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317A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317A
KR20160112317A KR1020150037781A KR20150037781A KR20160112317A KR 20160112317 A KR20160112317 A KR 20160112317A KR 1020150037781 A KR1020150037781 A KR 1020150037781A KR 20150037781 A KR20150037781 A KR 20150037781A KR 20160112317 A KR20160112317 A KR 2016011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 lens
lens
manufactu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삼
Original Assignee
김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삼 filed Critical 김명삼
Priority to KR102015003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317A/ko
Publication of KR2016011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57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urface condition of the edge, e.g. flashless, burrless, sm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34Curing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49Double si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67Moulds for lenses wherein the mould forms part of the final package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curing or polymerising by ir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후면 광학부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에 의하면, 콘택트렌즈 금형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몰드가 렌즈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어 제조 공정상의 품질관리 측면에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금형상의 동일 케비티(Cavity)위치에서 생산된 몰드끼리 적층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금형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케비티(Cavity)별 가공 치수 오차에 따른 몰드별 치수변화가 없어 우수한 콘택트렌즈를 생산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몰드 오목부위내의 역구배(inverse draft)를 가진 다중 곡률구조의 콘택트렌즈 엣지(Edge)구조는 몰드 분리시 발생하는 렌즈 가장자리 파손을 방지하고, 렌즈를 오목부위내부에 고정시켜 외부 오염으로부터 렌즈를 보호하는 동시에, 몰드 오목부위에 고정된 렌즈에 식염수를 삽입한 후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바로 공급할 수 있어, 기존의 몰드에 부착된 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과 렌즈 광학부 스크레치(Scratch)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몰드로 부터 분리된 렌즈를 블리스터팩(Blister pack)에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렌즈 표면의 오염과 공기 중 습기에 따른 변형으로부터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Contact lens mold and Manufacturing and Packaging method with the same contact lens mold}
본 발명은 대체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 제조 시 사용되는 몰드와 그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형성된 암형몰드와 숫형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양면주조법(Double casting)과 암형몰드만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제작하는 회전주조법(Spin casting)이있다.
이러한 제조 방식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경우 그 제조 방식에 따른 암형몰드금형과 숫형몰드금형을 각각 제작하여 암형몰드와 숫형몰드를 공급해야 하며,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제작하는 제조사의 경우 서로 다른 형태의 3개 이상의 금형 즉, 양면주조법용 암형몰드금형과 숫형몰드금형, 회전주조법용 암형몰드 금형을 제작해야 한다.
또한,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블리스터 팩키징(Blister packaging)용 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사출된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을 추가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조 공법은 다수의 사출금형을 제작해야 하여 비용문제가 발생하며, 사출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정밀한 광학 품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작하기 어렵다.
또한, 통상적인 양면주조방식의 렌즈제작시 암형몰드에 숫형몰드를 결속하기 위하여 암형몰드와 숫형몰드를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사출 환경에서 제작된 암형몰드와 숫형 몰드는 사출시의 고온과 냉각시의 저온의 온도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사출 수축률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암형몰드와 숫형몰드를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경우 내부 치수 변화에 따른 일정한 품질의 정밀한 광학 콘택트렌즈를 생산하기 어렵다. 서로 다른 사출환경과 사출조건으로 사출된 각각의 암형몰드와 숫형몰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의 양면주조법의 경우 발생한다.
또한, 양면주조법으로 렌즈를 완성한 후 암형몰드 혹은 숫형몰드의 광학표면부에 강하게 부착된 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렌즈 중요부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분리된 렌즈를 블리스터 팩키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렌즈의 오염과 변형을 초래한다.
상기 서술한 방법과 공정은 콘택트렌즈 제조의 효율성을 개선했지만 오늘날의 수요와 안구에 직접 삽입하는 고품질의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콘택트렌즈 몰드 디자인과 제조 및 포장방법이 여전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때 하나의 몰드로 기존의 암형몰드와 숫형몰드의 기능을 가지는 몰드를 제공하여 콘택트렌즈 제조시 제품 품질이 안정화되게 하고, 하나의 금형으로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합 후 몰드에서 렌즈를 분리할 경우 발생하는 렌즈의 파손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자리 엣지(Edge)부위는 역구배(inverse draft)를 가진 다중곡률구조로 형성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포장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내측 오목부위에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10)를 삽입하고, 외측 볼록부위에 콘택트렌즈의 후면광학부(11)를 구비한다.
또한,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으로 렌즈를 제작한 후 렌즈(200)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위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부위는 역구배(inverse draft)(B)를 가진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로 형성한다.
한편, 오목부위에 남아있는 렌즈(200)를 수화(Hydration)하여 식염수(500)와 함께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오목부위는 충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과 금속층을 코팅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포리머 층을 포함하는 포장지(700)와 열융착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오목부 외측부위에 원형으로 열융착 플랜지(14)가 돌출된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 후면 광학부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에 의하면, 콘택트렌즈 금형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몰드가 렌즈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어 공정관리가 편리하고, 우수한 품질의 콘택트렌즈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금형상의 동일 케비티(Cavity)위치에서 생산된 몰드들을 적층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금형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케비티(Cavity)별 가공 오차에 따른 몰드별 치수변화가 없어, 우수한 콘택트렌즈를 생산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몰드 오목부위내의 역구배(inverse draft)를 가진 다중 곡률구조의 콘택트렌즈 엣지(Edge)구조는 몰드 분리시 발생하는 렌즈 가장자리 파손을 방지하고, 렌즈를 오목부위 내부에 고정시켜 외부 오염으로부터 렌즈를 보호하는 동시에, 몰드 오목부위에 고정된 렌즈에 식염수를 삽입한 후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바로 공급할 수 있어, 기존의 몰드에 부착된 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과 렌즈 광학부 스크레치(Scratch)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몰드로부터 분리된 렌즈를 블리스터팩(Blister pack)에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렌즈 표면의 오염과 공기 중 습기에 따른 변형으로부터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사시도와 단면도 그리고 사출금형의 코어체결부 조립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양면주조법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회전주조법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포장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포장에 관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와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후면 광학부(10,11)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전,후면 광학부(10,11)를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는 폴리프로필렌(P.P)등과 같은 폴리머(Polymer)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데, 콘택트렌즈(200)의 전면부를 형성하기 위해 그 형상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위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며,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는 역구배(inverse draft)(B)를 가진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를 가지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가 상,하로 접촉하여 그 내부에 액상의 콘택트렌즈 재료(200b)를 수용한다. 도1에 도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볼록부위에는 콘택트렌즈의 후면광학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 형상은 볼록부위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을 이용한 양면주조방법은 사출금형내 다수의 캐비티(Cavity)에서 생산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취출 로봇(Pick and Place robot)을 이용하여 취출하여 정해진 위치의 원형 지그셀(Jig-cell) 내부 가이드로드(Guide rod)(400a)위에 안착시킨다. 이후 액상의 렌즈 재료(200b)를 정밀튜브펌프(Peristatic tubing pump) 또는 주사기펌프(Syringe pump)를 이용하여 정량을 오목부위 즉, 전면광학부(10)에 주입한 후, 다음 사출 공정에서 사출된 동일 케비티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취출 로봇을 이용하여 렌즈 재료(200b)가 주입된 오목부위 즉, 전면광학부(10) 위에 볼록부위 즉, 후면광학부(11) 방향을 아래로 수직 적층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다수의 동일한 캐비티에서 생산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수직으로 적층 하여 오목부위와 볼록부위 즉, 전면광학부(10)와 후면광학부(11)를 동시에 사용하여 렌즈(2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전면과 후면광학부(10,11)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이용하여 렌즈(200)를 제작하는 경우 서로 다른 형태의 암형과 숫형몰드를 이용하여 렌즈(200)를 제작하는 종래의 양면주조법의 제조 방식보다 렌즈치수가 안정적이며 우수한 광학프리즘(Optical Prism)을 가지는 양질의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암형금형과 숫형금형을 제작하여 몰드를 공급하는 종래의 렌즈제작방식에 비하여 금형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다.
그리고 사출 후 다수의 케비티에 사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들을 동시에 취출하여 동일한 케비티에서 사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끼리 적층 하여 렌즈(200)를 제작하기 때문에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치수가 일정하며. 동일 케비티의 제품을 수직으로 적층 하여 생산하므로 사출 후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가 냉각시 발생하는 수축률 또한 일정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치수가 일정하며, 우수한 광학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는 수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게 정밀하게 제작된 원형의 지그셀(Jig-cell)(300)에 공급되며 지그셀(Jig-cell)(300)에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외측부 수직면(17)이 접한 상태로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들이 항상 수직상태로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원형의 지그셀(Jig-cell)(300)내부에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들은 원형의 지그셀(Jig-cell)(300)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로드(Guide-rod)(400a)와 함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두께 값 정도로 아래로 이동하며, 렌즈재료(200b)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위에 주입한 후 동일 케비티에서 사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가 적층 될 수 있게 준비한다. 일정량의 렌즈 재료(200b)가 채워진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들은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와 볼록부 외측 가장자리 엣지(Edge)(16)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수직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몰드(100) 외측부 수직면(17)과 접촉하는 원형 지그셀(Jig-cell)(300) 내측부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 할 수 있게 정밀하게 제작된다. 원형 지그셀(Jig-cell)(300)에 수직으로 적층 된 렌즈재료(200b)를 포함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가 내부에 채워지면 원형 지그셀(Jig-cell)(300)의 상부에 고정 캡(Cap)(600)을 이용하여 적층 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상,하 움직임을 제거한다. 이렇게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이 제거된 적층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들은 원형 지그셀(Jig-cell)(300)내측부에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몰드(100)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와 볼록부 외측 가장자리 엣지(Edge)(16)가 서로 접하여 고정된다. 렌즈재료(200b)를 포함한 적층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로 채워진 원형 지그셀(Jig-cell)(300)은 열 오븐기(Oven)나 UV 챔버(Chamber)로 이동하여 열중합 또는 자외선중합을 수행한다.
도1에 도시된 몰드(100) 오목부 전면광학부(10)곡률값들과 볼록부 후면광학부(11) 곡률값들을 변화시켜 근시 렌즈, 원시렌즈, 토릭렌즈(Toric lens), 멀티포컬렌즈(Multi-focal lens)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제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의 지름과 베이스커브(Base curve)값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아몬드 바이트(Diamond bite)를 이용한 초정밀 자동제어 선반(CNC turning lathe)으로 전면광학부(10)를 이루는 다양한 곡률값들을 구비한 인서트코어(Insert core)(10a)와 후면광학부(11)를 이루는 다양한 곡률값들을 구비한 인서트코어(Insert core)(11a)를 가공한다. 가공된 전,후면광학부(10,11)를 구비한 인서트코어(Insert core)(10a,11a)를 사출 금형(A)에 조립한 후 사출하여 전,후면 광학부(10,11)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인서트코어(Insert core)(10a,11a)의 재료로는 알루미늄과 황동 등의 절삭가공성이 우수하고 가공 후 우수한 표면 조도를 가지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단면도는 상기에 설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이용하여 회전주조법으로 렌즈(200)를 제작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회전주조법과 양면주조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제조방식에 적합한 각각의 사출금형 즉, 양면주조법에 사용될 암형몰드금형과 숫형몰드금형, 그리고 회전주조법에 사용될 렌즈의 전면 광학부를 구비한 몰드를 추가로 제작하여야 하지만, 상기 도1 에 설명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이용할 경우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을 동시에 이용하여 렌즈(200)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출금형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이용하여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의 렌즈생산 공정에 공급하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효과적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내측 오목부위는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10)를 형성하고 있으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를 회전지그셀(400)에 끼워 고정한 후, 렌즈 재료(200b)를 정밀튜브펌프(Peristatic tubing pump) 또는 정밀 주사기펌프(Syringe pump)를 이용하여 정량 주입 한다.
그리고 회전지그셀(400)을 서보모터(Servo motor) 또는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원심력과 마찰력으로 렌즈(200)의 후면부 곡률값을 형성한다. 이후, UV중합 또는 열중합 과정을 거쳐 렌즈(200)을 만든다. 이 경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부위의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로 인하여 회전주조법으로 제작된 렌즈(200)의 가장자리 엣지(Edge)(15)형태 또한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4는 이러한 제조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렌즈(200)의 포장에 관한 단면도이다.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의 역구배(inverse draft)(B)를 가진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로 인하여 중합된 렌즈(200)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200) 오목부 내측 전면광학부(10)에 고정된다. 이는 렌즈(200) 제조 과정 즉, 일반적인 양면주조법과 회전주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렌즈를 몰드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렌즈(200) 파손 문제와 렌즈(200) 이송중 발생하는 외부적 환경 요인들로부터 렌즈(200) 전,후면 광학부(10,11)를 보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면주조법 또는 회전주조법으로 제작된 렌즈는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의 역구배(inverse draft)(B)를 가진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15a)형태로 인하여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에 고정된다.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위 내부에 남아있는 렌즈(200)에 식염수(Saline)(500)와 함께 포장하여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를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오목부위는 충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중합된 렌즈(200)는 수화(Hydration)과정에서 10~40% 이상 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체적이 증가한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는 자동적으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내측 오목부위 즉, 전면광학부(10)로부터 분리되어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 부위와 플랜지(13,14)의 경계부위(12)에 자리 잡는다. 이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과 금속층을 코팅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포리머(Polymer)층을 포함하는 포장지(600)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의 오목부와 연결된 플랜지(14)위에 공급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밀봉한다. 돌출된 열융착 플랜지(14)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15) 경계부(12,13)는 완만하게 볼록한 다중 곡률을 구비하고 있어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취출하는 경우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의 전면광학부(10)가 손상되지 않고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로 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로 부터 손가락을 이용하여 취출시 편리할 수 있도록 열융착 프랜즈(14)부위와 몰드(100)의 내측모서리 경계부(12,13)는 완만한 곡률을 구비한 경계면을 갖는다.
그리고, 도5는 다수의 수화(Hydration)된 렌즈(200a)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와 포장지(700)을 이용하여 소비자에 공급하기 위한 멀티패키지(Multi-package)상태의 사시도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100)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외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10 : 전면광학부
11 : 후면광학부
14 : 플랜지
15 :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
15a :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
16 : 볼록부 외측 가장자리 엣지(Edge)
17 : 몰드 외측부 수직면
200 : 렌즈
200a: 수화된(Hydration) 렌즈
200b: 렌즈 재료
300 : 지그셀 (Jig-cell)
400 : 회전 지그셀(Jig-cell)
500 : 식염수
600 : 고정 캡(Cap)
700 : 포장지
A : 사출금형
B : 역구배(inverse draft)

Claims (10)

  1.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있어서,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를 갖는 오목부 형상면과 콘택트렌즈의 후면광학부를 갖는 볼록부 형상면을 구비하며, 전면광학부와 후면광학부를 에워싸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영역과, 플랜지와 연장된 몰드 외측부 수직면을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를 갖는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 둘레로 각도 5도 이상 80도 이하의 역구배(inverse draft)를 가진, 적어도 1개 이상의 곡률값을 가지는 다중 곡률엣지(Edge)구조를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렌즈의 후면광학부를 갖는 볼록부 외측 가장자리 엣지(Edge) 둘레는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의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와 접할 수 있게 경사면으로 형성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오목부위와 볼록부위 즉,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와 콘택트렌즈의 후면광학부에 2개 이상의 곡률면을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5.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 콘택트렌즈의 전면광학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플랜지는 포장지와 밀봉될 영역을 포함하며, 플랜지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 경계면은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볼록한 곡면 2개 이상을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오목부위 내부 공간은 적어도 1밀리미터 이상의 체적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플라스틱 폴리머(Polymer)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8. 제1항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양면주조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UV중합 또는 열중합이 가능하도록 3개 이상의 원형의 로드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지그셀(Jig-cel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원형의 지그셀(Jig-cell)에 콘택트렌즈의 전,후면 광학부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볼록부위가 아래로 향하도록 지그셀(Jig-cell) 내측면과 수직한 가이드로드(Guide rod) 상부면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오목부위에 중합 가능한 렌즈재료를 정량 주입하고;
    - 다음 사출 공정에서 사출된 동일 케비티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취출로봇을 이용하여 동일 케비티의 몰드가 삽입된 원형의 지그셀내부 몰드위에 수직으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적층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렌즈재료를 지그셀(Jig cell)내부면과 수직면을 가지는 고정캡(Cap)을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수직 고정한 후, UV 중합 또는 열중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UV중합 또는 열중합 장치 내에서 중합 가능한 렌즈재료의 경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양면주조방법.
  9. 제1항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회전주조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회전지그셀(Jig-cel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회전지그셀(Jig-cell)의 중심부에 수직한 세로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고;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중심부의 회전축과 회전지그셀(Jig-cell)의 회전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기 몰드를 회전지그셀(Jig-cell)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중합 가능한 렌즈재료를 오목부 전면광학부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회전지그셀(Jig cell)을 서보모터(Servo motor) 또는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몰드에 주입된 렌즈재료가 원심력에 의하여 렌즈후면부 곡률값을 형성한 후, 질소가스를 퍼징(Pur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질소가스로 채워진 환경에서 UV 파장 또는 열을 가하여 렌즈재료를 중합하여 렌즈를 회전주조법으로 제조하는 방법.
  10. 제1항의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포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오목부 내측 가장자리 엣지(Edge)에 역구배(inverse draft)를 가진 다중곡률 형태로 인하여 제조된 렌즈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오목부 내의 전면광학부에 고정된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오목부위 내에 남아있는 렌즈에 식염수(Saline)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과 금속층을 코팅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포리머(Polymer)층을 포함하는 포장지를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오목부와 연장된 플랜지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플랜지위에 제공된 포장지에 일정량의 압력과 열을 가하여 열융착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후면 광학부를 동시에 구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포장 방법.
KR1020150037781A 2015-03-18 2015-03-18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KR20160112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81A KR20160112317A (ko) 2015-03-18 2015-03-18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81A KR20160112317A (ko) 2015-03-18 2015-03-18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17A true KR20160112317A (ko) 2016-09-28

Family

ID=5710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781A KR20160112317A (ko) 2015-03-18 2015-03-18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3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97U (ko) * 2018-11-09 2020-05-20 쥔 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렌즈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97U (ko) * 2018-11-09 2020-05-20 쥔 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렌즈 플라스틱 사출 성형 몰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587B2 (en)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KR101821859B1 (ko) 광학 소자의 제조를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US5753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mposite articles
TWI501856B (zh) 模內振動式熱壓射出成型方法及其成型裝置
KR20160112317A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와 그를 이용한 제조 및 포장방법
CN112976476A (zh) 用于模具注塑工艺的薄片固持带
WO200409748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ybrid aspherical lens
EP3259119B1 (en)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KR200347020Y1 (ko)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EP3233410B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manufacture of molds for forming contact lenses
KR20160004031A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JP5717363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成形型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3028080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7136921A (ja) 厚肉樹脂容器の製造方法及び金型
JP2006231825A (ja) 原料注入方法
JP5675174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用成形型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145048A (ja) 高精密度光学レンズの成形機構及びその製品
JP585673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5748597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4792447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
JP2013028079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CN117021636A (zh) 一种通过注塑成型制造眼镜框的生产工艺及模具
JP2007230142A (ja) 光学素子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