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423B1 - 양파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423B1
KR101270423B1 KR1020100107281A KR20100107281A KR101270423B1 KR 101270423 B1 KR101270423 B1 KR 101270423B1 KR 1020100107281 A KR1020100107281 A KR 1020100107281A KR 20100107281 A KR20100107281 A KR 20100107281A KR 101270423 B1 KR101270423 B1 KR 10127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peeling
supply
rotating
transf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626A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테크
Priority to KR102010010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4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의 껍질부위만을 절개하는 절개 날과, 절개 홈이 형성된 양파를 회전시키는 롤러수단과, 상기 롤러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양파의 절개된 틈새로 가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탈피하는 가압공기노즐을 구비하여 양파 껍질을 쉽고 편리하게 탈피할 수 있도록 한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양파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양파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양판 껍질을 벗기는 탈피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에 양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 공급이송수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과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2 공급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양파공급수단과; 상기 양파공급수단의 제1 공급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된 양파의 껍질에 절개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의 최상단부를 타고 이송되는 양파의 상부가 접촉하도록 설치된 절개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된 양파 껍질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 호퍼와; 상기 탈피수단에 의해서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배출시키기 위한 양파추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파 탈피장치{APPARATUS FOR PEELING ONION}
본 발명은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의 껍질부위만을 절개하는 절개 날과, 절개 홈이 형성된 양파를 회전시키는 롤러수단과, 상기 롤러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양파의 절개된 틈새로 가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탈피하는 가압공기노즐을 구비하여 양파 껍질을 쉽고 편리하게 탈피할 수 있도록 한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파에는 각종 비타민, 칼슘, 인 등 무기질이 풍부하여 음식 재료뿐만 아니라 소화액 분비 촉진, 다이어트, 중성지방 증가방지 및 감소, 오장 내장 장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양파(onion)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비늘줄기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겉에 얇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자줏빛이 도는 갈색 껍질이 있고 안쪽의 비늘은 두꺼우며 층층이 겹쳐지고 매운맛이 난다.
따라서 양파를 식용하고자 할 때는 양파의 껍질을 탈피하여야 하는데, 양파가 소량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대형 식당이나 구내 식당 등에서 대량의 양파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 양파의 껍질을 탈피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의 양파 탈피는, 모든 것이 손으로 하는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항상 위생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의 소비로 껍질을 제거하여 판매한 양파의 경우 식재료의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양파의 껍질을 자동으로 벗겨 낼 수 있는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파를 탈피장치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양파의 껍질부위만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틈새로 가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이 더욱 쉽게 탈피될 수 있도록 하는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금속판을 스피닝 가공한 금속 볼을 이용하여 탈피탈피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탈피 롤러의 제작 가격을 낮출 분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파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양파 공급시가 탈피 과정에서 양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 발생 및 양파의 손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다른 양파 탈피장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양파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양파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양판 껍질을 벗기는 탈피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에 양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 공급이송수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과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2 공급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양파공급수단과;
상기 양파공급수단의 제1 공급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된 양파의 껍질에 절개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의 최상단부를 타고 이송되는 양파의 상부가 접촉하도록 설치된 절개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된 양파 껍질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 호퍼와;
상기 탈피수단에 의해서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배출시키기 위한 양파추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수단은 양파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수용부를 갖도록 두 개의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탈피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피 롤러는 회전축 상에 설치된 다수 개의 금속 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 볼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스피닝 가공하여 입구 쪽이 넓고 바닥 쪽이 좁은 그릇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 볼은 바닥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의 가운데에는 두 개의 금속 볼의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하여 양측에 금속 볼의 바닥면이 보이도록 설치하고, 그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금속 볼의 바닥면이 대응하도록 다른 금속 볼을 설치하여 가운데에 설치된 금속 볼을 중심으로 양측에 두 개의 양파의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 볼의 표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은 공급 호퍼에 수용된 양파를 상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양파를 탑재하는 다수 개의 탑재 턱과, 상기 하나의 탑재 턱에 두 개 이상의 양파가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일 측으로 탄성 가압되고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바로 이루어진 낱개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의 컨베이어의 최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상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절개 날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 날은 상하로 일정 범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하는 회동 암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 암의 타 측에는 상기 회동 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파워실린더가 구비된다.
상기 절개 날은 원판형의 칼날로서 절취선 형태의 절개 홈을 형성하도록 톱니형태의 칼날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은 하향 경사진 판재나 채널로서, 두 개의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양파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선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로선택수단은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의 양파 이송경로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택 바와, 상기 선택 바를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선택 바를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의 하단에는 탈피수단으로 공급되는 양파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제1 스토퍼 수단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토퍼 수단은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의 하부에서 상기 양파의 공급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 판과, 상기 차단판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 판을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피수단의 일 측에는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하는 양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 수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수단은 껍질이 벗겨진 양파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 봉과, 상기 차단 봉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 봉을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배출노즐은 제2 공급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양파 배출통로 쪽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에 의하면, 기체에 양파의 껍질부위만을 절개하는 절개 날과 아울러 절개된 틈새로 가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이 탈피되는 작용을 하는 가압공기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양파 껍질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탈피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일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파(1)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껍질을 벗겨 내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양파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양판 껍질을 벗기는 탈피수단(70)과, 양파(1)를 탈피수단(70)에 공급하기 위한 양파공급수단(30)과, 양파(1)를 상기 탈피수단(70)에 공급하기 전에 양파의 껍질에 절개 홈을 형성하는 절개수단(4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피수단(70)은 껍질에 절개 홈이 형성된 양파(1)를 수용하는 수용부(71)를 갖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탈피 롤러(7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피 롤러(73)는 구동모터(77)에 의해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수용부(71)에 안치된 양파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피수단(70)의 일 측에는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탈피수단(70)의 하부에는 양파 껍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103)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탈피수단(70)의 상부에는 상기 탈피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양파 탈피장치(100)는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프레임(110,120)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120) 위에는 상기 탈피수단(70)이 설치되고 그 아래에는 양파 껍질을 회수하기 위한 수거함(103)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상기 탈피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77)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양파공급수단(3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 위에 설치된 탈피수단(70)으로 양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개수단(40)은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양파공급수단(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파공급수단(30)은 바닥에 설치된 공급 호퍼(11)에 수용되어 있는 양파(1)를 상부로 이송시켜 절개수단(40)과 접촉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공급이송수단(10)과, 상기 절개수단(40)에 의해서 절개 홈이 형성된 양파를 상기 탈피수단(7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공급이송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10)과 제2 공급이송단(20)의 일단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1 공급이송수단(10)을 통해서 이송된 양파가 제2 공급이송단(20)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210)은 공급 호퍼(11)에 수용된 양파(1)를 상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conveyor,12)와, 상기 컨베이어(12)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 호퍼(11)는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의 양파(1)를 다수 개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공급 호퍼(11) 안에 상기 컨베이어(12)의 하단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2)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양파(1)를 탑재하는 다수 개의 탑재 턱(14)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탑재 턱(14)은 두 개의 판재를 V자 형태로 설치하여 가운데에 양파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12)는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 두 개의 순환 롤러(16)와 맞물려 순환(循環)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3)은 상기 순환 롤러(1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3)은 순환 롤러(16)와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되어 순환 롤러(16)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컨베이어(12)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12)는 양파(1)를 컨베이어의 상단부로 연속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12)의 일 측에는 하나의 탑재 턱(14)에 두 개 이상의 양파(1)가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한 낱개공급수단(17)이 구비된다. 즉, 두 개의 양파(1)가 동시에 공급되면 후술하는 절개수단(40)에서의 절개 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고장의 원인이 된다. 상기 낱개공급수단(17)은 상기 컨베이어(12)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바(18)와, 상기 회동 바(18)에 결합하여 회동 바(18)를 일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 바(18)는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양파(1)와 접촉하여 일 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하나의 탑재 턱(14)에 두 개 이상의 양파(1)가 탑재되면 위쪽의 양파(1)는 상기 회동 바(18)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려 다시 공급 호퍼(11)로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절개수단(40)은 상기 컨베이어(12)의 최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지도록 상부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12)를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상부가 상기 절개수단(40)의 절개 날(41)과 접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절개수단(40)은 크게 양파의 껍질(1)에 절개 홈을 형성하는 절개 날(41)과, 상기 절개 날(41)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하로 일정 범위 회동하는 회동 암(43)과, 상기 회동 암(43)의 회동 각을 조절하는 실린더(4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 암(43)에는 상기 회동 암(43)을 아래 방향으로 항상 탄압하기 위한 소정의 탄성 수단(47)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수단(47)은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절개 날(41)은 원판형의 칼날로서 상기 회동 암(45)의 선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 날(41)에는 절취선 형태의 절개 홈을 형성하도록 톱니형태의 칼날이 형성된다. 이때 톱니의 형태는 사각형이나 사다리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12)의 따라 이송되는 양파(1)가 절개 날(41)과 접촉한 상태에서 컨베이어(12)의 상단부를 타고 이송되면, 상기 회동 암(43)에 의해서 일정한 압력으로 지지되는 상기 절개 날(41)이 양파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양파(1) 껍질에 절취선 형태의 절개 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절개 홈은 양파 껍질에 고압의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틈을 형성하여 탈피수단에서 양파 껍질이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은 절개 홈이 형성된 양파(1)를 탈피수단(7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구동수단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은 소정 크기의 안내 채널(21)과 안내 플레이트(2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에는 상기 탈피수단(70)에 구비된 두 개의 수용부(71)에 양파(1)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선택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탈피수단(70)에 두 개 이상의 수용부(71)가 구비된 경우에는 각 수용부(71)에 양파를 순차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경로선택수단(50)은 상기 안내 플레이트(22)의 양파 이송경로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택 바(53)와, 상기 선택 바(53)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실린더(55)와, 상기 실린더(55)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선택 바(53)를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5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55) 및 링크 부재(54)의 작용에 따라 선택 바(53)를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두 개의 경로 중 어느 한쪽의 경로가 개폐되어 두 개의 수용부(71)로 양파(1)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로선택수단(53)의 형태는 탈피수단(70)에 구비되는 수용부(71)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의 하부에는 상기 절개수단(40)에서 공급되는 양파가 탈피수단(70)으로 급속히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 수단(6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의 경사가 급할 경우, 상기 절개수단(40)에서 공급되는 양파가 안내 채널(21)과 안내 플레이트(22)를 따라 내려오면서 가속되어 상기 탈피수단(70)으로 공급되면, 양파(1)가 상기 탈피수단(70)을 이탈하거나 상기 탈피수단(70)과의 충돌시 그 충격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스토퍼 수단(50)은 안내 채널(21)의 양파 이송경로 상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양파가 곧바로 탈피수단(70)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1 스토퍼 수단(60)은 상기 안내 플레이트(22)의 양파의 공급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 판(61)과, 상기 차단 판(61)을 회동시키는 실린더(63)와, 상기 실린더(63)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 판(61)을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6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단 판(61)의 수는 탈피수단에 구비된 수용부(71)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63) 및 링크 부재(64)의 작용에 따라 상기 차단 판(61)이 상승하면 양파의 이동경로가 차단되어 양파가 직접 탈피수단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탈피수단(70)으로 양파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상기 실린더(63) 및 링크 부재(64)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차단 판(61)을 밑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차단 판(61)에 걸려 있던 양파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 판(61)과 탈피수단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 양파의 이탈 및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토퍼 수단(60)의 실린더(63)는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의 상부에 설치된 접촉센서(25)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접촉센서(25)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센서봉(26)의 하단에 설치된 압력센서이다.
이어서, 상기 탈피수단(70)은 양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양파(1)의 껍질을 탈피하여, 껍질이 벗겨진 양파는 일 측으로 배출하고 껍질은 아래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탈피수단(7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양파(1)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71)를 형성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탈피 롤러(73)로 이루어진 롤러수단(75)과, 상기 두 개의 탈피 롤러(7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7)와 상기 구동모터(77)의 회전력을 두 개의 탈피 롤러(73)로 전달하여 두 개의 탈피 롤러(73)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78)과, 상기 롤러수단(75)에 형성된 수용부(71)의 상부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양파 껍질을 절개(切開)하는 가압공기노즐(79)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수단(75)은 양파의 공급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72)과, 상기 회전축(72) 상에 설치된 다수 개의 금속 볼(bowl: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 볼(74)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스피닝(spinnig) 가공하여 입구는 넓고 바닥은 좁은 그릇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 개의 금속 볼(74)은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서 상기 회전축(7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롤러수단(75)에 두 개의 수용부(71)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72)의 가운데에는 두 개의 금속 볼(74)의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금속 볼(74)의 바닥면이 서로 대응하도록 다른 금속 볼(74)을 설치하여,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축(72)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두 개의 금속 볼(74)의 양측에 각각 수용부(7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72)에 설치하는 금속 볼(74)의 수와 설치방법은 수용부(71)의 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한편 상기 금속 볼(74)의 표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부(71)에 안치되는 양파가 더욱 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일정한 마찰력을 부가하여 양파 껍질이 더 잘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탈피 롤러(73)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양파(1)가 수용부(71)로 공급되면, 양파는 탈피 롤러(7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껍질이 벗겨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롤러수단(75)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공기노즐(79)을 통해서 고압의 공기를 회전하는 양파에 분사하면 껍질의 절개홈으로 고압의 공기가 들어가서 껍질이 더욱 쉽게 탈피된다. 그리고 탈피된 껍질은 탈피 롤러(73)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하부에 설치된 수거함(103)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탈피수단(70)의 일 측에는 수용부(71)로부터 양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 수단(8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토퍼 수단(80)은 껍질이 벗겨진 양파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 봉(82)과, 상기 차단 봉(82)을 회동시키는 실린더(84)와, 상기 실린더(84)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 봉(82)을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8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단 봉(82)의 수는 수용부(71)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84) 및 링크 부재(86)의 작용에 따라 상기 차단 봉(82)이 하강하여 양파의 배출경로를 차단하면 양파가 탈피수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파를 정상적으로 배출시킬 때는 상기 차단 봉(82)을 상승시켜 양파의 배출이 자유롭도록 한다. 그리고 따라서 제2 스토퍼 수단(80)의 실린더는 후술하는 양파추출수단과 연동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양파추출수단(90)은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상기 수용부(71)에서 추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상기 수용부(71)에 있는 양파를 배출통로 쪽으로 타격하는 배출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부(71)에 있는 양파에 고압의 공기로 분사하여 배출통로 쪽으로 배출시키는 고압배출노즐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상기 제2 공급이송수단(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를 수용부(71)의 하부에서 양파의 배출통로 쪽으로 분사하는 고압배출노즐(9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탈피 롤러(73)와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양파 껍질이 모두 벗겨지면 상술한 가압공기노즐(79)은 폐쇄하고, 상기 고압배출노즐(91)을 개방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탈피장치(71)의 타 측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배출된 양파는 도시되지 않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후의 다른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1 공급이송수단 11: 공급 호퍼
12: 컨베이어 14: 탑재 턱
17: 낱개공급수단 20: 제2 공급이송수단
30: 양파공급수단 40: 절개수단
41: 절개 날 43: 회동 암
50: 경로선택수단 53: 선택 바
60: 제1 스토퍼 수단 61: 차단 판
70: 탈피수단 71: 수용부
73: 탈피 롤러 74: 금속 볼
75: 롤러수단 77: 구동모터
79: 가압공기노즐 80: 제2 스토퍼 수단
82: 차단 봉 91: 고압배출노즐
103: 수거함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Claims (9)

  1.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양파 탈피장치에 있어서,
    양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탈피 롤러와 상기 탈피 롤러에 따라 회전하는 양파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양판 껍질을 벗기는 탈피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에 양파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1 공급이송수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과 연결되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제2 공급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양파공급수단과;
    상기 양파공급수단의 제1 공급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된 양파의 껍질에 절개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의 컨베이어의 최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상단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절개 날과, 상기 절개 날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하로 회동하는 회동 암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의 최상단부를 타고 이송되는 양파의 상부가 접촉하도록 설치된 절개수단과;
    상기 탈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된 양파 껍질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상기 제1 공급이송수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 호퍼와;
    상기 탈피수단에 의해서 껍질이 벗겨진 양파를 배출시키기 위한 양파추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에는 다수 개의 금속 볼을 고정하되 상기 회전축의 가운데에는 두 개의 금속 볼의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하여 양측에 금속 볼의 바닥면이 보이도록 설치하고, 그 양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금속 볼의 바닥면이 대응하도록 다른 금속 볼을 설치하여 가운데에 설치된 상기 금속 볼을 중심으로 양측에 두 개의 양파의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날은 원판형의 칼날로서 절취선 형태의 절개 홈을 형성하도록 톱니형태의 칼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수단의 일 측에는 상기 수용부에서 회전하는 양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 수단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스토퍼 수단은 껍질이 벗겨진 양파가 배출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 봉과, 상기 차단 봉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 봉을 원활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9. 삭제
KR1020100107281A 2010-10-29 2010-10-29 양파 탈피장치 KR10127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81A KR101270423B1 (ko) 2010-10-29 2010-10-29 양파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81A KR101270423B1 (ko) 2010-10-29 2010-10-29 양파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26A KR20120045626A (ko) 2012-05-09
KR101270423B1 true KR101270423B1 (ko) 2013-06-07

Family

ID=4626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81A KR101270423B1 (ko) 2010-10-29 2010-10-29 양파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3927B (zh) * 2012-08-14 2015-05-13 青岛盛祺源工贸有限公司 无损伤洋葱剥皮机
KR101720526B1 (ko) * 2016-01-05 2017-03-28 장회식 양파 탈피기
KR102001600B1 (ko) * 2017-12-07 2019-07-18 박철호 견과류 껍질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과류 껍질제거방법
CN110214959B (zh) * 2019-07-15 2024-03-22 庞雨 一种软壳核果类水果自动去核脱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22Y1 (ko) 2001-08-31 2001-11-24 주식회사 평화엔지니어링 양파 자동 박피기
KR20080018395A (ko) * 2006-08-24 2008-02-28 임태훈 양파 껍질의 자동 박피장치
KR100936706B1 (ko) 2007-10-12 2010-01-13 백도웅 양파 탈피기
KR20100006239A (ko) * 2008-07-09 2010-01-19 남식 양파 탈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22Y1 (ko) 2001-08-31 2001-11-24 주식회사 평화엔지니어링 양파 자동 박피기
KR20080018395A (ko) * 2006-08-24 2008-02-28 임태훈 양파 껍질의 자동 박피장치
KR100936706B1 (ko) 2007-10-12 2010-01-13 백도웅 양파 탈피기
KR20100006239A (ko) * 2008-07-09 2010-01-19 남식 양파 탈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26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423B1 (ko) 양파 탈피장치
US7669707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part sorter
EP1814811B1 (fr) Perfectionnement aux machines d'appret utilisees pour orienter des objets
KR101162465B1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US7770717B2 (en) Device for transfer of items
KR101218909B1 (ko) 다슬기 탈각기
CN108993855B (zh) 筛分装置
CN108991568B (zh) 一种大蒜根须切除系统
CN104754962A (zh) 草莓的果蒂去除装置
US6584890B1 (en) High production nutcracking apparatus for processing relatively small nuts
CN106360751A (zh) 果壳开口装置及坚果加工系统
US70448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neck meat from a fish
JP2005000089A (ja) 落花生等の皮剥き装置
US3605983A (en) Corn orie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88977B1 (ko) 양파 가공기
US2735465A (en) Machine for orienting and slicing
US59541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presenting and/or orienting parts
US2528293A (en) Feeding of cherries having stems attached
CN105410962B (zh) 蘑菇烘干装置
CN108968120B (zh) 大蒜加工系统
CN206498906U (zh) 果壳开口装置及坚果加工系统
KR20130055273A (ko) 견과류 탈피장치
AU7669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lustering cherries
KR101729753B1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629662B1 (ko) 농산물 재벌 탈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