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766B1 -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766B1
KR101970766B1 KR1020120152680A KR20120152680A KR101970766B1 KR 101970766 B1 KR101970766 B1 KR 101970766B1 KR 1020120152680 A KR1020120152680 A KR 1020120152680A KR 20120152680 A KR20120152680 A KR 20120152680A KR 101970766 B1 KR101970766 B1 KR 10197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conditioner
evapor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210A (ko
Inventor
박지용
이동석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7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33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generating or clean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85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electrical means, e.g.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static forces in order to reject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25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by-passing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 케이스(1)와,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내부로 외기를 송풍하는 블로워(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송풍 유로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증발기(E)와 상기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어 냉기통로(P1) 및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유해물질 또는, 악취의 원인물질 등의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여과하는 에어필터(100), 상기 증발기(E)와 상기 냉기통로(P1)의 근처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100)가 삽입되어 상기 에어필터(100)를 재생하는 필터 재생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 내부에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또는 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필터 재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 재생부에서 상기 에어필터에 흡착되어 있는 유해물질 및 악취 등을 분해하여 상기 에어필터의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 및 실내를 순환하는 실내공기를 증발기(E) 또는, 히터코어(H)에서 냉각 또는 가열시킨 다음,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키고 있다.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20, 30, 40)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21, 31, 41)가 설치된 공조 케이스(1)와,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내부로 외기를 송풍하는 블로워(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송풍 유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증발기(E)와 상기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난방 모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50)는 상기 냉기통로(P1)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P2)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히터코어(H)를 통과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상기 온기통로(P2)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상기 벤트(21, 31, 41)들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어 난방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냉방 모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50)는 상기 온기통로(P2)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냉기통로(P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1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P1)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상기 벤트(21, 31, 41)들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어 냉방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에는 각종 유해성분, 예를 들어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분진 등의 입자상 유해물질 및 차량 외부에서 발생된 악취 등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필터(Air Filter)가 장착된다. 그 구조는 보통 활성탄(Activated Carbon)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성분들을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에어필터가 흡착되는 상기 유해성분들로 인해 포화가 된 경우에도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 전체를 탈거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를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는 경우, 상기 유해성분, 즉,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유기화합물, 분진 등의 입자상 유해물질 및 차량 외부에서 발생된 악취의 유해물질이 더 이상 상기 에어필터에 흡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운전자 또는, 탑승자 쪽으로 그대로 토출될 뿐만 아니라, 악취로 인해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드레인 홀(60)을 통하여, 상기 냉방 시스템이 가동될 경우의 상기 증발기(E)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되도록 하고 있지만, 응축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드레인 홀(60)을 통하여 전량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상기 증발기(E)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 응축수로 인해서 발생하는 악취의 경우 종래의 상기 에어필터를 이용해서는 막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7276호(2007.03.09., 명칭 : 차량용 공기 정화 필터 구조)에서는 차량의 공조 장치 내에 설치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냄새를 제거해주는 차량용 공기 정화 필터 구조에 대해서 개시된 바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가 포화된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전체를 탈거해야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7276호(2007.03.09., 명칭 : 차량용 공기 정화 필터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 내부에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또는 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필터 재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 재생부에서 상기 에어필터에 흡착되어 있는 유해성분들을 분해하여 상기 에어필터를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는, 공조 케이스(1)와,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내부로 외기를 송풍하는 블로워(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송풍 유로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증발기(E)와 상기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어 냉기통로(P1) 및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유해물질 또는, 악취의 원인물질 등의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여과하는 에어필터(100), 상기 증발기(E)와 상기 냉기통로(P1)의 근처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필터(100)가 삽입되어 상기 에어필터(100)를 재생하는 필터 재생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E)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감지하는 냄새 센서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될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상기 냉기통로(P1)를 통과하는 송풍 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재생부(200)는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및 팬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는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또는 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필터 재생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 재생부에서 에어필터에 흡착되어 있는 유해성분들을 분해하여 상기 에어필터를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며, 낮은 오염물질 포화도가 유지되므로 지속적으로 고성능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 및 상기 필터 재생부를 증발기의 후단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의한 악취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 내부에 냄새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필요시에만 상기 에어필터를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에어필터로 인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냉방 시스템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냉방 시스템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에 구비되는 에어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 장치(10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필터(100), 필터 재생부(200) 및 냄새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 공조 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20, 30, 40)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21, 31, 41)가 설치된 공조 케이스(1)와,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내부로 외기를 송풍하는 블로워(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송풍 유로 상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증발기(E)와 상기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와, 상기 증발기(E) 포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 홀(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벤트(21, 31, 41)는 플로어 벤트(Floor vent),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및 페이스 벤트(Face vent)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어 벤트는 상기 차량 내부의 하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며,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는 상기 차량의 앞유리 쪽을 공기를 토출하여 성에가 제거되도록 하며, 상기 페이스 벤트는 상기 차량 내부의 상부로 공기를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필터(Air Filter)(100)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성분, 예를 들자면,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분진 등의 입자상 유해물질 및 차량 외부에서 발생된 악취의 원인물질을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100)가 상기 증발기(E)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E)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에 의한 악취의 원인물질도 함께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드레인 홀(60)을 통하여, 상기 냉방 모드의 경우 상기 증발기(E)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지만, 응축수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상기 드레인 홀(60)을 통하여 전량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남아 있는 잔여 응축수가 악취의 원인인 곰팡이나 세균의 서식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101), 필터 여지(1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필터 케이스(101)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필터 여지(102)를 상기 내부 공간에 포함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필터 여지(102)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알루미나(Alumina)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들을 분해가 아닌 흡착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필터(100)가 포화되면 더 이상의 상기 유해성분의 흡착이 어렵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E)와 상기 냉기통로(P1)의 근처에 상기 필터 재생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 상기 에어필터(100)를 삽입시켜,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하여 상기 에어필터(100)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재생부(200)는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들을 분해하기 위하여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및 팬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에어필터(100)를 지속적으로 재생하여, 상기 에어필터(10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흡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증발기(E)의 후반인, 상기 냉기통로(P1)를 지나는 송풍 유로상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100)로 인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공기 흐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에어필터(100)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필터(100)로 인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를 통해서 상기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필터(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재생부(200)로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어필터(100)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를 판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냄새 센서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냄새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발기(E)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를 유동하고 있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 즉,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유해물질 또는 상기 악취의 원인물질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냉기통로(P1)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 경로 상에 상기 에어필터(100)가 위치시켜, 상기 냄새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정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필터 재생부(200)를 상기 이온 발생기, 오존 발생기 또는 팬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냄새 센서부(30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100)가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의 송풍 유로상에, 즉, 상기 냉기통로(P1)를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 유로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필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동수단(110) 및 지지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냉기통로(P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필터 케이스(101)의 양 끝단에 연장되어 상기 에어필터(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1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에어필터(100)가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의 송풍 유로상에 이동하여 장착될 때,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110)과 지지부(120)를 통해서 상기 에어필터(100)가 상기 필터 재생부(20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상기 구동수단(110) 및 상기 지지부(12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상기 에어필터(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에 별도의 상기 필터 재생부(200)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 재생부(200)를 통해서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들을 분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에어필터(100)를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낮은 오염도로 인해 지속적으로 높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재생부(200)를 상기 증발기(E)의 후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E)의 표면에 발생하는 응축수로 인한 악취까지 상기 에어필터(100)에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에어필터(100)로 인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의 내부를 유동하고 있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E)에 별도의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냄새 센서부(300)에서 상기 유해성분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에어필터(100)를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차량용 공조 장치
1 : 공조 케이스
E : 증발기 H : 히터코어
100 : 에어필터
101 : 필터 케이스 102 : 필터 여지
110 : 구동수단 120 : 지지부
200 : 필터 재생부
300 : 냄새 센서부

Claims (5)

  1. 공조 케이스(1)와, 외기를 상기 공조 케이스(1)의 내부의 일측으로 송풍하는 블로워(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조 케이스(1)의 송풍 유로상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와, 상기 증발기(E)와 상기 히터코어(H) 사이에 설치되어 냉기통로(P1) 및 온기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50)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유해물질 또는, 악취의 원인물질로 이루어지는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여과하는 에어필터(Air Filter)(100);
    상기 증발기(E)와 상기 냉기통로(P1)의 근처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를 통해서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필터(100)가 삽입되어 상기 에어필터(100)를 재생하는 필터 재생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재생부(200)는 이온 발생기 또는 오존 발생기를 구비하여 상기 에어필터(10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E)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감지하는 냄새 센서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될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서 분리되어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상기 냉기통로(P1)를 통과하는 송풍 유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용 공조 장치(1000)의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100)는
    상기 냄새 센서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해성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20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5. 삭제
KR1020120152680A 2012-12-26 2012-12-26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97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80A KR101970766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80A KR101970766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공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10A KR20140083210A (ko) 2014-07-04
KR101970766B1 true KR101970766B1 (ko) 2019-04-22

Family

ID=5173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680A KR101970766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04B1 (ko) * 2019-05-03 2019-11-18 송홍준 차량설치용 미세먼지흡착장치
DE102021201682A1 (de) * 2021-02-23 2022-08-25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Klimatisierungs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632A (ja) 2003-11-04 2005-06-0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清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621A (ja) * 1995-08-11 1997-02-18 Denso Corp 空気浄化装置
KR101117855B1 (ko) * 2004-05-25 2012-03-1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87134B1 (ko) 2005-09-06 2012-09-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정화 필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632A (ja) 2003-11-04 2005-06-0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清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10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26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90107104A (ko) 흡착 장치에 의해 재순환-공기 모드에서 자동차의 객실 내의 co2가 가득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KR20160027427A (ko)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 암레스트
KR20170035481A (ko)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KR101590578B1 (ko) 물리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20170071013A (ko) 자동차의 공기 청정 시스템 및 방법
JP5944375B2 (ja) フィルタを再生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および実施方法
JP2005138632A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101112109B1 (ko)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10197076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117855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5519281B2 (ja) 車室用空気浄化装置
KR101146394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100710672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5021890B2 (ja) ブロワとフィルタ手段を具備する空調機の制御方法
KR101172239B1 (ko)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 장착용 탈취 장치
JP2016222177A (ja)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101584112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EP2068090B1 (en) Air conditioner and filter regeneratio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20070068503A (ko) 냄새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6003581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558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90575B1 (ko) 화학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20110003840A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JP2998332B2 (ja) 天井設置型車両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