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571B1 - 차량용 기능성 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능성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571B1
KR101328571B1 KR1020110086321A KR20110086321A KR101328571B1 KR 101328571 B1 KR101328571 B1 KR 101328571B1 KR 1020110086321 A KR1020110086321 A KR 1020110086321A KR 20110086321 A KR20110086321 A KR 20110086321A KR 101328571 B1 KR101328571 B1 KR 10132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ilter
air
vehicle
function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508A (ko
Inventor
박지용
이동석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기능성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블로어 유니트(10)의 내외기도어(13)와 블로어(15) 사이에 설치되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에어필터(30)와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기능성 부재(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30)를 통과하여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 차실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터 고유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성분이 토출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기능성 필터 {Functional filte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기능성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성분이 토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뒤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차실내로 유입된 외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유니트(Evaporator Unit) 또는 차량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 유니트(Heater Core Unit)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페이스 벤트(Face Vent) 및 플로어 벤트(Floo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와 유해 가스 또는 냄새를 여과시켜 깨끗한 공기를 차량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에어필터는 소음도 감쇄시켜 준다.
다만, 이러한 에어필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공기 중에 섞인 먼지나 이물질이 에어필터 속에 끼이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필터의 여과성능이 저하되므로 에어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에어필터 자체를 교환하여 주어야 한다.
한편, 에어필터가 장착되는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와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타입(Semi-Center Type)과, 송풍기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이 있는데, 종래에는 세미 센터타입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실내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세미 센터타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구조의 센터 마운팅 타입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1-0023306(2011년03월08일 공개)는 차량용 송풍장치 중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필터를 필터 커버부재로 간단히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납실에 삽입함으로써, 필터 커버부재의 분리시 에어필터의 인출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필터 커버부재의 분리가 간편해지므로, 에어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내/외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내/외기 전환도어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유입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와 스크롤케이스 사이의 수납실에 삽입되는 에어필터와, 상기 수납실의 외측에 있는 결합턱에 탄성결합부로 결합되는 필터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커버부재는, 수납실의 입구를 덮는 전면부의 내측면 양단에 필터부재의 양측을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는 체결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에어필터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혼합된 먼지와 유해 가스의 제거가 가능하더라도, 차량주행시 습한 날에 공조장치를 가동함에 따라 공조덕트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이 그대로 차실로 유입되어 차실 내에 탑승객이 세균성 이물질에 의한 구토나 두통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며, 차실 내의 불쾌한 냄새로 인해 쾌적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조장치 가동시 차실내의 습도가 감소되어 차실내의 공기가 건조해지게 되어, 탑승객이 불쾌감을 느끼고, 건조함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탈취제, 방향제, 비타민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필터가 추가로 필요하나, 이를 공급케이스에 별도로 장착시키는 것은 설계상 어려운 점이 많아 종래의 경우 에어필터 부위의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주거나 또는 탈취제 또는 방향제를 차실내에 놓아두는 방법으로 세균성 이물질 문제 및 냄새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될 수 없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1-0023306(2011년03월08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실 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타민, 방향제, 보습제 등의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필터를 장착하는 데 있다.
또한 기능성 부재로 인한 에어필터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며, 에어필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기능성 성분의 토출이 가능한 차량용 기능성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에어필터와 기능성 부재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에어필터와 기능성 부재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비용 절감 및 자원 절약의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블로어 유니트의 내외기도어와 블로어 사이에 설치되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공기 내에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에어필터와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하여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기능성 부재를 통과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 차실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필터는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를 지지하도록 둘레에 부착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부(32)는 상기 집진부 하단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하길이가 상기 집진부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부 하단에 상기 기능성 부재를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테두리부 하부에 삽입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에어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저항을 감소하기 위한 다공성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기능성 성분을 흡수하여 방출하도록 세라믹, 펄프, 제올라이트, 활성탄, 셀룰로오스, 실리카 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성분은 비타민, 항균제, 방향제, 탈취제, 카테킨, 보습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한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부재에 단일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거나, 복수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기능성 부재의 각 층에 서로 다른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는 에어필터의 여과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차실 내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성분이 토출되는 기능이 있다.
또한, 기능성 성분이 담지된 기능성 부재를 에어필터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어필터와 기능성 부재 각각 따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필터가 장착된 차량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의 블로어 유니 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의 기능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기능성 부재의 다공성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능성 부재의 한 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차량용 기능성 필터의 지지부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기능성 부재가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기능성 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블로어 유니트(10)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로어 유니트(10)는 자동차의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 공기 유입구(11) 및 자동차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공기 유입구(12)를 가지는 블로어 케이스(14)(blower case)와, 실내 공기 유입구(11) 및 실외 공기 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도어(13)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블로어 케이스(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유입구(11) 또는 실외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는 블로어(15)와, 블로어(15)를 회전시키는 블로어 모터(16)(blower motor)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로어 케이스(14)에 블로어(15)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을 여과하며 기능성 성분을 방출하는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filter)(1)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1)는 블로어 유니트(10)의 내외기도어(13)와 블로어(1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1)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여과된 공기를 형성하는 에어필터(30)와 상기 에어필터(30) 하측으로 기능성 물질을 방출하는 기능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성분은 상기 에어필터(30)를 통과하여 제거되고, 상기 에어필터(30) 하측에 포함된 기능성 부재에 의해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 차실로 토출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1)는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에어필터(30)와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기능성 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필터(3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집진부(31)와 상기 집진부(31)를 지지하도록 둘레에 부착 형성되는 테두리부(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 하부에 기능성 성분을 담지하여, 차량 내부로 기능성 성분을 방출하는 기능성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부(31)는 공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비타민일 수 있다. 비타민은 피부 내의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피부의 보습성 및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다. 상기 비타민의 바람직한 예로는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항균제일 수 있다. 차량 주행시 습한 날에 에어컨 또는 히터를 가동함에 따라 공조덕트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 세균성 이물질이 그대로 차실로 유입되어 구토나 발열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상기 세균성 이물질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항균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리팜핀(rifampin),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설파디아진(sulfadiazine),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노플록사신(norfloxac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미코나졸(miconazole), 4차 암모늄염으로 구성되는 물질, 와사비 및 기타 항균 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카테킨일 수 있다. 상기 카테킨은 항염증성 효과를 제공하여 염증의 발생 및 지속을 억제하고,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 에어컨, 히터 가동시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보습성분일 수 있다. 에어컨 또는 히터가 가동되는 경우 습도가 낮아져 피부가 건조해진다. 상기 보습성분은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 차량 내의 불쾌감을 없애는 동시에,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보습성분의 바람직한 예로는 세라마이드, 콜라겐, 동식물성 다당류, 코엔자임 Q10, 젤라틴, 키틴, 키토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은 탈취제일 수 있다. 습한 날에 공조장치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 성분을 없앨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 물질을 방향제일 수 있다. 습한 날에 공조장치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 성분을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장시간 운전하여 발생하는 피곤함이나 졸음을 방지하는 아로마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32)는 상기 집진부(31)를 지지하고, 상기 집진부(31) 하단에 상기 기능성 부재(20)를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4의 (A)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의 에어필터(3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에어필터(30)는 테두리부(32)와 집진부(31)로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32)는 상기 집진부(31) 하단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32)의 상하길이가 상기 집진부(31)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진부(31) 하단에 상기 기능성 부재(20)를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테두리부(32) 하부에 삽입 홈(33)이 형성된다.
도 4의 (B)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에서 기능성 부재(20)가 에어필터(30)에 부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 홈(33)은 집진부(31) 하단에 기능성 부재(20)를 끼워 고정하도록, 에어필터(30)의 테두리부(32)에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다공성 형태(21)로 구성된 다공성 소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형태(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20)의 네 면에 일정 너비가 형성된 돌출부(22)를 포함하여, 에어필터(30)의 테두리부(32)에 전체를 따라 형성된 삽입 홈(33)으로 끼워 조립한다. 따라서 별도로 테두리부(32)와 기능성 부재(20)에 각각 커낵터를 형성하거나 장착을 위한 클립 구성과 같은 별물의 장착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기능성 부재(20)를 에어필터(30) 하측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어 별물의 장착구조 형성 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발생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성 부재(20)를 에어필터(30)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의 기능성 부재의 돌출부(22)를 에어필터의 삽입 홈(33)에 끼워 고정한다. 반대로 기능성 부재(20)를 에어필터(30)에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22)와 상기 삽입 홈(33)을 이격시킨다. 상기와 쉽게 기능성 부재(20)를 에어필터(30)에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에어필터(30)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기능성 부재(20)의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 종래처럼 차량용 기능성 필터(1) 전체를 교환하지 아니하고도, 고유의 기능이 손상된 에어필터(30) 또는 기능성 부재(20)만 따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용 절감의 효과가 뛰어나고 자원 절약에도 큰 도움이 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이 상기 다공성 형태(21)는 전체적으로 홀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도 6과 같이 불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허니콤 구조 또는 3차원 망목구조(network structure)와 같은 공기 역학적 구조 측면에서 에어필터(30)를 통과한 공기측 저항을 감소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크고 공기흐름이 원할히 이루어지는 구조의 다공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부재는 가교제, 분산제, 발포제 및 계면활성제를 각각 첨가 혼합후 발포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3차원 다공성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발포 과정을 통해 형성된 많은 포어(pore)에 기능성 물질이 함침되어 담지될 수 있다.
또는 미세 공극이 형성되도록 제작된 성형틀에 주입하거나 압출기에 넣어 허니콤형상, 그물형상 등으로 성형체를 형성하여 다공성 형태(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수분을 흡수하여, 기능성 성분과 함께 수분이 토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와 필터에 배치한 비타민류의 토출량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에어컨이나 히터를 가동하여 차실의 공기가 건조한 경우 단지 비타민을 필터에 담지 시킨 것만으로는, 탑승객이 보습 효과를 얻고 싶은 때에 비타민이 충분이 방출되지 아니하여 탑승객이 원하는 습기 감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부재의 소재는 기능성 성분을 흡수하여 방출하는 기능이 탁월한 세라믹, 펄프, 제올라이트, 활성탄, 셀룰로오스, 실리카 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바람직하게 탄화규소, 탄소 및 알루미나의 혼합물을 산화 소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소재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팽윤시킨 다음 물로 수세한 후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바, 차실의 이산화탄소 제거에도 큰 효과가 있다.
상기 활성탄 소재는 공기 내의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과 함께 차실 내의 악취 제거에도 큰 효과가 있다.
상기 실리카 겔 소재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실리카수지를 분사하여 건조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작되거나 발포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일면에 실리카 겔을 코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내 공기 유입구(11) 또는 실외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51)는 먼지, 유해 가스 등을 포함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외부 공기(51)는 에어필터(30)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고, 유해 가스등이 정화되어 여과된 공기(52)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해 성분을 필터링하는 필터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된 공기(52)는 기능성 부재(20)를 통과하며 비타민 등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공기(53)로 토출된다. 따라서 기능성 성분이 토출되면서도 필터의 고유 기능인 공기 여과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기능성 부재(20)는 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층의 기능성 부재에 단일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거나 복수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성 부재(20) 전체에 비타민만을 담지하거나, 보습성분만을 담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과같이 기능성 부재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A 부분에 비타민을 담지하고, B 부분에 보습성분을 담지할 수 있다. 또는 기능성 부분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왼쪽부터 차례로 비타민, 항균제, 방향제를 담지할 수 있다. 또는 기능성 부분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위쪽부터 차례로 비타민, 항균제, 방향제, 보습성분을 담지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능성 부재(20)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층을 이루는 기능성 부재의 각 층에 서로 다른 기능성 성분을 담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기능성 부재(20)를 두 층으로 적층하여 A층에는 비타민 성분이 담지되고 B층에는 보습성분이 담지될 수 있다. 또는 기능성 부재(20)를 세 층으로 적층하여 아래부터 차례로 비타민, 항균제, 방향제를 담지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차량용 기능성 필터
10: 블로어 유니트
11: 실내 공기 유입구
12: 실외 공기 유입구
13: 내외기도어
14: 블로어 케이스 (blower case)
15: 블로어 (blower)
16: 블로어 모터 (blower motor)
20: 기능성 부재
21: 다공성 형태
22: 돌출부
30: 에어필터
31: 집진부 32: 테두리부 33: 삽입 홈
51: 공기 흐름 52: 공기 흐름 53: 공기 흐름
125: 에어필터 130: 스크롤케이스(Scroll Case)
135: 송풍팬 150a: 필터 커버(Filter Cover)부재
154: 삽입부 156: 탄성결합부
160: 보강돌기 162: 후크(Hook)홈
164: 후크부

Claims (8)

  1. 블로어 유니트(10)의 내외기도어(13)와 블로어(15) 사이에 설치되며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에어필터(30)와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능성 성분을 담지한 기능성 부재(20)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필터(30)를 통과하여 유해 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기능성 부재(20)를 통과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여 차실로 토출되며,
    상기 에어필터(30)는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집진부(31)와 상기 집진부(31)를 지지하도록 둘레에 부착 형성되는 테두리부(32)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부(32)는 상기 집진부(31)하단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32)의 상하길이가 상기 집진부(31)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31) 하단에 상기 기능성 부재(20)를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테두리부(32) 하부에 삽입 홈(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에어필터(30)를 통과한 공기의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다공성 형태(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기능성 성분을 흡수하여 방출하도록 세라믹, 펄프, 제올라이트, 활성탄, 셀룰로오스, 실리카 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비타민, 항균제, 방향제, 탈취제, 카테킨, 보습성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한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능성 부재(20)에 단일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거나, 복수의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20)는 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기능성 부재(20)의 각 층에 서로 다른 기능성 성분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능성 필터(1).
KR1020110086321A 2011-08-29 2011-08-29 차량용 기능성 필터 KR10132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21A KR101328571B1 (ko) 2011-08-29 2011-08-29 차량용 기능성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321A KR101328571B1 (ko) 2011-08-29 2011-08-29 차량용 기능성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08A KR20130023508A (ko) 2013-03-08
KR101328571B1 true KR101328571B1 (ko) 2013-11-12

Family

ID=4817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321A KR101328571B1 (ko) 2011-08-29 2011-08-29 차량용 기능성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45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KR101972583B1 (ko) * 2018-05-15 2019-05-09 에어랩 주식회사 차량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04Y1 (ko) * 2013-06-20 2014-05-22 최성민 유기물 분석장비용 유해가스 제거장치
KR200485245Y1 (ko) * 2016-04-07 2017-12-13 (주)돌비웨이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KR102597878B1 (ko) 2017-02-28 2023-11-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필터
KR102045704B1 (ko) * 2019-05-03 2019-11-18 송홍준 차량설치용 미세먼지흡착장치
CN112221277A (zh) * 2020-10-30 2021-01-15 西华大学 一种空气过滤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724A (ja) * 1999-05-18 2000-11-28 Equos Research Co Ltd 空気清浄用フィルタ
JP2001213157A (ja) * 2000-02-07 2001-08-07 Central Automotive Products Ltd カーエアコン用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724A (ja) * 1999-05-18 2000-11-28 Equos Research Co Ltd 空気清浄用フィルタ
JP2001213157A (ja) * 2000-02-07 2001-08-07 Central Automotive Products Ltd カーエアコン用フィル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45A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KR101990135B1 (ko) * 2017-04-24 2019-06-19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KR101972583B1 (ko) * 2018-05-15 2019-05-09 에어랩 주식회사 차량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08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571B1 (ko) 차량용 기능성 필터
KR10116626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EP2279885B1 (en) Mobile air cleaning unit and distribution system
US10780383B2 (en) Supply ai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EP1676734B1 (en) Fixing mechanism for a container in which an antibacterial agent is sealed and container therefor
US20120234175A1 (en) Good smelling scented air filter
KR20130024208A (ko)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
KR102505153B1 (ko)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0575309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1207140B1 (ko) 냄새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01213157A (ja) カーエアコン用フィルター
JP4025134B2 (ja) エアフィルタ
ITTO940965A1 (it) Filtro per aria e relativo procedimento di rigenerazione.
KR10197076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210128294A (ko) 자동차용 기능성 필터
KR20050038748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CN217892833U (zh) 一种空调箱及车辆
CN219423972U (zh) 一种具有自洁性的汽车空调滤芯
JP3044229U (ja) 脱臭用羽根車装置
KR20060077230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구조
JP2003210559A (ja)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580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유니트
KR100564476B1 (ko) 공기청정기
KR10120706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50075105A (ko) 공기청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