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972B1 - 농작업차 - Google Patents
농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0972B1 KR101330972B1 KR1020097010219A KR20097010219A KR101330972B1 KR 101330972 B1 KR101330972 B1 KR 101330972B1 KR 1020097010219 A KR1020097010219 A KR 1020097010219A KR 20097010219 A KR20097010219 A KR 20097010219A KR 101330972 B1 KR101330972 B1 KR 101330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discharge
- actuator
- lever
- direction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서 행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으로 행하는 수동 조작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원격 조작 수단(91)을 액추에이터(92)와 접속하여, 상기 원격 조작 수단(91)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92)를 구동시키고, 벨트 텐션식 클러치(36)의 온오프를 행하는 농작업차(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35)에 수동 조작 수단(101)을 연계 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계 기구의 중도부에 상기 액추에이터(92)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92)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36)의 온오프를 가능하게 했다.
벨트 텐션식 클러치, 액추에이터, 원격 조작 수단, 수동 조작 수단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온오프 조작 및 조향 조작을 가능하게 한 벨트 텐션식 클러치를 구비한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 조작 수단을 액추에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서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콤바인이나 트랙터 등의 농작업차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4-211903호 공보
원격 조작 수단만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없었다. 특히, 벨트 텐션식 클러치가 엔진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로의 동력을 단접하는 배출 클러치인 경우, 그레인 탱크를 기체 외측으로 측방 회동시키지 않으면, 고장에 대응할 수 없고,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과 같이,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문제는 해소할 수 있지만, 2개의 조작 수단을 클러치에 연계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또한 그 설치 부분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원격 조작이기 때문에, 원격 조작시의 조작 감각과 곡물 낟알 배출 장치의 실제 움직임의 관계를 놓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콤바인의 곡류 배출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확 저장한 곡물 낟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의 구동용 클러치의 온오프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하는 원격 조작 수단을 갖는 농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 연계 기구를 통하여 수동 조작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계 기구의 중도부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를 온오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연계 기구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와 그 부착대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가동하게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연결 수단을 통하여 상기 클러치와 연결하고, 상기 부착대를 스프링 부재를 통하여 수동 조작 수단과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상기 클러치의 상방에 배열 설치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 쪽에 상기 액추에이터 및 그 부착대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운전 조작부에 서로 근접하여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를 엔진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로의 동력을 단접하는 배출 클러치로 하고, 상기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운전석의 측방에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확 저장한 곡물 낟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의 구동용 클러치의 온오프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하는 원격 조작 수단을 갖는 농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이 횡파이프 및 종파이프로 구성되고, 조향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우 선회 가능한 것이고, 상기 조향용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부재의 기초부에 조작 방향 표시부를 배치하고, 상기 횡파이프에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에 대응시킨 방향 표시부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방향 표시부에는 좌우의 선회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문자를 명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방향 표시부에는 좌우의 선회 조작 방향을 다른 색채 또는 농담으로 착색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 및 상기 방향 표시부를 좌우의 선회 방향을 다른 색채 또는 농담으로 착색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개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개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격 조작 수단 또는 수동 조작 수단의 어느 조작 수단에서도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을 경우에도,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 자체나 부착대를 연동시켜서,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 조작 수단을 각각 클러치에 연계시키는 기구를, 간단하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체에의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 수단 및 스프링 부재가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 조작 수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하는 부품이 되고, 부품 점수를 적게 하여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동 조작 수단을 이용할 경우의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가 상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에 의한 벨트 텐션식 클러치를 구비한 텐션 벨트의 긴장 상태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격 조작 수단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수동 조작 수단을 오퍼레이터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재빠르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 그레인 탱크를 기체 외측으로 측방 회동시켜서 고장 개소를 수리하지 않아도, 수동 조작 수단으로 즉각 대응하여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콤바인 조종자와 기외의 보조 작업자의 방향 인식이 일치함으로써, 배출 오거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기외의 작업 보조자와의 조작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횡파이프가 조작하는 사람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있어도 횡파이프의 방향 표시와 회동 조작 부재 기초부의 조작 방향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조작이 알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콤바인 조종자와 기외의 작업 보조자가 색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배출 오거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기외의 보조 작업자와의 조작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콤바인 조종자와 기외의 보조 작업자가 바로 방향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어, 기외의 작업 보조자와의 조작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 및 청구항 2의 효과와 동일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동력 전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출 클러치와 그 조작 수단을 연계하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오프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평면도이 다.
도 6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온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오프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온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화장 덮개로 오프 상태로 유지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콤바인의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a 내지 1d의 조작 방향 표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a)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좌측면도 (b)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a 내지 3d의 방향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4a 내지 4d의 방향 표시부를 설치한 배출부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a) 실시예 5를 도시한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좌측면도 (b) 실시예 5를 도시한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a) 실시예 6을 도시한 배출 오거의 배출구 정면도 (b)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배출 오거의 리모콘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6a 내지 6d의 방향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콤바인 12 : 운전석
15 : 운전 조작부 20 : 엔진
30 : 곡물 낟알 배출 장치 36 : 배출 클러치
97 : 연결 로드 91 : 배출 클러치 스위치(원격 조작 수단)
92 : 모터(액추에이터) 93 : 부착대
95 : 스프링 부재 101 : 배출 클러치 레버(수동 조작 수단)
다음에,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동력 전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배출 클러치와 그 조작 수단을 연계하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오프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온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오프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배출 클러치 레버를 온 상태로 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화장 덮개로 오프 상태로 유지한 경우의 레버 설치부의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콤바인이나 트랙터 등의 농작업차를, 본 실시예에서는 콤바인(1)으로 하여 그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은 기체 프레임(2)을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3·3)로 지지하고, 양 크롤러식 주행 장치(3·3)를 기체 프레임(2) 상에 탑재한 엔진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부에는 벼를 수확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4)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2)의 좌측부 상에는 예취부(4)로부터의 예취벼를 탈곡하는 탈곡부(5)와, 상기 탈곡부(5)에서 탈곡된 곡물 낟알을 선별하는 선별부(6)과가 상하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탈곡부(5)의 후방에는, 탈곡부(5)에서 탈곡된 벼를 배출 지푸라기로서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 지푸라기 처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후부 상에는 선별부(6)로부터 양곡통에서 반송되는 곡물 낟알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8)가 설치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8)의 후방에서 상방에 걸쳐서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물 낟알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8)의 전방에서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부 상에는 스티어링 핸들(11)이나 후술하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조작 레버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나, 운전석(12)을 구비하는 운전 조작부(15)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조작부(15)의 하방에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콤바인(1)의 동력 전달 구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콤바인(1)의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동력은 엔진(20)으로부터 각 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의 출력축(21)에 트랜스미션(22)의 입력축(23)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엔진(20)의 동력의 일부가 트랜스미션(22)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변속된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이 트랜스미션(22)에서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3·3)에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랜스미션(22)은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주행용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5)와, 동일하게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선회용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랜스미션(22)에서는, 주행용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5)의 유압 펌프의 입력축이 상기 입력축(23)이 되고, 먼저 이것에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고, 다음에 이 유압 펌프의 펌프축으로부터 선회용 무단 변속 장치(26)의 유압 펌프의 펌프축에 풀리 및 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 조작부에 설치된 주변속 레버(121)나 스티어링 핸들(11)의 조작에 따라, 각 무단 변속 장치(25·26)의 유압 펌프에 있어서의 회전 경사판의 경사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각각의 유압 모터로의 압유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이 변경되고, 각 유압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가 조정되며, 이것에 의해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이 변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변속된 동력이 좌우의 크롤러식 조향 장치(3·3)에 전달되고, 각 크롤러식 주행 장치(3·3)가 임의의 구동 속도 및 구동 방향에서 구동됨으로서, 기체의 전진 또는 후진 주행, 또 한 선회가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엔진(20)의 출력축(21)에는 그레인 탱크(8) 및 배출 오거(9)에 구비한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의 배출 입력축(31)이 풀리 및 벨트, 또한 배출 클러치(36)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엔진(20)의 동력의 일부가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엔진(20)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로의 동력은 배출 클러치(36)에 의해 단접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가 구동 또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는, 그레인 탱크(8)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하부 컨베이어(32)와 배출 오거(9)의 종 오거통 내에 설치된 종 컨베이어(33), 횡 오거통 내에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은 배출 입력축(31)을 통하여 하부 컨베이어(32), 종 컨베이어(33), 배출 컨베이어(34)의 순서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컨베이어(32·33·34)가 구동됨으로써,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물 낟알이 반송되어 배출 오거(9)를 경유하여 기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20)의 출력축(21)에는 선별부(6)에 구비한 풍구팬(41)의 풍구축(42)이 풀리 및 벨트, 또한 탈곡 클러치(43)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엔진(20)의 동력의 일부가 예취부, 탈곡부(5), 선별부(6), 배출 지푸라기 처리부(7)에 구비한 각종 장치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엔진(20)으로부터 각 장치로의 동력은 탈곡 클러치(43)에 의해 단접 가능하게 되어, 상기 탈곡 클러치(43)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각 장치가 구동 또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풍구축(42)에는 선별부(6)에 구비한 첫번째 컨베이어(45), 두번째 컨베이어(46), 흡인팬(47) 등의 장치의 각 입력축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엔진(20)으로부터 전달된 풍구축(42)으로부터의 동력이 첫번째 컨베이어(45), 두번째 컨베이어(46)에 전달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또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흡인팬(47)이나 배출 지푸라기 처리부(7)에 구비한 배출 지푸라기 절단 장치(48) 등에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풍구축(42)에는 또 탈곡부(5)의 탈곡 입력축(51)이 풀리 및 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풍구축(42)으로부터의 동력이 탈곡 입력축(51)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탈곡 입력축(51)에는 취급통(52)을 축지지하는 취급통축(53)이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또한 상기 취급통축(53)에 배출 지푸라기 처리부(7)의 배출 지푸라기 구동축(54)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탈곡 입력축(51)으로부터의 동력이 취급통축(53)을 통하여 취급통(52)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배출 지푸라기 구동축(54)을 통하여 배출 지푸라기 체인(55)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입력축(51)에는 선별부(6)의 요동 구동축(49)과, 예취부(4)의 예취 출력축(61)이 예취 변속 기구(62)를 통하여 연동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요동 구동축(49)에는 피드 체인(57)의 구동 스프로킷의 스프로킷축(58)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탈곡 입력축(51)으로부터의 동력의 일부가 요동 구동축(49)을 통하여 피드 체인(57)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요동 구동축(49)에는 요동 선별반 전단측이 연결되고, 상기 요동 구동축(49)의 구동에 의해 요동 선별반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되어, 취급통(52)에서 탈립된 곡물 낟알을 비중 선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예취 출력축(61)에는, 예취부(4)의 예취 입력 1축(71)이 풀리 및 벨트, 또한 예취 클러치(70)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탈곡 입력축(51)으로부터의 동력의 일부가 예취 출력축(61)을 통하여 예취 입력 1축(71)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취 입력 1축(71)에는 종반송 지점축(74)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상기 종반송 지점축(74)에 벼반송용의 종반송 장치(75)와 상부 반송 장치(76)의 입력축(77)이 연동 연결되어, 예취 입력 1축(71)으로부터의 동력이 종반송 지점축(74)을 통하여 종반송 장치(75)와 상부 반송 장치(76)에 각각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반송 지점축(74)에는 또 횡 전동용의 예취 입력 2축(72)이 연동 연결되고, 상기 예취 입력 2축(72)에 횡 전동용의 예취 입력 3축(73)이 연동 연결되어, 예취 입력 1축(71)으로부터의 동력이 예취 입력 2축(72)을 통하여 예취 입력 3축(73)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취 입력 3축(73)에는 예취날 장치(78)와 좌우 일측의 세움 장치(79)의 각 입력축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예취 입력 3축(73)으로부터의 동력이 예취날 장치(78)와 세움 장치(79)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입력 2축(72)에는 좌우 타측의 세움 장치(79)의 입력축이 연동 기구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고, 예취 입력 2축(72)으로부터의 동력이 세움 장치(79) 에 전달 가능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취부(4)의 종반송 장치(75), 상부 반송 장치(76), 예취날 장치(78), 세움 장치(79) 등으로의 동력은 예취 클러치(70)에 의해 단접 가능하게 되고, 상기 예취 클러치(70)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각 장치가 구동 또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배출 클러치(36)를 벨트 텐션식 클러치로 하여,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출 클러치(36)는 운전 조작부(15)의 후측 하방에서 그레인 탱크(8)의 기체내측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의 출력축(21)에 고정 설치된 구동 풀리(81)와 곡물 낟알 배출 장치의 배출 입력축(31)에 고정 설치된 종동 풀리(82)에 두루 감기는 텐션 벨트(83)와, 텐션 벨트(83)를 긴장시키기 위한 텐션 롤러(84)와, 텐션 롤러(84)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텐션 암(85)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텐션 롤러(84)는 출력축(21)과 배출 입력축(31) 사이에서, 텐션 벨트(83)의 하방에 배치되고, 텐션 암(85)의 선단측에 회전축(86)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암(85)은 배출 입력축(31)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기단측에서 배출 입력축(31)과 동심상에 배치된 원통형 지점축(87)에 고정 설치되고, 이 지점축 주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점축(87)은 배출 입력축(3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해게 되도록, 기체 프레임(2) 상의 지지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암(85)이 운전 조작부(15)에 설치된 원격 조작 수단으로서의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와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접 속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와 같이 모터(92)로 구성되어 있고, 배출 클러치(36)의 상방에 배치되고, 부착대(93)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대(9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후부에서 탈곡부(5)와 그레인 탱크(8) 사이에서 기체 프레임(2)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지지벽에 지점축(9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부착대(93)의 전후 일측이 기체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대(93)의 모터(92)를 부착한 전부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95)와 연결되어 있다. 이 부착대(93)의 전부에서는, 구동축(92a)이 배출 입력축과 동일한 축심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모터(92)가 배치되고, 그 구동축(92a)에 암(9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92)와 배출 클러치(36) 사이에, 연결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봉재나 로드 등으로 구성된 연결 로드(97)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 설치되고, 그 상단측의 연결부(97a)에서 모터(92)의 구동축(92a)과 암(96)을 통하여 연결되며, 그 하단측의 연결부(97b)에서 배출 클러치(36)의 텐션 암(85)의 중도부와 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터(92)의 상방의 배출 클러치 스위치(91)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와 모터(92)가 배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스위치(91)는 클러치 온측과 클러치 오프측을 구비하는 시소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운전 조작부(15)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와 배출 클러치 스위치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액추에이 터는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이어도 좋고, 배출 클러치 스위치는 누름 버튼 스위치 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출 클러치 스위치(91)가 클러치 온측으로 누름 조작되면, 모터(92)에 구동축(92a)이 도 4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 로드(97)가 암(96)을 통하여 상방으로 잡아 당겨진다. 그리고, 이 연결 로드(97)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텐션 암(85)이 상방으로 회동되고, 텐션 롤러(84)가 텐션 벨트(83)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텐션 벨트(83)가 장력을 얻어 긴장 상태가 되고, 배출 클러치(36)가 온 상태가 되며, 엔진(20)의 출력축(21)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의 배출 입력축(31)에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여기에서, 텐션 롤러(84)에 의한 텐션 벨트(83)의 긴장 상태는 스프링 부재(95)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배출 클러치 스위치(91)가 클러치 오프측에 누름 조작되면, 모터(92)의 구동축(92a)이 도 4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 로드(97)가 암(96)을 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진다. 그리고, 이 연결 로드(97)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텐션 암(85)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텐션 롤러(84)가 텐션 벨트(83)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텐션 벨트(83)가 장력을 얻을 수 없어 이완 상태가 되고, 배출 클러치(36)가 오프 상태가 되며, 엔진(20)의 출력축(21)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의 배출 입력축(31)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를 구동시킴으로써,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고, 출력축(21)으로부터 배출 입력축(31)으로의 동력을 단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원격 조작 수단으로서의 배출 클러치 스위치(91)를 액추에이터로서의 모터(92)에 접속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를 구동시켜서 벨트 텐션식 클러치인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전기 계통이나 모터(92)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없어지는 경우에 대비하고, 수동 조작 수단을 배출 클러치(36)에, 상기 연결 로드(97)나 모터(92) 자체나 후술의 스프링 부재(95)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계 기구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조작 수단으로서의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상기 모터(92)의 상방에 설치되고, 운전 조작부(15)에서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101)는 기단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점축(102)에 고정되고, 상기 지점축 주위에 상하(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지점축(102)은 기체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 스테이(103)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지점축(102)에는 암(104)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92)를 부착하는 부착대(93)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부에서 지점축(9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앞측 하부에 모터(92)를 부착하고, 앞측 상부에 스프링 부재(95)의 걸림부(93a)를 구비하여 구성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92)의 부착대(93)와 배출 클러치 레버(101) 사이에, 스프링 부재(95)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 설치되고, 그 하단측에서 부착대(93)의 걸림부(93a)와 연결되며, 그 상단측에서 수동 조작 수단이 되는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지점축(102)에 암(10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점축(94)과 반대측의 부착대(93) 단부에 수동 조작 수단이 연결되기 때문에,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조작력은 저감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하방으로 회동 조작되면, 스프링 부재(95)가 암(104)을 통하여 상방으로 잡아 당겨져서, 부착대(93)가 모터(92)과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어, 연결 로드(97)가 암(96)을 통하여 상방으로 잡아 당겨진다. 그리고, 이 연결 로드(97)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텐션 암(85)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텐션 롤러(84)가 텐션 벨트(83)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텐션 벨트(83)가 장력을 얻어 긴장 상태가 되고, 배출 클러치(36)가 온 상태가 되며, 엔진(20)의 출력축(21)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의 배출 입력축(31)에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텐션 롤러(84)에 의한 텐션 벨트(83)의 긴장 상태는 스프링 부재(95)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상방으로 회동 조작되면, 스프링 부재(95)가 암(104)을 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지고, 부착대(93)가 모터(92)와 일체적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연결 로드(97)가 암(96)을 통하여 하방으로 눌려진다. 그리고, 이 연결 로드(97)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텐션 암(85)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텐션 롤러(84)가 텐션 벨트(83)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텐션 벨트(83)가 장력을 얻을 수 없어 이완 상태가 되고, 배출 클러치(36)가 오프 상태가 되며, 엔진(20)의 출력축(21)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의 배출 입력축(31)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고, 출력축(21)으로부터 배출 입력축(31)으로의 동력을 단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 클러치(36)는, 원격 조작 수단 혹은 수동 조작 수단으로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콤바인(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통상 원격 조작 수단으로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고,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을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수동 조작 수단을 사용하여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도록,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 조작 수단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장 등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을 사용하여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할 수 없으면,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물 낟알을 배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곡물 낟알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레인 탱크(8)를 측방으로 회동하여 내부의 메인터넌스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근방에 간단한 구성으로 수동 조작 수단을 배치해 둠으로써 용이하게 메인터넌스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101)는 비상용이기 때문에, 보통 때에는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가이드 홈(135a)을 덮도록 화장 덮개(109)를 설치하여 덮어 두어, 상방으로 회동된 클러치 오프의 위치로 유지하고, 비상시에 화장 덮개(109)를 떼어내어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조작 수단(배출 클러치 스위치(91))을 액추에이터(모터(92))에 접속하고,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서 벨트 텐션식 클러치(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콤바인(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부착대(9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부착대(93)를 연결 로드(97)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와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대(93)와 수동 조작 수단 사이에 스프링 부재(95)를 넣어 연결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 또는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상은 원격 조작 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 자체나 부착대를 연동시켜 벨트 텐션식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 조작 수단을 클러치에 연계시키는 구조를, 적은 부품 점수로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체에의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95) 및 연결 로드(97)를 원격 조작 수단과 수동 조작 수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작용하는 부품이 되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적게 하여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 클러치 스위치(원격 조작 수단)(91)를 모터(액추에이터)(92)와 접속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를 구동시키고, 배출 클러치(벨트 텐션식 클러치)(36)의 온오프를 행하는 콤바인(농작업차)(1)에 있어서, 상기 배출 클러치(35)에 배출 클러치 레버(수동 조작 수단)(101)를 연계 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계 기구의 중도부에 상기 모터(92)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출 클러치 스위치(91) 또는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어느 조작 수단에서도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조작에 의해 모터(92) 자체나 부착대를 동작시켜,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 스위치(91)와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각각 배출 클러치(36)에 연계시키는 기구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체에의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콤바인(1)의 연계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터(92)와 그 부착대(93)를 일체적으로 가동하게 하여, 상기 모터(92)를 연결 로드(연결 수단)(97)를 통하여 상기 배출 클러치(36)와 연결하는 한편, 상기 부착대(93)를 스프링 부재(95)를 통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101)와 연결함으로써, 연결 로드(97) 및 스프링 부재(95)가 배출 클러치 스위치와 배출 클러치 레버(101)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하는 부품이 되고, 부품 점수를 적게 하여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1)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상기 클러치의 상방에 배열 설치하고, 상기 수동 조작 수단 쪽에 상기 액추에이터 및 그 부착대(93)를 배열 설치함으로써, 수동 조작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의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95)가 상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부 재(95)에 의한 벨트 텐션식 클러치를 구비한 텐션 벨트(83)의 긴장 상태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1)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운전 조작부(15)에 서로 근접하여 배열 설치함으로써, 원격 조작 수단을 사용할 수 없어졌을 때, 수동 조작 수단을 오퍼레이터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재빠르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콤바인(1)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텐션식 클러치를, 엔진(20)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로의 동력을 단접하는 배출 클러치(36)로서, 상기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을 운전석(12)의 측방에 배열 설치함으로써, 전기 계통이나 액추에이터 자체의 고장 등 때문에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 그레인 탱크(8)를 기체 외측으로 측방 회동시켜서 고장 개소를 수리하지 않아도, 수동 조작 수단으로 즉각 대응하여 클러치의 온오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최후에, 상기 배출 클러치(36)의 수동 조작 수단인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운전 조작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15)에서는, 후부에 운전석(12)이 설치되고, 그 전하방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111)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전부에는, 스티어링 칼럼(112)이 운전석(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세워 설치되고, 그 위에 스티어링 핸들(11)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11)은 스티어링 칼럼(112)에 핸들축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회동 조작에 의해 기체를 선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11) 및 운전석(12)의 좌측방에 사이드 칼럼(115)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칼럼(115) 상에는 기체의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을 전환하여 그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주변속 레버(121)나 부변속 레버(122), 예취 변속 레버(123), 상기 탈곡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와 상기 예취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를 일체로 구성한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 등의 조작 레버류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칼럼(115)의 전부 상에 부변속 레버(122)와 주변속 레버(121)가 각각 레버 가이드 홈을 따라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후부 상에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예취 변속 레버(123)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칼럼(115)의 좌측부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사이드 패널(130)이 사이드 칼럼(11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30)의 전부 상에는, 표시 패널(131)이 스티어링 핸들(11)의 좌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130)의 전후 중도부 상에는 작업등의 온오프를 행하는 작업등 스위치나, 자동 탈곡 깊이 스위치 등의 조작 스위치류 등이 배치되는 동시에, 장공 형상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파지부가 되는 사이드 어시스트(130a)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측방에서 사이드 칼럼(115)으로부터 후방의 기체 커버(135)에 걸쳐서는, 사이드 칼럼(115)의 후부와 상하로 연속하는 단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140)는 앞측의 하측 단 부(140a)와 뒤측의 상측 단부(140b)를 구비하고 있고, 하측 단부(140a)가 사이드 칼럼(115)의 후부로 구성되어, 상측 단부(140b)가 그 후방에서 운전석(12)의 좌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단부(140a)와 상측 단부(140b)의 상면에는 조작 레버류나 조작 스위치류 등이 외측(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측 단부(140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예취 변속 레버(123)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측 단부(140b)에는 상기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상기 배출 클러치 스위치(91)나 배출 클러치 레버(101), 배출 오거(9)의 선회 레버(145) 등이 배치되어 있다.
하측 단부(140a)에서는,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예취 변속 레버(123)가 각각 사이드 칼럼(115) 내의 기단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점축에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면에 형성된 레버 가이드 홈(115a·115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측 단부(140b)에서는, 배출 클러치 스위치(91)가 상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기체 커버(135) 내의 기단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점축(10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면에서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레버 가이드 홈(135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조작 레버 중, 하측 단부(140a)의 좌측에 배치되는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는, 탈곡 클러치(43) 또는 예취 클러치(70)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하측 단부(140a)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 가이드 홈(115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될 때, 전 최대 조작 위치에서 클러치 온 위치가 되어 전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되고, 후 최대 조작 위치에서 클러치 오프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후 최대 조작 위치에서 선단측에 구비한 파지부(124a)를 좌측 경사 후상방으로 돌출하고, 후방의 상측 단부(140b)에 대하여 그 전면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폭으로 닫지 않는 위치에 배열 설치된다. 한편, 예취 변속 레버(123)는 후 최대 조작 위치에서, 파지부(123a)는 우측 경사 후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간격을 넓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단부(140b)의 배출 클러치 레버(101)는,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상측 단부(140b)의 상면에서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레버 가이드 홈(135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 될 때, 상측 최대 조작 위치에서 클러치 오프 위치가 되고,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후상방에서 상측 단부(140b)의 상면에서 전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되며, 하측 최대 조작 위치에서 클러치 온 위치가 되고, 상측 단부(140b)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최대 조작 위치에서,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파지부(101a)를 앞측 경사 우방의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예취 변속 레버(123)의 사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배출 클러치 레버(101)는 전하방에서 거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에 대하여 레버 조작측이 되는 운전석(12)측, 즉 우측으로 적절한 정도로 기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사는 배출 클러치 레 버(101)가 상 최대 조작 위치와 하 최대 조작 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는 동안에 걸쳐 유지되고, 각 조작 위치에서 오퍼레이터가 선단측에 구비한 파지부(101a)를 쥐기 쉽고, 또한 전방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 특히 배출 클러치(36)를 온 상태로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싶은 조작 레버, 예를 들면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에 파지부(101a)를 쥐는 손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게, 상 최대 조작 위치에서는 우측 전상방에 연장되게, 하 최대 조작 위치에서는 우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상 최대 조작 위치에서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후방에 위치하고, 하 최대 조작 위치에서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우측방에 위치하도록 회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가 후 최대 조작 위치에 있을 때에도, 오퍼레이터가 파지부(101a)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하 최대 조작 위치에서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우측방에 위치하도록, 회동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클러치 레버(101)는 하 최대 조작 위치에 조작될 때,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우측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예취 변속 레버(123)의 좌측방에 위치하는, 즉 양 레버(123·124)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예취 변속 레버(123)와도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선단측에 구비한 파지부(101a)가 우측으로 기우는 레버 본체에 대하여 더 우측으로 기울도록 굴곡되고,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선단측에 구비한 파지부(124a)가 거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본 체에 대하여 좌측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즉, 배출 클러치 레버(101)가 하 최대 조작 위치에 회동 조작되고, 후 최대 조작 위치에 있는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측방에 위치할 때, 각 레버(101·124)의 파지부(101a·124a)가 서로 좌우 반대측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클러치 레버(101)와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91) 사이에, 한쪽 레버(101)(124)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손이, 다른쪽 레버(124)(10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하의 단부(140)에 각각 조작 레버를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한 콤바인(1)의 운전 조작부(15)에서, 하측 단부(140a)에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후상방의 상측 단부(140b)에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하며,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후 최대 조작 위치가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후 최대 조작 위치의 좌우 일측의 측방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에 간섭하지 않고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의 레버(124·101)를 가능한 한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좁은 스페이스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1)의 운전 조작부(15)에 있어서,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에 대하여 레버 조작측에 소정의 경사로 배치하고, 그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 최대 조작 위치와 하 최대 조작 위치 사이 에서 회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로부터 멀리하고, 한쪽 레버(101)(124)의 회동조작시에 손의 접촉에 의해 다른쪽 레버(124)(101)를 실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회동 조작하기 쉬워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1)의 운전 조작부(15)에 있어서, 상기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의 파지부(124a)와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의 파지부(101a)를, 서로 좌우 반대측으로 기울도록 구성함으로써,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124)와 배출 클러치 레버(101)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고, 한쪽 레버(101)(124) 조작시에, 다른쪽 레버(124)(101)를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1)의 운전 조작부(15)에 있어서,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엔진(20)으로부터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로의 동력 전달을 단접하는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레버로서, 운전석(12)의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101)를 이용하여 배출 클러치(36)의 온오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콤바인(1)은 주행하면서 예취 작업에 의해 예취하고, 선별한 곡물 낟알을 기체에 설치한 그레인 탱크(8) 내에 저장한다. 이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물 낟알이 소정량이 되면, 예취 작업을 정지하고, 적절히 배출 위치까지 이동하여 정지하고, 배출 오거(9)를 선회시켜 운반차의 화물칸 등에 곡물 낟알을 배출하는 작업을 행한다.
상기 배출 오거(9)는 그 전체 길이를 기체의 전후 길이와 균형을 이루는 장 척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기체에 대하여 선회 및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예취 작업 주행중이나 노상 주행 중은 배출 오거(9) 자체의 손상 방지나 주위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기체 상부의 수납 위치에 수납된다. 그리고, 배출 오거(9)는 곡물 낟알 배출 작업시에는 배출 작업 위치로 선회시켜 곡물 낟알 배출 작업을 행하고, 이 곡물 낟알 배출 작업이 종료하면, 상기 수납 위치까지 선회시켜 수납된다.
상기 배출 오거(9)를 선회 및 승강 회동시키기 위하여, 모터나 유압 실런더 등의 액추에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곡물 낟알 배출 수단인 배출 오거(9)를 조작하는 이들 조향용 액추에이터는 조종석(12) 근방에 배치한 수동 선회 조작 레버에 의해 구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조종자가 이 수동 선회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배출 오거(9)를 적절한 위치로 선회 또는 승강 회동 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자동 선회 지시 스위치를 설치한 배출 오거(9)의 조작 장치가 알려져 있고, 상기 자동 선회 지시 스위치는 배출 오거(9)를 수납 위치와 배출 작업 위치 사이에 걸쳐 자동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장치는 배출 오거(9)의 조작을 종래의 수동 선회 조작 레버와 자동 선회 지시 스위치의 조합으로 실시함으로써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농업 기계 분야에 있어서,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기계일 것이 요구되고, 여성·고령자·신규 취농자, 즉 어떤 사람이나 사용하기 쉬운 기계가 요구되고 있다. 콤바인에 대해서도 성능은 충실하면서도 작업자가 편하고 조작하기 쉬운 관점에서의 개량이 요청되고 있다.
조작성 관점에서, 상기 배출 오거(9)는 360도 선회 가능하고, 상시 전방을 향하고 있는 작업자 입장에서는 선회 개시 위치에서 「좌」또는 「우」선회 방향을 바로 판단할 수 없고 조작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조작 작업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는 스텝(111) 상에 서서 후방을 향하여 스위치 조작을 행하지만, 배출 오거(9)가 전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와 배출 오거(9)가 후방을 향하여 위치하고 있을 때는 스위치의 조작 방향과 배출 오거(9)의 회동 방향은 반대가 된다. 즉, 배출 오거(9)가 후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작업자가 후방을 향하여 우선회 조작을 행하면, 배출 오거(9)는 좌방향으로 회동하여 스위치의 조작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고 착각해 버린다.
마찬가지로, 기외에서 곡물 낟알의 반입 등을 행하고 있는 작업 보조자에게 있어서도 예를 들면 조종자와 작업 보조가가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고 있으면 지시되는 「좌」또는 「우」방향은 역방향이 되어 바로 판단할 수 없다.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의 저하는 작업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선회 방향의 그릇된 예측은 작업 보조자나 곡물 낟알의 운반차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콤바인(1)의 수확한 곡물 낟알을 그레인 탱크(8)로부터 기외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9)의 조작 방향 표시부에 관한 기술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그 상세를 기술한다.
도 10은 콤바인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a 내지 1d의 조작 방향 표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a)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좌측면도 (b)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우측 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a 내지 3d의 방향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4a 내지 4d의 방향 표시부를 설치한 배출부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a) 실시예 5를 도시한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좌측면도 (b) 실시예 5를 도시한 배출 오거 횡파이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a) 실시예 6을 도시한 배출 오거의 배출구 정면도 (b)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배출 오거의 리모콘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6a 내지 6d의 방향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의 운전 조종부(15)의 좌측에는 사이드 칼럼(115)이 설치되고, 주변속 레버(121), 탈곡 깊이 조정 스위치(252), 작업 클러치 레버(253),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 오토 리턴 스위치(259), 라이트 점멸 스위치(255) 및 부변속 레버(122)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 각각의 조작 기기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주변속 레버(121)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의 유압 펌프의 경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 조작하여 출력 회전수를 변경하는 것이지만, 이 이외의 유압 클러치를 선택하여 변속하는, 또는 톱니바퀴를 선택하여 변속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주변속 레버(121)의 파지부에 설치된 오토 리프트 버튼(258)은 예취부를 미리 설정된 높이 위치까지 상승시켜 정지시킬 수 있다.
탈곡 깊이 조정 스위치(252)는 도시하지 않은 상부 반송 장치와 종 반송 장 치를 상하 회동시키고, 예취된 벼의 이삭이 탈곡실에 들어가는 위치를 수동 조작으로 조정하는 스위치이다.
작업 클러치 레버(253)는 원동기와 탈곡 장치 및 예취 장치와의 사이에 배치한 클러치를 각각 「온」또는 「오프」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취 장치의 클러치를 「온」으로 하려면 탈곡 장치의 클러치를 「온」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는 배출 오거(9)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향 조작할 수 있는 것이고, 즉, 선회 또는 승강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리턴 스위치(259)는 자동 선회 지시 스위치이고, 배출 오거(9)를 수납 위치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라이트 점멸 스위치(255)는 전조등의 선택 및 방향 지시등을 선택할 수 있다.
부변속 레버(122)는 탈곡·예취 작업을 실시할 때의 작업 속도가 되는 저속 주행과 노상 주행 등 고속 주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전술한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 및 레버 가이드(260)를 각각의 실시예마다 나타내고 있다. 레버 가이드(260)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 기초부의 조작부(115)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실시예 별로 레버 가이드(260) 상에 표기된 조작 방향 표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a는 좌우의 조작 방향 표시부를 문자로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오거(9)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2)는 「좌」로 명기되어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우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1)는 「우」로 명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종자가 방향 인식을 정확하게 함으로써,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가 색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b에서는 배출 오거(9)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4)는 「L」로 명기되어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우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3)는 「R」로 명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실시예 1a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c는 좌우의 조작 방향 표시부를 색으로 표시(착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오거(9)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5)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우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6)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를 적색」, 「우를 녹색」으로, 배출 오거(9)의 조작시에 방향을 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바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종자는 예취 작업시나 주행시는 전방을 향하여, 배출 작업시는 후방을 향하여 조작하기 때문에 배출 오거의 「좌」또는 「우」는 조종자의 방향에 따라 반대가 된다. 또한, 횡 오거가 종 오거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할 때와 후방에 위치할 때는 조작 방향이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54)의 조작 방향에 대하여 반대가 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색각으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으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d는 좌우의 조작 방향 표시부는 색과 문자로 표시(착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오거(9)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8)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좌」로 명기되어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254)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방향 표시부(267)는 녹색으로 착색되고 「우」로 명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d에서는 실시예 1(a) 및 1(c)와 동일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각각의 조작 방향 표시부는 운전 조작부(15)에서 눈으로 보아 충분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 리턴 스위치(259)는 누르는 것에 의해 배출 작업 위치에 있는 배출 오거(9)를 자동적으로 선회하여 수납 위치까지 되돌아갈 수 있고, 선회 방향은 일방향만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우측)으로 선회하여 수납 위치까지 되돌아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오토 리턴 스위치(259)는 녹색으로 하고, ON함으로써 녹색으로 점등시킨다. 물론,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좌측)으로 선회하여 수납 위치까지 되돌아가면 오토 리턴 스위치(259)는 적색으로 하고, ON으로 함으로써 적색으로 점등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종자는 자동 선회시에 어느 방향으로 선회하는지 잊어버려도, 오토 리턴 스위치(259)의 색으로 선회 방향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에 대응한 방향 표시부를 배출 오거(9)의 횡파이프(300)의 좌측면부(271)(도 12(a) 참조) 및 우측면부(272)(도 12(b) 참조)에 각각 설치한다.
횡파이프(300)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치 위치는 지점(273)에서 횡파이프(300)의 근원측으로 한다. 횡파이프(300)는 콤바인(1)이 작업을 행하지 않고 주행 중은 절첩 회동부에 배치한 잠금 레버(274)를 들어 올림으로써, 지점(273)에서 구부려 콤팩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구부린 상태에서 방향 표시부(231·232)가 역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 실시예 별로 방향 표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a에서는 「좌」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1) 및 「우」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2)를 각각 횡파이프(300)의 측면부(271 ·272)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종자와 작업 보조자의 방향 인식이 일치함으로써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와 작업 보조자가 색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조종자만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실수가 없어진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b에서는 「L」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3) 및 「R」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4)를 각각 횡파이프(300)의 측면부(271·272)에 부착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3a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c에서는 적색의 방향 표시부(235) 및 녹색의 방향 표시부(236)를 각각 횡파이프(300)의 측면부(271·272)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좌를 적색」, 「우를 녹색」으로, 배출 오거(9) 조작시에 방향을 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바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서로 색으로 방향을 공통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 예측 착각을 일으키지 않고,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조종자만 작업하는 경우에도 실수가 없어진다.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b에서는 「좌」로 명기한 적색의 방향 표시부(231) 및 「R」로 명기한 녹색의 방향 표시부(232)를 각각 횡파이프(300)의 측면부(271·272)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3d에서는 실시예 3a 및 실시예 3c와 동일 효과가 얻어진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는 좌우의 방향 표시부를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도록 배출 오거(9) 선단의 배출구(301)의 후면에 부착 설치하고 있다. 즉, 좌우를 나타내는 방향 표시부가 각각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a에서는 「좌」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41) 및 「우」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42)를 배출구(301)의 후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종자와 기외의 보조 작업자의 방향 인식이 일치함으로써,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기외의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와 작업 보조자가 색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횡파이프가, 조작하는 사람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있어도 횡파이프의 방향 표시와 회동 조작 부재 기초부의 조작 방향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조작을 알기 쉽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b에서는 화살표 등의 기호로 선회 방향을 나타낸 방향 표시부를 배출구(301)의 후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4a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조종자만 작업하는 경우에도 실수가 없어진다.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c에서는 적색의 방향 표시부(45) 및 녹색의 방향 표시부(246)를 배출구(301)의 후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를 적색」, 「우를 녹색」으로, 배출 오거(15) 조작시에 방향 을 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바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서로 색으로 방향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 예측 착각을 일으키지 않고,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d에서는 「좌」로 명기한 적색의 방향 표시부(231) 및 「R」로 명기한 녹색의 방향 표시부(232)를 배출구(301)의 후면에 설치하고 있다.
실시예 3 및 4는 실시예 1과 조합함으로써, 또한 배출 오거(9)의 조작성 및 작업 보조자와의 조작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 방향 표시부가 색으로 식별되면 방향 표시부도 대응하도록 색으로 식별시키고, 조작 방향 표시부가 색 및 문자로 식별되면 방향 표시부도 동일하게 한다. 즉, 콤바인(1)의 조종자 및 기외의 작업 보조자가 배출 오거(9)의 선회 개시 위치에 관계없이 선회 방향을 서로 공통 인식할 수 있는 색 또는 문자의 방향 지시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단, 방향을 나타내는 색은 적색 또는 녹색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문자도 좌·우로 한정하지 않고, 히라가나나 가타카나나 외국어 등으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기호도 화살표에 한정하지 않고, 손가락 그림이나 삼각형 등으로 표시해도 좋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에서는 좌우의 지시 표시등의 색을 다른 색으로 하여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265·266)의 색에 맞추어 배출 오거의 배출구(301) 측면에 배열 설치하고 있다. 즉, 적색의 지시 표시등(281)을 배출구(301) 의 좌측면(도 15(a) 참조)에, 녹색의 지시 표시등(282)을 배출구(301)의 우측면(도 15(b) 참조)에 설치한다. 이 표시등(281·282)은 소등해도 각각의 색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표시등(281·282)은 주간 등 작업 환경이 밝을 때는 항상 점멸 또는 점등시켜도 좋고, 선회시만 점멸 또는 점등시켜도 좋다. 야간시는 항상 점멸 또는 점등시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LED 등으로 연속적으로 선회 방향으로 점멸시켜도 좋다. 또는, 평상시는 휘도를 내려 점멸 또는 점등시키고, 선회시는 휘도를 올려 점멸 또는 점등시키는 등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는 전술한 지시 표시등(283·284)을 배출 오거(9)의 배출구(301)의 상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지시 표시등(283)은 녹색으로, 지시 표시등(284)은 적색으로 점등하고, 소등시도 색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평상시는 점멸 또는 점등시켜도 좋고, 선회 방향으로 점멸시켜도 좋다.
도 16(b)를 이용하여, 실시예 6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6(b)에서는 일점쇄선 화살표로 배출 오거(9)가 수납부로부터 우방 또는 하방으로 선회하는 궤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색에 의해 식별된 지시 표시등(283·284)에서 조종자 또는 작업 보조자가 배출 오거(9)의 선회 방향을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는 실시예 5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콤바인(1) 주위의 어느 위치에서도 선회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위치(도 16(b) 중)에 작업 보조자가 있을 때, 실시예 3 및 5에서는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 오거(9)가 선회하는 경우 선회 지시가 인식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오거(9)의 선회 방향의 반대 측면으로부터도 선회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회하는 배출 오거(9)에 표시등에 의해 식으로 식별한 선회 방향(점등하지 않는 경우에도)을 지시함으로써, 조종자는 바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하며, 또한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야간에는 항상 점등시킴으로써 배출구(301)의 조명이 되고, 곡물 낟알을 운반차 등으로 이송하는 작업 보조자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횡파이프(30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 논의 벽 등에 간섭하지 않도록 안내된다.
배출 오거(9)는 사이드 칼럼(115)뿐 아니라 외부에서 작업 보조자가 리모콘(410)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리모콘(410)은 유선(코드)이어도 무선이어도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칼럼(115)에서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410)은 상부 자동 조작부(411) 및 하부 수동 조작부(412)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 조작부(411)에서는 배출 오거(9)의 선회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우측 세트 버튼(414)을 누름으로써 수납 위치에 있는 횡파이프(300)를 우측면까지 자동적으로 선회시키고, 후측 세트 버튼(415)을 누름으로써, 수납 위치에 있는 횡파이프(300)를 자동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버튼(413)을 누름으로써 작업 위치에 있던 횡파이프(300)를 수납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클러치 버튼(416)은 배출 오거(9) 내부의 반송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클러치의 온·오프 버튼이고, 배출 오거(9)를 작업 위치까지 선회시키고 누름으로써 곡물 낟알의 배출이 시작된다.
수동 조작부(412)는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418)로, 수동으로 배출 오거(9)를 선회 조작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에서는 상기 사이드 칼럼(115)의 조작 방향 표시부와 동일하게, 리모콘(410)에 있어서의 배출 오거 회동 조작 부재(418)의 좌우 방향 표시부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a에서는 「좌」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411) 및 「우」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412)를 수동 조작부(412)에 표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종자와 기외의 보조 작업자의 방향 인식이 일치함으로써,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기외의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와 작업 보조자가 색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횡파이프가 조작하는 사람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 있어도 횡파이프(300)의 방향 표시와 회동 조작 부재 기초부의 조작 방향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조작을 알기 쉽다.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b에서는 「L」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3) 및 「R」로 명기한 방향 표시부(234)를 수동 조작부(412)에 표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6a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조종자만 작업하는 경우에도 실수가 없어진다.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c에서는 적색의 방향 표시부(415) 및 녹색의 방향 표시부(416)를 수동 조작부(412)에 표기한다.
이와 같이 「좌를 적색」, 「우를 녹색」으로, 배출 오거(9)의 조작시에, 방향을 색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바로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배출 오거(9)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 및 작업 보조자는 서로 색으로 방향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 예측 착각을 일으키지 않고, 작업 보조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1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6d에서는 「좌」로 명기한 적색의 방향 표시부(417) 및 「우」로 명기한 녹색의 방향 표시부(418)를 수동 조작부(412)에 표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6a 및 6c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는 지시 방향을 색각으로 확인시킴으로써, 누구나 조작하기 쉬운 구성으로 했다. 본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여성·고령자·신규 취농자 등이 콤바인(1)을 조종하는 경우에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시 방향과 색의 관계, 즉 「좌는 적색」「우는 녹색」은 선박, 항공 분야도 동일하며, 세계 기준에 대응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각각을 조합함으로써, 또한 조종자의 조작성 및 작업 보조자와의 조작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색으로 이동 방향을 인식시키는 지시예는 콤바인(1)의 그 밖의 작업부에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 기계나 작업 기계 에도 폭넓게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온오프 조작을 가능하게 한 벨트 텐션식 클러치를 구비한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 수확 저장한 곡물 낟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9)과,상기 배출 수단(9)의 구동용 클러치(36)와,상기 클러치(36)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92)와,상기 액추에이터(92)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작 수단(91)과,상기 엑추에이터(92)를 구동 제어하지 않고 상기 클러치(36)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수동 조작 수단(101)을 갖는 농작업차(1)로서,상기 클러치(36)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97)에 부착대(93)가 지점축(9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상기 액추에이터(92)가 상기 지점축(94)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대(93)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부착대(93)에 부착되어 있고,상기 부착대(93)가 스프링 부재(95)를 통하여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과 연결되고,상기 부착대(93)의 회전이 상기 연결 수단(97)을 통해 상기 클러치(36)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대(93)는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 부재(95)를 통해 상기 지점축(9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을 상기 클러치(36)의 상방에 배열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36)와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 사이에서,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 쪽의 위치에 상기 액추에이터(92) 및 상기 부착대(93)를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조작 수단(91)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을 운전 조작부(15)에 서로 근접하여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36)를, 엔진(20)에서 곡물 낟알 배출 장치(30)로의 동력을 단접하는 배출 클러치로 하고, 상기 원격 조작 수단(90)과 상기 수동 조작 수단(101)을 운전석(12)의 측방에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 수단(9)은 조향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좌우 선회 가능한 횡파이프(300)를 포함하고,상기 조향용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부재(254)의 기초부에 조작 방향 표시부(261-268)를 배치하고, 상기 횡파이프(300)에 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261-268)에 대응시킨 방향 표시부(231-23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261-264) 및 상기 방향 표시부(231-234)에는 상기 회동 조작 부재(254)에 대한 좌우 각 선회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문자를 명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265-268) 및 상기 방향 표시부(235-238)에는 상기 회동 조작 부재(254)에 대한 좌우 각 선회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를, 다른 색채 또는 농담으로 착색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방향 표시부(265-268) 및 상기 방향 표시부(235-238)에는 상기 배출 수단(9)에 대한 좌우 각 선회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를, 다른 색채 또는 농담으로 착색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1).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299456 | 2006-11-02 | ||
JP2006299456A JP4902314B2 (ja) | 2006-11-02 | 2006-11-02 | 農作業車 |
PCT/JP2007/054314 WO2008053607A1 (fr) | 2006-11-02 | 2007-03-06 | Engin de travaux de type agric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978A KR20090076978A (ko) | 2009-07-13 |
KR101330972B1 true KR101330972B1 (ko) | 2013-11-18 |
Family
ID=3934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0219A KR101330972B1 (ko) | 2006-11-02 | 2007-03-06 | 농작업차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902314B2 (ko) |
KR (1) | KR101330972B1 (ko) |
CN (1) | CN101528025B (ko) |
WO (1) | WO20080536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85795B2 (ja) * | 2008-12-02 | 2013-04-17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JP5144554B2 (ja) * | 2009-02-04 | 2013-02-13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5222269B2 (ja) * | 2009-10-27 | 2013-06-26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
KR101171625B1 (ko) | 2011-01-26 | 2012-08-07 | 대동공업주식회사 | 콤바인의 탈곡텐션 확인구조 |
JP5788705B2 (ja) * | 2011-04-27 | 2015-10-07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CN102511241A (zh) * | 2011-12-31 | 2012-06-27 | 天津勇猛机械制造有限公司 | 玉米收获机动力输出装置 |
CN104106344B (zh) * | 2014-04-29 | 2016-11-23 | 江苏江淮动力股份有限公司 | 全喂入收割机及其切碎器安全保护装置 |
DE102014107921A1 (de) | 2014-06-05 | 2015-12-17 |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 Antriebssystem für eine selbstfahrende Erntemaschine |
DE102014108026A1 (de) | 2014-06-06 | 2015-12-17 |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 Antriebssystem für eine selbstfahrende Erntemaschine |
CN109640622B (zh) * | 2016-09-01 | 2021-11-16 |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 手扶式工作机器 |
JP7004735B2 (ja) * | 2017-10-25 | 2022-01-2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KR20190070276A (ko) * | 2017-12-08 | 2019-06-20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포장 작업기 및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 |
KR102683958B1 (ko) * | 2017-12-18 | 2024-07-12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CN110422765B (zh) * | 2019-09-04 | 2024-05-28 | 江苏润邦工业装备有限公司 | 一种高空划线取电机械臂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8191A (ja) * | 1998-05-20 | 1999-11-24 | Seirei Ind Co Ltd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操作装置 |
JP2000060287A (ja) | 1998-08-20 | 2000-02-29 | Seirei Ind Co Ltd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関連機構 |
JP2002027827A (ja) | 2000-07-14 | 2002-01-29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04211903A (ja) | 2004-03-31 | 2004-07-29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ベルト式クラッチ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9944B2 (ja) * | 1998-04-30 | 2004-04-19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クラッチ操作装置 |
-
2006
- 2006-11-02 JP JP2006299456A patent/JP490231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06 KR KR1020097010219A patent/KR1013309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06 CN CN2007800404342A patent/CN10152802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06 WO PCT/JP2007/054314 patent/WO2008053607A1/ja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8191A (ja) * | 1998-05-20 | 1999-11-24 | Seirei Ind Co Ltd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操作装置 |
JP2000060287A (ja) | 1998-08-20 | 2000-02-29 | Seirei Ind Co Ltd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関連機構 |
JP2002027827A (ja) | 2000-07-14 | 2002-01-29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04211903A (ja) | 2004-03-31 | 2004-07-29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ベルト式クラッチ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6978A (ko) | 2009-07-13 |
WO2008053607A1 (fr) | 2008-05-08 |
JP2008113602A (ja) | 2008-05-22 |
CN101528025A (zh) | 2009-09-09 |
JP4902314B2 (ja) | 2012-03-21 |
CN101528025B (zh) | 201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0972B1 (ko) | 농작업차 | |
JP4880254B2 (ja) | 収穫機 | |
JP2017099315A (ja) | 収穫機 | |
JP493514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1182718A (ja) | コンバイン | |
JP2009268365A (ja) |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 |
JP6539574B2 (ja) | 収穫機 | |
JP2007061048A (ja) | コンバイン | |
JP4502117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8104385A (ja) | コンバインの運転操作部 | |
JP3734782B2 (ja) | コンバインのフロントコラム | |
JP4880253B2 (ja) | 収穫機の照明構造 | |
JP2019170258A (ja) | 収穫機 | |
JP5029528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7300894A (ja) | 刈取クラッチ機構 | |
JP2008212159A (ja) | コンバイン | |
JP2007300894A5 (ko) | ||
JP2010259442A (ja) | 収穫機 | |
JP5503475B2 (ja) |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 |
JP2014200220A (ja) | 収穫機 | |
JP2007244397A (ja) | コンバイン | |
JP4775549B2 (ja) | コンバイン | |
JP6280844B2 (ja) | 収穫機 | |
JP4038150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1231343A (ja) |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の遠隔操作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