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357B1 -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357B1
KR102465357B1 KR1020220028156A KR20220028156A KR102465357B1 KR 102465357 B1 KR102465357 B1 KR 102465357B1 KR 1020220028156 A KR1020220028156 A KR 1020220028156A KR 20220028156 A KR20220028156 A KR 20220028156A KR 102465357 B1 KR102465357 B1 KR 10246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ontact
rotating plate
detection sensor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삼
Original Assignee
최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삼 filed Critical 최광삼
Priority to KR102022002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스켓에 채워진 수산물이 저온 창고 내에서 냉동 이후 저온 창고에서 바스켓을 출고하여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하고 분리된 바스켓을 복수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Lamination and discharge of basket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of baskets and frozen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스켓에 채워진 수산물이 저온 창고 내에서 냉동 이후 저온 창고에서 바스켓을 출고하여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하고 분리된 바스켓을 복수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및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산물 중 크기가 작은 2㎜부터 크기 큰 80㎜의 곤쟁잇과에는 털곤쟁이, 까막곤쟁이, 민곤쟁이 이외에 세계적으로 8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지만, 일부는 담수, 호수, 동굴에 서식하기도 한다.
이러한 곤쟁잇과의 수산물을 채취하여 시장에 유통하기 전에 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스템으로 가공하게 되는데, 먼저 수산물을 바스켓에 정량을 투입하고 투입된 바스켓은 냉동고에 입고 한 뒤, 일정한 기간 경과 후 냉동된 수산물을 출하하게 된다.
이때 바스켓과 분리된 냉동 수산물은 비닐봉지 또는 포장지로 포장하여 시장에 납품하게 되고, 냉동 수산물이 빈 바스켓은 별도의 작업 공간에 적층하여 다음에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빈 바스켓을 적층할 때 작업자 동원되어 일일이 바스켓을 받아 적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바스켓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여 재사용이 불가능 제품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인이 등록된 제10-22611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을 분리한 냉동 수산물은 하측으로 분리되어 컨베이어벨트로 이송 포장하고, 빈 바스켓은 배출 실린더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킨 것을 동원된 많은 작업자가 받는 과정에서 바스켓을 놓쳐 파손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00213호“농수산물 냉동 및 냉장 보관용상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379410호“바구니 세척기의 바구니 분리 및 적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바스켓에 담겨진 냉동 수산물과 분리한 바스켓은 바닥면이 상측에 있는 것을 바닥면이 하측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스켓이 바닥면이 하측으로 전환된 바스켓을 작업장 내에서 적재하기 전에 복수의 바스켓을 적층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소수의 인원으로 손쉽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산물을 담은 바스켓을 저온창고에 입고시킨 뒤 저온창고에서 냉동된 수산물을 출고시켜 바스켓과 수산물을 분리시키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로 이송된 바스켓을 캡처하는 우측집게의 진입부에는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집게모터와 상기 집게모터의 축 끝단에 결합된 스플라인과 집게의 회전축 끝단에 결합된 스플라인에 체결된 체인과 체결되어 우측집게를 둔각 또는 그 이상의 각으로 회전되되 프레임에 의해 우측집게가 제동되면 바스켓에 있던 냉동 수산물이 분리 낙하되고, 분리된 냉동 수산물이 낙하할 때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실린더에 로드가 전진하여 차기공정으로 바스켓을 배출하고, 상기 낙하된 냉동 수산물을 컨베이어벨트로 안내 되도록 하는 복수의 슬로프를 포함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부;
상기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이 분리부에 의해 바닥면이 상측으로 된 바스켓은 상기 제2감지센서에 의해 실린더에 로드가 전진하여 바스켓을 수용하는 복수의 받침 프레임을 갖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입구에는 바스켓 하측 테두리 후방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이를 감지하는 제3 감지 센서 신호에 의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판 동력부,
상기 회전판 동력부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하면 회전판 양측에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바스켓의 이탈하는 차단하는 바스켓 차단판, 회전판이 둔각 이상으로 회전하면서 바스켓이 바닥면이 아래로 전환되고 회전판은 계속 회전하여 수평상태에 이르게 되면 돌출봉과 제4 감지센서와 접촉 또는 비접촉 신호에 의해 회전판 동력부가 정지가 됨과 동시에 회전판이 정지되는 바스켓 회전부;
상기 바스켓 회전부에서 공급된 바스켓이 진입하면 바스켓을 제5 감지센서와 접촉 또는 비접촉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모터,
상기 이송 모터 작동에 의해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체인,
상기 동력체인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방축,
상기 전방축과 체결되어 연동되는 체인,
상기 체인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을 전방으로 이송되면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제6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모터는 정지하고 작동하는 캠 모터,
상기 캠 모터의 작동에 의해 그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
상기 캠 일측단부에 결합된 캠링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캠이 회전하면 캠링에 의해 승강하는 지레데,
상기 지레데 양측으로 지레데와 연동되는 수평 지레데,
상기 지레데의 끝단과 결합되어 승강이 연동되는 바스켓 받침판,
상기 바스켓 받침판에 놓인 바스켓이 상승할 때 바스켓 양측면과 접촉에 의해 측면으로 젖혀 있다가 바스켓이 벗어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바스켓의 바닥 양측을 받쳐주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의 바스켓 받침판과 바스켓 상승하면서 바스켓 측면과 접촉에 의해 경사판은 경첩을 중심으로 측면으로 젖혀지는 받침부재, 상기 바스켓 받침판과 바스켓이 상승하여 받침부재에서 벗어난 후 받침부재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스프링 및 받침부재 측면에는 받침부재가 복귀할 때 프레임과 접촉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돌기, 상기 바스켓 받침판 상승을 멈추고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승 했던 바스켓 측면은 받침부재에 안착되는 과정을 수회에 걸쳐 바스켓 받침판에 복수의 바스켓을 적층할 수 있는 바스켓 적층부;
상기 바스켓 적층부에서 적층된 복수의 바스켓의 높이가 설정된 위치에서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감지하는 제7 감지센서 신호에 의해 작용하여 차기 바스켓 적재 장소로 배출하기위한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 실린더는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판에 고정되되 고정판 후방에는 실린더몸체가 배치되며, 고정판 전방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된 배출판을 포함하는 바스켓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집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우측집게1과 좌측집게2가 각각 배치된 특징이 있다.
상기 회전판 동력부에는 상측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판 모터,
상기 회전판 모터의 축단에 결합된 체인은 상기 회전판 중앙의 축단에 체결된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이 분리된 바스켓을 적층할 수있는 바스켓을 적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소수의 인원으로도 작업장 내에서 손쉽게 적재할 수 있어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바스켓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의 정면 작용 상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의 측면 작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 회전부의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스켓 회전부의 회전판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 적층부의 정면 및 작용상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바스켓 적층부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9a는 도 8a의 a 부분 확대도.
도 9b는 도 8b의 b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바스켓 배출부의 측면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부(110), 바스켓 회전부(120), 바스켓 적층부(130) 및 바스켓 배출부(140)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부(110)에는 저온 창고에서 출하된 냉동 수산물과 바스켓(B)은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100) 진입부에 있는 집게(111)에서 캡처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바, 도 1을 참조하면 전 공정(도시 생략)에서 이송된 바스켓(B)은 경사면 가이드부재(G)을 따라 진입하여 우측집게(111a)에 수용된다. 이때 우측집게(111a) 측면에 배치된 제1감지센서(S1)가 바스켓(B)을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감지하면, 이 감지 신호에 의해 집게 모터(M1)이 동작하여 집게(111)가 둔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게모터(M1)의 축과 집게(111)의 회전축(114)에 체결된 체인(117)에 의해 회전축(114)이 연동되면서 집게(111)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집게(111)가 회전함에 있어 바스켓(B)을 캡처한 우측집게(111a)는 프레임(P)에 의해 회동에 제동되고, 바스켓(B)에 있던 냉동 수산물(F)은 낙하되어 복수의 슬로프(113)을 따라 슬라이드로 하강 하다가 컨베이어벨트(C)로 이동하여 포장부로 이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동 수산물(F)이 낙하되는 것을 제2 감지 센서(S2)가 비접촉 또는 접촉으로 감지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신호에 의해 실린더(112) 로드(112a)가 전진하여 바스켓(B)을 차기 공정으로 배출 하게 된다.
이때 좌측집게(111b)는 반대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다음의 바스켓(B)을 캡처하게 되고, 바스켓(B)이 차기 공정으로 이탈되는 순간 제동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집게(111)는 집게모터(M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우측집게(111a)가 다음의 바스켓(B)을 캡처하는 방법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감지 센서(S1)는 바스켓(B)을 접촉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리밋 스위치, 터치 스위치, 또는 비접촉을 하는 근접 스위치, 광전 센서, 에어리어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감지 센서(S2)는 냉동 수산물(F)을 접촉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리밋 스위치, 터치 스위치, 또는 비접촉을 하는 근접 스위치, 광전 센서, 에어리어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냉동 수산물(F)은 포장부로 이송되고, 바스켓(B)은 실린더(112)에 의해 다음의 바스켓 회전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 회전부(120)로 이동된 바스켓(B)은 회전판(121)에 안착되는데, 그 이전에 입구에 배치된 제3 감지센서(S3)와 바스켓(B)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되어 있는바, 도 4를 참조하면 바스켓(B)의 가장자리 테두리 뒤쪽과 제3 감지센서(S3)에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감지된다. 따라서 제3 감지센서(S3)의 감지신호에 의해 회전판 동력부(122)에 있는 회전판 모터(M2)가 구동되면서 그 축단과 회전판(121)의 축(122b)에 체결된 체인(122a)에 의해 회전판(121)이 연동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121)이 회전하면 바스켓(B)은 원심력에 의해 이탈하고자 하는데 이때 바스켓 차단판(121a)이 이를 차단하게 되고, 회전판(121)이 둔각 이상으로 회전하면 바스켓(B)의 바닥면이 아래로 전환되어 낙하되면서 그 밑에 배치된 슬로프를 따라 하강하여 차기인 바스켓 적층부(130)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판(121)은 계속 회전하여 수평상태에 이르게 되면 돌출봉(123)은 제4 감지센서(S4)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이 감지신호에 의해 회전판 모터(M2)가 정지가 됨과 동시에 회전판(121)이 정지가 된다. (도 6 참조)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바스켓(B)이 바닥면이 아래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 적층부(130)로 바스켓(B)이 초입에 위치하면 양측에 있는 제5 감지센서(S5)가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에 의해 이송 모터(M3)를 구동시키며, 이송모터(M3)축에 연결된 동력체인(131)은 전방축(132)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전방축(132)에 결합된 체인(133)을 연동시킴으로써 바스켓(B)은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7참조)
상기 바스켓(B)이 전방에 도달되면 제6 감지세선(S2)가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는 신호에 따라 이송 모터(M3)는 정지하고 캠 모터(M4)가 동작된다.
상기 캠 모터(M4)가 동작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34)이 축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134)에 부착된 캠링(13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캠링(135)과 밀착되어 있던 지레데(136)는 캠링(135)의 누름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고, 지레데(136) 반대쪽과 연결된 바스켓 받침판(137)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지레데(136)와 이격되어 있던 양측의 수평 지레데(139)는 상승하는 바스켓 받침판(137)이 수평을 유지한 체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수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스켓 받침판(137)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바스켓 받침판(137)에 놓인 바스켓(B)은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138)에 있는 경사판(138a)이 바스켓(B) 측면과 접촉하면서 경첩(138b)을 중심으로 받침부재(138c)가 측면으로 넘어가게 되고, 바스켓 받침판(137)이 상승하여 받침부재(138c)를 벗어나면 압축스프링(138d)의 탄성에 의해 받침부재(138c)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 받침판(137)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승 했던 바스켓(B)측면은 받침부재(138c)에 걸리게 되어 하강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회에 걸쳐 바스켓 받침판(137)이 승강하면서 복수의 바스켓(B)을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스켓 배출부(140)에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바스켓(B)을 차기 작업장내의 바스켓 적재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적층된 복수의 바스켓(B)의 높이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이를 제7감지센서 (S7)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 신호에 따라 배출 실린더(141)의 실린더 로드(141b)와 배출판(143)이 전진하여 적층된 복수의 바스켓(B)를 배출하게 된다. (도 10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 110: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부
111: 집게 111a: 우측집게
111b: 좌측집게 M1: 집게 모터
112: 실린더 112a: 실린더 로드
113: 슬로프 114: 회전축
115, 116: 스플라인 117; 체인
120: 바스켓 회전부 121: 회전판
121a: 바스켓 차단판 121b: 받침 프레임
122: 회전판 동력부 M2: 회전판 모터
122a: 체인 122b: 축
123: 돌출봉 130: 바스켓 적층부
131: 동력체인 132: 전방축
133: 체인 M3: 이송 모터
M4: 캠 모터 134: 캠
135: 갬링 136: 지레데
136a, 139a: 전, 후방축 136b, 139b: 베어링
137: 바스켓 받침판 138: 적층부
138a: 경사판 138b: 경첩
138c: 받침부재 138d: 압축스프링
138e: 스토퍼돌기 139: 수평 지레데
140: 바스켓 배출부 141: 배출 실린더
141a: 실린더 몸체 141b: 실린더 로드
142: 고정판 143: 배출판

Claims (11)

  1. 수산물을 담은 바스켓을 저온창고에 입고시킨 뒤 저온창고에서 냉동된 수산물을 출고시켜 바스켓과 수산물을 분리시키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장치로 이송된 바스켓을 캡처하는 우측집게의 진입부에는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집게모터와 상기 집게모터의 축 끝단에 결합된 스플라인과 집게의 회전축 끝단에 결합된 스플라인에 체결된 체인과 체결되어 우측집게를 둔각 또는 그 이상의 각으로 회전되되 프레임에 의해 우측집게가 제동되면 바스켓에 있던 냉동 수산물이 분리 낙하되고, 분리된 냉동 수산물이 낙하할 때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이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실린더에 로드가 전진하여 차기공정으로 바스켓을 배출하고, 상기 낙하된 냉동 수산물을 컨베이어벨트로 안내 되도록 하는 복수의 슬로프를 포함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부;
    상기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이 분리부에 의해 바닥면이 상측으로 된 바스켓은 상기 제2감지센서에 의해 실린더에 로드가 전진하여 바스켓을 수용하는 복수의 받침 프레임을 갖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입구에는 바스켓 하측 테두리 후방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이를 감지하는 제3 감지 센서 신호에 의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판 동력부,
    상기 회전판 동력부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하면 회전판 양측에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바스켓의 이탈하는 차단하는 바스켓 차단판, 회전판이 둔각 이상으로 회전하면서 바스켓이 바닥면이 아래로 전환되고 회전판은 계속 회전하여 수평상태에 이르게 되면 돌출봉과 제4 감지센서와 접촉 또는 비접촉 신호에 의해 회전판 동력부가 정지가 됨과 동시에 회전판이 정지되는 바스켓 회전부;
    상기 바스켓 회전부에서 공급된 바스켓이 진입하면 바스켓을 제5 감지센서와 접촉 또는 비접촉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모터,
    상기 이송 모터 작동에 의해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체인,
    상기 동력체인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전방축,
    상기 전방축과 체결되어 연동되는 체인,
    상기 체인이 작동하여 상기 바스켓을 전방으로 이송되면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제6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모터는 정지하고 작동하는 캠 모터,
    상기 캠 모터의 작동에 의해 그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
    상기 캠 일측단부에 결합된 캠링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캠이 회전하면 캠링에 의해 승강하는 지레데,
    상기 지레데 양측으로 지레데와 연동되는 수평 지레데,
    상기 지레데의 끝단과 결합되어 승강이 연동되는 바스켓 받침판,
    상기 바스켓 받침판에 놓인 바스켓이 상승할 때 바스켓 양측면과 접촉에 의해 측면으로 젖혀 있다가 바스켓이 벗어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바스켓의 바닥 양측을 받쳐주는 적층부, 상기 적층부의 바스켓 받침판과 바스켓 상승하면서 바스켓 측면과 접촉에 의해 경사판은 경첩을 중심으로 측면으로 젖혀지는 받침부재, 상기 바스켓 받침판과 바스켓이 상승하여 받침부재에서 벗어난 후 받침부재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스프링 및 받침부재 측면에는 받침부재가 복귀할 때 프레임과 접촉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돌기, 상기 바스켓 받침판 상승을 멈추고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상승 했던 바스켓 측면은 받침부재에 안착되는 과정을 수회에 걸쳐 바스켓 받침판에 복수의 바스켓을 적층할 수 있는 바스켓 적층부;
    상기 바스켓 적층부에서 적층된 복수의 바스켓의 높이가 설정된 위치에서 바스켓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감지하는 제7 감지센서 신호에 의해 작용하여 차기 바스켓 적재 장소로 배출하기위한 배출 실린더, 상기 배출 실린더는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판에 고정되되 고정판 후방에는 실린더몸체가 배치되며, 고정판 전방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된 배출판을 포함하는 바스켓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우측집게1과 좌측집게2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동력부에는 상측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판 모터,
    상기 회전판 모터의 축단에 결합된 체인은 상기 회전판 중앙의 축단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28156A 2022-03-04 2022-03-04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KR10246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56A KR102465357B1 (ko) 2022-03-04 2022-03-04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56A KR102465357B1 (ko) 2022-03-04 2022-03-04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357B1 true KR102465357B1 (ko) 2022-11-09

Family

ID=8404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56A KR102465357B1 (ko) 2022-03-04 2022-03-04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3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016A (ja) * 1997-03-27 1998-10-06 Honda Motor Co Ltd ワーク反転装置
KR20010046837A (ko) * 1999-11-16 2001-06-15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자동 터닝장치
KR200300213Y1 (ko) 2002-10-18 2003-01-10 김종성 농수산물 냉동 및 냉장 보관용상자
KR100603794B1 (ko) 2006-01-26 2006-07-25 (주)함코 바구니 세척기의 바구니 분리 및 적재장치
KR100841785B1 (ko) * 2007-04-02 2008-06-27 (주)신영하이테크 소재 반전기
KR20100039530A (ko) * 2008-10-08 2010-04-16 (주)그리파제주 과일 바구니 이송 및 덤핑장치
KR102261144B1 (ko) * 2020-06-17 2021-06-04 최광삼 수산물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016A (ja) * 1997-03-27 1998-10-06 Honda Motor Co Ltd ワーク反転装置
KR20010046837A (ko) * 1999-11-16 2001-06-15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슬라브 자동 터닝장치
KR200300213Y1 (ko) 2002-10-18 2003-01-10 김종성 농수산물 냉동 및 냉장 보관용상자
KR100603794B1 (ko) 2006-01-26 2006-07-25 (주)함코 바구니 세척기의 바구니 분리 및 적재장치
KR100841785B1 (ko) * 2007-04-02 2008-06-27 (주)신영하이테크 소재 반전기
KR20100039530A (ko) * 2008-10-08 2010-04-16 (주)그리파제주 과일 바구니 이송 및 덤핑장치
KR102261144B1 (ko) * 2020-06-17 2021-06-04 최광삼 수산물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712B2 (en) Tray stacking and buff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80014074A1 (en) Off-the-bottom Depalletizer apparatus and method
CN210854379U (zh) 一种吸塑盘上料装置
EP0326422A2 (en) Poultry container and system for destacking unloading and stacking the container
KR101019401B1 (ko) 과일 바구니 이송 및 덤핑장치
US4358236A (en) De-palletizing/palletizing apparatus for cans and can-type containerizations
CA3104734C (en) Batch card shuffling apparatuses including multi-card storage compartments, and related methods
CN212173837U (zh) 用于逐层地操作彼此堆叠地布置的件货垛层的装置
US3917082A (en) Destacking apparatus
KR102465357B1 (ko) 바스켓과 냉동 수산물 분리와 분리된 바스켓의 적층 및 배출장치
US2258461A (en) Unstacking elevator
CN214289448U (zh) 一种灌装机的产品重量检测装置
WO1994020395A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rom a stock one rollable product at a time, such as a cylindrical article
EP0863095A1 (en) Unstacking device for unstacking a stack of containers
CN110902400A (zh) 异型烟拆垛机及拆垛流水线
US5971456A (en) Bakery system with gripper assemblies
US7029225B2 (en) Stacking tray for flat mail items
KR20130055273A (ko) 견과류 탈피장치
KR101930199B1 (ko)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KR20230119151A (ko) 고구마 수확에 사용되고 낙하 기구를 구비한 맞춤형 집합 및 바스켓 적재 시스템 장치
WO2001002275A1 (en) Apparatus for stacking or destacking containers
KR20110011900U (ko) 용기 이송장치
KR102261144B1 (ko) 수산물 처리 장치
GB2033331A (en) Tray unloading and unstacking apparatus
FR3065950A1 (fr) Chargeur compact de cai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