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54B1 - 은행열매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은행열매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354B1
KR102220354B1 KR1020190081949A KR20190081949A KR102220354B1 KR 102220354 B1 KR102220354 B1 KR 102220354B1 KR 1020190081949 A KR1020190081949 A KR 1020190081949A KR 20190081949 A KR20190081949 A KR 20190081949A KR 102220354 B1 KR102220354 B1 KR 10222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unit
crushing
cradle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097A (ko
Inventor
이상렬
Original Assignee
이상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렬 filed Critical 이상렬
Priority to KR102019008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2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skinning nut ker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회전축고정부를 중심에 구비한 제1 파쇄부; 상기 회전축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파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 은행열매가 공급되기 위한 개구를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쇄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은행열매를 마찰하기 위한 제2 파쇄부; 상기 제1 파쇄부와 상기 제2 파쇄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Description

은행열매 탈피장치{GINKGO NUT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탈피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열매의 중과피를 탈피하기 위한 은행열매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열매는 외과피, 중과피 그리고 내종피의 껍질을 갖는다. 이러한 은행열매는 내종피까지 벗겨낸 후의 은행알맹이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외과피는 중과피에 비하여 수분이 많고 무르며 전처리 공정을 통해서 비교적 손쉽게 제거할 수 있지만, 중과피의 경우 단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중과피의 안쪽에 있는 은행알맹이는 수분이 많고 무른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무리한 압력을 가하여 중과피를 제거하게 되면 은행알맹이가 파손되어 상품성이 낮아지게 된다.
은행의 중과피를 제거하는 일반적 방식으로는 은행열매를 물에 불린후, 중과피와 내종피 사이에 수분막을 만들고 중과피 니퍼(nipper)를 사용하여 중과피를 제거하고 은행알맹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종피를 일일히 수작업에 의하여 빼내고, 스팀기를 통해 훈증작업을 한 후 내종피에 탄력을 만들어주어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가공처리 하였다.
수작업 방식에 의하여 중과피를 제거하고 높은 품질의 은행알맹이를 얻는 방식은 고비용의 저효율 방식에 해당한다. 은행열매의 구조적 특이성을 고려하여 은행알맹이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중과피를 제거하기 위한 효율적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은행열매의 중과피를 제거하는 한편, 은행알맹이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회전축고정부를 중심에 구비한 제1 파쇄부; 상기 회전축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파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 은행열매가 공급되기 위한 개구를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쇄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은행열매를 마찰하기 위한 제2 파쇄부; 상기 제1 파쇄부와 상기 제2 파쇄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고정된 공급통로, 상기 공급통로의 타측에 형성된 호퍼, 상기 공급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로 연장된 제1 이송구; 상기 제1 이송구와 연결되고 지면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된 제2 이송구; 및 제2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하는 흡기팬부, 상기 흡기팬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튜브, 상기 연결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구는, 상기 제1 수집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에 고정된 제2 연결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집부의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면에는 제2 수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집부와 상기 제2 수집부의 사이에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결합된 타측 방향에 일정 간격의 천공부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 격리판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구동부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프레임의 상부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상기 레일부의 절곡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가 구비된 간극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구동부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프레임의 상부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상기 레일부의 절곡부에 구비된 제3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간극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2 구동부를 통해 구동하는 상기 흡기팬부가 상기 은행열매의 중량 이하의 중량체를 상기 제2 이송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내측에 메시망필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수집부의 내측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단시간에 대량으로 은행열매의 중과피를 제거하는 한편, 은행알맹이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고품질의 은행알맹이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의 파쇄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의 수집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의 수집부와 수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의 파쇄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는, 회전축고정부(122)를 중심에 구비한 제1 파쇄부(123), 상기 회전축고정부(122)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파쇄부(12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120), 은행열매가 공급되기 위한 개구를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쇄부(123)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은행열매를 마찰하기 위한 제2 파쇄부(124), 상기 제1 파쇄부(123)와 상기 제2 파쇄부(124)를 감싸도록 구비된 하우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쇄부(124)는 상기 하우징부(130)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로서 석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은행의 중과피를 마찰하고 파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호퍼(110)로부터 공급통로(111)를 통해 공급된 은행열매는 화살표의 경로를 따라서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은행열매의 자중에 의하여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 사이의 하방으로 자유낙하 하게 되며, 이때 제2 파쇄부(124)는 하우징부(13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파쇄부(123)의 회전에 따라서 은행열매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중과피에 균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의 이격거리는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 사이의 이격거리가 은행열매보다 큰 경우라면 은행열매가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 사이로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에 은행열매의 중과피에 손상을 주기 어렵다. 따라서,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 사이의 거리는 은행열매의 최대 직경 또는 그보다 조금 더 큰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행열매는 다량으로 공급되며 은행열매 사이의 마찰력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1 이송구(131)로 낙하하는 은행열매의 중과피 제거 정도에 따라서 제1 파쇄부(123)를 제2 파쇄부(124)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멀어지게 함으로써 파쇄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구동부(120)는 제1 구동부거치대(121)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121)는 프레임(400)의 상부거치대(410)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140)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121)는 상기 레일부(140)의 절곡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151)가 구비된 간극조절볼트(150)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1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동부거치대(121)는 프레임(400)의 상부거치대(410) 상에 구비된 레일부(140) 상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1 구동부(120)는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레일부(140)의 절곡부의 절곡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구와 제1 구동부거치대(121)에 형성된 볼트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간극조절볼트(150)를 회전함으로써 제1 구동부거치대(121)를 미소한 정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간극조절볼트(150)는 일단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회전손잡이(151)의 회전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300)에 의하여 되먹임제어(feedback control)방식으로 간극조절볼트(15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간극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구동부(120)는 제1 구동부거치대(121)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121)는 프레임(400)의 상부거치대(410)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140)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121)는 상기 레일부(140)의 절곡부에 구비된 제3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간극조절볼트(150)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1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제1 구동부(120)의 회전(rpm)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센서장치를 통해서 마찰력의 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과도한 마찰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구동부(120)를 후퇴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만, 후퇴에 따라서 마찰력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정도에 미달하는 경우 다시 제1 구동부(120)를 제2 파쇄부(124)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하여 적정한 마찰력이 구배되는 정도로 제1 구동부(12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30)의 외측에 고정된 공급통로(111), 상기 공급통로(111)의 타측에 형성된 호퍼(110), 상기 공급통로(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60)는 수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제어부(300)의 마찰력 계측정도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서 자동제어 방식으로 되먹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이송구(131)로는 일정한 자중 이상의 은행열매가 자유낙하하게 되고, 제2 이송구(132)로는 제1 파쇄부(123)와 제2 파쇄부(124)의 마찰력에 의하여 파쇄된 은행열매의 중과피 또는 내종피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이동하게 된다.
제2 이송구(132)는 제1 이송구(131)와 연결되고 지면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면과 경사를 이루어 상방으로 향한 제2 이송구(132)로 파쇄된 중과피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구동부(23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130)는 하부로 연장된 제1 이송구(131), 상기 제1 이송구(131)와 연결되고 지면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된 제2 이송구(132) 및 제2 구동부(230)에 의하여 구동하는 흡기팬부(240), 상기 흡기팬부(240)에 연결되는 제1 연결튜브(212), 상기 연결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연결부(211)를 포함하는 제1 수집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구(132)는, 상기 제1 수집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213)에 고정된 제2 연결튜브(21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흡기팬부(240)에 의하여 제2 이송구(132)의 상방으로 음압이 형성되며, 따라서 일정 무게 이하의 중량을 갖는 중과피 또는 내종피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행열매 탈피장치(10)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2 구동부(230)를 통해 구동하는 상기 흡기팬부(240)가 상기 은행열매의 중과피 또는 내종피의 중량 이하의 중량체를 상기 제2 이송구(132)로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의 수집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열매 탈피장치(10)의 수집부와 수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수집부(210)의 상기 제1 연결부(211)의 타측면에는 제2 수집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집부(210)와 상기 제2 수집부(220)의 사이에 필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3)를 통해 파쇄된 중과피 또는 내종피가 인입되고, 제1 수집부(210) 내부로 모이게 된다. 이때, 제1 수집부(210) 하면에는 보다 큰 부피를 갖는 제2 수집부(220)를 더 구비하여 파손된 중과피 또는 내종피가 비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11)는 흡기팬부(240)에 의하여 형성된 강한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211)와 임의의 거리를 둔 높이까지 파쇄된 은행열매의 중과피 또는 내종피가 쌓이게 되면 제1 연결부(211)로 은행열매의 중과피 또는 내종피가 인입될 수 있고, 제1 연결부(211)를 통해 흡기팬부(240)에 중과피가 쌓이게 되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제1 수집부(210)와 제2 수집부(220)의 사이에는 필터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60)는 상기 제2 연결부(213)가 결합된 타측 방향에 일정 간격의 천공부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필터부(260)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 격리판(261)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환형 격리판(261)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천공부로 중과피가 낙하하게 되어 제2 수집부(220)로 중과피가 이동하게 되며, 제2 수집부(220)의 음압에 의하여 제2 수집부(220)에 쌓여 있는 중과피가 제1 연결부(211)로 흡입되어 올라가는 힘을 차단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음압이 일정정도 이상으로 강해지면 중과피를 더 이상 수용할 공간이 없다고 판단하여 흡기팬부(240) 등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연결부(211)의 내측에 메시망필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수집부(210)의 내측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의 음압이 형성되면 제어부(300)는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은행열매 탈피장치
110: 호퍼
111: 공급통로
120: 제1 구동부
121: 제1 구동부거치대
122: 회전축고정부
123: 제1 파쇄부
124: 제2 파쇄부
130: 하우징부
131: 제1 이송구
132: 제2 이송구
140: 레일부
150: 간극조절볼트
151: 회전손잡이
160: 차단부
210: 제1 수집부
211: 제1 연결부
212: 제1 연결튜브
213: 제2 연결부
214: 제2 연결튜브
220: 제2 수집부
230: 제2 구동부
240: 흡기팬부
250: 흡기구
260: 필터부
261: 격리판
270: 잠금링
300: 제어부
400: 프레임
410: 상부거치대
420: 하부거치대
430: 제2 구동부거치대

Claims (10)

  1. 회전축고정부를 중심에 구비한 제1 파쇄부; 상기 회전축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파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 은행열매가 공급되기 위한 개구를 중심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파쇄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은행열매를 마찰하기 위한 제2 파쇄부; 상기 제1 파쇄부와 상기 제2 파쇄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로 연장된 제1 이송구; 상기 제1 이송구와 연결되고 지면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된 제2 이송구; 및 제2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하는 흡기팬부, 상기 흡기팬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튜브, 상기 연결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구는, 상기 제1 수집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에 고정된 제2 연결튜브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집부의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면에는 제2 수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집부와 상기 제2 수집부의 사이에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결합된 타측 방향에 일정 간격의 천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 격리판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이송된 파쇄된 은행열매 중과피가 낙하하여 상기 제2 수집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환형 격리판은 상기 천공부를 통해 제2 수집부로 이동한 상기 은행열매 중과피가 다시 역류하여 상기 제1 수집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고정된 공급통로, 상기 공급통로의 타측에 형성된 호퍼, 상기 공급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구동부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프레임의 상부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상기 레일부의 절곡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가 구비된 간극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제1 구동부거치대에 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프레임의 상부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거치대는 상기 레일부의 절곡부에 구비된 제3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간극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열매 탈피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를 통해 구동하는 상기 흡기팬부가 상기 은행열매의 중과피 중량 이하의 중량체를 상기 제2 이송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내측에 메시망필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수집부의 내측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열매 탈피장치.
KR1020190081949A 2019-07-08 2019-07-08 은행열매 탈피장치 KR10222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49A KR102220354B1 (ko) 2019-07-08 2019-07-08 은행열매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949A KR102220354B1 (ko) 2019-07-08 2019-07-08 은행열매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97A KR20210006097A (ko) 2021-01-18
KR102220354B1 true KR102220354B1 (ko) 2021-02-25

Family

ID=7423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949A KR102220354B1 (ko) 2019-07-08 2019-07-08 은행열매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16Y1 (ko) * 1999-09-14 2000-03-15 서순종 두유제조용 콩 박피장치
KR200402072Y1 (ko) 2005-08-31 2005-11-24 이용환 견과류 박피장치
KR100738740B1 (ko) 2006-08-28 2007-07-12 김기대 곡물 껍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792546B1 (ko) * 2017-04-04 2017-11-02 이종란 은행껍질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02B1 (ko) * 2011-11-18 2014-03-12 안병대 견과류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16Y1 (ko) * 1999-09-14 2000-03-15 서순종 두유제조용 콩 박피장치
KR200402072Y1 (ko) 2005-08-31 2005-11-24 이용환 견과류 박피장치
KR100738740B1 (ko) 2006-08-28 2007-07-12 김기대 곡물 껍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792546B1 (ko) * 2017-04-04 2017-11-02 이종란 은행껍질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97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381B2 (en) Grinder mill air filter
US11910819B2 (en) Partial or whole food hopper, grinder and cold press counter-top juic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11918022B2 (en) Apparatus for grinding food
JP5529760B2 (ja) 遠心によって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542584B2 (ja) ジュース抽出器として特に有用な食品加工装置
US20090301320A1 (en) Shelling-Separating Machine Especially For Almonds And Other soft-shelled nuts
JPS6150653B2 (ko)
JP2011512912A5 (ko)
JP6395705B2 (ja) 密封カプセルにおける乾燥葉のパッケージング
KR102220354B1 (ko) 은행열매 탈피장치
KR101224085B1 (ko) 가정용 도정기
KR102223429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101108891B1 (ko) 가정용 도정기
KR101917924B1 (ko) 진공식 로스터
CN111389509A (zh) 一种环保型面粉加工生产流水设备及其操作方法
US10653266B1 (en) Coffee grounds stirring device
RU266773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 очистки перги из перговых сотов
KR102369159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FR2960168A1 (fr) Procede de nettoyage de graines et dispositif associe
JP2018089382A (ja) 焙煎して破砕した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TWI411405B (zh) 榨汁機
DK180024B1 (en) A food grating apparatus
BE1005668A6 (nl) Toest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balletjes van een kneedbaar materiaal.
KR101216619B1 (ko) 가정용 도정기
RU20670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лифования, шелушения и измельчения зер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