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158A -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 Google Patents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7158A
KR20000077158A KR1020000023912A KR20000023912A KR20000077158A KR 20000077158 A KR20000077158 A KR 20000077158A KR 1020000023912 A KR1020000023912 A KR 1020000023912A KR 20000023912 A KR20000023912 A KR 20000023912A KR 20000077158 A KR20000077158 A KR 2000007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urvature
mold half
inser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240B1 (ko
Inventor
빅터루스트
파넬필립케이
코르넬리스렌케마
얀반리에벤노겐
빌리반크라이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7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29C2045/2679Simultaneously producing differen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51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7Moulds, cores, 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몰드 하프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제 1 몰드 하프를 포함하는 몰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한다. 몰드는 사출 성형기에 사용하기 위해선 특히 편리하다.

Description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Mold and molding machine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본 발명은 안구(ophthalmic)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mold) 및/또는 성형기(mold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많은 스톡(stock) 유지 유닛(SKUs)을 갖는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또는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마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02,735호에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연속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스티렌 렌즈 곡률 즉, 전면 곡률 또는 후면 곡률을 몰딩하기 위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는 몰딩 사이클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반면에, 균일하게 정밀하고 정확한 광학 특성면을 동시에 생산한다. 용융 폴리스티렌은 핫 런너 시스템을 거쳐서 복수개의 몰드 캐비티를 제공한다. 전면 곡률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몰드에서, 몰드의 볼록면은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 곡률의 오목면에 광학 특성면을 제공한다. 각 볼록면을 한정하는 구성 소자는 중공 원통형 부싱과 그내에 장착된 제거가능한 파워 인서트를 포함하고, 이 인서트는 렌즈 곡률에 의해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의 처방 강도가 변화되도록 교환된다. 제 1 실시예에서, 파워 인서트는 그 작동단에서 볼록면만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파워 인서트는 그에 의해 형성된 전면 곡률에 날카로운 엣지를 총돌시키는 불연속 굴곡부와 관련하여 그사이에 한정하는 볼록면을 에워싸는 환형 편평면을 포함한다. 냉각수는 상기 인서트를 교한하는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몰딩 공정중에 인서트를 냉각하기 위해 인서트 코어에 펌프된다. 파워 인서트는 순수 강철, 황동, 구리 크롬 또는 코발트-니켈 합금 마르텐사이트 강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다. 파워 인서트는 니켈 인 또는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크롬의 표면층으로 코팅된다. 이들 층은 다이아몬드 커터에 의해 그 적당한 두께와 치수로 가공되어 열적으로 경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또한 참조한 라센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65,348호에는 렌즈 곡률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종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렌즈 곡률은 2x4 어레이로 프레임상에 지지된 8 세트의 렌즈 곡률로 성형된다. 상기 라센 특허의 도 3에는 오목 전면 곡률의 2x4 어레이를 지지하는 성형 프레임이 기술되어 있는 반면에, 그 도 5에는 후면 곡률의 2x4 어레이를 지지하는 성형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과 렌즈 곡률의 클러스터 어셈블리는 렌즈 곡률을 갖는 일 부재가 프레임과 렌즈 곡률사이로 연장하는 작은 스트럿에 의해 외부 사각형 프레임내에 고정될때 어셈블리를 사출 성형하므로써 제조된다. 프레임의 높이는 렌즈 곡률의 표면이 취급중에 기계적 손상과 스크래칭(긁힘)으로부터 보호되는 높이 이고, 일반적으로 프레임은 적층과 취급을 촉진하는 형상을 갖는다. 클러스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폴리스티렌 렌즈 곡률을 몰딩하는 종래 기술은 상기 폴리스티렌 렌즈 곡률의 효과적인 제조를 위해선 너무 긴 시간인 대략 24초가 걸린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전면 및 후면 곡률의 보상 세트는 반응 혼합물을 몰딩하므로서 하이드로겔(hydrogel) 콘택트 렌즈의 생산시에 사용된고, 그 혼합물은 비수용성 워터 치환 솔벤트에 적합하게 용해된다. 전면 곡률이 반응 혼합물로 거의 충진되는 도싱(dosing) 단계후에, 오목한 전면 곡률은 공기 버블이 후면 곡률아래에서 차단되지 않는 방법으로 후면 곡률로 커버된다. 후면 곡률은 각 유닛과 같은 전면 곡률에서 중합성 혼합물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에 앞서서 후면 곡률은 브레이킹 또는 커팅에 의해 그들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후면 곡률은 기계적 디바이스에 의해 적합하게 유지되는 반면에, 이들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전면 곡률상에 후면 곡률을 배치한다. 그런다음 반응 혼합물은 조건에 따르며, 그에 의해 이것은 중합 즉, 소정 하이드로겔 렌즈의 형상으로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해 화학선 자외 또는 적외선을 갖는 방사선으로 중합된다. 중합 공정이 완료된 후에, 두 렌즈 곡률은 분리(소위 디몰딩)되고, 통상적으로 전면 곡률에서 콘택트 렌즈가 이탈하며, 이로부터 거의 변위된다. 통상적으로 전면 및 후면 곡률은 단일 콘택트 렌즈를 몰드하기 위해 일단 사용된다. 중합 공정이 완료된 후에, 희석액은 함수 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물로 치환된다.
미국특허 제5,782,460호 및 WO98/42497호에는 중합되나 재생가능한 몰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 연결되지 않은 재료를 몰딩하므로써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중합체의 교차 연결은 UV 방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몰드는 석영과 같은 UV-투과성 재료 또는 중합체 재료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콘택트 렌즈는 각 몰드 툴로 용융된다.
그 전체를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코크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51,155호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제품을 제조하고, 몰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두 홀더를 구비하는 수직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하는 구성이 기술되어 있다. 몰드 플레이트는 몰딩 플레이트가 작동중에 사출 성형기에 의해 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를 한정하므로 특정 성형 제품이 형성되는 제 1 위치와, 몰딩 플레이트가 떨어져서 이동되는 동안 형성된 제품이 제거되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사출 성형기의 각 측면상에서, 운송 디바이스는 사출 성형기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위치로부터 사출 성형기와 협동하기 적합한 위치까지 홀더와 몰딩 플레이트를 이동시킨다. 운송 디바이스와 홀더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홀더에는 성형기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성형기와 거리를 두고 새로운 몰딩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몰딩 플레이트와 홀더를 교환하기 위해, 그때까지 사용된 몰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홀더를 배출하고 새로운 홀더와 몰딩 플레이트를 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런 형태의 몰딩 플레이트의 교환은 신속하고 간단한 재정비를 위해 제공되는 동안 사출 성형 작동의 비가동 시간을 최소화한다.
안구 디바이스, 특히 많은 스톡 유지 유닛(SKUs)을 갖는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몰드 및 몰딩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술 분야가 필요하다. 용어 "스톡 유지 유닛"은 다른 디바이스 즉, 다른 제품으로 참조된다. 예를들면, 콘택트 렌즈는 다른 파워, 및/또는 원통형 및/또는 축 값을 갖고 그 각 조합은 다른 SKU을 나타내며, 각 SKU은 다른 몰드 또는 몰드의 다른 배향 또는 몰드 내에서 다른 반응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몰드 하프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제 1 몰드 하프를 포함하는 몰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한다. 이 몰드는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몰드는 자동 성형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콘탠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 곡률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몰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를 구비하는 수직한 사출 성형기를 더 구비하고, 이 성형기는 하나의 몰드 하프를 다른 것으로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다른 광학 특성 안구 디바이스가 단일 몰드로 제조되는 몰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몰드는 본 발명의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안구 디바이스의 광학 특징을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카세트를 구비하는 몰드는 카세트를 신속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의해 교환 카세트를 구비하는 하나 또는 소수의 몰드 하프를 사용하는 많은 스톡 유지 유닛(SKUs)으로 안구 디바이스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몰드는 많은 구면 파워, 비구면 파워 또는 다초점 파워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를 구비하는 개량된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는 이 몰드 하프가 성형된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 캐비티에 재료를 도입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위치와, 몰드 하프가 멀리 떨어져서 이동되는 동안 성형된 안구 디바이스를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인서트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교환 카세트를 구비하는 몰드 하프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카세트를 제거하여 상호 교환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공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써 몰드로부터 성형된 안구 디바이스의 이동을 개량한다. 이젝터 핀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면, 공기 배출은 안구 디바이스를 일그러뜨리지 않고, 적합한 실시예에선 성형된 안구 디바이스가 더 높은 온도에 있는 동안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카세트 및/또는 카세트를 구비하는 몰드 하프가 다른 안구 디바이스 즉, 다른 SKUs에 의해 교환되도록 설계된 몰드를 제공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몰드를 사용하여 형성된 안구 디바이스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이다.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은 "제 1 몰드" 구성으로 적합하게 몰딩되고, 이는 몰드의 양 몰드 하프가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볼록 돌출부 및 오목 결각)을 형성하기 위한 보상 인서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몰드 하프는 전면 곡률을 위한 인서트를 갖는 카세트와 후면 곡률을 위한 인서트를 갖는 다른 카세트를 적합하게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몰드 하프는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교환하기 위해 교환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몰드 하프상의 하나의 카세트는 전면 곡률 또는 몰드에 의해 제공되는 후면 곡률중 하나를 교환하기 위해 교환될 수 있다. 몰드 하프를 교환하거나 또는 카세트를 교환하는 것은 전면 곡률 및/또는 후면 곡률을 교환할 수 있고,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다른 SKUs의 렌즈의 생산으로 초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면 및 후면 곡률의 일면만이 광학적 임계측면인 반면에 다른 측면이 광학적 임계면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렌즈 곡률의 광학적 임계측면이 몰드의 교환 카세트 측면에 의해 형성된다면, 렌즈 곡률의 광학적 특징은 몰드의 양 측면을 교환함없이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적합하게는 본 발명의 몰드를 사용하는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하게 배치된 사출 성형 장치 또는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직한 사출 성형기는 수평 사출 성형기 보다 더 적은 플로어 공간을 요구한다. 더욱이, 수직한 사출 성형기는 생산 라인의 다른 요소와 조합하기 더 용이하다. 수직한 사출 성형기의 다른 장점은 몰드가 운송 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수직한 사출 성형기에서 간단하게 새로운 몰드 하프로 교체될때 적어도 하나의 몰드 하프가 수직하게 이동하는 것이며, 매우 작은 비가동 시간으로 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몰딩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위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제조하기 위해 개량된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구비하는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도 2는 제 1 몰드 하프의 상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제 1 몰드 하프의 단면도.
도 4는 개구 위치로 도시되고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제 1 몰드 하프와 제 2 몰드 하프로 구성된 몰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한 사출 성형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로봇 아암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수직한 사출 성형기의 확대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440 : 몰드 하프 21, 22 : 카세트
24, 25 : 인서트 110 : 렌즈 곡률 어셈블리
112 : 전면 곡률 114 : 후면 곡률
331 : 워터 파이프 332, 446 : 통로
333, 447 : 채널 335 : 열전달 블록
441, 442 : 인서트 500 : 성형기
507 : 플래튼 516, 517 : 컨베이어
520, 520' : 몰드 하프
본 발명의 몰드는 콘택트 렌즈, 인터로큘러 렌즈, 다른 형태의 렌즈 및, 플라스틱 성형부 즉,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렌즈 곡률과 같은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몰드의 적합한 사용은 콘택트 렌즈 또는 안구 디바이스용 플라스틱 성형부, 더 적합하게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성형부, 가장 적합하게는 렌즈 곡률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몰드는 적합한 실시예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술될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환 몰드 하프 및/또는 교환 카세트를 갖는 본 발명의 몰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미국 특허 제5,782,460호 및 WO/98/42497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몰딩하기 위해 사용된다.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몰드 하프는 이들 참조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피봇식으로 힌지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는 "렌즈 곡률" 즉,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렌즈 곡률 즉,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또는 몰드 하프로서 참조된다. 용어 "몰드"와 "몰드 하프"는 렌즈 곡률이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지라도 렌즈 곡률을 기술하기 위해 본문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용어 "몰드"와 "몰드 하프"는 안구 디바이스(렌즈 곡률)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몰드와 몰드 하프를 기술하기 이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적합한 렌즈 곡률 어셈블리(110)를 도시하고, 각 부품은 본 발명의 몰드를 사용하여 만들어 진다. 몰드는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렌즈 곡률 어셈블리(110)는 콘택트 렌즈 반응 혼합물이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중합되거나 또는 교차 결합되는 개구(113)를 한정하는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로 구성된다.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은 적합하게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사이클로레핀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적합하게는 사출 성형기으로 본 발명(하기에 기술됨)의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로 제조된다.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은 본 발명에서 참조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 5,545,36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기술되고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전면 곡률(112)은 그 주위로 연장하는 원형 원주 형성 엣지(116)를 적합하게 갖는 광학 특성 오목면(119)을 구비하는 중심 굴곡부를 갖는다. 오목면(119)은 치수, 적합하게는 렌즈 어셈블리(110)로 생산되는 콘택트 렌즈 전면의 파워를 갖는다. 전면 곡률은 0.2mm와 1.0mm 사이의 적합한 두께를 갖고, 가장 적합하게는 약 0.6mm의 두께를 갖는다.
후면 곡률(114)은 광학 특성 볼록면(118)을 구비하는 중심 굴곡부를 갖는다. 후면 곡률(114)은 렌즈 어셈블리(110)에 의해 생산되는 콘택트 렌즈의 후면의 치수를 갖고, 원환체 렌즈는 원통형 파워를 형성한다. 후면 곡률(114)은 0.2mm와 1.0mm 사이의 적합한 두께를 갖고, 가장 적합하게는 약 0.6mm의 두께를 갖는다.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은 게이트 또는 사출 핫 팁으로 형성되고 적합한 실시예에서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몰드에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는 게이트 흔적(121)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미국 특허 제5,545,36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에 대한 본 발명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개량점은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용적의 감소를 포함한다. 재료 감소는 태브(117)와 플렌지(115)의 치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적합한 두께는 작고 즉, 0.8mm 보다 작으며, 양 렌즈 곡률을 위해선 동일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적합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은 사출 핫 팁으로 형성되는 냉각 열가소성 재료의 작은 슬러그를 수집하기 위한 사출 핫 팁으로부터 가로지르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적합한 태브는 몰드에서 중합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없는 편평한 원형 삼각형상을 갖는다. 전면 곡률 또는 후면 곡률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열가소성 재료의 중량은 0.5gm 이하가 적합하고, 더 적합하게는 0.4gm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0.3gm 이하가 적합하다. 가장 적합한 중량은 종래 기술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과 비교하여 약 25%의 감소를 나타낸다. 적합하게는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조합 중량은 0.7gm 이하이다. 렌즈 곡률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된 열가소성 재료의 중량과 용적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품의 두께와 태브의 치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광학 특성의 감소가 결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에서, 열가소성 재료의 커다란 중량과 용적을 갖는 종래 기술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에 비해 본 발명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특성이 향상되고, 상기 부품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몰딩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놀랍게도 렌즈는 약 0.6mm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종래 기술에 의해 예측되지 않는 향상된 렌즈 특성을 갖는 렌즈가 생산된다. 본 발명에 앞서서, 후면 곡률은 높은 품질의 렌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면 곡률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은 하기에 기술될 향상된 몰드와 사출 성형기을 사용하여 적합하게 만들어진다. 향상점이 여기에 기술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몰드 또는 몰딩 공정의 어스펙트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미국 특허 제5,545,366호 및 5,451,155호에 기술되어 있거나 또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도 2는 단일 몰드로 전면 곡률(112)과 후면 곡률(114)을 몰딩하기 위해 사용된 제 1 몰드 하프(20)의 상면도이다.(제 1 몰드 하프(20)와 제 2 몰드 하프(440)를 구비하는 적합한 몰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물드 하프(20)는 몰딩 베이스(23)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두 카세트(21, 22)를 갖는다. 실행되는 사출 성형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카세트가 몰딩 베이스(23)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두개 또는 세개의 카세트이고, 가장 적합하게는 하나의 카세트이다. 도 2는 카세트(21, 22)가 카세트당 두개의 접근이 용이한 스크류(29)로 몰딩 베이스(23)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잇다. 따러서, 몰딩 베이스(23)상에서 카세트를 교환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빠르다. 대안적으로, 카세트는 어떤 수단 즉, 브래킷, 브레이스, 볼트, 급속 고정 및 자성에 의해 몰딩 베이스(23)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하게 상기 수단은 몰딩 베이스로부터 카세트의 간단하고 빠른 제거를 위해 제공된다. 각 카세트에는 렌즈 곡률을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를 수용하는 복수의 인서트(24, 25)가 그 내부에 삽입된다. 인서트(24, 25)는 카세트로부터 적합하게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다. 그러나, 카세트와 인서트는 바람직하다면 연속적이다. 적합하게는, 각 카세트는 2 내지 20 인서트 더 적합하게는 4 내지 10 인서트를 포함한다. 가끔 파워 인서트로 참조되는 인서트는 금속 즉, 순수 강철, 황동, 구리 크롬 또는 코발트-니켈 합금 마르텐사이트 강철과 같은 광학 피니시(finish)로 만들어지는 어떤 재료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특히 인서트를 구비하는 몰드가 콘택트 렌즈를 직접 제조하는 실시예에서, 인서트는 석영, 세라믹,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사이클로레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와 같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모드에서, 카세트(21)는 전면 곡률(112)을 형성하기 위해(제 2 몰드 하프(440)와 적합하게 정합될시) 전면 곡률 인서트(24)를 유지하고, 카세트(22)는 후면 곡률(114)을 형성하기 위해(제 2 몰드 하프(440)와 적합하게 정합될시) 후면 곡률 인서트(25)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제 2 몰드 하프(440)는 각각 전면 곡률(112)과 후면곡률(114)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몰드 하프(20)에서 인서트(24, 25)에 대해 보상적인 인서트를 갖는다. 제 1 몰드 하프(20)와 제 2 몰드 하프(440)는 하나 이상의 형태가 제 1 몰드 하프(20)와 제 2 몰드 하프(440)로 구성되는 단일 몰드로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는 주몰드의 부품이다. 본 발명에 앞서, 광학 특성 부품이 주몰드로 제조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카세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툴 스틸, 고경도 기계적 합금과 같은 금속을 적합하게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선 중합체 재료가 카세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적합하게는 니켈 도금 툴 스틸이 카세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세트의 금속은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냉각수와 공기용 통로와 다른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적합하게 가공된다(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함). 카세트는 5.44킬로그램(12파운드) 이하의 무게가 적합하다. 중래 기술의 몰드 하프는 통상적으로 45.6킬로그램 내지 68킬로그램(100 내지 150 파운드)사이의 무게이고, 사출 성형기로 하나 이상의 몰드 하프를 교환하기 위한 시간에서 호이스트를 요구하며, 몰드 하프를 교환하기 위해선 최소 30분이 요구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카세트는 조작자가 취급하기 위해 충분히 가벼워야 하고, 몰드 하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8분 이하, 더 적합하게는 4분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3분 이하에서 다른 카세트와 교환될 수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카세트는 몰드 하프의 열 중량의 일부를 요구하고, 적합하게는 몰드 하프상의 카세트는 완전히 조립된 몰드 하프의 전체 중량의 90% 이하, 더 적합하게는 70%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완전히 조립된 몰드 하프의 전체 중량의 50%이하 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각 카세트는 완전히 조립된 몰드 하프의 전체 중량의 20%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제 1 몰드 하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각 카세트(21, 22)에서 전면 곡률 인서트(24)와 후면 곡률 인서트(25)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1 몰드 하프(20)의 단면도와 몰드(475)를 함께 제조하는 보상적인 제 2 몰드 하프(44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개방 위치에서 제 1 몰드 하프(20)와 제 2 몰드 하프(440)로 구성되는 몰드를 도시한다. 제 1 몰드 하프(20)가 볼록한 몰딩면을 갖는 인서트(24)를 가지는 곳에서, 제 2 몰드 하프(440)는 오목한 몰딩면을 갖는 인서트(441)를 가진다. 제 1 몰드 하프(20)가 오목한 몰딩면을 갖는 인서트(25)를 가지는 곳에서, 제 2 몰드 하프(440)는 볼록한 몰딩면을 갖는 인서트(442)를 가진다. 적합한 구성은 전면 곡률(112 ; 도 1 참조)의 광학적 임계면(119), 및/또는(적합하게는 및) 후면 곡률(114 ; 도 1 참조)의 광학적 임계면(118)을 형성하는 인서트를 동일 몰드 하프, 적합하게는 제 1 몰드 하프(20)의 부품인 하나 또는 복수의 카세트에 놓는다. 적합한 모드에서, 후면 곡률용 인서트는 일 카세트에 있고, 전면 곡률용 인서트는 제 1 몰드 하프에서 독립 카세트에 있다.
제 2 몰드 하프(440)는 제 2 몰드 하프로부터 간다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임계 및/또는 비임계면용 인서트를 구비하는 교환 카세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적합한 모드에선 제 2 몰드 하프(440)는 카세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 2 몰드 하프는 플레이트, 프레임, 또는 전면 곡률 및/또는(적합하게는 및) 후면 곡률의 비광학적 임계면을 형성하는 인서트를 유지하는 유사한 지지체를 적합하게 포함한다. 인서트(441, 442)는 플레이트, 프레임, 또는 지지체에 적합하게 고정되고, 제 2 몰드 하프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다. 그러나, 인서트는 바람직하다면 플레이트, 프레임, 또는 지지체와 접촉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몰드 하프(440)의 전면 곡률 인서트(441)와 후면 곡률 인서트(442)는 플레이트(443)에 삽입된다. 플레이트(443)는 인서트(441, 442)의 거의 정확한 치수로 가공되는 카세트를 위해 상술한 형태의 금속을 적합하게 포함한다. 플레이트(443)는 핫 런너 베이스(444)상에 장착된다. 플레이트(443)와 핫 런너 베이스(444)는 종래 기술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형성하는 밀폐된 몰드에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압출부(도시 생략)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이하게 참조한 미국 특허 제5,545,366호 참조. 적합한 모드에서, 제 2 몰드 하프(440)는 사출 성형기에 적합하게 장착되고, 인서트가 렌즈 곡률의 비임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모 또는 손상으로 인해 서비스 또는 인서트 대체를 위해 가끔 제거된다. 동시에, 플레이트(443)는 핫 런너 베이스(444)로부터 제거되고 인서트(441, 442)는 대체되거나 또는 플레이트(443)와 인서트(441, 442) 전체가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유지는 사출 성형기가 15분 이상 동안 안구 디바이스 생산을 정지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요구한다.
제 2 몰드 하프(440)에서의 인서트(441, 442)는 플레이트(443)을 통해서 도관(448)으로 이동하고 인서트(441, 442)의 소경부(449) 둘레로 이동하는 순환수에 의해 냉각된다. O-링(450)은 인서트(441, 442)둘레에 워터 시일을 유지한다.(제 2 몰드 하프(440)상의 4 인서트중에 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인서트(441, 442)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1 몰드 하프(20)상의 4 인서트중에 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카세트(22)내의 인서트(25)에 대한 설명이 카세트(21)내의 인서트(24)에 대한 설명의 거울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인서트(24, 25)에 관한 것이다.) 냉각수는 플레이트(443)를 통해서 일순환으로 양호하게 흐른다. 플레이트(443)가 사출 성형기로부터 종종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인서트의 냉각수는 인서트 교체를 복잡하게 할 지라도 적합하다.
이동하는 제 1 몰드 하프(20)에서 카세트(21,22)는 신규한 냉각 기구이다. 워터 시일을 필요로 하고 복잡하며 카세트의 상호 교환성을 느리게하는 카세트(24, 25)와 직접 접촉하는 냉각수 대신에, 제 1 몰드 하프에서 인서트(24, 25)의 냉각은 열전달 블록(335)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열전달 블록(335)은 몰딩 베이스(23)에 적합하게 배치되어 있다. 열전달 블록(335)은 카세트(21, 22)가 몰딩 베이스(23)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부착될때 인서트(24, 25)와 직접 접촉한다. 열전달 블록(335)은 구리, 구리 크롬, 구리 아연, 황동, 니켈 코팅 황동 또는 유사한 높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강철은 또한 선택 가능하나, 필수적으로 적합하지는 않다. 냉각될 필요가 있는 성형품에 대한 열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거된 높은 열전도성 재료로부터 인서트를 가공하는 것이 또한 적합하다. 열전달 블록은 냉각수가 모든 열전달 블록(335)을 함유하는 몰딩 베이스를 통해 앞뒤로 단일 순환으로 적합하게 펌프되는 워터 파이프(331)와 접촉하고 워터 파이프(331)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워터 파이프와 냉각 블록은 금속편으로 형성된다. 워터 파이프(331)는 인서트(24, 25)를 냉각하는 냉각 블록(335)을 냉각한다. 이 방법에서, 모든 인서트(24, 25)는 물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적합하게는 워터 파이프(331)는 진공하에서 충진되는 증류수를 함유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간접적 냉각 방법은 냉각 핀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단단한 히트 파이프인 인서트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냉각 핀을 갖거나 갖지 않는 냉각 매스, 유체 또는 냉매를 함유하는 히트 파이프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제 1 몰드 하프(20)와 제 2 몰드 하프(440)로부터 전면 및 후면 곡률의 제거용 공기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서 배출 핀의 사용과 대비하면, 공기 배출은 렌즈 곡률을 왜곡하지 않고, 렌즈 곡률이 고온에 있을시에 행해진다.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에서 공기 배출과 감소된 재료는 6초 이하, 더 적합하게는 4초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약 2초의 사이클 시간으로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는 2mm x 100마이크론 내지 3mm x 300마이크론의 면적에 걸쳐 대략 5 내지 6 바아(bar)로 배출된다. 공기는 각 인서트(24, 25, 441,442)의 상부 원주 둘레에서 갭(336, 451)을 통해 배출된다. 갭(336, 451)의 폭은 12마이크론 이하가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구멍은 공기 배출을 위한 인서트의 상부 원주 둘레에 제공되어 있다.
제 2 몰드 하프(440)에 대해, 공기는 채널(447)에 의해 가압 공기원(도시 생략)에 설치된 통로(446)로부터 갭(451)에 제공된다. 제 1 몰드 하프(20)에 대해, 공기는 채널(333)에 의해 가압 공기원(도시 생략)에 설치된 통로(332)로부터 갭(336)에 제공된다.
통로(332, 446)에 연결되는 채널(333, 447)은 인서트(24, 25, 441, 44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의 직경 주위에서 카세트(21, 22)와 플레이트(443)에 다수의 홈을 가공함으로서 적합하게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채널(333, 447)은 인서트(24, 25, 441, 442)로 가공된다.
도 1은 통로(332)와 연통하고 카세트(21, 22)용 공기원(도시 생략)에 연결되는 커넥터 노즐(345)을 도시한다. 부착된 카세트(21, 22)를 갖는 제 1 몰드 하프(20)는 성형기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하나 또는 양 카세트(20, 21)가 제 1 몰드 하프(20)의 베이스(23)로부터 제거된다면, 공기 통로(332)는 커넥터 노즐(345)을 경유하여 공기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즉시 분리된다. 커넥터 노즐(345)에 적합하게 연결된 공기원은 몰드 하프가 성형기로부터 제거될때 폐쇄되거나 또는 적합하게는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를 갖는다. 카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를 갖고, 더 적합하게는 각 카세트는 각 카세트의 일측면상에서 두개의 노즐(345)을 갖는다. 한 노즐(345)은 다른 노즐(345)이 공기원에 부착될때 적합하게 막힌다.
적합하게는 공기는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교환되기 바로 앞에서 제 2 몰드 하프(440)내의 인서트(441, 442)의 상부 주위에서 모든 갭으로부터 단일 블래스트로 배출된다. 공기의 단일 블래스트는 렌즈 곡률이 제 1 몰드 하프(20)에 우선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하프(20)상에 머무르도록 제 2 몰드 하프(440)로부터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제거한다. 몰드 하프가 개방된 후에, 공기의 단일 블래스트는 제 1 몰드 하프(20)로부터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제거하는 제 1 몰드 하프(20)에서 인서트(24, 25)의 상부 주위의 모든 갭(336)으로부터 배출된다. 적합하게는, 제 1 몰드 하프(20)로부터의 블래스트 공기는 완화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파지하는 몰드 하프 사이의 위치에서 로봇(600 ; 도 6에 도시됨)의 이동과 일치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공정은 제 2 몰드 하프(440)상에 잔류하는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갖도록 역전될 수 있다. 더 대안적으로, 다른 수단은 인서트의 표면 처리, 렌즈 곡률의 일표면상에의 고정부 또는 다른 공지 방법으로 일 몰드 하프에 적합하게 부착되는 렌즈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 적합하게는 양 몰드 하프상에서 완화하기 위해 공기 배출을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몰드가 사용되는 적합한 사출 성형기를 도시한다. 적합한 사출 성형기는 미국 특허 제5,451,15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직한 사출 성형기(500)이다. 적합한 수직 사출 성형기는 하부 몰드 하프(520)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성 플래튼(507)을 갖는다. 가동성 플래튼(507)은 미국 특허 제5,451,155호에서 수평 테이블로 참조된다. 용어 "가동성 플래튼"은 본문에서 사용될 것이다. 하부 몰드 하프(520)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카세트로 기술된 바와 같은 제 1 몰드 하프인 것이 적합하다.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상부 몰드 하프(540)는 하부 몰드 하프(520)와 직면한다. 상부 몰드 하프(5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합하게는 제 2 몰드 하프이다. 상부 몰드 하프(540)는 지지 플레이트(503)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 플레이트(503)는 항상 고정을 적합하게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몰드 하프(520)와 가동성 플래튼(507)은 몰드를 개폐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적합하게는 컨베이어(516, 517)로 도시된 두개의 운송 수단은 하나의 하부 몰드 하프(520)와 다른 하부 몰드 하프(520')의 빠른 교환을 위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운송 수단은 공압적, 유압적, 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체인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운송 수단은 유압적으로 구동되는 체인이다. 도 5는 성형기(500)에 삽입되는 하부 몰드 하프(520')가 컨베이어(517)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적합한 모드에서, 양 컨베이어(516, 517)는 몰드 하프를 삽입하거나 제거한다. 그러나, 컨베이어(517)의 작용에 관한 설명은 컨베이어(516)에 의해 수행 및 그 역으로 수행된다.
성형기에서의 몰드 하프(520)가 렌즈 곡률인 특정수의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한 후에, 몰드 하프(520)는 가동성 플래튼(507)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컨베이어(516)는 캐치 수단을 경유하여 하부 몰드 하프(520)에 스스로 부착되며, 컨베이어(516)상에서 몰드 하프(520)를 가동성 플래튼(507)으로 당긴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몰드 하프는 유압적으로 구동되는 체인에 의해 이동되나, 지지면과 이 지지면의 양 측면상의 안내 레일에 의해 지지된다. 동시에, 캐치 수단(510)을 경유하여 몰드 하프(520')에 부착되는 컨베이어(517)는 몰드 하프(520')를 가동성 플래튼(507)상으로 당기고, 적절하게 배치될시에 몰드 하프(520')를 제위치에 고정한다. 몰드 하프는 유압 클램프(532)를 경유하여 가동성 플래튼(507)상에 적합하게 유지된다. 몰드 하프(520')가 제위치에 고정되자마자, 성형기(500)는 새롭게 장착된 몰드 하프(520')를 사용하여 새로운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시작한다. 하나의 하부 몰드 하프(520)를 다른 하부 몰드 하프(520')로 교환하기 위한 시간은 60초 이하, 적합하게는 30초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20초 이하이다.
하나의 하부 몰드 하프(520)와 다른 하부 몰드 하프(520')의 가장 빠른 교환은 워터와 공기 연결부가 하나의 하부 몰드 하프와 다른 것을 교환하기 위하여 하나의 몰드 하프(520)로부터 다른 몰드 하프(520')로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개의 하부 몰드 하프(520, 520')에서 이중 워터 및/또는 공기원(도시 생략)을 가지므로써 더 촉진된다. 적합한 모드에서, 가동성 플래튼(507)상의 하부 몰드 하프(520)와 운송 수단(517)상의 하부 몰드 하프(520')은 복수의 워터와 공기 공급원을 갖는다. 더욱이, 바람직하다면 하나 이상의 가열 소자(도시 생략)는 하부 몰드 하프(520')를 성형기에 삽입하기 전에 컨베이어(517)상에 나타나는 하부 몰드 하프(520')에서 인서트를 가열하기 위해 제공된다. 가동성 플래튼(507)상에 장착되기 전에 하부 몰드 하프(520')를 가열하는 것은 인서트가 가장 적합한 몰딩 온도 범위에 도달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몰드 하프내의 인서트는 최적 몰딩 온도 범위내에서 온도에 먼저 도달하는 가열을 요구하나, 성형품의 수 사이클 후에 인서트가 최적 온도 범위내에 유지되는 냉각을 요구한다.) 컨베이어(517)상에 존재하는 하부 몰드 하프(520')를 예열하므로써, 하부 몰드 하프내의 인서트는 두개 또는 수 몰딩 사이클에서 최적 몰딩 온도 범위에 도달하여 보다 적은 비가동 시간과 적은 손실을 초래한다. 하부 몰드 하프(520)를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하부 몰드 하프에서 하나 또는 두개의 카세트만이 가동성 플래튼(507)으로부터 하부 몰드 하프(520)를 제거함 없이 교환된다면 또한 단축되고, 하부 몰드 하프(520)는 냉각전에 더 많은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 하프의 베이스는 여전히 뜨겁고 하나 이상의 교환된 카세트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몰드 하프(520)가 가동성 플래튼(507)을 떠나고, 다른 하부 몰드 하프(520')가 몰딩을 위해 사용되며, 하부 몰드 하프(520)에서 하나 이상의 카세트가 교환된다면, 하부 몰드 하프(520)가 하나 이상의 교환된 카세트에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전체 하부 몰드 하프가 교환된다면 더 빠른 예열 시간의 이점을 갖는다.
몰드 하프를 교환한 후에, 컨베이어상의 가동성 플래튼으로부터 막 제거되는 몰드 하프에서 하나 이상의 카세트는 교환되고, 전체 몰드 하프는 다른 몰드 하프와 교환되거나 또는 몰드 하프는 가동성 플래튼상에 다시 장착된다. 몰드 하프에서 양 카세트는 6분 이하에서 교환, 더 적합하게는 4분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2분 이하에서 교환된다. 카세트 교환이 완성된 시점에 의해서, 인서트는 예열되어 가동성 플래튼(507)상에 장착된다. 예열은 1분 이하가 적합하다. 적합하게는 적어도 하나, 가장 적합하게는 하나의 하부 몰드 하프(520')가 컨베이어(516 또는 517)중 하나에서 사용되고, 이 시점에서 하부 몰드 하프(520)는 가동성 플래튼(507)으로부터 제거되게 준비된다.
적합하게는, 가동성 플래튼(507)은 몰드가 개방되는 동안 하부 위치(도시 생략)와, 하부 몰드 하프(520)에서의 인서트가 상부 몰드 하프(540)에서의 인서트와 용융 열가소성 재료가 사출되는 캐비티로부터 양 몰드 하프상의 인서트와 함께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사출후와 상기 부품의 냉각을 위해 약 0.5 내지 1.5초후에, 몰드 하프는 상부 몰드 하프에서 공기 배출 갭으로부터의 공기가 하부 몰드 하프(520)에서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인서트상으로 가압될때 분리된다. 그런다음, 성형된 렌즈 곡률은 하부 몰드 하프(520)로부터 로봇을 경유하여 제거된다. 적합한 로봇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사출 성형기(500)와, 적합한 로봇(600)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로봇은 연결 아암(601)과, 아암(602) 및 아암 툴(603)의 단부를 포함한다. 로봇(600)은 상부 몰드 하프(540)와 하부 몰드 하프(52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때 상부 몰드 하프(540)와 하부 몰드 하프(520)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로봇(600)은 하부 몰드 하프(520)가 폐쇄된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몰드 하프(540)를 향해 이동될때 하부 몰드 하프(520)와 상부 몰드 하프(540)사이의 영역에서 대향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한다. 도 6에 도시된 적합한 모드에 있어서, 로봇(600)은 직접 구동 로봇 즉, 가동성 플래튼(507)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로봇용 구동 기구(610)이다. 기어와 회전가능한 코그 즉, 랙과 피니언 기구(도시 생략)에 대하여, 로봇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즉, 몰드가 각각 개폐될때 몰드 하프사이에서 및 몰드 하프로부터 이동한다. 로봇은 개방 몰드 내측 즉, 상부 몰드 하프(540)와 하부 몰드 하프(520)사이에 도시된다. 로봇(600)이 몰드 하프 사이의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된후에, 아암 툴(603)의 단부는 아암 툴(603)의 단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진공 익스텐더(620)에 의해 하부 몰드 하프(520)의 표면으로 밀접하게 하강한다. 진공 익스텐더(620)는 진공원(도시 생략)에 연결된다.(진공이 활성화 될때 아암 툴(603)의 단부는 진공 익스텐더(620)의 수축부를 경유하여 상부로 이동한다. 진공이 비활성화 될때 아암 툴(603)의 단부는 진공 익스텐더(620)의 연장부를 경유하여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에, 렌즈는 공기 배출 시스템에 의해 하부 몰드 하프(520)로부터 배출된다. 아암 툴(603)의 단부는 공기 배출 렌즈 곡률(도시 생략)을 파지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진공원(도시 생략)에 연결되는 컵(604)을 적합하게 갖는다. 하부 몰드 하프(520)가 고정 상부 몰드 하프(540)를 향해 이동될때, 적합한 직접 구동 기구를 통한 로봇은 상부 몰드 하프(540)와 하부 몰드 하프(520)사이로부터 외부로 이동하고, 종래 기술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렌즈 곡률 펠릿(도시 생략)상에 적합하게 배치하기 위해 다른 로봇(도시 생략)에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을 전달한다.
얇은 렌즈 곡률과 공기 배출로 인해, 본 발명의 사이클 시간은 6초 이하, 적합하게는 4초 이하, 가장 적합하게는 2 내지 3초이다. 사이클 시간은 개방 몰드로부터 폐쇄 몰드까지, 다시 개방 몰드까지 이동하는 시간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교환 몰드 하프 및/또는 교환 카세트를 갖는 본 발명의 몰드는 미국 특허 제5,782,460호 및 WO98/42497와 같은 종래 기술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몰드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를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를 포함한다. 각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활성 혼합물의 중합에 의한 방사로 전달된다. 적합한 인서트 재료는 상술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 하프, 적합하게는 양 몰드 하프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적합하게는 적어도 두개의 카세트를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 형성시에, 모든 인서트는 콘택트 렌즈의 광학적 임계면을 위해 제공된다. 몰드 하프와 카세트는 쉽게 교환할 수 있고, 많은 SKUs을 생산하기 위해 다른 조합으로 사용된다. 몰드 하프는 카세트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프레임, 지지체, 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상을 취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몰드 하프는 피봇적으로 힌지되거나, 또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떨어져서 이동한다. 몰드가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는 상술한 콘택트 렌즈의 인서트 또는 공기 배출의 냉각을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인서트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배출은 콘택트 렌즈를 워터에 담그므로써 달성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RF) 칩과 같은 확인자는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확인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각 카세트상에 배치된다. 이 확인자는 카세트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합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VTN-419의 발명의 명칭이 "로트 트랙킹 및 체인지오버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ot tracking and changeover)"로 연속적으로 출원되 미국 특허 출원 제____호에 완전히 기술되어 있다. 성형기는 안구 디바이스가 성형기에 의해 제조되는 입력부를 예정하거나 수용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 정보에 의거하면, 컴퓨터는 몰드 또는 카세트 교환이 필요하게 될때 결정된다. 몰드 또는 카세트 교환시에, 성형기는 이 성형기에서 정확한 카세트 및/또는 몰드 하프를 확실하게 제조하기 위해 확인자를 판독할 것이다. 성형기에 의해 생산되는 안구 디바이스에 의거하여, 공정 조건은 형성될 새로운 안구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컴퓨터는 제조된 다수의 디바이스를 추적하고 다음 몰드 또는 카세트 교환을 예정한다.
따러서, 적합한 실시예로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도시하고 기술하며 설명한 반면에, 기술된 안구 디바이스의 형태와 상세 및 그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주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소자의 대체는 완전히 동일하고 예측된다. 또한 도면은 필수적으로 확대 도시하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와 정신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31)

  1. 안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에 있어서,
    제 2 몰드 하프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제 1 몰드 하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몰드 하프는 인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사용시에 적어도 두개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카세트는 렌즈 곡률의 형성을 위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카세트는 후면 곡률 및 전면 곡률의 형성을 위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콘택트 렌즈인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의 광학적 임계면을 위한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몰드 하프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의 비광학적 임계면을 위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상기 전면 곡률과 후면 곡률의 광학적 임계면을 위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몰드 하프는 상기 제 2 몰드 하프의 상기 인서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내의 상기 인서트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의 광학적 임계면을 형성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사용시 상기 카세트가 다르게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할때 상기 제 1 몰드 하프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교환 카세트의 수 보다 적어도 하나 더 많은 상기 교환 카세트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곡률의 광학적 임계면을 위한 인서트는 제 1 카세트에 있고, 상기 후면 곡률의 광학적 임계면을 위한 인서트는 제 2 카세트에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카세트는 상기 제 1 몰드 하프에 동시에 부착된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다르게 형성된 안구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동일한 제 2 몰드 하프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상기 제 1 몰드 하프를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내의 상기 인서트는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열전달 블록과 접촉하여 냉각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몰드 하프 또는 제 2 몰드 하프로부터 배출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펄스 공기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몰드 하프로부터 배출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내의 상기 인서트는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물에 의해 상기 인서트로부터 제거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사출 성형기에 삽입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기는 상기 제 1 몰드 하프가 하부 몰드 하프에 있는 수직한 사출 성형기인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한 성형기는 상기 안구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직접 구동 로봇을 포함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광학적 특성의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을 동시에 형성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기의 사이클 시간은 4초 이하인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몰드 하프는 60초 이내에서 다른 제 1 몰드 하프와 교환되는 안구 디바이스 형성 몰드.
  25. 두개의 다른 광학 특성 안구 디바이스가 동시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서트를 포함하는 몰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콘택트 렌즈인 몰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디바이스는 렌즈 곡률인 몰드.
  28.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에 있어서,
    상기 전면 곡률 및 후면 곡률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기 양 두께는 0.5mm 내지 0.7mm 사이인 콘택트 렌즈 제조용 전면 및 후면 곡률.
  29.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렌즈 곡률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곡률은 0.4 그램이하의 무게인 렌즈 곡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을 제조하기 위한 제 2 렌즈 곡률과 정합하고, 상기 한 쌍의 렌즈 곡률은 0.7 그램 이하의 무게인 렌즈 곡률.
  31. 제 29 항에 있어서, 태브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브는 거의 편평한 렌즈 곡률.
KR1020000023912A 1999-05-05 2000-05-04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KR10073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05,886 1999-05-05
US9/305,886 1999-05-05
US09/305,886 US6592356B1 (en) 1999-05-05 1999-05-05 Mold, molding system and molding machine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58A true KR20000077158A (ko) 2000-12-26
KR100738240B1 KR100738240B1 (ko) 2007-07-13

Family

ID=2318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912A KR100738240B1 (ko) 1999-05-05 2000-05-04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592356B1 (ko)
EP (1) EP1052075B1 (ko)
JP (1) JP2000351137A (ko)
KR (1) KR100738240B1 (ko)
CN (1) CN1325240C (ko)
AR (1) AR025160A1 (ko)
AU (2) AU782652B2 (ko)
BR (1) BR0002289B1 (ko)
CA (1) CA2307479C (ko)
DE (1) DE60029864T2 (ko)
HK (2) HK1030576A1 (ko)
SG (4) SG111982A1 (ko)
TW (1) TW4903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54B1 (ko) * 2001-07-24 2004-03-22 김재완 플라스틱렌즈 제조용 몰드물 성형장치
KR101330869B1 (ko) * 2005-08-09 2013-11-18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9549B2 (en) * 1999-05-05 2005-03-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ATE317758T1 (de) * 2001-01-24 2006-03-15 Novartis Pharm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nsen
JP3740413B2 (ja) * 2001-12-20 2006-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周波重畳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CA2473406A1 (en) * 2002-01-22 2003-07-31 David P. Rule Compression mould for mak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U2003224841A1 (en) * 2002-04-12 2003-10-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data monitored during the manufacture of molded ophthalmic lenses
ATE432806T1 (de) * 2002-10-11 2009-06-15 Liteco S R L Modulares system für formen von spritzgiessmaschinen
JP4155836B2 (ja) * 2003-02-10 2008-09-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動弁装置におけ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
US6994539B1 (en) * 2003-04-02 2006-02-07 Mei Hua Lee Machining apparatus
DE102004019633A1 (de) * 2004-04-22 2005-11-17 August Läpp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pritzguss-Formteilen
DE102004057164A1 (de) * 2004-11-26 2006-06-01 Krauss-Maffei Kunststofftechnik Gmbh Spritzgießmaschine
EP1710067A1 (de) * 2005-04-08 2006-10-11 Weckerle Gmbh Auswechselbare Formeinheit
JP4773789B2 (ja) * 2005-05-26 2011-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US7615180B2 (en) * 2005-07-08 2009-11-10 Gentex Optics, Inc.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with direct insert thermal control
US7799249B2 (en) 2005-08-09 2010-09-2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7731873B2 (en)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PT103380B (pt) * 2005-11-09 2007-09-13 Univ Do Minho Linha de extrusão laboratorial para a produção de filme tubular convencional e biorientado, com comutação simples entre as duas técnicas
US20070102835A1 (en) * 2005-11-10 2007-05-10 Bausch & Lomb Incorporated Automated in-line moulding/heat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ontact lenses
TWI373456B (en) * 2005-11-18 2012-10-01 Hon Hai Prec Ind Co Ltd Mold and eject method of the same
DE602005016825D1 (de) * 2005-12-13 2009-11-05 Sauflon Cl Ltd Herstellung von Kontakt-Linsen
US8540907B2 (en) * 2006-07-24 2013-09-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 molds and molded ophthalmic lenses
ITTO20060600A1 (it) * 2006-08-11 2008-02-12 Alenia Aeronautica Spa Metodo, impianto e attrezzatura per realizzare parti in materiale composito, in particolare parti o tronchi di fusoliera per aeromobile
US20080286403A1 (en) * 2007-05-16 2008-11-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ir Ring for a Stripper Assembly
US20090146329A1 (en) * 2007-12-06 2009-06-11 Changhong Yin Lens release
CN101544034A (zh) * 2008-03-28 2009-09-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具定位结构
US20100129484A1 (en) * 2008-11-26 2010-05-27 Scott Ansell Mold system for producing ophthalmic devices
JP2010208081A (ja) * 2009-03-09 2010-09-24 Konica Minolta Opto Inc 成形装置及び成形装置の組み付け方法
CN101927540B (zh) * 2009-06-24 2013-12-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具
TWI454363B (zh) * 2009-06-30 2014-10-01 Hon Hai Prec Ind Co Ltd 模具
EP2637847B1 (en) 2010-11-10 2014-07-23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contact lenses
US8727765B2 (en) * 2011-07-07 2014-05-20 Levon Joseph Fiore Benchtop hydraulic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US9233511B2 (en) 2012-05-10 2016-01-12 Optiz, Inc. Method of making stamped multi-layer polymer lens
US9352493B2 (en) 2013-02-08 2016-05-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US9764501B2 (en) 2014-12-19 2017-09-19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parts,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contact lenses
US10029402B2 (en) 2014-12-19 2018-07-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10137612B2 (en) 2014-12-19 2018-11-27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US9938034B2 (en) * 2014-12-19 2018-04-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s for forming contact lenses
GB2535436A (en) * 2014-12-19 2016-08-24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9937640B2 (en) 2014-12-19 2018-04-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ure of ophthalmic lens molds
GB2533408B (en) * 2014-12-19 2020-03-11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s for forming contact lenses
GB201515399D0 (en) * 2015-08-28 2015-10-14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DE102019126941B3 (de) * 2019-10-08 2020-10-29 Lisa Dräxlmaier GmbH Magazi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einlegeteilen in ein spritzgusswerkzeug
US11408589B2 (en) 2019-12-05 2022-08-09 Optiz, Inc. Monolithic multi-focus light source device
WO2024018208A1 (en) * 2022-07-22 2024-01-25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 halves for forming contact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235A (en) * 1944-11-28 1947-07-22 Teksun Inc Injection mold
GB650692A (en) 1944-11-28 1951-02-28 Teksun Inc Injection mold for use in molding opthalmic lenses and other articles
GB1032412A (en) 1961-06-03 1966-06-08 Fox And Offord Ltd Bolsters for supporting mould impressions for use in moulding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GB1032414A (en) 1961-09-13 1966-06-08 Automatic Telephone & Elec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s
US3871611A (en) 1973-05-07 1975-03-18 Taketa Phyllis Mold with removable and replaceable core and cavity inserts
DE2413317C3 (de) 1974-03-20 1980-03-06 Karl-Heinz Dr.-Ing. 4000 Duesseldorf Pahl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aus Kunststoff mit einem Umlauffördersystem für untereinander gleiche Formenträger
US3982869A (en) 1974-07-22 1976-09-28 Eggers James W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alternatively shuttled mold sections
US4008031A (en) 1975-08-22 1977-02-15 Weber Hermann P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lenses
US4364878A (en) * 1978-08-10 1982-12-21 Omnitech Inc. Method for molding ophthalmic lenses
DE3112751A1 (de) 1981-03-31 1982-10-07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Formwerkzeug zur herstellung von teilen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US4565348A (en) 1981-04-30 1986-01-21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the male mold member being more flexible than the female mold member
US4640489A (en) 1981-04-30 1987-02-03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either the male or female mold sections being relatively more flexible
JPS6048310A (ja) * 1983-08-27 1985-03-16 Ricoh Co Ltd レンズアレイ成形金型の組付方法
JPS60129229A (ja) * 1983-12-19 1985-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樹脂レンズ金型装置
GB8508247D0 (en) * 1985-03-29 1985-05-09 Sola Int Holdings Contact lenses
JPS61272120A (ja) 1985-05-28 1986-12-02 Abe Kosakusho:Kk カセツト・イン・カセツト金型
US4600372A (en) 1985-08-20 1986-07-15 Victor Barouh Positioning system for molding plastic drive gear
US4793785A (en) 1986-04-11 1988-12-27 Michio Osada Apparatus of multiplunger type for enclosing semiconductor elements with resin
US4782946A (en) 1987-09-17 1988-11-08 Allergan, Inc. Soft contact lens hydration device and kit
US4933119A (en) * 1987-10-13 1990-06-12 Gentex Corpora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H01275111A (ja) * 1988-04-28 1989-11-02 Aida Eng Ltd 射出成形金型およびそのインサートの着脱方法
CA1327110C (en) 1988-04-28 1994-02-22 Tatsuzi Nakagawa Mold assembly, and methods of mounting and removing insert thereof, and ejecting the insert
IL97175A (en) 1990-03-16 1996-01-31 Ciba Geigy Pattern for casting contact lenses
US5252056A (en) 1990-03-16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Contact lens casting mould
IL102556A (en) 1991-08-16 1998-02-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Device and process for fusing detachable lens mold units
US5271875A (en)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IT1252527B (it) * 1991-12-16 1995-06-19 Pirelli Cavi Spa Elemento tubolare di supporto di un manicotto di copertura di giunzioni, particolarmente di cavi per trasporto di energia elettrica,e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el suddetto elemento tubolare di supporto.
NL9201075A (nl) 1992-06-18 1994-01-17 Od & Me Bv Installatie voor het vervaardigen van registratiedragers.
EP0662877B1 (en) 1992-09-29 1998-03-0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plastic molds and process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5316463A (en) 1992-11-24 1994-05-31 Neu Dynamics Corporation Encapsulating molding equipment
ES2108407T3 (es) 1993-07-29 1997-12-16 Ciba Geigy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obtencion de cuerpos moldeados, asi como cuerpos moldeados obtenidos segun el procedimiento.
US5601759A (en) 1993-10-05 1997-02-1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contact lenses
US5601100A (en) 1993-10-28 1997-02-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Washing apparatus
BR9507053A (pt) 1994-01-31 1997-09-16 Bausch & Lomb Método para moldar/fundir uma lente de contato tórica
US5542978A (en) 1994-06-10 1996-08-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surfactant to mold surfaces
US5545366A (en) * 1994-06-10 1996-08-13 Lust; Victor Molding arrangement to achieve short mold cycle time and method of molding
US5706634A (en) 1994-06-10 1998-01-1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tact lens transfer device
US5658602A (en) 1994-06-10 1997-08-1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lens mold filling and assembly
IL113694A0 (en) 1994-06-10 1995-08-31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Apparatus for remov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from molds
IL113826A0 (en) * 1994-06-10 1995-08-31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lding ophthalmic contact lenses
US5861114A (en) 1994-06-10 1999-01-19 Johnson&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optical designs in soft contact lenses
US5540410A (en)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US5702735A (en) 1994-06-10 1997-12-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ing arrangement to achieve short mold cycle time
US5512221A (en) * 1994-12-22 1996-04-30 Galic Maus Ventures Lens thicknes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in a thermoplastic injection mold for ophthalmic finished spectacle lenses
AU4438696A (en) 1995-02-03 1996-08-21 Novartis Ag Crosslinked polymers
US5718849A (en) 1995-09-25 1998-02-17 Galic Maus Ventures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compression molding & ejecting paired thermoplastic spectacle lens suited for fully automated dip hardcoating
US5716540A (en) 1996-02-09 1998-02-1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enter gated lens molds for contact lens manufacture
EP0969956B1 (en) 1997-03-25 2004-11-10 Novartis AG Molding processes
JP4025387B2 (ja) 1997-03-31 2007-12-19 フジ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DE29723514U1 (de) 1997-10-31 1998-10-22 Wernicke & Co Gmbh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Herstellen von Rohgläsern aus Kunststoff oder Glas für Brillen
US6276920B1 (en) 1998-08-11 2001-08-21 Menicon Co., Ltd. Mold assembly for lens blank, having mold cavity and material reservoir defined by press-fitting engagement of upper and lower molds with intermediate sleeve
US6206674B1 (en) 1998-12-31 2001-03-27 Security Plastics, In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etero-molding tools
US6871611B1 (en) * 2004-01-20 2005-03-29 Peter James Tormey Kayak with adjustable cockpit wal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54B1 (ko) * 2001-07-24 2004-03-22 김재완 플라스틱렌즈 제조용 몰드물 성형장치
KR101330869B1 (ko) * 2005-08-09 2013-11-18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56638B2 (en) 2007-01-02
DE60029864D1 (de) 2006-09-21
US6592356B1 (en) 2003-07-15
SG114587A1 (en) 2005-09-28
CN1325240C (zh) 2007-07-11
CA2307479C (en) 2007-07-24
AU2005211530A1 (en) 2005-10-13
AU3257300A (en) 2000-11-09
CN1273164A (zh) 2000-11-15
US20030203066A1 (en) 2003-10-30
TW490388B (en) 2002-06-11
HK1030576A1 (en) 2001-05-11
JP2000351137A (ja) 2000-12-19
BR0002289B1 (pt) 2010-06-01
SG114588A1 (en) 2005-09-28
EP1052075A2 (en) 2000-11-15
SG111982A1 (en) 2005-06-29
HK1032560A1 (en) 2001-07-27
KR100738240B1 (ko) 2007-07-13
EP1052075B1 (en) 2006-08-09
AR025160A1 (es) 2002-11-13
AU782652B2 (en) 2005-08-18
BR0002289A (pt) 2001-01-02
CA2307479A1 (en) 2000-11-05
AU2005211530B2 (en) 2007-07-26
DE60029864T2 (de) 2007-01-18
SG98386A1 (en) 2003-09-19
EP1052075A3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240B1 (ko) 안구 디바이스 제조용 몰드 및 성형기
AU2002332720B2 (en)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EP0873238B1 (en) Thermoplastic injection compression molded paired spectacle lenses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330869B1 (ko) 콘택트 렌즈 몰드와 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JP3894966B2 (ja) 金型部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H09187871A (ja) 型片成形装置および成形周期を短縮するための型片配置方法
JPH09234774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射出成形方法
WO2001015883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lements de lentilles de contact, et moule a preforme utilise pour former lesdits elements
JP2011218796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成形方法、プラスチック成形システム、プラスチック成形システムによる光学素子
TWI645953B (zh) 關於製造用於形成隱形眼鏡之模具之方法及設備
JP4567598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101890081B1 (ko) 콘택트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제조에 관한 방법 및 장치
WO2024018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 halves for forming contact lenses
TW202417220A (zh) 與製造用於形成隱形眼鏡之半模相關的方法及裝置
JP5704513B2 (ja) 成形装置
JP2002160274A (ja) プラスチック製眼鏡レンズの射出成形方法
JP2007091529A (ja) モールド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