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129B1 -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129B1
KR101319129B1 KR1020127014110A KR20127014110A KR101319129B1 KR 101319129 B1 KR101319129 B1 KR 101319129B1 KR 1020127014110 A KR1020127014110 A KR 1020127014110A KR 20127014110 A KR20127014110 A KR 20127014110A KR 101319129 B1 KR101319129 B1 KR 10131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ontact
linear actuator
drive mechanism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795A (ko
Inventor
사또시 오니시
히로또시 고니시
미쯔히꼬 모리따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1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using intermittent driving, e.g. step motors, piezoleg motors
    • H02N2/025Inertial sliding mo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는, 압전 소자(41)의 신축에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로드(42)를 구비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와, 로드(42)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하는 이동체의 일례로서의 제1군 유닛(2)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제1군 유닛(2))는 상기 마찰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키도록, 로드(42)와 결합하는 보유 지지 부재(24)나 가압 부재(30) 등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DRIVE MECHANISM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촬상 장치 등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구동 기구로서, 오토포커스나 줌 등을 실현함에 있어서, SIDM(Smooth Impact Drive Mechanism; 등록 상표)을 포함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 전화의 촬상 장치 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렌즈 유닛으로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것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압전 소자의 신축을 로드로 전달하고, 그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하고 있는 이동 렌즈군을 상기 압전 소자의 신장 시와 축소 시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서는, 예를 들면 로드를 천천히 신장시킴으로써, 그 로드에 마찰 결합하고 있는 이동 렌즈군도 이동하는 한편,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초과할수록 로드를 단시간에 축소시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이 신장 위치에 남겨지게 된다. 이러한 로드의 신장과 수축을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동 렌즈군을 상기 로드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를 렌즈 광축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동시켜야 할 렌즈군의 보유 지지 부재를 상기 로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오토포커스나 줌 등의 기능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서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 본체(1001)는 V홈(1002)과 대향하는 스프링 형상 부품의 가압 부재(1003) 사이에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1004)를 끼우고(협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003)의 기단부(基端)(103a)는 이동체 본체(1001)에 고정되고(이동체 본체(1001)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고), 유단부(遊端)(1003b)가 로드(1004)에 압접해 있다.
이러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서는, 가압 부재(1003)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이동체 본체(1001)에서의 고정점으로부터 로드(1004)로의 접촉점)가 짧아져, 스프링 감도, 즉 휨량 변화에 대한 스프링 가압력의 변화량의 비율이 커진다. 이 때문에, 부품 치수 오차가 발생하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마찰력(협지력)에 편차가 발생하고, 구동 성능(속도 등)이 불안정해져 버린다. 또한, 가압 부재(1003)를 이동체 본체(1001)로부터 떼어 놓은 평판 또는 단면 V자 형상의 판 형상체로 하고, 그 판 형상체와 이동체 본체(1001)의 V홈(1002)의 주연부 사이에, 권취 스프링을 걸쳐서, 비교적 안정된 마찰력(협지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에 사용되는 소형의 촬상 장치에서는 그 권취 스프링이 차지하는 액추에이터 주위의 공간이 커져서, 소형화의 장해가 되는 동시에 조립도 곤란하다.
또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특허문헌 2에서는, 도 3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01)에는 압전 소자(1102) 및 로드(1103)를 포함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1104)가 설치되고, 로드(1103)에 결합하는 베이스(1105)측의 수용부(1106)는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홈(107)을 갖는 블록(1108)과, 상기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판 스프링(110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도,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111)는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홈(1112)을 갖는 이동체(1113)와, 상기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판 형상체(1114)로 끼워 넣어져서, コ자 형상의 스프링(1115)은 이들에 탄성력(마찰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도 31의 (A)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1의 (B)는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서는, V자 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면은 평면이다. 이 때문에, 상기 V자의 2개의 평면에 대하여 로드는 2개의 선이 접촉하고 있고, 예를 들면 도 31의 (B)의 절단면선 X-X로 나타내는 하나의 접촉면의 절단면을 보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동체(1113)의 로드(1111)와 접촉하는 2개의 면(1112)은 성형이나 가공의 편차에 의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하면, 이동체(1113)와 로드(1111)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지 못하여, 구동 성능에 편차가 발생하거나(속도 편차나 튕김 동작 등), 이동체(1113)가 렌즈 유닛인 경우에는 이동체(1113)의 기울기에 의해 광학 성능이 악화된다는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498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248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1794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그 목적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는, 압전 소자의 신축에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마찰력의 편차를 억제하여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키도록, 상기 로드와 결합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는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여,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및 그 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재와 첨부 도면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더욱 미세하게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면선 IV-IV에 있어서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렌즈 유닛의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한 접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하여 렌즈가 2매인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를 렌즈와 볼 프레임의 접착에 사용한 경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참조부호 α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통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부의 광학 소자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통기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접착제의 도포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제거한 전후의 프레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후방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전방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13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장착각의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접착을 행하는 지그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후방 프레임의 성형 시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후방 프레임의 성형 시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후방 프레임의 다른 성형 시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프레임 구조 및 그의 성형 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전방 프레임의 성형 시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전방 프레임에 대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조립 시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리드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절단면선 XXI-XX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군 유닛의 보유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대응하는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절단면선 XXV-XXV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에 대응하는 다른 보유 지지 부재 및 가압 부재에 의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대응하는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에 대응하는 또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대한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이동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대한 이동체의 결합 부분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대한 이동체의 결합 부분의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의 (B)의 절단면선 X-X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대응하는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일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동일한 구성인 것을 나타내고, 적절히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총칭하는 경우에는 첨자를 생략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개별의 구성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첨자를 붙인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더욱 미세하게 분해한 사시도이다. 이 촬상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렌즈 유닛인 제1군 유닛(2)과, 고정 렌즈 유닛인 제2군 유닛(3)과, 제1군 유닛(2)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와, 그들의 제1 및 제2군 유닛(2, 3) 및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수용하는 하우징(5)과, 필터(6)와, 촬상 소자(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촬상 장치(1)는 휴대 전화의 단말 장치에 적절하게 탑재된다.
촬상 소자(7)는 CCD 타입이나 CMOS 타입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 장치측의 프린트 기판에 탑재된다. 또한, 필터(6)는 그 촬상 소자(7)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적외선 커트 필터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포함하여, 이후 필터(6) 및 촬상 소자(7)는 생략하여 나타낸다.
제1 및 제2군 유닛(2, 3)은 2군 5매의 고정 초점의 렌즈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는 오토포커스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1군 유닛(2)을 구동한다. 제1군 유닛(2)은 3매의 광학 소자(21, 22, 23)와, 이들 광학 소자(21, 22, 2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24)와, 차광판(25, 26)과, 후술하는 가압 부재(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2군 유닛(3)은 2매의 광학 소자(31, 32)와, 차광판(33, 34)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 광학 소자(31, 32)는 보유 지지 부재인 후술하는 후방 프레임(51)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각 광학 소자(21, 22, 23; 31, 3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렌즈를 포함하고, 광로를 형성하는 렌즈부(211, 221, 231; 311, 321)와, 상기 렌즈부(211, 221, 231; 311, 321)를 외주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12, 222, 232; 312, 322)를 구비하고, 그들이 일체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렌즈부(211, 221, 231; 311, 321) 사이에는, 불필요광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차광판(25, 26, 33, 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2)의 구동 기구인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는,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이 앞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8951호 공보 등에서 제안한 소형화에 적합한 액추에이터이며, SIDM(Smooth Impact Drive Mechanism; 등록 상표) 액추에이터라 칭해진다. 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는 축 방향으로 신축하는 압전 소자(41)의 일단부에 로드(42)가 접속되고, 압전 소자(41)의 타단부에 추(43)가 접속되고, 그리고 압전 소자(41)의 신축에 의해 로드(42)가 왕복 이동하며, 제1군 유닛(2)의 보유 지지 부재(24)가 로드(42)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제1군 유닛(2)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에서는, 압전 소자(41)에 구형파를 줌으로써 상기 압전 소자(41)의 변위가 삼각파 형상으로 되고, 상기 구형파의 듀티를 바꿈으로써 진폭의 상승 시와 하강 시에 의해 기울기가 서로 다른 삼각파가 발생한다.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구동 메커니즘은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로드(42)를 천천히 신장시킴으로써, 그 로드(42)에 마찰 결합하고 있는 제1군 유닛(2)도 상기 신장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소정의 마찰력을 초과할 정도의 단시간에, 로드(42)를 축소하면, 제1군 유닛(2)이 신장 위치에 남겨지게 된다. 이러한 로드(42)의 신장과 축소를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제1군 유닛(2)을 로드(42)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43)는 압전 소자(41)의 신축에 의한 변위를 로드(42)측에만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압전 소자(41)의 타단부가 하우징(5)에 장착되는 등으로서, 추(43)의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추(43)는 생략되어도 된다.
초음파 액추에이터(4)의 압전 소자(41)는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되고, 한 쌍의 측면에 각 압전층의 전극이 공통으로 인출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 측면의 전극(411, 412)은 개별의 리드선(44, 45)을 개재하여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접속 단자(46, 47)의 선단부(461, 471)는 상기 휴대 전화의 단말 장치측의 프린트 기판에 납땜되고, 또는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끼워 넣어진다. 이 초음파 액추에이터(4)의 장착이나 배선 배치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5)은 수지 성형품인 후방 프레임(51)과, 그 후방 프레임(51)과 조합시켜서 케이싱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52)과, 금속판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전자기 실드 대책 및 외관 대책 상의 부품인 전방 커버(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하우징(5)의 구조에 대해서도,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절단면선 IV-IV에 있어서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4는 제1군 유닛(2)에 있어서의 광학 소자(21, 22, 23) 사이의 서로의 접합 및 그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렌즈 블록의 보유 지지 부재(24)로의 접합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1군 유닛(2)의 조립에서는, 우선 광학 소자(22, 23) 사이에 차광판(26)이 끼워 넣어져서, 상기 광학 소자(22, 23)가 서로 몸통 부착 접착되고, 광학 소자(21, 22) 사이에 차광판(25)이 더 끼워 넣어져서, 광학 소자(21)를 센터링한 후, 상기 광학 소자(21, 22)가 서로 몸통 부착하여 접착되어, 상기 렌즈 블록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그 렌즈 블록이 통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에 광학 소자(21)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부(212)의 전단부면(212a)이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의 전단부(물체)측에 안쪽을 향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판(241)의 후방면(상측의 면)(241a)에 접촉하고, 광학 소자(22)의 보유 지지부(222)의 외주면(222a)이 보유 지지 부재(24)의 통부(242)의 내주면(242a)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장 후방(상(像))측의 광학 소자(23)의 보유 지지부(232)의 외주면(232a)과 통부(242)의 단면(242b) 사이가 접착제(27)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상기 제1군 유닛(2)이 완성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복수매의 광학 소자(21, 22, 23)를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제1군 유닛(2)에 있어서, 보유 지지부(212, 222, 232)는 서로 인접하는 광학 소자(21, 22, 23)에 있어서의 렌즈부(211, 221, 231)끼리의 간격을 규정하는 접촉면(212b; 222b, 222c; 232c)과, 미리 정한 간격 d1, d2를 두고 대향하는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을 갖고, 그들의 경계에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으로부터 접촉면(212b; 222b, 222c; 232c)측으로의 접착제(28)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212f; 222f, 222g; 232g)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접촉면(212b, 222b; 222c, 232c)은 직경 방향의 폭이 각각 W11, W12로 환상으로 형성되고,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은 직경 방향의 폭이 각각 W21, W22로 환상으로 형성된다. 간격 d1, d2는, 예를 들면 0.005 ~ 0.01㎜로 설정되고, 폭 W21, W22는, 예를 들면 0.4㎜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보유 지지부(212, 222, 23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28)를 도포하고, 인접하는 광학 소자(21, 22, 23)를 서로 가압하고, 가열이나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접착제(28)를 경화시킴으로써, 광학 소자(21, 22, 23)끼리를 몸통 부착에 의해,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시에, 참조부호 28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잉여가 된 접착제는 홈부(212f; 222f, 222g; 232g)로 흘러들어가며, 이에 의해 접촉면(212b; 222b, 222c; 232c)으로의 접착제(28)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렌즈부(21, 22, 23)끼리의 간격에 쓸데없는 오차가 실리지 않아,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12, 222, 232)에 있어서, 접촉면(212b; 222b, 222c; 232c)을 외주측에, 그리고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을 내주측에 배치함으로써, 보유 지지부(212, 222, 232)의 외주측에서 렌즈부(211, 221, 231)끼리의 간격을 규정하게 되어, 내주측에서 규정하는 것보다 접촉면(212b, 222b; 222c, 232c)의 간격(스팬)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제조 오차에 의한 간격의 오차(기울기를 포함함)나 편심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잉여분의 접착제(28a)가 보유 지지부(212, 222, 232)의 외주측으로부터의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접합된 광학 소자(21, 22, 23)의 보유 지지 부재(24)로의 조립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12, 22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의 렌즈부(211, 221, 231)측에도 홈부(212h, 222h)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보유 지지부(212, 222)의 최내주 부근에도 홈부(212h, 222h)를 형성함으로써, 참조부호 28a로 나타내는 잉여분의 접착제가 상기 렌즈부(211, 221, 231)측으로 밀려나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12)에 환상으로 형성되는 홈부(212h)에 대하여 대향하는 보유 지지부(222)에는 홈부(212h)에 헐겁게 끼우는 돌기 또는 돌조(222k)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의 외경에 대하여 홈부(212h)의 내경이 소정 치수만큼 크게 형성된다. 즉, 광학 소자(21, 22)끼리를 몸통 부착한 경우에, 그들의 한쪽에 참조부호 28a로 나타내는 잉여 접착제가 흘러들어가는 홈부(212h)가 크고 환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작은 돌기 또는 돌조(222k)가 형성되어, 양자를 접착할 때,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에 의해 잉여 접착제(28a)가 홈부(212h)로부터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가 홈부(212h)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와 홈부(212h)의 관계는,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의 외경에 대하여 상기 홈부(212h)의 내경이 소정 치수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광학 소자(21, 22)끼리 광축과 직교 방향으로 어긋남이 허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제1군 유닛(2)은, 상기 어긋남을 조정함으로써,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학 소자(21)의 센터링을 행할 수 있으며, 그 센터링 후에 접착제(28)를 경화시켜서 광학 소자(21, 22)끼리를 고정함으로써, 종래 사용하고 있던 것과 같은 센터링용 볼 프레임을 폐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소자(21, 22, 23)는 플라스틱 렌즈를 포함하고, 보유 지지부(212, 222, 232)는 렌즈부(211, 221, 231)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보유 지지편을 포함하고, 그들은 일체 성형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212, 222, 232)끼리 몸통 부착이 행해진다. 여기서, 렌즈부가 유리 렌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유 지지부가 되는 보유 지지 프레임이 별체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보유 지지 프레임이 상기와 같이 하여 접착 고정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광학 소자(21, 22, 23)끼리의 몸통 부착을 행함으로써, 광학 소자(21, 22, 23) 사이의 접착으로, 별도 부품의 보유 지지 프레임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1군 유닛(2)에 있어서, 복수매의 광학 소자(21, 22, 23)를 통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로 보유 지지하여 렌즈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미리 광학 소자(21, 22, 23)끼리를 접착 고정하여 상기 렌즈 블록을 구성해 둠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24)와 끼워 맞춰지는 광학 소자(22)와, 접착해야 할 광학 소자(23)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을 이용하여, 접착해야 할 광학 소자(23)와 보유 지지 부재(24) 사이에는, 접착제(27)의 통상의 두께 쌓아올림에 의한 접착제 저류부(27b) 외에, 그들 사이에 미소 간격 d3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층(27a)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21, 22, 23)를 보유 지지 부재(24)에 끼워 넣을 때, 적어도 1개의 광학 소자, 바람직하게는 선팽창 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22)가 통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주면(242a)에 끼워 맞추어, 즉 보유 지지 부재(24)의 직경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에 반해, 잔여의 광학 소자(21, 23)는 광학 소자(22)에 미리 접합하여 상기 렌즈 블록을 구성해 둠으로써, 광축 맞춤이나 기울기 조정 등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그 잔여의 광학 소자(21, 23)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의 광학 소자,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에 마지막으로 끼워 넣어지는 후방(상)측의 광학 소자(23)에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주면(242a)과 미리 정한 미소 간격 d3을 두고 평행이 되는 외주면(232a)이 형성되고, 그들 내주면(242a)과 외주면(232a) 사이에 접착제(27)가 충전되어, 상기 렌즈 블록이 보유 지지 부재(24)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소자(23)와 보유 지지 부재(24)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27)는, 내주면(242a)과 외주면(232a) 사이는 접착제층(27a)을 형성하는 동시에, 통부(242)의 단면(242b)과 외주면(232a) 사이는 접착제 저류부(27b)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렌즈 가압부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상기 렌즈 가압이나 코오킹과 같이 깊이 방향으로 여분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고 서로 평행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주면(242a)과 광학 소자(23)의 외주면(232a) 사이의 미소 간격 d3에 형성되는 접착제층(27a)에 의해, 그의 전단 방향의 보유 지지력을 이용하여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형화 및 높이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미소 간격 d3은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것은 0.1㎜ 이하로 하면, 접착제층(27a)에 있어서, 큰 전단 방향의 보유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즉 상기 접착제층(27a)의 접착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큰 전단력이 필요하게 되며, 렌즈 블록을 보유 지지 부재(24)로부터 떼어내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3매의 광학 소자(21, 22, 23)를 서로 접합하는 경우에, 중간의 광학 소자(22)와 후방(상)측의 광학 소자(23)의 보유 지지부(222, 232)에는, 서로 끼워 맞추어 서로의 광축과 직각 방향의 변위를 저지하는 광축 방향의 단차(222i, 232i)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착제 도포면(222e, 232e)을 서로 접착하는 것만으로, 보유 지지부(222, 232) 사이의 광축과 직각(직경) 방향의 변위가 저지되어,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의 광학 소자(22)와 전방(물체)측의 광학 소자(21)의 보유 지지부(222, 212)에는 접촉면(222b, 212b) 및 접착제 도포면(222d, 212d)이 서로의 광축과 직각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는 평활면을 형성하고 있고, 광학 소자(22, 21) 사이는 홈부(212h)와 상기 돌기 또는 돌조(222k)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에서 센터링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 소자(22, 23)가 접착된 후, 이 광학 소자(21)를 접착할 때는 접착제 도포면(222d, 212d)에 접착제(28)로서 자외선 경화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센터링이 행해진 후, 자외선이 조사되어 접착제(28)가 고화된다.
이 광학 소자(22, 23)에 대한 광학 소자(21)의 접착 시에는, 광학 소자(22, 23)는 광학 소자(31, 32) 및 촬상 소자(7)에 상당하는 부재와 함께, 한쪽의 지그에 가조립되고, 광학 소자(21)가 다른 쪽의 지그에 장착되고, 촬상 소자(7)의 촬상 출력을 확인하면서(광학적인 성능을 보면서), 2개의 지그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센터링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체측에 차트가 놓이고, 이 놓여진 차트가 상기 가조립의 광학 소자(21, 22, 23, 31, 32)를 통하여 촬상 소자(7)에 의해 촬영되고, 이 촬영된 상의 상태(한쪽 흐림 등)에 따라서 광학 소자(21)(다른 쪽의 지그)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게 조정하면서, 광학 소자(21, 22, 23)를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블록으로서 일체화된 광학 소자(21, 22, 23)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의 광학 소자(22)를 통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주면(242a)에 끼워 맞추고, 후방(상)측의 광학 소자(23)의 외주면(232a)을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주면(242a)에 접착함으로써, 상기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3매의 광학 소자(21, 22, 23)의 구성에 있어서, 센터링을 행하는 경우, 종래에는 광학 소자(22, 23)를 일체로 보유 지지하는 볼 프레임에 대하여 광학 소자(21)는 센터링용 볼 프레임에 보유 지지되고, 위치 조정의 후, 볼 프레임끼리 접착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소자(21)를 광학 소자(22)에 몸통 부착에 의해 접착하므로, 상기한 센터링용 볼 프레임을 삭감하고, 소형화 및 높이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술한 예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전단부(물체)측에 빠짐 방지 가압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블록으로서 일체화된 광학 소자(21, 22, 23)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의 후방(상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지만, 가압판(241)이 후단부(상)측에 설치되고, 광학 소자(21, 22, 23)가 전방(물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경우, 전방(물체)측의 광학 소자(2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접착되게 된다.
또한, 제1군 유닛(2)을 구성하는 광학 소자(21, 22, 23)는 3매이지만, 2매나 4매 이상이어도 된다. 2매로 보유 지지 부재(24)의 후방(상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물체)측의 광학 소자(2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끼워 맞춰지고, 후방(상측)의 광학 소자(23')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접착되게 된다. 또한, 광학 소자가 4매 이상인 경우, 적어도 대략 중간의 광학 소자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소자(21, 22, 23)는 렌즈부(211, 221, 231)와, 그의 외주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유 지지부(212, 222, 232)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보유 지지부(212, 222, 232)에 있어서의 접촉면(212b; 222b, 222c; 232c)과 접착제 도포면(212d; 222d, 222e; 232e)을 구획하도록 홈부(212f; 222f, 222g; 232g)가 형성되었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체 렌즈(20)를 경통이나 볼 프레임 등의 보유 지지 부재(29) 등에 접착한 경우에 사용되어도 된다.
즉, 렌즈부(20a)와, 그 렌즈부(20a)의 외주측으로 연장하는 외연부(20b)를 갖는 단체 렌즈(20)와, 그것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29)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렌즈 유닛(2')에 있어서, 보유 지지 부재(29)는 외연부(20b)와 접촉하여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접촉면(29a)과, 외연부(20b)와 미리 정한 간격 d4를 두고 대향하고, 접착제(28')가 도포되어야 할 접착제 도포면(29b)을 갖고, 그 접촉면(29a)과 접착제 도포면(29b)과의 경계에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29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착제 도포면(29b)으로부터 접촉면(29a)측으로 접착제(28')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체 렌즈(20)의 보유 지지 부재(29)에의 장착에 쓸데없는 오차가 실리지 않아,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군 유닛(3)에서는 후방 프레임(51)에 형성된 끼워 맞춤 구멍(511)에 광학 소자(32), 차광판(34) 및 광학 소자(31)가 순서대로 끼워 넣어져, 접착제(35)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 렌즈군으로서, 후방(상)측에 촬상 소자(7)를 구비하는 제2군 유닛(3)에 있어서, 후방(상)측의 광학 소자(32)의 보유 지지부(322)에는, 그의 보유 지지 부재인 후방 프레임(51)과의 접촉면(323)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 단차(324)가 형성됨과 함께, 외주면(325)에는 그 단차(324)로 이어지는 절결(3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방(물체)측의 광학 소자(31)의 보유 지지부(312)의 외주면(315)에도 절결(316)이 형성되고, 이들 단차(324) 및 절결(326, 316)을 통해서만, 상기 제2군 유닛(3)과 촬상 소자(7) 사이의 공간(8)이 외부로 연통하고 있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α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의 (A)는 광학 소자(32)의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그의 보유 지지부(322)의 주연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후방 프레임(51)의 끼워 맞춤 구멍(511)에는 후단부(상)측에 안쪽을 향한 플랜지(차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판(511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압판(511a)은 광학 소자(32)의 보유 지지부(322)의 접촉면(323)을 보유 지지한다. 따라서, 이 접촉면(323)의 일부에 형성되는 단차(324)에 의해 가압판(511a)과의 사이에는 간격 d5의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32, 31)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후에, 게이트 위치에는, 버 제거 공정에 의해 D 커트가 실시된다. 이 D 커트에 의해 절결(326, 316)이 형성되고, 그 D 커트에 의한 범위를 도 8의 (A)에 있어서 구간 d6으로 나타내고, 그 D 커트에 의한 직경의 편차의 범위를 도 7 및 도 8의 (B)에서는 빗금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8에서는 단차(324)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광학 소자(32, 31)를 후방 프레임(51)에 조립한 후에,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 커트의 구간 d6만 접착제(35)를 도포하지 않고, 절결(326, 316)에 의한 간극(317)이 외부로 개방된다. 접착제(35) 대신에, 코오킹이나 용착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구간 d6만 그와 같은 고정(폐색)을 행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구간 d6은, 예를 들면 0.3 ~ 0.8㎜ 정도이다.
여기서, 렌즈 교환이 가능한 소형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오토포커스나 줌을 위한 이동 렌즈군 주위는, 상기 이동 렌즈군의 이동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외기에 개방(외부와 연통)되어 있지만, 움직이지 않는 구성인 고정 렌즈군으로부터 그 상(배후)측에 설치되는 촬상 소자 사이의 공간은,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 밀폐 공간으로 하거나, 또는 온도나 기압의 변화에 의한 상기 공간 내의 공기의 팽창이나 수축에 대응하기 위해서, 그 공간으로의 통로에 필터 등을 설치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외기의 유입에 제약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존의 부품인 제2군 유닛(3)에 있어서의 광학 소자(32, 31)와, 그의 보유 지지 부재인 후방 프레임(51)의 구조를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안함으로써(클리어런스의 재검토), 도 7에 있어서 참조부호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나 기압의 변화에 의한 상기 공간(8) 내의 공기의 팽창이나 수축에 대응한다. 즉, 광학 소자(32)의 보유 지지부(322)에 있어서의 단차(324)와 절결(326), 및 광학 소자(31)의 보유 지지부(312)에 있어서의 절결(316)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공기 통로의 폭, 높이, 직경을 상기 먼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해 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차(324)에 의한 접촉면(323)과 가압판(511a)의 간격 d5가 화상의 얼룩으로 되는 먼지의 최소 크기인 0.02㎜ 이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단차(324) 및 절결(326, 316) 부분이 먼지가 침입 할 수 없는 미로 구조를 실현하고, 게다가 그 구조를 기존의 구성 부품에서 부품 개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또한 별도 부품도 발생하지 않아, 간단하면서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절결(326, 316)에, 광학 소자(32, 31)의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게이트 위치에 형성되는 D 커트를 이용함으로써, 성형 시의 버 제거 등의 공정에 의해 상기 D 커트를 형성할 수 있어, 공정의 증가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단차(324) 및 절결(326, 316)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먼지의 최소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동일한 광학 소자(32)에 설치되는 단차(324)와 절결(326)은 주위 방향으로 동일 위치,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해 있을 필요가 있지만, 광학 소자(32, 31) 사이에서, 상기 절결(326, 316)은 반드시 주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일치하고 있는 쪽이 확실하게 공기가 빠져나가는 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차(324) 및 절결(326, 316)은 광학 소자(32, 31)와 후방 프레임(51)의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2, 31)측에 형성된 경우, 보유 지지 부재인 후방 프레임(51)의 코어 가공이 용이해지고, 한편 후방 프레임(51)측에 형성된 경우, 광학 소자(32, 31)의 코어 가공이 용이해져, 각각의 부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이 하우징(5)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전방 커버(53)는 전자기 실드 및 외관(의장) 상 설치되는 판금 가공품이며, 프레임(51, 52)이 조립된 후, 전방 프레임(52)측으로부터 씌워지고, 측벽(531)에 설치된 걸림 갈고리(531a)가 각각 후방 프레임(51)의 측벽(512)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512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후방 프레임(51)에 고정된다.
프레임(51, 5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조합시켜서 케이싱을 형성하고, 그의 내부에 제1군 유닛(2)과 제2군 유닛(3), 및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적어도 수용한다. 이들 프레임(51, 52)은 케이싱이 광축 방향인 전후로 2분할된 형상을 갖는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케이싱의 측벽(512, 521)은 관통 구멍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케이싱 내가 기밀하게 형성된다(상기 걸림 오목부(512a)는 관통 구멍이 아닌 바닥이 폐색된 오목부임).
도 10은 제1군 유닛(2)과 제2군 유닛(3), 및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 등을 제외하고, 프레임(51, 52)만을 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후방 프레임(51)의 도면이며, 도 11의 (A), 도 11의 (B)는 전방면(물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의 (C)는 후방면(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의 (D)는 전방면(물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2는 전방 프레임(52)의 도면이며, 도 12의 (A)는 전방면(물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B), 도 12의 (S)는 후방면(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D)는 후방면(상)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상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 1 및 도 2도 함께 참조하여, 후방 프레임(51)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베이스(513)의 외주측으로부터 측벽(512)이 세워 설치됨과 함께, 내주측에는 보유 지지통(514)이 세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보유 지지 통(514)의 내주측은 끼워 맞춤 구멍(511)으로 되어 제2군 유닛(3)을 보유 지지한다. 측벽(512)에 있어서, 4면의 모든 측벽에는, 그의 후단부(상)측에 전방 커버(53)의 걸림 갈고리(531a)가 끼워 넣어지는 걸림 오목부(512a)가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측벽에는 전방 프레임(52)의 측벽(521)에 형성된 걸림 구멍(521a)에 끼워 넣어지는 걸림 돌기(5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별한 고정 작업을 행하지 않고, 끼워 넣어지는 것만으로, 상기 후방 프레임(51)에 전방 프레임(52) 및 전방 커버(53)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51)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보스(515)가 적절히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방 프레임(52)측의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525)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이들 프레임(51, 52)의 광축과는 직교 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51)의 하나의 우각부(偶角部)에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516)가 형성됨과 함께, 대각선 상의 우각부에는 제1군 유닛(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벽(5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수납 오목부(516)로부터 이격된 측벽에,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대응하는 장착 오목부(518, 519)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52)은 직사각형의 전방면판(522)의 외주측으로부터 측벽(521)이 세워 설치됨과 함께, 내주측에는 제1군 유닛(2)이 외부에 면하는 개구(523)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52)의 하나의 우각부에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의 선단부가 끼워 넣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526)이 형성됨과 함께, 대각선 상의 우각부에는 제1군 유닛(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벽(5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51, 52)의 조립에는,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52)의 끼워 맞춤 구멍(511)에 광학 소자(32), 차광판(34) 및 광학 소자(31)가 순서대로 끼워 넣어지고, 접착제(35)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제2군 유닛(3)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가 후방 프레임(51)의 수납 오목부(516)에 내장되고,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외부 접속 단자(46, 47)가 장착 오목부(518, 519)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한 쌍의 리드선(44, 45)이 제2군 유닛(3)의 주위에 배치되어, 차광판(33)에 의해 눌러진다. 계속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조립된 제1군 유닛(2)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에 결합된 후, 그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구멍(526)에 끼워 맞추어지면서, 2개의 프레임(51, 52)이 조합되고, 걸림 돌기(512b)가 걸림 구멍(521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프레임(51, 52)이 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는 로드(42)의 선단부 1점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뿐이고, 압전 소자(41)측은 변위 가능하다. 이것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프레임(51, 52)에 대한 장착각(틸트각)을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조정 후에는 추(43)의 배면(43a)을 후방 프레임(51)의 베이스(513)에 접착함으로써 압전 소자(41)를 고정한다. 그 때문에, 베이스(513)에 있어서, 수납 오목부(516)로 이어지는 조정 구멍(5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 구멍(516a)은 추(4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추(43)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전 소자(41)의 배면이 베이스(513)에 접착되면 된다.
도 13은 그와 같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장착각(틸트각)의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접착을 행하는 조정 지그(9)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조정 지그(9)는 대략적으로 제1 지그(91)와, 제2 지그(92)와, 접착제 충전부(9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지그(91)는 제2군 유닛(3)이 장착된 후방 프레임(51)에 있어서, 촬상 소자(7)의 장착 기준면이 되고, 촬상 소자(7)의 소자면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2군 유닛(3)의 광축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513)의 후방면(513a)과 접촉하는 접촉면(911)을 갖고, 상기 후방 프레임(51)을 파지한다. 제2 지그(92)는 제1군 유닛(2)의 기준면이 되고, 상기 제1군 유닛(2)의 광축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판(241)의 전방면(241b)과 접촉하고, 제1 지그(91)측의 접촉면(911)과 평행한 접촉면(921)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지그(92)가 제1군 유닛(2)을 흡착함으로써, 상기 제1군 유닛(2)의 광축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7)의 소자면에 대한 각도를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접착제 충전부(93)는 조정 구멍(516a) 부근에 토출구(931)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군 유닛(2)의 광축 조정이 행해진 후, 상기 토출구(931)로부터 추(43)의 후단부면(43a)을 향하여 자외선 경화성의 접착제(48)가 토출되고, 자외선이 조사되면, 추(43)가 베이스(51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후에, 조정 지그(9)로부터 제거되고, 전방 커버(53)를 끼워 넣은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정 지그(9)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2)의 기울기 조정 및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후방 프레임(51)에의 접착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그(92)에 있어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의 선단부(42a)에 접촉하고,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장착 높이를 규정하는 위치 결정 핀(922)은, 그의 접촉 부분(922a)의 형상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부분(922a)은 로드(42)의 선단부(42a)의 중심과 점 접촉하고 있어, 기울기 조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7)를 후방 프레임(51)에 조립한 후에, 그 촬상 화상을 모니터하면서, 화질이 최량이 되는 시점에서, 조정 구멍(516a)으로부터 추(43)의 배면(43a)을 움직인다고 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기울기 조정을 행하고, 제2군 유닛(3)에 대한 촬상 소자(7)의 위치 조정 등을 더 행한 후,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프레임으로의 접착 고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복수군의 렌즈 구성으로,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2) 이외의 성능 열화의 요인도 포함하여 제거할 수 있어, 촬상 장치 전체로서의 성능 출력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예를 들면 오토포커스를 위하여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사용하여 제1군 유닛(2)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1)의 대략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51, 52)을, 케이싱을 광축 방향의 전후로 2분할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전방 프레임(52)의 전방면판(522)에 의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의 선단부를, 후방 프레임(51)의 베이스(513)에 의해 추(43)를 개재하여 압전 소자(42)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프레임(51, 52)의 측벽(512, 521)을 기밀, 즉 관통 구멍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면으로부터의 내가압 강도 등 프레임(51, 52)의 강성을 높이고, 상기 프레임(51, 52)에 걸리는 압력에 의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파괴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52)의 전방면판(522)에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의 선단부(42a)가 끼움 삽입되고, 그의 선단부를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가 소정 범위에서 경도(틸트) 가능하게 지지하는 끼워 맞춤 구멍(526)이 형성되고, 후방 프레임(51)의 베이스(513)에는 추(43)의 배면(43a)에 면하여, 상기 배면(43a)보다 협소하게 형성되는 조정 구멍(516a)이 형성되고, 제1군 유닛(2)의 광축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7)의 소자면에 대한 각도가 수직이 되도록, 추(43)를 조정 구멍(516a)에 대하여 위치 조정한 후, 조정 구멍(516a)에 접착제(48)를 충전하여 추(43)가 고정된다. 이 때문에,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프레임(51, 52)에 대한 장착각이 조정 가능해져,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2)의 기울기 정밀도를 부품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고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구멍(526)은 로드(42)의 선단부(42a)에 의해, 조정 구멍(516a)은 추(43)의 배면(43a) 및 접착제(48)에 의해 각각 폐색되므로, 먼지가 침입하지 않고, 또한 끼워 맞춤 구멍(526)을 폐색하기 때문에, 상기 성형품(전방 프레임(52))에 두께가 불필요해져서, 높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는 그의 선단부측만이 전방면판(522)에 지지되는 것뿐이므로, 상기 로드(42)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전방 프레임(52)에 지지되는 부분의 길이에, 제1군 유닛(2)의 이동 길이를 더한 길이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축 지지 부분이 종래에는 2개소이지만 1개소로도 완성되므로, 그 축 끼워 맞춤 길이분의 길이만큼 장치 높이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높이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1군 유닛(2)의 기울기 조정을 행하도록 조정 구멍(516a)을 형성하여도, 그 조정 구멍(516a)에는 접착제(48)를 충전하여 추(43)와의 사이에서 폐색하므로, 먼지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가 후방 프레임(51)의 베이스(513)에 지지되고, 추(43)가 전방 프레임(52)의 전방면판(522)에 지지되어도 된다.
여기서, 도 14에 후방 프레임(51)의 성형 시의 모습을 나타낸다(편의상, 상하가 역전되어 있음). 프레임(51, 52)에는 구조적으로 전후(광축) 방향, 즉 금형이 빠짐 방향과는 직교 방향으로 밀어내는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프레임(51)을 성형하는 금형은 고정 코어(94)와, 그 고정 코어(94)에 대하여 상기 빠짐 방향으로 근접 이반 가능한 가동 코어(95)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빠짐 방향과는 직교 방향으로 가동의 슬라이드 코어(96)를 설치하고, 각각은 화살표부호(94a, 95a, 96a)로 형에서 빼내어진다. 이때, 걸림 오목부(512a)나 걸림 돌기(512b)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슬라이드 코어(96)에 이들을 형성시킴으로써, 가동 코어(95)는 그대로 화살표부호(95a), 즉 전후(광축) 방향으로 형에서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2면의 슬라이드 코어(961, 962)로 프레임(51, 52)의 측면을 형성하는 경우, 걸림 오목부(512a)나 걸림 돌기(512b)가 되는 부분이며, 형에서 빼낼 때 걸리는 부분에, 참조부호 512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빠짐 방향(96a)을 따른 테이퍼면이 형성된다. 테이퍼면(512a1)의 프레임(51, 52)의 측면과의 각도 β는 45° 이내이다. 이에 의해, 좌우 2면의 슬라이드 코어(961, 962)에 의해, 프레임(51, 52)의 측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도 11의 (D)에서 도시하는 후방 프레임(51)의 정면도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대응하는 장착 오목부(518, 519)로 현저하게 나타나 있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형에서 빼내는 것이 용이함과 함께, 형 구성상 코어가 없고, 상기와 같이 측벽(512, 521)에 관통 구멍이 없는 케이싱을 형성할 수 있어,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51, 5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6에는, 도 15와 같은 슬라이드 코어(961, 962)를 사용하여 복수(도 16의 예에서는 4)개의 프레임(51)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좌우 2면의 슬라이드 코어(961, 962)만으로 프레임(51, 52)의 측면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성형품(프레임(51, 52))을 서로 근접하여 성형할 수 있고, 부품의 획득수가 높아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1')에 프레임(52')이나 도시하지 않은 전방 프레임(53)이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51', 52')의 측면에 요철은 없고,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후로 형에서 빼내는 코어(97, 98)만으로 성형할 수 있어 부품의 획득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전방 프레임(52)의 성형 시의 모습을 나타낸다. 전방 프레임(52)에는, 그의 전방면판(522)에 로드(42)의 끼워 맞춤 구멍(526)이 형성된다. 이 끼워 맞춤 구멍(526)은 가동 코어(100)로 형성되고, 또한 전방면판(522)의 이면이 되는 측에는 끼워 맞춤 구멍(526)의 외주에 테이퍼(526a)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코어(99)와 형 체결하여 성형을 행한 경우, 터치 버(삐죽나옴)가 형성되었더라도, 전방 프레임(52)의 외면측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42)를 끼워 맞춤 구멍(526)에 끼워 맞추게 할 때는, 버의 영향은 없고, 또한 이 버는 기밀한 프레임(51, 52) 내로 침입하지 않아, 이동 부재(24)의 결합부(243)로 물려 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는 원활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로드(42)는 1개소의 끼워 맞춤 구멍(526)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도 되고, 또한 그의 입구에는 테이퍼(526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은 리드선(44, 45)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은 촬상 장치(1)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절단면선 XXI-XXI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이들 도 20 및 도 21에서는, 리드선(44, 45)은 납땜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51, 52)의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에의 리드선(44, 45)의 배치 및 외부 접속 단자(46, 47)의 장착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초음파 액추에이터(4)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41)의 전극(411, 412)에는, 프레임(51, 52) 중에 배치되는 변형 용이한 개별의 리드선(44, 45)의 일단부(441, 451)가 각각 참조부호 481, 49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납땜된다. 리드선(44, 45)의 타단부(442, 452)는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각각 참조부호 482, 49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납땜된다.
여기서, 외부 접속 단자(46, 47)는 판금에 의해, 도 3이나 도 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J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J자의 단편(462, 472)에 상기 각 리드선(44, 45)의 타단부(442, 452)가 각각 납땜된다. 또한, 상기 J자의 장편(463, 473)의 선단부(461, 471)가 외부의 기판 등에 도전 접속되고, 또는 커넥터 등에 끼워 넣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군 유닛(2)과 제2군 유닛(3), 및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적어도 수용하는 프레임(51, 52)은 케이싱이 2개로 분할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외부 접속 단자(46, 47)는 그의 굴곡부(464, 474)가 상기 2개로 분할된 프레임(51, 52)의 맞댐면(519, 529) 사이에 협지됨과 함께, 프레임(51)의 측벽(512)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46, 47)의 상기 판금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J자의 내주면(465, 475)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46, 47)나 리드선(44, 45) 등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개별적으로 범용성이 높은 저렴한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인서트 성형 등에 비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51)의 측벽(512)의 두께는 최소한이어도 되고, 또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전극(411, 412)으로의 리드선(44, 45)의 접속 방법은 간단한 납땜으로, 참조부호 481, 491로 나타내는 그 납땜 부분의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44, 45)의 자유로운 배치를 실현함에 있어서, 금속제의 외부 접속 단자(46, 47)를 사용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에 비해, 프레임(51, 52)의 맞댐면(520, 530) 사이에 끼워 넣었을 때 정밀도가 나오기 쉽고, 이 때문에 기밀을 보유 지지할 수 있어, 먼지 침입이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군 유닛(2)의 구동 기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사용함으로써 소형화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 구동 메커니즘이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41)에 구형파를 주는 것뿐이고, 그 단자(전극)는 참조부호 411, 4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해도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의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리드선(44, 45)을 사용해도, 단자수나 선수는 최소한으로 완성되고, 이들을 사용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직사각형의 프레임(51, 52)의 중앙에 렌즈의 제1 및 제2군 유닛(2, 3)이 배치되고,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가 프레임(51, 52)의 우각부에 설치되게 되므로, 외부 접속 단자(46, 47)를 4개의 측벽(512) 중,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에 인접하고 있지 않은 측벽(5121)에 구비함으로써, 이들 외부 접속 단자(46, 47)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위치 관계가 상기 촬상 장치(1)의 투영면 내에서 거의 가장 멀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1)에서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고정할 때, 리드선(44, 45)의 탄성의 영향이 최소가 되어, 광학 성능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411, 412)에 의해 구동할 수 있으며, 이들 전극(411, 412)을 압전 소자(41)의 대향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사용하고, 그것을 프레임(51, 52)의 우각부에 설치한 경우, 도 21이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리드선(44, 45)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대응하는 외부 접속 단자(46, 47)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선(44, 45)은 절연 피복이 없는 나선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1)에서는 납땜 공정에서의 피복 제거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조립을 간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를 고정할 때, 상기 피복이 없는 만큼, 리드선(44, 45)의 탄성이 더 작아져서, 광학 성능을 보다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리드선(44, 45)을 고정 렌즈군인 제2군 유닛(3)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드선(44, 45)의 배치를 위하여 전용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1)에서는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44, 45)의 배치는 고정 렌즈군인 제2군 유닛(3)의 주위이므로,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1)에서는,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2)의 작동 불량의 우려는 없으며, 또한 상기 리드선(44, 45) 자체에도 단선 등의 고장의 가능성이 작아져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선(44, 45)을 렌즈로의 유해 광선의 입사를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차광판(33)에 의해, 상기 이동 렌즈군인 제1군 유닛(3)이 배치된 공간으로부터 격리해 둠으로써, 제1군 유닛(2)와 리드선(44, 45)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46, 47)는 SUS 등의 상대적으로 땜납의 습윤성이 나쁜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대하여 상기 납땜이 행해지는 J자의 단편(462, 472) 및 J자의 장편(463, 473)에 있어서의 선단부(461, 471) 부분에는, 땜납 도금, 금 도금, 은 도금, 니켈 도금, 아연 도금 중 어느 하나의 처리가 실시되며, 땜납의 습윤성이 좋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납땜 부분에 양호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납땜이 행해지는 부분 이외로의 원하지 않는 땜납의 유입에 의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46, 47)는 자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납땜을 위한 지그에 조립하기 쉬워져(흡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46, 47)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SUS304)가 사용되고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는 일반적으로는 비자성 재료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굽힘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미약한 자기를 이용하고 있다. 외부 접속 단자(46, 47)에는, 자성 재료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자성을 갖는 재료를 기재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납땜이 행해지는 부분에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1군 유닛(2)의 보유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상기 제1군 유닛(2)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에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도 도시되어 있다. 이 제1군 유닛(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통 부착된 광학 소자(21 ~ 23) 등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24)에 가압 부재(30)가 조립되어 구성되고,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가 된다. 가압 부재(30)는 이동체 본체인 보유 지지 부재(24)에 대향하여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와의 사이에 로드(42)를 끼우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를 로드(42)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보유 지지 부재(24)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나의 우각부 부근은 상기 우각부 부근에 배치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에의 결합부(243)로 되고, 대각선 상의 우각부 부근에는 안내편(24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244)은 프레임(51, 5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안내벽(517, 527)(도 11, 12 참조)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이에 의해 상기 보유 지지 부재(24)의 로드(42)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고, 또한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결합부(243)에 인접하는 우각부의 한쪽에는, 가압 부재(30)의 결합부로 되는 전후 한 쌍의 보스(245)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가압 부재(30)는 탄성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 부재가 금속판 가공에 의해 대략 중앙 부분에서 굴곡한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대략 중앙 부분인 상기 く자 형상에 있어서의 굴곡점이 결합부(301)로 되어 보스(245)에 결합하여, 참조부호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압 부재(30)에서는 그 く자 형상에 있어서의 2변이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되고, 1변(302)의 선단부가 로드(42)를 화살표부호 H1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02a)로 되고, 다른 1변(303)의 선단부가 보유 지지 부재(24)의 접촉부(246)에 접촉하고, 가압부(302a)가 로드(42)를 가압함으로써 발생한 화살표부호 H2 방향의 반력을 받는 수용부(303a)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략 중앙 부분에서 가압 부재(30)를 지지해도, 그 요동 지지점(결합부(301))을 초과하여, 상기 가압 부재(30)의 대략 전체 길이에서 탄성을 발휘시킬 수 있고, 상기 가압 부재(30)의 역점(수용부(303a))으로부터 작용점(가압부(302a))까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판 스프링 부재의 휨량은 고정점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의 3승에 비례하고, 역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에 일단부를 고정하고, 타단부에서 로드를 가압하도록 한 판 스프링의 경우, 고정점으로부터 가압점까지의 거리를 L, 발생하는 힘을 F로 하는 경우에, 휨량 y는,
y=L3×F/(3EI)(I: 단면 2차 모멘트, E: 영률)
로 나타낸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동일하게 고정점(결합부(301))으로부터 작용점(가압부(302a))까지의 거리를 L로 하고, 고정점(결합부(301))으로부터 반력 지지부(수용부(303a))까지의 거리를 L1로 하면, 동일한 힘 F를 발생시킬 때의 휨량 y1은,
y1=(L3+L12×L)×F/(3EI)
가 된다.
따라서, y와 y1을 비교하면, L12은 양의 값이므로, L12×L이 가산되는 만큼, y1쪽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쪽이 판 스프링 부재에 동일한 휨량으로 변화가 있었던 경우, 상기 거리가 긴 만큼 역량, 즉 로드(42)에 대한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 F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가압 부재(30)의 스프링 감도를 작게 하여,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여,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의 대략 중앙 부분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우에, 도 24에 도시하는 가압 부재(30')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24')의 주위의 부품 레이아웃 등에 대응하여, 직선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가 사용되어도 된다. 그러나, 가압 부재(30)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거의 2변에 걸치는 く자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 부분을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스프링 감도를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30)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부재(24)로의 결합부(301)는 판 형상의 보유 지지 부재(24)를 두께 방향(전후)으로부터 끼워 넣는 한 쌍의 결합편(3011, 30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결합편(3011, 3012)에 형성된 결합 구멍(3011a, 3012a)이 보유 지지 부재(24)의 전후로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보스(245)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 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참조부호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보스(245)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 등의 곡주면(曲周面)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 구멍(3011a, 3012a)은 보스가 느슨하게 끼워 넣어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사각형의 대향하는 한 쌍인 2변(V11, V12; V21, V22)이 각각 가압 부재(30)에 있어서의 가압부(302a)측의 1변(302) 및 수용부(303a)측의 다른 1변(303)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30)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く자 형상이 닫히는 방향의 힘, 즉 화살표부호 H3으로 나타내는 보스(245)가 결합 구멍(3011a, 3012a)으로부터 빠지려고 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원기둥 형상의 보스(245)는 사각형의 결합 구멍(3011a, 3012a)의 인접한 2변(V11, V21)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보스(245)나 결합 구멍(3011a, 3012a)의 공차가 느슨해도(예를 들면, 이들이 다소 어긋나거나 형상이 무너져 있어도), 가압 부재(30)가 안정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30)를 보유 지지 부재(24)에 서로의 요철을 결합시켜서 장착하므로, 장착을 위한 별도 부품이 불필요해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결합편(3011, 3012) 사이에 보유 지지 부재(24)를 끼워 넣음으로써, 안정된 요동 동작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보스(245)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내측(245a)이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는 데 반해, 외측(245b)은 안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결합편(3011, 3012)의 상기 보스(245)로부터의 빠짐 방지를 행하면서, 상기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편(3011, 3012)에 보스(245)가 형성되고, 보유 지지 부재(24)에 결합 구멍(3011a, 3012a)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있어서,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 부근에는, 가압 부재(30)의 가압부(302a)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4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부재(2471, 2472)가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부(301)측에도, 한 쌍의 규제 부재(2481, 248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30)에 있어서, 결합부(301)로부터 가압부(302a) 측의 1변(302)은 상기 가압부(302a)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로드(42)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 부재(24)의 이동에 수반하여,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데 반해, 상기 1변(302)을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한 쌍의 규제 부재(2471, 2472; 2481, 248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비틀림이나 휨을 억제하여,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4)의 마찰력(협지력) F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1변(302)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로서,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한 쌍의 규제 부재(2471, 2472; 2481, 2482)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상기 1변(302)에 1개소의 걸림 구멍을 형성해 두고, 그 걸림 구멍에 느슨하게 끼워 넣어지는 핀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제1군 유닛(2)의 로드(42)에 대한 결합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그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22의 절단면선 XXV-XXV로부터 본 도면이다. 상기 도 22 및 도 23을 함께 참조하여, 로드(4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유 지지 부재(24)에 있어서의 로드(42)에의 접촉부인 결합부(243)는 V자 형상의 접촉편(243a, 243b)이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접촉편(243a, 243b)은 로드(4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V자 형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접촉편(243a, 243b)은 도 26의 접촉편(243c, 243d)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로 로드(42)에 접촉하는 4점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반대측에는 상기 가압 부재가 면하므로, 로드(42)의 주위 방향으로 180° 미만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 된다. 또한, 로드(42)는 각기둥이 아닌 원기둥이면 되고, 축 직각 단면이 진원 또는 타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V자 형상의 접촉편(243a, 243b)이나 개별의 접촉편(243c, 243d)은 로드(42) 위를 미끄럼 이동하므로, 그의 재료로서는, 액정 중합체(LC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PS)에 첨가물을 더하여 경도를 높게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물로서는, 유리 파이버, 탄소 파이버, 산화티타늄, 티타늄산 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및 액정 중합체는 유동성이 좋고 정밀 성형에 적합하여, 첨가물을 더하여 경도를 높게 함으로써 구동 성능(속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면으로부터의 투영면에서 보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0)를 포함하여, 로드(42)는 3점에서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24)와 가압 부재(30)의 상대 위치가 약간 어긋났다고 하여도, 가압 부재(30)는 로드(42)에 대하여 접촉편(243a, 243b)과는 반대측에서, 각 접촉편(243a, 243b)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243)가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연속한 U홈이나 V홈인 경우와 같이, 각각 면이나 한 쌍의 선에서의 접촉에 비하여, 4점에서의 접촉에서는 결합부(243)의 성형이나 가공에 의한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커져서, 보유 지지 부재(24)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여,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접촉편(243a, 243b)에 있어서의 로드(42)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축선 방향의 길이, 즉 접촉 길이 K1, K2가, 결합부(243)의 폭 K0의 1/3 이하, 따라서 2조의 접촉편(243a, 243b)의 간격 K3이 1/3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접촉편(243a, 243b)은 로드(42)에 점 접촉하고 있어, 상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접촉편(243a, 243b)의 접촉 개소의 간격 θ1이 주위 방향으로 120°, 즉 상기 한 쌍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의 접선 N1, N2끼리 교차하는 각도 θ2가 60°로 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가압 부재(30)의 가압부(302a)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축 직각 단면의 3점이 대략 120° 간격이 되고, 가압 부재(30)로부터의 가압력을 한 쌍의 접촉편(243a, 243b)의 접촉 개소에 균등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0')의 가압부(302a')도,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판 형상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압부(302a')는 로드(42)에 대하여 2선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7의 가압부(30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42)의 축선 방향의 중앙부가 융기하여, 실제로 로드(42)에 접촉하는 접촉부(304)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압부(302a")측도 점 접촉으로 함으로써, 상기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는 접촉편(243a, 243b)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줄 수 있다.
또는, 접촉부(304)를 점(돌기)이 아닌 돌조로 하고, 그의 접촉 길이를 가압부(302a")의 폭의 1/2 이하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2조의 접촉편(243a, 243b)에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줄 수 있는 동시에, 단위 면적당 가압력을 작게 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く자 형상의 가압부(302a')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편(305a, 305b) 각각에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42)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의 접촉편(305c, 305d)이 구비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 부재(24)측에서 4점, 그에 대향하여 가압부(302a')측에서도 4점에서, 로드(42)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단위 면적당 가압력을 작게 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그 중 주된 기술을 이하에 통합한다.
일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는, 압전 소자의 신축에 따라서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된 로드가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체 본체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워 넣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되는 일단부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결합하는 대략 중앙 부분과, 상기 이동체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로드를 가압함으로써 발생한 반력을 받는 수용부가 되는 타단부를 구비하고, 요동 가능한 판 스프링 부재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나 줌 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압전 소자의 신축을 로드로 전달하고, 그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상기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가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이동체를 상기 압전 소자의 신장 시와 축소 시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구동 기구에 있어서, 그 이동체의 로드에 대한 결합, 특히 상기 렌즈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우는(협지하는) 가압 부재의 구조가 연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 부재에서 형성되고, 그의 대략 중앙 부분을 상기 이동체 본체에 결합시켜서, 시소식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가압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여겨지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체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로드를 가압함으로써 발생한 반력을 받는 수용부로 된다.
따라서, 대략 중앙 부분에서 가압 부재를 지지해도, 그 요동 지점을 초과하고, 가압 부재의 대략 전체 길이에서 탄성을 발휘시킬 수 있고, 가압 부재의 역점(수용부)으로부터 작용점(가압부)까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판 스프링 부재의 휨량은 고정점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의 3승에 비례하고 역량에 비례하므로, 휨량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거리가 긴 만큼, 역량, 즉 로드에 대한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가압 부재의 스프링 감도를 작게 하여,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체 본체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상기 직사각형의 복수의 우각부 중 하나의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에 인접하는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와 대각선 상의 우각부 부근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체 본체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그 하나의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에 인접하는 우각부 부근으로 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와 대각선 상의 우각부 부근으로 된다. 즉, 상기 가압 부재는 대략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く자 형상의 굴곡점이 상기와 같이 이동체 본체에 시소식으로 요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く자 형상의 2변이 판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 부분을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스프링 감도를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은, 상기 이동체 본체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그 이동체 본체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 한 쌍의 결합편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 본체와 결합편 중 어느 한쪽에 세워 설치된 보스가, 어느 하나의 다른 쪽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보스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 등의 곡주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보스가 느슨하게 끼워 넣어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사각형의 대향하는 2변의 쌍이, 각각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일단부(가압부)측의 변과, 타단부(수용부)측의 변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을, 판 형상의 이동체 본체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한 쌍의 결합편으로 끼워 넣고, 그들의 한쪽에 세워 설치한 보스를 다른 쪽에 형성한 결합 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보스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보스보다 큰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사각형의 방향이 상기 く자 형상의 가압 부재에 맞추어진다. 즉, 사각형의 대향하는 2변의 쌍은 각각 상기 가압 부재의 2변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가 탄성력을 발휘하고, 상기 く자가 닫히는 방향, 즉 상기 보스가 결합 구멍으로부터 빠지려고 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원기둥 형상의 보스는 사각형의 결합 구멍의 인접한 2변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보스나 결합 구멍의 공차가 느슨해도(다소 어긋나거나, 형상이 무너져 있어도), 가압 부재가 안정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를 이동체 본체에 서로의 요철을 결합시켜서 장착하므로, 장착을 위한 별도 부품이 불필요해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한 쌍의 결합편으로 이동체 본체를 끼워 넣음으로써, 안정된 요동 동작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 부근에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결합하고, 상기 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가압부측의 변은, 상기 가압부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 부근에,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부가 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가이드)을 더 구비한다. 상기 규제 수단은, 가압 부재를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편이나, 가압 부재에 형성한 1개소의 구멍에 느슨하게 끼워 넣는 핀 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의 이동에 대하여 가압 부재의 비틀림이나 휨을 억제할 수 있어,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마찰력(협지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의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와의 결합부의 재료로는 LCP 또는 PPS에 첨가물을 더하여 경도를 높게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 본체와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는 서로 미끄럼 이동하므로, 이동체 본체의 재료로는 LCP이나 PPS에 첨가물을 더하여 경도를 높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일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는, 압전 소자의 신축에 따라서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된 로드가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체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워 넣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의 접촉부는 상기 로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편을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나 줌 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압전 소자의 신축을 로드로 전달하고, 그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상기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가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이동체를 상기 압전 소자의 신장 시와 축소 시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구동 기구에 있어서, 그 이동체의 로드에 대한 결합, 특히 상기 렌즈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체 본체와 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움(협지함)에 있어서, 이동체 본체측의 접촉부의 구조가 연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드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로드의 주위 방향으로 180° 미만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편을,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이동체 본체측은 로드에 대하여 4점으로 접촉하고, 또한 전방면으로부터의 투영면에서 보면, 상기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로드는 3점에서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체 본체와 가압 부재의 상대 위치가 약간 어긋났다고 하여도,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접촉편과는 반대측에서, 각 접촉편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로드는 각기둥이 아닌 원기둥이면 되고, 축 직각 단면이 진원 또는 타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촉부가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연속한 U 홈이나 V홈인 경우와 같이, 각각 면이나 한 쌍의 선에서의 접촉에 비하여, 4점에서의 접촉에서는, 상기 접촉부의 성형이나 가공에 의한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커져서,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접촉편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와의 축선 방향 접촉 길이는 상기 접촉부의 폭의 1/3 이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체 본체의 로드로의 접촉부에 있어서, 각 접촉편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 길이, 즉 접촉 길이가 접촉부의 폭의 1/3 이하, 따라서 2조의 접촉부의 간격이 1/3 이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접촉편은 로드에 점 접촉하고 있어, 상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접촉편과 상기 로드와의 접촉 위치는, 상기 로드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120° 이격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을 구비함에 있어서, 그 간격을 주위 방향으로 120°, 즉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의 접선끼리 교차하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가압 부재가 평판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축 직각 단면의 3점이 대략 120° 간격이 되고,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한 쌍의 접촉편에 균등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는 평판의 판 스프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부재와 한 쌍의 접촉편의 3점의 간격이 대략 120°로 되고,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의 가압력을 한 쌍의 접촉편에 균등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는,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판 형상체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는 로드에 대하여 2선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 길이는 상기 접촉부의 폭의 1/2 이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압 부재의 로드로의 접촉 길이가 접촉부의 폭의 1/2 이하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는 접촉편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부는 상기 이동체 본체측의 접촉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점 접촉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압 부재의 로드로의 접촉부가 접촉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점 접촉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는 접촉편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가압력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구동 기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부도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는 접촉편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압 부재측의 접촉부도 성형이나 가공에 의한 편차에 대한 허용량이 커져서, 이동체의 마찰력(협지력)의 편차를 억제하고, 구동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는 이들 상술한 어느 하나의 구동 기구와 고정 렌즈군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 렌즈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 렌즈군의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9년 11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52794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52796호를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의 내용은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표현하기 위해서, 상술한 것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적절하게 또한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 형태를 변경 및/또는 개량하는 것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가 실시하는 변경 형태 또는 개량 형태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권리 범위를 이탈하는 수준의 것이 아닌 한, 당해 변경 형태 또는 당해 개량 형태는 당해 청구항의 권리 범위에 포괄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된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신축에 따라서 상기 로드가 왕복 이동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체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워 넣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되는 일단부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결합하는 대략 중앙 부분과, 상기 이동체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로드를 가압함으로써 발생한 반력을 받는 수용부가 되는 타단부를 구비하고, 요동 가능한 판 스프링 부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본체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상기 직사각형의 복수의 우각부(偶角部) 중 하나의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에 인접하는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우각부와 대각선 상의 우각부 부근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체 본체로의 결합 부분은, 상기 이동체 본체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그 이동체 본체를 두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 한 쌍의 결합편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 본체와 결합편 중 어느 한쪽에 세워 설치된 보스가 다른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보스는 곡주면(曲周面)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보스가 끼워 넣어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사각형의 대향하는 2변의 쌍이, 각각 상기 가압 부재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의 변 및 타단부측의 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 부근에는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결합하여 상기 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의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로드와의 결합부의 재료로는 LCP 또는 PPS에 첨가물을 더하여 경도를 높게 한 것을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6.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된 원기둥 형상의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신축에 따라서 상기 로드가 왕복 이동하는 초음파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에 대향하여 상기 이동체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드를 끼워 넣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체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의 접촉부는 상기 로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편을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편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와의 축선 방향 접촉 길이는 상기 접촉부의 폭의 1/3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편과 상기 로드의 접촉 위치는 상기 로드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120° 이격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평판의 판 스프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축 직각 단면이 V자 형상인 판 형상체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 길이는 상기 접촉부의 폭의 1/2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부는 상기 이동체 본체측의 접촉부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점 접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로드에 대한 접촉부는 상기 로드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조 구비되는 접촉편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14.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이동 렌즈군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27014110A 2009-11-04 2010-10-21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KR101319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2796 2009-11-04
JPJP-P-2009-252794 2009-11-04
JP2009252796 2009-11-04
JP2009252794 2009-11-04
PCT/JP2010/006246 WO2011055504A1 (ja) 2009-11-04 2010-10-21 駆動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795A KR20120088795A (ko) 2012-08-08
KR101319129B1 true KR101319129B1 (ko) 2013-10-17

Family

ID=4396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110A KR101319129B1 (ko) 2009-11-04 2010-10-21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18651A1 (ko)
EP (1) EP2498392A4 (ko)
JP (1) JP5569535B2 (ko)
KR (1) KR101319129B1 (ko)
WO (1) WO2011055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7243B2 (ja) * 2008-09-26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ウエハモジュール、光学素子モジュール、光学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子素子ウエハモジュール、電子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子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KR101262597B1 (ko) * 2011-09-28 2013-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54753A (ko) * 2011-11-17 201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 전달 조립체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02470A (ko) 2012-06-29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WO2014049960A1 (ja) * 2012-09-28 2014-04-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6593988B2 (ja) * 2014-11-21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光学機器
US10019031B2 (en) * 2015-09-23 2018-07-10 Tdk Taiwan Corp. Button mechanism
JP6748476B2 (ja) * 2016-04-19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6699408B2 (ja) * 2016-07-05 2020-05-27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9477631B (zh) * 2016-07-14 2020-07-17 三菱电机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8957683B (zh) * 2017-05-17 2021-11-12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驱动机构
US10969561B2 (en) 2017-05-17 2021-04-06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US20190187340A1 (en) * 2017-12-20 2019-06-20 Spring Rainbow Optics Co., Ltd Lens assembly module with light shielding film
US11953754B2 (en) * 2018-06-21 2024-04-09 Tdk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KR20210044554A (ko) * 2019-10-15 2021-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TWI728585B (zh) * 2019-12-06 2021-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與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386A (ja) * 1994-11-28 1996-06-11 Kuroda Denki Kk 弾性表面波アクチュエータ
JP2005354867A (ja) 2004-06-14 2005-12-22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7049878A (ja) 2005-08-12 2007-02-22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7129795A (ja) 2005-11-01 2007-05-24 Konica Minolta Opto Inc 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951A (ja) 2000-03-23 2001-09-28 Minolta Co Ltd 駆動装置
JP2006311794A (ja) * 2005-03-30 2006-11-09 Konica Minolta Opto Inc 駆動装置
JP4444178B2 (ja) * 2005-07-07 2010-03-31 Tdk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JP4999140B2 (ja) * 2005-11-21 2012-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JP2007282448A (ja) * 2006-04-11 2007-10-25 Fujinon Corp 駆動装置
KR20080093880A (ko) * 2007-04-17 2008-10-2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JP2009038888A (ja) * 2007-08-01 2009-02-19 Sharp Corp 駆動装置、撮像装置、撮像機器、及び駆動装置の組立方法
JP5277510B2 (ja) * 2007-08-09 2013-08-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8429681B2 (en) * 2007-09-06 2013-04-23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which includes an optical pickup apparatus that includes an optical member driving apparatus
JP2009124857A (ja) 2007-11-15 2009-06-04 Nidec Copal Corp 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386A (ja) * 1994-11-28 1996-06-11 Kuroda Denki Kk 弾性表面波アクチュエータ
JP2005354867A (ja) 2004-06-14 2005-12-22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7049878A (ja) 2005-08-12 2007-02-22 Fujinon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2007129795A (ja) 2005-11-01 2007-05-24 Konica Minolta Opto Inc 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8651A1 (en) 2012-08-30
EP2498392A1 (en) 2012-09-12
JPWO2011055504A1 (ja) 2013-03-21
WO2011055504A1 (ja) 2011-05-12
EP2498392A4 (en) 2014-04-23
KR20120088795A (ko) 2012-08-08
JP5569535B2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129B1 (ko) 구동 기구 및 그것을 사용한 촬상 장치
KR101364893B1 (ko) 촬상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조정 지그
JP532962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12720B1 (ko) 카메라 모듈
JP5515643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ならびにレンズユニットの組立て方法
KR20060092069A (ko)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KR101257456B1 (ko)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JP2011099900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ならびに光学素子の接合方法
JP479251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30124535A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5392011B2 (ja) 撮像装置
JP431750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5446740B2 (ja) 撮像装置
JP2011118334A (ja) 撮像装置
KR101068124B1 (ko)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JP4795083B2 (ja) 圧電駆動装置、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1184864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20080108220A (ko) 압전 구동 장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CN114660872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20080236729A1 (en) Bonding method for laminated piezoelectric element
CN114666465B (zh) 可变光圈装置及摄像模组、电子设备
JP5569665B1 (ja) 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115685526A (zh) 一种摄像模组及其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2010074986A (ja) 駆動装置、この駆動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及び前記駆動装置または撮像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