 기입된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결정한다(스텝 S33).
그리고, 제 2의 클립을 닫고 제 3의 클립을 제 3의 메모리 카드에서 열어, 녹화를 계속한다. 제 2의 클립의 UMID와 길이,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이용해 제 2의 편집 리스트를 만들어, 제 2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스텝 S34).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내용은, 촬상 장치(1)의 RAM(36)에 보존해 둔다.
그리고, 이용자가 조작부(39)를 조작하여, 녹화를 종료한다(스텝 S35). 녹화의 종료가 지시되면, 제 3의 클립을 닫는다. 또, 제 2의 편집 리스트, 제 3의 클립의 UMID와 길이,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UMID를 이용해 제 3의 편집 리스트를 만들어, 제 3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스텝 S36). 여기서, 제 3의 편집 리스트는 상술한 전편 편집 리스트와 다름없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범용 포맷으로 AV소재가 기록되는 임의의 클립, 파일 등의 참조 정보를 기입한 편집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편집 리스트에 근거하여, 복수의 분할 클립을 연속해서 재생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 경우에, 장시간 클립을 분할하여 얻어지는 분할 클립을 원래의 장시간 클립으로서 재생하는 것이, 특별한 처리를 별도 추가하는 일없이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편집 리스트는, 클립 자체의 파일 포맷에 의존하고 있지 않고, 클립의 이용자 영역을 이용한 특별한 처리나 기능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다. 이와 같이, 편집 리스트를 이용해 범용적으로 데이터의 기록, 재생, 편집 처리를 실시하여, 특정의 기종이나 기능에 의존하는 일없이, 기록, 재생, 편집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래의 장시간 클립에 있어서의 각 분할 클립의 시간축상의 위치가, 편집 리스트내에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즉, Clip-i의 위치는 EditList-i의 EditList-(i+1)를 참조하는 <video> 요소의 clipBegin 속성치로부터 Clip-i의 시간 구간을 차감한 값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메모리 카드상에서 장시간 클립이 기록되어 있었다고 해도, 메모리 카드를 촬상 장치(1)에 삽입하는 동시에, 장시간 클립에 대한 분할 클립의 시간축상의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편집 리스트는, 상호 참조 가능하고, 서로의 편집 리스트의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매체, 편집 리스트 등에 대해 클립을 참조하기 위해서 복잡한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편집 리스트 자체는, 단순한 데이터의 재생 순서 정보이므로,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클립 또는, 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편집 리스트의 재기입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모든 편집 리스트에 분할 파일의 참조 정보가 기술되므로, 어느 편집 리스트가 상실했을 경우에, 그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마지막 전편 편집 리스트(EditList-n)는, 다른 편집 리스트에 의존하지 않는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재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지 EditList-n만이 처리될 수 있으며, 구현이 간단해 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클립의 재생 순서 정보로서 클립의 전후관계를 참조할 수 있는 정보가 되는 편집 리스트를 각각의 분할 클립과 함께 기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생시에는, 1개의 분할 클립의 재생이 종료해도, 다음의 분할 클립을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게다가, 랜덤 억세스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면, 필요한 부분만을 다이제스트(digest) 재생, 예를 들면 5초 단위, 10초 단위로 재생 화면을 연결하는 재생을 실시할 수도 있다. 물론, 분할 클립의 재생순서는, 이용자의 취향에 따라 재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미디어로 분할하여 기록된 파일, 또는 클립 등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기능을 갖춘 촬상 장치나,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축적한 서버상에서 편집을 한다. 그리고, 편집 리스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할 파일의 전후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복수의 분할 파일로서 장시간 클립이 분할되어 있어도, 분할 파일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1개의 장시간 클립으로서 인식하는 것이 용이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또, 기록시에, 장시간 클립이 복수의 미디어상에 기록되어 있어도,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를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삽입한 채로, 1개의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용량이 모두 채워진 후에, 다음의 반도체 메모리에 기입된다. 기록 도중에는, 반도체 메모리에 대해서 편집 리스트(중도 편집 리스트)가 기입되므로, 원래의 클립 전체내에서 기록중의 클립의 위치를 확실히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편집 리스트로 지정한 UMID를, 개별의 URL로 변환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변환하여, 이용자가 어디에 있어도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고,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스트리밍 전달시에 있어서도, 복수의 분할 클립에 대해서 편집 리스트를 부가하여, 수신된 분할 클립이 원래의 장시간 클립을 재구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PCI 고속 표준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복수개 갖추고, 1개의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채워지면, 그 장치는 다른 반도체 메모리로 대체되어 데이터 기입은 계속된다. 그러나, 반도체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1개만 제공해도 좋다. 이 경우, 촬상 장치의 내장 메모리를 많이 확보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같이 편집 리스트를 작성하고, 복수의 클립에 대한 기록, 편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에 고속의 네트워크 회선을 접속함으로써, 기록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회선을 통해 서버나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분리 가능한 복수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의 기록과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에 적용하도록 했지만, 그 외의 용도(예를 들면, 감시 카메라)에 이용해도 같은 기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기록 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다른 기록매체가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괜찮다. 혹은, 기록된 데이터는 계속해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등에 전송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항 또는 그와 동등한 것들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여러 가지 수정, 결합, 소결합 및 변경들이 설계요구 및 다른 인자에 따라 당업자들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편집 리스트를 이용한 클립의 순서대로 재생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제 1의 편집 리스트(순서대로 재생)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제 1의 편집 리스트(병행 재생)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다른 편집 리스트를 참조한 편집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제 2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제 3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제 4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alt 속성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클 립과 편집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카드에 형성되는 클립과 편집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i번째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중도 편집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n번째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전체 편집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첫 번째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i번째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n번째의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원클립에 대한 메타 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무효 프레임 구간의 배제를 고려한 편집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재생 구간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재생 구간 리스트의 처리의 예를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편집 리스트로부터 재생 구간 리스트의 변환 처리의 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재생 처리의 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의 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Claims (16)

  1.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분할 소재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분할 소재마다 재생 개시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및 재생 종료를 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분할 소재마다 재생 개시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 및 재생 종료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분할 소재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며,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
  5.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분할 소재가 작성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가,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되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의 순서를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분할 소재가 작성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가,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되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재생하고,
    재생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의 순서를 제어하는 재생 방법.
  7.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분할 소재가 작성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는 기록 제어부와,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 및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부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의 순서를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8. 동영상 또는 음성의 정보로 구성된 소재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분할 소재가 작성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며,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작성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 및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재생하며,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의 순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방법.
  9.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로 구성되는 소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분할 소재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기록 장치.
  10.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얻고,
    촬상부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로 구성되는 소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분할 소재를 작성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전체 분할 소재의 재생 수순을 포함하는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분할 소재의 전체에 대해 작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소재중에서, 기록 대상이 되는 제 1의 분할 소재를 직접 참조하는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전에 재생되는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1의 분할 소재보다 이후에 재생되는 제 3의 분할 소재의 각각을 직접 참조하는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작성하고,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는, 상기 제 2의 재생 수순 정보 또는 상기 제 3의 재생 수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2의 분할 소재 또는 상기 제 3의 분할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되며,
    상기 전체의 분할 소재에 대하여, 상기 제 1의 재생 수순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기록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70073831A 2006-07-31 2007-07-24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방법 KR101369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8677A JP4285512B2 (ja) 2006-07-31 2006-07-31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撮像記録装置及び撮像記録方法
JPJP-P-2006-00208677 200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154A KR20080012154A (ko) 2008-02-11
KR101369003B1 true KR101369003B1 (ko) 2014-03-12

Family

ID=3868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831A KR101369003B1 (ko) 2006-07-31 2007-07-24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6079B2 (ko)
EP (1) EP1884948A1 (ko)
JP (1) JP4285512B2 (ko)
KR (1) KR101369003B1 (ko)
CN (1) CN101132508B (ko)
TW (1) TWI3594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4458B2 (ja) * 2005-06-09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憶制御装置、記憶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64993B2 (ja) * 2008-01-07 2011-04-06 株式会社東芝 素材処理装置及び素材処理方法
JP4513876B2 (ja) * 2008-02-27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構造解析装置、ファイル構造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87938B2 (en) 2008-03-31 2014-04-01 Panasonic Corporation Video recording system,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recording method
JP5231942B2 (ja) * 2008-10-29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5758398B2 (ja) * 2009-11-16 2015-08-05 トゥウェンティース・センチュリー・フォックス・フィルム・コーポレイションTwentie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多数の言語及び版のための非破壊的なファイルベースのマスタリング
JP5593721B2 (ja) * 2010-02-10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5820B2 (ja) 2010-02-10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88020B2 (ja) 2010-02-1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88019B2 (ja) 2010-02-1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80361A (ja) 2010-10-01 2012-04-19 Sony Corp 記録装置、撮像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21645B2 (ja) * 2011-02-09 2014-11-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映像記憶装置および映像記憶制御方法
US9578256B1 (en) * 2012-02-29 2017-02-21 Google Inc. Temporary intermediate video clips for video editing
JP6006567B2 (ja) * 2012-07-23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6498882B2 (ja) * 2013-07-22 2019-04-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蓄積方法、再生方法、蓄積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9598182B2 (en) * 2015-05-11 2017-03-21 Lily Robotics, Inc. External microphon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9922659B2 (en) 2015-05-11 2018-03-20 LR Acquisition LLC External microphon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954A1 (en) * 2001-07-13 2003-07-31 Takuya Kotani Moving image reproduction description method, moving image reproduction record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program
US20050237865A1 (en) * 2004-04-16 2005-10-27 Sony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WO2006033279A1 (ja) * 2004-09-24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3766A (ja) * 1985-08-21 1987-02-25 Hitachi Ltd 共用資源の状態管理方式
JP2513901B2 (ja) * 1990-06-01 1996-07-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の記録ディスクによるビデオフォ―マット信号記録再生方法
US5829046A (en) * 1995-10-27 1998-10-27 Emc Corporation On-line tape backup using an integrated cached disk array
WO1999031590A1 (fr) * 1997-12-18 1999-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 memorisation de fichiers, appareil de memorisation de donnees, procede de gestion de supports d'information,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procede d'ecriture des donnees recues dans les supports d'information, et supports de memorisation de programmes
JP4514166B2 (ja) 1998-05-29 2010-07-28 株式会社ニコン 動画像記録装置、およびカメラ
US7519268B2 (en) * 1998-04-14 2009-04-14 Nikon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dynam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dynamic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dynamic image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employed therein, recording medium with computer program stored therein
JP2000021086A (ja) 1998-07-03 2000-01-21 Hitachi Ltd データ記録再生方法
KR100466496B1 (ko) 1998-08-07 2005-01-1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컴퓨터가 읽기가능한 기록매체
WO2000028544A1 (en) 1998-11-06 2000-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gnal processing on information files so as to obtain characteristic point information sequences
JP2000182358A (ja) * 1998-12-16 2000-06-30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方法
US7383446B1 (en) * 1999-08-30 2008-06-03 Fujitsu Limited Recording device
US7340153B2 (en) * 2000-01-11 2008-03-04 Hitachi,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4348821B2 (ja) * 2000-03-27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
JP4083957B2 (ja) * 2000-07-10 2008-04-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
US20020073110A1 (en) * 2000-12-12 2002-06-13 Edouard Duvillier Version collection technique implemented on an intrinsic versioning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6870887B2 (en) * 2001-04-09 2005-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between different content encoding formats
US7280738B2 (en) 2001-04-09 2007-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pecifying a selection of content segments stored in different formats
JP2003052040A (ja) 2001-05-30 2003-02-21 Victor Co Of Japan Ltd Mpegデータ再生装置
JP4284896B2 (ja) * 2001-08-02 2009-06-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WO2003043339A1 (fr) * 2001-11-12 2003-05-22 Sony Corporation Systeme de remise d'informations, procede,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procede
JP2003217266A (ja) 2002-01-24 2003-07-31 Sony Corp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US20070143328A1 (en) * 2002-07-10 2007-06-21 Sonic Solution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and initialization of an optical media
US7306143B2 (en) * 2002-09-20 2007-12-11 Cubic Corporation Dynamic smart card/media imaging
JP4086611B2 (ja) 2002-10-02 2008-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方法、およびその記録制御方法を利用可能な記録媒体
JP3735864B2 (ja) * 2002-10-28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再生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4042724A1 (en) 2002-11-07 2004-05-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having a main file system area and a virtual file system area
CN100440352C (zh) * 2002-11-27 2008-12-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力故障恢复方法
US20040184775A1 (en) * 2003-01-31 2004-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method, computer program provi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US7051234B2 (en) * 2003-02-07 2006-05-23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ptical storage medium file system structures
JP3637910B2 (ja) * 2003-04-04 2005-04-1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4328073A (ja) 2003-04-21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書込み方法
JP2004328034A (ja) 2003-04-21 2004-11-18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動画ファイル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04852A (ja) 2003-06-11 2005-01-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5005915A (ja) 2003-06-11 2005-01-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835801B2 (ja) 2003-06-11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719516B2 (ja) 2003-06-11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769861B2 (en) * 2003-11-24 2010-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for storage provisioning
US7978215B2 (en) * 2003-11-26 2011-07-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using mobile device for setting up and activating agent shortcut operations to control electronic device at remote locations
EP1542231A1 (en) * 2003-12-08 2005-06-1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capable of recording series of content data on different recording media
JP4140516B2 (ja) * 2003-12-09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206973B2 (en) * 2003-12-11 2007-04-17 Lsi Logic Corporation PCI validation
JP2005236950A (ja) 2004-01-20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記録再生装置
JP4504229B2 (ja) 2004-04-13 2010-07-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リンス処理方法および現像処理方法
JP2005309504A (ja) 2004-04-16 2005-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085391B2 (ja) * 2004-08-24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80049574A1 (en) 2004-09-13 2008-02-28 Hiroshi Yahata Data Processor
JP2006086670A (ja) * 2004-09-15 2006-03-30 Hitachi Ltd データ記録装置
JP2006107580A (ja) 2004-10-01 2006-04-20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再生装置
JP4179262B2 (ja) * 2004-10-06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45639B2 (ja) 2004-10-26 2009-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6155783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4301185B2 (ja) * 2005-02-25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275937B (en) * 2005-05-18 2007-03-11 Rdc Semiconductor Co Ltd Large file stor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4643439B2 (ja) * 2005-12-27 2011-03-02 株式会社東芝 携帯型撮像装置
US8218947B2 (en) * 2006-12-04 2012-07-1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954A1 (en) * 2001-07-13 2003-07-31 Takuya Kotani Moving image reproduction description method, moving image reproduction record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program
US20050237865A1 (en) * 2004-04-16 2005-10-27 Sony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WO2006033279A1 (ja) * 2004-09-24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23877A (en) 2008-06-01
JP4285512B2 (ja) 2009-06-24
JP2008035394A (ja) 2008-02-14
KR20080012154A (ko) 2008-02-11
TWI359411B (en) 2012-03-01
US8606079B2 (en) 2013-12-10
US20090226149A1 (en) 2009-09-10
CN101132508A (zh) 2008-02-27
CN101132508B (zh) 2012-05-30
EP1884948A1 (en)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003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장치, 재생 방법, 기록재생장치, 기록 재생 방법, 촬상 기록 장치 및 촬상 기록방법
US20080089657A1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image capt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nd recording method.
EP1486979B1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 device
US20050286863A1 (en) Reliable capture of digital video images for automated indexing, archiving and editing
JP2001084705A5 (ko)
JP5296062B2 (ja) リンク情報生成装置、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リンク情報生成方法、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再生方法
TWI382410B (zh) 記錄及再生裝置和記錄及再生方法
KR101413264B1 (ko) 기록 및 재생장치 및 콘텐츠 관리방법
US8224819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100034508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028249A (ko) 영상 파일 작성 장치 및 영상 파일 작성 방법
WO2008018311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ées, procédé de traitement de données, et programme informatique associé
CN1578445A (zh) 运动图像编辑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2281433A (ja) 動画像検索閲覧編集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8059167B2 (en) Shooting apparatus and shooting method, and program
JP4618379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撮像記録装置及び撮像記録方法
JP2005142901A (ja) 編集装置および編集システム
JP2010252128A (ja) メタデータ処理装置、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システム
JP2003168283A (ja) 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JP2005135554A (ja) 再生装置及び方法
JP4662547B2 (ja) ディジタル記録装置、ディジタル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170205B2 (ja) 情報記憶媒体、および動画音声記録再生装置
Sharma et al. Video Digitization and Editing: An Overview of the Process
JP2004214786A (ja) 動画像デジタル情報の編集装置、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編集する方法
JP2006031794A (ja) 記録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