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02B1 - 견과류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견과류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02B1
KR101368202B1 KR1020110120934A KR20110120934A KR101368202B1 KR 101368202 B1 KR101368202 B1 KR 101368202B1 KR 1020110120934 A KR1020110120934 A KR 1020110120934A KR 20110120934 A KR20110120934 A KR 20110120934A KR 101368202 B1 KR101368202 B1 KR 101368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nuts
transfer
unit
pre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273A (ko
Inventor
안병대
Original Assignee
안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대 filed Critical 안병대
Priority to KR102011012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견과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과류 내부의 식용부위는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단단한 외피에만 균열을 발생시켜 외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견과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견과류를 수용하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견과류를 일렬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출구에 배치되어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낙하감지센서가 구비된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일렬로 공급된 견과류를 체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에 의해 한 개씩 수평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에 의해 이송되는 견과류의 양 측면에서 서로 협력하여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상기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의 출구에 설치되어 견과류를 수확상자로 안내하는 수확가이드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 이송부, 상기 제1 이송가이드의 일부 구간에서 제1 이송가이드를 대체하여 배치되고 제2 이송가이드와 협력하여 이송된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는 견과류받침대, 상기 견과류받침대로 이송된 견과류의 윗면을 눌러 가압하는 견과류누름구, 상기 견과류누름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 상기 견과류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운동의 상사점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상사점센서가 구비된 파쇄부 및 상기 로딩부, 이송부 및 파쇄부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견과류 탈피장치{Apparatus for cracking nut products}
본 발명은 견과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과류 내부의 식용부위는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단단한 외피에만 균열을 발생시켜 외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견과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두 등의 견과류는 단단한 외피를 제거하여야 내부의 식용부위를 섭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잘게 깨진 호두알은 약 20,000원/kg이고 원형 그대로 유지된 호두알은 약 85,000원/kg으로 식용부위의 원형상태 유지 여부가 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견과류의 외피를 제거함에 있어서 식용부위를 원형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사람이 망치 또는 등록특허 제10-1036069호 “호두껍데기 탈피용 도구”에서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아무리 숙련된 사람일지라도 힘을 잘못 조절하여 식용부위까지 부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14718호 “호두까는 장치 및 방법”에서는 이송체인에 의하여 공급받은 호두를 파쇄하는 제1, 2 파쇄구를 일구성으로 하는 자동 호두 탈피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외피의 크기가 알맹이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외피를 부수는 과정에서 식용부위의 원형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이송과정에서 호두의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견과류 내부의 식용부위는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단한 외피에만 균열을 발생시켜 외피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자동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견과류의 병목현상을 최소화한 견과류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견과류를 수용하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견과류를 일렬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출구에 배치되어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낙하감지센서가 구비된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일렬로 공급된 견과류를 체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에 의해 한 개씩 수평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에 의해 이송되는 견과류의 양 측면에서 서로 협력하여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상기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의 출구에 설치되어 견과류를 수확상자로 안내하는 수확가이드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 이송부, 상기 제1 이송가이드의 일부 구간에서 제1 이송가이드를 대체하여 배치되고 제2 이송가이드와 협력하여 이송된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는 견과류받침대, 상기 견과류받침대로 이송된 견과류의 윗면을 눌러 가압하는 견과류누름구, 상기 견과류누름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 상기 견과류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운동의 상사점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상사점센서가 구비된 파쇄부 및 상기 로딩부, 이송부 및 파쇄부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에 감지된 압력이 미리 정의된 수치가 되는 시점을 누름시작점으로 인식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하면 견과류누름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쇄부는 견과류의 이송부에서의 이송경로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견과류 받침대는 이송된 견과류와의 접촉면에 요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견과류의 크기 차이에도 불구하고 외피에 가해지는 힘의 지속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견과류 내부의 식용부위는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단한 외피에만 균열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개의 파쇄부를 병렬연결하고 견과류받침대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서 견과류가 다음 파쇄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구름동작을 하여 다음 파쇄부에서 견과류누름구가 견과류를 가압하는 위치가 변경되고 견과류 외피의 다양한 부분에 균열이 발생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배출된 견과류에서 외피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로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이송부와 파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이송부와 파쇄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견과류누름구의 견과류 가압시간에 따른 압력센서의 압력을 도시한 그래표.
도 7은, 파쇄부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10)는 한꺼번에 불규칙적으로 적재된 다수의 견과류를 일렬로 정렬하는 로딩부(100), 상기 로딩부에서 일렬로 공급된 견과류를 한 개씩 수평 이송하는 이송부(200), 상기 이송부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견과류의 외피를 파쇄하는 파쇄부(300), 및 상기 로딩부, 이송부 및 파쇄부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로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로딩부(100)는 호퍼(110), 이송관(120) 및 낙하감지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퍼(110)는 다수의 견과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에서 이어지는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110)의 수납공간은 견과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110)는 일단이 호퍼의 내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이 배출구를 통해 이송관 내부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배출가이드(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관(120)은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이송관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스크류(122)를 구비한다.
상기 낙하감지센서(130)는 이송관의 출구에 배치되어 견과류의 통과 여부를 감지한다.
도 3은 이송부와 파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이송부와 파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이송부(200)는 체인컨베이어(210), 제1 이송가이드(220), 제2 이송가이드(230), 수확가이드(240) 및 위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컨베이어(210)는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는 체인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어태치먼트를 구비한다.
상기 어태치먼트는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돌출된 이송막대(214), 및 상기 이송막대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틈, 즉 이송막대 이동통로를 메워주는 낙하방지판(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낙하방지판(216)은 우레탄 재질의 플레이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는 이송막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 이송가이드와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견과류 이송통로를 메워주는 브러시(2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이송가이드(220)와 제2 이송가이드(230)는 체인컨베이어에 부착된 이송막대의 이송경로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이송가이드(220)와 제2 이송가이드(230) 사이는 하단에서는 이송막대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만 상호간에 이격되지만 위로 가면 견과류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간격으로 이격하게 된다. 또한, 제1 이송가이드(220)와 제2 이송가이드(230)의 마주보는 면, 즉 견과류와의 접촉면은 다양한 크기의 견과류가 흔들림 없이 이송될 수 있도록 아래가 개방된 V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확가이드(240)는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의 출구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를 따라 이송된 견과류를 수확상자(미도시)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체인컨베이어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체인컨베이어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위치감지막대(252), 및 상기 위치감지막대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감지막대(25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위치감지막대 상호간에 일정한 각도차를 가지고 체인컨베이어의 구동축에 결합하게 되고, 위치감지막대 상호간의 각도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속막대가 체인에 부착된 위치 상호간의 각도와 동일하게 하여 하나의 위치감지막대가 위치감지센서(254)를 통과하는 때에 하나의 이송막대가 특정 지점을 통과하면 다음 위치감지막대가 위치감지센서(254)를 통과하는 때에 다음 이송막대가 상기 특정 지점을 통과하게 한다.
상기 파쇄부(300)는 견과류받침대(310), 견과류누름구(320),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 압력센서(340) 및 상사점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견과류받침대(310)는 견과류의 이송경로에서 제1 이송가이드의 출구에 도달하기 전의 구간에서 제1 이송가이드를 대체하여 배치되고, 제2 이송가이드와 마주보는 견과류 접촉면은 제2 이송가이드와 협력하여 이송된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체된 제1 이송가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과류받침대(310)는 견과류 접촉면에 요철홈, 예를 들어 평기어홈이 형성되어 견과류와의 마찰계수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과류누름구(320)는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어 견과류받침대로 이송된 견과류의 윗면을 눌러 견과류받침대와 협력하여 견과류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은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332) 및 상기 견과류누름구에 연결봉(334)과 크랭크휠(336)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332)는 견과류누름구에 직선베어링을 통해 연결되는 기둥 형상을 이루고, 견과류누름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평 이송될 수 있도록 하나의 견과류누름구에는 2개의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33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334)은 견과류누름구와 크랭크휠의 외주면을 연결하고, 상기 크랭크휠(336)은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340)는 견과류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고, 상기 상사점센서(350)는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운동시 상사점 도달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300)는 견과류의 이송경로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는 4개의 파쇄부(300)가 연속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10)에 사용되는 구동모터는 모두 DC모터로서 제어부에서 정지 신호가 들어오면 미끄럼 없이 바로 정지될 것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견과류누름구의 견과류 가압시간에 따른 압력센서의 압력을 도시한 그래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과류 탈피장치의 파쇄부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호퍼(110)의 수납공간에 채워진 견과류는 자체 하중에 의해 수납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이송관(1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송관(120) 내부의 이송스크류(122)의 나선형 골을 따라 채워진 견과류는 이송스크류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이송관(120)의 출구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호퍼(110)의 수납공간을 채운 견과류는 상호간에 아치를 형성하여 이송관(1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호퍼(110)의 내면에 배출가이드(112)를 힌지 결합하면 이송스크류(122)에 접촉하는 배출가이드(112)의 자유단이 이송스크류(122)의 스크류 날에 접촉하여 이동스크류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이송스크류(122)의 스크류날을 따라 상승했다가 떨어지면서 아치를 파괴하게 된다.
이송관(12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견과류는 제1 이송가이드(220)와 제2 이송가이드(230) 사이로 공급되고,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체인컨베이어(210)의 체인에 부착된 이송막대(214)가 견과류의 후방에 접촉하여 밀어줌으로서 수평 이송하게 된다. 제1 이송가이드(220)와 제2 이송가이드(230)를 따라 견과류를 수평 이송하는 이동막대(214)가 제1 이송가이드(220)와 견과류받침대(310) 사이의 경계에 도달하면 도 7의 첫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견과류가 견과류받침대(310) 위에 위치하고 동시에 위치감지막대(252)가 위치감지센서(254)를 통과하여 위치감지센서(254)에서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에 위치감지센서(254)의 감지 신호가 들어오면 제어부는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가 작동되면 도 7의 두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크랭크휠(336)이 정회전하여 연결봉(334)을 통해 연결된 견과류누름구(320)에 아래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고 견과류누름구(320)는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332)를 따라 직선으로 하강하게 된다. 견과류누름구(320)가 견과류의 윗면에 접촉하여 도 7의 세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견과류의 윗면을 가압하고, 견과류를 통해 견과류받침대(310)에 전달된 압력이 압력센서(340)에 감지된다. 압력센서(340)에 감지된 압력이 미리 정의된 수치,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3 ~ 6kgf가 되면 제어부에서는 그 시점을 누름시작점으로 인식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3 ~ 5msec가 경과한 후에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다시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작동하여 크랭크휠(336)을 역회전시킨다. 이 때 미리 정의된 압력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은 견과류의 종류, 상태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크랭크휠(336)이 역회전하면 도 7의 네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연결봉(334)을 통해 연결된 견과류누름구(320)는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33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견과류의 크기가 크든 작든 견과류에 가해지는 힘의 지속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견과류에 너무 오래 힘을 가해 식용부위까지 손상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견과류에 너무 적은 힘을 가해 외피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견과류누름구(320)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상사점센서(35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이송막대(214)에 의해 이송된 견과류가 없는 경우에는 견과류누름구(320)가 하강하다가 하사점을 찍고 다시 상승하여 상사점에 도달하면 상사점센서(350)가 이를 감지하고 마찬가지로 제어부는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에 위치감지센서(254)의 감지 신호가 들어오면 제어부는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외에 이송스크류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이송스크류구동모터가 작동되면 이송스크류(12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이송스크류(122)의 나선형 골에 채워진 견과류가 이송관(120)의 출구로 배출되고, 이송관(120)의 출구에 배치된 낙하감지센서(130)에 견과류 배출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이송스크류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 즉, 이송관(120)에서 이송부(200)로 1개의 견과류만을 공급하여 이송막대(214)에 의해 1개의 견과류만이 이송되게 한다.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에 의해 체인컨베이어(210)가 다시 작동하면 견과류는 이송막대(214)에 의해 수확가이드(24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파쇄부(300)가 2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에 위치감지센서(254)의 감지 신호가 들어오면 제어부는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각각의 파쇄부(300)의 각각의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가 작동된 후에 각각의 견과류누름구(320)의 작동은 각각의 파쇄부(300)에 설치된 각각의 압력센서(340)와 각각의 상사점센서(350)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즉, 견과류가 이송되지 않은 파쇄부(30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가 계속 정회전하여 견과류누름구(320)는 하사점을 찍고 다시 상승하게 되고, 견과류가 이송된 파쇄부(30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가 정회전하여 견과류누름구(320)가 하강하다가 견과류를 가압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되면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가 정지 후 역회전하여 견과류누름구(320)가 상승하게 된다. 가장 늦게 상승한 견과류누름구(320)가 상사점센서(350)에 감지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견과류누름구(320)가 상사점에 정지하게 되면 제어부는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체인컨베이어구동모터에 의해 체인컨베이어(210)가 다시 작동하면 견과류는 이송막대(214)에 의해 수확가이드(240)를 통해 배출되거나 다음 파쇄부(300)로 이동하게 되는데, 견과류가 이송막대(214)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 견과류받침대(310)의 견과류 접촉면에 형성된 요철홈에 의해 구름동작을 하여 다음 파쇄부(300)에 도착하면 견과류의 가압부위가 달라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견과류 탈피장치
100 : 로딩부
110 : 호퍼
120 : 이송관
130 : 낙하감지센서
200 : 이송부
210 : 체인컨베이어
220 : 제1 이송가이드
230 : 제2 이송가이드
240 : 수확가이드
300 : 파쇄부
310 : 견과류받침대
320 : 견과류누름구
340 : 압력센서
350 : 상사점센서

Claims (5)

  1. 다수의 견과류를 수용하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견과류를 일렬로 이송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일렬로 공급된 견과류를 한 개씩 수평 이송하는 이송부;
    파쇄부; 및
    상기 로딩부, 이송부 및 파쇄부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견과류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출구에 배치되어 물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낙하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로딩부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일렬로 공급된 견과류를 체인에 부착된 어태치먼트에 의해 한 개씩 수평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에 의해 이송되는 견과류의 양 측면에서 서로 협력하여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상기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의 출구에 설치되어 견과류를 수확상자로 안내하는 수확가이드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어태치먼트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이송가이드의 일부 구간에서 제1 이송가이드를 대체하여 배치되고 제2 이송가이드와 협력하여 이송된 견과류의 하중을 지지하는 견과류받침대, 상기 견과류받침대로 이송된 견과류의 윗면을 눌러 가압하는 견과류누름구, 상기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견과류누름구이송가이드 및 상기 견과류누름구에 연결봉과 크랭크휠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견과류누름구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견과류누름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견과류누름구이송수단, 상기 견과류받침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견과류누름구의 상하 운동의 상사점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상사점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탈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돌출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견과류의 후방에 접촉하는 이송막대;
    상기 이송막대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틈을 메워주는 낙하방지판; 및
    상기 이송막대의 돌출된 타단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송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견과류 이송통로를 메워주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탈피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에 감지된 압력이 미리 정의된 수치가 되는 시점을 누름시작점으로 인식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하면 견과류누름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탈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견과류의 이송부에서의 이송경로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견과류 받침대는 이송된 견과류와의 접촉면에 요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탈피장치.
KR1020110120934A 2011-11-18 2011-11-18 견과류 탈피장치 KR10136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34A KR101368202B1 (ko) 2011-11-18 2011-11-18 견과류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934A KR101368202B1 (ko) 2011-11-18 2011-11-18 견과류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273A KR20130055273A (ko) 2013-05-28
KR101368202B1 true KR101368202B1 (ko) 2014-03-12

Family

ID=4866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34A KR101368202B1 (ko) 2011-11-18 2011-11-18 견과류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98B1 (ko) * 2018-02-27 2019-06-20 오세양 액화질소를 이용한 은행탈피장치 및 그 방법
CN109105910B (zh) * 2018-08-08 2021-02-26 南通海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向天果的果实开壳设备
KR102220354B1 (ko) * 2019-07-08 2021-02-25 이상렬 은행열매 탈피장치
CN111480856A (zh) * 2020-04-06 2020-08-04 合肥市云逸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带测量功能的压果上模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64B1 (ko) 2006-11-17 2007-02-20 주명규 자동 호두 외피 박피기
KR20100069318A (ko) * 2008-12-16 2010-06-2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청피 분리가 가능한 호두 과피 탈피 장치
KR20110005988A (ko) * 2009-07-13 2011-01-20 김석희 은행껍질 탈피기
KR101036041B1 (ko) * 2010-11-22 2011-05-19 김미애 호두껍데기 탈피용 자동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64B1 (ko) 2006-11-17 2007-02-20 주명규 자동 호두 외피 박피기
KR20100069318A (ko) * 2008-12-16 2010-06-2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청피 분리가 가능한 호두 과피 탈피 장치
KR20110005988A (ko) * 2009-07-13 2011-01-20 김석희 은행껍질 탈피기
KR101036041B1 (ko) * 2010-11-22 2011-05-19 김미애 호두껍데기 탈피용 자동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273A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202B1 (ko) 견과류 탈피장치
EP1650143B1 (en) Article positioning machine
KR101667366B1 (ko) 생선 두미 절단장치
ITMI991195A1 (it) Estrattore di succo con comando idraulico della contropressione di estrazione
ITMI991194A1 (it) Estrattore di succo con elemento di rilascio di sicurezza
CN103318452B (zh) 药片包装机
KR20170096870A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KR101526449B1 (ko) 이송장치
CN106965971B (zh) 刀叉勺自动加料装置
JP5685681B2 (ja) 野菜芯取機
JP7084016B2 (ja) 物品振分装置
JP5788283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のラベル分離装置
CN103754611A (zh) 一种带有反盖剔除机构的自动理盖装置
KR101976712B1 (ko)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1270423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2043554B1 (ko)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KR101006142B1 (ko) 자동식 고기 절단기
CN104071557B (zh) 水果盒自动排列输送装置
KR102096621B1 (ko) 육가공용 돈피 분리 장치
KR20160015562A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CN203740530U (zh) 果汁自助售卖设备的存储下料装置
KR102465357B1 (ko)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KR101891174B1 (ko) 과자 투입장치
JP2005001806A (ja) ボール供給機
CN219335016U (zh) 一种果味酱输送带式筛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