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993B1 -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993B1
KR101345993B1 KR1020087018421A KR20087018421A KR101345993B1 KR 101345993 B1 KR101345993 B1 KR 101345993B1 KR 1020087018421 A KR1020087018421 A KR 1020087018421A KR 20087018421 A KR20087018421 A KR 20087018421A KR 101345993 B1 KR101345993 B1 KR 10134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front unit
longitudinal carrier
attachment means
mo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847A (ko
Inventor
파스칼 졸리-포트투츠
라파엘 마리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쿤스트슈토페 아우토모빌쥐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쿤스트슈토페 아우토모빌쥐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쿤스트슈토페 아우토모빌쥐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0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5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with adjusting means to compensate manufacturing tolerances, e.g. between bumper and energy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유닛(106)을 위한 부착 수단(116, 118, 120)을 갖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 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유닛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은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X- 및 Y- 방향으로 제작된다.
자동차, 프론트 유닛, 길이 방향 빔

Description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MOTOR VEHICLE LONGITUDINAL CARRI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현행 기술에 의하면 다양한 프론트 유닛 및 프론트 유닛의 다양한 조립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EP 1 232 932 A1호는 자동차의 섀시(chassis) 및 휀더와의 연결을 위한 빔 부재를 갖는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용 빔이 개시되어 있다[EP 1 232 932 A1호의 도 1 및 2의 빔 부재(7) 및 (13) 참조]. 상기 빔 부재에는 헤드라이트 유닛의 수용 및 범퍼와의 연결을 위한 포착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EP 1 232 932 A1호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착 부재(43), 헤드라이트 유닛(21), 범퍼(19) 및 빔 부재에 포착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안내 부재(45) 참조].
EP 1 232 932 A1호로부터 공지된 현행 기술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프론트 유닛이 설치되는 자동차 바디(body)의 카커스의 치수 허용 범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조립시 피팅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범퍼 및 헤드라이트 유닛 사이, 헤드라이트 유닛과 프론트 플랩 사이, 및 범퍼와 프론트 플랩 사이의 조인트에 대한 조인트 패턴이 손상될 수 있다.
또다른 유사한 프론트 유닛이 FR 2 809 061호 및 DE 199 46 995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DE 600 00 006 T2호로부터는 캐리어 구조체 및 헤드라이트를 구비한 차량용 프론트 어셈블리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라이트는 전방 설치 위치 및 후방 설치 위치 사이에서 캐리어 구조체 상에서 구부러진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EP 1 036 730 A2호로부터는 충분한 허용 범위의 자동차-앞차의 부품 조립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호 영향을 주는 다수의 허용 범위가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자동차용 길이 방향 빔 및 개선된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을 제안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각각 독립항들의 특징으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에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X- 및 Y- 방향으로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혼합 나사 결합을 통해 자동차의 카커스에 프론트 유닛, 즉 소위 전단부 모듈의 최종적인 부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부착은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의 소위 충돌 관리 시스템(crash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충돌 관리 시스템은 범퍼 크로스빔 및 예컨대 다른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길이 방향 빔에 보편적인 구획판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자동차용 길이 방향 빔의 단순화 및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카커스에 범퍼 코트를 포함하여 완전한 자동차 프론트 부착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차량 방향으로의 부착이 가능하거나 또는 새로운 조립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범퍼 코트 상의 탈착 가능한 임팩트 보더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다른 장점은, 예컨대 긴 형상의 구멍과 같은 상응하는 큰 부착 구멍을 통하여 및/또는 적어도 가요성의 일부 영역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용 길이 방향 빔 및 위기 관리 시스템의 허용 범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및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의 한 실시 양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방향 캐리어의 한 실시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유닛의 플랜지가 장착되어 있는 도 2의 길이 방향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X-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자동차(100)의 코디네이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의 진행 방향은 X-방향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평 방향은 Y-방향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자동차(100)의 길이 방향 캐리어(102, 10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길이 방향 캐리어(102, 104)은 프론트 유닛(106)의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프론트 유닛(106)은 특히 범퍼 크로스빔(108)을 포함하는 소위 충돌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다. 범퍼 크로스빔의 양 단부에는 플랜지(110)가 배열되어 있다. 플랜지(110)는 길이 방향 캐리어(102, 104)에 프론트 유닛(106)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플랜지(110) 및 길이 방향 캐리어(102, 104)는 각각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프론트 유닛(106)의 부착을 허용하는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상응하는 허용공차 보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플랜지(110)는 또한 프론트 유닛(106) 및 길이 방향 캐리어(102, 104) 간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도 2는 길이 방향 캐리어(104)의 사시 상세도이다. 길이 방향 캐리어(104)는 상부가 용접 플레이트(114)로 폐쇄되는 C형 외피(112)를 구비한다. 외피(112) 및 플레이트(114)는 실질적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구멍(116)을 구비한다. 외피(112)는 또한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Y-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구멍(118)을 구비한다.
외피의 하면에도 또한 실질적으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구멍(12)이 마련되어 있다.
외피(112)의 내부에는 이하의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는 소위 변형 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116, 118 및 120)은 프론트 유닛(106)의 부착을 위한 나사 연결의 형성을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부착 구멍(116, 118 및 120)의 직경은 X, Y 및/또는 Z 방향으로의 허용오차 보상이 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1 이상의 부착 구멍(116, 118 및 120)은 긴 형상의 구멍 즉 슬롯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길이 방향 빔(104)에 나사로 고정된 플랜지(110)를 도시한다. 플랜지(110)는 부착 구멍(116, 118 및/또는 120)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나사(122, 124, 126)에 의하여 길이 방향 빔(104)에 고정된다. 플랜지(110)는 가요성 스트립(128)을 구비하며, 이를 이용하여 범퍼 크로스빔(108)에 고정된다(도 1 참조). 예컨대 플랜지(110)는 범퍼 크로스빔(108)에 용-접된다.
도 3은 또한 프론트 유닛(106)의 임팩트 보더(130)를 도시한다.
특히 전면 충돌시에 충격 파워의 흡수를 위하여 사용되는 변형 부재(132)가 플랜지(110)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X-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는 X-방향으로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4는 특히 나사(122, 124)와 상응하는 너트(134 및 136)로 형성된 나사 연결을 도시한다. 너트(134 및 136)는 특히 용접 너트일 수 있다.
플랜지(110)는 수용 구멍을 구비하며, 변형 부재(132)는 상기 수용 구멍을 통하여, 외피(112)로 형성된 수용 영역으로 돌출된다. 변형 부재(132)는 충돌시에 망원경형으로 압축될 수 있다.
도면 부호 목록
100 자동차
102 길이 방향 캐리어
104 길이 방향 캐리어
106 프론트 유닛
108 범퍼 크로스빔
110 플랜지
112 외피
114 플레이트
116 부착 구멍
118 부착 구멍
120 부착 구멍
122 나사
124 나사
126 나사
128 부착 스트립
130 임팩트 보더
132 변형 부재
134 너트
136 너트

Claims (11)

  1. 하나의 프론트 유닛(106)을 위한 제1부착수단(120) 및 제2부착수단(116, 118)을 갖으며, 상기 프론트 유닛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제1부착수단은 자동차의 X-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착수단은 Y-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C형 외피(112) 및 상기 외피의 개방부를 덮는 플레이트(114)를 구비하며, 상기 외피 및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부착 구멍(116, 118, 120)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수단은 X-방향으로 연장된 부착 구멍(120)을 구비하며, 제2부착수단은 Y-방향으로 연장된 부착 구멍(116, 118, 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들은 허용오차 보상을 위한 슬롯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들은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들은 상기 프론트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연결(122, 134; 124, 136; 126)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7018421A 2006-01-26 2007-01-22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KR101345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6001307U DE202006001307U1 (de) 2006-01-26 2006-01-26 Kraftfahrzeuglängsträger und Kraftfahrzeugfronteinheit
DE202006001307.5 2006-01-26
PCT/EP2007/050607 WO2007085582A1 (de) 2006-01-26 2007-01-22 Kraftfahrzeuglängsträger und kraftfahrzeugfront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47A KR20090004847A (ko) 2009-01-12
KR101345993B1 true KR101345993B1 (ko) 2013-12-31

Family

ID=3657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421A KR101345993B1 (ko) 2006-01-26 2007-01-22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81749B1 (ko)
KR (1) KR101345993B1 (ko)
CN (1) CN101370703B (ko)
AT (1) ATE530422T1 (ko)
DE (1) DE202006001307U1 (ko)
ES (1) ES2376263T3 (ko)
PT (1) PT1981749E (ko)
WO (1) WO2007085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8360B4 (de) * 2006-04-19 2008-01-31 Faurecia Kunststoffe Automobilsysteme Gmbh Kraftfahrzeug-Fronteinheit mit einem Bau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Träger
DE102006047800B4 (de) 2006-10-06 2009-01-02 Faurecia Kunststoffe Automobilsysteme Gmbh Träger für die Fronteinheit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8037244A1 (de) 2008-08-09 2010-02-11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Stoßfän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60714A1 (de) 2008-12-05 2009-08-27 Daimler Ag Verfahren zur Monatage eines Längsendmoduls an einem Karosserierahmen
DE102009001038A1 (de) 2009-02-20 2010-09-02 Faurecia Kunststoffe Automobilsysteme Gmbh Kraftfahrzeugfronteinheit
DE102010045886A1 (de) * 2010-09-17 2012-03-22 Audi Ag Tragstruktur für eine Karosserie eines Fahrzeugs
FR2980441B1 (fr) * 2011-09-27 2015-05-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deformable de feu et de pare-choc pour rattrapage de jeu et montage isostatique.
DE202018001288U1 (de) 2018-03-12 2018-04-13 Kristina Kapp Tragbares Fernsprechend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119B1 (en) * 1999-10-26 2002-07-09 Daimlerchrysler Vehicle front end construction through the use of hydroformed tubes
DE10317226A1 (de) * 2003-04-15 2004-11-11 Dr.Ing.H.C. F. Porsche Ag Pralldämpfer für einen Aufbau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1934C1 (de) * 1996-03-27 1997-04-17 Ymos Ag Ind Produkte Frontmodul für Kraftfahrzeuge
JPH10264855A (ja) * 1997-03-26 1998-10-06 Aisin Seiki Co Ltd 車両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構造
FR2783797B1 (fr) 1998-09-30 2000-12-29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Vehicule automobile, bloc avant pour ce vehicule et procede de montage de ce vehicule
IT1307007B1 (it) 1999-01-26 2001-10-11 Magneti Marelli Climat Srl Gruppo frontale preassemblato per veicoli.
DE19912181B4 (de) 1999-03-18 2008-03-06 Volkswagen Ag Verfahren zur toleranzgenauen Montage von Bestandteilen eines Kraftfahrzeug-Vorderwagens sowie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R2804649B1 (fr) * 2000-02-07 2002-05-10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Face ava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9061B1 (fr) 2000-05-16 2002-12-06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Bloc o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face avant et bloc avant correspondants
FR2816273B1 (fr) * 2000-11-06 2003-02-28 Valeo Thermique Moteur Sa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outre pare-chocs
FR2820706B1 (fr) 2001-02-15 2003-05-16 Faurecia Ind Ensemble de bloc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ameliore de fixation des composants, et vehicule equipe d'un tel ensemble
JP4762444B2 (ja) * 2001-06-15 2011-08-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2003252242A (ja) * 2002-02-26 2003-09-10 Denso Corp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KR100527119B1 (ko) * 2003-04-15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펜더에이프론의 프론트엔드모듈 결합부 강성증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119B1 (en) * 1999-10-26 2002-07-09 Daimlerchrysler Vehicle front end construction through the use of hydroformed tubes
DE10317226A1 (de) * 2003-04-15 2004-11-11 Dr.Ing.H.C. F. Porsche Ag Pralldämpfer für einen Aufbau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30422T1 (de) 2011-11-15
ES2376263T3 (es) 2012-03-12
WO2007085582A1 (de) 2007-08-02
EP1981749B1 (de) 2011-10-26
CN101370703B (zh) 2013-12-18
DE202006001307U1 (de) 2006-05-18
EP1981749A1 (de) 2008-10-22
PT1981749E (pt) 2012-02-03
KR20090004847A (ko) 2009-01-12
CN101370703A (zh)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993B1 (ko) 자동차용 길이 방향 캐리어
US10870403B2 (en) Bumper cross memb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modular system,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bumper cross member system
JP5176460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107010114B (zh) 包括用于小偏置刚性壁障试验的支架的车辆车架
US5456494A (en) Securing arrangement for absorbing knee-impact forces
JP2007223535A (ja) 車両用センサモジュール
CN210000408U (zh) 用于电动汽车的前机舱总成、车身总成及电动汽车
CN105416405A (zh) 一种汽车仪表板横梁总成及其安装方法
CN111806570A (zh) 车身的前部结构
CN110316136B (zh) 车辆的膝部安全气囊装置的安装结构
JP3848563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CN210793358U (zh) 设有双安全气囊安装固定机构的铝合金汽车仪表板横梁总成
CN111791819A (zh) 一件式载荷分配装置
JPH03284481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車体組立方法
CN215513880U (zh) 一种汽车前端模块安装结构
JP5167749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CN114348118A (zh) 模块化车身及模块化车身制造方法
JP2003205820A (ja) 車両のエアバッグセンサ取付構造
CN201573610U (zh) 一种汽车后部保险杠装配结构
CN216332307U (zh) 一种下车身以及车身
CN217804565U (zh) 一种车载雷达后装支架
CN215043152U (zh) 一种汽车门槛前端结构和汽车
CN201597545U (zh) 一种卡车前下防护装置及具有该装置的卡车
KR100932610B1 (ko) 자동차 범퍼와 서포트 브래킷 간의 가 조립을 위한 장착구조
CN213948371U (zh) 一种便于安装的汽车后保险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