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582B1 -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582B1
KR101351582B1 KR1020070096943A KR20070096943A KR101351582B1 KR 101351582 B1 KR101351582 B1 KR 101351582B1 KR 1020070096943 A KR1020070096943 A KR 1020070096943A KR 20070096943 A KR20070096943 A KR 20070096943A KR 101351582 B1 KR101351582 B1 KR 10135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jam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101A (ko
Inventor
김동식
조윤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582B1/ko
Priority to US12/187,534 priority patent/US20090080910A1/en
Publication of KR2009003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발생한 경우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엑시트 센서가 용지를 검출하고, 엑시트 센서가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제 1 시간 동안 용지의 전사롤러 통과여부를 검출하고, 제 1 시간 동안 용지가 전사롤러를 통과한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발생한 경우 정착롤러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정착롤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랩 잼(wrap jam),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 합성 저항

Description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Method of controlling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화상 형성시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발생한 경우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빔 프린터는 픽업 롤러(Pickup Roller, 100), 피드 롤러(Feed Roller, 110), 피드 아이들 롤러(Feed Idle Roller, 120), 피드 센서(Feed Sensor, 130), 감광 드럼(OPC 드럼, Organic Photo Conductor Drum, 140), 전사롤러(Transfer Roller, 150), 정착 롤러(Fusing Roller, 160), 압축 롤러(Pressure Roller, 170), 엑시트 센서(Exit Sensor, 180), 엑시트 롤러(Exit Roller, 190), 및 엑시트 아이들 롤러(Exit Idle Roller, 195)로 구성된다.
픽업 롤러(100)는 용지를 보관하는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용지를 픽업한다. 피드 롤러(110)는 쌍으로 구비된 피드 아이들 롤러(120)와 함께 픽업된 용지를 끌 어 당긴다. 피드 센서(130)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함으로써, 용지가 정상적으로 픽업되어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감광 드럼(140)은 감광 드럼 표면에 현상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전사롤러(150)와의 사이로 지나가는 용지에 전사한다. 정착롤러(160)는 인쇄 데이터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함으로써, 인쇄 데이터를 용지에 정착시킴과 동시에 압축롤러(170)와 함께 일정한 압력을 용지에 가한다. 엑시트 센서(180)는 정착 롤러(160)를 통과한 용지를 감지함으로써, 용지가 정상적으로 엑시트 롤러(190)로 진행하는 지를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 내를 움직이는 용지가 엑시트 엑츄에이터(Exit Actuator, 미도시)와 접촉하게 되면, 엑시트 엑추에이터는 엑시트 센서(180)로 하여금 용지가 지나가고 있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엑시트 롤러(190)는 쌍으로 구비된 엑시트 아이들 롤러(195)와 함께 용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경우, 엑시트 센서(180)와 정착 롤러(160) 사이에 용지가 걸리게 되면, 정착 롤러(160)의 뜨거운 열에 의해 다려진 용지가 아코디언 모양으로 구겨지는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이 발생하거나, 정착 롤러에 용지가 들러 붙으면서 정착롤러에 휘감기는 랩 잼(Wrap Jam)이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빔 프린터는 엑시트 센서(180)가 정착 롤러(160) 이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선단 부근에 토너가 과잉 전사된 경우 용지가 정착 롤러(160)에 휘감기는 랩 잼(Wrap Jam)이나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 등 일반 사용자가 제거하기 힘든 잼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이미 용지가 정착 롤러(160)에 휘어 감기거나 구겨지는 상황이 모두 진행되고 난 후에야 엑시트 센서(180)가 일정 시간 동안 아무것도 감지하지 못했음을 이유로 잼 발생을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아코디언 잼이나 랩 잼은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롤러(190)의 닙(nip, 접촉부)으로 들어가지 못한 상태에서 용지 후단부가 계속 밀려 들어오기 때문에 발생되며, 용지 후단부가 엑시트 센서(180)를 통과하는 예정 시간 동안 모든 롤러들이 가동되기 때문에 아코디언 잼이나 랩 잼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대부분 용지가 엑시트 롤러(190)와 정착 롤러(160) 사이에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아코디언 잼이나 랩 잼이 발생되면, 거의 매번 정착 롤러(160)를 본체에서 빼낸 다음 잼 처리를 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잼 중 특히 정착롤러와 엑시트 센서 사이에서 발생하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심화되기 전에 판단하여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한 롤러들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정착롤러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정착롤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잼을 처리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엑시트 센서가 용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엑시트 센서가 상기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의 전사롤러 통과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가 상기 전사롤러를 통과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착롤러 이후로 진행하는 용지를 검출하는 엑시트 센서; 및 상기 엑시트 센서가 상기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는 신호에 따라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의 전사롤러 통과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가 상기 전사롤러를 통과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잼을 처리하는 방 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에 용지가 있는지 여부와 액시트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발생시 신속히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잼이 악화되기 전에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정착롤러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정착롤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악화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롤러들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잼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면,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으로 인한 애프터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픽업 롤러(200), 피드 롤러(205), 피드 아이들 롤러(210), 레지 롤러(215), 레지 아이들 롤러(220), 피드 센서(225), 감광 드럼(230), 전사롤러(235), 정착 롤러(240), 압축 롤러(245), 엑시트 센서(250), 엑시트 롤러(255), 및 엑시트 아이들 롤러(260)로 구성된다.
픽업 롤러(200)는 용지를 보관하는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용지를 픽업한다. 피드 롤러(205)는 쌍으로 구비된 피드 아이들 롤러(210)와 함께 픽업된 용지를 끌 어당긴다. 레지 롤러(215)는 쌍으로 구비된 레지 아이들 롤러(220)와 함께 용지의 선단을 정렬시킨다. 피드 센서(225)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함으로써, 용지가 정상적으로 픽업되어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감광 드럼(230)은 감광 드럼 표면에 현상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전사롤러(235)와의 사이로 지나가는 용지에 전사한다. 정착롤러(240)는 인쇄 데이터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함으로써, 인쇄 데이터를 용지에 정착시킴과 동시에 압축롤러(245)와 함께 일정한 압력을 용지에 가한다. 엑시트 센서(250)는 정착 롤러(240)를 통과한 용지를 감지함으로써, 용지가 정상적으로 엑시트 롤러(255)로 진행하는 지를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 내를 움직이는 용지가 엑시트 엑츄에이터(Exit Actuator, 미도시)와 접촉하게 되면, 엑시트 엑추에이터는 엑시트 센서(250)로 하여금 용지가 지나가고 있음을 감지하도록 한다. 엑시트 롤러(255)는 쌍으로 구비된 엑시트 아이들 롤러(260)와 함께 용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위에서 기술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잼이 발생하는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잼이 발생하는 유형을 편의상 잼 0, 잼 1, 잼 2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잼 0(jam 0)이란, 픽업롤러(200)가 용지를 픽업한 후, 피드 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의 에러 메세지이다. 다시 말해 픽업롤러(200)가 용지를 픽업한 후, 피드 센서(225)가 온(ON) 되지 않는 경우이다. 피드 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픽업롤러(200)가 픽업을 N번(N은 자연수) 재시도하고, 재시도할 때마다 피드 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N번의 픽업에도 피드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잼 0 에러 메세지를 출력 한다.
잼 1(jam 1)는 피드 잼 1(feed jam 1)과 엑시트 잼 1(exit jam 1) 두 가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피드 잼 1이란, 피드 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고, 제 1 체크시간 뒤에도 피드 센서(225)가 용지를 인식하고 있을 때 출력하는 에러 메세지이다. 다시 말해 피드 센서가 온(ON) 되고, 제 1 체크시간 뒤에도 피드 센서가 온(ON) 인 경우이다. 상기 제 1 체크시간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
제 1 체크시간 = (용지 주사 길이)/선속+C1
여기서, 용지 주사 길이는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방향으로 용지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4 용지의 크기가 210mm×297mm 인 경우 세로 방향으로 인쇄데이터를 인쇄한다면, 용지 주사 길이는 297mm가 된다. 선속은 화상형성장치 내에서 용지가 진행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C1는 설계자가 임의로 부여하는 상수이다.
엑시트 잼 1이란, 피드 센서가 용지를 인식하고, 제 2 체크시간 후에도 엑시트 센서가 용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 피드 센서가 온(ON) 되고, 제 2 체크시간 후에도 엑시트 센서가 오프(OFF) 인 경우이다.
제 2 체크시간 =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선속+C2
여기서,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를 선속으로 나눈 값은 용지의 선단이 피드 센서를 지난 후부터 엑시트 센서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한 다. C2는 설계자가 임의로 부여하는 상수이다.
잼 2(jam 2)는 용지가 피드 센서(225)를 완전히 빠져나가고 난 뒤 제 3 체크시간 후에 엑시트 센서(250)가 용지를 계속 인식하고 있을 때 출력하는 에러 메시지이다. 피드 센서(225)가 오프(OFF) 되고 난 뒤, 제 3 체크시간 후 엑시트 센서(250)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경우이다.
제 3 체크시간 =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선속+C3
여기서,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를 선속으로 나눈 값은 용지의 후단이 피드 센서를 지난 후부터 엑시트 센서에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C3는 설계자가 임의로 부여하는 상수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잼이 발생하는 유형들 중 특히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엑시트 잼 1의 경우 중 특히,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인 경우로, 이하에서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잼을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피드 센서(300), 제어부(310), 엑시트 센서(3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드 센서(300)는 레지 롤러(215) 이후로 진행하는 용지를 감지한다. 피드 센서(300)가 용지의 선단의 감지한 때부터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320)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수학식 2를 참고하면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선 속이 된다. 이 시간에 피드 센서(300)를 체크하는 체크 주기를 곱하게 되면, 용지의 선단이 피드 센서(300)에서 엑시트 센서(320)에 이를 때까지 피드 센서를 체크한 횟수A가 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드 센서(300)와 엑시트 센서 사이부(320)의 거리는 d1으로 표시된다. 횟수 A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4와 같다.
피드 센서를 체크한 횟수 A= (피드 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의 거리)÷선속×피드 센서 체크 주기
여기서, 선속은 용지가 이송되는 속도를 말한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300)를 체크한 횟수가 횟수 A 이상이 되는 경우를 판단하고, 엑시트 센서(320)가 온(ON)/오프(OFF) 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부(300), 및 엑시트 센서부(32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잼 유형을 판단한 다음, 판단된 잼 유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로 보낸다. 또한 제어부(310)가 판단한 잼 유형이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인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한 롤러들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제어부(310)의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300)가 온(ON) 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엑시트 센서(3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만일 피드 센서(300)가 온(ON) 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엑시트 센서(320)가 온(ON) 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10)가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용지가 OPC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용지가 감 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10)는 잼 유형을 판단한 다음, 잼 유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로 출력한다.
만일 피드 센서(300)가 온(ON) 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엑시트 센서(320)가 온(ON) 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10)가 수신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310)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용지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310)는 이러한 결과로부터 잼 유형을 판단한다. 반면, 만일 피드 센서(300)가 온(ON) 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엑시트 센서(320)가 온(ON) 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10)가 수신하지 못했지만, 제어부(310)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용지가 소정의 시간 동안에만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310)는 이러한 결과로부터 잼 유형을 판단한다.
엑시트 센서(320)는 정착롤러(240) 이후로 진행하는 용지를 감지한다. 엑시트 센서(320)에 용지의 선단이 도달하였을 때에, 전사롤러(235)와 용지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에 선속을 곱하게 되면, 엑시트 센서(320)에 용지의 선단이 도달한 때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벗어날 때까지의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이 시간에 피드 센서(300)를 체크하는 체크 주기를 곱하게 되면,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때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지나갈 때까지 피드 센서(300)가 센싱하는 횟수가 산출된다. 이를 표현하면 수학식 5와 같다.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때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지나갈 때까지 전사롤러를 체크한 횟수 C= (엑시트 센서(320)가 온(ON) 되었을 때 전사롤러(235)와 용지 후단 사이의 거리)÷선속×피드 센서 체크 주기
도 2를 참조하면, 엑시트 센서(320)에 용지의 선단이 도달하였을 때에, 전사롤러(235)와 용지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는 d2임을 알 수 있다.
엑시트 센서(320)가 온(ON) 되었을 때부터 전사롤러(300)를 체크한 횟수가 횟수 C 이상이 되는 시간 후에 제어부(310)는 전사롤러(235)와 감광 드럼(230) 사이에 용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부(310)가 전사롤러(235)와 감광 드럼(230) 사이에 용지가 있는지 검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광 드럼(230), 용지, 및 전사롤러(235)를 등가의 저항으로 치환하여 고려하고, 이에 기초하여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사전압(THV, Transfer High Voltage)을 측정한다. 감광 드럼(230), 용지, 및 전사롤러(235)를 등가의 저항으로 보고 측정한 전사 전압이 B 전압이라고 하면, 용지가 감광 드럼(230), 및 전사롤러(235)를 벗어난 경우에 측정한 전사 전압과는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전사 전압 B가 수학식 5에서 살펴본 센싱 횟수 C만큼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이후 전압 B가 변한다면, 용지 후단부는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를 정상적으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잼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310)가 잼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엑시트 센서(320)가 온(ON)인 경우에는 용지가 엑시트 센서(320)까지는 정상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용지가 엑시트 센서(320) 이후에 진행할 때 잼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엑시트 센서(320)가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온(ON)인 경우에는 상기 잼 2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는 온(ON)이나, 엑시트 센서(320)가 온(ON)이 되지 않고, 용지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용지의 선단이 피드 센서(225)와 전사롤러(235) 사이까지 진행한 후 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잼 1의 상기 엑시트 잼 1로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는 온(ON)이나, 엑시트 센서(320)가 온(ON)이 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용지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잼 1의 상기 엑시트 잼 1로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피드 센서는 온(ON)이나, 엑시트 센서(320)가 온(ON)이 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 이후 용지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으로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잼이 발생한 경우, 어떠한 유형의 잼이 발생하였는지를 제어부(310)로부터 수신하고, 잼 유형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피드센서, 감광 드럼, 전사롤러 사이의 전압, 및 엑시트 센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4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피드 센서(225)가 온(ON) 되면, 상기 제 2 체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제 2 체크시간은 용지의 선단이 피드 센서를 지나간 순간부터 엑시트 센서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 시간은 수학식 2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드 센서가 온(ON) 된 순간인 A부터 엑시트 센서가 온(ON) 된 순간인 C 사이의 시간을 나타내는 a가 수학식 2에서 나타내는 시간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용지 선단이 피드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동작시키면, 그 결과로써 피드 센서가 온(ON) 상태가 된다. 용지가 화상형성장치 내를 이동하는 속도는 용지 사이즈와 무관하게 일정하므로, 용지의 선단은 동일한 시간에 엑시트 센서에 도달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피드 센서가 온(ON) 되고, 수학식 2가 나타내는 시간이 경과한 뒤에 엑시트 센서가 온(ON)/오프(OFF)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4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피드 센서가 온(ON) 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엑시트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엑시트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온(ON) 신호인 경우에는 460 단계로 진행하고, 오프(OFF) 신호이면, 430 단계로 진행한다.
4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판단한다.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감광 드럼, 전사롤러 및 용지의 합성 저항에 따라 전사롤러에 인가하는 전사전압(THV, Transfer High Voltage)의 변화를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의 합성 저항과 이에 용지를 더하여 산출되는 합성 저항은 다르므로, 인가해야 하는 전사전압도 다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만을 고려했을 때 전사전압이 LOW라고 하고,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그리고 용지까지 포함했을 때의 전사전압을 HIGH라고 하기로 한다. 이때, LOW에서 HIGH로 전압이 변화한 경우(B)가 용지의 선단이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를 지나간 경우이고, HIGH 에서 LOW로 전압이 변화한 경우(D)가 용지의 후단이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를 빠져나간 경우이다. 43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없는 경우에는 470 단계로 진행하고,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440 단계로 진행한다.
4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판단한다. 이 판단은 용지의 후단이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를 지나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일반적인 엑시트 잼 1과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을 구별하기 위해 필요하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수학식 5에 의해서 나타나는 시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시트 센서가 온(ON) 된 후(C),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의 전압이 LOW 될 때(D)까지의 시간이며, c로 나타낼 수 있다. 4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으면, 480 단계로 진행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없으면, 450 단계로 진행한다.
45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잼의 유형이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인 것으로 판단한다.
45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구비한 롤러들의 동작을 중지한다. 롤러들의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더 이상 용지가 이동하지 않는다.
460 단계에서 화상형상장치는 액시트 센서가 온(ON)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엑시트 센서가 오프(OFF)인지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엑시트 센서가 온(ON)이면, 464 단계로 진행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엑시트 센서가 오프(OFF)이면 468 단계로 진행한다.
46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잼으로 판단한다. 제 1 잼은 엑시트 센서가 온(ON) 인 상태로 소정의 시간 이상 있는 경우를 말한다.
46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정상 동작으로 판단한다.
47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제 2 잼으로 판단한다. 제 2 잼은 용지의 선단이 피드 센서와 전사롤러사이에 있을 때 잼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48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제 3 잼으로 판단한다. 제 3 잼은 용지의 선단이 전사롤러와 엑시트 센서 사이에 있을 때 잼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49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450 단계 내지 480 단계에서 판단한 잼의 유형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드센서와 엑시트 센서 사이에서 잼이 발생할 수 있는 유형은 4가지 경우로 나뉜다. 즉, 460 단계는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 이후에 있을 때 잼이 발생하는 경우이고, 470 단계는 용지의 선단이 피드센서와 전사롤러 사이에 있을 때 잼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480 단계는 용지의 선단이 전사 롤러와 엑시트 센서 사이에 있으나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다. 450 단계의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은 용지의 선단이 정착롤러와 엑시트 롤러의 사이 공간에 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용지의 전부가 정착롤러와 엑시트 롤러 사이로 말려 들어가면, 잼 제거가 힘들다는 점에서 다른 잼과는 차이가 있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6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6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피드센서가 온(ON)인지 판단한다. 피드센서(225)가 온(ON)이 아닌 경우에는 온(ON)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60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주기마다 용지를 감지하는 피드센서(225)가 피드센서(225)가 온(ON)이 된 다음부터 용지를 감지한 횟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1 증가시킨다. 이 파라미터를 FeedOnTimerCnt라고 하기로 하고, 0으로 초기화되어 있는 파라미터이다.
6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FeedOnTimerCnt의 값이 A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A는 용지의 선단이 피드센서(225)를 지나간 순간부터 엑시트 센서(250)까지 가는 동안에 화상형성장치가 피드센서(225)를 체크한 횟수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피드센서(225)의 상태를 체크한다고 할 때 A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픽업롤러(200)에서 피드 센서(225)까지의 거리가 120[mm], 피드센서(225)에서 엑시트 센서(250)까지의 길이가 170[mm]라고 할 때, A는 170[mm]/93.69[mm/sec]/0.01[sec]=181로 계산된다. 즉, 용지의 선단이 피드센서(225)를 지나간 순간부터 엑시트 센서(250)까지 가는 동안에 화상형성장치가 피드센서(225)를 체크한 횟수는 181번이다. 따라서 FeedOnTimerCnt가 181보다 큰 경우에 화상형성장치는 엑시트 센서(250)를 체크한다.
6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엑시트 센서(250)를 체크한다. 이러한 체크결과, 엑시트 센서(250)가 온(ON) 이면 611 단계로 진행하고, 엑시트 센서(250)가 오프(OFF)이면 605 단계로 진행한다. 엑시트 센서(250)가 온(ON)이면, 두가지 경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번째는 정상적으로 용지 이송이 되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엑시트 센서(250)가 소정의 시간 이상동안 온(ON)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경우의 잼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반면, 엑시트 센서(250)가 오프(OFF)이면,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엑시트 센서(250)가 온(ON)이 될 시기에 오프(OFF)라는 것은 용지 선단부가 엑시트 센서(250) 이후로 이동해 나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6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전사 전압이 B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사 전압 B는 전사롤러(235)와 감광 드럼(230)만을 고려한 합성저항에 따른 전사전압이 아니라, 전사롤러(235)와 감광 드럼(230) 그리고 용지까지 고려한 합성저항에 따른 전사전압을 고려한 전사전압이다. 이하, 전사전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THV_Read라고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의 합성저항에 대응하는 THV_Read 값이 보통의 온도와 습도에서 약 80 정도이면,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그리고 용지의 합성저항에 대응하는 THV_Read 값 은 보통의 온도와 습도에서 100~110 정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사전압 B 값은 80과 100~11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한다. 605 단계에서 판단결과 전사전압이 B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A로 진행하고, 전사전압이 B이상인 경우에는 606 단계로 진행한다.
60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인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인지 판단한다. ChkReverseTHV_ReadFlg의 초기값은 Flase로 설정되어 있다.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인 경우는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한 것을 나타내고, False인 경우는 경과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이 판단결과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이면 610 단계로 진행하고, ChkReverseTHV_ReadFlg가 False이면 607 단계로 진행한다.
60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전사전압을 체크한 횟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PapTHVADCTimerCnt의 값을 1을 증가시킨다. PapTHVADCTimerCnt의 값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되어 있다.
60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PapTHVADCTimerCnt가 C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C는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 전사전압을 체크한 횟수를 나타낸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용지가 정상적인 이동을 하였다는 것을 가정하에서 산 출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픽업롤러부터 피드센서(225)까지의 거리가 120[mm], 피드센서(225)부터 엑시트 센서(250)까지의 거리가 170[mm], 전사롤러(235) 접촉부부터 엑시트 센서(250)까지의 거리가 112[mm]이고, 용지가 A4(210mm×297mm)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때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소요되는 시간 동안 전사전압을 체크한 횟수가 C이므로 C = (297mm-112mm)/93.69[mm/sec]/0.01sec = 197이다. 여기서 93.69[mm/sec]는 용지의 선속이고, 0.01sec는 전사전압을 체크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608 단계에서 PapTHVADCTimerCnt가 C 이상이면 609 단계로 진행하고, PapTHVADCTimerCnt C이상이 아니면, 605 단계로 진행한다.
609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ChkReverseTHV_ReadFlg를 True로 설정한다.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인 경우는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6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용지의 선단이 엑시트 센서(250)에 도달한 시점부터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할 때까지 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소요되는 시간 이후에도 전사전압이 B 이상인 경우에는 용지가 감광 드럼(230)과 전사롤러(235) 사이에 위치한 경우이므로 용지의 선단이 전사롤러(235)와 엑시트 센서(250) 사이에 위치한 유형의 잼이 발생할 수 있다.
61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엑시트 센서(250)가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잼 2로 판단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정상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6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인지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인 경우는 엑시트 센서(250)가 온(ON) 되지는 않았지만,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빠져나간 경우와 용지의 선단이 전사롤러(235)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612 단계까지 진행할 수 있다. 61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ChkReverseTHV_ReadFlg가 True이면, 613 단계로 진행하고, ChkReverseTHV_ReadFlg가 False이면 617 단계로 진행한다.
61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한 시점부터 전사전압을 체크한 횟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NotPapTHVADCTimerCnt의 값을 1 증가한다. NotPapTHVADCTimerCnt의 초기값은 0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61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NotPapTHVADCTimerCnt의 값이 D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D값은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를 통과한 시점부터 전사전압을 체크함에 있어서,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전사전압 체크 횟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D값을 두는 이유는 용지의 후단부가 전사롤러(235)를 빠져 나가는 정상적인 시간에 오차범위를 두기 위함이다. 608 단계에서 살펴본 C 값은 용지가 길면 길수록 크게 나타나므로,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선언되기 이전에 용지가 정착롤러에 상당부분이 감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D값을 아주 짧 게 설정한다. 전사롤러(235) 체크주기가 10msec이고,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전사전압 체크 횟수 D가 10인 경우, 용지의 후단은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발생하는 경우 10[msec]×10회×93.69[mm/msec]≒9.4mm 정도 용지의 후단이 전사롤러(235)로부터 진행한 후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61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NotPapTHVADCTimerCnt의 값이 D값 이상인 경우에는 615 단계로 진행하고, NotPapTHVADCTimerCnt의 값이 D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616 단계로 진행한다.
61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인 것으로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가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잼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가 자동적으로 배지 동작을 수행하여 잼을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해결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배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잼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을 해결할 때까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중지한다. 그 결과로써,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악화되기 전에 사용자가 잼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61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는 605 단계로 진행한다.
617 단계에서화상형성장치는 랩 잼 또는 아코디언 잼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용지의 선단이 피드센서(225)와 전사롤러(235) 사이에 있는 경우에 617 단계까지 진행하게 되므로, 상기 엑시트 잼 1로 판단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 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타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잼을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피드센서, 감광 드럼, 전사롤러 사이의 전압, 및 엑시트 센서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의 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드 센서가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단계;
    엑시트 센서가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드 센서가 용지의 선단을 검출한 후부터 제 2 시간 후에 상기 엑시트 센서가 용지의 선단 및 후단을 포함하여 상기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 롤러 사이에 없는 경우,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엑시트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롤러에 상기 용지가 걸려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착 롤러에 상기 용지가 걸려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랩 잼(Wrap Jam)이나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사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전사롤러부터 용지의 후단까지의 거리와 용지가 이동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가 상기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사전압이 제 3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아닌 엑시트 잼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잼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잼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단말장치에 상기 잼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한 롤러들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잼을 처리하는 방법.
  1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의 픽업 여부를 검출하는 피드 센서;
    정착롤러 이후로 진행하는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엑시트 센서; 및
    상기 피드 센서가 용지의 선단을 검출한 후부터 제 2 시간 후에 상기 엑시트 센서가 용지의 선단 및 후단을 포함하여 상기 용지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제 1 시간 동안 상기 용지가 감광 드럼과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없는 경우, 상기 정착롤러에 상기 용지가 걸렸음을 결정하고, 상기 정착롤러에 상기 용지가 걸려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랩 잼(Wrap Jam)이나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사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전사롤러부터 용지의 후단까지의 거리와 용지가 이동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가 상기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전사전압이 제 3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용지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전사롤러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랩 잼이나 아코디언 잼이 아닌 엑시트 잼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잼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삭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한 롤러들의 구동을 중지시킴으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96943A 2007-09-21 2007-09-21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35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43A KR101351582B1 (ko) 2007-09-21 2007-09-21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187,534 US20090080910A1 (en) 2007-09-21 2008-08-07 Method of detecting j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943A KR101351582B1 (ko) 2007-09-21 2007-09-21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101A KR20090031101A (ko) 2009-03-25
KR101351582B1 true KR101351582B1 (ko) 2014-01-16

Family

ID=4047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943A KR101351582B1 (ko) 2007-09-21 2007-09-21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80910A1 (ko)
KR (1) KR101351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0672B2 (en) * 2012-12-27 2015-02-24 Ricoh Company Sheet feeder control method,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35820B2 (ja) * 2016-02-18 2020-01-29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620617B2 (ja) * 2016-03-15 2019-1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US10642187B2 (en) * 2017-05-22 2020-05-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977362B2 (ja) * 2017-07-25 2021-12-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90089403A (ko) * 2018-01-22 2019-07-3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픽업 시점을 조정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220160436A (ko) * 2021-05-27 2022-12-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정착기의 온도에 따른 정착기 광센서의 검지 값 보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456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용지말림 방지방법
JP2000344395A (ja) * 1999-06-07 2000-12-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100740A (ko) * 2005-03-1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625A (ja) * 1993-12-15 1995-07-11 Konica Corp 給送不良表示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591954B2 (ja) * 1996-01-08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643475B2 (en) * 2002-01-18 2003-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ser sensor system
JP2005041623A (ja) * 2003-07-25 2005-02-17 Fuji Xerox Co Ltd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43587B2 (ja) * 2004-10-05 2008-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21385A (ja) * 2005-10-25 2007-05-17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5121271B2 (ja) * 2006-04-06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456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용지말림 방지방법
JP2000344395A (ja) * 1999-06-07 2000-12-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100740A (ko) * 2005-03-1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80910A1 (en) 2009-03-26
KR20090031101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582B1 (ko) 잼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H07805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32392A (ja) 紙皺予兆監視装置及び紙皺予兆監視プログラム
JP561452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8091884B2 (en) Transport device, overlap feed sign detec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9042541A (ja) 画像形成装置
JP52683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051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354576B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discharge method of recording material in the same
US86320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59199B2 (en) Printing apparatus
JP2013063834A5 (ko)
JP2012250832A (ja) シート識別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235991A (ja) 記録媒体搬送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5082296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70241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detects jam and jam detec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1257732A5 (ko)
US111998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0570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JP2011191421A (ja) 画像形成装置
JP680938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134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14979A (ja) 画像形成装置
JP3915890B2 (ja) 給紙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902029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