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869B1 -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869B1
KR101330869B1 KR1020087005638A KR20087005638A KR101330869B1 KR 101330869 B1 KR101330869 B1 KR 101330869B1 KR 1020087005638 A KR1020087005638 A KR 1020087005638A KR 20087005638 A KR20087005638 A KR 20087005638A KR 101330869 B1 KR101330869 B1 KR 101330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ection
mold
lens
contact len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178A (ko
Inventor
네일 지. 구든너프
그레그 에이. 딘
Original Assignee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filed Critical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8004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67Hydrating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49Double si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Moulds for lenses having means for aligning the front and back moulds
    • B29D11/00509Moulds for lenses having means for aligning the front and back moulds to make to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6Moulds carrying mould related information or codes, e.g. bar codes,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29C39/12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by casting between two preformed layers, e.g. deformab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콘택트 렌즈 몰드와 콘택트 렌즈 몰드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된다.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두 개의 광학 표면과 두 개의 광학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 플랜지와 플랜지에서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두 개의 몰드 섹션은 콘택트 렌즈 형상 캐비티를 갖는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몰드 섹션은 눈에 착용하기 전에 추가적인 물리적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모서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몰드 섹션에 대응하는 캐비티 내부로 용융된 중합성 재료를 진행시키는 시스템과 방법이 설명된다.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교환 플레이트, 연장 부재, 플랜지, 캐비티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대체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시 사용되는 몰드와 콘택트 렌즈 몰드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 수정체 및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한 방법은 캐스트 성형이다. 콘택트 렌즈의 캐스트 성형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애플톤(Appleton) 등의 미국 특허 제5,466,147호와, 모리스(Morris)의 미국 특허 제6,405,993호와, 딘(Dean)의 미국 특허 제6,431,706호와, 딘의 미국 특허 제6,732,993호를 참조하라.
통상적으로, 하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는 제조 대상인 렌즈의 전방 표면을 한정하는 오목 광학 표면을 갖는 암형 몰드 섹션과 제조 대상인 렌즈의 후방 표면을 한정하는 볼록 광학 표면을 갖는 수형 몰드 섹션을 포함한다. 개개의 수형 및 암형 몰드 섹션이 서로 조립되면, 콘택트 렌즈 형상의 캐비티가 암형부의 오목면과 수형부의 볼록면 사이에 형성된다.
예컨대 중합 가능 단량체의 경화성 혼합물인 콘택트 렌즈 시작재가 렌즈 형상 캐비티 내에 배치 또는 주입되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시작재는 제1 몰드 섹션의 오목면과 접촉 상태로 배치되며 제2 몰드 섹션은 제2 몰드 섹션의 볼록면이 렌즈 시작재와 접촉하여 렌즈 시작재를 렌즈 형상 캐비티 내에 유지하도록 제1 몰드 섹션 상에 배치된다. 렌즈 시작재는 몰드 조립체 내에서 경화되어 콘택트 렌즈를 형성한다. 콘택트 렌즈는 몰드 섹션에서 탈형되어 추가 처리된 후 소비자 사용을 위해 영구 포장된다.
상술한 콘택트 렌즈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수형 및 암형 몰드 섹션은 그 자체가 공통적으로 사출 성형 공정의 이용을 통해 형성된다. 이들 몰드 섹션은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마틴(Martin) 등의 미국 특허 제6,039,899호는 콘택트 렌즈 블랭크의 자동 고속 제조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장치는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EP 1136222 A1은 수지 몰드들이 다이 조립체에 형성된 후 콘택트 렌즈 성형재로 충전되고 충전된 수지 몰드들이 조립되어 수지 몰드들 사이에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EP 1352736 A1은 적층 가능한 복수의 동일한 콘택트 렌즈 몰드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라센(Larsen)의 미국 특허 제4,565,348호는 다른 종래의 렌즈 몰드 제조 방식을 개시한다. 이 방식에 따르면, 폴리스티렌 프레임 상에 수반된 성형 표면 배열이 콘택트 렌즈 배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성형 프레임은 2x4 배 열의 오목 전방 또는 암형 몰드 반부를 수반하고 다른 성형 프레임은 2x4 배열의 볼록 기부 또는 수형 몰드 반부를 수반한다.
렌즈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또는 장치를 개시하는 추가적인 특허와 공보로는 러스트(Lust)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2003/0203066호(A1)와, 러스트 등의 미국 특허 제6,592,356호와, 러스트 등의 미국 특허 제5,540,410호와, 에스알. 파넬(Sr. Parnell) 등의 미국 특허 제6,180,032호가 있다.
상술한 방법, 공정 및 장치는 콘택트 렌즈 제조의 속도와 효율을 개선했지만, 콘택트 렌즈에 대한 오늘날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공정과 시스템이 여전히 요구된다.
새로운 콘택트 렌즈 몰드와, 몰드 조립체와,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장치와 시스템은 예컨대 다음에 제한되지 않지만 연질 친수성 실리콘계 콘택트 렌즈와 같은 고품질 콘택트 렌즈의 고속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몰드 섹션, 몰드 조립체, 성형 시스템 및 방법은 일일 착용 및 연속 또는 지속 착용 렌즈(예컨대 약 30일 정도의 여러 날이나 여러 주에 걸쳐 눈에 연속 착용될 수 있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실리콘-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나 실리콘 히드로겔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몰드 조립체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몰드 섹션은 서로 조립될 때 그 사이에 콘택트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렌즈 한정 표면을 포함한다. 몰드 섹션들 자체는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몰드 조립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형상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몰드 섹션을 서로 접촉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몰드 조립체는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니버설 몰드 섹션"은 모두 콘택트 렌즈의 광학적 허용면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것으로서 볼록 렌즈 한정 표면 및 이에 사실상 대향하는 오목 렌즈 한정 표면 모두를 포함하는 몰드 섹션을 말한다. 따라서 각각의 몰드 섹션은 두 개의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면을 갖거나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구비한 단일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표면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두 개의 이런 유니버설 몰드 섹션은 서로 조립될 때 몰드 섹션 중 하나(예컨대 제1 몰드 섹션)의 볼록 렌즈 한정 표면과 다른 몰드 섹션(예컨대 제2 몰드 섹션)의 오목 렌즈 한정 표면 사이에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한다. 각각의 렌즈 한정 표면은 광학 표면 또는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면으로서, 이는 각각의 렌즈 한정 표면이 그로부터 성형된 렌즈 제품에 광학적으로 평활한 고품질 표면을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평활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대향하는 광학 표면을 갖는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 몰드 섹션의 신뢰성 높은 자동 식별을 용이하게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이 제공하는 특징이다. 몰드 조립체들 자체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동안 몰드 섹션의 식별 및/또는 추적을 용이하게 만드는 구조물과 같은 식별 표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적용 특징부는 몰드 조립체의 대체로 "프라이팬 손잡이"형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몰드 섹션은 렌즈 한정 표면에서 일반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부 표시물 형태, 바람직하게는 예컨데 레이저 스캐너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쉽게 판독될 수 있는 표시물을 포함하는 연장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물은 몰드 섹션의 제조 공정 동안 몰드 섹션 또는 몰드 섹션의 프라이팬 손잡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조되는 하류측 렌즈와 렌즈 제조 공정의 품질 제어를 크게 개선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컨대 콘택트 렌즈, 예컨대 연질 실리콘계 친수성 콘택트 렌즈와 같은 렌즈를 제조할 때 사용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몰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몰드 섹션 본체가 렌즈 한정 표면을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한 쌍의 몰드 섹션 본체를 포함한다. 렌즈 한정 표면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의 원판이거나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의 원판인 표면 윤곽을 갖는다. 각각의 몰드 섹션 본체는 렌즈 한정 표면을 에워싸는, 예컨대 사실상 완전히 에워싸는 플랜지 영역을 더 포함한다. 또한, 몰드 섹션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영역과 일체로 성형되고 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별 몰드 섹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몰드 섹션 본체의 연장 영역은 몰드 섹션의 광학 영역 또는 보울 섹션이 바람직한 벽 두께를 갖도록 하기에 효과적인 길이와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연장 영역은 적어도 약 15 ㎜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길이는 연장 영역이 플랜지 영역에 연결되는 플랜지 영역의 외주연에서 연장 영역의 말단 팁까지 측정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의 길이는 약 20 ㎜ 내지 약 40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30 ㎜ 내지 약 35 ㎜이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는 약 30 ㎜이다.
연장 영역은 그 대부분을 따라 사실상 균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은 사실상 균일한 폭을 갖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플랜지 영역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컨대 약 10도 내지 30도의 각도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근단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2 부분은 말단부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은 근단부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중간부일 수 있고 광학 영역 및 플랜지는 말단부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은 사실상 편평하며 그 길이를 따라 계단이나 불연속부를 사실상 포함하지 않는다. 예컨대 연장 영역은 근단부에서 말단부쪽으로 배향된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얇다. 예컨대 연장 영역의 제1 부분은 사실상 균일한 제1 두께를 갖고 확대되는 제2 부분은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는다.
소정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의 제1 두께는 약 0.4 ㎜ 또는 약 0.6 ㎜ 또는 약 0.8 ㎜ 또는 약 1 ㎜와 약 1.2 ㎜ 또는 약 1.4 ㎜ 또는 약 1.6 ㎜ 또는 약 2 ㎜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두께는 약 0.8 ㎜와 약 1.6 ㎜ 사이이다. 연장 영역의 제2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4 ㎜ 및 약 1.8 ㎜보다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제2 두께는 약 0.8 ㎜와 약 1.6 ㎜ 사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 조립체는 예컨대 적층식으로 서로 조립되고 몰드 섹션 중 하나의 제1 렌즈 한정 표면과 다른 몰드 섹션의 제2 렌즈 한정 표면 사이에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둘 이상의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니버설 몰드 섹션에 의해 다양한 장점과 잇점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이용함으로써, 렌즈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후방 곡면 몰드 섹션 및 이와 상이한 전방 곡면 몰드 섹션을 이용하는 종래의 렌즈 몰드 조립체에 비해 저감된 수의 서로 다른 몰드 섹션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와 이런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 제조 시스템은 저감된 수의 서로 다른 성형 기계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고 예컨대 콘택트 렌즈 몰드 재고 관리를 개선한다.
적층된 동일한 몰드 형태를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는 일본 특허 JP 05337957A에는 대향된 렌즈 한정 성형 표면들을 갖는 "유니버설" 몰드 섹션의 개념을 이해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추가 정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몰드 섹션의 하나 이상의 특징, 예컨대 몰드 섹션을 이용하여 형성될 렌즈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식별자 또는 표시물을 포함하는 몰드 섹션, 예컨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것과 같은 몰드 섹션이 제공된다.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표시물은 몰드 섹션을 이용하여 성형될 렌즈에 대한 정보, 예컨대 광학 출력, 형상, 크기 및/또는 그 밖의 식별 정보에 관련된 몰드 섹션의 특징에 대한 식별을 용이하게 만듦에 있어 유용한 밴드, 색상, 표시, 질감, 에칭면 또는 요철면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이런 표시물은 하나 이상의 몰드 섹션의 연장 영역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밴드로서 마련된다.
이런 식별 표시물을 사용하여, 복수의 몰드 섹션은 다른 것과 용이하고 신속하게 비교될 수 있고 바람직한 렌즈 형상 캐비티를 갖는 하나 이상의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기에 적절하도록 조립되며, 궁극적으로 비용 효과적이고 그리고/또는 대량 제조되는 바람직한 렌즈 또는 렌즈들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몰드 섹션들은 각각 식별 가능하거나 "판독 가능"한 것으로, 예컨대 시각, 촉감 및/또는 기계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그리고/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판독 가능하다. 표시물은 몰드 섹션의 연장 영역의 밴드, 예컨대 채색면, 요철면, 무광택면, 표시면, (다른 상이한 몰드 섹션 상의 유사한 밴드 또는 표면의 폭과 다른 폭을 갖는 것과 같은) 형상면 등인 밴드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서, 몰드 섹션은 자동 식별 가능하도록, 즉 자동화 수단을 이용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몰드 섹션은 레이저 주사 시스템, 다른 자동 주사 시스템 등과 그 조합을 이용하여 판독 가능한 표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조립된 몰드 섹션에 제공된 중합 가능한 조성물의 중합 반응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 유용한 몰드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은 그 자체가 예컨대 자외광과 같은 중합 방사선에 투명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성형된 물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몰드 섹션을 포함하는 성형 조립체들은 예컨대 실리콘 함유 친수성 렌즈,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그 밖의 친수성 렌즈 및 콘택트 렌즈 등과 같은 히드로겔 렌즈,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등을 제조할 때 사용된다. 이는 두 개의 대응하는 몰드 섹션 사이에 한정된 렌즈 형상의 캐비티 내에서 예컨대 중합 가능 조성물인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달성된다. 예컨대 중합 가능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몰드 섹션 중 하나의 오목 렌즈 한정 표면 상에 배치되거나 주입된다. 다른 몰드 섹션은 그 사이에 한정된 렌즈 형상 캐비티 내부에 조성물을 에워싸도록 제1 몰드 섹션의 상부에 배치된다. 충전되고 조립된 몰드 섹션들은 예컨대 충전된 렌즈 형상 캐비티에서 방사상 외향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접촉 영역을 용접하기 위해 초음파 혼(horn)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그후, 충전되어 용접된 몰드 조립체는 화학선, 가시 및/또는 자외선 방사를 이용한 조사 조립체와 같은 중합 조건을 받게 됨으로써 바람직한 렌즈 형상의 중합체 물품을 제조한다.
중합 공정이 완료된 후, 몰드 조립체의 대응하는 부분들은 분리되어 몰드 섹션 중 하나의 몰드에 중합화된 렌즈 형상의 물품을 드러낸다. 그후, 물품은 몰드 섹션으로부터의 제거와 물품의 취출 및 수화처리와 같은 중합 후속 단계를 거치게 된다. 예컨대 중합반응이 완료된 후, 중합체 물품의 취출 가능한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개인의 눈에 설치하기에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수화 처리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용매나 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광학 표면을 갖는 몰드 섹션 또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에 유용한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차후에 예컨대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과용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되는 몰드 섹션을 제조함에 있어 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제조 시스템은 사출 성형 조립체와 사출 성형 조립체에 결합 가능한 성형 부품을 포함한다. 성형 부품은 성형 공구로 지칭되기도 하며, 예컨대 몰드 섹션 형상의 캐비티와 같은 캐비티를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네 개 이상 갖는다. 사출 성형 조립체는 예컨대 열 가소재와 같은 성형재의 공급부에 결합 가능하다. 사출 성형 조립체는 몰드 섹션 형상의 캐비티 내로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예컨대 가압 하에 사출하기에 효과적이다. 열가소성 재료는 캐비티에서 냉각되고, 성형 부품은 개방되고, 냉각되어 응고된 몰드 섹션이 그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는 렌즈 형상면을 갖는 광학 캐비티부와 연장 캐비티부를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유입구를 통해 연장 캐비티부 내로 사출 성형 조립체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유체 열가소성 재료를 유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시스템은 유체 열가소성 중합재의 유동 특성이 몰드 캐비티의 광학부에 도달할 때 최종 몰드 섹션 상에 광학 표면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유동 가능하거나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연장 캐비티부는 유리하게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동이 재료의 평활한 층류를 갖는 플랜지 영역쪽으로 외향 확산될 수 있도록 예컨대 부채형 캐비티부와 같은 구조를 포함한다. 이런 형상은 넓은 영역에 걸쳐 광학 캐비티부로 개구를 확장시킴으로써 광학 캐비티부에 인접한 응력 집중을 저감시키도록 돕는다. 유리하게는 연장 캐비티부를 따라 계단, 비탈면 또는 경사면을 제공하지 않고도 바람직한 유속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몰드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 열가소성 중합재의 유동 특성이 유리하게는 몰드 캐비티 내로 유체 열가소성 중합재를 도입하는 동안의 높은 유동성과 일단 캐비티가 충전된 다음 열가소성 재료의 급속 냉각 및/또는 고화 작용 간의 적절한 균형을 갖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연장 캐비티부의 치수와 유입부의 위치는 광학 캐비티부에서 광학 표면 또는 표면들을 갖는 사실상 중실형인 최종 몰드 섹션 물품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이고 연장부 없이 사실상 동일한 몰드 캐비티를 한정하는 성형 장치에 대해 열가소성 중합재를 고화시키기에 효과적으로 저감된 시간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이도록 정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캐비티부는 약 10:1 또는 약 15:1 또는 약 22:1 내지 약 30:1 또는 약 44:1 또는 약 50:1의 길이 대 깊이 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캐비티부는 약 22:1 내지 약 44:1의 길이 대 깊이 비를 갖는다.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임의의 적절한 열가소성 중합성 재료 또는 이런 재료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성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비제한적인 것으로 열가소성 중합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 비닐 알콜(EVOH)과, 폴리아미드와, 폴리 옥시 메틸렌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과, 염화폴리비닐과,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코폴리머와, 예컨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4-메틸펜텐-1) 등과, 그 혼합물과 같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비닐 알콜(EVOH)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서로 다른 다양한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성형재의 공급원에 연결 가능한 사출 성형 조립체와 사출 성형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서로 조립될 때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유용한 몰드 섹션으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를 한정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예컨대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는 예컨대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각각 복수의 제1 성형 표면과 복수의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조립될 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복수의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예컨대 광학 곡면을 갖는 복수의 볼록 성형 표면인 복수의 서로 다른 제1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성형 조립체는 단일 성형 주기 동안 사실상 동일한 여덟 개의 몰드 섹션을 형성하도록 캐비티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성형 표면은 제1 플레이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인서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각각의 제1 성형 표면은 제1 플레이트의 면에 가공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성형 표면은 제2 플레이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인서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제2 플레이트의 면에 가공되어 일체화되는 표면일 수 있다. 인서트 사용하면 몰드 섹션의 광학 표면의 형상과 치수와 같은 몰드 섹션의 특성을 변경함에 있어 효율 증가와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사실상 대향하는 제1 및 제2 렌즈 한정 표면 모두를 갖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성형하기에 유용하다. 예컨대 한 세트의 제1 인서트는 콘택트 렌즈의 전방 곡면에 대응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한 세트의 제2 인서트는 콘택트 렌즈의 후방 곡면에 대응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몰드 섹션의 제1 및 제2 렌즈 형상면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1 교환 플레이트 및 제2 교환 플레이트 내부에 위치된 제1 성형 인서트와 제2 성형 인서트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제1 인서트와 제2 인서트 각각은 부싱 내부에 제거 가능하게 위치되고, 부싱은 다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 내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서트와 제2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는 인서트 내부로 가공되고 렌즈 모서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면들을 갖는 단일편 요소 또는 단일편 광학체이다. 전문가용 광학 정밀 선반이 이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속 연마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삽입체 모두는 콘택트 렌즈 상에 원형 렌즈 모서리를 제공하거나 곡면 렌즈 모서리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데이터면들을 포함한다. 원형 모서리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유용한 여러 성형 공구와 인서트 및 그 효과가 딘(Dean)의 미국 특허 제6,431,706호에 설명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몰드 섹션 상에 광학적으로 모사된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서트는 구리 니켈 합금, 알루미늄 합금, 순수 니켈 피복 기판, 철 합금, 공업 세라믹, 공업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다.
본 시스템에는 냉각 조립체도 제공될 수 있다. 냉각 조립체는 사출 성형 조립체를 통해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에 효과적이도록 시스템 내부에 위치된 제1 냉각 회로와 제1 냉각 회로에 대해 독립적이고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를 통해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에 효과적인 제2 냉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제1 냉각 시스템이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의 냉각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 상태로 남아 있는 동안 성형 시스템에서 물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냉각 회로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 상에 위치된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며 냉각 유체의 공급원에 연결 가능하다. 제1 냉각 회로는 사출 성형 조립체에 대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냉각 회로는 냉각 유체의 공급원에 대한 복수의 유입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니폴드 결합구 또는 "다중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사출 성형 조립체 내에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원추형인 위치설정기 부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서, 시스템은 성형 공정 동안 시스템에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진공 조립체를 더 포함하되 진공 조립체는 유리하게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가 사출 성형 조립체에 결합될 때 내정값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진공 조립체는 성형 공정 동안 시스템에 연속 진공을 인가하기에 효과적이다. 진공 조립체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와 사출 성형 조립체 사이에 위치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은 진공원에 연결된다. 진공 조립체는 시스템 내부에 축적될 수도 있는 배기 가스를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예컨대 온도 센서는 사출 성형 조립체의 하우징판 상의 또는 그 내부의 전략적 위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표면 감시 열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는 사출 성형 조립체에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를 결합할 때 내정값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인서트 사이에 형성된 성형 물품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은 사출 성형 공구의 이동부에 볼록 인서트, 즉 후방 곡면 인서트를 설치함으로써 크게 용이하게 된다. 이는 몰드 섹션을 이용하여 렌즈에 대한 예컨대 자동화 처리와 같은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촉진시킨다.
일반 작업시, 성형 물품, 즉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볼록 인서트, 즉 전방 곡면 인서트에 부착될 수 있다. 성형 물품이 그 대신 후방 곡면 인서트 상에 보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시스템은 보유 구조물 또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곡면 인서트를 수용하는 부싱은 성형 공정 동안 열가소성 재료의 일부를 포획하기 위해 예컨대 노치나 홈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절결부를 갖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절결부 또는 절결부들은 후방 곡면 인서트에 대한 성형 물품의 보유를 용이하게 하는 데 효과적인 구성과 위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사실상 V 형상의 홈이 마련되며 홈은 약 0.025 ㎜ 내지 약 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 내지 약 0.20 ㎜의 깊이를 갖는다. 예컨대 약 0.075 ㎜의 깊이를 갖는 V 형상의 홈이 마련된다. 홈은 바람직하게는 약 20도 또는 약 30도와 약 70도 또는 약 80도 사이의 경사각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의 경사각은 약 30도 내지 약 60도이고, 예컨대 약 45도이다.
본 발명을 어떤 특정 작동 이론에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 없이, 캐비티 내부의 용탕이 홈 내부에서 응고될 때 이로 인해 성형 물품은 보유되고 따라서 성형기 또는 성형 부품이 개방될 때 제2 인서트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인서트의 부싱에 형성된 예컨대 리지, 돌기 등과 같은 예컨대 융기부인 융기 구조물이 성형 물품을 제2 인서트에 의해 보유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도록 이용될 수 있다. 융기 구조물은 제2 인서트를 수용한 부싱에 위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그 위에 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융기 돌출물은 약 13도 내지 약 45도, 예컨대 약 30도의 언더컷을 구비하고 약 0.05 ㎜ 내지 약 0.5 ㎜, 예컨대 약 0.2 ㎜의 높이와, 약 0.1 ㎜ 내지 약 1.0 ㎜, 예컨대 약 0.6 ㎜의 폭을 갖는다. 융기 구조물은 몰드 섹션에 홈이나 노치를 형성할 때 효과적이다. 예컨대 노치나 홈은 몰드 섹션의 플랜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인서트에는 몰드 섹션의 플랜지부에 복수의 분리된 노치 또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불연속 융기 구조물이 마련된다. 예컨대 몰드 섹션의 플랜지부의 이면(예컨대 몰드 섹션의 볼록면에 인접한 플랜지의 표면)은 볼록면 둘레에 위치된 세 개의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 개의 노치는 서로 대략 120도씩 이격될 수 있으며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노치들은 몰드 섹션의 이면과 접촉하는 플레이트의 표면에 몰드 섹션을 고정할 때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치를 구비한 몰드 섹션은 몰드 섹션의 광학부 둘레에 불연속 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싱에 형성된 홈형 또는 리세스형 구조물 및 융기 구조물 모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를 연속적으로 에워싸지 않고 불연속적이거나 이격될 수 있다.
제2 인서트 상에 성형 물품을 보유하는 동일한 수단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많은 기구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기의 구성요소인 성형 표면들은 유리하게는 사출 성형 시스템을 통해 이용되는 예컨대 냉각 회로인 냉각 시스템을 매개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유지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인서트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그 둘레에 유체 냉매가 순환되는 원주형 냉각 유로가 한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 유로는 인서트를 보유한 부싱에 한정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들 자체는 그 내부에 유체 순환 유로가 한정되어 있지 않거나 사실상 갖고 있지 않다.
상술한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있어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을 사용하는 것에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 캐비티 안으로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몰드 섹션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이용하여 처방이 서로 다른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각각의 그리고 모든 특징들과 둘 이상의 이런 특징들의 각각의 그리고 모든 조합은 이런 조합에 포함된 특징들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여하한 특징들과 이들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여하한 실시예로부터 특별히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그리고 다른 태양은 특히 도면을 참조하여 볼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자명하게 드러나 있으며, 도면에서 유사 부품은 유사 도면부호에 의해 지시된다.
도1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 곡면의 원판인 오목 성형 표면을 도시한 몰드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몰드 섹션의 단면도이다.
도3은 서로 적층된 두 개의 몰드 섹션을 포함하는 성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몰드 조립체가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몰드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5는 각각의 몰드 섹션이 몰드 섹션의 특징에 대한 구별 및/또는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시물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세트의 몰드 섹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7은 공구가 광학 표면의 회전 오배향을 방지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6에 도시된 성형 시스템의 공구, 즉 인서트 본체 및 광학 표면 구비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8은 수냉 라인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중 결합 특징부를 도시한 것을 나타내는, 성형 시스템의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네 개의 몰드 섹션의 세트들 각각에 하나의 밸브 게이트 클러스터가 형성된 두 세트의 네 몰드 섹션을 도시한, 새로 형성된 여덟 개의 몰드 섹션이 배 치된 교환 플레이트 중 하나의 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10은 렌즈 형상 캐비티에 형성된 콘택트 렌즈에 대해 평활 모서리면을 생성하는 몰드 섹션의 특징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4에 도시된 몰드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0A는 렌즈 모서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몰드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성형 표면 분리시 성형 부분을 후방 곡면 인서트에 부착시키기에 효과적인 언더컷 링을 도시하는 도6에 도시된 몰드 캐비티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12는 성형 표면 분리시 성형 부분이 후방 곡면 인서트에 성형 부분을 보유하기 위해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된, 노치부를 제외한 도11에 도시된 확대도에 유사한 몰드 캐비티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콘택트 렌즈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이 포괄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되어 도시된다. 몰드 섹션(10)은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의 원판으로 도시된 제1 렌즈 한정 표면(16)을 갖는 광학 영역(14)을 포함하는 몰드 섹션 본체(12)를 포함한다. 몰드 섹션 본체(12)는 광학 영역(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플랜지 영역(18)과, 광학 영역(14)에서 연장되어 플랜지 영역(18)에 사실상 평행하게 정렬된 사실상 비삼각형인 연장 영역(24)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몰드 섹션, 시스템 및 방법은 원환 체, 비구면, 이중초점, 다초점 및 채색 콘택트 렌즈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렌즈는 비실리콘 히드로겔 재료 또는 실리콘 히드로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이다.
몰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비닐 알콜(EVOH)을 포함한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들을 포함한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의 실시예들은 니뽄 고세이사(Nippon Gohsei, Ltd.)(일본)에서 상표명 소어라이트(상표명)(SOARLITE™)로 판매되는 EVOH계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성형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옥시 메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스티렌, 염화폴리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코폴리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4-메틸펜텐-1) 등과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몰드 섹션(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 섹션이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형 및 암형 성형 표면 모두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니버설 몰드 섹션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몰드 섹션의 광학 영역(14)은 제1 렌즈 한정 표면(16)과 이에 사실상 대향하는 제2 렌즈 한정 표면(1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렌즈 한정 표면(16)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 곡면(전방 곡면)의 원판이고 제2 렌즈 한정 표면(17)은 콘택트 렌즈의 후방 곡면(후방 곡면)의 원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드 섹션(10)은 하나의 몰드 섹션(10) 상에 렌즈의 전방 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 성형 표면(16) 및 렌즈의 후방 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 성형 표면(17) 모두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양쪽 면은 렌즈가 안과적으로 허용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추가적인 표면 개질 또는 처리를 요하지 않고도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두 개의 면을 갖는 실리콘-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에 충분히 평활하다.
본 발명의 관련 태양에 따른 몰드 조립체(26)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몰드 조립체(26)는 이하 일반적으로 "제1 몰드 섹션(10)"으로 지칭되는 몰드 섹션(10) 및 이와 유사하거나 사실상 동일한 제2 몰드 섹션(10')을 포함한다.
도4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조립체(26)는 제1 몰드 섹션(10)의 제1 렌즈 한정 표면(16)과 제2 몰드 섹션(10')의 제2 렌즈 한정 표면(17') 사이에 형성되는 예컨대 하나의 콘택트 렌즈인 단일 렌즈를 제조할 때 사용된다. 각각의 한정 표면(16, 17')은 이런 몰드 섹션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렌즈에 전사될 수 있는 결함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고 광학 표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최종 몰드 섹션의 렌즈 한정 표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인 "광학 품질"이란 중합 가능 단량체 조성물이 렌즈 한정 표면과의 접촉 상태에서 형상 및 (필요한 경우, 수화처리시) 치수를 갖는 제품으로 중합될 때, 사용할 준비가 된 콘택트 렌즈의 굴절 특성 및 수분 함량을 총괄하여 "광학 품질"이라고 할 수 있도록 그 표면이 충분히 평활함을 의미한다. 광학 렌즈는 어느 정도의 표면 평활도와 윤곽 정밀도를 가지며, 왜곡없이 그리고/또는 렌즈 착용자에 대해 사실상 불편을 끼지지 않고 원하는 굴절율 보정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흠결을 사실상 갖고 있지 않다. 간섭 측정법과 같은 공지된 분석 기술이 표면 평활도와 윤곽 정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몰드 섹션(10)의 연장 영역(24)은 연장 영역의 팁 또는 근단 영역(27)과 연장 영역과 플랜지 영역(18)의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를 갖는다. 길이(L)는 그 크기가 적어도 렌즈 한정 표면(16)의 직경 정도이다. 연장 영역(24)의 길이(L)는 약 20 ㎜ 내지 약 4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 내지 약 35 ㎜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길이(L)는 약 30 ㎜이다.
연장 영역(24)은 사실상 균일한 폭을 갖는 제1 부분(28)과, 제2 부분과 플랜지 영역(18)의 연결부에서 제2 부분(30)이 플랜지 영역(18)의 폭과 사실상 동일한 폭을 갖도록 말단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말단 방향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제2 부분(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장 영역(24)의 제1 부분(28)은 사실상 평행한 서로 대향하는 종방향 주연 모서리들 사이에 약 5 ㎜와 약 15 ㎜ 사이의 균일한 폭을 갖는다. 제2 부분(30)은 제1 부분(28)의 사실상 평행한 주연 모서리에서 측정할 때 약 10도 내지 20도의 각도로 확대되는 서로 대향하는 주연 모서리들을 갖는다.
제1 부분(28)은 약 0.5 ㎜ 내지 약 2.0 ㎜, 바람직하게는 약 0.8 ㎜ 내지 약 1.6 ㎜의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28)은 제2 부분(30)의 두께보다 어느 정도 큰 두께를 갖는다. 몰드 섹션의 사발 영역의 두께 또는 몰드 섹션의 오목면과 볼록면 사이의 두께와 같은 광학 영역의 두께는 약 1.5 ㎜ 내지 약 1.7 ㎜이다. 일 실시예에서 두께는 약 1.6 ㎜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영역(24)의 길이(L) 대 연장 영역(24)의 평균 두께의 비는 약 22:1과 약 44:1 사이의 비율이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조립체(100)가 몰드 섹션(110a, 110b, 110c)으로 나타낸 복수의 몰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콘택트 렌즈의 성형에 유용한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몰드 섹션(110a, 110b, 110c)은 예컨대 다른 몰드 섹션들의 렌즈 한정 표면들에 대해 구별되는 몰드 섹션의 특징과 같이 몰드 섹션의 렌즈 한정 표면의 특징을 식별 및 구별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효과적인 표시물(40a, 40b, 40c)을 각각 포함한다. 예컨대 몰드 섹션(110a)은 몰드 섹션(110c)의 표시물(40c)과 같이 몰드 섹션(110b)의 표시물(40b)과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표시물(40a)를 포함한다. 예컨대 표시물(40a)은 몰드 섹션(110a)의 렌즈 한정 표면(116a)의 반경 또는 광학 곡면을 식별하기에 효과적이다. 마찬가지로, 표시물(40b)은 몰드 섹션(110b)의 렌즈 한정 표면(116b)의 다른 반경 또는 광학 곡면을 식별하기에 효과적이다. 마찬가지로, 표시물(40c)은 몰드 섹션(110c)의 렌즈 한정 표면(116c)의 반경 또는 광학 곡면을 식별하기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표시물(40a, 40b, 40c)들은 몰드 섹션(11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성형기 또는 성형 공구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이하의 논의에서는 특히 몰드 섹션(110a)만을 언급하기로 하지만, 본 논의는 몰드 섹션(110b, 110c)에도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표시물(40a)은 일반적으로 연장 영역(124)의 인접한 제2 표면부(46)에 대해 연장 영역(124)을 따라 요철 처리, 무광택 처리, 채색 코드 처리, 에칭 처리, 질감 처리 등이 수행된 제1 표면부(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시물(40a)은 요철 및/또는 미연마 스트립이나 밴드에 의해 한정된 제1 표면부(44)를 포함하며 이에 인접한 제2 표면부(46)는 상대적으로 평활하고 연마된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표시물(40a)은 몰드가 형성된 공구의 에칭 대응면에 의해 성형 공정 동안 몰드 섹션(110a)에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표시물(40a)은 기계 판독 가능하며, 따라서 렌즈 또는 렌즈 몰드 섹션의 자동화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유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몰드 섹션(110a)은 특별한 전방 곡면, 후방 곡면 또는 그 조합을 갖는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섹션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물(40a)은 레이저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기계 판독 가능하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에서, 표시물(40a)은 레이저 빔 스캐너와 함께 광 센서를 이용하는 적절한 장치에 의해 "판독"된다. 레이저 빔이 연장 영역(124)을 따라 통과하면, 레이저 빔은 연마 표면부(46)를 횡단할 때 재반사되어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빔이 요철 또는 미연마 표면부(44)를 횡단할 때, 빔은 산란됨으로써 센서로의 "무반향" 또는 "비복귀 신호"가 된다. 따라서 소정 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요철 표면부 및 하나 이상의 연마 표면부 또는 연장 영역 상에 뚜렷한 위치를 갖는 요철 표면부를 구비한 몰드 섹션을 제공함으로써, 몰드 섹션들은 식별되거나 그리고/또는 서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리하게는, 표시물(40)은 몰드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및 연마 성형 표면을 이용함으로써 몰드 섹션의 성형 동안 몰드 섹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몰드의 안과적 표면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외에, 표시물은 몰드 섹션 출처, 몰드 섹션 구성 재료, 그리고/또는 자동 렌즈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렌즈 가공 동안 오차 발생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몰드 섹션의 그 밖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들과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기가 본 발명에 따른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545,366호 및 제5,451,155호에 설명된 성형 장치와 그 태양 및 특징은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을 제조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개선된 사출 성형 시스템이 포괄적으로 도면부호 210으로 지시된다. 시스템(210)은 일반적으로 성형재 공급원(214)에 연결 가능한 사출 성형 조립체(212)를 포함한다. 성형재의 플라스틱 팰릿이 호퍼(미도시)에 수용되어 호퍼로부터 사출 성형 조립체의 히터로 공급된다. 본 특정 실시예에서, 성형재는 히터에 의해 약 255 ℃의 온도까지 용융되는 EVOH이다. 그러나 온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유용한 온도는 약 255 ℃ 내지 약 285 ℃이다.
시스템은 사출 성형 조립체(214)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를 더 포함한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전체 성형 시스템(210)으로부터 온전한 단일 조립체로서 신속히 제거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 되는 바와 같이,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의 구조는 바람직한 광학 공구를 이용하여 시스템(210)의 신속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하나의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사출 성형 조립체(212)에 연결되고 다른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오프-라인" 상태이면서 상이한 세트의 광학 공구가 탑재되는 방식으로 두 개의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가 이용될 수 있다. 통상, 다른 오프 라인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에 대한 하나의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교체와 연결 작업은 약 20분보다 적게 걸릴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교환 플레이트의 면들은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 및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성형 표면에 고품질 마무리를 부여하는 질화티탄 면을 갖는다. 질화티탄 면은 예컨대 약 56 Rc까지 경화될 수 있다.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217)에 형성된 몰드 섹션(10)(도1 참조)의 렌즈 한정 표면(16, 17)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구를 수용한다. 몰드 섹션(10)의 연장 영역(24)은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217)의 광학 영역(217b)으로 용융 EVOH와 같은 액체 성형재를 공급하는 고온 러너 채널(217a)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러너 채널(217a)을 이용하여 한정되는 성형 표면은 예컨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섹션의 연장 영역 상에 표시물을 형성하기 위해 불연속 연마면(약 6 ㎛ Ra의 고연마)과 불연속 요철면(약 2.20 ㎛ Ra)을 갖는다. 요철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1 ㎜ 내지 약 8 ㎜이다.
일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그 사이에 복수의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제1 플레이트는 예컨대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성형 표면을 포함하며 제2 플레이트는 예컨대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각각 복수의 제1 성형 표면과 복수의 제2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조립될 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복수의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예컨대 서로 다른 광학 곡면을 갖는 복수의 볼록 성형 표면과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성형 표면은 제1 플레이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에 의해 제공된다. 다르게는, 각각의 제1 성형 표면은 제1 플레이트의 면에 가공되어 일체가 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성형 표면은 제2 플레이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서트에 의해 제공되거나 제1 플레이트의 면에 가공되어 일체화되는 표면이다.
예컨대 도6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전방 곡면 인서트 본체(221)에 장착되고 캐비티 부싱(222)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방 곡면 성형 인서트(2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하 "캐비티판"이라고도 하는 제1 플레이트(218)를 포함한다[도6에는 단지 하나의 전방 곡면 성형 인서트(220)와 인서트 본체(221)만 도시됨]. 제1 플레이트(218)는 암형 플레이트라고 도 지칭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8)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의 제2 플레이트(224)와 비교해서 사출 성형장치에 인접해서 위치된다. 코어 플레이트라고도 하는 제2 플레이트(224)는 인서트 본체(227)에 장착되고 코어 부싱(228)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후방 곡면 성형 인서트(226)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도6에는 단지 하나의 후방 곡면 성형 인서트(226)와 인서트 본체(227)만 도시됨]. 본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싱(228)의 일부 둘레에 배치된 스트리퍼 부싱(232)을 갖는 "스트리퍼판", 즉 제3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한다. 스트리퍼판(230)은 몰드 공구로부터 최종 몰드 섹션의 탈형을 용이하게 만든다. 스트리퍼판과 인서트의 조합을 금속판으로 지칭할 수 있다. 스트리퍼판(230)은 인서트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서트로부터 몰드 섹션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6에는 후방 곡면 인서트(226)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인서트 본체(227)의 말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인서트 본체(227)는 인서트 본체(227)를 배치 상태로 유지하는 부싱(228)에 대한 인서트 본체(227)의 오정렬을 방지하는 위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위치 특징부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226)와 그 성형 표면이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에 적절히 정렬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인서트가 그 광학 표면 상에 비회전식 대칭 형태를 내포할 수 있는 원환체 렌즈 몰드 섹션을 성형할 때 특히 유용하다.
예컨대 인서트 본체(227)는 본체(227)의 종방향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된 편평 영역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본체(227)는 일반 적으로 D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코어 부싱(228)은 본체(227)와 제1 인서트(226)가 설치되는 대응하는 D형 단면을 갖는 캐비티를 한정한다. 다른 구성도 고려되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곡면 인서트(226)도 인서트 본체(227)에 대한 렌즈 형상면의 오정렬 또는 오배향을 방지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곡면 인서트(226)와 인서트 본체(227)[현재 시스템(210)에서 제거된 것으로 도시됨]는 인서트(226)가 단지 일 위치에서 인서트 본체(227)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오프셋 홈(235a)과 이에 대응하는 오프셋 돌기(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서트가 그 광학 표면 상에 비회전형 대칭 형상을 내포할 수 있는 원환체 렌즈 몰드 섹션을 성형할 때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인서트 본체(227)는 정확한 회전 배향을 용이하기 하기 위해 코어 부싱(228)에 D형 개구에 대응하는 예컨대 D형 플랜지(239) 형태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다양한 다른 정렬 특징부가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성형 시스템(2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세 개의 교환 플레이트의 적절한 위치설정을 서로에 대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교환 플레이트들의 적절한 정렬과 보정을 보장하기 위해 유용한 원추형인 위치설정기 부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시스템(210)은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217) 안으 로 주입되는 중합성 재료의 바람직한 유동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합성 재료를 효과적인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냉각 시스템은 사출 성형 조립체(212) 내부의 채널이나 유로를 통해 예컨대 물과 같은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기에 효과적이도록 위치된 제1 냉각 회로와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 내부의 채널이나 유로를 통해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는 데 효과적인 제2 냉각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냉각 회로(272)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가 다른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로 교체될 때 사출 성형 조립체(212)가 계속 냉각될 수 있도록 제2 냉각 회로(276)에 독립적이다.
예컨대 냉각 시스템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싱(228), 스트리퍼 부싱(232) 및 캐비티 부싱(222)에 한정된 채널(27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독립적인 냉각 시스템이 사출 성형 조립체(212)를 냉각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서트(220, 226)와 인서트 본체(221, 227) 자체는 내부에 유체 순환 유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의 제거 및 삽입 동안 교환 플레이트(218, 224, 230)에 대해 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분리 및 재연결하는 작업은 정지시간을 최소화하고 물 손실을 방지하고 공통적으로 보이는 연결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정지시간을 쉽게 줄이고 물 손실 및 오인 연결을 쉽게 낮추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매니폴드 커플링, 즉 "다중 커플링" 물 연결부가 이용된다. 이런 다중 커플러의 하나가 도8에 도면부호 244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다중 커플러(244)는 밸브식 수형 커넥터(247)를 포함한다.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 예컨대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코어 플레이트는 코어 플레이트 내부의 냉각 회로(도8에는 미도시)와 연통된 대응하는 밸브식 암형 커넥터(249)를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247)와 암형 커넥터(249)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자기 실링형 밸브식 커플러이다. 암형 커넥터(249)는 플레이트 제거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교환 플레이트의 표면 안쪽에 배치된다.
모든 물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최소의 작업자 움직임 및/또는 작업자 노력으로 신속한 연결/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시스템(210)의 작업자 측과 같은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영역에 위치된다.
세 개의 교환 플레이트(218, 224, 230)이 있기 때문에, 세 개의 이런 다중 커플링이 이용된다. 오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다중 커플링에는 라벨이 부착되고 그리고/또는 잘못된 교환 플레이트에 대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그 연결부 간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다. 그러나 다중 커플링은 정확한 교환 플레이트에서 순서가 변경될 수 있지만, 이는 냉각 공구의 효율성을 훼손하지 않고도 순서 변경을 허용하는 교환 플레이트와 다중 커플링 사이의 유입 및 유출 연결부의 대칭 설계로 인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는 사출 성형 조립체(212)의 고온 러너 시스템까지 별도의 회로에서 냉각된다. 유리하게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가 제거될 때, 시스템(210)의 잔여부는 계속 냉각됨으로써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9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210)은 다음에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8-캐비티 성형 시스템과 같은 복수 캐비티 성형 시스템이다. 도9는 스트리퍼판(230)의 면에 배치된 성형된 몰드 섹션(10)들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두 세트의 네 개의 몰드 섹션(10)이 네 개의 밸브 게이트 핀(도9에 미도시)에 연결 가능한 두 개의 밸브 게이트 클러스터(280)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네 개의 핀은 커플링판을 이용하여 하나의 공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따라서 네 개의 캐비티들은 개별적으로 그러나 동시에 충전된다. 밸브 게이트 클러스터들은 사출 성형 시스템(210)에 모듈 양식으로 간단히 부가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최고 12, 16, 24개 등의 캐비티 공구에 맞춰진다.
본 발명의 이런 특징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내용은 사출 성형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시스템(210)은 성형 공정 동안 시스템에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진공 조립체(28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진공 조립체는 유리하게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가 사출 성형 조립체(212)에 결합될 때 내정값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진공 조립체(288)는 성형 공정 동안 시스템(210)에 연속 진공을 인가하기에 효과적이다. 진공 조립체(288)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와 사출 성형 조립체(212) 사이에 위치된 채널(28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289)은 진공원(290)에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채널은 스트리퍼판(230)의 전방 표면에 절개된 사실상 U형상의 채널이다. 진공 조립체는 시스템 내부에 축적될 수 있는 배기 가스를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216)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효과적인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예컨대 온도 센서는 사출 성형 조립체의 하우징판 상에 또는 그 내부의 전략적 위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표면 감시 열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조립체에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를 결합할 때 내정값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위치되고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후방 곡면 인서트(226)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제조된다. 도시 안된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226)는 다부품 설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인서트(220, 226)는 각각 콘택트 렌즈의 전방 곡면 또는 후방 곡면 중 하나를 한정하는 광학 표면과, 제1 성형 물품이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2 성형 물품과 조립될 때 렌즈 모서리를 한정하게 될, 이하 데이터면으로 지칭되는 원주면을 포함하는 단일편 인서트들이다. 제1 및 제2 인서트(220, 226)는 제조되는 렌즈의 광학 표면뿐 아니라 성형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의 임계 모서리를 각각 한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들은 다편 인서트들이다.
몰드 섹션들은 몰드 섹션 중 둘 사이에 형성된 렌즈의 임계 모서리면을 한정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렌즈의 모서리 프로파일을 평활하게 하기 위한 연마 작업을 위한 후속 제조 단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10과 도11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는데, 도10은 그 사이에 렌즈 형상 캐비티(28)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때 몰드 섹션(10, 10')의 대응 성형 표면의 확대도이고 도11은 몰드 섹션(10, 10')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서트들의 대응하는 데이터면의 확대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0은 동일한 몰드 섹션(10, 10')으로 제조되는 성형 조립체(26)의 렌즈 형상 캐비티(28)의 원형 모서리 형상(28a)을 도시한다.
도10A는 몰드 조립체(26)와 사실상 동일한 몰드 조립체(126)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나, 몰드 조립체(126)는 몰드 섹션(110, 110')의 용접 동안 렌즈 모서리(412)의 변형을 사실상 방지하기 위한 추가 특징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몰드 조립체(126)는 렌즈 형상 캐비티에서 방사상 외향 위치된 제1 접촉 영역(422)과 제1 접촉 영역(422)에서 방사상 외향 위치되어 이격된 제2 접촉 영역(424)을 포함한다.
몰드 조립체(126)에서, 제2 접촉 영역은 제1 접촉 영역, 즉 제1 결합면들의 모서리에서 조금 떨어져서 위치된다. 따라서 조립체(126)가 용접 동안 설치될 때, 제2 결합면의 접촉이 이루어지기 전에 과부하로 인해 모서리에는 단지 부분적인 변형(최대 20 ㎛, 유격)만이 이루어짐으로써 렌즈 모서리로부터 힘을 멀리 전달하고 그 추가 변형을 사실상 방지한다. 이들 특징부는 일편 광학체 상에 가공된다. 따라서 외향 위치된 접촉점(424)은 렌즈 모서리 접촉점(422)으로부터의 압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렌즈 모서리에서의 결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은 렌즈 모서리에 또는 이에 인접 위치된 단지 하나의 접촉점만을 갖는 몰드 섹션들에 비해 두 개의 몰드 섹션이 함께 배치될 때 렌즈 모서리 접촉점에서의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거나 그런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것임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몰드 조립체는 몰드 섹션의 광학 영역의 원주 둘레에 위치된 두 개의 접촉 영역을 갖는 두 개의 몰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각각의 인서트(220, 226)는 콘택트 렌즈의 전방 곡면 또는 후방 곡면 중 하나를 한정하는 광학 표면과, 제1 성형 물품[예컨대 도4의 몰드 섹션(10)]이 사실상 동일한 제2 성형 물품[예컨대 도4의 몰드 섹션(10')]과 조립될 때 렌즈 모서리를 한정하는 이하 "데이터면"으로 지칭되는 원주면을 포함한다. 이하 "데이터면"으로 지칭되는 임계부들은 각각 도면부호 292 및 294에서 일편 광학 인서트(220, 226) 각각에 마련된다.
데이터면(292, 294)들은 바람직하게는 전문가용 광학 정밀 선반에 의해 인서트(220) 상에 가공된다. 결국, 인서트들의 시상 높이가 고정됨으로써 그것에 의해 성형된 콘택트 렌즈의 중심 두께가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콘택트 렌즈의 정확한 중심 두께를 얻기 위해 어떠한 인서트 정렬도 필요하지 않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캐비티(217)에는 사출 성형 조립체(212)의 밸브 게이트(302)에 의해 용융 열가소성 재료가 공급된다. 밸브 게이트(302)는 캐비티의 연장부 또는 러너(217a)의 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된다. 밸브 게이트(302)는 러너(217a)의 길이에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러너(217a) 안으로 고온 성형재를 사출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304)는 열가소성 재료의 충전율을 증가시키고 전단 변형을 적게 하여 보다 양호한 광학 표면을 제공하는 약 0.6 ㎜ 내지 약 1.6 ㎜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밸브 게이트(304)는 게이트 흔적, 즉 "게이트 흘림"으로 인해 성형 물품에 부착될 수 있는 소정량의 재료를 사실상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게이트 크기는 캐비티를 통해 유동하는 용융 열가소성 재료 내의 전단 응력을 저감하도록 설정된다. 게이트 크기의 제어는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유속 제어를 돕는 핀에 의해 달성되는에, 이로써 (온도 및 열제거 속도와 함께) 몰드 섹션의 최종 치수 특성에 대한 제어를 돕고 성형 물품의 가공을 최적화한다.
또한, 밸브 게이트(302)에서 몰드 캐비티의 광학부까지 거리는 부싱(222, 232) 둘레에 충분히 큰 냉각 채널(272)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이는 몰드 캐비티(217b)를 아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성형재가 EVOH를 사용하고 용융 온도가 약 255 ℃인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사출 속도는 약 0.55초이고 냉각 시간은 약 2.5 내지 약 5.5초이고 사출 성형 조립체에서 시스템 내의 보유 압력은 약 60 Bar이다. 이들 값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값의 용융 온도, 사출 속도, 냉각 시간, 보유 압력 및/또는 다른 매개변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런 값들은 경험적으로 하나의 매개변수를 변경하고 변경이 어떻게 몰드 섹션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지 판단함으로써 몰드 섹션의 바람직한 중량과 반경 일관성을 얻도록 변경될 수 있다. 몰드 섹션에서 몰드 섹션까지 약 5% 이하의 오차를 갖는 중량 일관성 및/또는 약 5% 이하의 오차를 갖는 반경 일관성을 갖는 유니버설 몰드 섹션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 섹션 형상 캐비티(217)는 사실상 균일한 폭과 깊이를 갖는 공급부를 통해 러너(217a)를 거쳐 밸브 게이트(302)에 의해 공급된다. 공급부의 하류에서 러 너(217a)는 발산되어 몰드 섹션 캐비티(217)의 주요 렌즈 형성부(217a)쪽 방향으로 외향 확장된다. 러너(217a)는 공급부의 서로 대향된 종방향 모서리들로부터 약 10도 내지 20도의 각도로 발산한다. 러너(217a)의 발산부에서 캐비티(217)는 공급부보다 작은 깊이를 가짐으로써 도1에 도시된 몰드 섹션(10)에 부채 형상의 비교적 얇은 영역(30)을 형성한다.
캐비티(217)의 러너(217a)(즉, 연장부)의 치수와 유입구(304)의 크기 및 위치는 본 발명의 다른 곳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몰드 캐비티의 연장 부분 없이 동일한 성형 공구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에 대해 보다 높은 광학 표면을 갖는 최종의 사실상 중실형인 성형 물품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도록 정해진다.
폭이 균일한 상류부와 폭이 확대되는 하류부를 갖는 러너(217a)의 형상은 중요한 기능을 충족한다. 일반적으로 부채 형상의 하류부의 폭은 정점 영역에서 캐비티의 플랜지부와 광학부 내로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는 몰드 캐비티의 나머지 부분으로 점차 발산한다. 예컨대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공급 압력, 유속 및 온도와 이로부터 나온 열의 속도와 연계하여 러너의 치수에 의해 부여되는 유동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단일 몰드 섹션 상에 적어도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대향하는 광학 표면을 갖는 완성된 몰드 섹션의 바람직한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러너의 치수는 최종 몰드 섹션의 표면에 싱크 마크, 치수 불일치성 및 허용될 수 없는 불규칙 형상을 가져올 수 있는 유동하는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의 분출을 저감하고 바람직하게는 제거함에 있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후방 곡면 인서트(226)는 사출성형기(210)의 이동 부품 상에 위치된다. 이런 배치는 전방 곡면 인서트(220)가 사출 성형 공구의 이동 부품 상에 배치되는 경우 요구되는 다단계가 아닌 단일 단계를 이용하여 예컨대 로봇식 조절 장치에 의해 사출 성형 공구로부터의 성형 물품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통상의 작업에서, 성형 물품은 자연적으로 볼록 성형 표면을 포함하는 전방 곡면 인서트(220)에 부착된다. 이보다 성형 물품을 후방 곡면 인서트(226) 상에 보유시키기 위해 성형 표면 상의 또는 성형 표면 내부의 효과적인 기계적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10을 참조하면, 부싱(227)은 후방 곡면 인서트(226)에 대해 성형 물품을 보유하기 위한 원주 홈(314)을 포함한다. 홈(314)은 사실상 V형 홈 형태의 하나의 연속적인 언더컷이거나 부싱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이격홈일 수 있다. 예컨대 홈(312)은 약 0.025 ㎜ 내지 약 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75 ㎜의 깊이와, 최대 약 8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의 경사각을 갖는다. 캐비티(217) 내부의 용융재가 홈(312) 내부에서 응고될 때, 성형 물품은 이로 인해 보유됨으로써 성형기가 성형 물품을 드러내기 위해 개방될 때 전방 곡면 인서트(220)가 아닌 후방 곡면 인서트(226)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성형 물품이 후방 곡면 인서트(226)에 의해 보유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도록 하기 위해 융기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형상의 융기부(318)가 제공된다. 상술한 홈(318)과 마찬가지로, 융기 구조물(318)은 연속 원주형 구조물이거나 이와 달리 불연속 또는 이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원주 리세스 또는 환형 부를 한정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융기 구조물(318)이 마련된다. 예컨대 이런 후방 곡면 인서트 상에 형성된 또는 성형된 몰드 섹션은 몰드 섹션의 후방 곡면 상의 플랜지면 내부에 예컨대 세 개의 이격된 리세스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비원주형 리세스를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융기 구조물(318)은 부싱의 둘, 셋 이상의 등간격 이격부에 배치되어 원주의 약 10% 내지 약 90%를 덮는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보유 기구는 각각 부싱의 원주를 중심으로 약 30도의 호를 한정하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세 개의 융기 구조물(318)을 포함한다. 이런 특정 실시예에서, 융기 구조물(318)은 약 0.2 ㎜ 내지 약 0.5 ㎜의 높이와 약 0.6 ㎜의 폭을 갖는다. 융기 구조물(318)은 약 15도 내지 약 8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도의 서로 대향된 언더컷 각도(α)를 갖는다.
후방 곡면 인서트에서 응고된 몰드 섹션을 제거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예컨대 여덟 개의 후방 곡면 인서트인 후방 곡면 인서트들을 수반하는 코어 플레이트가 전방 곡면 인서트들을 수반하는 캐비티판에서 분리 이동된다. 몰드 섹션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예컨대 보유 특징부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 곡면 인서트 상에 보유된다. 복수의 진공 포트를 구비한 사실상 편평면을 갖는 플레이트와 작동체를 포함하는 진공 보조 로봇이 캐비티판과 코어 플레이트 사이로 진입한다.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본 예에서 여덟 개인 진공 포트는 로봇판이 여덟 개의 몰드 섹션의 전방 곡면측 상의 플랜지 영역의 노출면과 접촉할 때 몰드 섹션을 보유하도록 위치된다. 진공 포트는 광학 인서트에 대해 이동하는 스트리퍼 판의 작용과 협동으로 후방 곡면 인서트로부터 몰드 섹션을 회수하여 상승시킨다. 로봇 아암이 코어 플레이트에서 멀리 선회하면 진공 헤드는 적층된 몰드 섹션을 보유하도록 설계된 수직 적층 트레이 또는 카세트 내에 후방 곡면측을 하향한 상태로 몰드 섹션을 내려놓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카세트의 크기와 구조는 64 x 8 개의 개별 몰드 섹션의 적층체를 보유하도록 정해진다. 유리하게는, 몰드 섹션들은 전방 곡면측(오목측)이 상향 대면한 상태로 적층됨으로써 하류 충전 단계를 크게 용이하게 만든다.
적층 카세트가 채워진 후, 카세트는 별도의 충전 및 폐쇄 영역으로 운반되며, 이곳에서 몰드 섹션들은 카세트에서 기계적으로 적층 분리되고 콘택트 렌즈 시작재로 충전되어 대응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들에 의해 폐쇄된다. 각 몰드 섹션의 연장 영역 상에 위치된 표시물은 적층, 적층 분리, 충전 및/또는 폐쇄 단계 동안 대응하는 몰드 섹션들 간의 적절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컨대 레이저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판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으로 볼 때,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과, 몰드 섹션의 조립체와,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두 개의 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또는 광학 렌즈 한정 표면과, 렌즈 한정 표면을 사실상 에워싸는 플랜지와, 플랜지와 접촉하고 렌즈 한정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이런 몰드 섹션은 핸들부를 갖는 유니버설 몰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사실상 동일한 또는 정확히 동일한 두 개의 몰드 섹션이 서로 결합되어 핸들이 연장되어 있고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몰드 조립체를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기존의 몰드 섹션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두 개의 광학 렌즈 한정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소정 실시예에서, 몰드 섹션은 플랜지에 위치된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리세스들은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연속적 환형 리세스는 아니다. 각각의 몰드 섹션에는 제2 몰드 섹션에 대한 하나의 몰드 섹션의 압력이 렌즈 모서리에서 저감되어 렌즈 모서리에서의 결함을 저감하고 추가적인 모서리 가공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도록 방사상 이격된 복수의 접촉점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 부재는 제조 공정 동안 특별한 렌즈나 몰드 섹션의 추적 및 식별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기계 판독 가능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한 본 시스템의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몰드 섹션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몰드 섹션 캐비티를 한정하는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와 사출 성형 조립체를 포함한다. 기존 제조 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의 몰드 섹션은 두 개의 광학 표면을 갖기 때문에, 사출 성형 조립체의 히터는 광학 표면에서 떨어져 위치될 필요가 없다. 즉 히터는 몰드 섹션 캐비티의 양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는 유동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비탈면이나 경사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태양은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소정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처방이 주어진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많은 몰드 캐비티에 복수의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광학 전방 표면의 원판인 제1 렌즈 한정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광학 후방 표면의 원판인 사실상 대향된 제2 렌즈 한정 표면과, 제1 및 제2 렌즈 한정 표면을 에워싸는 플랜지 영역을 포함한다. 제1 렌즈 한정 표면은 제1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렌즈 한정 표면은 제2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군의 콘택트 렌즈를 위한 처방수는 몰드 캐비티 수의 제곱이다.
특정 실시예로서, 콘택트 렌즈 몰드 제조 시스템이 여덟 개의 성형 캐비티를 포함하고 각각의 성형 캐비티가 전방 곡면 인서트와 후방 곡면 인서트를 갖고 각각의 인서트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경우, 이런 렌즈 몰드에서 제조되는 콘택트 렌즈에 대해 64개의 서로 다른 렌즈 배율이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방 곡면 인서트 중 어느 하나를 후방 곡면 인서트 중 어느 하나와 쌍을 이룸으로써, 인서트 설치 또는 교체로 인한 제조 소모시간을 적게 하고도 복수의 렌즈 배율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모두 동일한 렌즈 배율을 생산하는 몰드 캐비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에 비교할 때 특히 자명하다.
본 방법의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몰드 캐비티는 제거 가능한 광학 인서트를 포함하며 일군의 콘택트 렌즈를 위한 처방의 수는 광학 인서트를 제거하지 않고도 얻어진다.
본 방법은 일편 몰드 또는 유니버설 몰드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 다.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전방 곡면 인서트 및 후방 곡면 인서트의 다양한 조합은 일편 몰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 캐비티의 수의 제곱과 같은 배율 또는 렌즈 처방의 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 태양과 장점은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전체적으로 원용되고 균일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원된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출원들인, 발명의 명칭이 "콘택트 렌즈 몰드 조립체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이고 일련번호 D-4125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0,648호와, 발명의 명칭이 "중합 가능 조성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이고 일련번호 D-4126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0,644호와, 발명의 명칭이 "렌즈 몰드로부터 렌즈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Lenses from Lens Molds)"이고 일련번호 D-4127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1,410호와, 발명의 명칭이 "콘택트 렌즈 추출/수화처리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된 유체 재처리 방법(Contact Lens Extraction/Hyd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Reprocessing Fluids Used Therein)"이고 일련번호 D-4128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0,863호와, 발명의 명칭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Contact Lens Package)"이고 일련번호 D-4129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0,862호와, 발명의 명칭이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조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이고 일련번호 D-4153P인 미국 특허 출원 제60/707,029호와, 발명 의 명칭이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조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이고 일련번호 D-4154호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201,409호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히 이해되고 그리고/또는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는 많은 공보와 특허가 인용되었다. 각각의 인용 공보와 특허들은 그 전부가 원용된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예들과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6)

  1. 콘택트 렌즈의 광학 전방 표면의 원판인 제1 렌즈 한정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광학 후방 표면의 원판인 대향된 제2 렌즈 한정 표면과, 제1 및 제2 렌즈 한정 표면을 에워싸는 플랜지 영역을 갖는 렌즈 한정 영역과, 플랜지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며,
    연장 영역은 균일한 폭을 갖는 제1 부분과 확대되는 폭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플랜지 영역에 인접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은 플랜지 영역의 외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4. 제3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의 길이는 적어도 15 ㎜인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5. 제3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의 길이는 30 ㎜ 내지 35 ㎜인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6. 제1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의 제1 부분은 0.5 ㎜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7. 제1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의 제2 부분은 연장 영역의 제1 부분보다 얇은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8. 제1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 상에 위치된 표시물을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9. 제8항에 있어서, 표시물은 연장 영역의 다른 표면에 비해 거칠게 형성된 연장 영역의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0. 제8항에 있어서, 표시물은 기계 판독 가능한 표면인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1. 제1항에 따른 제1 몰드 섹션 및 상기 제1 몰드 섹션과 동일한 제2 몰드 섹션을 포함하며, 제2 몰드 섹션이 제1 몰드 섹션에 결합되어 제1 몰드 섹션의 제1 렌즈 한정 표면과 제2 몰드 섹션의 제2 렌즈 한정 표면 사이에 렌즈 형상 캐비티를 한정하는 몰드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결합된 몰드 섹션들은 렌즈 형상 캐비티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제1 접촉 영역과, 제1 접촉 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제2 접촉 영역을 한정하는 몰드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렌즈 형상 캐비티 내에 중합 가능한 실리콘 함유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몰드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비원주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5. 제14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제2 렌즈 한정 표면과 접하는 플랜지 영역의 표면으로부터 플랜지 영역 내로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6. 제1항에 있어서, 연장 영역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편평한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한정 표면은 원환체 콘택트 렌즈 제조에 효과적인 형상을 갖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18. 삭제
  19.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몰드 캐비티 내부로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진행시켜, 몰드 캐비티 내에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몰드 캐비티는 제1 광학 인서트 표면과, 대향하는 제2 표면과, 제1 광학 인서트 표면 및 제2 표면을 에워싸는 몰드 플랜지 한정 영역과, 몰드 플랜지 한정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인서트 표면 및 제2 표면은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의 제1 렌즈 한정 표면 및 대향하는 제2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연장 채널은 균일한 폭을 갖는 제1 부분과 확대되는 폭을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플랜지 한정 영역에 인접하고 연장 채널의 제1 부분보다 얇은, 제1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보적 제2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1 몰드 섹션 또는 제2 몰드 섹션 중 하나의 오목 렌즈 한정 표면상에 중합 가능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1 몰드 섹션 또는 제2 몰드 섹션 중 하나의 상부에 제1 몰드 섹션 또는 제2 몰드 섹션 중 다른 하나를 배치하여 제1 몰드 섹션과 제2 몰드 섹션 사이에 한정된 렌즈 형상 영역 내에 조성물을 에워싸는 단계와,
    렌즈 형상 영역을 한정하고 에워싸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몰드 섹션을 함께 커플링하여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몰드 조립체를 중합 조건에 노출시켜 콘택트 렌즈 형상의 중합체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연장 채널을 따라 상이한 거칠기를 갖는 제1 및 제2 분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 영역은 몰드 섹션에 표시물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인서트 표면은 제거 가능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의 제1 플레이트에 위치되는 인서트의 표면인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교환 플레이트 조립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제1 광학 인서트 표면은 단일 편 인서트의 표면인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4.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몰드 섹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 사출 성형 시스템.
  25. 상이한 처방을 갖는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다수의 몰드 캐비티 각각 내에서 복수의 단일 편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을 제조하는 단계와,
    다수의 상이한 처방을 갖는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단일 편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의 여러 조합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콘택트 렌즈 몰드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광학 전방 표면의 원판이며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렌즈 한정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광학 후방 표면의 원판이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대향된 제2 렌즈 한정 표면과, 제1 및 제2 렌즈 한정 표면을 에워싸는 플랜지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위한 상이한 처방의 수는 몰드 캐비티의 수의 제곱과 동일한 복수의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몰드 캐비티는 제거 가능한 광학 인서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콘택트 렌즈를 위한 상이한 처방의 수는 광학 인서트를 제거하지 않고 얻어지는 복수의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KR1020087005638A 2005-08-09 2006-08-07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33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0,848 US7320587B2 (en) 2005-08-09 2005-08-09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11/200,848 2005-08-09
PCT/US2006/030685 WO2007021631A1 (en) 2005-08-09 2006-08-07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78A KR20080046178A (ko) 2008-05-26
KR101330869B1 true KR101330869B1 (ko) 2013-11-18

Family

ID=3745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638A KR101330869B1 (ko) 2005-08-09 2006-08-07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7320587B2 (ko)
EP (2) EP1752281B1 (ko)
JP (1) JP4948094B2 (ko)
KR (1) KR101330869B1 (ko)
CN (1) CN101242944B (ko)
AT (1) ATE526147T1 (ko)
BR (1) BRPI0614246B1 (ko)
CA (1) CA2618593C (ko)
HK (1) HK1121110A1 (ko)
HU (1) HUE032856T2 (ko)
MX (1) MX2008001765A (ko)
MY (1) MY143290A (ko)
TW (1) TWI386305B (ko)
WO (1) WO200702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3789B2 (ja) * 2005-05-26 2011-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US7785092B2 (en) 2005-08-09 2010-08-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US7799249B2 (en) 2005-08-09 2010-09-2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7320587B2 (en) 2005-08-09 2008-01-22 Cooper Vision, Inc.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8287269B2 (en) * 2005-12-12 2012-10-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EP1996967A1 (en) * 2006-03-20 2008-12-0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Demolding aids for silicone hydrogels and related methods
US7731872B2 (en) * 2006-05-31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US8287782B2 (en) * 2006-08-08 2012-10-16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Interference fitting polar resin ophthalmic lens mold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8535043B2 (en) * 2006-10-30 2013-09-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US20080239237A1 (en) * 2007-03-30 2008-10-02 Ansell Scott F Molds with thermoplastic elastomers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es
US20080290534A1 (en) * 2007-05-24 2008-11-27 Changhong Yin Ophthalmic lens mold surface energy differential
AR066116A1 (es) * 2007-04-20 2009-07-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Diferencial de energia superficial en moldes para lentes oftalmicas, lente y metodo
JP5363503B2 (ja) * 2007-12-31 2013-12-11 ボーシュ アンド ロ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眼科デバイスを含むバイオメディカルデバイスを形成するためのキャスティングモールド
MY161048A (en) * 2008-03-12 2017-04-14 Novartis Ag Method and mold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20100109176A1 (en) * 2008-11-03 2010-05-06 Chris Davison Machined lens mol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100129484A1 (en) * 2008-11-26 2010-05-27 Scott Ansell Mold system for producing ophthalmic devices
ES2593406T3 (es) 2009-10-01 2016-12-09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Lentes de contacto de hidrogel de silicona y métodos para producir lentes de contacto de hidrogel de silicona
CN107031080A (zh) * 2009-10-16 2017-08-11 诺华股份有限公司 用于制造眼用镜片的方法
US9298019B2 (en) * 2010-05-04 2016-03-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urface enhanced ophthalmic lens
WO2012006485A2 (en) 2010-07-09 2012-01-12 Lee Darren Norris Polar thermoplastic opthalmic lens molds, opthalmic lens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GB2497011B (en) 2010-07-30 2014-01-08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Ophthalmic device molds and related methods
WO2012016152A1 (en) 2010-07-30 2012-02-02 Siddiqui A K M Shahab Ophthalmic lens molds, ophthalmic lens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ES2474122T3 (es) * 2012-02-01 2014-07-08 Lenswista Ag Lente de contacto de silicona
ES2474572T3 (es) * 2012-02-01 2014-07-09 Lenswista Ag Lente de contacto de silicona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283718B2 (en) * 2012-05-25 2016-03-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educed-tilt back plastic feature for a contact lens mold
AU2013282401B2 (en) * 2012-06-29 2018-05-1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precursor with features for the fabrication of an ophthalmic lens
US9180610B2 (en) * 2012-08-23 2015-11-10 Crt Technology, Inc. Devic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multi-component optical systems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US9541773B2 (en) 2012-10-17 2017-01-10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US9884435B2 (en) * 2013-02-08 2018-02-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US9352493B2 (en) * 2013-02-08 2016-05-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US20140291875A1 (en) 2013-02-12 2014-10-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Contact Lenses
US9457522B2 (en) 2013-02-26 2016-10-0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useful in manufacturing lenses
MY179771A (en) 2013-06-26 2020-11-13 Coopervision Int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apparatus useful in manufacturing toric contact lenses
US9421721B2 (en) 2013-09-20 2016-08-23 Gregory Gemoules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scleral lenses
JP6356224B2 (ja) * 2014-03-28 2018-07-1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成形型、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10029432B2 (en) 2014-11-12 2018-07-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for making ophthalmic lenses with an axis positioning system
EP3224034A1 (en) * 2014-11-25 2017-10-04 Novartis AG Casting mold for the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US9764501B2 (en) 2014-12-19 2017-09-19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parts,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contact lenses
US10137612B2 (en) 2014-12-19 2018-11-27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US9938034B2 (en) 2014-12-19 2018-04-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s for forming contact lenses
US10029402B2 (en) 2014-12-19 2018-07-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9937640B2 (en) 2014-12-19 2018-04-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ure of ophthalmic lens molds
GB2533409B (en) * 2014-12-19 2018-10-03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Contact lens mold parts,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contact lenses
GB201515397D0 (en) * 2015-08-28 2015-10-14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halmic lenses
GB201515399D0 (en) * 2015-08-28 2015-10-14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11077994B2 (en) 2016-02-16 2021-08-03 Vec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transfer of fluid
BR112018071653A2 (pt) 2016-04-22 2019-02-19 Universal Smart Inc. aparelho de moldagem por injeção, e método para a moldagem por injeção
CN108340521B (zh) * 2018-02-05 2019-06-25 上海麻几眼镜有限公司 一种模具及使用该模具制备模制产品的方法
US11597129B2 (en) 2019-01-10 2023-03-07 Al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single-use plastic molds for making ophthalmic lenses through injection molding
KR102315764B1 (ko) * 2019-05-28 2021-10-22 김영일 실리콘 및 메탈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안 의료용 렌즈 성형몰드
CN110407161B (zh) * 2019-07-12 2022-02-15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共形键合工艺的软式曲面微流控器件制造方法
TW202142576A (zh) 2020-01-27 2021-11-16 新加坡商科萊博新加坡私人有限公司 光化可交聯的聚矽氧烷-聚甘油嵌段共聚物及其製造和使用方法
KR20230144635A (ko) * 2021-04-01 2023-10-16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내장형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533692B1 (ko) * 2021-04-14 2023-05-17 주식회사 더블유제이에스 성형물 절단 장치
KR102452824B1 (ko) * 2021-04-20 2022-10-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가소성 고분자 기반 안경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158A (ko) * 1999-05-05 2000-12-26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JP2002536207A (ja) 1999-02-05 2002-10-29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レンズ金型キャリヤ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348A (en) 1981-04-30 1986-01-21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the male mold member being more flexible than the female mold member
US4640489A (en) * 1981-04-30 1987-02-03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either the male or female mold sections being relatively more flexible
GB8601967D0 (en)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JP2914508B2 (ja) 1990-01-24 1999-07-05 ホーヤ株式会社 レンズ成形用型
US5204126A (en) 1990-02-06 1993-04-20 Nanofilm Corporation Mold surfaces with ultra thin release films
US5252056A (en) 1990-03-16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Contact lens casting mould
US5158718A (en) 1990-08-02 1992-10-27 Pilkington Visioncare, Inc. Contact lens casting
IL102556A (en) 1991-08-16 1998-02-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Device and process for fusing detachable lens mold units
US5271875A (en)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JP3287034B2 (ja) 1992-01-28 2002-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成形型
NL9201075A (nl) 1992-06-18 1994-01-17 Od & Me Bv Installatie voor het vervaardigen van registratiedragers.
US5407627A (en) 1992-08-03 1995-04-18 Polycryl Enterpris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stress-free thermosetting resin products
TW325744U (en) 1993-07-21 1998-01-21 Ciba Geigy Ag Two-sided contact lens mold
ATE182287T1 (de) * 1993-12-13 1999-08-15 Novartis Erfind Verwal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kontaktlinse
US5894002A (en) 1993-12-13 1999-04-13 Ciba Vision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act lens
US5804107A (en) 1994-06-10 1998-09-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solidated contact lens molding
US5545366A (en) 1994-06-10 1996-08-13 Lust; Victor Molding arrangement to achieve short mold cycle time and method of molding
US5850107A (en) 1994-06-10 1998-1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861114A (en) * 1994-06-10 1999-01-19 Johnson&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optical designs in soft contact lenses
US5895192C1 (en) 1994-06-10 2001-11-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from molds
US5702735A (en) 1994-06-10 1997-12-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ing arrangement to achieve short mold cycle time
US5540410A (en)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US5861116A (en) * 1994-08-31 1999-01-19 Plastic Innovations, Inc. Process for installing a pipe liner
US5849209A (en) 1995-03-31 1998-1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 material made with additives
US5849222A (en) 1995-09-29 1998-1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reducing lens hole defects in production of contact lens blanks
US5641437A (en) * 1995-09-29 1997-06-2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arking of mold inserts to produce marked contact lenses
US5759318A (en) 1996-03-26 1998-06-02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ably fusing mold lens pieces
CA2268871C (en) 1996-11-06 2003-12-23 Michael A. Lesczynski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 sections
US5824256A (en) * 1996-12-05 1998-10-20 Fortiflex, Inc. Method of molding a thermoplastic container
US5827548A (en) * 1997-01-14 1998-10-27 Lisco, Inc. Golf ball injection mold
AU6658698A (en) * 1997-02-20 1998-09-09 Technology Resource International Corporation Gasket for lens making
GB2328924A (en) 1997-09-04 1999-03-10 Hydron Ltd Stackable containers
US6310116B1 (en) 1997-10-09 2001-10-30 Kuraray Co., Ltd. Molded polymer article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429327B (en) 1997-10-21 2001-04-11 Novartis Ag Single mould alignment
JPH11320571A (ja) 1998-05-15 1999-11-24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の成形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眼用レンズの製造法
JP3798147B2 (ja) 1998-06-03 2006-07-19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の成形型
US6511311B1 (en) * 1998-09-30 2003-01-28 Novartis Ag Lens mold carriers
GB9906240D0 (en) 1999-03-19 1999-05-12 Ocular Sciences Limited Lens mould
US6997428B1 (en) * 1999-03-31 2006-02-14 Novartis Ag Contact lens mold
JP4783505B2 (ja) * 1999-03-31 2011-09-28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コンタクトレンズ成形用モールド型
US6869549B2 (en) 1999-05-05 2005-03-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BR0012307A (pt) 1999-06-11 2002-03-12 Bausch & Lomb Moldes para lente com revestimentos protetores para produção de lentes de contato e outros produtos oftálmicos
DE60035666T2 (de) 1999-09-01 2008-05-21 Tomey Corp., Nagoya Verfahren und gerät zum herstellen von kontaktlinsenteilen und dafür benutzte spritzgussform
US6444145B1 (en) * 1999-09-03 2002-09-0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US6383419B1 (en) 1999-12-09 2002-05-07 Gregg A. Dea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US6719929B2 (en) 2000-02-04 2004-04-13 Novartis Ag Method for modifying a surface
US6431706B1 (en) 2000-07-06 2002-08-13 Ocular Sciences, Inc. Method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with a rounded edge form
GB2360730B (en) 2000-03-31 2004-09-22 Bausch & Lomb Uk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s
US6248266B1 (en) 2000-08-11 2001-06-19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lens with colored portion
US20050258559A1 (en) * 2000-09-01 2005-11-24 Johansen Loren R Thermo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TE526135T1 (de) 2001-03-26 2011-10-15 Novartis Ag Giessfo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halmischen linsen
US20020195732A1 (en) * 2001-06-20 2002-12-26 Clark Michael J.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phthalmic molds
JP4909469B2 (ja) 2001-06-25 2012-04-04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08397B2 (en) 2001-08-09 2004-03-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lay station with alignment assemblies and transfer tubes
US6719556B2 (en) 2001-12-12 2004-04-13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mold handling system
TWI255224B (en) 2002-01-09 2006-05-21 Novartis Ag Polymeric articles having a lubricious coat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30164563A1 (en) 2002-03-04 2003-09-04 Olin Calvin Use of microwave energy to disassemble, release, and hydrate contact lenses
JP4119150B2 (ja) 2002-04-09 2008-07-16 株式会社メニコン 高親水性レンズ表面を有する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眼用レンズ
US20040075182A1 (en) 2002-04-10 2004-04-22 Stephane Gobron Stackable contact lens molds
GB2409683B (en) 2002-08-16 2006-03-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Mold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US20040099971A1 (en) * 2002-11-25 2004-05-27 Technology Resource International Corporation Lens mold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92970B2 (en) * 2004-05-25 2008-07-01 Douglas J Bachan Cooling injection mold
US7426993B2 (en) 2005-08-09 2008-09-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package
US7731873B2 (en) *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9102110B2 (en) 2005-08-09 2015-08-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lenses from lens molds
US7785092B2 (en) 2005-08-09 2010-08-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US7799249B2 (en) 2005-08-09 2010-09-2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7320587B2 (en) 2005-08-09 2008-01-22 Cooper Vision, Inc.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7319133B2 (en) 2005-08-09 2008-01-15 Coopervision, Inc. Contact lens extraction/hyd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reprocessing fluids used therein
US7300268B2 (en) * 2005-12-15 2007-11-27 Lear Corporation Low-density part injection mold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207A (ja) 1999-02-05 2002-10-29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レンズ金型キャリヤ
KR20000077158A (ko) * 1999-05-05 2000-12-26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21110A1 (en) 2009-04-17
TW200720067A (en) 2007-06-01
CN101242944B (zh) 2012-07-11
US20090102078A1 (en) 2009-04-23
US7581943B2 (en) 2009-09-01
TWI386305B (zh) 2013-02-21
ATE526147T1 (de) 2011-10-15
US7780881B2 (en) 2010-08-24
MY143290A (en) 2011-04-15
CA2618593A1 (en) 2007-02-22
CN101242944A (zh) 2008-08-13
WO2007021631A1 (en) 2007-02-22
US20100258963A1 (en) 2010-10-14
EP1752281A3 (en) 2008-07-23
US8491824B2 (en) 2013-07-23
EP1752281A2 (en) 2007-02-14
BRPI0614246B1 (pt) 2017-11-14
HUE032856T2 (en) 2017-11-28
JP4948094B2 (ja) 2012-06-06
EP1752281B1 (en) 2011-09-28
US7320587B2 (en) 2008-01-22
EP2397313A1 (en) 2011-12-21
US20070036878A1 (en) 2007-02-15
MX2008001765A (es) 2008-04-07
EP2397313B1 (en) 2016-10-19
BRPI0614246A2 (pt) 2011-03-15
JP2007045157A (ja) 2007-02-22
US20070292555A1 (en) 2007-12-20
KR20080046178A (ko) 2008-05-26
CA2618593C (en)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69B1 (ko)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EP0972488B1 (en) Plastic trial lens, its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its molding apparatus
JP3894966B2 (ja) 金型部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CA2497175C (en)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EP087535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injection mold for molding of lens, and molded lens
CN101094764A (zh) 用于改进的直立柱形壁和镜片边缘结构的光学工具组件
JPH09187871A (ja) 型片成形装置および成形周期を短縮するための型片配置方法
EP113622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tact lens elements and injection mold used therefor
KR20160112317A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WO2024018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 halves for forming contact lenses
TW202417220A (zh) 與製造用於形成隱形眼鏡之半模相關的方法及裝置
CN117227043A (zh) 人工晶状体加工模具
JPH07266391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