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388B1 -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388B1
KR101350388B1 KR1020120132977A KR20120132977A KR101350388B1 KR 101350388 B1 KR101350388 B1 KR 101350388B1 KR 1020120132977 A KR1020120132977 A KR 1020120132977A KR 20120132977 A KR20120132977 A KR 20120132977A KR 101350388 B1 KR101350388 B1 KR 10135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terminal
voltage
central n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근
황호용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388B1/ko
Priority to JP2013158654A priority patent/JP2014107543A/ja
Priority to US13/961,067 priority patent/US88665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입력단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 집적회로, 및 전원 입력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에 따라 형성된 중앙 노드에 전압이 인가되고 접지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는 제2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제1 및 제2 전압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 회로에 따르면, 집적회로를 적층 구조로 연결하여 패드의 개수를 줄이며 높은 전원전압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높은 전원전압을 인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전원전압으로 집적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having stack structure}
본 발명은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적회로를 적층 구조로 연결하여 패드의 개수를 줄이며 높은 전원전압으로 동작될 수 있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는 IC 칩 형태로 제조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집적회로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집적회로(10,20)는 메모리(Memory), 중앙처리장치(CPU) 등에 해당된다.
도 1과 같이, 집적회로(10,20)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하여 총 8개의 전원공급 패드(Power Supply Pad)와 8개의 접지 패드(Ground Pad)를 필요로 한다. 이렇게 구현된 집적회로는 많은 패드로 인하여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집적회로의 발전으로 낮은 전력소모가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집적회로의 동작 전원전압이 낮아지고 있으나, 낮은 전원전압으로 동작하는 집적회로를 설계하는 것은 설계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특허공개 제2009-009500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집적회로를 적층 구조로 연결하여 패드의 개수를 줄이며 높은 전원전압으로 동작될 수 있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 집적회로, 및 전원 입력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에 따라 형성된 중앙 노드에 전압이 인가되고 접지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는 제2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제1 및 제2 전압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작은 제1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1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PMOS 타입의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큰 제2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2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NMOS 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1 외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는 각각 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는 각각 턴 온 및 턴 오프되며,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2 외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는 각각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는 각각 턴 오프 및 턴 온되며,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는,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1 집적회로 및 상기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중앙 노드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큰 목표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3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과 동일한 제3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3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3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PMOS 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는, 상기 중앙 노드와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1 집적회로 및 상기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중앙 노드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작은 목표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4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과 동일한 제4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4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4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NMOS 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는,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중앙 노드와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에 따르면, 집적회로를 적층 구조로 연결하여 패드의 개수를 줄이며 높은 전원전압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높은 전원전압을 인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전원전압으로 집적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집적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에 레귤레이터가 부가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두 레귤레이터 중 어느 한 레귤레이터만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회로에 레귤레이터가 포함된 구성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두 제1 집적회로(110)와 제2 집적회로(120)는 적층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각 집적회로(110,120)는 4개의 전원 입력단과 4개의 접지단을 각각 갖고 있다.
제1 집적회로(110)는 전원 입력단(111)에 전원전압이 인가된다. 제2 집적회로(120)는 전원 입력단(121)이 제1 집적회로(110)의 접지단(1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에 따라 형성된 중앙 노드(A)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은 접지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은 제2 집적회로(120)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집적회로(110)와 제2 집적회로(120)가 전압적으로는 서로 연결되어 전원전압이 각각의 집적회로(110,120)에 배분되나, 실제로는 각 집적회로(110,120)에 별개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라 함은 회로도에서와 같이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원(GND) 사이에 대해 두 집적회로(110,120)가 적층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두 집적회로(110,120)가 물리적으로 상하로 적층 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실제 기판 상에 구현될 때에는 두 집적회로(110,120)가 도 2(또는 이하의 도 3)과 같이 동일 평면 상에 구현된다.
이러한 도 2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도 1에 비하여 전원공급 패드(Power Supply Pad) 및 접지 패드(Ground Pad)가 이론상 절반으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전원공급 패드 및 접지 패드가 각각 8개로 구성되는데 반해, 도 2에서는 전원공급 패드 및 접지 패드가 각각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 상기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에 인가된 전원전압은 상기 제1 집적회로(110) 및 제2 집적회로(120)에 각각 제1 전압 및 제2 전압으로 분배되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각 집적회로(10,20)의 전원공급 패드로 3V의 전원전압이 인가될 경우, 각 집적회로(10,20) 모두 3V 전압으로 동작한다. 이에 반해, 도 2의 경우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에 3V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3V가 1.5V씩 분배되어 각각의 집적회로(110,120)에 동일한 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집적회로(110,120)는 3V가 아닌 1.5V의 전원전압으로 동작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높은 전원전압이 인가되어도 각 집적회로(110,120)에 각각 절반씩 분배되어 공급되므로 각 집적회로(110,120)가 마치 낮은 전원전압으로 동작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전력 소모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상적인 경우에는 각 집적회로(110,120)에 각각 1.5V씩의 전압이 분배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여러 변수들에 의해 그 분배 전압이 일정하지 않고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도 2의 구성에 레귤레이터 회로를 부가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회로에 레귤레이터가 부가된 구성도이다. 앞서, 도 2는 집적회로의 동작 상황에 따라 항상 일정한 전원전압을 유지하기 곤란하지만, 도 3은 각각의 집적회로(110,120)에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160,170)를 결합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 내지 제3 커패시터(130,140,150)를 결합하여 리플이 제거된 안정적인 전압을 집적회로(110,120)에 각각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130)는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중앙 노드(A) 사이에 구비된다. 제2 커패시터(140)는 중앙 노드(A)와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3 커패시터(150)는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레귤레이터(160)는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중앙 노드(A) 사이에 연결된다. 제2 레귤레이터(170)는 중앙 노드(A)와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 사이에 연결된다. 각 레귤레이터(160,170)의 우측 단자에는 각각의 외부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2 레귤레이터(160,170)는 상기 분배된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제1 및 제2 집적회로(110,120)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160,170)는 중앙 노드(A)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인가된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도 3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러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귤레이터 블록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각 레귤레이터(160,170)는 비교기 역할을 하는 연산증폭기(161,171)와, 인버턱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162,172)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제1 레귤레이터(160)는 제1 연산증폭기(161)와 제1 트랜지스터(162)를 포함한다. 제1 연산증폭기(161)의 겨우, 반전 단자(-)에는 상기 전원전압(ex, 3V)의 절반(ex, 1.5V)보다 작은 제1 외부전압(ex, 1.4V)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중앙 노드(A)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162)는 PMOS 타입을 가지며, 게이트단이 제1 연산증폭기(16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중앙 노드(A)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레귤레이터(170)는 제2 연산증폭기(171)와 제2 트랜지스터(172)를 포함한다. 제2 연산증폭기(171)의 경우, 반전 단자(-)에는 전원전압(ex, 3V)의 절반(ex, 1.5V)보다 큰 제2 외부전압(ex, 1.6V)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중앙 노드(A)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172)는 NMOS 타입으로서, 게이트단이 제2 연산증폭기(17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중앙 노드(A)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내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원전압(VDD)은 3V, 제1 연산증폭기(161)에 입력되는 제1 외부전압은 1.4V, 제2 연산증폭기(171)에 입력되는 제2 외부전압은 1.6V로 가정한다.
각각의 연산증폭기(161,171)는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크면 High, 그렇지 않으면 Low 신호를 출력한다. 아래의 표 1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의 출력 값을 나타낸다.
제1 연산증폭기
(161)의 출력
제2 연산증폭기
(171)의 출력
중앙 노드(A) 전압
< 1.4V
Low Low
중앙 노드(A) 전압
= 1.5V
High Low
중앙 노드(A) 전압
> 1.6V
High High
또한, 제1 트랜지스터(162)는 PMOS 타입이므로, High 신호 입력시 턴 오프, Low 신호 입력시 턴 온된다. 제2 트랜지스터(172)는 NMOS 타입이므로, High 신호 입력시 턴 온, Low 신호 입력시 턴 오프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표 1의 각 경우 별로 나타내면 표2와 같다.
제1 트랜지스터
(162)의 출력
제2 트랜지스터
(172)의 출력
중앙 노드(A) 전압
< 1.4V
On Off
중앙 노드(A) 전압
= 1.5V
Off Off
중앙 노드(A) 전압
> 1.6V
Off On
이하에서는 표 1 및 표 2의 동작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만약, 현재 중앙 노드(A) 상에 걸리는 전압이 제1 외부전압(1.4V)보다 작은 경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161,171)는 각각 Low 신호를 출력하고(표 1 참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62,172)는 각각 턴 온 및 턴 오프된다(표 2 참조).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162)의 턴 온에 따르면,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제1 트랜지스터(162)의 드레인단(즉, 중앙 노드(A) 부분)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전원전압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만약, 현재 중앙 노드(A) 상에 걸리는 전압이 제2 외부전압(1.6V)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161,171)는 각각 High 신호를 출력하고(표 1 참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62,172)는 각각 턴 오프 및 턴 온된다.
여기서, 제2 트랜지스터(172)의 턴 온에 따르면,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과 제2 트랜지스터(172)의 드레인단(즉, 중앙 노드(A) 부분)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중앙 노드(A) 상에 과도하게 흐르던 전류가 접지전원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물론, 현재 중앙 노드(A) 상에 걸리는 전압이 1.5V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161,171)는 각각 High와 Low 신호를 출력하고(표 1 참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162,172)는 모두 턴 오프된다(표 2 참조). 즉, 이때에는 두 트랜지스터(171,162)가 동작하기 않게 때문에 이 집적회로는 현재의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전압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의 경우, 두 집적회로(110,120)에 동일한 전원전압이 절반으로 분배되어야 하는 경우에 대한 레귤레이터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두 집적회로(110,120) 중 어느 하나의 집적회로에 전압이 더 많이 분배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두 레귤레이터 중 어느 한 레귤레이터만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5는 제2 집적회로(120)가 제1 집적회로(110)보다 항상 많은 전류를 소모하도록 설계된 경우의 예로서, 만약 도 4와 같이 두 레귤레이터(160,170)가 없다면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은 항상 0.5 VDD보다 낮아지려는 경향을 가진다.
중앙 노드(A)의 전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서 도 4의 제1 레귤레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제3 레귤레이터(160a)만 있으면 된다. 즉, 제3 레귤레이터(160a)는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상기 중앙 노드(A)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3 레귤레이터(160a)는 VDD에서 분배되는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제1 집적회로(110) 및 제2 집적회로(120)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그 크기는 제1 전압보다 제2 전압이 크도록 제어한다. 제2 전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집적회로(120)에 공급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전원전압(VDD)의 절반(ex, 1.5V)보다 큰 목표 전압(ex, 1.6V)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3 레귤레이터(160a)는 제3 연산증폭기(161a) 및 제3 트랜지스터(162a)를 포함한다. 제3 연산증폭기(161a)의 경우,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ex, 1.6V)과 동일한 제3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중앙 노드(A)와 연결되어 있다.
제3 트랜지스터(162a)는 PMOS 타입으로서, 게이트단이 제3 연산증폭기(161a)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1 집적회로(110)의 전원 입력단(111)(VDD; 전원전압)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중앙 노드(A)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중앙 노드(A)의 전압이 목표전압 1.6V보다 작은 1.4V인 경우, 제3 연산증폭기(161a)는 Low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제3 트랜지스터(162a)는 턴 온된다. 제3 트랜지스터(162a)의 턴 온에 따라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는 앞서 상술한 원리로 증가하게 된다.
도 6은 제1 집적회로(110)가 제2 집적회로(120)보다 항상 많은 전류를 소모하도록 설계된 경우의 예로서, 만약 도 4와 같이 두 레귤레이터(160,170)가 없다면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은 항상 0.5 VDD보다 커지려는 경향을 가진다.
중앙 노드(A)의 전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앞서 도 4의 제2 레귤레이터와 동일한 구조의 제4 레귤레이터(170a)만 있으면 된다. 즉, 제4 레귤레이터(170a)는 상기 중앙 노드(A)와 상기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4 레귤레이터(170a)는 VDD에서 분배되는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제1 집적회로(110) 및 제2 집적회로(120)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그 크기는 제2 전압보다 제1 전압이 크도록 제어한다. 제1 전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집적회로(110)에 공급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전원전압(VDD)의 절반(ex, 1.5V)보다 작은 목표 전압(ex, 1.4V)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4 레귤레이터(170a)는 제4 연산증폭기(171a) 및 제4 트랜지스터(172a)를 포함한다. 제3 연산증폭기(161a)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ex, 1.4V)과 동일한 제4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중앙 노드(A)와 연결되어 있다.
제4 트랜지스터(172a)는 NMOS 타입으로서, 게이트단이 제4 연산증폭기(171a)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제2 집적회로(120)의 접지단(122)(GND; 접지전원)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중앙 노드(A)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중앙 노드(A)의 전압이 목표전압 1.4V보다 큰 1.6V인 경우, 제4 연산증폭기(171a)는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제4 트랜지스터(172a)는 턴 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172a)의 턴 온에 따라 중앙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는 앞서 상술한 원리로 감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집적회로(110,120)의 핀(단자) 수가 동일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및 제2 집적회로(110,120)의 핀 수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전원 입력단과 접지단은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서 해당되는 단자 사이를 연결하여 구현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3개의 집적회로(210,220,230)를 적층 구조로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도 7은 전체 집적회로가 3개의 전원공급 패드와 3개의 접지 패드로 구성된 예이다. 이상적인 경우 전원공급 패드에 3V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제1 노드(B) 및 제2 노드(C)의 연결에 따라 각 집적회로(210,220,230)에 1V씩 전원이 분배될 것이다.
도 8은 도 7의 회로에 레귤레이터가 포함된 구성도이다. 이러한 도 8은 전원전압(VDD)과 제1 노드(B) 사이, 제1 노드(B)와 접지전원(GND) 사이, 제1 노드(B)와 제2 노드(C) 사이, 제2 노드(C)와 접지전원(GND) 사이에 각각 레귤레이터가 부가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로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보다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 회로에 따르면, 집적회로를 적층 구조로 연결하여 패드의 개수를 줄이며 높은 전원전압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높은 전원전압을 인가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전원전압으로 집적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 집적회로 111: 전원 입력단
112: 접지단 120: 제2 집적회로
121: 전원 입력단 122: 접지단
130: 제1 커패시터 140: 제2 커패시터
150: 제3 커패시터 160: 제1 레귤레이터
161: 제1 연산증폭기 162: 제1 트랜지스터
170: 제2 레귤레이터 171: 제2 연산증폭기
172: 제2 트랜지스터

Claims (10)

  1. 전원 입력단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 집적회로; 및
    전원 입력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에 따라 형성된 중앙 노드에 전압이 인가되고, 접지단이 접지전원과 연결되는 제2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제1 및 제2 전압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인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귤레이터는,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 크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작은 제1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1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PMOS 타입의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큰 제2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2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NMOS 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1 외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는 각각 Low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는 각각 턴 온 및 턴 오프되며,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제2 외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는 각각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는 각각 턴 오프 및 턴 온되며,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단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 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1 집적회로 및 상기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중앙 노드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큰 목표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3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과 동일한 제3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3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3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PMOS 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노드와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이 상기 제1 집적회로 및 상기 제2 집적회로에 각각 일정한 크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중앙 노드가 상기 전원전압의 절반보다 작은 목표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4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레귤레이터는,
    반전 단자에는 상기 목표 전압과 동일한 제4 외부전압이 인가되고, 비반전 단자는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제4 연산증폭기; 및
    게이트단이 상기 제4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상기 중앙 노드와 연결된 NMOS 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10. 청구항 3, 청구항 8,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중앙 노드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중앙 노드와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집적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제2 집적회로의 접지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KR1020120132977A 2012-11-22 2012-11-22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KR10135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77A KR101350388B1 (ko) 2012-11-22 2012-11-22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JP2013158654A JP2014107543A (ja) 2012-11-22 2013-07-31 積層構造を有する集積回路
US13/961,067 US8866543B2 (en) 2012-11-22 2013-08-07 Integrated circuit having stack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77A KR101350388B1 (ko) 2012-11-22 2012-11-22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388B1 true KR101350388B1 (ko) 2014-01-15

Family

ID=5014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77A KR101350388B1 (ko) 2012-11-22 2012-11-22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66543B2 (ko)
JP (1) JP2014107543A (ko)
KR (1) KR101350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99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원 공급 집적회로 및 그 리셋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73A (ko) * 2007-07-23 200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업시 피크 전류를 줄이는 멀티칩 패키지
JP2010073951A (ja) 2008-09-19 2010-04-02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WO2012003169A1 (en) 2010-06-29 2012-01-05 Qualcomm Incorporated Stacked ic comprising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with embedded passive device (s)
KR20120045330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3864A (ja) * 1989-11-22 1991-07-15 Hitachi Ltd 階層電源型集積回路
JPH04302463A (ja) * 1991-03-29 1992-10-26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469351B2 (ja) * 1995-04-17 2003-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ンギング防止回路、デバイスアンダーテストボード、ピンエレクトロニクスカード及び半導体装置
JP3300593B2 (ja) * 1995-06-15 2002-07-0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390304B2 (ja) * 1998-05-26 2009-12-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702929B2 (en) * 2004-11-29 2010-04-20 Marvell World Trade Ltd. Low voltage logic operation using higher voltage supply levels
JP2008159736A (ja) * 2006-12-22 2008-07-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電源供給方法
JP5255248B2 (ja) * 2007-09-04 2013-08-0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電源安定化回路、電子デバイス、および、試験装置
KR20090095003A (ko) 2008-03-04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01635B1 (ko) * 2008-06-30 2010-12-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패키지, 이를 갖는 적층 반도체 패키지 및 적층반도체 패키지의 하나의 반도체 칩 선택 방법
JP5471172B2 (ja) * 2008-10-16 2014-04-16 富士電機株式会社 信号増幅回路
US7872341B1 (en) * 2009-03-03 2011-01-18 Amkor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KR101053534B1 (ko) * 2009-10-29 2011-08-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칩 선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73A (ko) * 2007-07-23 200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업시 피크 전류를 줄이는 멀티칩 패키지
JP2010073951A (ja) 2008-09-19 2010-04-02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WO2012003169A1 (en) 2010-06-29 2012-01-05 Qualcomm Incorporated Stacked ic comprising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with embedded passive device (s)
KR20120045330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99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원 공급 집적회로 및 그 리셋 제어 방법
KR102324585B1 (ko) * 2019-12-24 2021-11-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원 공급 집적회로 및 그 리셋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9271A1 (en) 2014-05-22
JP2014107543A (ja) 2014-06-09
US8866543B2 (en)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6392B (zh) 具有用於調整電壓的積體電路之處理器與系統
US8344791B2 (en) Charge pump circuits and methods
US975351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power losses in an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US98805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C-DC converter with boost/low dropout (LDO) mode control
TWI576851B (zh) 多重調節器電路及包含其之積體電路
EP2772821B1 (en) Low dropout regulator
JP2001284535A (ja) 半導体集積回路
CN103529886B (zh) 调压电路
US11171562B1 (en) Multi-sense point voltage regulator systems and power-regulated devices containing the same
US7881143B2 (en) Interface circuit
US9397566B2 (en) Master-slave digital voltage regulators
US9761284B1 (en) Current starved voltage comparator and selector
US20130328598A1 (en) Voltage control circuit
KR101350388B1 (ko) 적층 구조를 가지는 집적회로
US9696747B1 (en) Programmable reference voltage regulator
TWI684089B (zh) 電壓調整電路
US10581329B2 (en) Synchronous rectification type DC/DC converter
CN104967433A (zh) 高电压开关输出驱动器
TWI659287B (zh) 調節電路及其提供調節電壓至目標電路的方法
US8698550B2 (en) Dual output charge pump generating two voltage values with two distinctive levels, and method for the same
US10025333B2 (en) Mixed signal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low output impedance
KR101698741B1 (ko) 메모리칩,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US20240126317A1 (en) Low dropout regulator
CN107272794B (zh) 悬浮跟随稳压电源电路装置
TWI520136B (zh) 具有可變操作電壓之記憶體及其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