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534B1 -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534B1
KR101367534B1 KR1020127031347A KR20127031347A KR101367534B1 KR 101367534 B1 KR101367534 B1 KR 101367534B1 KR 1020127031347 A KR1020127031347 A KR 1020127031347A KR 20127031347 A KR20127031347 A KR 20127031347A KR 101367534 B1 KR101367534 B1 KR 10136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oat body
tank
vent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628A (ko
Inventor
타카츠구 히로세
이츠오 혼다
신조 와타나베
모토하루 타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0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2Devices inside the fuel tank other than fuel pump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장치이다. 탱크 바깥과 통하는 통기밸브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에 착석되는 플로우트체를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에는, 상기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의 흘수선보다 위쪽에서, 탱크 내와 케이스 내를 연통시키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착석 시에 이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밸브장치{VALVE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나 이륜자동차 등의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개방밸브 상태에서 탱크 안과 바깥을 연통시키도록 기능하는 밸브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용 컷오프 밸브(cut off valve)와 만(滿)탱크 검지수단을 가진 밸브장치로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플로우트 밸브(float valve)를 수납한 하우징(housing)의 상부에 증발개구를, 가장 하부에 연료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급유에 의해 연료개구에 연료 액면(液面)이 도달하면, 플로우트 밸브가 상승하여 증발개구를 폐색한다. 이에 의해 필러 파이프(filler pipe) 내의 연료 액위(液位)가 상승하여 급유 건(gun)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켜 급유 정지를 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의 하우징의 상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급유가 일단 정지되면, 이 관통구멍을 통한 통기(通氣)에 의해 하우징 내의 압력과 탱크 내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하우징 내의 연료 액위가 저하하여 플로우트 밸브는 하강한다. 이렇게 되면, 관통구멍과 증발개구를 통한 통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탱크 내의 압력은 저하하여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도 저하하여 추가 급유가 가능한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특허문헌1에 개시되는 장치에서는, 하우징에 이러한 관통구멍을 단순히 형성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만탱크 검지 후에 곧바로 플로우트 밸브의 하강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었다. 만탱크 검지 후 곧바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가 저하하면, 급유 건의 오토스톱(auto stop)이 해제되어 추가 급유가 곧바로 가능하게 되므로, 과급유를 생기게 해버린다
일본특허 제3909837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 종류의 연료탱크용 장치에 있어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의 상승에 의해 급유 건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켜 급유를 정지시킨 후, 곧바로 이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관점에서, 연료탱크용 밸브장치를,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장치로서, 탱크 바깥과 통하는 통기밸브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에 착석되는 플로우트체를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에는, 상기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의 흘수선(吃水線)보다 위쪽에서, 탱크 내와 케이스 내를 연통시키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착석 시에 이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탱크 내의 연료 액위가 케이스의 유입부에 도달하면, 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케이스 내는 이보다 저압이므로, 케이스 내에 연료가 유입된다. 케이스 내에 유입된 연료가 소정 액위에 이르면 플로우트체가 상승하여 통기밸브구가 폐쇄된다. 이에 의해,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가 상승되어 급유 건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킨다. 급유가 정지되면, 통기부를 통한 통기에 의해 탱크 내와 케이스 내의 압력차가 점차 없어지고, 케이스 내의 연료 액위는 저하하고, 플로우트체는 하강하여, 통기밸브구는 다시 개방된다. 그 후, 통기부와 통기밸브구를 통한 통기가 이루어져,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도 하강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밸브장치에서는,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급유 건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여 그 급유를 정지한 후는 케이스 내의 압력과 탱크 내의 압력의 차는 서서히 작아지도록 할 수 있어,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의 저하가 곧바로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연료탱크에의 과급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통기부를, 주(主)통기부로서의 제1 관통구멍과, 부(副)통기부로서의 제2 관통구멍으로 구성하고,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주통기부가 폐쇄되어 부통기부에 의해 탱크 내의 압력과 케이스 내의 압력과의 균형이 서서히 도모되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주통기부는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이 플로우트체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부통기부로서의 제2 관통구멍의 유로단면적은 주통기부의 유로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탱크 후에 케이스 내의 압력과 탱크 내의 압력의 차를 바로 작게 하지 않는 기능을, 부품 수를 늘림이 없이,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우트체의 일부를 상기 착석 시에 통기부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착석 시에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통기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그 상하단(上下端) 사이에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를 구비하도록 하여 두면, 통기부에 대한 이러한 플로우트체의 일부의 들어가는 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이 조여진 상태에서의 통기부의 통기량을 가능한 한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착석 시에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통기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하여 둠과 아울러, 이 통기부가 그 상하 개구 사이에 유로를 가장 좁게 하는 부위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통기부를, 케이스에 형성된, 상방 및 측방에 개방된 절결부에 의해 구성시켜 둠과 아울러,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착석 시에 이 절결부에 들어가서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를,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시켜 둠과 아울러,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착석 시에 이 오목부에 들어가서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또한, 플로우트체의 상기 착석 시에 가장 상승되는 서브(sub) 플로우트에 의해, 통기부가 조여지도록 하여 두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 관점에서, 연료탱크용 과급유 방지장치를,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 상의 공간과 탱크 바깥을 연통시키는 연통수단과, 탱크 내에의 연료의 주입에 의한 연료 액위의 상승을 이용하여 상기 연통수단에 의한 연통을 차단하여 탱크 내의 압력의 상승에 의해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를 상승시켜 급유 건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키는 급유정지수단과, 이 만탱크 검지 후에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의 하강을 일으키게 하는 탱크 내의 압력의 감압수단과, 이 감압수단에 의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의 하강을 늦추는 지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연통수단에 의해 탱크 내에의 급유를 허용함과 아울러, 탱크 내에의 연료의 주입에 의해 연료 액위가 소정 액위로 되었을 때에 상기 연통을 차단시켜 이 소정 액위를 만탱크 액위로 하여 급유를 정지시킨다. 급유 정지 후는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액위는 하강되지만, 상기 지연수단에 의해 이 하강이 바로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유 건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여 그 급유를 정지한 후 곧바로 이 검지가 되지 않게 되어 급유가 재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연료탱크에의 과급유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탱크 안과 바깥의 통기를 이룸과 아울러, 과급유의 방지 기능을 갖춘 장치를,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함이 없이, 이 과급유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밸브장치의 제1 예를 연료탱크에 구비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제1 예의 밸브장치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 밸브장치의 하단에 형성된 유입부의 레벨(level)에 탱크 내의 연료 액위가 이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1 예의 밸브장치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상태로부터 급유가 계속되어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내에 연료가 유입하여 플로우트체가 상승하여 통기밸브구를 폐쇄시킨 상태(착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제1 예의 밸브장치의 전체구성을 단면의 상태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4의 상태로부터 케이스 내의 연료 액위가 저하하여 플로우트체가 하강하기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2 예의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플로우트체는 착석 상태)
도 9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3 예의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제3 예의 중요부를 나타내고 있고, (a)도는 플로우트체의 착석 전의 상태를, (b)도는 그 착석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제3 예에서의 돌출부(凸部)의 변경 예를 나타내고 있고, (a)도는 플로우트체의 착석 전의 상태를, (b)도는 그 착석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2(a)도는 제3 예에서의 돌출부의 다른 변경 예를, 도 12(b)도는 제3 예에서의 돌출부의 또 다른 변경 예를, 도 12(c)도는 제3 예에서의 돌출부 및 통기부를 함께 변경한 예를,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의 상태로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3(a)(b)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4 예의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4(a)도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5 예의 중요부를 사시의 상태로서, 도 14(b)도는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서의 그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5(a)도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6 예의 중요부를 사시의 상태로서, 도 15(b)는 그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6(a)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7 예의 중요부를 사시의 상태로서, 도 16(b)은 그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7(a)는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켜 이루어지는 밸브장치의 제8 예의 중요부를 사시의 상태로서, 도 17(b)도는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서의 그 중요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도 17(b)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밸브장치(V)의 제1 예를, 도 8은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2 예를, 도 9∼도 12(c)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3 예를, 도 13(a)(b)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4 예를, 도 14(a)(b)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5 예를, 도 15(a)(b)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6 예를, 도 16(a)(b)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7 예를, 도 17(a)(b)는 이러한 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시킨 밸브장치(V)의 제8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탱크(T)용 밸브장치(V)는 자동차나 이륜자동차 등의 연료탱크(T)에 장착되어, 개방밸브 상태에서 탱크 안과 바깥(Ta, Tb)을 연통시키도록 기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장치(V)는 전형적으로는 연료탱크(T)의 상부에 장착되어, 연료탱크(T)에 대한 접속 통로(통기로(R))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이러한 밸브장치(V)는 연료탱크(T) 안의 연료의 액면 상의 공간과 탱크 바깥(Tb)을 연통시키는 연통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밸브장치(V)는 탱크 안(Ta)에의 연료의 주입에 의한 연료 액위(L1)의 상승을 이용하여 상기 연통수단에 의한 연통을 차단하여 탱크 안(Ta)의 압력의 상승에 의해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를 상승시켜 급유 건(G)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키는 급유정지수단으로 되는 유입부(11) 및 플로우트체(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밸브장치(V)는 상기 만탱크 검지 후에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의 하강을 일으키게 하는 탱크 안(Ta)의 압력의 감압수단으로 되는 통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밸브장치(V)는 이러한 감압수단에 의한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의 하강을 늦추는 지연수단으로 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기밸브구(10)에의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12)를 조이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밸브장치(V)는 연료탱크(T)에의 과급유 방지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밸브장치(V)는 상기 연통수단으로 되어 탱크 안(Ta)에의 급유를 허용함과 아울러, 탱크 안(Ta)에의 연료의 주입에 의해 탱크 안(Ta)의 연료 액위(L1)이 소정 액위로 되었을 때에 상기 연통을 차단시켜 이 소정 액위를 만탱크 액위로 하여 급유를 정지시킨다. 급유 정지 후는,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는 하강되지만, 상기 지연수단에 의해 이 하강이 즉시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유 건(G)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여 그 급유를 정지한 후 곧바로 이 검지가 되지 않게 되어 급유가 재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연료탱크(T)에의 과급유가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장치(V)는 컷오프 밸브로서의 기능과 과급유 방지 밸브로서의 기능을 함께 갖는 밸브로서 지장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장치(V)는 케이스(1)와, 플로우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에는, 그 상부에 탱크 바깥(Tb)과 통하는 통기밸브구(10)가 구비되며,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에는, 후술하는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2)의 흘수선(L3)보다 위쪽에서, 탱크 안(Ta)과 케이스(1) 안을 연통시키는 통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있어서는, 케이스(1)는 상체(upper body)(13)와 하체(lower body)(14)로 구성되어 있다. 상체(13)는 원통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체(13)의 통(筒) 상단은 중앙에 원형의 통기밸브구(10)를 구비한 천판부(天板部)(13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천판부(13a)의 상면에는, 통기밸브구(10)에 통내(筒內) 공간을 연통시켜 이 천판부(13a)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짧은 통형상부(13b)가 천판부(13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짧은 통형상부(13b)의 외측에는, 씰링(seal ring)(13c)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상체(13)의 통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한편, 하체(14)는 통 상하단을 함께 개방시킨 원통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체(14)의 상부로서, 그 내측의 중앙에는, 짧은 통형상체(14a)가 이 짧은 통형상체(14a)의 외면과 하체(14)의 내면 사이에 걸치는 가교편(架橋片)(1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웃하는 가교편(14b) 사이는 상기 통기로(R)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체(14)의 통 상단의 외경은 상체(13)의 통 하단의 내경과 거의 같아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체(14)의 통 상단을 상체(13)의 통 하단으로부터 상체(13) 안에 끼워 넣음으로써, 케이스(1)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끼워 넣기 부위는 하체(14)의 통 상단의 외측에 끼워 장착된 씰링(14c)에 의해 기밀(氣密)상태로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스(1)는 하체(14)의 통 하단을 상기 유입부(11)로서 기능시킨다.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케이스(1)는 플랜지(flange)(3)에 조합되어, 이 플랜지(3)에 의해 연료탱크(T)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3)는 머리부(30)와, 머리부(30)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통형상 접속부(31)를 갖고 있다. 머리부(30)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접속관부(30a)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이 접속관부(30a)는 머리부(30)의 중앙에서 통형상 접속부(31) 안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이 연통부(30b)는 플랜지(3)의 내측에서 둘레 입상부(立上部)(30c)에 포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체(13)의 짧은 통형상부(13b)를 플랜지(3)의 둘레 입상부(30c) 안에 들어가도록 하여 플랜지(3)의 통형상 접속부(31)의 내측에 상부케이스(upper case)(1)의 상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플랜지(3)와 케이스(1)를 일체화 시키고 있다. 상체(13)의 짧은 통형상부(13b)와 플랜지(3)의 둘레 입상부(30c) 사이는 상기 씰링(13c)에 의해 기밀상태로 밀봉된다. 이에 의해, 탱크 안과 바깥(Ta, Tb)은 케이스(1)의 유입부(11)와 통기밸브구(10)와 접속관부(30a)를 통하여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는 이러한 플랜지(3)의 머리부(30)를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크기의 연료탱크(T)에 개설(開設)된 장착구멍(Tc)에 외측으로부터 들어가 탱크 안(Ta)에 배치되고, 플랜지(3)의 머리부(30)를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용착(溶着) 등으로 하여 지착(止着)시킴으로써 연료탱크(T)에 장착된다.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또한, 상체(13)의 천판부(13a)로서, 통기밸브구(10)의 측방에, 케이스(1)의 안과 바깥을 연통시키는 제1 관통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체(13)의 상부측의 측부(13d)의 외면에는, 천판부(13a)에서 개방된 홈 상단을 구비하여 아래쪽으로 뻗는 홈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의 통형상 접속부(31)에는, 이 홈부(13e)에 연통하는 통기구멍(31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체(13)의 천판부(13a)와 플랜지(3)의 상부 내면 사이에는, 공간(30d)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이 홈부(13e) 안에, 케이스(1)의 안과 바깥을 연통시키는 제2 관통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제1 및 제2 관통구멍(12a)(12b)에 의해 상기 통기부(12)를 구성하고 있다.
플로우트체(2)는 상기 케이스(1) 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부(11)를 통하여 케이스(1) 안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10)에 착석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플로우트체(2)는 플로우트 주체(主體)(20)와, 주(主)밸브체(21)와, 부(副)밸브체(22)를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플로우트 주체(20)는 내통(內筒)(20a)과 외통(外筒)(20b)을 양쪽 사이에 틈을 열도록 하여 구비하고 있다. 플로우트체(2)는 이 플로우트 주체(20)의 외통(20b) 안에 하체(14)의 짧은 통형상체(14a)를 들어가게 하도록 하여 상기 가교편(14b) 위에 수납된다. 플로우트 주체(20)의 내통(20a)과 외통(20b)은 플로우트 주체(20)의 상부에 있어서 연접편(連接片)(20c)에 의해 연접되어 있고, 플로우트 주체(20)의 내통(20a)과 외통(20b) 사이에는, 이 연접편(20c)에 스프링 상단을 접하게 하고, 또한 가교편(14b)에 스프링 하단을 접하게 하는 압축코일스프링(23)이 수납되어 있고, 이 스프링(23)에 의해 플로우트체(2)에는, 일정한 위쪽으로 향한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플로우트 주체(20)의 상부에는, 내륜형상부(內輪狀部)(20d)와, 이 내륜형상부(20d)를 둘러싸는 외륜형상부(外輪狀部)(20e)가 구비되어 있다. 주밸브체(21)는 통 상단을 중앙에 통기구멍(21b)을 구비한 천판(天板)(21a)으로 폐쇄시킨 짧은 통형상을 이룬다. 주밸브체(21)의 천판(21a)의 외면은 탄성 씰(seal)재(21c)로 덮어지도록 되어 있다. 주밸브체(21)의 측부에는, 창구멍(21d)이 개설되어 있고, 주밸브체(21)는 외륜형상부(20e)를 내측에 수납함과 아울러, 이 창구멍(21d)에 외륜형상부(20e)에 형성된 돌출부(20f)를 수납하여 플로우트 주체(20)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부밸브체(22)는 주밸브체(21)의 아래쪽에서, 주밸브체(21)의 통기구멍(21b)을 내측으로부터 막는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밸브체(22)의 외연부(外緣部)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하단에 내향(內向)으로 돌출하는 고리부(22b)를 구비한 2이상의 아암(arm)편(22a)이 구비되어 있다. 부밸브체(22)는 이 아암편(22a)의 고리부(22b)를 내륜형상부(20d)의 하면 아래로 들어가 걸치도록 하여, 플로우트 주체(2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부밸브체(22)의 아암편(22a)의 하나는 다른 아암편(22a)보다, 고리부(22b)에서의 걸어맞춤부(22c)의 높이를 위쪽에 위치시키고 있고, 플로우트체(2)의 착석 후, 통기부(12)를 통하여 탱크 안(Ta)의 압력과 케이스(1) 안의 압력과의 균형이 도모되어 케이스(1) 안의 연료 액위가 저하하면, 하강하는 플로우트 주체(20)에 의해 부밸브체(22)가 기울면서 하강되고(도 7), 이에 의해 주밸브체(21)의 통기구멍(21b)이 개방되고, 이 통기구멍(21b)의 개방에 의해 플로우트체(2) 전체가 하강하여 통기밸브구(10)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탱크 안(Ta)에의 급유는 기본적으로는 이하의 통기로(R)에 의한 통기에 의해 허용된다.
케이스(1)의 하단의 유입부(11)→플로우트체(2)와 케이스(1)의 내면 사이→통기밸브구(10)→플랜지(3)의 접속관부(30a)→이 접속관부(30a)에 접속된 튜브(tube) 등
*탱크 안(Ta)의 연료 액위(L1)가 케이스(1)의 유입부(11)에 도달할 때까지는, 이 유입부(11)와 통기부(12)를 통해 탱크 안과 바깥(Ta, Tb)의 통기가 확보된다. 탱크 안(Ta)의 연료 액위(L1)가 케이스(1)의 유입부(11)에 도달하면, 탱크 안(Ta)의 압력이 상승하여 케이스(1) 안은 이보다 저압이므로, 케이스(1) 안에 연료가 유입된다. 이렇게 되면 탱크 안과 바깥(Ta, Tb)의 통기는 통기부(12)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이 후에 케이스(1) 안에 유입된 연료가 소정 액위에 이르면, 플로우트체(2)가 상승하여 통기밸브구(10)가 폐쇄되고,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가 상승되어 급유 건(G)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킨다. 통기부(12),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관통구멍(12a)(12b)은 이때의 플로우트체(2)의 흘수선(L3)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이 검지에 의해 급유는 정지되지만, 이때의 케이스(1) 안의 연료 액위(L4)는 이 흘수선(L3)보다 다소 위쪽에 다다른다(도 5).
급유가 정지되면, 통기부(12)를 통한 통기에 의해 탱크 안(Ta)과 케이스(1) 안과의 압력차가 점차적으로 없어지고, 케이스(1) 안의 연료 액위는 저하되고, 플로우트체(2)는 하강하며, 통기밸브구(10)는 다시 개방된다. 그 후, 통기부(12)와 통기밸브구(10)를 통한 통기가 이루어지고,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도 하강된다.
이러한 밸브장치(V)에 있어서는, 상기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기밸브구(10)를 주밸브체(21)에 의해 폐쇄하는 위치까지 상승된 플로우트체(2)의 이 주밸브체(21)에 의해 상체(13)의 천판부(13a)에 형성된 제1 관통구멍(12a)이 아래쪽으로부터 막아져서, 케이스(1) 안과 탱크 안(Ta)이 제2 관통구멍(12b)에 의해서만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유 건(G)의 센서가 만탱크를 검지하여 그 급유를 정지한 후는 케이스(1) 안의 압력과 탱크 안(Ta)의 압력의 차는 서서히 작아지도록 할 수 있고, 필러 파이프(P) 안의 연료 액위(L2)의 저하가 곧바로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연료탱크(T)에의 과급유를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 안과 탱크 안(Ta)의 압력차가 제2 관통구멍(12b)에 의해 감소되어 케이스(1) 안의 연료 액위가 소정 액위(상기 흘수선(L3)의 레벨)보다 내려가면 플로우트체(2)는 강하하여 제1 관통구멍(12a)은 개방되므로 통기부(12)를 조인 상태, 즉 통기부(12)를 통한 통기량을 감소시킨 상태는 해제되어, 탱크 안(Ta)의 연료 액위(L1)가 케이스(1)의 연료의 유입부(11)보다 위쪽에 있는 동안은 이 제1 및 제2 관통구멍(12a)(12b)을 통하여 탱크 안과 바깥(Ta, Tb)이 연통된다.
도 1∼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이러한 통기부(12)는 주통기부로서의 제1 관통구멍(12a)과, 부통기부로서의 제2 관통구멍(12b)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주통기부가 폐쇄되어 부통기부에 의해 탱크 안(Ta)의 압력과 케이스(1) 안의 압력과의 균형이 서서히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관통구멍(12a)은 케이스(1)의 직경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편, 제2 관통구멍(12b)은 1곳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주통기부로서의 제1 관통구멍(12a)은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이 플로우트체(2)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통기부로서의 제2 관통구멍(12b)은 오리피스(orifice)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유로 단면적은 주통기부로서의 제1 관통구멍(12a)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1, 도 5). 이에 의해, 도 1∼도 7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만탱크 후에 케이스(1) 안의 압력과 탱크 안(Ta)의 압력의 차를 바로 작게 하지 않는 기능을, 부품 수를 늘릴 일 없이,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제2 예)
도 1∼도 7에 도시되는 밸브장치(V)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제1 관통구멍(12a)만에 의해 통기부(12)를 구성시킴과 아울러, 플로우트체(2)에서의 통기밸브구(10)를 막는 상부, 도시한 예에서는, 주밸브체(21)에 의해 플로우트체(2)의 최대 상승시에 제1 관통구멍(12a)의 일부만이 폐쇄되도록 하여, 이러한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통기부(12)를 조이도록 해 두어도 좋다.
(도 9∼도 12(c)에 도시되는 제3 예)
도 9∼도 12(c)에 도시되는 제3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케이스(1)의 제1 관통구멍(12a)만에 의해 통기부(12)를 구성시키고 있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3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3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제3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의 일부가 착석 시에 통기부(12)에 들어가서 이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 주체(20)를 구성하는 주밸브체(21)의 천판(21a)의 가장자리부가 탄성 씰재(21c)의 가장자리부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천판(21a)에서의 상면으로서 탄성 씰재(21c)의 가장자리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위에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1e)가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관통구멍(12a)은 하강 위치에 있는 플로우트체(2)의 돌출부(21e)의 바로 위의 위치에서, 케이스(1)의 상체(13)의 천판부(13a)에 형성되어 있고,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이 제1 관통구멍(12a)에 돌출부(21e)가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서 이 제1 관통구멍(12a)에 들어간 돌출부(21e)의 외주면과 제1 관통구멍(12a)의 구멍 벽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있고, 이에 의해 이 착석 시에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1(a)(b) 및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의 돌출부(21e)가 그 상하단 사이에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21f)를 더 구비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21e)의 횡단면적이 그 상하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하면, 돌출부(21e)의 제1 관통구멍(12a)으로의 들어가는 량의 많고 적음에 통기부(12)의 통기량의 많고 적음이 영향을 준다. 즉, 이러한 들어가는 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통기량은 감소한다. 이에 대하여 이 도 11(a)(b) 및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구성하면, 통기부(12)는 대략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의 돌출부(21e)에서의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21f)에서 조여지므로, 제1 관통구멍(12a)에 대한 이러한 돌출부(21e)의 들어가는 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이 조여진 상태에서의 통기부(12)의 통기량을 가능한 한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1(a)(b)에서는, 돌출부(21e)를, 머리부(21h)를 통하여 주밸브체(21)의 천판(21a)에 연접된 구(球)형상 머리부(219)에 의해 형성시켜, 상기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21f)를 만들어 낸다.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e)를, 머리부(21j)를 통하여 주밸브체(21)의 천판(21a)에 연접된 머리부(21i)에 의해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머리부(21i)의 종단면 형상을 그 상단(21k)으로부터 중간위치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굵게 하고, 이 중간위치부터 머리부(21j)와의 연접 위치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가늘어지도록 하여, 상기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21f)를 만들어 내게 하여 둘 수도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e)를, 머리부(21j)를 통하여 주밸브체(21)의 천판(21a)에 연접된 머리부(21i)에 의해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머리부(21i)의 종단면 형상을 그 상단(21k)으로부터 머리부(21j)와의 연접 위치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굵어지는 우산모양으로 구성시켜, 상기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21f)를 만들어 내게 하여 둘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의 돌출부(21e)의 횡단면적을 그 상하 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도 대략 같게 하여 두는 한편, 상기 통기부(12)에서의 그 상하 개구 사이에 유로를 가장 좁게 하는 부위(12c)를 형성시키도록 하여 두는 것에 의해서도, 통기부(12)로서의 제1 관통구멍(12a)에 대한 이러한 돌출부(21e)의 들어가는 량의 많과 적음에 관계 없이 이 조여진 상태에서의 통기부(12)의 통기량을 가능한 한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3(a)(b)에 도시되는 제4 예)
도 13(a)(b)에 도시되는 제4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케이스(1)의 제1 관통구멍(12a)만에 의해 통기부(12)를 구성시키고 있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4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4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 예에 있어서는, 통기부(12)로 되는 제1 관통구멍(12a)은 케이스(1)의 상부, 도시한 예에서는, 상체(13)의 천판부(13a)와, 케이스(1)의 측부, 도시한 예에서는, 상체(13)의 측부(13d)와의 사이에 있는 견부(肩部)(13f)에 형성된, 상방 및 측방에 개방된 오목부(13g) 안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로우트체(2)의 일부가 착석 시에 이 제1 관통구멍(12a)에 들어가서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를 구성하는 주밸브체(21)의 천판(21a)의 가장자리부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둘레벽부(21m)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둘레벽부(21m)의 외측에 착석 시에 이러한 제1 관통구멍(12a)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는 돌출부(21n)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1n)가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관통구멍(12a)은 하강 위치에 있는 플로우트체(2)의 돌출부(21n)의 바로 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있어서 이 제1 관통구멍(12a)에 들어간 돌출부(21n)의 외주면과 제1 관통구멍(12a)의 구멍 벽과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있고, 이에 의해 이 착석 시에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4(a)(b)에 도시되는 제5 예)
도 14(a)(b)에 도시되는 제5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제2 관통구멍이 없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5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5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5 예에 있어서는, 통기부(12)는 케이스(1)의 상부, 도시한 예에서는, 상체(13)의 천판부(13a)에 형성된 오목부(13h)와 이 오목부(13h)의 측벽에 형성된 제1 관통구멍(12a)으로 되는 관통구멍(13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오목부(13h)는 케이스(1)의 상체(13)의 천판부(13a)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팽출부(膨出部)(13j)의 내부를 케이스(1) 안에 연통시킨 공간으로 함으로써 케이스(1)에 구비되어 있다. 이 팽출부(13j)를 구성하는 마주 향한 한 쌍의 측벽에 각각 관통구멍(13i)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의 일부가 그 착석 시에 이 오목부(13h)에 들어가서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 주체(20)를 구성하는 주밸브체(21)의 천판(21a)의 가장자리부가 탄성 씰재(21c)의 가장자리부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천판(21a)에서의 상면으로서 탄성 씰재(21c)의 가장자리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위에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1o)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1o)가 상기 플로우트체(2)의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오목부(13h)는 하강 위치에 있는 플로우트체(2)의 돌출부(21o)의 바로 위의 위치에서, 케이스(1)의 상체(13)의 천판부(13a)에 형성되어 있고,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이 오목부(13h)에 돌출부(21o)가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서 이 오목부(13h)에 들어간 돌출부(21o)의 외주면과 오목부(13h)의 내벽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있고, 이에 의해 이 착석 시에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5(a)(b)에 도시되는 제6 예)
도 15(a)(b)에 도시되는 제6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제2 관통구멍이 없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6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6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6 예에 있어서는, 통기부(12)를 구성하는 제1 관통구멍(12a)은 케이스(1)의 상체(13)의 측부(13d)에 형성된 보조공간(13k)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공간(13k)은 상체(13)의 측부(13d)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3m)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천정부(13n)는 상체(13)의 천판부(13a)보다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팽출부(13m)의 천정부(13n)에 제1 관통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공간(13k)의 상부는 구획판(13o)에 의해 케이스(1) 안의 그 밖의 공간과 구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플로우트체(2)를 구성하는 주밸브체(21)의 천판(21a)의 가장자리부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둘레벽부(21p)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둘레벽부(21p)의 외측에 착석 시에 이러한 보조공간(13k)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는 조임부재(21q)가 배치되어 있다. 조임부재(21q)는 그 외주면과 보조공간(13k)의 내벽 사이에 틈을 만들어서 이 보조공간(13k) 안으로 들어가는 굵기의 봉(棒)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하단을 아암(21r)을 통하여 상기 둘레벽부(21p)의 외면에 연접시키고 있다. 상기 착석 시에는, 보조공간(13k)에서의 구획판(13o)의 하단(13p)보다 위쪽의 공간으로 조임부재(21q)가 들어가서 제1 관통구멍(12a)에 이어지는 보조공간(13k)의 유로, 즉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6(a)(b)에 도시되는 제7 예)
도 16(a)(b)에 도시되는 제7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제2 관통구멍이 없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7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7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으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7 예에 있어서는,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가장 상승되는 서브 플로우트(4)에 의해,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제7 예에 있어서는, 통기부(12)를 구성하는 제1 관통구멍(12a)은 케이스(1)의 상체(13)의 측부(13d)에 형성된 보조공간(13q)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공간(13q)은 상체(13)의 측부(13d)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3r)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12a)은 이러한 팽출부(13r)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공간(13q)은 팽출부(13r)의 케이스(1) 내측의 입구를 끼운 양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벽부(13s)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벽부(13s)의 돌출단에 다른 쪽의 벽부(13s)측으로 돌출하는 반환부(13t)를 형성시킴으로써, 케이스(1) 안의 그 밖의 공간과 구분되어 있다. 서브 플로우트(4)는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보조공간(13q) 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벽부(13s)(13s)로 안내되는 기부(基部)(4a)와, 팽출부(13r) 안으로 들어간 분기부(4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서브 플로우트(4)는 그 외면과 보조공간(13q)을 구성하는 팽출부(13r)의 내면 및 벽부(13s) 사이에 틈을 만드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 플로우트(4)는 상기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는, 보조공간(13q)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통기부(12)를 구성하는 제1 관통구멍(12a)에 인접하고, 이에 의해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7(a)(b)에 도시되는 제8 예)
도 17(a)(b)에 도시되는 제8 예에 의한 밸브장치(V)도, 제2 관통구멍이 없는 점에서, 도 1∼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이 제8 예에 의한 밸브장치(V)는 제1 예에 의한 밸브장치(V)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이 제8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제1 예를 나타낸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8 예에 있어도,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 가장 상승되는 서브 플로우트(4)에 의해,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제8 예에 있어도, 통기부(12)를 구성하는 제1 관통구멍(12a)은 케이스(1)의 상체(13)의 측부(13d)에 형성된 보조공간(13u)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공간(13u)은 상체(13) 안에 관(管) 상단을 천판부(13a)의 내면에 연접시키는 관형상부(13v)를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관형상부(13v)에서의 케이스(1)의 안쪽으로 향해진 쪽에는, 관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분할홈(13w)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12a)은 이러한 관형상부(13v)의 관 상단을 폐쇄하는 상체(13)의 천판부(13a)에 형성되어 있다. 서브 플로우트(4)는 도시한 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상기 관형상부(13v)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봉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 외면과 이러한 보조공간(13q)을 구성하는 관형상부(13v)의 내면 사이에 틈을 만드는 굵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브 플로우트(4)는 상기 플로우트체(2)의 착석 시에는, 보조공간(13q)의 위쪽으로 이동하여 통기부(12)를 구성하는 제1 관통구멍(12a)에 근접하고, 이에 의해 통기부(12)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2008년 4월 18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8-108879호 및 2009년 2월 1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02997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한 것이다.

Claims (8)

  1.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장치로서,
    탱크 바깥과 통하는 통기밸브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탱크 내의 연료 액위가 케이스의 유입부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에 착석되는 플로우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의 흘수선(吃水線)보다 위쪽에서, 탱크 안과 케이스 안을 연통시키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케이스 내의 연료 액위는 상기 통기부와 상기 플로우트체의 흘수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를 통한 통기량을 감소시켜 탱크 내의 압력과 케이스 내의 압력과의 균형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에 들어가서 이 통기부 일부가 폐쇄되며,
    상기 플로우트체의 하강 시에, 케이스 안의 연료 액위가 상기 흘수선보다 아래에 있는 동안은 탱크 안과 바깥이 연통되도록 상기 통기부가 전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그 상하단(上下端) 사이에 횡단면적을 가장 크게 하는 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에 아래쪽으로부터 들어가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통기부가 그 상하 개구 사이에 유로를 가장 좁게 하는 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4.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장치로서,
    탱크 바깥과 통하는 통기밸브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탱크 내의 연료 액위가 케이스의 유입부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에 착석되는 플로우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의 흘수선(吃水線)보다 위쪽에서, 탱크 안과 케이스 안을 연통시키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케이스 내의 연료 액위는 상기 통기부와 상기 플로우트체의 흘수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통기부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상방 및 측방에 개방된 절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를 통한 통기량을 감소시켜 탱크 내의 압력과 케이스 내의 압력과의 균형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절결부에 들어가서 상기 통기부 일부가 폐쇄되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하강 시에, 케이스 안의 연료 액위가 상기 흘수선보다 아래에 있는 동안은 탱크 안과 바깥이 연통되도록 상기 통기부가 전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5.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장치로서,
    탱크 바깥과 통하는 통기밸브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이보다 아래쪽에 연료의 유입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기밸브구에 착석되는 플로우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의 플로우트체의 흘수선(吃水線)보다 위쪽에서, 탱크 안과 케이스 안을 연통시키는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케이스 내의 연료 액위는 상기 통기부와 상기 플로우트체의 흘수선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통기부를 통한 통기량을 감소시켜 탱크 내의 압력과 케이스 내의 압력과의 균형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통기부와의 사이에 좁은 틈을 두고 상기 통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플로우트체의 하강 시에, 케이스 안의 연료 액위가 상기 흘수선보다 아래에 있는 동안은 탱크 안과 바깥이 연통되도록 상기 통기부가 전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서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내벽 사이에 틈을 두고 상기 통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에 형성된 보조공간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보조공간에 들어가서 상기 플로우트체의 일부의 외주면과 상기 보조공간의 내벽 사이에 틈을 두고 상기 통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에 형성된 보조공간의 측방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우트체의 측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서브(sub) 플로우트가, 상기 플로우트체의 착석 시에 상기 보조공간의 위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서브 플로우트의 외면과 상기 보조공간의 내면 사이에 틈을 두고 상기 통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KR1020127031347A 2008-04-18 2009-04-16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KR101367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8879 2008-04-18
JP2008108879 2008-04-18
JP2009029979A JP5242440B2 (ja) 2008-04-18 2009-02-12 燃料タンク用弁装置及び燃料タンク用過給油防止装置
JPJP-P-2009-029979 2009-02-12
PCT/JP2009/057649 WO2009128499A1 (ja) 2008-04-18 2009-04-16 燃料タンク用弁装置及び燃料タンク用過給油防止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21A Division KR101242810B1 (ko) 2008-04-18 2009-04-16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628A KR20130008628A (ko) 2013-01-22
KR101367534B1 true KR101367534B1 (ko) 2014-02-25

Family

ID=41199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21A KR101242810B1 (ko) 2008-04-18 2009-04-16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KR1020127031347A KR101367534B1 (ko) 2008-04-18 2009-04-16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21A KR101242810B1 (ko) 2008-04-18 2009-04-16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6947B2 (ko)
JP (1) JP5242440B2 (ko)
KR (2) KR101242810B1 (ko)
CN (1) CN102007013B (ko)
WO (1) WO2009128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991A (ja) * 2009-01-23 2010-09-02 Yachiyo Industry Co Ltd 通気規制弁装置
JP5767946B2 (ja) * 2011-11-11 2015-08-26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排気弁装置
JP5876731B2 (ja) * 2012-01-19 2016-03-02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5923328B2 (ja) * 2012-02-13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EP2647516B1 (en) * 2012-04-03 2014-12-17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valve for the venting of a saddle fuel tank
CN104220289B (zh) * 2012-04-12 2016-1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罐的供油部结构
KR102081470B1 (ko) 2012-07-12 2020-02-25 이턴 코포레이션 안내 레그를 갖는 플래퍼 밸브
IN2014DN10928A (ko) * 2012-12-24 2015-05-22 Eaton Corp
PE20160586A1 (es) 2013-03-13 2016-07-13 A R I Flow Control Access Ltd Valvula de fluido
DE102013112407A1 (de) 2013-11-12 2015-05-13 Veritas Ag Entlüftungsventil
KR101597319B1 (ko) * 2014-09-18 2016-02-2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압력 조절밸브 및 이를 갖는 필러튜브 조립체
DE102015212904B4 (de) * 2015-07-09 2024-02-29 Kautex Textron Gmbh & Co. Kg Frostresistenter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 mit beweglichen Bauteilen
JP6210096B2 (ja) * 2015-07-27 2017-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構造
JP6578879B2 (ja) * 2015-10-22 2019-09-25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JP2020016210A (ja) * 2018-07-27 2020-01-30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
US11738990B2 (en) * 2021-06-16 2023-08-29 Whitecap Industries, Inc. Ullage float assembly for fuel tank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755A (ja) * 1999-11-15 2001-05-22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
US20050284875A1 (en) * 2004-06-24 2005-12-29 Toyoda Gosei Co., Ltd. Fuel vent valve
JP2006097538A (ja) * 2004-09-29 2006-04-13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7789U (ko) * 1978-06-06 1979-12-15
JPS59110228U (ja) * 1983-01-12 1984-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燃料タンク
US5172714A (en) * 1990-11-30 1992-12-22 Nissan Motor Co., Ltd. Fuel check valve assembly for fuel tank
JP3630173B2 (ja) 1994-03-17 2005-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5687778A (en) * 1995-05-01 1997-11-18 Stant Manufacturing Inc. Dual valve tank venting system
KR100265136B1 (ko) * 1995-12-27 2001-01-15 정몽규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 밸브
IL128937A (en) * 1999-03-11 2002-09-12 Raval Agriculture Coop Soc Ltd Multi-purpose valve
JP3948194B2 (ja) * 2000-06-27 2007-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給油量規制バルブ及び燃料タンク装置
JP4074113B2 (ja) * 2002-03-25 2008-04-09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04257264A (ja) * 2003-02-24 2004-09-16 Kyosan Denki Co Ltd 満タン制御弁構造
US7234452B2 (en) * 2004-12-20 2007-06-26 Eaton Corporation Controlling vapor emission in a small engine fuel tank system
JP4415888B2 (ja) * 2005-03-22 2010-02-1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2006290085A (ja) * 2005-04-08 2006-10-26 Kyosan Denki Co Ltd フロートバルブのシール構造
US7717126B2 (en) * 2005-07-08 2010-05-18 Kyosan Denki Co., Ltd. Float valve structure
DE102007050970B4 (de) * 2007-06-27 2010-10-07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den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s
JP5285888B2 (ja) * 2007-10-02 2013-09-11 株式会社ニフコ 弁装置
KR20090043885A (ko) * 2007-10-30 2009-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홀을 갖는 자동차용 롤오버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755A (ja) * 1999-11-15 2001-05-22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
US20050284875A1 (en) * 2004-06-24 2005-12-29 Toyoda Gosei Co., Ltd. Fuel vent valve
JP2006009645A (ja) * 2004-06-24 2006-01-1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06097538A (ja) * 2004-09-29 2006-04-13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7013A (zh) 2011-04-06
CN102007013B (zh) 2014-10-08
KR20130008628A (ko) 2013-01-22
JP5242440B2 (ja) 2013-07-24
US20110139301A1 (en) 2011-06-16
US8826947B2 (en) 2014-09-09
KR20100113639A (ko) 2010-10-21
KR101242810B1 (ko) 2013-03-12
JP2009274710A (ja) 2009-11-26
WO2009128499A1 (ja)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534B1 (ko)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US6941966B2 (en) Outflow-limiting device of fuel tank
US9783046B2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EP2518302B1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US20090178719A1 (en) Float valve device
JP2006097674A (ja) 燃料遮断弁
US20040055638A1 (en) Apparatus for inhibiting fuels from flowing out of fuel tanks
JP2006009645A (ja) 燃料遮断弁
US20070186973A1 (en) Fuel cutoff valve
US7013908B2 (en) Apparatus for inhibiting fuel from flowing out of fuel tanks
JP4613818B2 (ja) 燃料遮断弁
JP2003137330A (ja) タンクキャップ
US20030136444A1 (en) Fuel valve
US7472717B2 (en) Float Valve
JP4193782B2 (ja) 燃料遮断弁
JP2008075596A (ja) 燃料遮断弁
JP4635886B2 (ja) 燃料遮断弁
JP5065074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2000097119A (ja) 燃料遮断弁
JP2537849Y2 (ja) ロールオーバーバルブ
JP4635867B2 (ja) 燃料遮断弁
JP4111031B2 (ja) フロート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