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915B1 - 인덕턴스 소자 - Google Patents

인덕턴스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915B1
KR101364915B1 KR1020120082371A KR20120082371A KR101364915B1 KR 101364915 B1 KR101364915 B1 KR 101364915B1 KR 1020120082371 A KR1020120082371 A KR 1020120082371A KR 20120082371 A KR20120082371 A KR 20120082371A KR 101364915 B1 KR101364915 B1 KR 10136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inductance element
flange portion
electro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413A (ko
Inventor
도모유끼 와다
마사히로 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1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상이한 복수의 폭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도 실장 가능한 인덕턴스 소자를 제공한다. 인덕턴스 소자(100)는, 권심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측 플랜지부(2) 및 하측 플랜지부(3)를 구비한 코어(1)와, 권심부에 권회된 도선(4)과, 하측 플랜지부(3)에 형성된 1쌍의 단자 전극(5)을 구비하고, 하측 플랜지부(3)는, 내면과, 저면(3a)과, 1쌍의 측면(3b)과, 1쌍의 단면(3c)을 구비하고, 단자 전극(5)은, 주전극 영역(5a)과, 주전극 영역(5a)으로부터 1쌍의 측면(3b)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1쌍의 연장 전극 영역(5b)을 구비하고, 도선(4)의 양단부(4a)는, 각각,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 및 저면(3a)을 경유하여, 단자 전극(5)에 접속되고,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의, 도선(4)의 양단부(4a)가 경유하는 영역에는, 단자 전극(5)의 연장 전극 영역(5b)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인덕턴스 소자{INDUCTANCE ELEMENT}
본 발명은, 인덕턴스 소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이한 복수의 폭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도 실장 가능한 인덕턴스 소자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에 이용하는 인덕턴스 소자로서, 드럼형의 코어에 도선을 권회하고, 도선의 양단부를 코어에 형성한 단자 전극에 접속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010-171054호 공보)에, 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도 9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턴스 소자(8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800)는 드럼형의 코어(101)를 구비한다. 코어(101)는, 권심부(도시 생략)의 양단부에, 상측 플랜지부(102), 하측 플랜지부(10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인덕턴스 소자(800)를 상하 반대로, 즉, 상측 플랜지부(102)를 아래에, 하측 플랜지부(103)를 위에 도시하고 있다.
하측 플랜지부(103)는, 권심부측의 내면(도시 생략)과, 저면(103a)과, 1쌍의 측면(103b)과, 1쌍의 단면(103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면(103b)은, 복수의 면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코어(101)의 권심부에는, 절연 피복이 실시된 도선(104)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코어(101)의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는, 1쌍의 단자 전극(105, 10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104)의 양단부(104a, 104a)가, 각각, 하측 플랜지부(103)의 측면(103b) 및 저면(103a)을 경유하여, 사전에 절연 피복이 박리된 후에, 단자 전극(105, 10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덕턴스 소자(800)에서는,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 1쌍의 홈(103d, 103d)이 형성되고, 홈(103d, 103d)에 도선(104)의 양단부(104a, 104a)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단자 전극(105, 105)은,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 오목부(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그 안에 땜납을 매립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홈(103b, 103b)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단자 전극(105, 105)은, 오목부에 땜납을 매립한 것이 아니라,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 은 페이스트를 소부하거나 하여 형성한 것쪽이 일반적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010-17105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800)에는, 크림 땜납 등을 사용한 리플로우 땜납에 의해 실장한 경우에, 특정한 폭의 랜드 전극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폭의 랜드 전극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인덕터 소자에 한하지 않고, 전자 부품에서는, 그 제조자나 판매자(이하, 「제조자 등」이라고 함)에 의해, 추천하는 랜드 전극의 치수가 나타내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제조자 등인 A사에서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1.0㎜×길이 0.9㎜의 1쌍의 랜드 전극(이하 「협폭 랜드 전극(201)」이라고 함)을, 0.8㎜ 간격으로 대향시킨 것을 랜드 전극으로서 추천하고, 그것에 합치한 단자 전극을 구비한 인덕턴스 소자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한편, 다른 제조자 등인 B사에서는,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1.6㎜×길이 0.65㎜의 1쌍의 랜드 전극(이하 「광폭 랜드 전극(202)」이라고 함)을, 0.7㎜ 간격으로 대향시킨 것을 랜드 전극으로서 추천하고, 그것에 합치한 단자 전극을 구비한 인덕턴스 소자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인덕턴스 소자의 실장은, 기판 등에 형성된 협폭 랜드 전극(201, 201), 또는 광폭 랜드 전극(202, 202)의 표면에, 크림 땜납 등을 도포한 후에, 인덕턴스 소자를 배치하고, 기판마다 터널로 등에 넣어 가열하고, 계속해서 터널로 등으로부터 취출하여 냉각함으로써 행해진다.
인덕턴스 소자(800)는, 단자 전극(105)의 폭이 약 1.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 랜드 전극(201, 201)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다[도 11의 (A)에서는, 협폭 랜드 전극(201)의 인덕턴스 소자(800)에 가려진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인덕턴스 소자(8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단자 전극(105)을 해칭하여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1의 (B), 도 13의 (A), (B)에서, 마찬가지의 도시 방법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덕턴스 소자(800)를 광폭 랜드 전극(202, 202)에 실장하자고 하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턴스 소자(800)가 광폭 랜드 전극(202, 202)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가열하여 크림 땜납이 용융하였을 때에, 인덕턴스 소자(80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아 유동하게 된 것에 의한다.
광폭 랜드 전극(202, 202)에 인덕턴스 소자를 적절하게 실장하기 위해서는, 단자 전극의 폭을 넓게 형성해야만 하였다. 도 12에, 인덕턴스 소자(800)의 단자 전극(105)의 폭을 넓게 설계 변경한, 다른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9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900)에서는, 단자 전극(115)의 폭이, 약 1.6㎜로 형성되어 있다. 인덕턴스 소자(900)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인덕턴스 소자(800)와 동일하다.
이 결과, 인덕턴스 소자(900)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 랜드 전극(202, 202)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인덕턴스 소자(900)를 협폭 랜드 전극(201, 201)에 실장하자고 하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턴스 소자(900)가 협폭 랜드 전극(201, 201)의 편측으로 시프트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가열하여 크림 땜납이 용융하였을 때에, 인덕턴스 소자(90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아 유동하게 된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800, 900)에서는, 크림 땜납 등을 사용한 리플로우 땜납에 의해 실장한 경우에, 특정한 폭의 랜드 전극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폭의 랜드 전극에는 적절하게 실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A사와 B사에서 추천하는 랜드 전극의 치수가 상이한 경우, A사가 추천하는 랜드 전극에는 A사의 인덕턴스 소자밖에 실장할 수 없고, B사가 추천하는 랜드 전극에는 B사의 인덕턴스 소자밖에 실장할 수 없어, 서로 호환성이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자 전극(115)의 폭을 크게 한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900)에서는, 도선(104)의 단선을 발견하기 어렵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있었다. 즉, 도선(104)의 단부(104a)는, 하측 플랜지부(103)의 측면(103b)을 경유하여,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 형성된 단자 전극(115)에 접속되지만, 도선(104)은, 하측 플랜지부(103)의 측면(103b)과 저면(103a)이 형성하는 변의 근방에서 단선되기 쉽다. 그러나, 하측 플랜지부(103)의 저면(103a)에 있어서, 측면(103b)과 저면(103a)이 형성하는 변의 근방에, 폭을 크게 한 단자 전극(115)이 존재하면, 눈에 의한 검사에 있어서, 이 부분에 있어서의 도선(104)의 단선을 못보고 놓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절연 피복이 박리된 도선(104)과, 단자 전극(115)은, 양자 모두 금속색이기 때문에, 도선(104)이 단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선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오인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인덕턴스 소자는, 권심부와, 그 권심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측 플랜지부 및 하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코어와, 권심부에 권회된 도선과, 하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1쌍의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하측 플랜지부는, 내면과, 저면과, 1쌍의 측면과, 1쌍의 단면을 구비하고, 1쌍의 단자 전극은, 각각 하측 플랜지부의 저면에 형성된 주전극 영역과, 그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의 1쌍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1쌍의 연장 전극 영역을 구비하고, 도선의 양단부는, 각각 하측 플랜지부의 측면 및 저면을 경유하여,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하측 플랜지부의 저면에서의 도선의 양단부가 경유하는 영역에는, 단자 전극의 연장 전극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하측 플랜지부의 측면에, 도선을 경유시키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조 시나 실장 시 등에 있어서, 하측 플랜지부의 측면에 예기치 않게 물체(장치, 지그, 다른 전자 부품 등)가 충돌해도, 도선이 단선되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1쌍의 단자 전극은, 각각 하측 플랜지부의 단면에, 단면 전극 영역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면 전극 영역과 랜드 전극의 사이에 땜납 필렛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강고한 접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전극의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도중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이한 복수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장 전극 영역이 상이한 2개의 길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주전극 영역과 연장 전극 영역에서, 합계 3개의 상이한 폭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도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자 전극의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하측 플랜지부의 저면과 측면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인덕턴스 소자는, 주전극 영역과, 그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의 1쌍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1쌍의 연장 전극 영역을 구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상이한 폭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도 실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덕턴스 소자는, 하측 플랜지부의 저면의 도선의 양단부가 경유하는 영역에, 단자 전극의 연장 전극 영역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근방에서 도선이 단선된 경우에는,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의 (B)는 인덕턴스 소자(1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2의 (A)는 인덕턴스 소자(100)를 협폭 랜드 전극(201)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의 (B)는 인덕턴스 소자(100)를 광폭 랜드 전극(202)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2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3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4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5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6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700)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9는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8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의 (A)는 협폭 랜드 전극(201)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의 (B)는 광폭 랜드 전극(202)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의 (A)는 인덕턴스 소자(800)를 협폭 랜드 전극(201)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의 (B)는 인덕턴스 소자(800)를 광폭 랜드 전극(202)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다른 종래의 인덕턴스 소자(90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의 (A)는 인덕턴스 소자(900)를 광폭 랜드 전극(202)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의 (B)는 인덕턴스 소자(900)를 협폭 랜드 전극(201)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의 (A), (B)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를 도시한다. 단, 도 1의 (A)는 사시도, 도 1의 (B)는 저면도이다.
인덕턴스 소자(100)는, 페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럼형의 코어(1)를 구비한다. 코어(1)는, 권심부(도시 생략)의 양단부에, 상측 플랜지부(2), 하측 플랜지부(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의 (A)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인덕턴스 소자(100)를 상하 반대로, 즉, 상측 플랜지부(2)를 아래에, 하측 플랜지부(3)를 위에 도시하고 있다. 코어(1)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알루미나 등의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측 플랜지부(3)는, 권심부측의 내면(도시 생략)과, 내면의 이측의 저면(3a)과, 1쌍의 측면(3b)과, 1쌍의 단면(3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면(3b)은, 복수의 면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 면에 의해, 후술하는 도선(4)을 경유시키기 위한 오목부(3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1)의 권심부에는, 폴리우레탄 등의 절연 피복이 실시된, Cu, Ag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선(4)이 권회되어 있다.
또한, 코어(1)의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에는, 1쌍의 단자 전극(5, 5)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전극(5, 5)은, 예를 들면, 은 페이스트, 구리 페이스트 등을 소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전극(5)은,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에, 주전극 영역(5a)과, 주전극 영역(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1쌍의 측면(3b)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1쌍의 연장 전극 영역(5b, 5b)을 구비한다. 또한, 각 단자 전극(5)은, 하측 플랜지부(3)의 단면(3c)에, 단면 전극 영역(5c)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주전극 영역(5a)과 연장 전극 영역(5b)의 사이에 파선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설명을 위해서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양자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전극 영역(5a)은, 도 10의 (A)에 도시한, 협폭 랜드 전극(201)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약 1.0㎜의 폭을 갖는다. 한편, 연장 전극 영역(5b, 5b)은, 도 10의 (B)에 도시한, 광폭 랜드 전극(202)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한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으로부터, 다른 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까지는, 약 1.6㎜의 폭을 갖는다. 그리고, 단면 전극 영역(5c)은, 랜드 전극과의 사이에 땜납 필렛을 형성하여, 접합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실장 위치를 적정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선(4)의 양단부(4a, 4a)가, 각각,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 및 저면(3a)을 경유하여, 사전에 절연 피복이 박리된 후에, 단자 전극(5, 5)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에서의, 도선(4)의 단부(4a)와 단자 전극(5)의 접속 부분 근방에, 단자 전극(5)의 연장 전극 영역(5b)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의 토대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과 저면(3a)이 형성하는 변의 근방에서 도선(4)이 단선되어도, 용이하게 단선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품이, 양품으로 잘못 출하되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이 복수의 면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들 면에 의해, 측면(3b)에 오목부(3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3e)를 경유시킴으로써, 도선(4)의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에 있어서의 경유 위치가 안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는,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권심부의 양단에 상측 플랜지부(2)와 하측 플랜지부(3)를 구비한, 드럼형의 코어(1)를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페라이트, 알루미나 등의 분말을,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충전하고, 가압하여 성형체를 얻는다. 계속해서, 그 성형체를, 소정의 프로파일로 소성하여, 코어(1)를 얻는다.
다음으로, 코어(1)에, 1쌍의 단자 전극(5, 5)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1)의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 및 단면(3c)에, 은 페이스트 혹은 구리 페이스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인쇄하고, 소부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코어(1)의 권심부에, 도선(4)을 권회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선(4)의 한쪽의 단부(4a)를 클램프 기구 등에 고정한 후에, 와이어 공급 노즐 등을 이용하여 권회한다.
다음으로, 도선(4)의 양단부(4a, 4a)를, 절연 피막 박리제에 침지하여, 표면으로부터 절연 피막을 박리한다.
마지막으로, 도선(4)의 양단부(4a, 4a)를, 가압 지그 등에 의해 가압하여, 단자 전극(5, 5)에 접속하여, 인덕턴스 소자(100)를 완성시킨다. 또한, 도선(4)의 양단부(4a, 4a)를 단자 전극(5, 5)에 접속할 때에는, 가압뿐만 아니라,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의 실장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덕턴스 소자(100)는, 단자 전극(5)의 주전극 영역(5a)의 폭이 약 1.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1.0㎜로 이루어지는 협폭 랜드 전극(201, 201)에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다[도 2의 (A)에서는, 협폭 랜드 전극(201)의 인덕턴스 소자(100)에 가려진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인덕턴스 소자(1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단자 전극(5)을 해칭하여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의 (B)에서, 마찬가지의 도시 방법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인덕턴스 소자(100)는, 단자 전극(5)의, 한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으로부터 다른 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까지의 폭이 약 1.6㎜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1.6㎜로 이루어지는 광폭 랜드 전극(202, 202)에도, 적절하게 실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는, 폭이 상이한, 협폭 랜드 전극(201, 201)과 광폭 랜드 전극(202, 202) 중 어느 것에도, 양호하게 실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의 구조와, 제조 방법의 일례와, 실장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덕턴스 소자(100)에서는, 주전극 영역(5a)의 폭을 약 1.0㎜로 하고, 한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으로부터 다른 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까지의 폭을 약 1.6㎜로 하고 있지만, 폭 치수는 이들에는 한정되지 않고, 실장하는 랜드 전극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2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200)에서는, 하측 플랜지부(13)의 저면(13a)에, 도선(4)의 양단부(4a, 4a)를 수용하기 위한 1쌍의 홈(13d, 13d)을 형성하였다. 인덕턴스 소자(2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인덕턴스 소자(200)에서는, 하측 플랜지부(13)의 저면(13a)에, 도선의 양단부(4a, 4a)를 수납하기 위한 홈(13d, 13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선의 양단부(4a, 4a)가, 하측 플랜지부(13)의 저면(1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인덕턴스 소자(200)는, 인덕턴스 소자(100)보다도 저배화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3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300)에서는, 각 단자 전극(15)의 연장 전극 영역(15b)을, 주전극 영역(1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저면(3a)과 측면(3b)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도록 형성하였다. 인덕턴스 소자(3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인덕턴스 소자(300)에서는, 실장하는 랜드 전극에 맞추어 정해지는, 한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으로부터 다른 쪽의 연장 전극 영역(5b)의 단까지의 폭에, 하측 플랜지부(3)의 폭을 맞출 수 있다. 즉, 인덕턴스 소자(300)에서는, 하측 플랜지부(3)의 폭을, 필요 최소한으로까지 작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5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4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400)에서는, 각 단자 전극(25)의 주전극 영역(2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을 향하여, 1쌍의 연장 전극 영역(25b, 25b)을, 하측 플랜지부(3)의 단면(3c)을 따라서 형성하였다. 인덕턴스 소자(4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와 같이, 각 단자 전극(25)에서의 연장 전극 영역(25b)의 형성 위치는 임의이다. 인덕턴스 소자(400)도, 폭이 상이한 2개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실장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6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5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500)에서는, 각 단자 전극(35)의 주전극 영역(3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을 향하여, 각각 2쌍의 연장 전극 영역(35b, 35b)을 형성하였다. 즉, 도선(4)의 단부(4a)와 단자 전극(35)의 접속 부분의 양측에, 각각, 연장 전극 영역(35b, 35b)을 형성하였다. 인덕턴스 소자(5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와 같이, 각 단자 전극(35)에 형성하는 연장 전극 영역(35b, 35b)의 대수는 임의이고, 인덕턴스 소자(500)도, 폭이 상이한 2개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실장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7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6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600)에서는, 각 단자 전극(45)의 주전극 영역(4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을 향하여, 도중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이한 2개의 길이를 갖는, 1쌍의 연장 전극 영역(45b)을 형성하였다. 즉, 연장 전극 영역(45b)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전극 영역(45a)으로부터 하측 플랜지부(3)의 측면(3b)을 향하여, 상이한 2개의 길이 L1과 길이 L2를 구비한다. 인덕턴스 소자(6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와 같이, 연장 전극 영역(45b)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이한 2개의 길이를 갖게 하면, 주전극 영역과 연장 영역에서, 합계 3개의 상이한 폭의 랜드 전극 중 어느 것에도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8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700)를 도시한다.
인덕턴스 소자(700)에서는, 각 단자 전극(55)의 각부에 라운딩을 갖게 하였다. 즉, 각 주전극 영역(55a) 및 각 연장 전극 영역(55b)은, 각각, 각부에 라운딩을 갖고 있다. 인덕턴스 소자(700)의 다른 구성은, 도 1의 (A), (B)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턴스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와 같이, 단자 전극의 각부는 직각일 필요는 없고, 본 실시 형태의 단자 전극(55)과 같이, 라운딩을 갖고 있어도 된다.
1 : 코어
2 : 상측 플랜지부
3, 13 : 하측 플랜지부
3a, 13a : 저면
3b, 13b : 측면
3c, 13c : 단면
13d : 홈
4 : 도선
4a : 단부
5, 15, 25, 35, 45, 55 : 단자 전극
5a, 15a, 25a, 35a, 45a, 55a : 주전극 영역
5b, 15b, 25b, 35b, 45b, 55b : 연장 전극 영역
5c : 단면 전극 영역

Claims (9)

  1. 권심부와, 그 권심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측 플랜지부 및 하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코어와,
    상기 권심부에 권회된 도선과,
    상기 하측 플랜지부에 형성된 1쌍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인덕턴스 소자로서,
    상기 하측 플랜지부는, 내면과, 저면과, 1쌍의 측면과, 1쌍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단자 전극은,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에 형성된 주전극 영역과, 그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1쌍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1쌍의 연장 전극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저면을 경유하여, 상기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의 변 근방에서 상기 도선의 양단부가 경유하는 영역에는,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1쌍의 연장 전극 영역의 연장 방향에 따른 양단 거리와, 대응하는 주전극 영역의 동(同) 방향에 따른 양단 거리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1쌍의 단자 전극이 실장되어야 할 복수의 랜드 전극의 동 방향에 따른 양단 거리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인덕턴스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측면에, 상기 도선을 경유시키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덕턴스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단자 전극이,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단면에 형성된, 단면 전극 영역을 더 구비하는 인덕턴스 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도중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측면을 향하여 상이한 복수의 길이를 구비하는 인덕턴스 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도중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전극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측면을 향하여 상이한 복수의 길이를 구비하는 인덕턴스 소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과 상기 측면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인덕턴스 소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과 상기 측면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인덕턴스 소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과 상기 측면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인덕턴스 소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 영역은, 각각 상기 하측 플랜지부의 상기 저면과 상기 측면이 형성하는 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인덕턴스 소자.
KR1020120082371A 2011-07-29 2012-07-27 인덕턴스 소자 KR101364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6897A JP5516530B2 (ja) 2011-07-29 2011-07-29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JP-P-2011-166897 2011-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13A KR20130014413A (ko) 2013-02-07
KR101364915B1 true KR101364915B1 (ko) 2014-02-19

Family

ID=4757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71A KR101364915B1 (ko) 2011-07-29 2012-07-27 인덕턴스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0947B2 (ko)
JP (1) JP5516530B2 (ko)
KR (1) KR101364915B1 (ko)
CN (1) CN102903489B (ko)
TW (1) TWI442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507A (ja) * 2011-01-31 2012-08-23 Toko Inc 面実装インダクタと面実装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KR101823189B1 (ko) * 2014-01-27 2018-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어셈블리
US9653205B2 (en) * 2014-04-30 2017-05-16 Cyntec Co., Ltd. Electrod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170234B2 (en) * 2015-01-22 2019-01-01 Tdk Corporation Coi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ire connection
CN104934190B (zh) * 2015-07-02 2017-07-04 庆邦电子元器件(泗洪)有限公司 一种无电镀、环保型的磁芯电感及其加工工艺
JP7091622B2 (ja) * 2017-09-08 2022-06-28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7148247B2 (ja) 2018-02-09 2022-10-05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JP7173057B2 (ja) * 2020-01-07 2022-1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461A (en) * 1986-07-01 1988-10-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C composite component
KR20070080831A (ko) * 2006-02-08 2007-08-13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권선형 코일부품
JP2011138911A (ja) * 2009-12-28 2011-07-14 Koa Corp 巻線型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6517U (ja) * 1984-05-02 1985-11-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ツプコイル
JPH0227530A (ja) 1988-07-15 1990-01-30 Sony Corp バイアス調整回路
JPH0587913U (ja) * 1992-04-23 1993-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コイル
JP3374434B2 (ja) * 1993-03-24 2003-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方法
JPH06325938A (ja) * 1993-05-11 1994-11-25 Murata Mfg Co Ltd 巻線型コイル
JPH07302719A (ja) 1994-05-09 1995-11-14 Murata Mfg Co Ltd インダクタ
JPH0855738A (ja) * 1994-08-12 1996-02-27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JPH11219827A (ja) * 1998-01-30 1999-08-10 Murata Mfg Co Ltd 巻線型インダクタ
JP2958522B2 (ja) * 1998-02-27 1999-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3949B2 (ja) * 2003-04-03 2009-01-07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05210055A (ja) * 2003-12-22 2005-08-04 Taiyo Yuden Co Ltd 面実装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4408B2 (ja) * 2007-09-05 2012-11-28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電子部品
JP2010109211A (ja) * 2008-10-31 2010-05-13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71054A (ja) * 2009-01-20 2010-08-05 Murata Mfg Co Ltd 巻線型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461A (en) * 1986-07-01 1988-10-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LC composite component
KR20070080831A (ko) * 2006-02-08 2007-08-13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권선형 코일부품
JP2011138911A (ja) * 2009-12-28 2011-07-14 Koa Corp 巻線型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6361A (zh) 2013-04-16
JP5516530B2 (ja) 2014-06-11
KR20130014413A (ko) 2013-02-07
US20130027166A1 (en) 2013-01-31
CN102903489A (zh) 2013-01-30
TWI442423B (zh) 2014-06-21
JP2013030673A (ja) 2013-02-07
US8710947B2 (en) 2014-04-29
CN102903489B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915B1 (ko) 인덕턴스 소자
JP6966722B2 (ja) コイル装置
CN108352215B (zh) 导电部件以及导电部件的制造方法
JP5373594B2 (ja) 巻線型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02939A (ko) 칩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46050A1 (ja) ジャンパー素子または電流検出用抵抗素子
CN113674971A (zh) 线圈装置
US9728869B2 (en) Printed substrate and printed substrate with terminal using same
CN105357869A (zh) 电路板层间导电结构、磁性元件及其制作方法
AU2019215528B2 (en)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11062838B2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880588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4263765B1 (ja) 電子部品ハンダ付け方法
KR102088323B1 (ko)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2001217027A (ja) 柱状グリッド配列コネクター
JP5676659B2 (ja) 半田付け方法
CN101918170B (zh) 焊料线缆结构
KR101927335B1 (ko) 커넥터
JP4310576B2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6024813A (ja) プリント基板
JP2016149490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7954B2 (ko)
JP5838614B2 (ja) 巻線型コイル
JPH0794035A (ja) 中継接続用テープ電線
JP2011258752A (ja) 巻線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