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753A - 동력 전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753A
KR20130054753A KR1020110120327A KR20110120327A KR20130054753A KR 20130054753 A KR20130054753 A KR 20130054753A KR 1020110120327 A KR1020110120327 A KR 1020110120327A KR 20110120327 A KR20110120327 A KR 20110120327A KR 20130054753 A KR20130054753 A KR 2013005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support plate
fri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찬영
백종호
신동의
심재규
조우종
최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4753A/ko
Priority to US13/551,976 priority patent/US8513856B2/en
Publication of KR2013005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03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by pressing one or more vibrators against the rotor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와, 제1 롤러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제1 롤러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와, 제1 롤러와 제2 플레이트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제1 롤러와 제2 플레이트의 접촉면의 일부분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마찰 변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조립체{Power transmitting mechanism assembly}
실시예들은 동력 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 전달의 효율이 향상된 동력 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들을 갖는 광학 시스템은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해 렌즈 구동 장치들을 구비한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를 이동시켜 렌즈들의 상대적인 거리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줌(zooming)기능이나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기능을 구현한다.
렌즈 구동 장치는 스텝 모터(stepping motor)와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스텝 모터의 빠른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감속기어와 캠(cam)을 사용해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해지며, 정회전이나 역회전 시 백래쉬(backlash)로 인한 오차의 발생과 전력 소모, 높은 전류와 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광학 시스템의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해 압전 효과에 의해 작동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device)가 널리 응용되고 있다. 압전 소자를 이용하면 초소형의 구동 모터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압전 소자를 사용하는 종래의 광학 시스템에서는 압전 소자의 구동력을 렌즈를 이동시키는 기구물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의 동력 전달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US5,335,115호는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렌즈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는 회전하는 롤러와 링을 접촉시켜 마찰력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론적으로는 서로 접촉하며 롤러와 링을 강한 힘으로 밀착시켜 조립하면 더 높은 마찰력을 얻을 수 있으나, 롤러와 링의 접촉면에서 마찰에 의한 분진이 발생하기도 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며,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나치게 강한 힘이나 약한 힘으로 롤러와 링을 가압하여 조립했을 때에는 작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동력 효율이 향상된 동력 전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음과 진동이 저감되고, 분진의 발생이 최소화된 동력 전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와, 제1 롤러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제1 롤러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와, 제1 롤러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제1 롤러와 제1 플레이트의 접촉면의 일부분이나 제1 롤러와 제2 플레이트의 접촉면의 일부분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마찰 변화부를 구비한다.
제1 롤러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 변화부는 연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1 롤러의 외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찰 변화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나 제2 플레이트는 롤러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할 수 있고, 마찰 변화부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어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홈부와 마찰 변화부는 제1 플레이트나 제2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조립체는, 제1 롤러의 마찰계수와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제조되며 제1 롤러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판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지지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는 고무나 합성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은 제1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할 수 있고, 마찰 변화부는 제1 롤러와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제조되어 제1 롤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롤러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지름의 축부를 구비하고, 마찰 변화부는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는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하는 초음파 액추에이터와, 초음파 액추에이터의 진동을 제1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조립체는 초음파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와 초음파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지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에서는, 마찰 변화부의 작용에 의해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동력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롤러의 마찰면에서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분진 발생과 마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의 마찰면에서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진동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다른 일부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와의 동력 전달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제작된 비교예에 의한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의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과 가압력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20)와, 롤러(20)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30)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40)와, 롤러(20)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50)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장치에서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광학 요소의 이송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40)는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하는 초음파 액추에이터(42)와,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진동을 제1 플레이트(30)에 전달하는 전달부(41, 42)를 구비한다.
초음파 액추에이터(42)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형 압전 소자이거나 단일층의 압전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교류 형태의 전류가 인가되면 인가된 전류의 구동 파형에 따라 반복적인 진동을 발생시킨다.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후방 단부에는 베이스(60)와, 베이스(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재(70)가 배치된다. 베이스(60)는 회전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초음파 액추에이터(42)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70)는 베이스(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압부재(70)의 작용에 의해 초음파 액추에이터(42)로부터 제2 플레이트(50)에 이르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가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동력 발생부(40)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초음파 액추에이터(42)를 이용하였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를 변형하여 초음파 액추에이터(42) 대신 전기 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텝핑 모터를 설치하고, 스텝핑 모터의 회전력을 롤러와 같은 동력 전달 요소를 이용해 제1 플레이트(3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전달부(41, 42)는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전방에 설치되며,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진동을 전달하는 스테이터(41)와, 로터(43)를 구비한다. 스테이터(41)와 로터(43)는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의해 변형되며 힘을 전달한다.
로터(43)의 전방 단부에는 힘을 완충하는 기능을 하는 가이드링(35)과, 가이드링(35)에 접촉하는 제1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30)는 내측에 개구부(31)를 갖는 링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0)는 베이스(60)와 동력 발생부(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30)와 가이드링(35)은 로터(43)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초음파 액추에이터(42)의 진동이 로터(43)를 통해 가이드링(35)과 제1 플레이트(30)에 전달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30)와 가이드링(35)이 회전축(L)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링(35)은 고무나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조되므로, 제1 플레이트(3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제외한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의 성분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플레이트(30)의 전방에는 지지판(10)이 설치된다. 지지판(1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조되며, 내측에 개구부(11)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0)에는 롤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2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롤러(20)는 링 형상의 지지판(10)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롤러(21)와 제1 롤러(22)를 구비한다. 실시예는 롤러(20)의 배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제2 롤러(21)와 제1 롤러(22)를 복합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하여 제1 롤러(22)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각각의 롤러(20)는 지지판(10)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축(15)에 롤러(20)가 결합되면, 롤러(20)의 단부에 가이드 부시(19)가 배치되고, 지지축(15)의 단부에 볼트(17)가 결합된다. 볼트(17)와 가이드 부시(19)의 작용으로 롤러(20)는 지지축(15)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다른 일부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롤러(20)는 지지판(10)의 중심(Oc)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21)는 지지판(10)의 중심(Oc)에 대해 약 120도씩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고, 제1 롤러(22)는 제2 롤러(21)의 사이에서 지지판(10)의 중심(Oc)에 대해 약 120도씩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
제2 롤러(21)와 제1 롤러(22)는 서로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롤러(21)는 고무나 합성수지의 소재로, 제1 롤러(2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는 이러한 제2 롤러(21)와 제1 롤러(22)의 소재의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롤러(21)를 금속 소재로 제조하고, 제1 롤러(22)를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할 수도 있다.
제1 롤러(2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1 롤러(22)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접촉링(2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촉링(25)은 실시예에서 구현된 마찰 변화부의 일 예에 해당한다. 접촉링(25)은 예를 들어 연성 소재의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접촉링(25)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롤러(22)를 둘러싸도록 제1 롤러(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접촉링(25)의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접촉링(25)은 반드시 링 형상으로 제조될 필요는 없으며, 제1 롤러(22)의 원주 방향의 외측 면 전체를 둘러싸지 않고, 제1 롤러(22)의 원주 방향의 외측 면의 일부분만을 둘러쌀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30)는 롤러(20)의 일측에 접촉하며 회전할 수 있다. 롤러(20)의 타측에는 제2 플레이트(50)가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50)는 지지판(10)의 전방에 배치하며, 일부분이 롤러(20)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지지판(10)을 향하여 가압된다. 제2 플레이트(50)의 전방에는 제2 플레이트(50)를 지지판(1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판(8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10)을 베이스(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50)는 지지판(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는 예를 들어 베이스(60)에 연결되어 베이스(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에서는, 제1 플레이트(30)의 회전력이 롤러(20)에 전달되면, 롤러(20)의 타측에 접촉하는 제2 플레이트(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지판(1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판(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기구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러한 제2 플레이트(50)와 지지판(10)의 배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0)은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5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10)과 베이스(60)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판(10)을 베이스(60)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2 플레이트(50)는 지지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판(10)은 고정된 상태에서는, 동력 발생부(40)의 동력이 제1 플레이트(30)에 전달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30)가 회전한다. 제1 플레이트(30)가 회전하면, 제1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롤러(20)가 회전한다. 롤러(20)가 회전하면, 롤러(20)와 접촉하는 제2 플레이트(50)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5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기구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하면, 제2 롤러(21)와 제1 롤러(22)가 서로 상이한 마찰계수를 가지므로, 롤러(20)와 제1 플레이트(3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롤러(20)와 제2 플레이트(5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마찰계수를 갖는 롤러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동력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된 동일한 소재의 롤러를 이용할 때에는 롤러와 다른 회전 요소의 사이에 마찰면을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롤러와 회전 요소의 가공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조립 공차도 최소화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서는 제2 롤러(21)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고무나 합성수지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50)와 롤러(20)를 접촉시키기 위해 가공을 정밀하게 수행하거나 조립을 정밀하게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에서는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의 구성을 변형하여, 롤러(120)의 개수를 변형하였다. 지지판(110)에는 전부 세 개의 롤러(120)가 배치된다. 롤러(120)는 지지판(110)의 중심(Oc)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롤러(120)는 고무나 합성수지의 소재로 제조된 제2 롤러(121)와, 금속 소재로 제조된 제1 롤러(122)를 구비한다. 제1 롤러(12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외측 면에 배치된 접촉링(12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촉링(125)은 마찰 변화부에 해당한다.
롤러(120)의 개수나 배치 형태는 도 5나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두 가지 형태의 롤러가 배치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만을 지지판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롤러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제1 롤러의 외측 면에 배치된 접촉링에 의해 마찰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의 지지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220)와, 제1 롤러(220)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230)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미도시)와, 제1 롤러(220)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250)를 구비한다. 동력 발생부(미도시)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생략되었다.
제1 플레이트(230)는 제1 롤러(22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부(235)를 구비한다. 홈부(235)에는 탄성부재(239)가 삽입된다. 탄성부재(239)는 제1 롤러(220)와 접촉함으로써 제1 롤러(220)와 제1 플레이트(230)의 사이의 접촉면의 일부분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마찰 변화부에 해당한다.
홈부(235)와 탄성부재(239)는 제1 플레이트(2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형성되므로, 지지판(210)이 회전하는 동안 제1 롤러(220)와 제1 플레이트(230)의 탄성부재(239)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50)의 전방에는 제2 플레이트(250)를 지지판(21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판(28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플레이트(250)와 제1 롤러(220)가 서로 이격되어 접촉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었으나, 가압판(280)에 의해 제2 플레이트(250)가 지지판(210)을 향해 가압되면 제1 롤러(220)와 제1 플레이트(230)가 가압되어 탄성부재(239)가 압축되므로 탄성부재(239)와 제1 플레이트(230)가 제1 롤러(2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롤러(220)와 탄성부재(239)는 마찰계수가 서로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220)는 금속소재나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부재(239)는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나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롤러(220)가 탄성부재(239) 및 제1 플레이트(230)에 접촉할 때에, 제1 롤러(220)와 탄성부재(239)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제1 롤러(220)와 제1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탄성부재(239)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안 높은 마찰력을 유지하여 효율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제1 플레이트(250)는 탄성부재(239)의 지나친 변형을 막아주며 탄성부재(239)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하면, 제1 롤러(22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롤러(220)와 제1 플레이트(25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며, 분진 발생과 이로 인한 마모의 발생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력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39)가 제1 플레이트(230)에 설치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을 변형하여 제2 플레이트(250)에 홈을 설치하고, 제2 플레이트(250)에 연장하도록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310)과, 지지판(310)의 지지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320)와, 롤러(320)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330)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3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미도시)와, 롤러(320)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350)를 구비한다. 동력 발생부(미도시)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생략되었다.
롤러(320)는 지지축(3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며, 지지축(3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 롤러(322)와, 외측 롤러(321)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측 롤러(321)는 제1 롤러에 해당하고, 내측 롤러(322)는 마찰 변화부에 해당한다.
외측 롤러(321)는 제1 플레이트(330)와 제2 플레이트(350)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축부(321a)를 구비하고, 내측 롤러(322)는 외측 롤러(321)의 축부(3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측 롤러(321)가 지지축(311)에 대해 회전할 때에, 내측 롤러(322)가 외측 롤러(321)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내측 롤러(322)가 지지축(311)에 대해 외측 롤러(321)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내측 롤러(322)와 외측 롤러(321)는 서로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롤러(321)는 금속소재나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 롤러(322)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나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축(311)에 롤러(320)가 결합되면, 지지축(311)의 단부에 가이드 부시(19)를 개재하여 볼트(17)가 결합된다. 볼트(17)와 가이드 부시(19)의 작용으로 롤러(320)는 지지축(311)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50)의 전방에는 제2 플레이트(350)를 지지판(31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판(38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플레이트(330)와 롤러(320)와 제2 플레이트(350)가 서로 가압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었으나, 가압판(380)에 의해 제2 플레이트(350)가 지지판(310)을 향해 가압되면 내측 롤러(322)가 압축되므로 제1 플레이트(330)와 롤러(320)와 제2 플레이트(350)가 접촉할 수 있다.
롤러(320)가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50)에 접촉할 때에, 내측 롤러(322)와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5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외측 롤러(321)와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5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내측 롤러(322)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안 높은 마찰력을 유지하여 효율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외측 롤러(321)는 내측 롤러(322)의 지나친 변형을 막아주며 내측 롤러(32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하면, 롤러(320)가 회전하는 동안 롤러(320)와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5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며, 분진 발생과 이로 인한 마모의 발생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력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와의 동력 전달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제작된 비교예에 의한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지지축(411)에 대해 회전 가능한 롤러(420)가 전체적으로 한가지 종류의 소재로 제작된 예이다. 롤러(420)의 지지축(411)의 방향의 전체 길이는 L이다. 롤러(420)에서 점선으로 구분된 오른쪽의 L1의 길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정상적인 마찰 접촉에 의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왼쪽의 L2의 길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마찰 부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롤러(420)에 작용하는 회전 방해 토크의 크기는 μ*P (L1 2 + L2 2)/2 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P는 롤러(420)와 접촉하는 요소의 사이에 유지되는 압력이고, μ는 마찰 계수이다. 미끄러짐이 롤러(420)의 한 가운데에서 발생한다고 하면, L1 = L2 = L/2 이다. 마찰 계수(μ)가 0.4, 수직 힘이 2kgf 일 때 세 개의 롤러(420)를 설치한 경우, 롤러(420)의 양 면에 걸리는 회전 저항 토크는 80gf×cm정도에 이른다.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지지판(미도시)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작용하는 구심력에 의해 지지축(411)의 연장 방향(화살표 X의 방향), 즉 롤러(420)의 접촉면에서 방사 방향에서의 구름 저항의 차이에 의한 마찰력 변화가 발생한다.
도 10은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지지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320)는 외측 롤러(321)와 내측 롤러(322)로 분할되므로, 롤러(320)에 작용하는 회전 저항 토크(Tr)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회전 저항 토크(Tr) = ( μH/2*(LH1 2 + LH2 2 ) +μL/2*(LL1 2 + LL2 2 ) )*(N/L)
상기 식에 포함된 파라미터의 값이, μH = 0.5, μL = 0.3, LH1 = LH2 = 0.5, LL1= LL2 = 0.5, N = 2000gf/3, L = 2 라고 하면 분할 롤러 3개의 양 면에 걸리는 회전 저항 토크는 40gf×cm 정도로 줄어든다.
외측 롤러(321)는 점선을 기준으로 미끄러짐 영역과 마찰 전달 영역이 LH1, LH2 으로 나누어진다. 내측 롤러(322)는 점선을 기준으로 미끄러짐 영역과 마찰 전달 영역이 LL1, LL2으로 나누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소재로 분할된 롤러(320)를 이용하면, 내측 롤러(322)와 외측 롤러(321)의 속도가 달라져 구름 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하나의 소재를 이용한 롤러(420)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 저항 토크가 감소되므로 동력 전달의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8의 동력 전달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의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동력 전달 조립체는, 지지판(510)과, 지지판(510)의 지지축(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520)와, 롤러(520)의 일측에 접촉하며 지지판(5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530)와,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플레이트(5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540)와, 롤러(520)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550)를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550)의 전방에는 제2 플레이트(550)를 지지판(51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판(580)이 배치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540)는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하는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와,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의 진동을 제1 플레이트(530)에 전달하는 전달부(541)를 구비한다.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의 후방 단부에는 베이스(560)와, 베이스(5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재(570)가 배치된다. 베이스(560)는 회전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초음파 액추에이터(542)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5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570)는 베이스(560)와 초음파 액추에이터(542)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압부재(570)의 작용에 의해 초음파 액추에이터(542)로부터 제2 플레이트(550)에 이르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가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1에서 마찰력이 작용하는 세 개의 접촉면은 f1, f2, f3으로 표시되었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은 롤러(520)와 제1 플레이트(530)의 사이의 접촉면(f1)과, 롤러(520)와 제2 플레이트(550)의 사이의 접촉면(f2)과, 전달부(541)와 제1 플레이트(530)의 사이의 접촉면(f3)의 세 부분이 있다.
세 개의 접촉면(f1, f2, f3)의 각각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접촉면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힘과 마찰계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수직 방향의 힘은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에 의해 세 개의 접촉면(f1, f2, f3)에 동일하게 작용한다.
롤러(520)에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초음파 액추에이터(542)를 구동할 때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롤러(520)의 양측의 접촉면(f1, f2)이나 제1 플레이트(530)와 전달부(541)의 사이의 접촉면(f3)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동력 손실이 발생한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은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를 위해서는 크면 클수록 좋지만, 다른 구성 요소와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제한 사항으로 인해 적정한 범위 내의 크기를 유지해야 한다.
도 12는 도 11의 동력 전달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과 가압력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의 가로축은 도 11에 도시된 각각의 접촉면(f1, f2, f3)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도 11에서 가압부재(570)에 사용된 스프링에 의해 설정된 가압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가압부재(570)는 S0에서 S3의 범위 내에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래프 L3은 동력 발생부(54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을 강하게 설정할수록 동력 발생부(540)의 힘의 크기는 감소하고,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을 약하게 설정할수록 동력 발생부(540)의 힘의 크기는 증가한다.
그래프 L1은 롤러(520)의 접촉면(f1, f2)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가압부재(570)에 의한 가압력의 상대적 관계를 나타낸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을 크게 할수록 롤러(520)의 접촉면(f1, f2)에서의 마찰력도 증가하지만, 가압력을 S1보다 작게 하면 마찰력의 크기가 Rf1 보다 작아져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을 너무 크게 하면 롤러(520)가 회전하지 않거나 분진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프 L2는 제1 플레이트(530)와 전달부(541)의 사이의 접촉면(f3)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가압부재(570)에 의한 가압력의 상대적 관계를 나타낸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을 크게 할수록 접촉면(f3)에서의 마찰력도 증가한다. 마찰에 의한 동력 전달을 위해서 필요한 최소 마찰력은 RS1 이지만, 가압력을 S2보다 크게 하면 마찰력의 크기가 RS2 보다 커져 소음과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을 너무 크게 하면 접촉면(f3)에서 분진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2의 세 개의 그래프 L1, L2, L3 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가압부재(570)의 전체 사용 가능한 범위 S0~S3의 범위보다 작은 범위에 해당하는 S1~S2의 범위에서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을 조정해야 한다. 동력 발생부(540)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압력의 영향을 받는 접촉면(f1, f2, f3)에 작용하는 허용 마찰력의 공통적인 범위를 넓히도록 설계를 함으로써 가압부재(570)의 허용 가능 가압력의 편차에 의한 동력 발생부(540)의 사용 제한을 감소시켜야 한다.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접촉면(f1, f2, f3)의 기구적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가압력에 대한 제한 범위를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530)와 전달부(541)의 소재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 플레이트(530)와 전달부(541)의 사이의 접촉면(f3)의 마찰 특성을 조절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내구성과 작동성 및 소음과 진동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
롤러(520)의 접촉면(f1, f2)의 마찰 계수를 높여서 가압부재(570)의 가압력에 대한 제한 범위를 극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롤러(520)의 접촉면(f1, f2)의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롤러(520)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거나 롤러(520)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형상을 추가하여 마찰 계수를 높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롤러(520)의 표면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접촉면(f1, f2)에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고 발생하는 분진의 양이 많아 분진에 의한 정밀도 저하가 우려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분진과 마모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게 유지하면서도 롤러(520)의 접촉면(f1, f2)에서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제조된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이용함으로써 마찰력을 높였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롤러와 접하는 제2 플레이트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높였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작용하는 구심력에 의해 롤러의 접촉면에서 방사 방향에서의 구름 저항의 차이에 의한 마찰력 변화를 개선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110, 210, 310, 510: 지지판 42, 542: 초음파 액추에이터
11: 개구부 43: 로터
15, 211, 311, 411, 511: 지지축 50, 250, 350, 550: 제2 플레이트
17: 볼트 60, 560: 베이스
19: 가이드 부시 70, 570: 가압부재
20: 롤러 80, 280, 380, 580: 가압판
21, 121, 220: 제2 롤러 541: 전달부
22, 122: 제1 롤러 120, 320, 420, 520: 롤러
25: 접촉링 125: 접촉링
30, 230, 330, 530: 제1 플레이트 235: 홈부
31: 개구부 239: 탄성부재
35: 가이드링 321: 외측 롤러
40, 540: 동력 발생부 321a: 축부
41: 스테이터 322: 내측 롤러

Claims (17)

  1.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일측에 접촉하며 상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플레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제1 롤러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접촉면의 일부분이나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접촉면의 일부분의 마찰력을 변화시키는 마찰 변화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변화부는 연성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제1 롤러의 외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변화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변화부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마찰 변화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롤러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변화부는 탄성 소재로 제조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마찰 변화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마찰계수와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롤러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지지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고무나 합성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제1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마찰 변화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이한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로 제조되어 상기 제1 롤러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지름의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 변화부는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동력 발생부는 신호가 인가되면 진동하는 초음파 액추에이터와, 상기 초음파 액추에이터의 진동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초음파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조립체.
KR1020110120327A 2011-11-17 2011-11-17 동력 전달 조립체 KR20130054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27A KR20130054753A (ko) 2011-11-17 2011-11-17 동력 전달 조립체
US13/551,976 US8513856B2 (en) 2011-11-17 2012-07-18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27A KR20130054753A (ko) 2011-11-17 2011-11-17 동력 전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753A true KR20130054753A (ko) 2013-05-27

Family

ID=4842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27A KR20130054753A (ko) 2011-11-17 2011-11-17 동력 전달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3856B2 (ko)
KR (1) KR20130054753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115A (en) 1989-02-23 1994-08-02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US5191688A (en) * 1989-07-27 1993-03-09 Olympus Opt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superior longitudinal vibrator
IL113291A0 (en) * 1995-04-06 1995-07-31 Nanomotion Ltd A multi-axis rotation device
CN101652921A (zh) * 2007-02-06 2010-02-17 夏普株式会社 驱动装置、具备该驱动装置的摄像装置、摄像设备
EP2498392A4 (en) * 2009-11-04 2014-04-23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DRIVE MECHANISM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62989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모터
KR101676786B1 (ko) * 2010-02-26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모터
KR101739376B1 (ko) * 2010-11-15 201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경로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7294A1 (en) 2013-05-23
US8513856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4448B2 (ja) 振動波駆動装置及び該振動波駆動装置を備える機器
KR100341720B1 (ko) 진동형구동장치
US20210242808A1 (en) Vibration-type actuator, pan head, and electronic apparatus
JP5574696B2 (ja) レンズ鏡筒
US8169723B2 (en) Vibration actuator, lens barrel and camera
US8513857B2 (en) Vibrational wave motor, lens barrel and camera
KR20130054753A (ko) 동력 전달 조립체
US6439081B1 (en) Harmonic friction drive
US20190326834A1 (en) Buckling wave disk
US20140305247A1 (en) Vibration-type driving apparatus, robo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31085B2 (en)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ic device
CN210830408U (zh) 一种电机及其主动轮安装结构
JP2012067849A (ja) 回転駆動装置
JP4574731B2 (ja) 振動波駆動装置
JP2016148374A (ja) 伸縮アクチュエータ
US11644736B2 (en) Vibration type actuator, camera platform, and electronic device
JP2020094647A (ja) 動力伝達装置
JP6254039B2 (ja) 伸縮アクチュエータ
JP6204306B2 (ja) 伸縮アクチュエータ
JP2012231598A (ja) 振動波モータ
JP6039253B2 (ja) 振動波駆動装置および、振動波駆動装置を搭載した機器。
KR20120129058A (ko) 카메라렌즈 구동용 초음파 모터
JP4401872B2 (ja) 位置制御装置
JP2010220438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レンズ鏡筒、カメラ
CN111226059B (zh) 摩擦摆线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