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476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476B1
KR100564476B1 KR1020040013909A KR20040013909A KR100564476B1 KR 100564476 B1 KR100564476 B1 KR 100564476B1 KR 1020040013909 A KR1020040013909 A KR 1020040013909A KR 20040013909 A KR20040013909 A KR 20040013909A KR 100564476 B1 KR100564476 B1 KR 10056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rame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543A (ko
Inventor
정순기
서정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4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필터가 필터프레임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어셈블리(61)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1)가 안착되는 필터프레임(62)과;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필터(6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우측단은 상기 필터프레임(62)의 회동힌지(6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단은 상기 필터프레임(62)의 고정리브(6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의 정화능력이 향상되고 필터어셈블리의 착탈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공기청정기, 필터, 공기정화, 전기집진

Description

공기청정기 {A air cleaner}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면패널과 전면프레임이 탈거된 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요부구성인 전기집진필터의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 필터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공기청정기 52. 외부케이스
54. 전면프레임 56. 전면패널
60. 필터장치 61. 필터어셈블리
61a. 프리필터 61b. 헤파필터
61c. 탈취필터 61d. 카본나노볼필터
61e. 오존제거필터 61f. 나노은필터
62. 필터프레임 63. 전기집진필터
64. 필터고정수단 64'. 회동힌지
64". 고정리브 66. 송풍팬
68. 팬모터 70. 토출구
72. 토출베인 80. 오존발생장치
82. 오존발생기 82'. 오존기장착부
84. 오존분사기 84'. 분사기고정부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필터가 필터프레임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
그리고 근래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기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실내의 공기청정을 위해서 냉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측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기 장착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그릴(2)의 후방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4)의 후측에 공기청정기(6)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공기청정기(6)는 수평브래킷(5)과 수직브래킷(7)에 의해 장착된다.
즉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에 체결된 수평브래킷(5)의 중앙부 상측에 접점가이드(8)가 형성되고, 이러한 접점가이드(8) 위에 공기청정기(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기(6)는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에 체결되는 수직브래킷(7)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동작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모터(11)가 팬(13)을 회전시키고, 팬(13)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실내 공기가 흡입그릴(2), 에어 필터(4), 그리고 공기청정기(6)를 통과한 다음, 실내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하강된다. 그리고 상기 팬(13)에 의해 팬 하우징(12)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측의 토출구(3)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a는 베이스판을 나타내며, 10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6)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기청정기(6)는 주로 단일 필터로 구성되어 한가지 기능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다양한 오염원이 발생하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완전하게 정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필터가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기집진필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안착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상기 필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일단은 상기 필터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필터프레임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의 정화능력이 향상되고 필터어셈블리의 착탈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청정기의 내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요부구성인 전기집진필터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어셈블리 배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청정기(50)의 측면외관을 외부케이스(52)가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52)는 납작한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전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52)의 선단에는 전면프레임(54)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54)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면프레임(54)의 중앙부에는 공기의 이동통로인 흡입구(5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55)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흡입통공부(55')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통공부(55')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케이스(52)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전면패널(56)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56)은 공기청정기(50)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54)에 체결된다.
상기 전면프레임(54)의 후방에는 필터어셈블리(61)와 필터프레임(62)을 포함하는 필터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1)는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공기청정기(50)의 외부(실내공간)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1)는 다수개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 제거는 물론, 세균 박멸과 항균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1)는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61a)가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리필터(61a)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을 가지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망사면에는 항균작용을 하도록 별도의 제품이 첨가되기도 한다.
상기 프리필터(61a)의 후측에는 프리필터(61a)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헤파(HEPA)필터(61b)가 구비된다. 상기 헤파필터(61b)는 항균효과를 가진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코팅된 고성능 필터로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거의 99.97%이상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헤파필터(61b)의 후측에는 공기중의 냄새입자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탈취필터(61c)가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61c)는 초강력 활성탄 필터가 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공기 중의 담배냄새와 음식냄새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탈취필터(61c)의 후측에는 기존 탈취필터보다 탁월한 냄새제거력으로 김치냄새와 담배냄새 및 생선비린내 등을 말끔히 제거하는 카본나노볼(CNB)필터(61d)가 구비된다.
카본나노볼(CNB)은 2백~5백nm 크기의 구(球)형 탄소 구조체로 표면에 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높은 표면 흡착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표면 흡착면적이 높다는 것은 악취 성분과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카본나노볼필터(61d)에 사용되는 카본나노볼은 실리카(Silica) 전구체를 이용한 7단계 합성 방법을 통해 탄소 구조체의 외피 두께와 기공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오염원 별로 흡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본나노볼필터(61d)에서는 탄소 구조체의 내부 빈 공간에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촉매를 첨가시킴으로써 오염물의 흡착과 분해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 활성탄에 비해 악취가스 제거 능력이 8~12배 나 높으며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관련된 흡착력도 15배 이상 높다.
상기 카본나노볼필터(61d)의 후측에는 오존제거필터(61e)가 구비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61e)는 공기중의 오존(O₃)을 제거하는 것으로, 특히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장치(80)에서 발생된 오존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61e)의 후측에는 필터어셈블리(61)의 후면을 형성하는 나노은필터(61f)가 구비된다. 상기 나노은필터(61f)는 지구상에서 항균성이 가장 강한 금속인 은을 망에 코팅하여 필터 구석의 세균번식까지 억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은으로 이루어진 나노실버가 나노실리카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나노은필터(61f)는 수지로 형성되는 망에 나노은을 코팅처리하거나, 수지로 망을 형성할 때 나노은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1)는 필터프레임(62)에 장착된다. 상기 필터프레임(62)은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65)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주면은 상기 필터어셈블리(6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프레임(62)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통과한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선단 일측에는 전기집진필터(63)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집진필터(63)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부터 고압의 전기를 발생시켜 공기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우측단은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우측 선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좌측단은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좌측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프레임(62)에는 상기 전기집진필터(63)를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64)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고정수단(64)는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회동축이 되는 회동힌지(64')와,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리브(64")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힌지(64')의 내부는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공간에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우측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힌지(64')의 좌측은 개방되어 측방개구부(64'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집진필터(63)를 좌측방으로 당기면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우측단이 상기 측방개구부(64'a)를 통해 좌측으로 분리된다.
상기 고정리브(64")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전방은 개구되어 전방개구부(64"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방개구부(64"a)의 좌우길이는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 외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를 상기 전방개구부(64"a)의 전방으로부터 밀어넣으면, 상기 고정리브(64")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게 되어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이 고정리브(64")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외부케이스(52)의 내부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61)의 후방에는 오리피스(65)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65)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통과한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66)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공(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리피스(65)의 후방에는 송풍팬(66)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66)은 공기청정기(50) 내외부를 공기가 순환하도록 강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66)이 아래에서 설명할 팬모터(68)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66)의 회전중심으로 흡입된 다음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66)은 상기 외부케이스(52)에 장착된 팬모터(68)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팬모터(68)는 상기 송풍팬(66)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52)에 설치되는 모터브라켓(68')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케이스(52)의 측면과 하면 및 상면에는 상기 송풍팬(66)에서 토출된 공기를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구(70)에는 선택적으로 토출구(70)를 차폐하는 토출베인(72)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52)에는 오존발생장치(8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오존(O₃)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82)와, 상기 오존발생기(82)에서 발생된 오존을 공기중에 분사하는 오존분사기(8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52)의 하단 우측에는 상기 오존발생기(82)가 장착되는 오존기장착부(8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우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오존분사기(84)가 장착되는 분사기고정부(84')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50)가 작동되면, 상기 토출베인(72)이 상기 토출구(70)를 각각 개방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68)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66)이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통공부(55')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청정기(50)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56)과 전면프레임(54)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55)를 통해 공기청정기(5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청정기(5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필터어셈블리(61)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어셈블리(61)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은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된다.
즉 상기 프리필터(61a)에서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며, 이러한 프리필터(61a)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상기 헤파(HEPA)필터(61b)에 의해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109.97%이상이 거의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헤파필터(61b)를 통과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입자 등은 1차적으로 상기 탈취필터(61c)에 의해 제거된 다음, 이러한 탈취필터(61c)보다 더 강력한 냄새제거력을 구비한 카본나노볼(CNB)필터(61d)에 의해 재차 제거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61e)에서는 오존발생장치(80)에서 발생된 오존이 제거되고, 상기 나노은필터(61f)에서는 필터에서의 세균번식까지 억제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82)에서는 오존이 발생되어 상기 오존분사기(84)를 통해 상기 흡입구(55)를 통과하는 흡입공기에 분사된다.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살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집진필터(63)에는 고압의 전기가 흘러 상기 흡입구(5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을 제거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통과하면서, 이물과 냄새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65)에 의해 안내되어 송풍팬(66)의 중앙부로 유입된 다음, 송풍팬(66)의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66)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70)를 통해 외부(실내공간)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청정기(50)를 장시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교환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전면프레임(54)을 전방으로 탈거한 다음 먼저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을 탈거시켜 우측단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즉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필터프레임(62)의 고정리브(64")가 좌우로 벌어지게 되어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이 탈거되고, 이러한 전기집진필터(63)는 우측단을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필터프레임(62)의 전방은 완전히 개방되므로,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전방으로 분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필터어셈블리(61)에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다수의 필터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필터(63)를 상기 필터프레임(6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집진필터(63)를 좌측방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기집진필터(63) 좌측단이 상기 회동힌지(64')의 측방개구부(64'a)를 통해 탈거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필터어셈블리(61)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61)를 상기 필터프레임(62)에 삽입한 다음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을 후방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리브(64")가 양측방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63)의 좌측단이 상기 고정리브(6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61)가 프리필터(61a), 헤파필터(61b), 탈취필터(61c), 카본나노볼필터(61d), 오존제거필터(61e), 나노은필터(61f)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합구성은 필요에 따라 각각의 필터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61)가 프리필터(61a), 헤파필터(61b), 탈취필터(61c), 카본나노볼필터(61d), 오존제거필터(61e), 나노은필터(61f)의 총 6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 중 하나 이상이 제외되거나 별도의 필터가 더 부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필터어셈블리와 필터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카본나노볼필터, 오존제거필터, 나노은필터 등과 같은 다양한 필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필터의 착탈작업이 용이하므로, 공기청정기의 제조 및 필터교환을 위한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필터어셈블리에 다수의 필터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양한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프레임에 설치되는 전기집진필터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므로, 전기집진필터의 후방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의 교체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이루어지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안착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일단은 상기 필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필터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수단은,
    상기 필터프레임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회동축이 되는 회동힌지와;
    상기 필터프레임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좌측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힌지의 내부에는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우측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힌지의 좌측은 개방되어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우측단이 좌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방에는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좌측단이 출입되는 전방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부의 좌우길이는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좌측단 외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040013909A 2004-03-02 2004-03-02 공기청정기 KR10056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09A KR100564476B1 (ko) 2004-03-02 2004-03-02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09A KR100564476B1 (ko) 2004-03-02 2004-03-02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43A KR20050088543A (ko) 2005-09-07
KR100564476B1 true KR100564476B1 (ko) 2006-03-29

Family

ID=3727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09A KR100564476B1 (ko) 2004-03-02 2004-03-02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490A (zh) * 2020-03-25 2020-07-17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悬吊式进风口滤棉固定结构及固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0490A (zh) * 2020-03-25 2020-07-17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悬吊式进风口滤棉固定结构及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43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88B1 (ko)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0575309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KR100564476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1025A (ko) 공기청정기의 탈취필터 구조
KR100687360B1 (ko) 공기청정 시스템
KR100633181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KR100564478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7231A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CN210601997U (zh) 空气净化模块、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KR100564479B1 (ko) 공기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50089447A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3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7230A (ko) 공기청정기
KR100575315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87B1 (ko) 공기청정기
KR100593077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88B1 (ko) 공기청정기
KR200340802Y1 (ko) Uv 살균 공기청정기
KR100587092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633183B1 (ko) 공기청정기
KR100575308B1 (ko) 공기청정기
CN100465531C (zh) 空气净化机
CN100455338C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