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06B1 - 양파 탈피기 - Google Patents

양파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06B1
KR100936706B1 KR1020070102858A KR20070102858A KR100936706B1 KR 100936706 B1 KR100936706 B1 KR 100936706B1 KR 1020070102858 A KR1020070102858 A KR 1020070102858A KR 20070102858 A KR20070102858 A KR 20070102858A KR 100936706 B1 KR100936706 B1 KR 10093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nion
cylinders
onion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531A (ko
Inventor
백도웅
Original Assignee
백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도웅 filed Critical 백도웅
Priority to KR102007010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의 타단에 회전칼날을 형성함으로써, 양파의 크기나 무게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는 양파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파 탈피기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일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칼날; 상기 제1실린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하부에 일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02858
제1실린더, 회전칼날, 구동부, 공급부, 조절구, 제2실린더, 분사노즐

Description

양파 탈피기 {Onion peeler}
본 발명은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의 타단에 회전칼날을 형성함으로써, 양파의 크기나 무게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는 양파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풀로서 땅속 지하부의 비대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 채소의 하나이며, 비늘줄기는 봄부터 비대하기 시작하여 여름에 성숙하는 것으로 여름이 되면 지상부의 잎줄기는 마르고 땅속 비늘줄기는 휴면하면서 가을이 되면 다시 눈이 돋아 잎이 뻗어나온다.
양파는 둥근 몸통에 해당하는 비늘줄기 위에 잎을 포함하는 줄기와 하부에는 수염뿌리가 있는 것으로 이러한 양파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몸통을 제외한 줄기와 뿌리 그리고 몸통 외곽의 껍질(외피)를 제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식당 또는 양파 가공 공장에서도 양파의 더럽거나 식용으 로 적합하지 않은 외곽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수 일일이 칼로 양파에 칼집을 내고 손으로 양파의 껍질을 벗기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양파의 껍질을 미세한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벗겨내는 등의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작업자가 양파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잘라서 브러쉬가 형성된 테이블에 위치시키면 양파의 노출된 윗부분의 내피와 외피 사이로 고속 회전하는 미세한 브러쉬를 침투시켜서 껍질을 고속으로 벗겨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파 탈피기는, 테이블의 지정된 위치에 양파를 위치시키고, 가공을 마친 양파를 다시 테이블로부터 이탈시키는 모든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자동화를 이루지 못하여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양파 껍질 제거의 대량 연속 작업이 불가능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러쉬 회전 제어가 작업자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고, 많은 양의 양파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브러쉬 장치가 사용되는 등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넓은 설치장소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브러쉬 마찰로 인해 양파에 상처가 많이 나고, 구조적으로 다양한 크기나 다양한 형태의 양파 껍질을 균일하게 벗겨낼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의 타단에 회전칼날을 형성함으로써 양파의 크기나 무게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고, 회전칼날의 장탈착이 아주 간편하며, 제2실린더의 상부에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형성함으로써 제2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절개된 외피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양파 탈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파 탈피기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일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칼날; 상기 제1실린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하부에 일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삭제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의 타단에 회전칼날을 형성함으로써, 양파의 크기나 무게에 관계없이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연속적으로 절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칼날을 돌기와 요홈이 형성된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회전칼날의 장탈착이 아주 간편하고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칼날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제2실린더의 상부에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형성함으로써, 제2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절개된 외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기는,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0), 공급부(50), 회전칼날(30), 구동부(40), 제2실린더(20), 및 분사노즐(70)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제1실린더(1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고, 다량의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제1실린더(10)를 평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실린더(10)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이 녹이 잘 슬지않는 재질이면 무방하고, 제1실린더(10)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1)에는 베어링(18)이 결합되어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며, 제1실린더(10)와 회전축(11)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실린더(10)는 공급되는 양파가 자연스럽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파의 이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고, 제1실린더(10)의 사이에 후술하는 조절구(60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10)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지지바(65a)에 의해 양파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양파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1실린더(1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부(40)가 제1실린더(1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제1실린더(10)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양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서 양파는 회전하면서 이송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구르게 되는 것이다.
만약 3개의 제1실린더(10)가 구비된 경우라면, 구동부(40)는, 우측 제1실린더(10a)의 회전축(11a)에 형성되는 2개의 풀리(12a, 12b); 중간 제1실린더(10b)의 회전축(11b)에 형성되는 2개의 풀리(13a, 13b); 좌측 제1실린더(10c)의 회전축(11c)에 형성되는 풀리(14); 및 풀리(12a)와 V벨트(16)로 연결되는 회전모터(15)를 포함하며, 풀리(12b)와 풀리(13b) 사이 및 풀리(13a)와 풀리(14) 사이를 V벨트(16)로 연결한다. 풀리를 대신하여 스프라켓 또는 기어를 사용하고, V벨트를 대신하여 체인 또는 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제1실린더(10)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10)라면 어떠한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실린더(10)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부(50)로는 수작업으로 제1실린 더(10)의 일단에 양파를 올려놓을 수 있으나, 자동화를 위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1실린더(10)의 일단에 양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급부(50)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컨베이어(51), 및 양파를 하나씩 이송하기 위하여 컨베이어(51)의 이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컨베이어(51)의 표면에 형성되는 돌출바(52)를 포함한다. 즉, 제1실린더(10)의 일단에 규칙적으로 양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공급부(50)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실린더(10)의 타단에는 회전칼날(30)이 형성되고, 회전칼날(30)의 날 부분(35)은 양파의 외피만을 절개하기 위하여 양파의 외피 두께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칼날(30)의 몸체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의 날 부분(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칼날(30)은 2개로 분리되고, 2개로 분리된 회전칼날(30)에는 각각 돌기(31a)와 요홈(31b)이 형성되며, 회전칼날(30)은 돌기(31a)와 요홈(31b)이 맞추어져 제1실린더(10)의 회전축(11)에 결합되고, 회전축(11)에는 회전칼날(3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32)가 결합된다. 이것은 회전칼날(30)의 날 부분(35)이 마모된 경우에 제1실린더(10)에서 회전칼날(30)을 쉽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결합 시에는 회전칼날(30)의 돌기(31a)와 요홈(31b)이 맞추어지므로 회전칼날(30)이 회전하더라도 제1실린더(10)에서 회전칼날(30)이 분리되는 안전사고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회전칼날(30)과 고정구(32)의 사이에 밀착링(33)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양파의 외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절개하기 위하여 밀착링(33)과 고정구(32)의 사이에 추가의 회전칼날(30)과 밀착링(33)을 설치할 수도 있다. 회전축(11)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고정구(32)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회전축(11)에 고정구(32)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3개의 제1실린더(10)가 구비된 경우라면, 각각의 제1실린더(10)의 타단에 모두 회전칼날(30)을 형성할 수 있으나, 중간 제1실린더(10b)의 타단에만 회전칼날(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는 이송되는 양파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조절구(60a)가 형성될 수 있고, 이송되는 양파가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실린더(10)의 상부에는 안내바(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구(60a)는, 구동스프라켓(61a); 종동스프라켓(62a); 구동스프라켓(61a)과 종동스프라켓(62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63a); 및 체인(63a)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송되는 양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65a)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10)가 하향 경사져 있는 경우에 지지바(65a)는 이송되는 양파가 너무 빨리 제1실린더(10)를 통과하여 회전칼날(30)이 양파의 외피를 제대로 절개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해주고, 제1실린더(10)가 하향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지바(65a)가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서 양파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지지바(65a)는 이송되는 양파의 크기 및 무게 등에 따라 이송 속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되는 양파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준다.
양파의 외피가 회전칼날(30)에 의해 절개되어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쉽게 양파의 외피를 제거할 수 있으나, 자동화를 위하여 공지된 브러쉬 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실린더(10)의 타단 하부에 적어도 2개의 제2실린더(20)의 일단을 위치시키고, 제2실린더(20)의 상부에 회전하는 분사노즐(7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7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71)는, 분사노즐(70)이 편심되어 설치되는 회전판(72); 회전판(72)에 연장 형성되는 중심축(73); 중심축(73)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4); 및 중심축(73)에 베어링을 통해 형성되어 회전하지 않고, 중공된 중심축(73)을 통해 분사노즐(7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분사구(75)를 포함한다. 분사노즐(70)을 구비한 회전판(72)이 다수 설치되는 경우, 중심축(73)에 기어(76)를 형성하고, 기어(76)를 상호 치합시켜 하나의 회전모터(74)를 이용하여 다수의 회전판(72)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판(72)에 다수의 분사노즐(70)을 형성할 수 있고,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중공된 중심축(73)과 분사노즐(70)이 별도의 배관(77)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분사구(75)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와, 공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70)이 제2실린더(20)의 상부에서 중심축(73)으로부터 편심되어 회전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므로,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서 이송되는 양파의 절개된 외피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제2실린더(20)는 회전칼날(30)이 형성되지 않은 제1실린더(10)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실린더(2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실린더(10)의 경우와 같이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는 이송되는 양파를 일정 간격 으로 유지하는 조절구(60b)가 형성될 수 있고, 이송되는 양파가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2실린더(20)의 상부에는 안내바(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구(60b)는, 구동스프라켓(61b); 종동스프라켓(62b); 구동스프라켓(61b)과 종동스프라켓(62b)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63b); 및 체인(63b)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송되는 양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65b)를 포함한다.
제2실린더(20)가 하향 경사져 있는 경우에 지지바(65b)는 이송되는 양파가 너무 빨리 제2실린더(20)를 통과하여 분사노즐(70)이 양파의 절개된 외피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실린더(20) 하향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지바(65b)가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서 양파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지지바(65b)는 이송되는 양파의 크기 및 무게 등에 따라 이송 속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되는 양파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준다.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서 양파가 이송방향으로 구르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실린더(20)의 표면에 마찰이 큰 고무 등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피가 절개된 양파에 골고루 압축공기가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제1실린더(10) 및 제2실린더(20)의 하부에 각각 조절구(60a, 60b)가 형성되는 경우, 구동스프라켓(61a)과 종동스프라켓(62b)에 별도의 연결스프라켓(66)을 형성하고, 연결스프라켓(66)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스프라켓(61b)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회전모터로 제1실린더(10) 및 제2실린더(20)의 하부에 형성된 조절구(60a, 60b)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기능 및 작용을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고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절개된 외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실린더(10)의 타단에 회전칼날(30)을 형성하고 제2실린더(20)의 상부에 회전하는 분사노즐(70)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양파의 외피를 제거한다.
공급부(50)에 의해 제1실린더(10)의 일단에 양파가 공급되면, 하향 경사져 있는 제1실린더(10) 또는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조절구(60a)에 의해 양파는 제1실린더(10) 사이에 안착되어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이송된다. 이때, 제1실린더(10)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송되는 양파는 제1실린더(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실린더(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는 제1실린더(10)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칼날(30)에 의해 외피가 절개되어 제2실린더(20)의 일단에 공급된다. 제1실린더(10)의 상부에는 안내바(19)가 형성되어 있어 제1실린더(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린더(20)의 일단에 외피가 절개된 양파가 공급되면, 하향 경사져 있는 제1실린더(10) 또는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조절구(60b)에 의해 양파는 제2실린더(20) 사이에 안착되어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이송된다. 이때, 제2실린 더(2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송되는 양파는 제2실린더(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외피가 절개된 양파는 제2실린더(20)의 상부에 편심되어 회전하는 분사노즐(70)에 의해 외피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양파는 제1실린더(10) 및 제2실린더(20)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어 이송되므로 공급되는 양파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전혀 문제없이 연속적으로 이송될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양파의 외피가 절개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양파를 탈피하기 위하여 양파의 크기에 따라 사전에 선별하지 않더라도 양파의 외피만이 규칙적으로 절개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제1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회전칼날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제2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기의 작동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실린더 11: 회전축
12a, 12b, 13a, 13b, 14: 풀리 15, 74: 회전모터
16: V벨트 19: 안내바
20: 제2실린더 30: 회전칼날
31a: 돌기 31b: 요홈
32: 고정구 33: 밀착링
35: 날 부분 40: 구동부
50: 공급부 51: 투입컨베이어
52: 돌출바 60a, 60b: 조절구
70: 분사노즐 71: 회전부

Claims (5)

  1.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일단에 양파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칼날;
    상기 제1실린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실린더의 타단의 하부에 일단이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은 2개로 분리되고, 2개로 분리된 상기 회전칼날에는 각각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돌기와 요홈이 맞추어져 상기 제1실린더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칼날을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는, 상기 분사노즐이 편심되어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연장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중심축에 베어링을 통해 형성되어 회전하지 않고, 중공된 상기 중심축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제2실린더 사이의 공간에는 이송되는 양파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조절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구는, 구동스프라켓;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송되는 양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또는 제2실린더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기.
KR1020070102858A 2007-10-12 2007-10-12 양파 탈피기 KR10093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858A KR100936706B1 (ko) 2007-10-12 2007-10-12 양파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858A KR100936706B1 (ko) 2007-10-12 2007-10-12 양파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531A KR20090037531A (ko) 2009-04-16
KR100936706B1 true KR100936706B1 (ko) 2010-01-13

Family

ID=4076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858A KR100936706B1 (ko) 2007-10-12 2007-10-12 양파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23B1 (ko) 2010-10-29 2013-06-07 주식회사 삼원테크 양파 탈피장치
KR101397719B1 (ko) 2013-01-29 2014-05-26 양구농수산영농조합법인 구근류 자동 절단 장치
KR101568854B1 (ko) 2014-05-29 2015-11-12 (주) 산광 농산물 박피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597B1 (ko) 2004-03-16 2006-04-04 이도환 양파 껍질 제거장치
JP2007135569A (ja) 2005-11-22 2007-06-07 Jiro Kobayashi 玉葱の皮剥き機における玉葱の供給装置
KR100843517B1 (ko) * 2007-05-09 2008-07-03 한라주방기구 양파 껍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597B1 (ko) 2004-03-16 2006-04-04 이도환 양파 껍질 제거장치
JP2007135569A (ja) 2005-11-22 2007-06-07 Jiro Kobayashi 玉葱の皮剥き機における玉葱の供給装置
KR100843517B1 (ko) * 2007-05-09 2008-07-03 한라주방기구 양파 껍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23B1 (ko) 2010-10-29 2013-06-07 주식회사 삼원테크 양파 탈피장치
KR101397719B1 (ko) 2013-01-29 2014-05-26 양구농수산영농조합법인 구근류 자동 절단 장치
KR101568854B1 (ko) 2014-05-29 2015-11-12 (주) 산광 농산물 박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531A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706B1 (ko) 양파 탈피기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US4430933A (en) Trimmer for vegetables using fixed shear bar and unsharpened rotary members cooperative therewith
KR20130101731A (ko) 옥수수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옥수수 탈피방법
US452872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quid
KR200404417Y1 (ko) 줄기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감지식 양파탈피기
KR102038083B1 (ko) 양송이버섯의 자동 절단장치
KR20080018395A (ko) 양파 껍질의 자동 박피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KR20150052626A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TWM542925U (zh) 一種植物根系剪切裝置
KR101929266B1 (ko) 도라지 세척 겸용 박피기
KR101076727B1 (ko) 회전식 맛김치 절단장치
KR20100079468A (ko) 육절기
KR101899889B1 (ko) 양파 탈피 시스템
KR100843517B1 (ko) 양파 껍질 제거장치
KR101641352B1 (ko) 양파 꼭지 및 뿌리 절단장치
HU222448B1 (hu) Gép és eljárás rügyek eltávolítására nemesítendő növényekről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CN203680361U (zh) 食用菌切片机
KR101996556B1 (ko) 양파 탈피장치
WO2004030475A2 (en) Vegetable trim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90250Y1 (ko) 근채류 절단용 칼날
CN210452860U (zh) 一种电动式叶菜类切条机
AU621411B2 (e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