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394B1 -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394B1
KR101146394B1 KR1020050006714A KR20050006714A KR101146394B1 KR 101146394 B1 KR101146394 B1 KR 101146394B1 KR 1020050006714 A KR1020050006714 A KR 1020050006714A KR 20050006714 A KR20050006714 A KR 20050006714A KR 101146394 B1 KR101146394 B1 KR 10114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x
air
inlet
filter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992A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3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실내의 CO₂농도가 일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에 차량실내를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공기 유입과 토출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제1 유입구에 장착되는, CO₂필터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와; CO₂필터박스가 장착된 제1 유입구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에 장착되는, 콤비필터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와; CO₂필터박스 및 콤비필터박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팬과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CO₂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청정기, 이산화탄소, CO₂필터, 콤비필터, 구동팬, 구동모터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FOR A CA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도 3(a)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필터박스와 구동팬사이에 도어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
도 4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가 장착된 공조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격벽을 사이로 인접한 개략단면도이고, 도 5(b)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의 하단중앙부에 도어가 구비된 개략단면도이고, 도 5(c)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청정기 12 ..... 유입구
12a ..... 제1 유입구 12b ..... 제2 유입구
20 ..... CO₂필터박스 21 ..... CO₂필터
30 ..... 콤비필터박스 31 ..... 콤비필터
40 ..... 구동모터 41 ..... 구동팬
60 ..... 격벽 70 ..... 도어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실내의 CO₂농도가 일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에 차량실내를 쾌적하게 조성하는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공조장치에 설치되거나, 자동차 실내의 소정의 장소에 별도로 설치되어, 공조장치의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나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공기 정화필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차내 공기의 오염물질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데, 필터에 먼지 등이 누적되면 필터가 막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의 쾌적함과 승차자의 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교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기 정화필터로는, 정전기력을 가진 여과 섬유를 이용해 입자형태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와, 상기 파티클 필터에 활성탄소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 및 대기중의 발암 물질 등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이 추가된 콤비 필터(Combination Filter)와, 곰팡이 등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추가한 항균필터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청정기(100)는, 차량의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00)와, 상기 유입구(200)를 통해 실내의 유해한 공기를 강제로 흡입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 및 구동팬(미도시)과, 상기 구동모터 및 구동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300)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00)는 대부분 트렁크측에 위치한 리어 트레이(미도시)에 장착되어 있어, 센서(500)에 의해 차량내의 공기 오염이 감지되거나 탑승자의 필요에 의해 작동되어 차량실내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재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자동차의 실내는 비교적 협소하고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호흡 및 내장재 등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탑승자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명이 탑승할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가 급속히 혼탁해지고, 차량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유발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실내의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백금촉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백금촉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200~400℃의 온도를 필요로 하게 되어 상기 백금촉매를 차량실내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탑승객의 호흡 및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고 쾌적한 차량실내환경을 조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유입과 토출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제1 유입구에 장착되는, CO₂필터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와; CO₂필터박스가 장착된 제1 유입구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에 장착되는, 콤비필터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와; 상기 CO₂필터박스 및 콤비필터박스 사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기유로; 상기 각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구동팬과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CO₂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팬과 구동모터는 상기 CO₂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과 토출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제1 유입구에 장착되는, CO₂필터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와; CO₂필터박스가 장착된 제1 유입구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에 장착되는, 콤비필터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와; 상기 CO₂필터박스 및 콤비필터박스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에 설치되는 구동팬과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CO₂센서; 상기 CO₂필터박스 및 콤비필터박스 사이의 하단 중앙부와 상기 구동팬(41) 사이의 공기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CO₂필터박스 및 콤비필터박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0°~ 180°범위내에 회전가능한 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도 3(a)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필터박스와 구동팬사이에 도어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가 장착된 공조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격벽을 사이로 인접한 개략단면도이고, 도 5(b)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의 하단중앙부에 도어가 구비된 개략단면도이고, 도 5(c)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1)의 일측에 차량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12)와 상기 유입구(1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CO₂필터(21)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20)와, 상기 CO₂필터박스(20)의 일측면에 상기 CO₂필터박스(2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콤비필터(31)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30)와,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의 저면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팬(41)과, 차량실내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40)를 제어하는 CO₂감지센서(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2)는 오염된 공기가 각각의 CO₂필터(21)와 콤비필터(31)를 통과하도록 제1 유입구(12a)와 제1 유입구(12a)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12b)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내부의 CO₂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실내 공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감지되면 CO₂필터박스(20)의 하단부에 구비된 구동모터(4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0) 및 구동팬(41)이 구동하게 되면 공기청정기(10)의 일단의 제1 유입구(12a)를 통해 차량실내의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공기가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CO₂필터(21)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토출구(50)를 통하여 차량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CO₂필터박스(20)와 나란하게 구비된 콤비필터박스(30)는, 차량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가능하며 CO₂필터박스(20)에 의한 차량실내의 이산화탄소 제거와 더불어 오염된 실내공기를 제2 유입구(12b)로 흡입하여 콤비필터(31)에 의해 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CO₂필터박스(20)내에 장착되는 CO₂필터는, 특수처리된 카본입자와 LiOH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정화시키지 않고, 단순히 차량실내의 공기정화만을 위해 상기 콤비필터박스(30) 하단에 배치된 구동모터(40) 및 구동팬(41)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CO₂필터박스(20)와 콤비필터박스(30) 사이의 하단에 격벽(60)을 설치하여 그 격벽(60)에 의해 구획된 공기유로 상에 각각 설치된 구동모터(40) 및 구동팬(41)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a)와 같이 격벽(60)을 설치하지 않고 공통의 공기유로상에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 사이의 대략 중앙하단부에 0°~ 180°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한 도어(70)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70)의 하단부에 공통의 구동팬(41) 및 구동모터(40)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차량내부의 CO₂센서에 의해 차량실내 공기중 이산화탄소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40) 및 구동팬(41)이 작동하고, 동시에 CO₂필터박스(20)가 상기 도어(70)에 의해 오픈(Open)되어 차량실내의 공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수준이하로 낮추게 된다.
또한, 차량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수준이하가 되면, CO₂필터박스(20)가 상기 도어(70)에 의해 폐쇄되면서 상기 콤비필터박스(30)가 오픈되어 차량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즉, 차량탑승자가 차량실내의 상태에 따라 도어(70)의 구동으로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차량내부의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를 동시에 오픈할 수도 있다.
도 4는, 서로 다른 필터박스가 하나의 공기유입구에 적층되어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CO₂필터박스(20)의 하단부에 콤비필터박스(30)가 구비되고, 상기 콤비필터박스(30)의 하단의 공기유로상에 하나의 구동팬 (41)및 구동모터(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차량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수준 이상이거나, 차량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구동팬(41) 및 구동모터(40)를 작동시켜 차량내 이산화탄소 농도저하 및 쾌적한 차량실내환경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 다.
상기 콤비필터박스(30) 및 CO₂필터박스(20)의 적층순서는 필요에 따라 그 순서를 바꾸어 장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가 장착된 공조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일측에 구비된 열교환기(80)와, 상기 열교환기(80)의 하류측에 위 아래로 나란하게 구비된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와,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 격벽(60)과, 상기 격벽(60)을 사이에 두고 각 공기유로상에 각각 구비된 송풍기(90a,90b)로 이루어진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b)와 같이, 상기 도 5(a)의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의 하류측 중앙부에 0°~ 180°범위내에 회전가능한 도어(7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70)의 하단부에 하나의 송풍기(9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가 좌우 나란하게 적층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조케이스에 장착된 공기청정기는, 도 2내지 도 4의 공기청정기와 그 기능상의 특징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은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다양한 실시예 및 형상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자동차내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자동차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여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졸음으로 인한 주행중 사고를 방지하고, 쾌적한 자동차실내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기 유입과 토출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구(12a, 12b)와 토출구(50)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스(11);
    상기 외부케이스(11)의 제1 유입구(12a)에 장착되는, CO₂필터(21)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20);
    상기 CO₂필터박스(20)가 장착된 제1 유입구(12a)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12b)에 장착되는, 콤비필터(31)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30);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 사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격벽(60)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기유로;
    상기 각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구동팬(41)과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를 제어하는 CO₂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팬(41)과 구동모터(40)는 상기 CO₂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2. 삭제
  3. 공기 유입과 토출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구(12a, 12b)와 토출구(50)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스(11);
    상기 외부케이스(11)의 제1 유입구(12a)에 장착되는, CO₂필터(21)가 구비된 CO₂필터박스(20);
    상기 CO₂필터박스(20)가 장착된 제1 유입구(12a)의 일측에 인접하는 제2 유입구(12b)에 장착되는, 콤비필터(31)가 구비된 콤비필터박스(30);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에 설치되는 구동팬(41)과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를 제어하는 CO₂센서;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 사이의 하단 중앙부와 상기 구동팬(41) 사이의 공기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CO₂필터박스(20) 및 콤비필터박스(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0°~ 180°범위내에 회전가능한 도어(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4. 삭제
  5. 삭제
KR1020050006714A 2005-01-25 2005-01-25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10114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714A KR101146394B1 (ko) 2005-01-25 2005-01-25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714A KR101146394B1 (ko) 2005-01-25 2005-01-25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992A KR20060085992A (ko) 2006-07-31
KR101146394B1 true KR101146394B1 (ko) 2012-05-17

Family

ID=3717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714A KR101146394B1 (ko) 2005-01-25 2005-01-25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75B1 (ko) * 2014-04-30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학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101590578B1 (ko) * 2014-04-30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리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20200029962A (ko) 2018-09-11 2020-03-19 노하민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겸용 핸디선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44B1 (ko) * 2008-07-18 2014-12-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유니트
KR101747357B1 (ko) * 2015-07-10 201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KR102097126B1 (ko) * 2017-10-27 2020-04-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자동차 실내공간의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 차량 청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781A (ja) * 1995-12-22 1997-07-08 Aqueous Res:Kk 一酸化炭素除去用触媒フィルタ
JPH10217761A (ja) * 1997-02-04 1998-08-1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781A (ja) * 1995-12-22 1997-07-08 Aqueous Res:Kk 一酸化炭素除去用触媒フィルタ
JPH10217761A (ja) * 1997-02-04 1998-08-1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75B1 (ko) * 2014-04-30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학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101590578B1 (ko) * 2014-04-30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물리적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이용한 승용차용 이산화탄소 흡착 장치
KR20200029962A (ko) 2018-09-11 2020-03-19 노하민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겸용 핸디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992A (ko)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346A (en) Air purifier pleated filter to stop pollution for passenger inside of the motor vehicle
KR101146394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JP4325494B2 (ja) ダスト低減装置
KR20160027427A (ko)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 암레스트
US5810896A (en)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for vehicle
KR200481427Y1 (ko)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JP5519281B2 (ja) 車室用空気浄化装置
JP2925338B2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JP4483602B2 (ja) 車両用空気清浄器
JP4622952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0710672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757745B1 (ko) 롤 필터가 적용된 상용차량용 공기정화장치
JP2000060948A (ja) 空気清浄装置
JP2998332B2 (ja) 天井設置型車両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100665926B1 (ko) 차량용 실내 공기청정기
KR10197076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200001745U (ko) 대시보드형 공기청정기
JP4682952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20140099612A (ko) 공기청정기
KR100352527B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JP2001260646A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JPH06106016A (ja) 空気清浄器
JP4613722B2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KR200396379Y1 (ko) 외장형 실내 공기정화기
JP3818126B2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