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606B1 -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606B1
KR101318606B1 KR1020120044455A KR20120044455A KR101318606B1 KR 101318606 B1 KR101318606 B1 KR 101318606B1 KR 1020120044455 A KR1020120044455 A KR 1020120044455A KR 20120044455 A KR20120044455 A KR 20120044455A KR 101318606 B1 KR101318606 B1 KR 10131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moving
feeder
module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229A (ko
Inventor
박양수
양병연
Original Assignee
박양수
주식회사 아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수, 주식회사 아스텍 filed Critical 박양수
Publication of KR2013009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32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diodes
    • G01R31/2635Testing light-emitting diodes, laser diodes or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장치는 대상체(10)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라인(35)(37)이 복수개 배치된 피더(30); 상기 피더(30)에서 복수개의 열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대상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 상기 이동모듈(40)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회전시켜 동시에 이동시키는 픽업모듈(50); 상기 픽업모듈(50)에 의해 이동된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10)를 일렬로 배열시켜 테이핑하는 테이핑모듈(60)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시킨 후 동시에 일렬로 배열시키기 때문에 대상체의 배열 속도 및 테이핑 시간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핑 장치{T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대상체를 선별한 후 테이핑하는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열로 대상체를 이송시킨 후 복수개의 대상체를 동시에 일렬로 배열시켜 테이핑할 수 있는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LED 패키지 또는 SMD 패키지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오와 열을 맞추어 준비 작업을 수행했어야 하고, LED 패키지 또는 SMD 패키지의 표면에 제품 코드와 같은 마크를 마킹하는 마킹 공정, LED 패키지 또는 SMD 패키지의 표면을 테이핑하는 테이핑 공정은 모두 단위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을 진행하는데 설비 또한 개별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공정에 대해 설비가 각각 가동되는 것으로, 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LED 패키지 또는 SMD 패키지의 제조 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는 시도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실시예로서, LED 패키지 또는 SMD 패키지(이하 "대상체"라 한다)의 테이핑 장치는 대상체를 공급받게 되면, 상기 대상체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적으로 테이핑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상체의 불량 유무를 먼저 판단한 후에 불량 대상체는 제거하고, 합격 판정을 받은 대상체만을 소정의 방법을 통해 테이핑할 필요가 있다.
상기 대상체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대상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측면에서 대상체가 동작하는지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과 추가로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거나, 광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달성하기 위한 테이핑기의 특성상, 대상체를 공급하는 피더(feeder)로부터 대상체를 정렬하여 테이핑기로 공급하게 된다. 피더의 상단에는 상기 대상체의 정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비젼의 인식을 통해 대상체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대상체의 정렬 상태 이외에 대상체의 변형 여부, 이물질의 부착 여부 및 일부 부품이 누락된 대상체 여부 등을 비젼을 통해 검사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테이핑 기계로의 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과정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단순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 상승과, 육안 검사로 인한 오류 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로 대상체를 이송시킨 후 복수개의 대상체를 동시에 일렬로 배열시켜 테이핑할 수 있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체(10)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라인(35)(37)이 복수개 배치된 피더(30); 상기 피더(30)에서 복수개의 열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대상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 상기 이동모듈(40)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회전시켜 동시에 이동시키는 픽업모듈(50); 상기 픽업모듈(50)에 의해 이동된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10)를 일렬로 배열시켜 테이핑하는 테이핑모듈(60)을 포함하는 테이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피더(30)는 상기 대상체(10)가 올려지는 피더바디(32); 상기 피더바디(32)를 회전시키는 피더구동부; 상기 피더바디(32)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바디(3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나선형의 정렬라인(35)(37)이 형성된 정렬바디(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모듈(5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픽업암(53)이 형성된 픽업바디(52); 상기 이동모듈(50)을 따라 이동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픽업암(53)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고정유닛(70); 상기 픽업바디(52)를 소정각도 씩 회전시키는 검사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70)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허브(72); 상기 허브(72)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 1 공기호스(73); 상기 허브(72)와 상기 픽업암(53)을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 2 공기호스(74); 상기 픽업암(53)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기호스(74)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10)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소켓(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모듈(60)은 슬롯(6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61)에 복수개의 대상체(10)를 동시에 배치시켜 일렬로 정렬시키는 테이프(62); 상기 테이프(62)를 이동시키는 드럼(64); 상기 드럼(64)을 회전시키는 벨트-풀리(65); 상기 벨트-풀리(65)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61)간의 간격을 1 피치라고 할 때, 상기 복수개의 고정소켓(76) 간격은 3피치이고, 상기 테이프(62)는 상기 슬롯(61)을 2피치 간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장치는 복수개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시킨 후 동시에 일렬로 배열시키기 때문에 대상체의 배열 속도 및 테이핑 시간을 대폭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피더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픽업모듈이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테이핑모듈이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픽업바디에서 각 위치별 수행 작업이 표시된 블록도
도 6은 도 1에서 대상체의 배열순서가 도시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더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픽업모듈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테이핑모듈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픽업바디에서 각 위치별 수행 작업이 표시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대상체의 배열순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장치는 대상체(10)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라인(35)(37)이 복수개 배치된 피더(30)와, 상기 피더(30)에서 복수개의 열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대상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과, 상기 이동모듈(40)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불량검사, 방향정렬, 불량 대상체 배출을 수행하는 픽업모듈(50)과, 상기 픽업모듈(50)에서 정상 대상체로 판정되어 이동된 상기 대상체(10)를 테이핑하는 테이핑모듈(60)을 포함한다.
상기 피더(3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체(10)를 나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렬부(20)는 2개가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피더(30)는 대상체(10)가 올려지는 피더바디(32)와, 상기 피더바디(32)를 회전시키는 피더구동부(미도시)와, 상기 피더바디(32)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바디(3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게 배치되고 나선형의 정렬라인(35)(37)이 형성된 정렬바디(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바디(36)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피더바디(32)가 회전되면서 상기 대상체(10)를 상기 정렬라인(35)(37)을 따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라인(35)(37)은 2열의 나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상체(10)는 상기 정렬라인(35)(37)을 따라 일렬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모듈(40)로 이동된다.
상기 피더구동부는 상기 피더바디(32)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이고, 상기 피더바디(3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모듈(40)은 상기 대상체(10)를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42)와, 상기 이동가이드(42)에 배치된 상기 대상체(1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이드(42)는 상기 대상체(10)가 이동되는 복수개의 이동레일(4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43)과 상기 정렬라인(35)(37)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픽업모듈(50)은 픽업바디(52)와, 상기 이동레일(43)을 따라 이동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픽업바디(52)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70)과, 상기 픽업바디(52)에 고정된 대상체(10)의 방향을 검사하는 방향검출유닛(미도시)과, 상기 픽업바디(52)에 고정된 상기 대상체(10)의 불량을 검사하는 불량검출유닛(미도시)과, 상기 픽업바디(52)를 소정각도 씩 회전시키는 검사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바디(52)는 복수개의 대상체(10)가 동시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된 대상체(10)를 소정각도 씩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상체(10)가 고정되는 픽업암(53)이 형성되고, 상기 픽업암(53)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암(53)은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12개가 3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고정유닛(70)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허브(72)와, 상기 허브(72)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 1 공기호스(73)와, 상기 허브(72)와 상기 픽업암(53)을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 2 공기호스(74)와, 상기 픽업암(53)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공기호스(74)와 연결되며 상기 대상체(10)가 고정되는 고정소켓(76)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음압은 상기 제 1, 2 공기호스(73)(74)를 거쳐 상기 고정소켓(76)에 전달되고, 상기 고정소켓(76)에서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이동레일(43)의 대상체(10)가 상기 고정소켓(76)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소켓(76)은 각 픽업암(53)에 2개씩 설치되고, 상기 대상체(10)는 2개씩 상기 고정소켓(76)에 고정된다.
상기 대상체(10)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대상체(10)는 피더(10)에 형성된 2열의 정렬라인(35)(37)을 따라 상기 이동모듈(40)로 이동 된 후, 상기 이동모듈(40)의 이동레일(43)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레일(43)의 끝에서 공기압에 의해 2개씩 동시에 상기 고정소켓(76)으로 끌어올려져 고정된다.
이후 상기 고정소켓(76)에 고정된 2개의 대상체(10)는 소정각도 씩 회전되면서 검사가 수행된 후 상기 테이핑모듈(60)로 이동된다.
특히 상기 이동레일(43)의 상측에 상기 고정소켓(76)이 위치된 경우,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고정소켓(76)에 상기 대상체(10)가 고정되고, 상기 검사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픽업바디(52)가 30도씩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바디(5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픽업암(53)의 시계방향의 위치별로 상기 대상체(10)에 대하여 각각의 기능이 수행된다.
즉, 9시 방향에서는 상기 대상체(10)를 픽업하여 상기 픽업바디(52)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대상체(10)를 30도 회전시켜 11시 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된 상기 대상체(10)의 위치를 1차로 정렬 시킬 수 있고, 12시 방향 위치에 도달한 대상체(10)에 대하여 비전시스템을 통해 대상체(10)의 불량을 측정할 수 있고, 1시 방향 위치에 도달한 대상체가 불량 대상체인 경우 공기 흡입을 중단하여 불량 대상체를 배출 시킬 수 있고, 2시 방향 위치에 도달한 대상체에 대하여 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고, 3시 방향 위치에 도달한 대상체(10)에 대하여 2차로 정렬을 수행할 수 있고, 4시 방향에 도달한 대상체(10)에 대하여 상기 고정소켓(76)에 위치해 있는지 유무체크를 수행할 수 있고, 6시에 도달한 대상체(10)를 낙하시켜 테이핑모듈(60)에 삽입할 수 있고, 8시에 도달한 대상체(10)가 있는 경우 9시 방향의 픽업을 위해 8시 방향에 위치한 고정소켓(76)의 공기흡입을 중단하여 대상체(10)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픽업바디(52)의 각 위치에서는 다양한 검사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모듈(60)은 슬롯(61)이 형성된 테이프(62)와, 상기 테이프(62)를 이동시키는 드럼(64)과, 상기 드럼(64)을 회전시키는 벨트-풀리(65)와, 상기 벨트-풀리(65)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상체(10)는 상기 픽업암(53)의 6시 방향에서 분리되어 상기 슬롯(61)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체(10)는 2개가 동시에 분리되는 바 2피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61)은 상기 테이프(62)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롯(61) 간의 간격을 1피치라 할 때, 상기 고정소켓(76)이 2개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소켓(76) 사이의 간격은 3피치이고, 상기 테이프(62)의 이동 거리는 2피치로 설정된다.
그래서 3피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고정소켓(76)에서 상기 대상체(10)가 분리되는 경우 ①의 위치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대상체(10)가 분리된 후 상기 픽업암(53)이 30도 회전되어 배치시킬 새로운 대상체(10)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모듈(60)은 상기 테이프(62)를 2피치만큼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62)가 2피치 이동되면서 새로운 대상체(10)가 ②위치의 슬롯(61)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62)의 이동과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은 동시에 발생되어 세팅시간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대상체(10)가 배치될 때마다 상기 테이프(62)를 2피치씩 이동시키면, ③, ④, ⑤의 위치에 대상체(1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페이프(62)에 빈 슬롯(61)이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대상체(10) 들을 일렬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렬로 배치된 상기 대상체(10)를 테이핑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 : 대상체 20 : 정렬부
30 : 피더 40 : 이동모듈
50 : 픽업모듈 60 : 테이핑모듈
70 : 고정유닛

Claims (6)

  1. 대상체(10)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정렬라인(35)(37)이 복수개 배치된 피더(30);
    상기 피더(30)에서 복수개의 열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대상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
    상기 이동모듈(40)을 통해 공급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회전시켜 동시에 이동시키는 픽업모듈(50);
    상기 픽업모듈(50)에 의해 이동된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10)를 일렬로 배열시켜 테이핑하는 테이핑모듈(60)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핑모듈(60)은
    슬롯(6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61)에 복수개의 대상체(10)를 동시에 배치시켜 일렬로 정렬시키는 테이프(62);
    상기 테이프(62)를 이동시키는 드럼(64);
    상기 드럼(64)을 회전시키는 벨트-풀리(65);
    상기 벨트-풀리(65)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모듈(5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픽업암(53)이 형성된 픽업바디(52);
    상기 이동모듈(40)을 따라 이동된 복수개의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픽업암(53)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고정유닛(70);
    상기 픽업바디(52)를 소정각도 씩 회전시키는 검사구동부를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30)는
    상기 대상체(10)가 올려지는 피더바디(32); 상기 피더바디(32)를 회전시키는 피더구동부; 상기 피더바디(32)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바디(3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나선형의 정렬라인(35)(37)이 형성된 정렬바디(36)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모듈(40)은
    상기 피더(30)의 정렬라인(35)(37)과 연결되고 상기 대상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43)이 형성된 이동가이드(42); 상기 이동가이드(42)에 배치된 상기 대상체(1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픽업모듈(50)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픽업암(53)이 형성된 픽업바디(52);
    상기 픽업암(53)에는 상기 대상체(10)를 공기압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고정소켓(76)이 배치되고,
    상기 피더(30)의 대상체(10)는 상기 정렬라인(35)(37) 및 상기 이동레일(43)을 통해 이동된 후 상기 고정소켓(76)에 고정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 테이핑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70)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픽업바디(52)의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허브(72);
    상기 허브(72)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는 제 1 공기호스(73);
    상기 허브(72)와 상기 픽업암(53)을 연결시켜 공기압을 제공하여 상기 대상체(10)를 상기 픽업암(53)에 고정되게 하는 제 2 공기호스(74);
    상기 픽업암(53)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기호스(74)와 연결되어 공기압을 제공받음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대상체(10)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소켓(76)을 포함하는 테이핑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20044455A 2012-02-07 2012-04-27 테이핑 장치 KR101318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2200 2012-02-07
KR1020120012200 201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9A KR20130091229A (ko) 2013-08-16
KR101318606B1 true KR101318606B1 (ko) 2013-10-15

Family

ID=4921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455A KR101318606B1 (ko) 2012-02-07 2012-04-27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615B1 (ko) * 2014-10-02 2022-01-25 (주)제이티 소자핸들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50B1 (ko) * 2005-02-17 2006-07-28 티에스이엔지니어링(주) 테이프 앤 릴 시스템
KR100986248B1 (ko) * 2010-03-25 2010-10-07 유병소 멀티 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대상물 분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50B1 (ko) * 2005-02-17 2006-07-28 티에스이엔지니어링(주) 테이프 앤 릴 시스템
KR100986248B1 (ko) * 2010-03-25 2010-10-07 유병소 멀티 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대상물 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9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1563B (zh) 一种pcb电路板缺陷自动检查设备
CN206588030U (zh) 灯头自动分检机
CN104185381B (zh) Led全自动贴片机
CN103575181B (zh) 内孔检测装置
CN109552874A (zh) 一种自动电测机
JP6546999B2 (ja) 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部品実装装置
CN107738919A (zh) 一种电子线路板自动化检测设备
CN110549113A (zh) 全自动电源组装测试线及其组装测试工艺
WO2021114762A1 (zh) 一种发电机定子电性能自动检测装置
KR101318606B1 (ko) 테이핑 장치
CN108362914B (zh) 多转塔式测试设备
KR101216365B1 (ko) 소자핸들러 및 소자이송방법
CN106646761A (zh) 光纤调心机和光纤调心方法
CN108132215A (zh) 一种smt贴片生产线的aoi检测方法
KR20100104868A (ko) 형광등형 램프 자동측정 검사장치
CN202013325U (zh) 一种pcb电路板缺陷自动检查设备
CN203534425U (zh) 内孔检测装置
KR20090060839A (ko) 내연기관용 엔진 밸브의 축경 측정장치
TWI543917B (zh) Electronic equipment for reproducing equipment
KR20110088705A (ko) 발광 다이오드 포장장치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연속포장방법
CN103379814A (zh) 元件安装装置
CN207336567U (zh) 智能转速监测保护仪的检测及分送装置
CN208728041U (zh) 一种保险丝引线帽检测装置
CN208505911U (zh) 屏蔽件检测装置
KR101189179B1 (ko) 소자정렬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소자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