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228B1 -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228B1
KR101351228B1 KR1020087016515A KR20087016515A KR101351228B1 KR 101351228 B1 KR101351228 B1 KR 101351228B1 KR 1020087016515 A KR1020087016515 A KR 1020087016515A KR 20087016515 A KR20087016515 A KR 20087016515A KR 101351228 B1 KR101351228 B1 KR 10135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
γcd
aqueous solvent
composition
clath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258A (ko
Inventor
히사노리 다떼와끼
나오무 이시와끼
히또시 아와야마
Original Assignee
기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린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5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70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74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e.g. humulones, lupul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5Inclusion compounds, i.e. host-guest compounds, e.g. polyrota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1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un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후물론류가 γ시클로덱스트린(CD)에 의해 포접되어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 =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제공된다.
이소후물론류, γ시클로덱스트린,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Description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Isohumulone Compound Clathrate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소후물론류가 γ시클로덱스트린(CD)에 의해 포접되어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와 γCD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과 같은 이소후물론류는, 홉의 구화(毬花)에 포함되는 후물론, 코후물론 및 아드후물론과 같은 후물론류를 이성화한 것이고, 맥주 및 발포주 등의 쓴맛의 주체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홉은 맥주 또는 발포주의 양조에 있어서 쓴맛뿐만 아니라 독특한 방향의 부여, 부패 방지, 청징화 및 기포 함유 특성의 향상 등 다양한 역할을 행하고 있다. 홉(Humulus lupulus L.)은 삼과(Cannabaceae)에 속하는 자웅 이주, 숙근 다년생 덩굴성 식물이고, 원산지는 서아시아로부터 중앙 유럽에 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한랭한 지역에서 자생하고, 또한 상품 작물로서 독일, 미국, 체코, 중국 등에서 실용 재배되고 있다. 많은 재배종이 있고, 허스브루커(Hersbruker), 테트난거(Tettnanger), 사즈(Saaz), 할러타우(Hallertau), 노던 브레워(Northern Brewer), 브레워즈 골드(Brewers Gold), 푸글(Fuggle), 클러스터(Cluster) 등이 대 표적이다.
이소후물론류는 맥주 또는 발포주의 양조에 있어서의 역할뿐 아니라 각종 유용한 생리 작용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항우식 작용(일본 특허 공개 (소)63-211219호 공보), 항골다공증 작용(일본 특허 공개 (평)7-330594호 공보), 피롤리균(Helicobacter pylori) 증식 억제 작용(일본 특허 공개 (평)10-25247호 공보), 알도스 리덕타데 저해 작용(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6640호 공보), 혈당치 개선 작용(일본 특허 공개 제2004-224795호 공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배경으로, 이소후물론류를 소위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등의 건강 지향 음료ㆍ식품에 응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소후물론류는 상술한 대로 독특한 쓴맛을 갖는다. 맥주 또는 발포주에서의 함유량은 20 ppm 전후 내지 그 이하이고, 개인차는 있지만 30 ppm을 초과하면 가벼운 불쾌감을 수반하고, 50 ppm을 초과하면 강한 불쾌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유용한 생리 작용을 기대하여 음용 또는 식용하는 경우, 불쾌감을 수반하는 양이 필요하다. 덧붙여, 이소후물론류는 보존시에 분해되기 쉽고, 원래 기름 형태의 성상이기 때문에 식품 가공에 적합하지 않는 등의 결점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이소후물론류를 많이 함유하는 음료ㆍ식품의 구현화는 곤란하였다.
그런데, 식물에서 기원하는 저분자의 생리 활성 물질은 대개 쓴맛 또는 떫은 맛을 갖는 것이 많이 때문에, 지금까지 이들을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이 몇몇 제창되어 있다. 시클로덱스트린(CD)을 이용한 기술도 보고되어 있다.
CD는, 전분류에 시클로덱스트린 생성 효소(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환상 올리고당의 총칭이고, 글루코스 분자가 α-1,4 결합으로 환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19세기 후반에 자연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20세기 초두가 되어 샤딩거(Shardinger)에 의해 CD의 분리 정제법 및 그의 환상 구조가 밝혀졌다. 1970년대가 되자 세균 유래의 CGTase가 발견되고, 결정성 CD의 생산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현재, 글루코스의 중합도가 6, 7, 8인 CD가 실용상 입수 가능하고, 각각 αCD, βCD, γCD라 호칭되었다.
CD는 입체적으로 보면, 말하자면 바닥이 없는 버킷(bucket) 모양의 구조이고, 공동(空洞) 외부가 친수성인 한편, 공동 내부가 소수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CD는 공동 내부에 특정 유기 분자(말하자면, 게스트 분자)를 감싸듯이 포함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현상을 포접이라 부른다. 포접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게스트 분자의 맛 또는 용해성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포접 작용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CD와 게스트 분자와의 특이적 일치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예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게스트 분자에 적합한 분자량에 대하여 대략 120 내지 350 (문헌 [Spec Chem vol.7 No.6 p374(1987)])이라는 주장이 발견되는 정도였다.
CD의 용도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소)58-146271호 공보(하기 특허 문헌 1)에, 시판 생맥주에 γCD를 10 % 함유하는 CD 제제를 0.3 % 첨가하여 쓴맛을 완화시키는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소후물론류의 포접화는 확인되지 않았고, 쓴맛 감소 효과가 실감된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5116호 공보(하기 특허 문헌 2)에는 약용 식물을 CD에서 포접한 음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약용 식물 중에서 홉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성화 홉 추출물에 대한 효과는 물론, 홉 추출물에 대한 효과도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CD를 이용하는 기술 이외에는, 쓴맛을 감소시키는 기술로서 포스파티딘산(상품명 「베네코트 BMI」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L-오르니틴 (문헌 [Food Science Journal, No.317 p56 2004]) 등을 들 수 있지만, 모두 이소후물론류의 쓴맛 경감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8-14627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5116호 공보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γCD에 의해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 특유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
본 발명자들은,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물을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물=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함으로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실시예 2(1)).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2 양태
본 발명자들은, pH 4.0 이하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물을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물=1:4 내지 19)의 비로 혼합하더라도,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실시예 2(2)).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3 양태
본 발명자들은 또한, pH 4.5 이하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272:20 내지 1088의 비로 혼합하더라도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실시예 2 및 5).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4 양태
본 발명자들은, 또한 포접화되는 이소후물론류의 최종 농도가 낮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직접 목적하는 저농도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양태,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을 산성 조건하에서 희석함으로써 목적하는 농도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실시예 5 및 6).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제2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제2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제3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제3 양태의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소후물론류의 생리학적인 기능은 보고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을 효과적으로 경감 또는 마스킹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체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의 이소후물론류를 함유하면서,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완화된 의약품 및 식품의 제공에 새로운 장을 개척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각 샘플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각 샘플의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각 혼합비로 혼합한 샘플에 대하여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H 9).
도 4는 각 혼합비로 혼합한 샘플에 대하여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pH 4).
도 5는 샘플 A 및 샘플 B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샘플 A 및 샘플 B에 대하여 이소후물론류잔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샘플 A를 전자 현미경(3000배)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샘플 A를 전자 현미경(8000배)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γCD를 전자 현미경(3000배)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이소후물론류의 포접체에의 이용률과 γCD의 포접체에의 이용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각 샘플의 초기 전위 및 일차 세정 후 전위를, 미각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 분말품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분무 건조품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분무 건조의 온도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A: 분무 건조 직후 밀폐 한 경우. B: 25 ℃ 60 %(상대 습도)에서 1 주간 방치 후 밀폐.
도 14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분무 건조품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γCD 용액의 pH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A: 분무 건조 직후 밀폐한 경우. B: 25 ℃ 60 %(상대 습도)에서 1 주간 방치 후 밀폐.
도 15는 타정품 및 타정 코팅품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구체척 설명>
제1 양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혼합할 때의 pH값은 바람직하게는 pH 9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또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 성물이 제공된다.
제1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제4 양태로서 개시된 조건에 따라서 희석함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지한 채로 또는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채로,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저농도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조된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조된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9 이하에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 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조성물로부터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축ㆍ단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로부터 원심 분리 등의 고액 분리법에 의해 고형분을 회수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수 세정 및 재고액 분리를 행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페이스트상 물질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 및 페이스트상 물질을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적용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고형 상태로서 얻을 수 있다.
제2 양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또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제4 양태로서 개시된 조건에 따라서 희석함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지한 채로 또는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 감된 채로,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저농도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조된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조된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조성물로부터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축ㆍ단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로부터 원심 분리 등의 고액 분리법에 의해 고형분을 회수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수 세정, 재고액 분리를 행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페이스트상 물질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 및 페이스트상 물질을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적용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고형 상태로서 얻을 수 있다.
제3 양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산성 조건에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수성 용매의 비율이 증가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혼합할 때의 pH값은 바람직하게는 pH 3.5 이하로 할 수 있다. 혼합할 때의 pH값은 pH 2.0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2.0 내지 3.5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의 조성물은, 또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제4 양태로서 개시된 조건에 따라서 희석함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지한 채로 또는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채로,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저농도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조성물은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조성물은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3.5 이하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할 때의 pH값은 바람직하게는 pH 2.0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2.0 내지 3.5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조성물로부터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축ㆍ단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로부터 원심 분리 등의 고액 분리법에 의해 고형분을 회수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수 세정, 재고액 분리를 행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페이스트상 물질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성물 및 페이스트상 물질을,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적용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고형 상태로서 얻을 수 있다.
제4 양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조성물, 제2 양태의 조성물 또는 제3 양태의 조성물을 산성 조건에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와가 일정 비율이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수성 용매의 비율이 증가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소후물론류의 농도가 낮아, 제1 양태,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조성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양태의 조성비, 제2 양태의 조성비 또는 제3 양태의 조성비의 범위에 포함되는 농도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범위가 되도록 물 또는 그 밖의 수성 용매로 희석함으로써, 목적하는 농도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제1 양태의 조성물 및 제2 양태의 조성물을 희석하는 경우와, 제3 양태의 조성물을 희석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양태의 조성물 및 제2 양태의 조성물을 희석하는 경우>
실시예 6에 따르면, 제1 양태의 조성물 또는 제2 양태의 조성물을 산성 조건하에서 수성 용매로 희석함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지한 채로 또는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이 실질적으로 경감된 채로,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저농도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용해 후의 이소후물론류의 포접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는 이소후물론류의 쓴맛의 경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pH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pH 3.5 이하의 수성 용매(예를 들면, 물이나 각종 음료)에 용해시킬 수 있다. 희석 후의 pH는 또한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용해 후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으로 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조성물을 희석하는 경우>
실시예 5에 따르면, 특정 범위에서는 일단 고농도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형성한 후, 목적하는 농도로 희석함으로써, 직접 목적하는 농도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형성시키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희석시에 pH 조건을 보다 산성측으로 함으로써 포접체가 형성되기 쉬워지는 것, 이소후물론류에 대한 γCD의 비율이 커질수록 포접체가 형성되기 쉬워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일단 고농도로 이소후물론류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고, 형성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지한 채로 최종 농도로 희석할 때는, pH가 중요한 인자가 되고, 미묘한 변화로 포접화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또한, γCD량/이소후물론량의 비율에 대해서는, 이소후물론류에 대한 γCD의 비율이 커지면 접촉 효율이 높아지고, 포접화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면, pH값과 γCD비의 일정한 균형에 의해서 포접체의 형성 효율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희석 후의 pH를 X라 하고, (6.5-X)2와 (γCD량/이소후물론량)과의 곱에 대하여 실시예 5의 결과를 적용시키면, 포접체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위해 (6.5-X)2×(γCD량/이소후물론량)>50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6.5-X)는 pH 6.5의 조건에서는 포접체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것, 산성측이 될수록 형성 효율이 향상되는 것 등의 이유로부터 도출되었다. 또한, pH는 상용 대수이기 때문에 (6.5-X)를 제곱으로 하였다. 또한, pH값과 γCD비에서 균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6.5-X)2와 (γCD량/이소후물론량)은 곱의 형태로 하였다.
따라서, 제3 양태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 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희석하는 경우에, 희석 후의 pH(X)가 (6.5-X)2×(γCD량/이소후물론량)>50(여기서, X≤4.5임)을 만족시키도록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값이 낮을수록, 즉 (6.5-X)2가 클수록 γCD 포접체 생성률은 높다. 또한, γCD 농도가 높을수록, 즉 (γCD/이소후물론량)이 높을수록 γCD 포접체 생성률은 높다. 따라서, γCD 포접체 생성률은 이러한 두 인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어떤 농도의 이소후물론를 포함하는 γCD 포접체 용액의 γCD 포접체 생성률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pH값을 내리거나 γCD 농도를 올리거나, 또는 pH값을 내리거나 또한 γCD 농도를 올림으로써 목적이 달성된다. 예를 들면, 「이소후물론류:γCD:물=1:12.5:112.5, pH 9(γCD 10 %)」의 조성물의 γCD 포접체 생성률은 약 70 % 이지만, 이 조성물의 γCD 포접체 생성률을 90 % 이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1) pH값을 내리는, 즉 예를 들면 「이소후물론류:γCD:물=1:12.5:112.5, pH 4(γCD 10 %)」의 조성물로 만들거나, (2) γCD 농도를 올리는, 즉 예를 들면 「이소후물론류:γCD:물=1:12.5:56.3, pH 9(γCD 20 %)」의 조성물로 만들거나, 또는 (3) pH값을 내리면서 γCD 농도를 올리는, 즉 예를 들면「이소후물론류:γCD:물=1:12.5:84.4, pH 5(γCD 15 %)」의 조성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1)에 대해서는, 도 4로부터 이소후물론류:γCD:물=1:12.5:112.5, pH 4(γCD 5 %)에서 γCD 포접체 생성률이 90 % 이상이고, γCD 10 %에서도 γCD 포접체 생성률이 90 % 이상인 것은 자명하다. (2)에 대해서는, 도 3으로부터 이소후물론류:γCD:물 =1:12.5:112.5인 교점 B와 동일한 이소후물론류:γCD 비율의 γCD 20 %의 곡선과의 교점은, γCD 포접체 생성률이 90 % 이상이다.
희석 후의 pH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희석 후의 pH는 또한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희석 후의 조성물에서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는, 제3 양태의 조성물을 음료로 희석함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용해 후의 이소후물론의 포접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희석 후의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의 비율 및 pH값에 대해서는 상술한 조건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H 4.5 이하의 각종 음료에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범위가 되도록 희석할 수 있다. 또한, 희석 후의 음료에 있어서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 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공정(a)에서는, 얻어진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정(a)에서는,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9 이하에서 혼합할 수 있다.
공정(b)에서는,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pH 3.5 이하에서 혼합할 수 있다. 희석 후의 pH는 또한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공정(b)에서는, 또한 공정(a)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공정(b)에서는, 또한 희석 후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 도를 20 내지 200 ppm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또한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공정(a)에서는, 얻어진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정(a)에서는, 또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3.5 이하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할 때의 pH값은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pH 2.0 내지 3.5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공정(b)에 있어서의 희석 후의 pH값 X가 (6.5-X)2×(γCD량/이소후물론량)>50(여기서, X≤4.5임)을 만족시키도록 희석할 수 있다.
공정(b)에서는, 희석 후의 pH는 pH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pH 3.5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희석 후의 pH는 또한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공정(b)에서는, 또한 공정(a)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일 수 있다.
공정(b)에서는, 또한 희석 후의 조성물에서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후물론류는 이소후물론, 이소아드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소후물론류는 시판되고 있는 이성화 홉 엑기스를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는 또한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문헌[Developments in Food Science 27, CHEMISTRY AND ANALYSIS OF HOP AND BEER BITTER ACIDS, M. Verzele, ELSEVIER]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홉 엑기스 또는 이성화 홉 엑기스로부터 단리,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성화 홉 엑기스는, 홉의 루풀린부에서 유래하는 추출물(홉 엑기스)을 이성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홉은 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고, 그의 구화(미수정된 암꽃이 숙성된 것)이다. 홉의 루풀린부는 맥주 양조 원료이고, 맥주에 쓴맛, 방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맥주의 양조 과정에서 홉의 후물론류(후물론, 코후물론, 아드후물론, 포스트후물론, 프리후물론 등)은 이소후물론류(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이소아드후물론, 이소포스트후물론, 이소프리후물론 등)로 이성화되 어 맥주에 특유의 맛과 향기를 부여한다.
홉 추출물은, 예를 들면 구화 또는 그의 압축물을 그대로 또는 분쇄 후, 추출 조작에 적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맥주 양조에 이용되는 홉 엑기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용되는 에탄올 용매에 의한 추출법이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등이 있다. 이 중,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은 폴리페놀 성분이 적고, 쓴맛 물질과 정유 성분이 보다 높게 농축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홉 추출법으로서, 그 밖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용매 중에 홉의 구화, 그의 분쇄물 등을 냉침, 온침 등에 의해서 침지하는 방법;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방법; 또는 삼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서 여과 또는 원심 분리에 의해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사용 양태에 의해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일부 농축 또는 건조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농축 또는 건조 후, 추가로 비용해성 용매로 세정하고 정제하여 이용할 수도, 또한 이것을 추가로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현탁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액을 감압 건조, 동결 건조 등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홉 추출 엑기스 건조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글리 콜류; 그 밖에 에틸에테르, 아세톤, 아세트산 등의 극성 용매; 벤젠이나 헥산 등의 탄화수소; 에틸에테르나 석유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등의 비극성 용매의 공지된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불용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추출물을 감압 등에 의해 농축시켜 용매를 건고시킬 수도 있다. 또한, 구화를 분쇄한 것을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또는 액화 탄산 가스 추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추출한 조엑기스에는 후물론류뿐 아니라 그의 이성화물인 이소후물론류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는 이러한 조엑기스로부터 관용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도 있다. 또한, 단리 정제한 이소후물론류는 거의 시판되지 않기 때문에, 이성화 홉 엑기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소후물론류를 보다 고함량 포함하는 것을 얻는 경우에는, 이 조엑기스를 알칼리 존재하 또는 산화마그네슘 존재하에서 가열화하여 더 이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성화에 의해 홉 추출물 중의 후물론류는 이소후물론류로 완전히 변환된다.
여기서 이성화 처리를 구체예를 들어 더 설명하면, 홉 엑기스를, 에탄올 등의 알코올성 용매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약 알칼리성 물을 첨가하고, 그의 존재하에서 가열(예를 들면, 92 내지 93 ℃ 정도)하여 환류시킴으로써 홉 엑기스를 열 이성화하여 이성화 홉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이성화 홉 엑기스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예를 들면, 여과,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등)에 의해 농축시키거나 정제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성화 처리에서 사용되는 약 알칼리 성(예를 들면, pH 8.5 내지 9.5)의 물로서, 예를 들면 음료용 알칼리 이온수 등과 같은 시판되는 물(예를 들면, 생수(bottled water))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시판용 음료의 물이면, 섭취되어 온 경험이 충분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또한, 맥주 양조의 맥즙 비등 과정에서 열 이성화되어 생성하는 반응 양식과 상기 이성화 처리는 본질적으로 동등하기 때문에, 음식품을 제공하는 관점에서는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이성화 홉 엑기스를 조성물 및 식품 등의 제조에 직접 사용할 수도 있지만, 또한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분획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방법으로 추출된 홉 엑기스 및 이성화된 엑기스는 맥주 첨가물로서 시판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시판용 홉 엑기스 또는 이성화 홉 엑기스를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또한 이성화 처리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용 이성화 홉 엑기스로서는, 예를 들면 홉 구화 분쇄물로부터 주로 후물론류와 루풀론류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한 홉 엑기스(예를 들면, CO2 Pure Resin Extract(Hopsteiner사)), 홉 구화 분쇄물의 탄산 가스 추출물을 이성화한 엑기스(예를 들면, Isomerized Kettle Extract(SS. Steiner사), 이소후물론류와 루풀론류가 주성분), 홉 구화 분쇄물의 탄산 가스 추출물을 이성화한 후, 또한 칼륨 염화하여 점성이 낮은 액체로 만든 수용성 엑기스(예를 들면, ISOHOPCO2N(English Hop Products사), ISOHOPR(Botanix사), 이소후물론류가 주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엑기스보다 더욱 이소후물론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분획물을 상기 등의 방법도 포함하여 농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유기 합성적 수법에 의해 제조되어 홉의 대체품 또는 보완품으로서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테트라히드로ㆍ이소후물론 및 β-이소후물론도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γ CD 및 용매
본 발명에 있어서 γCD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γCD의 형태는 분말, 과립, 시럽 등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γCD의 순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αCD나 βCD, 또는 글루코스나 말토스 등 환상 당 이외의 당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과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γCD는 분지 γCD, 수식 γCD 등의 γCD의 유연(類緣) 화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후물론류와 γCD의 접촉을 촉진시키는 매체인 용매로서는, 수성 매체, 특히 물이 바람직하지만, 이소후물론류와 γCD를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물 이외의 수성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pH 완충액, 극성 유기 용매와 물과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소후물론 함유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가 제공된다.
건조체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얻어진 페이스트상 물질을 분 무 건조, 동결 건조 등에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건조체에서의 수분 함량은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 %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결 건조법에 의해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동결 건조체로 만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결 건조 분말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는 물 등의 수성 매체에 용해시킴으로써,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용해 후의 이소후물론의 포접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pH 5.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의 수성 용매(예를 들면, 물이나 각종 음료)에 용해시킬 수 있다. 희석 후의 pH는 3.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용해 후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ppm으로 할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캡슐이나 정제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는 안정성이 우수하였다(실시예 3). 따라서, 얻어진 캡슐이나 정제는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식품
본 발명에 의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는 적량의 돼지 췌장 유래의 α아밀라제(Sigma-Aldrich, Inc.)로 처리함으로써 γCD가 분해되어 이소후물론류가 유리된다. 이 현상은 비교적 저농도의 백탁 상태의 이소후물론류가 상기 처리에 의해서 투명화되고, 상기 투명액을 분석하면 글루코스, 말토스 및 말토트리오스가 확인된 다. 이것은, 포접체를 구성하고 있는 γCD가 α아밀라제에 의해 글루코스, 말토스 및 말토트리오스로 분해되고, 그 결과 이소후물론류가 유리되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이용한 음식물을 인간이 섭취한 경우, 소장 상부에서 이소후물론류는 γCD와 해리되어 신속하게 장관 흡수되고, 이소후물론류에서 확인되는 상기 유용한 생리 작용을 전혀 저해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은 이소후물론류를 유효량 함유한 식품이며, 상기 이소후물론류가 포접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 함유한」이란, 개개의 식품에 있어서 통상 섭취되는 양을 섭취한 경우에, 후술하는 범위에서 유효 성분이 섭취되는 것과 같은 함유량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조성물 또는 건조체의 형태로 식품에 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건조체를 그대로 식품으로서 제조한 것, 각종 단백질, 당류, 지방, 미량 원소, 비타민류 등을 더 배합한 것, 액상, 반액체상 또는 고체상으로 만든 것, 페이스트상의 것, 일반적인 식품에 첨가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은 포유 동물이 섭취 가능한 것이면 그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건강 식품(예를 들면,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영양 보조 식품), 기능성 식품, 환자용 식품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상기 건강 식품은 또한 통상적인 식품의 형상일 수도, 영양 보조 식품의 형상(예를 들면, 서플리먼트)일 수도 있다.
여기서 영양 보조 식품의 형상이란, 정제, 캡슐(연캡슐, 경캡슐), 분말, 스틱, 젤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은 이소후물론류의 지질 대사 개선 기능(WO03/068205호 공보), 혈압 강하 기능 및 혈관 유연성 개선 기능(WO2004/064818호 공보) 등을 기대하는 소비자에게 적합한 식품, 즉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보건용 식품」이란, 상기 기능 등을 표시하여 식품의 제조 또는 판매 등을 행하는 경우에, 보건상의 관점에서 법 상의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경우가 있는 식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유효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으로서, 상기 기능이 표시된 식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종 기능은 식품의 본체, 용기, 포장, 설명서, 첨부 문서 또는 선전물 중 어느 것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첨가ㆍ배합 대상인 일상 섭취하는 식품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밥류, 국수류, 빵류 및 파스타 등의 탄수화물 함유 음식품; 쿠키나 케이크 등의 양과자류, 만두(饅頭)나 양갱 등의 일본 과자류, 캔디류, 껌류, 요구르트나 푸딩 등의 냉과(冷果)나 빙과 등의 각종 과자류; 위스키, 버본, 스피릿, 리쿼, 와인, 과실주, 일본주, 중국주, 소주, 맥주, 알코올 도수 1 % 이하의 비알코올 맥주, 발포주, 하이주 등의 알코올 음료; 과즙 함유 음료, 야채즙 함유 음료, 과즙 및 야채즙 함유 음료, 청량 음료수, 우유, 두유, 유음료, 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 커피, 코코아, 차 음료, 영양 드링크, 스포츠 음료, 미네랄 워터 등의 무알코올 음료; 알을 이용한 가공품, 어패류(오징어, 문어, 조개, 뱀장어 등) 또는 축육(간 등의 내장을 포함함)의 가공품(진미를 포함함)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첨가ㆍ배합 대상인 식품으로서는, 알코올 음료(맥주, 발포주 등)나 비알코올 음료(예를 들면, 청량 음료, 과즙 함유 음료, 야채즙 함유 음료, 과즙 및 야채즙 함유 음료, 차음료, 유음료 등)를 들 수 있다.
과즙 함유 음료나 과즙 및 야채즙 함유 음료에 이용되는 과일로서는, 예를 들면 사과, 귤, 포도, 바나나, 배 및 살구를 들 수 있다. 또한, 야채즙 함유 음료나 과즙 및 야채즙 함유 음료에 이용되는 야채로서는, 예를 들면 토마토, 당근, 샐러리, 오이 및 수박을 들 수 있다.
차음료란, 차나무과의 상록수인 차 나무의 잎(차잎), 또는 차 나무 이외의 식물의 잎 또는 곡류 등을 달여 마시기 위한 음료를 말하고, 발효차, 반발효차 및 비발효차를 모두 포함된다. 차음료의 구체예로서는 일본차(예를 들면, 녹차, 보리차), 홍차, 허브차(예를 들면, 쟈스민차), 중국차(예를 들면, 중국 녹차, 우롱차), 볶음차 등을 들 수 있다.
유음료란, 생유, 우유 등 또는 이들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식품을 주원료로 한 음료를 말하고, 우유 등을 그 자체 재료로 하지만, 그 외에, 예를 들면 영양소 강화유, 향 첨가유, 가당 분해유 등의 가공유를 원료로 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음료(음료 형태의 건강 식품이나 기능성 식품을 포함함)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음료의 처방 설계에 이용되고 있는 당류, 향료, 과즙, 식품 첨가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는,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제조 기술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개정 신판 소프트 드링크」(가부시끼가이샤 고린)를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이소후물론류는 인류가 식품으로서 오랜 세월 섭취해온 홉 추출 성분에 포함되기 때문에, 독성도 낮으며 포유 동물(예를 들면, 인간,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원숭이 등)에 대하여 안전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효 성분의 섭취량은 수용자, 수용자의 연령 및 체중, 증상, 투여 시간, 제형, 투여 방법, 약제의 조합 등에 의존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식품으로서 섭취하는 경우에는, 성인 1명 1 일 20 mg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35 mg 내지 55 mg 정도의 섭취량이 되도록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중, 이소후물론류의 원료로서 이성화 홉 엑기스(「Iso-Extract 30 % 」 S. S. Steiner, Inc. New York, USA)를 이용하여, 함유하는 이소후물론류당 중량을 표기하였다. 또한, γCD는 「덱시펄 γ-100」((γCD 함량 98 % 이상), 엔스이코 세이또 가부시끼가이샤)를 이용하였다. 이소후물론류 및 γCD는 실질적인 절건 중량, 물은 그대로의 중량으로서 표기하였다.
[ 실시예 1]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측정 방법 구축
pH 2 내지 7의 범위에서 pH를 단계적으로 설정한 시트르산 완충액(1 mM)을 준비하고, γCD(「덱시펄 γ-100」1 % 용액)를 제조하였다. 각 γCD 용액에 이소후물론류가 100 ppm이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첨가하여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그 결과, 각 샘플은 pH 의존적으로 백탁이 생기고, 분광 광도계(벡만사 제조, 파장 600 nm 및 720 nm)로 측정하면 각 샘플의 흡광도는 pH 의존적으로 감소해가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 또한, pH 2와 pH 7의 샘플에 대하여 패널리스트 5명이 비교 관능 평가한 결과, pH 7의 샘플 쓴맛에 대하여 pH 2의 샘플 쓴맛은 5 내지 20 % 정도라고 하는 결과가 되고, 백탁 생성(탁도)과 쓴맛 감소도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 시사되었다.
다음에, 각 샘플을 원심 분리하여(3000 g×10 분간) 상청 중의 이소후물론류의 농도를 HPLC(닛본 분꼬사 제조) 분석에 의해 구하고, 총 이소후물론류량으로부터 감한 양을 편의상 백탁화 이소후물론류량이라 간주하고, 총 이소후물론류량에 대한 비율을 플로팅한 결과, 도 1과 거의 동일한 라인을 나타내었다(도 2).
이상의 결과로부터, 직접 탁도를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백탁에 관여하는 이소후물론류량은 원심 분리에 의해 침전하지 않는 이소후물론류량을 측정 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고, 이 백탁화 이소후물론류량을 γCD의 작용에 의해 쓴맛이 감소된 이소후물론류(이소후물론류 포접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이소후물론류 , γ CD , 및 물의 혼합비를 확인하는 실험
(1) pH 9 수용액에서의 실험
pH 9의 γCD의 5, 10 및 20 %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이 하기 표 1의 중량비가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1
이들 조성물은 대략 현저하게 백탁을 생성하여 슬러리화하였지만, 백탁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 것도 있었다. 실시예 1로부터, 백탁은 「γCD의 작용에 의해 쓴맛이 감소된 이소후물론류」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 원심 분리하여(3000 g×10 분간) 상청 중의 이소후물론류를 측정함으로써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산출하였다. 이소후물론류의 γCD에 대한 중량비를 횡축으로,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종축으로 하여 실험 결과를 플로팅하면 도 3과 같았다.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70 %에 보조선을 삽입하면, A, B, C 및 D의 4개 교점이 생긴다. 이 4개 교점에서의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의 중량비를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았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2
10 %의 γCD 수용액에 대해서는,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 즉 포접체를 형성하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이 되는 것은 교점 B에서 교점 C의 범위이다. 또한, 20 %의 γCD 수용액에 대해서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이 되는 것은 교점 A에서 교점 D의 범위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 포접체가 얻어지는 범위는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물=1:4 내지 9)의 경우이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서,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이 되는 것은 이소후물론류:γCD:물=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물=1:4 내지 9)의 경우이다.
실시예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포접체의 형성은 산성 조건에서 유리하게 행해지는 것이므로, pH 9 이하에서 상기 비율로 포접체가 형성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동일하게 γCD 20 %의 곡선과 종축 80 %과의 교점을 E, H라 하고, 종축 90 %와의 교점을 F, G라 하면,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80 % 이상이 되는 것은 이소후물론류γCD:물=1:6 내지 20:24 내지 80(단, γCD:물=1:4)의 경우이고, 90 % 이상이 되는 것은 이소후물론류:γCD:물=1:7 내지 14:28 내지 56(단, γCD:물=1:4)의 경우이다.
(2) pH 4 수용액에서의 실험
pH 4의 γCD의 5 %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이 하기 표 3의 중량비가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3
이들 조성물은 대략 현저하게 백탁을 생성하여 슬러리화하였다.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각각 원심 분리하여(3000 g×10 분간) 상청 중의 이소후물론류를 측정함으로써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산출하였다. 이소후물론류의 γCD에 대한 중량비를 횡축으로,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을 종축으로 하여 실험 결과를 플로팅하면 도 4와 같았다.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도 4에 기재와 같이 70 %에 보조선을 삽입하면 I, J의 2개 교점이 생기고, 이 2개 교점에서의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의 중량비를 나타내면 하기 표 4와 같았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4
이상의 결과로부터,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이 되는 것은,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물=1:4 내지 19)의 경우이다. 실시예 2(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포접체의 형성은 γCD 농도가 높은 것이 유리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γCD가 5 % 이상에서 상기 비율로 포접체가 형성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 실시예 3]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안정성 시험
γCD 20 % 용액(pH 3.5)에 대하여 이소후물론류가 2.6 %가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고농도 슬러리를 얻을 수 있었다(이 경우, 이소후물론류:γCD:물=1:7.7:30.7). 고농도 슬러리를 원심 분리하여(3000 g×10 분간) 고형분을 회수하고, pH 3.5의 시트르산 완충액(1 mM)으로 상기 고형분을 세정한 후, 재차 원심 분리에 의해 얻어진 페이스트상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동결 건조에 적용하였다(샘플 A). 한편, 이소후물론류의 공급원인 이성화 홉 엑기스를 그대로 동결 건조에 적용하여 고형화하고, 분쇄한 것을 γCD 분말과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대조 샘플로 하였다(샘플 B). 동결 건조는 샘플을 동결하여 감압 조건하에서 서서히 가온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샘플 A 및 B를 기온 40 ℃, 습도 75 %의 비밀폐 상태에서 1 주간 보존한 결과, 샘플 A는 외관적으로는 백색을 유지하고, 그 밖의 관점에서도 전혀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5 좌측). 한편, 샘플 B는 외관적으로는 황색화되고, 관능적으로도 발효 대두(낫또)형 악취가 느껴지고, 분명히 원래 상태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도 5 우측). 또한, 두 샘플 중의 이소후물론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샘플 A에서는 거의 변화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샘플 B에서는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6).
또한, 샘플 A와 샘플 B의 외관상 차이를 조직학적으로 명백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샘플 B는 단시간에 흡습이 생겨 분말상으로부터 수지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관찰은 불가능하였다. 이 점에서도, 두 샘플은 구성 성분은 같지만 성질은 분명히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를 위해 γCD 분말과 비교하면, 거친 불규칙한 입자인 γCD에 대하여 샘플 A는 분명히 다른 미소한 기둥상 결정을 형성한 것이 확인되었다(도 7, 도 8 및 도 9).
이상의 결과로부터, 샘플 A는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분명히 다른 특성, 외관을 가지고 있었고, 소위 포접체를 형성한 것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 실시예 4]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구조 해석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3회 제조하고, 이소후물론류를 HPLC(닛본 분꼬사 제조)로써 측정하여 함량을 포함시킨 결과, 11.9 %, 12.2 %, 11.9 %가 되었다. 이소후물론류 1 분자와 γCD 2 분자가 포접체를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이론상 이소후물론류 함량은 12.2 %가 되고, 본 결과로부터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는 상기 분자비로 구성된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실시예 3의 방법을 기준으로 하고, γCD 2 몰에 대한 이소후물론류의 사용량을 0.25 몰 내지 1 몰까지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분말의 이소후물론류 함량을 HPLC(HPLC)로써 측정한 결과, 도 10과 같은 결과가 되고, 이소후물론류 1 몰에 대하여 γCD 2 몰을 사용한 경우에, 이소후물론류 및 γCD 모두 거의 100 % 포접체 형성에 관련된 것을 알았다. 이로부터도, 이소후물론류 포접체가 이소후물론류 1 분자와 γCD 2 분자로 구성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 실시예 5]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형성에서의 희석법과 직접법의 비교
(1) γCD 20 % 용액에서의 실험
γCD 20 % 용액(pH 3.5 또는 pH 4.5)에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의 혼합비가 하기 표 5(물에 대해서는 화살표의 좌측)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pH 3.5, 4.5, 5.5, 6.5가 되도록 산성수(1 mM 시트르산 완충액)를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물의 혼합비가 표 5의 화살표의 우측값이 되도록 조정하였다(희석법). 이 경우의 백탁화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을 희석법 백탁화율(A)라 하고, 최종 혼합비를 희석에 상관없이 직접 조정한 경우(직접법)의 비율을 직접법 백탁화율(B)라 하였다. 양자의 비율 차이가 크다는 것은 직접 최종 포접체 용액을 제조하는 것보다도, 일단 고농도의 포접체 용액을 제조한 후, 산성 조건하에서 희석하는 것이 유의하게 쓴맛을 감소시키는 포접체 용액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비율 차이에 대해서는, 50 % 이상=◎, 20 % 이상 50 % 미만=○, 20 % 미만=×라 평가하였다(표 5).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5
◎ 또는 ○의 평가 결과가 얻어지는 혼합비로부터,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272:20 내지 1088인 조성물을 제조하고, pH 6.5 미만에서 또한 이소후물론류:γCD 물=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이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제조하는 것에 유리하다고 결론되었다. 이 경우, (6.5-pH값)2×γCD 조성비>50이면서 X<6.5인 것을 만족시키는 pH(X)의 조건에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γCD 10 % 용액에서의 실험
γCD 10 % 용액(pH 3.5 또는 pH 4.5)에 이소후물론류, γCD 및 물의 혼합비가 하기 표 6(물에 대해서는 화살표의 좌측)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pH 3.5, 4.5, 5.5가 되도록 산성수(1 mM 시트르산 완충액)를 첨가하고, 최종적으로 물의 혼합비가 표 6의 화살표의 우측값이 되도록 조정하였다(희석법). 실시예 5(1)과 동일하게, 이 경우의 백탁화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을 희석법 백탁화율(A)라 하고, 최종 혼합비를 희석에 상관없이 직접 조정한 경우(직접법)의 비율을 직접법 백탁화율(B)라 하였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6
실시예 5(1) 및 실시예 5(2)의 결과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얻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백탁화 이소후물론류 비율이 70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3.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물=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비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 실시예 6]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쓴맛 경감 평가 시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쓴맛 경감도에 대하여 관능 평가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이성화 홉 엑기스를, 각 제품(pH 3.6 내지 4.3)에 대하여 이소후물론류가 50 ppm이 되도록 각각 첨가한 것을 샘플로 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방법은 미리 10, 20, 30, 40, 50, 60 ppm과 같이 단계적으로 농도를 설정한 이소후물론류 표준액을 준비하고, 샘플이 어느 표준액의 농도(쓴맛)에 상당하는 가를 6 내지 7명의 회사 내 패널리스트가 선정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에 분명한 쓴맛의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하기 표 7).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7
[ 실시예 7] 막 전위 변화에 의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쓴맛 경감 확인 시험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쓴맛 경감도에 대하여 막 전위 변화율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100 ppm의 이소후물론류 표준액에,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CD를 직접법 또는 희석법(실시예 5 참조)을 이용하여 첨가하여 샘플로 하고, 동등한 농도 및 pH의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을 대조로 하였다. 미각 인식 장치(가부시끼가이샤 인델리젼트 센서 제조, SA402B형, 사용 프로브: SB2C00)로 막 전위 변화를 측정하고, 대조의 막 전위 변화량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다(막 전위 변화율). 아울러, 동등한 농도 및 pH의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을 대조로 한 각 이소후물론류/γCD 조성물의 쓴맛 경감에 대하여 실시예 6과 동일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관능 평가에 있어서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샘플을 2배 희석하고, 또한 이소후물론류 표준액에는 CD 2.5 %의 쓴맛에 상당하는 글루코스 1 %를 첨가하였다.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8
그 결과, 막 전위 변화율과 쓴맛 경감 효과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8). 희석법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농도의 이소후물론류/γCD 조성물을 조정하면, 막 전위 변화율은 10.5 %까지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前)쓴맛에 상당하는 초기 전위(mV)와 후(後)쓴맛에 상당하는 일차 세정 후 전위(mV)에 있어서도, 희석법에 의해 얻어진 이소후물론류/γCD 조성물은 대조와 비교하여 크게 저하된 것이 확인되었다.(도 11).
[ 실시예 8]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보존 안정성 시험
(1) 동결 건조 분말품의 보존 안정성 시험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의 보존 안정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보존 안정성은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을 경시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은 HPLC(닛본 분꼬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분말은 이성화 홉 엑기스 분말에 비해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2).
(2) 분무 건조품의 장기 가속 보존 안정성 시험
실시예 3과 동일하게 γCD 20 % 용액(pH 4.0)에 대하여 이소후물론류가 2.6 %가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얻은 고농도 슬러리를 각종 온도 조건에서 분무 건조(스프레이 드라이) 처리하여 동결 건조 처리와 동일한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얻었다. 분무 건조의 온도 조건(급기 온도-배기 온도)는 (1) 150 ℃-80 ℃, (2) 180 ℃-80 ℃, (3) 150 ℃-70 ℃, (4) 150 ℃-60 ℃로 하였다. 얻어진 분말을 처리 A: 분무 건조 직후 밀폐, 처리 B: 25 ℃ 60 %(상대 습도)에서 1 주간 방치 후 밀폐의 2 가지 처리를 행하고, 분말의 수분 함량을 변화시켜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의 보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보존 안정성은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을 경시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은 HPLC(닛본 분꼬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분무 온도 조건이나 분말의 수분 함량에 상관없이 분무 건조 처리로 얻은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분말은, 동결 건조로 얻은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분말과 동일하게 장기 보존 후의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이 유지된 것이 확인되었다(도 13A 및 B).
다음에, γCD 20 % 용액의 pH를 3.5, 4.0, 4.5로 조정하고, 이소후물론류가 2.6 %가 되도록 이성화 홉 엑기스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얻은 고농도 슬러리를 분무 건조(스프레이 드라이) 처리하여 동결 건조 처리와 동일한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얻었다. 분무 건조의 온도 조건(급기 온도-배기 온도)는 150 ℃-60 ℃로 하였다. 얻어진 분말을 처리 A: 분무 건조 직후 밀폐, 처리 B: 25 ℃ 60 %(상대 습도)에서 1 주간 방치 후 밀폐의 2 가지 처리를 행하고, 분말의 수분 함량을 변화시켜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의 보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슬러리의 pH나 분말의 수분 함량에 상관없이 분무 건조 처리로 얻은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분말은, 동결 건조로 얻은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분말과 동일하게 장기 보존 후의 잔존 이소후물론류의 비율이 유지된 것이 확인되었다(도 14A 및 B).
(3) 타정품, 타정 코팅품의 장기 가속 보존 안정성 시험
실시예 8(2)에서 얻어진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이용하여 타정품을 제조하였다. 정제 설계는 이하와 같다.
(1) 형상: 8φ환형
(2) 1정 중량: 비코팅된 250 mg 정제, 코팅물 50 mg의 300 mg 정제
(3) 코팅제: 이스트랩을 오버코팅량으로서 약 20 % 사용
Figure 112008048911993-pct00009
상기 조성을 직접 타정한 샘플(직타품)과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를 수조립(水造粒)한 후에 타정한 샘플(수조립품)을 제조하였다. 포접체 분말에 락토스를 첨가함으로써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의 분산이 억제되어 핸들링이 용이해졌다. 직접품, 수조립품 모두 타정 적정은 매우 양호하고, 정제 중의 이소후물론함량을 측정한 결과 조립ㆍ타정 공정 중의 이소후물론의 감소는 볼 수 없었다. 또한 직접품, 수조립품 중의 분말화 이소후물론 포접체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장기 보존 후의 정제 중에서의 잔존 이소후물론의 비율이 유지된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5).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소후물론류의 보존 안정성은 포접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저히 높아진 것이 나타났다.
[ 실시예 9]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처방예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실시예 3)를 함유하는 연캡슐, 젤리 식품, 비스킷 및 탄산 음료를 하기 배합예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또한, 이하의 배합은 이소α산을 1 일 36 mg 섭취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로서 1 일에 324 mg 섭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연캡슐 (1정)
포접체 분말 81 mg(27 중량부)
홍화유 190 mg(63 중량부)
밀랍 29 mg(10 중량부)
(1 일에 4정 섭취하는 것으로 함)
젤리 식품(젤라틴)
포접체 분말 324 mg(0.5 중량부)
젤라틴 3 g(2.5 중량부)
물 97 g(80 중량부)
설탕 20 g(17 중량부)
젤리 식품(한천)
포접체 분말 324 mg(0.3 중량부)
한천 1 g(0.9 중량부)
물 99 g(90 중량부)
설탕 10 mg(10 중량부)
비스킷
포접체 분말 324 mg(0.4 중량부)
박력분 30 g(31.1 중량부)
옥수수 전분 9 g(9.3 중량부)
전란 15 g(15.6 중량부)
설탕 14 g(14.5 중량부)
버터 22 g(22.9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0.2 g(0.2 중량부)
물 5.8 g(6 중량부)
탄산 음료
포접체 분말 324 mg(0.3 중량부)
탄산수 100 g(99.7 중량부)
[ 실시예 10]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처방예 (2)
소정량의 탈지유 및 수크로스의 혼합액에 락토바실러스ㆍ파라카제이를 접종하고, 30 내지 33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2 내지 24 시간 발효시켰다. 이어서 발효액을 물로 희석하고, 이소후물론 포접체 분말(실시예 3)을 첨가하여 드링크 요구르트 타입의 유산균 음료를 얻었다(유산균 음료 1). 또한, 발효액을 물 및 오렌지 과즙으로 희석하고, 이소후물론 포접체 분말(실시예 3)을 첨가하여 쥬스 타입의 유산균 음료를 얻었다(유산균 음료 2). 이들 조성을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유산균 음료 1 유산균 음료 2
포접체 분말 324 mg 324 mg
탈지유 40 g 5 g
수크로스 14 g 14 g
물 45 g 45 g
과즙 0 g 35 g

Claims (44)

  1. 이소후물론류 1 분자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 2 분자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2.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조성물.
  4.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pH 3.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pH 3.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희석 후의 pH값 X가 (6.5-X)2×(γCD량/이소후물론량)>50(여기서, X≤4.5임)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용매가 물인 조성물.
  16.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상기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18.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상기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이소후물론류와 γ시클로덱스트린(γCD)과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상기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γCD에 포접화된 이소후물론류를 총 이소후물론량에 대하여 70 중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경우의 막 전위 변화가 이소후물론류 단독 용액의 막 전위 변화에 대하여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4.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5:20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6 내지 12.5:54 내지 112.5(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26.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0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33:20 내지 627(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19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27. (a) 이소후물론류와 γCD와 수성 용매를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20 내지 1088(단, γCD:수성 용매=1:4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공정, 및
    (b) 얻어진 조성물을 pH 4.5 이하에서 이소후물론류:γCD:수성 용매=1:5 내지 272:4000 내지 20000의 중량비가 되도록 수성 용매에 의해 희석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이소후물론류가 이소후물론, 이소코후물론 및 이소아드후물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희석 후의 pH값 X가 (6.5-X)2×(γCD량/이소후물론량)>50(여기서, X≤4.5임)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희석 후의 이소후물론류 및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농도가 20 내지 200 ppm인 제조 방법.
  30.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의 형태인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식품이 음료인 조성물.
  32.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
  33. 제32항에 있어서, 건조가 분무 건조법 또는 동결 건조법에 의해 행해지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
  35.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36.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를 수성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37.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슐.
  38. 제1항에 기재된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얻을 수 있는 이소후물론류 포접체의 건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87016515A 2005-12-08 2006-12-08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5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5268 2005-12-08
JP2005355268 2005-12-08
PCT/JP2006/324591 WO2007066773A1 (ja) 2005-12-08 2006-12-08 イソフムロン類包接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258A KR20080077258A (ko) 2008-08-21
KR101351228B1 true KR101351228B1 (ko) 2014-01-13

Family

ID=3812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515A KR101351228B1 (ko) 2005-12-08 2006-12-08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86142A1 (ko)
EP (1) EP1970366A4 (ko)
JP (1) JP5242165B2 (ko)
KR (1) KR101351228B1 (ko)
CN (1) CN101365671B (ko)
AU (1) AU2006323689B2 (ko)
WO (1) WO2007066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1309A (ja) * 2007-10-10 2009-04-30 Japan Organo Co Ltd バコパモニエラエキス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飲食品
JP2010209029A (ja) * 2009-03-12 2010-09-24 Nagase Iyakuhin Kk 呈味が改善された医薬組成物又は健康食品
JP5615609B2 (ja) * 2010-07-12 2014-10-29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シクロデキストリン包接体の製造方法
CN103327832B (zh) 2011-01-24 2016-08-10 富士胶片株式会社 经口用组合物
RU2630299C2 (ru) 2011-06-20 2017-09-06 Г.Дж. Хайнц Компани Брэндс ЛЛК Композиции, способ и наборы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мукозальной иммунной системы
WO2013192163A1 (en) 2012-06-18 2013-12-27 H.J. Heinz Company Gluten-related disorders
JP6199287B2 (ja) * 2012-06-20 2017-09-20 キリン株式会社 酸化処理に付したホップの水性媒体抽出物を含有する飲料
DE102012214608A1 (de) * 2012-08-16 2014-02-20 Henkel Ag & Co. Kgaa Wasserlösliche Verpackung mit Bittermittel II
JP5657721B2 (ja) * 2013-02-28 2015-01-21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ES2729641T3 (es) 2013-05-10 2019-11-05 Heinz Co Brands H J Llc Probióticos y métodos de uso
JP5714752B2 (ja) * 2014-08-08 2015-05-07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のコク及びキレを改善する方法
JP5719071B2 (ja) * 2014-09-19 2015-05-13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
KR101561406B1 (ko) * 2015-02-02 2015-10-16 환인제약 주식회사 두타스테라이드 함유 고체 분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945346B2 (ja) * 2015-03-19 2016-07-05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1801225B2 (en) 2018-02-16 2023-10-31 The New Zealand Institute For Plant And Food Research Limited Oral dosage forms comprising a hops extra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3854A (ko) * 1974-02-04 1975-09-29
JPS58146271A (ja) * 1982-02-26 1983-08-31 Toyo Jozo Co Ltd 酒類の加工法
JPS61238754A (ja) * 1985-04-12 1986-10-24 ホツプシユタビール・ホーフエンフエルアルバイ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イソフムロ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H06237750A (ja) * 1993-02-12 1994-08-30 Sapporo Breweries Ltd サイクロデキストリン含有ビ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188A (en) * 1972-01-10 1976-06-22 Miller Brewing Company Hop extract process and product
US5866162A (en) * 1993-08-10 1999-02-02 Smithkline Beecham P.L.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drug/β-cyclodextrin complex in combination with an acid-base couple
US20090087512A1 (en) * 2004-05-14 2009-04-02 Tripp Matthew L Encapsulated fractions isolated or derived from hops
WO2006065131A1 (en) * 2004-11-22 2006-06-22 Universiteit Leiden, Faculteit Van Wiskunde En Natuurwetenschappen Method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hop extracts and hop flavoured bever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3854A (ko) * 1974-02-04 1975-09-29
JPS58146271A (ja) * 1982-02-26 1983-08-31 Toyo Jozo Co Ltd 酒類の加工法
JPS61238754A (ja) * 1985-04-12 1986-10-24 ホツプシユタビール・ホーフエンフエルアルバイ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イソフムロ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H06237750A (ja) * 1993-02-12 1994-08-30 Sapporo Breweries Ltd サイクロデキストリン含有ビ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23689B2 (en) 2012-11-08
US20090186142A1 (en) 2009-07-23
KR20080077258A (ko) 2008-08-21
EP1970366A1 (en) 2008-09-17
AU2006323689A1 (en) 2007-06-14
EP1970366A4 (en) 2010-07-28
JP5242165B2 (ja) 2013-07-24
JPWO2007066773A1 (ja) 2009-05-21
WO2007066773A1 (ja) 2007-06-14
CN101365671B (zh) 2012-07-04
CN101365671A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228B1 (ko) 이소후물론류 포접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JP4397142B2 (ja) 活性酸素消去能低減抑制剤
JP2007176919A (ja) カルコン類化合物含有組成物
KR20130117052A (ko) 미나리 발효초 및 이를 이용한 음용식초
JP5492615B2 (ja) 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
JP4688795B2 (ja) バナバ抽出物の調製方法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10648B1 (ko)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WO2020090137A1 (ja) 容器詰飲料
JP2010173989A (ja) イソフムロン類包接体を含んでなるw/o/w型乳化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19559A (ko) 꽃을 이용한 천연 식품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JP5615609B2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包接体の製造方法
KR102604986B1 (ko) 태반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97975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어린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84232B1 (ko) 2조 겉보리로부터 제조된 몰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7463058B2 (ja) Ace阻害活性を有する組成物
JP2845349B2 (ja) 胚芽抽出エキスの製造法
JPS62138174A (ja) 脱水食品とその製造方法
KR102557702B1 (ko) 아로니아 식초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47238B1 (ko) 꽃송이 버섯 분말이 함유된 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051901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20170028636A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66325B1 (ko) 양조식초를 활용한 아로니아 음료 제조방법
JP2010154803A (ja) イソフムロン類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