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48B1 -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 Google Patents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48B1
KR101310648B1 KR1020130013501A KR20130013501A KR101310648B1 KR 101310648 B1 KR101310648 B1 KR 101310648B1 KR 1020130013501 A KR1020130013501 A KR 1020130013501A KR 20130013501 A KR20130013501 A KR 20130013501A KR 101310648 B1 KR101310648 B1 KR 10131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composition
weight
comparative example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휘경
Original Assignee
문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휘경 filed Critical 문휘경
Priority to KR102013001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Abstract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ADH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알코올 섭취시 나타나는 숙취현상인 손떨림, 가슴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애, 설사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에탄올을 최종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빠르게 분해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특히,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 또는 담금주는 음주 후 다음날 숙취가 거의 없으면서도 맛이 좋아 기능성 주류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Description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Composition comprising leaves of Peucedanum japonicum for relieving hangover or Fermented Liquor having leaves of Peucedanum japonicum}
본 발명은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흡수되기 전 소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위소장에서 빠르게 흡수되며, 혈액을 통하여 간두되다른 조직으로 운반된다. 채소나 기름진 음식을 알코올과 함께 섭취하면 알코올 흡수는 저하되며, 탄산음료 등과 함께 마시면 오히려 흡수가 촉진되며, 같은 양의 알코올을 마셔도 술 마실 때의 감정상태, 체중, 마시는 형태 등에 따라서 흡수속도가 다르다. 체중이 적은 사람은 체중이 큰 사람보다 체내 알코올 농도가 더 높고, 동일 체중이라도 지방질이 많은 사람은 근육질의 사람보다도 혈액 중 알코올 농도가 더 높으며, 여자는 남자보다 알코올의 영향이 크며 알코올의 섭취빈도가 많으면 내성은 증가된다.
알코올은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되며 간에서 분해되지 않은 알코올은 계속 혈액과 더불어 순환되며, 시간이 경과되어야 없어진다. 또한, 대사되지 못한 알코올은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전화되어 지방간, 급성간염, 간경화 등의 이른바 알코올성 질환으로 발전된다. 간에서의 알코올대사는 NAD+-linked enzyme, 즉 알코올 탈수소효과(ADH)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들 효소는 각각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CH3-CH=O)와 아세테이트(CH3COOH)를 생성한다. 아세테이트는 아세틸코엔자임 A로 전환되어 TCA 회로 또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을 합성하는데 그 원료로 쓰인다. 알코올은 대사과정에서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를 사용하는데, 젖산(lactate) 대사에서도 NAD+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호 경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사를 하는 정상적인 사람도 알코올을 섭취하면 식사 후 저혈당 증세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흡수된 알코올의 일부는 직접 혈액을 통하여 말초조직으로 운반되어 간으로부터 유입된 아세테이트와 함께 아세틸코엔자임 A로 변한 뒤 에너지 발생경로를 밟게 된다.
한편, 알코올에 의한 숙취증상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가슴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애, 설사 등이 생긴다. 두통은 뇌 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갈증과 탈수현상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인 바소프레신 분비를 알코올이 억제함으로써 생기는 알코올의 이뇨작용 때문이며, 체내 수분과 무기질 및 전해질이 소변을 통하여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소화기관 이상은 위에서의 염산 분비 증가 때문이며,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하여 각종 불쾌감 및 저혈당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한국특허등록 제1085951호에는 갈화, 갈근, 산사, 천궁, 인진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추출, 정제된 숙취해소용 천연식물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3857호에는 고수의 전초 또는 지상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372561호에는 두충, 홍삼, 결명자 등의 생약제 추추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379973호에는 갈화, 갈근, 청피 등 한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496524호에는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녹차 추출물,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은 갯기름·일본전호라고도 한다. 바닷가나 냇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단단하고 곧게 서며 높이는 60∼100㎝이다. 줄기 끝부분에 있는 털은 짧고 뿌리는 굵다. 잎은 회색 빛이 도는 녹색으로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2∼3회 갈라지는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대개 3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뽀얗고 잎자루는 밑에 잎집이 있으며 다소 줄기를 싼다. 윗부분의 잎은 퇴화하고 잎집이 자라지 않는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고 복산형꽃차례이며 줄기 끝에 약 20∼3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는 없고 작은 총포는 5∼10개로서 삼각형 또는 바소꼴이다. 화관은 작고, 꽃잎은 5개이며 안으로 굽는다. 수술이 5개이고 씨방은 1개로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잔털이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제주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갯기름나물의 뿌리는 식방풍이라고도 하며 생약으로 이용된다. 식방풍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매우며 부드럽고 조금 쓰다(辛甘微溫). 식방풍은 일체의 풍증을 제거하며 외감성 두통, 전신통, 인후통, 사지관절동통, 사지경련, 굴신불리, 경련발작,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옴, 버짐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해열작용, 항염증, 진경, 면역기능활성화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실험성위궤양, 항궤양,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갯기름나물과 이에 대한 ADH(Alcohol dehydrogenase)와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농주(農酒)·재주(滓酒)·회주(灰酒)라고도 한다.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각 지방의 관인(官認) 양조장에서만 생산되고 있는데, 예전에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한 것을 농주라 한다.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대표적인 막걸리로 이화주(梨花酒)가 있는데, 가장 소박하게 만드는 막걸리용 누룩은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 하여 그렇게 불렀으나, 후세에 와서는 아무때에나 만들게 되었고, 이화주란 이름도 점점 사라졌다. 중국에서 전래된 막걸리는 《조선양조사》에 “처음으로 대동강(大同江) 일대에서 빚기 시작해서, 국토의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어 민족의 고유주(固有酒)가 되었다”라고 씌어 있는데, 진위를 가리기는 어렵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찐 다음 수분을 건조시켜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옛날 일반 가정에서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그 위에 올려놓고 체에 부어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되는데 이것을 용수를 박아서 떠내면 맑은술[淸酒]이 된다. 이때 찹쌀을 원료로 한 것을 찹쌀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을 동동주라고 한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신맛·쓴맛·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있는 것으로서, 땀 흘리고 일한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어 농주로서 애용되어 왔다. 한편, 막걸리에 사용되는 누룩은 술을 만드는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밀, 쌀, 보리, 찹쌀 등의 곡류에 번식시킨 것이다. 누룩곰팡이는 빛깔에 따라 황국균(黃麴菌)·흑국균(黑麴菌)·홍국균(紅麴菌) 등이 있는데 막걸리나 약주에 쓰이는 것은 주로 황국균(대표적으로 Aspergillus oryzae)이다. 누룩이 처음에 만들어진 것은 중국 춘추전국시대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본다.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는 오진천황[應神天皇:재위 270~312] 때 백제에서 인번(仁番) 수수보리(須須保利)라는 사람이 와서 누룩을 써서 술을 빚은 신법(新法)을 가르치고 그는 일본의 주신(酒神)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미온지주(美旨酒), 요례(醴) 등의 말이 나오나 재료나 제법에 관해서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한편, 근래에는 막걸리나 소주, 담금주 등의 제조 시, 숙취를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발효하거나, 또는 막걸리나 소주, 담금주 등을 제조한 후 상기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후발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발효주들이 갖는 숙취를 저감시키는 지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에 효과를 보이는 천연물을 연구하던 중,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이 ADH와 ALDH의 활성을 촉진시켜 알코올 분해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다는 것과, 상기 갯기름나물 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가 숙취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549호에 홍삼을 이용한 홍삼주, 홍삼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홍삼주에 향료로서 식방풍(갯기름나물)이 함유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식방풍을 숙취 해소를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해방풍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1164083호에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와는 다른 조성물을 함유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85951호 (숙취해소용 천연식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11.02.22.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3857호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011.02.1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372561호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2003.02.15.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379973호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2003.04.16.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496524호 (숙취해소용 조성물, 2005.06.22.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549호 (홍삼을 이용한 홍삼주, 홍삼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2006.10.0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164083호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012.07.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 제조시, 갯기름나물 잎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 1~40 중량부가 추가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1공정) 갯기름나물 잎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에서 추출된 추출물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얻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이소부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시,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대추 외에, 지구자, 창이자, 작약, 감초, 울금, 복령, 진피, 홍삼, 녹용, 구기자, 갈근, 산수유, 맥아, 신곡, 건지황, 창출, 천궁, 사인, 곽향, 황기, 진피, 결명자 및 계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생약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시, 추출물을 여과하는 2공정은 한외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축법으로 농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3공정은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축법으로 농축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된 추출물을 건조할 때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조법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갯기름나물 잎 사용량의 1~10배(v/w)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0배(v/w)이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10시간일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갯기름나물 잎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또는 직접적으로,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온도는 20 내지 5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1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투여용량은 1일 1~3회, 1~30g씩, 바람직하게는 10~15g씩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음주 후 숙취가 있을 때 바로 복용하면 30~1시간 이내에 숙취해소 증상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숙취해소를 위한 요리, 식품 및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요리로는, 각종 요리, 예를 들어, 찌개, 탕, 국 등이 있으며,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요리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찌개, 탕, 국 등의 요리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의 추출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의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갯기름나물 잎의 추출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은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를 제공한다.
상기 발효주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일 수 있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는 찐 곡물 20~50 중량%, 물 50~80 중량%, 누룩균 0.001~5 중량%,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 효모 0.001~2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찐 곡물은 쌀 또는 소맥을 증기로 찐 곡물일 수 있다.
상기 누룩균은 흑국균(Aspergillus niger),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또는 Aspergillus sojae), 백국균(Aspergillus kawauchi), 흑국균(Aspergillus niger) 및 홍국균(Monascus purpureus)으로 이루어진 균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막걸리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22~27℃에서 5~20일간 발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는,
(1공정) 곡물을 수세하고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수분이 제거된 곡물을 찌는 단계;
(3공정) 상기 찐 곡물 20~50 중량%, 물 50~80 중량%, 누룩균 0.001~5 중량%,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 효모 0.001~2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및,
(4공정) 상기 3공정의 발효물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주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담금주일 수 있다.
상기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담금주는 30~45도(에탄올 농도 30~45%[v/v])의 희석식 소주 및 증류식 소주에서 선택되는 소주 70~95 중량% 및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숙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희석식 소주 또는 증류식 소주는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증류식 소주는 직접 제조가능하다. 상기 증류식 소주는 막걸리를 증류하여 생성된 증기를 액화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류식 소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담금주는, 30~45도의 증류식 소주 70~95 중량% 및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숙성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공정) 곡물을 수세하고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수분이 제거된 곡물을 찌는 단계;
(3공정) 상기 찐 곡물 20~60 중량%, 물 40~80 중량%, 누룩균 0.001~5 중량%, 효모 0.001~2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4공정) 상기 3공정의 발효물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
(5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거한 여액을 증류하여 생성된 증기를 액화시켜 증류식 소주를 얻는 단계; 및,
(6공정) 상기 증류식 소주 70~95 중량% 및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를 혼합하여 20~60일간 발효숙성하고 고형분을 제거한 후 여액만을 수거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1공정에서 사용되는 곡물은 쌀 또는 소맥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1공정에서 곡물을 찌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2~2시간 동안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3~1시간이 좋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사용되는 누룩균은 흑국균(Aspergillus niger),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또는 Aspergillus sojae), 백국균(Aspergillus kawauchi), 흑국균(Aspergillus niger) 및 홍국균(Monascus purpureus)으로 이루어진 균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의 발효는 22~27℃에서 5~20일간 발효할 수 있다.
한편, 막걸리 제조공정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사용되는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상기 갯기름나물 잎은 건조된 잎 또는 생잎 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숙취 억제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이 막걸리에 잘 혼합될 수 있도록, 분쇄기나 녹즙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잎 분쇄물, 생잎의 녹즙, 건조된 잎의 분쇄물, 생잎 추출물, 건조된 잎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당화 효소인 아밀라아제(amylase)를 전체 혼합물 중량의 0.001~1 중량%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엿기름을 전체 혼합물 중량의 0.01~1 중량%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발효가 완료된 생막걸리(효소 및 발효균주가 실활되지 않은 것)를 밑술로서 전체 혼합물 중량의 0.001~1 중량%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의 찐 곡물 중, 쌀을 이용하여 제조한 찐 곡물(찐 쌀밥)을 고두밥이라고도 하는데, 상기 고두밥은 아주 되게 지어 고들고들하게 지은 된밥을 말한다. 고두밥은 전통적으로 식혜나 술, 엿을 만들 때 발효에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많이 사용하였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의 누룩균 대신, 쌀 또는 소맥을 찐 후, 상기 찐쌀 또는 찐소맥의 0.001~1 중량%의 누룩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누룩을 막걸리 제조시 사용할 수 있다. 대신 상기 누룩 사용량만큼 찐곡물의 중량을 덜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감미료를 전체 조성물의 0.001~2 중량%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과당,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설탕, 포도당, 올리고당 및 사카린나트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 또는 담금주 제조시, 3공정에서 구연산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막걸리 제조시의 3공정 또는 담금주 제조시의 6공정에서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대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이 전체 혼합물의 1~2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상기 막걸리를 제조하는 방법이나 담금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각종 주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ADH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알코올 섭취시 나타나는 숙취현상인 손떨림, 가슴 두근거림, 두통, 갈증, 멀미, 위장애, 설사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에탄올을 최종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빠르게 분해시키므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각종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특히,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 또는 담금주는 음주 후 다음날 숙취가 거의 없으면서도 맛이 좋아 기능성 주류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식 소주를 이용한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담금주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갯기름나물 잎의 열수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갯기름나물 생잎 300g을 정제수 1.5ℓ에 넣고 100℃에서 4시간 가열 추출하고 한외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갯기름나물 잎의 100% 에탄올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갯기름나물 생잎 300g을 100% 에탄올 1.5ℓ에 넣고 70℃에서 4시간 가열 추출하고 한외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이 후, 상기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갯기름나물 잎의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100% 에탄올 대신 5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였으며, 추출 및 여과 후 얻은 여액은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갯기름나물 잎에 생약 추가된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갯기름나물 잎 외에 생약을 추가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11277219-pat00001
< 실시예 3. 갯기름나물 잎 함유 막걸리 제조>
백미 500g을 수세하고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한 뒤, 1시간 동안 찜솥을 이용하여 쪄 고두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두밥에서 500g을 취하고, 물 400g, 갯기름나물 생잎 100g, 황국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0.1g, 건조 효모 0.1g를 혼합하여 26℃에서 7일간 발효하였으며, 발효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였다.
< 실시예 4. 갯기름나물 잎 함유 담금주 제조>
실시예 4-1. 증류식 소주를 이용한 갯기름나물 잎 함유 담금주
백미 500g을 수세하고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한 뒤, 1시간 동안 찜솥을 이용하여 쪄 고두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두밥에서 500g을 취하고, 물 500g, 황국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0.1g, 건조 효모 0.1g를 혼합하여 26℃에서 7일간 발효하였으며, 발효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였다. 이 후, 상기 여액을 증류하여 생성된 증기를 액화시켜 증류식 소주를 얻었으며, 알코올 도수는 30도로 조절하였다. 이 후, 상기 증류식 소주 800g 및 갯기름나물 생잎 200g을 혼합하여 30일간 발효숙성하여 다시 고형분을 제거한 후 여액만을 수거하였다.
실시예 4-2. 희석식 소주를 이용한 갯기름나물 잎 함유 담금주
30도 담금주용 소주(에탄올 30%)를 구입하여 상기 소주 800g 및 갯기름나물 생잎 200g을 혼합하여 30일간 발효숙성하고 고형분을 제거한 후 여액만을 수거하였다.
< 비교예 1. 비교 대상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비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중량(g)
갯기름
나물 생뿌리
해방풍
생전초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대추
비교예 1-1 300 0 0 0 0 0 0 0 0
비교예 1-2 0 300 0 0 0 0 0 0 0
비교예 1-3 0 0 300 0 0 0 0 0 0
비교예 1-4 0 0 0 300 0 0 0 0 0
비교예 1-5 0 0 0 0 300 0 0 0 0
비교예 1-6 0 0 0 0 0 300 0 0 0
비교예 1-7 0 0 0 0 0 0 300 0 0
비교예 1-8 0 0 0 0 0 0 0 300 0
비교예 1-9 0 0 0 0 0 0 0 0 300
비교예 1-10 0 0 40 40 40 40 50 40 50
< 비교예 2. 비교 대상 막걸리 제조>
비교예 2-1. 갯기름나물 뿌리 함유 막걸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막걸리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 갯기름나물 뿌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2. 해방풍 전초 함유 막걸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막걸리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 해방풍 생전초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3. 일반 막걸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막걸리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 동일중량의 물을 첨가하였다.
< 비교예 3. 비교대상 담금주 제조>
비교예 3-1. 증류식 소주를 이용한 갯기름나물 뿌리 함유 담금주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금주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에 갯기름나물 생뿌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2. 증류식 소주를 이용한 해방풍 전초 함유 담금주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금주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에 해방풍 생전초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3. 희석식 소주를 이용한 갯기름나물 뿌리 함유 담금주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담금주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에 갯기름나물 생뿌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4. 희석식 소주를 이용한 해방풍 생전초 함유 담금주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담금주를 제조하되, 갯기름나물 생잎 대신에 해방풍 생전초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4. 비교대상 소주>
비교예 4-1. 일반 증류식 소주
실시예 4-1에서 갯기름나물 생잎을 담금하기 전에 사용된 증류식 소주를 갯기름나물 생잎이 함유된 담금주의 비교대상 주류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4-2. 희석식 소주
30도 담금주용 소주를 갯기름나물 생잎이 함유된 담금주의 비교대상 주류로 이용하였다.
< 실험예 1.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ADH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ADH 활성 측정 실험을 하였다.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석 kit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각각 증류수에 1㎎/㎖로 녹여 사용하였으며 처리군과 대조군(증류수)의 반응 생성물인 NADH 생성량을 자외선분광광도기(UV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의 활성은 in vitro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대조구에 대한 상대율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in vitro 결과 (1㎎/㎖)
ADH 활성(%)
실시예 1-1 197.6
실시예 1-2 198.7
실시예 1-3 194.5
실시예 2-1 224.9
실시예 2-2 237.6
실시예 2-3 219.7
실시예 2-4 204.4
실시예 2-5 218.6
실시예 2-6 204.7
실시예 2-7 217.9
실시예 2-8 206.7
실시예 2-9 215.8
실시예 2-10 204.0
실시예 2-11 215.7
실시예 2-12 206.8
실시예 2-13 219.5
실시예 2-14 206.6
비교예 1-1 145.7
비교예 1-2 147.9
비교예 1-3 126.8
비교예 1-4 109.6
비교예 1-5 108.7
비교예 1-6 117.8
비교예 1-7 106.5
비교예 1-8 108.6
비교예 1-9 107.7
비교예 1-10 110.8
대조군(증류수) 100.0
상기 표 3과 같이, 갯기름나물 생잎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갯기름나물 생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보다 ADH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들이 갯기름나물 뿌리와 해방풍이 함유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의 숙취해소용 조성물과도 ADH 활성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 측정>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 측정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쥐는 생후 6주령의 수컷 SD(Sprague-Dawley) 흰쥐이며, 1주일간 고형배합사료(삼양배합사료)와 물로 사육시켰으며, 동물사육의 환경은 온도 23±1℃, 습도 50±5%로 조정하였고, 12시간 명암주기를 유지하였다. 동물실험은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실시예 1) 투여군 및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각각 1.5g/㎏의 양으로 음용수에 녹여 실험 대상 쥐에 1㎖씩 경구투여하였다. 경구투여 30분 후, 40% 에탄올 수용액 1㎖를 경구투여하였으며, 40% 에탄올 수용액 투여 전과 투여 후, 1, 3 및 5시간에 쇄골하지정맥으로부터 0.2㎖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EnzyChrom Ethanol Assay Kit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알코올 농도(%)
1시간 3시간 5시간
실시예 1-1 0.046 0.027 0.002
실시예 1-2 0.046 0.026 0.001
실시예 1-3 0.043 0.029 0.002
실시예 2-1 0.041 0.021 0.001
실시예 2-2 0.045 0.019 0.002
실시예 2-3 0.034 0.018 0.002
실시예 2-4 0.037 0.015 0.001
실시예 2-5 0.045 0.016 0.002
실시예 2-6 0.036 0.017 0.002
실시예 2-7 0.037 0.014 0.001
실시예 2-8 0.048 0.019 0.002
실시예 2-9 0.044 0.015 0.001
실시예 2-10 0.038 0.016 0.001
실시예 2-11 0.045 0.017 0.001
실시예 2-12 0.036 0.017 0.002
실시예 2-13 0.047 0.014 0.001
실시예 2-14 0.035 0.015 0.001
비교예 1-1 0.078 0.047 0.033
비교예 1-2 0.065 0.052 0.025
비교예 1-3 0.126 0.103 0.039
비교예 1-4 0.137 0.104 0.030
비교예 1-5 0.128 0.114 0.037
비교예 1-6 0.135 0.116 0.038
비교예 1-7 0.136 0.123 0.039
비교예 1-8 0.124 0.114 0.036
비교예 1-9 0.125 0.106 0.037
비교예 1-10 0.133 0.127 0.038
대조군(증류수) 0.146 0.130 0.031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갯기름나물 생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보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 1시간 후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5%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들이 갯기름나물 뿌리와 해방풍이 함유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의 숙취해소용 조성물과도 혈중 알코올 농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 평가를 하였다. 20대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각 군당 10명씩 실험하였으며, 실험 대상자에게 시판 소주(알코올 20%) 300㎖를 섭취하게 하고 30분 후에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0.15g/㎏의 양으로 음용수에 녹이고 각각 20명씩 총 8그룹으로 나누어 75㎖씩 섭취하게 하였다. 숙취해소 효과는 7점 척도법으로 다음날 음주에 따라 나타나는 숙취현상인 두통 및 갈증의 정도에 따라 비교 평가를 하였다.
<평가기준>
두통 갈증
1 : 두통이 매우 심함 1 : 갈증이 매우 심함
3 : 두통이 약간 있음 3 : 갈증이 약간 있음
5 : 두통이 거의 없음 5 : 갈증이 거의 없음
7 : 두통이 없음 7 : 갈증이 없음
구분 두통 갈증
실시예 1-1 6.6 6.3
실시예 1-2 6.0 6.5
실시예 1-3 6.2 6.1
실시예 2-1 6.6 6.7
실시예 2-2 6.0 6.7
실시예 2-3 6.8 6.6
실시예 2-4 6.0 6.1
실시예 2-5 6.5 6.6
실시예 2-6 6.8 6.8
실시예 2-7 6.5 6.5
실시예 2-8 6.6 6.6
실시예 2-9 6.8 6.3
실시예 2-10 6.9 6.4
실시예 2-11 6.6 6.5
실시예 2-12 6.7 6.6
실시예 2-13 6.8 6.8
실시예 2-14 6.9 6.5
비교예 1-1 3.9 3.8
비교예 1-2 4.8 4.9
비교예 1-3 2.5 2.7
비교예 1-4 1.4 2.9
비교예 1-5 2.3 2.4
비교예 1-6 2.9 1.4
비교예 1-7 2.7 2.5
비교예 1-8 2.6 2.2
비교예 1-9 1.5 1.3
비교예 1-10 2.4 2.4
대조군(증류수) 1.2 1.1
상기 표 5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갯기름나물 생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보다 두통 및 갈증 해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숙취현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실험에서도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들이 갯기름나물 뿌리와 해방풍이 함유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의 숙취해소용 조성물과 숙취현상 해소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5.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의 숙취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3 및 4,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막걸리, 담금주 및 소주의 숙취 억제 효과 평가를 하였다. 20대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군별로 10명씩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각 실험 대상자에게 실시예 3 및 4,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막걸리, 담금주 및 소주 300㎖를 섭취하게 하였다. 숙취 억제 효과는 7점 척도법으로 다음날 음주에 따라 나타나는 숙취현상인 두통 및 갈증의 정도에 따라 비교 평가를 하였다.
<평가기준>
두통 갈증
1 : 두통이 매우 심함 1 : 갈증이 매우 심함
3 : 두통이 약간 있음 3 : 갈증이 약간 있음
5 : 두통이 거의 없음 5 : 갈증이 거의 없음
7 : 두통이 없음 7 : 갈증이 없음
구분 두통 갈증
실시예 3 6.7 6.0
실시예 4-1 6.6 6.7
실시예 4-2 6.9 6.6
비교예 2-1 3.5 4.6
비교예 2-2 4.3 3.4
비교예 2-3 1.6 1.3
비교예 3-1 3.3 4.5
비교예 3-2 4.2 3.4
비교예 3-3 3.3 3.3
비교예 3-4 4.4 3.6
비교예 4-1 1.4 1.1
비교예 4-2 1.1 1.2
상기 표 6과 같이, 실시예 3 및 4의 막걸리 또는 담금주는 갯기름나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 내지 4의 막걸리, 담금주 또는 소주보다 두통 및 갈증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갯기름나물 잎이 함유된 막걸리 또는 담금주는 숙취현상이 현저하게 저감된 발효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6.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렛트에 대한 급성경구투여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용해시켜 1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조성물을 투여한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모든 랫트에서 5,000㎎/㎏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LD50값)은 5,0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 제조예 1.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산제의 제조예 >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30㎎
유당 100㎎
탈크 10㎎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2.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정제의 제조예 >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3.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액제의 제조예 >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300㎎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4.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예 >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1000㎎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5.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1000㎎
구연산 100㎎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4)

  1. 갯기름나물 잎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갯기름나물 잎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 1~40 중량부가 추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삭제
  4. 갯기름나물 잎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갯기름나물 잎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작약, 감초, 박하, 감국, 생강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 1~40 중량부가 추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30~45도(에탄올 농도 30~45%[v/v])의 희석식 소주 및 증류식 소주에서 선택되는 소주 70~95 중량% 및 갯기름나물 잎 5~30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숙성한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담금주.
  14. 삭제
KR1020130013501A 2013-02-06 2013-02-06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KR10131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01A KR101310648B1 (ko) 2013-02-06 2013-02-06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01A KR101310648B1 (ko) 2013-02-06 2013-02-06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648B1 true KR101310648B1 (ko) 2013-09-24

Family

ID=4945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01A KR101310648B1 (ko) 2013-02-06 2013-02-06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6355A (zh) * 2014-05-06 2014-07-16 广州白云山星群(药业)股份有限公司 野菊花uplc指纹图谱的构建方法
CN104804964A (zh) * 2015-05-17 2015-07-29 黄利辉 用于制作活血化瘀、祛风除湿的保健酒的组合物及保健酒
KR20200045116A (ko) * 2018-10-22 2020-05-04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60A (ko) * 1999-02-20 2000-09-15 최수성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5056A (ko) * 2003-12-05 2005-06-10 김선재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진하는 생약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64083B1 (ko) * 2012-04-09 2012-07-16 문휘경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60A (ko) * 1999-02-20 2000-09-15 최수성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5056A (ko) * 2003-12-05 2005-06-10 김선재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진하는 생약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64083B1 (ko) * 2012-04-09 2012-07-16 문휘경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용호 외 3명, 대한본초학회지 (2004) 제19권 제3호 137-145페이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6355A (zh) * 2014-05-06 2014-07-16 广州白云山星群(药业)股份有限公司 野菊花uplc指纹图谱的构建方法
CN104804964A (zh) * 2015-05-17 2015-07-29 黄利辉 用于制作活血化瘀、祛风除湿的保健酒的组合物及保健酒
KR20200045116A (ko) * 2018-10-22 2020-05-04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 2018-10-22 2020-06-26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5671B (zh) 异葎草酮化合物包合物及含有该包合物的组合物
KR101164083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20123860A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0897147A (zh) 铁皮石斛解酒保肝组合物和制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310648B1 (ko) 갯기름나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발효주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976241B1 (ko) 알코올분해 및 숙취해소용 돌나물 분획물
JP2004073050A (ja) 発酵処理植物の製造方法及び乳酸発酵処理物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120070073A (ko) 동아를 이용한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6517B1 (ko)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EP1968401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50051627A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68891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424059B1 (ko) 갯기름나물 잎을 함유하는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101728593B1 (ko) 간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CN107581609A (zh) 一种大蒜多肽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