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07B1 - 콤바인의 탈곡부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07B1
KR101318407B1 KR1020107028869A KR20107028869A KR101318407B1 KR 101318407 B1 KR101318407 B1 KR 101318407B1 KR 1020107028869 A KR1020107028869 A KR 1020107028869A KR 20107028869 A KR20107028869 A KR 20107028869A KR 101318407 B1 KR101318407 B1 KR 10131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piral
threshing
body forming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923A (ko
Inventor
마코토 오류
토시유키 시마오카
칸타 쿠사치
요시오 쿠스노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581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59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581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59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3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9974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곡간을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기 어렵게 함으로써, 원활한 탈곡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콤바인의 탈곡부를 제공한다. 콤바인의 탈곡부(30)에 있어서, 급동(31)에서는, 급치(313)를, 상기 급동과 축선이 일치하고 또한 감는 방향이 일치하며 나선 피치가 서로 다른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함과 함께, 상기 급치와 이 급치에 대하여 상기 제2 나선보다 나선 피치를 작게 설정하는 상기 제1 나선의 대략 1주기 전 또는 후에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를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콘케이브(32)에서는,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통 형상으로서 프레임 바디(321)에 마련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부{THRESHING SECTION FOR COMBINE}
본 발명은 급동(扱胴) 및 콘케이브(concave)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탈곡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급치(扱齒)를 구비한 급동을 가진 콤바인의 탈곡부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탈곡부에 있어서, 급동에서는, 복수의 급치가 몸체부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설정된 나선을 따라 급동 원주 방향으로 배열됨과 함께 급동의 축선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급동 축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578075호 공보
종래와 같은 콤바인의 탈곡부에서는, 전술한 급치의 위치에 의해 탈곡 작업 시에 급동이 회전될 때, 복수의 급치가 탈곡 대상물인 곡간(穀稈)에 급동 축선 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하여 곡간의 종류에 따라서는 곡간이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기 쉽게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힌 곡간이 적절히 탈곡 처리되지 않은 채 외부로 배출되거나 탈곡부 내에 막힘을 발생시켜 탈곡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곡간을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기 어렵게 함으로써, 원활한 탈곡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콤바인의 탈곡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는 콘케이브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탈곡부로서,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원통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치를 상기 급동과 축선이 일치하고 서로의 감는 방향이 동일하며 서로의 나선 피치가 다른 제1 나선과 제2 나선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함과 함께, 상기 급치와 이 급치에 대하여 상기 제2 나선보다 나선 피치를 작게 설정하는 상기 제1 나선의 대략 1주기 전 또는 후에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를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급동의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시킨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과,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좌우의 각 단부 사이에 마련하는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통 형상의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sieving body-forming members)을 가지는 시빙 바디(sieving body)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을 상기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 사이에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마련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을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에 상기 시빙 바디 형성편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시빙 바디의 만곡 방향에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의 간격을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이 상기 급동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급치의 선단부(先端部)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급동은, 상기 복수의 급치에 상기 콘케이브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급치를 포함하고, 급치를 그 일부가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콘케이브에 대하여 중복되도록 마련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급동 측 외주면을 상기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급동 측 단면과 대략 동일면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을 원통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상기 급동은 상기 급치를 독립 급치로 하고, 상기 독립 급치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급치를 마련하고, 상기 나선 급치를 상기 급동과 축선이 일치하는 제1 나선을 따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급동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각 급치가, 반송되어 오는 탈곡 대상물인 곡간에 대하여 앞부터 순서대로 시간차를 두고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케이브에서 시빙 바디의 시빙 바디 형성편이 원통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곡간이 시빙 바디 형성편에 휘감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급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곡간에 작용하기 때문에, 급동으로의 순간적인 과부하나, 급동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승차감을 쾌적하게 개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에서 시빙 바디의 시빙 바디 형성편이 곡간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예를 들어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대두의 곡간이라도 시빙 바디 상에서 서로 얽히기 어렵고, 또한 시빙 바디에 박혀 들어가기 어려워져, 콘케이브로부터의 곡립의 누하(漏下)를 촉진시켜 곡립의 손실이나 오립(汚粒)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음과 함께, 곡간의 흐름이 지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에서 시빙 바디의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이 급치와 대향할 때,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도 급치와 대향하여,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이 상시 각 급치와 곡간을 사이에 두고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대략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되고, 급동과 콘케이브 사이에서의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곡간이 서로 얽힌 경우라도 콘케이브의 후방에서 급치가 서로 얽힌 곡간을 떼어내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의 배출을 촉진시켜, 급동과 콘케이브 사이에서의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급동으로의 동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콘케이브에서 시빙 바디의 시빙 바디 형성편과, 프레임 바디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단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탈곡 작업 시, 곡간이 콘케이브상에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콘케이브의 시빙 바디에 대한 곡간의 휘감김이나 박혀 들어감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탈곡부에서의 막힘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탈곡부에서의 진동의 발생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의 시빙 바디에 곡간이 얽히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탈곡부에서의 막힘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곡립을 손상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손상립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빙 바디 형성편을 회전시키기 쉽게 하여, 콘케이브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오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에 있어서, 탈곡 작업 시, 급동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각 독립 급치가, 반송되어 오는 탈곡 대상물인 곡간에 대하여 앞부터 순서대로 시간차를 두고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독립 급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곡간에 작용하기 때문에, 급동으로의 순간적인 과부하나, 급동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승차감을 쾌적하게 개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급동과 콘케이브 사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의 (a)는 급동과 콘케이브의 뒷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콘케이브의 후방에 있어서의 급동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7은 콘케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콘케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지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지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지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피복체를 마련하는 경우의 콘케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피복체를 마련한 경우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지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시빙 바디 형성편을 변형시킨 경우의 콘케이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탈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급동과 콘케이브 사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우의 분할 케이스의 연결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른쪽 분할 케이스의 곡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른쪽 분할 케이스의 모서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어서,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부(3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콤바인(1)은 탈곡부(30)에 대두나 보리 등의 곡간의 전체를 투입하여 탈곡하는 전간(全稈) 투입형 콤바인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에는 기체(機體) 프레임(2)에 대하여, 주행부(10)와, 예취부(刈取部)(20)와, 탈곡부(30)와, 선별부(40)와, 곡립 저류부(50)와, 짚 배출 처리부(60)와, 엔진부(70)와, 조종부(80)가 구비된다.
주행부(10)는 기체 프레임(2)의 하부에 마련된다. 주행부(10)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를 가지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1) 등을 가지며, 크롤러식 주행 장치(11)에 의해 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취부(20)는 기체 프레임(2)의 앞쪽 단부(端部)에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취부(20)는 분초(分草) 도구(21)와, 소입(搔入) 릴(22)과, 절단 장치(23)와, 반송 장치(24) 등을 가지며, 분초 도구(21)에 의해 논·밭의 곡간을 분초하고, 소입 릴(22)에 의해 분초 후의 곡간을 긁어 모으고, 절단 장치(23)에 의해 소입 후의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고, 반송 장치(24)에 의해 절단 후의 곡간을 좌우 대략 중앙으로 횡송한 후 탈곡부(30) 측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곡부(30)는 기체 프레임(2)의 좌측부에 마련되고 예취부(20)의 후방에 배치된다. 탈곡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31)과, 콘케이브(32) 등을 가지며, 급동(31) 및 콘케이브(32)에 의해 예취부(2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후방으로 보내면서 탈곡하고, 그 탈곡물을 누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별부(40)는 기체 프레임(2)의 좌측부에 마련되고 탈곡부(30)의 하방에 배치된다. 선별부(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장치(41)와, 풍(風) 선별 장치(42)와, 곡립 반송 장치(43) 등을 가지며, 요동 선별 장치(41)에 의해 탈곡부(30)로부터 낙하되는 탈곡물을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요동 선별하고, 풍 선별 장치(42)에 의해 요동 선별 후의 것을 곡립과 지푸라기 등으로 더욱 풍 선별하고, 곡립 반송 장치(43)에 의해 선별 후의 곡립을 곡립 저류부(50) 측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별부(40)에 있어서 요동 선별 장치(41)에서는 제1 검불체(chaff sieve)(411)와, 제2 검불체(412)와, 체가름(篩分) 부재(413) 등이 요동 선별 장치 본체(414)에 구비된다. 요동 선별 장치 본체(414)는 급동(31)의 하방에 배치되고, 그 앞 부분 및 뒷부분에 마련되는 요동 기구(415)에 의해 제1 검불체(411)와, 제2 검불체(412)와, 체가름 부재(413) 등을 수반하여 기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검불체(411) 및 제2 검불체(412)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마다 가로로 마련된 복수의 채프 핀(chaff fin)을 가지며 그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각 약간 전저후고(前低後高)로 경사진 상태로 앞뒤로 병설된다. 체가름 부재(413)는 빗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제1 검불체(411)의 뒤쪽 단부에 치부(齒部)를 후방을 향하여 마련되고, 제2 검불체(412)의 앞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요동 선별 장치(41)는 요동 선별 장치 본체(414)를 요동시킴으로써, 동시에 제1 검불체(411)와, 제2 검불체(412)와, 체가름 부재(413) 등을 요동시켜, 탈곡부(30)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조(粗)선별하고, 그 조선별 후의 것을 풍 선별 장치(42)에 누하시킬 수 있다. 이때의 누하량은 제1 검불체(411) 및 제2 검불체(412)에서 각각 복수의 채프 핀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조절된다.
풍 선별 장치(42)에서는 풍구 팬(421)과, 일번 컨베이어(422)와, 이번 컨베이어(423) 등이 풍 선별 장치 본체(424)에 구비된다. 풍구 팬(421)은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마련된 회전 구동축을 가져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풍 선별 장치 본체(424)의 앞쪽 단부에 배치된다. 일번 컨베이어(422) 및 이번 컨베이어(423)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마련된 회전 구동축을 가져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각 풍구 팬(421)의 후방에서 풍 선별 장치 본체(424)의 저부에 앞뒤로 병설된다.
그리고, 풍 선별 장치(42)는 풍구 팬(421)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선별풍을 일으켜 후방으로 보내서, 요동 선별 장치(41)로부터 낙하하는 곡립과 지푸라기에 쐬어 이것들을 비중 선별하며, 그 중 비중이 무거운 것이 선별풍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번 컨베이어(422)로 낙하하는데 반하여, 비중이 가벼운 것을 선별풍으로 후방으로 운반하여 이번 컨베이어(423)로 낙하시킬 수 있다.
풍 선별 장치(42)는 또한 일번 컨베이어(422)를 구동시킴으로써, 일번 컨베이어(422)로 낙하해 온 것을 일번물로서 풍 선별 장치(42)의 우측으로 보내어 곡립 반송 장치(43)로 넘겨줌과 동시에, 이번 컨베이어(423)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번 컨베이어(423)로 선별풍으로 운반된 뒤에 낙하해 온 것을 이번물로서 풍 선별 장치(42)의 우측으로 보내어 이번 환원 장치(44)로 넘겨줄 수 있다.
이번 환원 장치(44)에는 이번 반송 장치(441)와, 이번 처리 장치(442)가 구비된다. 이번 반송 장치(441)는 요동 선별 장치(41) 및 풍 선별 장치(42)의 오른쪽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전고후저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번 처리 장치(442)는 요동 선별 장치(41)의 앞쪽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이번 컨베이어(423)와 이번 반송 장치(441)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이번 환원 장치(44)는 이번 반송 장치(441) 및 이번 처리 장치(442)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번 반송 장치(441)에서 이번 컨베이어(423)로부터 받은 이번물을 이번 처리 장치(442)로 보내고, 이번 처리 장치(442)에서 이번 반송 장치(441)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번물을, 지경(枝梗)을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한 후, 요동 선별 장치(41)에 낙하시켜 되돌릴 수 있다. 이리하여, 선별부(40)는 요동 선별 장치(41) 및 풍 선별 장치(42)를 거친 이번물을 반복 선별할 수 있다.
곡립 저류부(50)는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후 중앙부에 마련되고,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오른쪽 방향에 배치된다. 곡립 저류부(50)는 곡립 탱크(51)와, 곡립 배출 장치(52) 등을 가지며, 곡립 탱크(51)에 의해 선별부(4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립을 저류하고, 곡립 배출 장치(52)에 의해 저류 중인 곡립을 임의의 방향으로 반송하고 나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짚 배출 처리부(60)는 기체 프레임(2)의 좌측 후상방에 마련되고 탈곡부(30) 및 선별부(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짚 배출 처리부(60)는 짚 배출 반송 장치 등을 가지며, 짚 배출 반송 장치에 의해 탈곡부(30)로부터의 탈곡이 끝난 곡간을 짚 배출로서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선별부(40)로부터의 지푸라기나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엔진부(70)는 기체 프레임(2)의 우측 뒷부분에 마련되고 곡립 저류부(50)의 후방에 배치된다. 엔진부(70)는 엔진 등을 가지며, 엔진의 동력을 각 부분의 장치에 적절한 전동(傳動) 기구를 개재해 공급하여, 엔진에 의해 각 부분의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종부(80)는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앞 부분에 마련되고 곡립 저류부(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조종부(80)는 조향 핸들(81) 및 변속 레버를 포함하는 각종 조작 도구와, 조종석과, 캐빈(82) 등을 가지며, 조작 도구에 의해 각 부분의 장치 등을 조작하고, 조종석에 조종자를 착석시키며, 캐빈(82)에 의해 조작 도구와 조종석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은 조종부(80)에서의 조작 도구의 조작에 따라 엔진부(70)로부터 엔진의 동력을 각 부분의 장치에 공급하여, 주행부(10)에서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예취부(20)에서 논·밭의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부(30)에서 예취부(20)로부터의 곡간을 탈곡하고, 선별부(40)에서 탈곡부(30)로부터의 탈곡물을 선별하고, 곡립 저류부(50)에서 선별부(40)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탈곡부(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부(3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급실(33)이 형성된다. 그리고, 급실(33)에 급동(31)과 콘케이브(32)가 내장된다. 급실(33)에 있어서 급동(31)은 그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급실(33)의 앞쪽에서 전방으로 개구되는 곡간 투입구(331)와, 급실(33)의 뒤쪽에서 후방으로 개구되는 곡간 배출구 사이에 걸쳐서 마련된다.
급동(31)은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에 부착되는 임펠러(312)나 복수의 급치(313) 등을 구비한다. 몸체부(311)는 급실(33)과 동일한 정도의 전후 길이를 가지고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급동 축선 방향으로 연신된다. 단,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만 다른 부분과 달리 모따기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311)는 그 앞쪽 단부가 급실(33)의 곡간 투입구(331)에 면하고, 뒤쪽 단부가 급실(33)의 곡간 배출구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몸체부(311)는 급실(33)에 급동 축선 방향으로 마련된 스핀들(34)에 지지되고, 스핀들(34)이 엔진의 동력을 얻어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 스핀들(3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이것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임펠러(312)는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한편, 복수의 급치(313)는 임펠러(312)의 후방에서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보다 뒷부분 측의 외주면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앞쪽 단부보다 뒤쪽 부분의 외주면을, 몸체부(311)의 외주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급치(313)의 부착 위치는 도 2에서 쇄선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몸체부(311)의 외주면에 설정된 2종류의 나선, 즉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은 각각의 감는 방향과, 몸체부(311)의 외주면상에서 1주기 분의 급동 축선 방향의 길이인 나선 피치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설정된다.
즉,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은 양쪽 모두 급동(31)의 축선과 일치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선을 가지며, 서로의 감는 방향은 동일해지고 서로의 나선 피치는 다르도록 설정된다. 제1 나선(301)은 그 나선 피치가 제2 나선(302)의 나선 피치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복수회에 걸쳐서 주회(周回)하는 것이다.
제2 나선(302)은 그 나선 피치가 제1 나선(301)의 나선 피치보다 커짐과 함께, 몸체부(311)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매우 커지도록 설정되고,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주회하지 않고 몸체부(311)의 뒤쪽 단부에 이르는 것이다. 이에 더해, 제2 나선(302)은 복수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 구비되며, 제2 나선(302)끼리는 일정한 간격을 취해 대략 평행하여 교차하지 않고, 제1 나선(301)과만 교차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복수의 급치(313)가, 몸체부(311)의 외주면에서 제1 나선(301)을 따라 등간격마다 배치됨과 함께, 제2 나선(302)을 따라 등간격마다 배치된다. 즉, 급치(313)가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나선(301)의 1주기 분에 배치되는 급치(313)의 수가 제2 나선(302)의 수가 된다.
그 결과, 복수의 급치(313) 중, 제1 나선(301)의 몇 번째 주기에서의 소정 차례에 배치되는 급치(313)와, 제1 나선(301)의 앞 또는 다음 번째 주기에서의 동일 차례에 배치되는 급치(313)는, 동일한 제2 나선(302)상에서 급동 축선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된다. 동시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 원주 방향에 약간 어긋나게, 즉 급동 원주 방향의 위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배열된다.
즉, 복수의 제2 나선(302) 중, 동일한 제2 나선(302) 상에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의 관계에서는, 제1 나선(301)의 몇 번째 주기에 배치되는 급치(313)에 대하여, 제1 나선(301)의 대략 1주기 후에 배치되는 급치(313)가,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어긋남을 가지고 급동 회전 방향 위쪽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더해,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는 후방을 향하여 반복 배치되고, 하나의 제2 나선(302)을 따라 전후 방향에서 급동(31)의 축선과 평행이 되지 않는 직선상으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전후 방향에서의 급치(313)군의 일렬은 제2 나선(302)의 수에 따라 급동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복수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몸체부(311)의 외주면에서 각 급치(313)의 부착 위치가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부착 위치가 되는 급치(313) 중, 적어도 하나의 급치(313)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케이브(32),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분할 콘케이브(320)의 프레임 바디(321)를 구성하는 뒤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급치(313)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급치(313)의 일부가 뒤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B)에 대하여 중복 가능해지도록, 몸체부(311)의 외주면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전술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치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나선의 나선 피치와 제2 나선의 나선 피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쌍방 또는 일방의 나선 피치를 몸체부의 전후 방향에서의 임의의 범위에서 다른 범위에서의 나선 피치보다 크거나 작게 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 사이에 급치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짧게 하거나,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급치의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급치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나선과 제2 나선에 따른 위치에만 배치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위치에 더해 제1 나선과 제2 나선의 쌍방 또는 일방으로부터 벗어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33)에 있어서 콘케이브(32)는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 즉 급동 축선 방향으로 하여 급동(31)의 하방에 배치되고, 급동(31)의 하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콘케이브(32)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분할 콘케이브(320)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콘케이브(3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의 (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 축선 방향 및 원주 방향에서 각각 이분할되도록 4장의 분할 콘케이브(320)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단, 콘케이브는 복수의 분할 콘케이브의 집합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단체(單體)로 구성하는 것도, 다른 수의 분할 콘케이브의 집합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할 콘케이브(320)는 각각 동일한 구조로 되고, 프레임 바디(321)와 시빙 바디(322)를 구비한다. 분할 콘케이브(320)는 급동 축선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2개씩 병설되고, 서로 이웃하는 분할 콘케이브(320)와 프레임 바디(321)끼리 적절한 단면에서 접촉하여 원호를 형성하도록, 급실(33)을 형성하는 벽부에 대하여 체결 도구 등을 개재하여 부착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321)에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과,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321R)이 구비된다.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은 각각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되는 부분원호상의 판상 부재로 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취해 마련된다.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321R)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직선상의 판상 부재로 되고,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서로의 좌우 단부 사이에 마련된다. 이리하여, 프레임 바디(321)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과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321R)으로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
시빙 바디(322)에는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구비된다.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직선상의 막대 모양 부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막대 모양 부재 중에서도 특히 외주면을 곡면으로 하는 원통상 부재가 된다.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각각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321R)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 사이에 그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마련된다.
여기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경이 전후에 걸쳐서 일정하게, 외경이 전후의 단부(322Aa)에 한하여 소경(小徑)이 되도록 설정되어, 전후의 단부 부근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모양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전후의 단부(322Aa)와 대략 동일한 지름을 가진 복수의 관통공(321Fa)(321Ba)을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전후의 단부(322Aa)가 각각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대응하는 관통공(321Fa)(321B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 사이에 걸쳐서 마련되고,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발지(拔止)되면서, 상기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단부(322Aa)를 제외한 급동(31)과 대향하는 부분의 외주면을,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외주면으로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급동(31)과 대향하는 부분의 외경이 전후의 단부(322Aa)의 외경에 비해 적절하게 크게 설정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 측 외주면으로부터 급동(3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으로부터 급동(3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배치된다. 즉,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그 급동 측 외주면이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과 대략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그 급동(31)과 대향하는 부분의 외경이 전후의 단부(322Aa)의 외경에 비해 적절하게 크게 설정되어, 급동 측 외주면으로부터 급동(3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으로부터 급동(3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배치된다. 즉,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급동 측 외주면이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보다 급동(31)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그 급동(31)과 대향하는 부분의 외경이 전후의 단부(322Aa)의 외경에 비해 적절하게 크게 설정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 측 외주면이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으로부터 급동(31) 측으로 간신히 돌출되지 않도록, 또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보다 급동(31)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구조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외경과,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구비되는 관통공(321Fa)(321Ba)의 외경을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고,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전후의 단부(322Ac)를 관통공(321Fa)(321Ba)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각 단부(322Ac)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경을 관통공(321Fa)(321Ba)의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발지하면서, 상기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구조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프레임 바디 내측에 복수의 환상의 지지체(325)를 고정 마련하여, 지지체(325)에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단부(322Aa)를 삽입함으로써,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지 구조의 경우에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복수의 관통공(321Fb)(321Bb)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고, 각각 지지체(325)의 개구와 동심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지지체(325)보다 프레임 바디 내측으로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단부(322Aa) 부근에 관통공(322Ad)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지지체(325)의 내부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내부가 연통된 상태에서, 관통공(321Fa)(321Ba)에 의해 지지체(325)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됨과 함께, 관통공(322Ad)에 의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
이에 의해, 지지체(325)와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단부와의 간극에 먼지가 퇴적된 경우,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관통공(321Fa)(321Ba)으로부터 지지체(325)의 내부를 향하여 공기를 에어 건 등에 의해 보냄으로써, 이와 같은 먼지가 간단하게 제거 가능해져, 먼지에 의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정지의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간격이, 급동(31)의 어느 급치(313)의 선단부와, 이 급치(313)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의 선단부의 간격과, 급동 원주 방향에서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배열된다.
그 때문에,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어느 급치(313)와 함께 급동(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신되는 제1 직선(L1)상에 배치될 때,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어느 급치(313)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와 함께 급동(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직선(L1)에 대하여 급동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어긋나서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신되는 제2 직선(L2)상에 배치되게 된다.
즉,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급동(31)의 어느 급치(313)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때,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어느 급치(313)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급동(31)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급치(313)의 선단부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때,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31)의 각 급치(313)와, 그 급치(313)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의 급동 원주 방향에서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그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급동 원주 방향에서의 간격도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한편,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이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과 마찬가지로 급치 원주 방향에서 등간격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지만,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의 변경에 맞추어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이 일부의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에서는 크고, 나머지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에서는 작아지도록 부등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지지하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프레임 바디 외측에, 각각 전후의 피복체(323F)(323B)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이다. 피복체(323F)(323B)는 각각 동일한 구조로 되고, 고정부(323Fa)(323Ba)와 피복부(323Fb)(323Bb)를 구비하며,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323Fa)(323Ba)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과 대략 같은 형상이 된다. 그리고, 고정부(323Fa)(323Ba)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프레임 바디 외측으로부터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이것들에 대하여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체결 도구를 개재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피복부(323Fb)(323Bb)는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고정부(323Fa)(323Ba)의 상단으로부터 프레임 바디 내측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다. 이때의 피복부(323Fb)(323Bb)의 전후폭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있어서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프레임 바디(321)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각각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 부분을 급동(31) 측에서 덮는 전후의 피복체(323F)(323B)를 마련하는 구성으로도 된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 부분에 곡간의 줄기 등이 휘감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흙 등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부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빙 바디(322)에 있어서,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 중, 적어도 하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그 외주면에 돌출부(322Ae)를 가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돌출부(322Ae)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축선을 일치시키는 나선을 따라 형성되고,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전후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시빙 바디(322)의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 중, 적어도 하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그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축선을 일치시키는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된다.
이에 의해,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탈곡 작업 시, 급동(31)에서 반송되는 곡간에 의해 그 밖의 돌출부(322Ae)를 가지지 않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비교하여 많이 회전된다. 또한,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이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반송되는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그 정체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급동(31)으로의 동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콘케이브(32)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켜, 오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치(313)의 이동 방향에 대한 곡간의 각도를 바꾸어, 훑기 잔여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급동(31) 및 콘케이브(32)를 마련하는 급실(33)에는 복수의 커팅 블레이드(35)와, 복수의 송진(送塵) 밸브(36)가 마련된다. 복수의 커팅 블레이드(35)는 급동(31)을 구성하는 몸체부(311)의 상부의 왼쪽 방향에 마련되고,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로부터 전후 중앙부에 대한 범위에 걸쳐서 급동 축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취해 병설된다. 복수의 커팅 블레이드(35)가 배치되는 전후 방향에서의 범위는. 구체적으로는, 몸체부(311)의 외주면에서 맨 앞 위치에 배치되는 급치(313)의 근방으로부터 선별부(40)에서의 요동 선별 장치(41)의 제1 검불체(411)의 뒤쪽 단부 근방이 된다.
각각의 커팅 블레이드(35)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치(313)와 중복 가능하게 몸체부(311)를 향하여 연장되며, 급동(31)의 회전에 의해 급치(313)가 주회하는 경로 사이에 배치되어, 급동(31) 및 콘케이브(32)에 의해 탈곡할 때 곡간을 절단하여 짧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탈곡부(30)에서의 곡간에 대한 탈곡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고, 선별부(40)에서의 탈곡물에 대한 제1 검불체(411)의 선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한편, 복수의 송진 밸브(36)는 급동(31)의 몸체부(311)의 상방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로부터 뒷부분에 대한 범위에 걸쳐서 급동 축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취해 병치(竝置)된다. 각 송진 밸브(36)는 급실(33)의 천정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급동 축선 방향에 대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됨과 함께, 일단부에서 막대 모양 부재(37)에 연결되어 다른 송진 밸브(36)와 연동하여 회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복수의 송진 밸브(36) 중, 맨 앞 위치에 배치되는 송진 밸브(36)에 급실(33)의 외부에 마련된 조작 레버(38)가 접속되고, 조작 레버(38)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송진 밸브(36)가 그 방향을 일제히 변경하게 되어 있다. 송진 밸브(36)의 방향은, 조작 레버(38)가 그 근방에 마련된 레버 가이드(39)로 원하는 조작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적절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이리하여, 급실(33)에서 곡간의 조건에 따라 그 체류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탈곡부(30)에서의 곡간에 대한 탈곡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전후 방향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급동(31)과, 급동(31)의 하방에 배치되는 콘케이브(3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급동(31)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원통상의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의 외주면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313)를 구비하고, 급치(313)를, 상기 급동(31)과 축선이 일치하고 감는 방향이 일치하며 나선 피치가 다른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함과 함께, 급치(313)와, 급치(313)에 대하여 제2 나선(302)보다 나선 피치를 작게 설정하는 제1 나선(301)의 대략 1주기 전 또는 후에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313)를,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하고, 콘케이브(32)는, 급동(31)의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시킨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과,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좌우의 각 단부 사이에 마련하는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321R)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321)와, 급동 축선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통 형상의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가지는 시빙 바디(322)를 구비하고,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 사이에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마련하는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급동(31)에서 하나의 제2 나선(30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각 급치(313)가, 반송되어 오는 탈곡 대상물인 곡간에 대하여 앞부터 순서대로 시간차를 두고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원통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곡간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휘감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급치(313)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곡간에 작용하기 때문에, 급동(31)으로의 순간적인 과부하나, 급동(31)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부(3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승차감을 쾌적하게 개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프레임 바디(321)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상기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곡간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예를 들어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대두의 곡간이라도 시빙 바디(322)상에서 서로 얽히기 어렵고, 또한 시빙 바디(322)에 박혀 들어가기 어려워져, 콘케이브(32)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켜, 곡립의 손실이나 오립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음과 함께, 곡간의 흐름이 지연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빙 바디(322)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끼리의 간격을, 이들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급동(31)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급치(313)의 선단부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설정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급치(313)와 대향할 때,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급치(313)와 대향하며, 이들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상시 각 급치(313)와 곡간을 사이에 두고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대략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되어, 급동(31)과 콘케이브(32) 사이에서의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급동(31)은 복수의 급치(313)에 콘케이브(3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급치(313)를 포함하고, 급치(313)를 그 일부가 상기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콘케이브(32)에 대하여 중복되도록 마련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곡간이 서로 얽힌 경우에도 콘케이브(32)의 후방에서 급치(313)가 서로 얽힌 곡간을 떼어내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의 배출을 촉진시켜, 급동(31)과 콘케이브(32) 사이에서의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급동(31)으로의 동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시빙 바디(322)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급동 측 외주면을, 프레임 바디(321)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급동 측 단면과 대략 동일면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프레임 바디(321)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과의 단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탈곡 작업 시, 곡간이 콘케이브(32)상에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콘케이브(32)의 시빙 바디(322)에 대한 곡간의 휘감김이나 박혀 들어감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탈곡부(30)에서의 막힘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탈곡부(30)에서의 진동의 발생을 경감할 수도 있다.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의 시빙 바디(322)에 곡간이 얽히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탈곡부(30)에서의 막힘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서 곡립을 손상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손상립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을 회전시키기 쉽게 하여, 콘케이브(32)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오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콘케이브(32)는 프레임 바디(321)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에, 각각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 부분을 급동(31) 측으로부터 덮는 전후의 피복체(323F)(323B)를 마련하는 구성으로도 된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 부분에 곡간의 줄기 등이 휘감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흙 등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지지부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회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콘케이브(32)는 시빙 바디(322)의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 중, 적어도 하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그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축선을 일치시키는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된다.
이에 의해,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탈곡 작업 시, 급동(31)에서 반송되는 곡간에 의해 그 밖의 돌출부(322Ae)를 가지지 않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비교하여 많이 회전된다. 또한, 나선상의 돌출부(322Ae)를 가지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반송되는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그 정체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급동(31)으로의 동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콘케이브(32)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시켜, 오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치(313)의 이동 방향에 대한 곡간의 각도를 바꾸어, 훑기 잔여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탈곡부(30), 특히 그 급동(31)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31)은,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에 부착되는 임펠러(312)나 나선 급치(314)와, 나선 급치(314)에 부착되는 독립 급치(315) 등을 구비한다. 몸체부(311)는 급실(33)과 동일한 정도의 전후 길이를 가지고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급동 축선 방향으로 연신된다. 단,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만은, 다른 부분과 달리 모따기 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311)는 그 앞쪽 단부가 급실(33)의 곡간 투입구(331)에 면하고, 뒤쪽 단부가 급실(33)의 곡간 배출구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몸체부(311)는 급실(33)에 급동 축선 방향으로 마련된 스핀들(34)에 지지되고, 스핀들(34)이 엔진의 동력을 얻어 회전 구동되는 경우에, 스핀들(3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이것과 일체로 회전 가능해진다.
임펠러(312)는 나선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한편, 나선 급치(314)는 임펠러(312)의 후방에서,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보다 뒷부분 측의 외주면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몸체부(311)의 앞쪽 단부보다 후측 부분의 외주면을 몸체부(311)의 외주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독립 급치(315)는 나선 급치(314)에, 상세하게는 나선 급치(314)의 바깥 둘레부의 전면(前面)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 구성의 급동(31)에서는 복수의 독립 급치(315)가 전술한 급치(313)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나선 급치(314)가 이들 독립 급치(315)와 몸체부(3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마련된다.
나선 급치(314) 및 각 독립 급치(315)의 부착 위치는, 도 13의 실선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몸체부(311)의 외주면에 설정된 2종류의 나선, 즉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은 각각의 감는 방향과, 몸체부(311)의 외주면상에서 1주기 분의 급동 축선 방향의 길이인 나선 피치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설정된다.
즉,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은 양쪽 모두 급동(31)의 축선과 일치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선을 가지며, 서로의 감는 방향은 동일해지고 서로의 나선 피치는 다르도록 설정된다. 제1 나선(301)은 그 나선 피치가 제2 나선(302)의 나선 피치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복수회에 걸쳐서 주회하는 것이다.
제2 나선(302)은 그 나선 피치가 제1 나선(301)의 나선 피치보다 커짐과 함께, 몸체부(311)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매우 커지도록 설정되고, 몸체부(311)의 외주면을 주회하지 않고 몸체부(311)의 뒤쪽 단부에 이르는 것이 된다. 이에 더해, 제2 나선(302)은 복수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 구비되며, 제2 나선(302)끼리는 일정한 간격을 취해 대략 평행하여 교차하지 않고, 제1 나선(301)과만 교차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나선 급치(314)가, 몸체부(311)의 외주면에서 제1 나선(301)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독립 급치(315)가 나선 급치(314)의 바깥 둘레부에서 제1 나선(301)을 따라 등간격마다 배치됨과 함께, 제2 나선(302)을 따라 등간격마다 배치된다. 즉, 독립 급치(315)가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나선(301)의 1주기 분에 배치되는 독립 급치(315)의 수가 제2 나선(302)의 수가 된다.
그 결과, 복수의 독립 급치(315) 중, 제1 나선(301)의 몇 번째 주기에서의 소정 차례에 배치되는 독립 급치(315)와, 제1 나선(301)의 앞 또는 다음 번째 주기에서의 동일 차례에 배치되는 독립 급치(315)는, 동일한 제2 나선(302)상에서 급동 축선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된다. 동시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 원주 방향에 약간 어긋나게, 즉 급동 원주 방향의 위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배열된다.
즉, 복수의 제2 나선(302) 중, 동일한 제2 나선(302)상에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의 관계에서는, 제1 나선(301)의 몇 번째 주기에 배치되는 독립 급치(315)에 대하여, 제1 나선(301)의 대략 1주기 후에 배치되는 독립 급치(315)가,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어긋남을 가지고 급동 회전 방향 위쪽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들 서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는 나선 급치(314)상에서 후방을 향하여 반복 배치되고, 하나의 제2 나선(302)을 따라 전후 방향에서 급동(31)의 축선과 평행이 되지 않는 직선 모양으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전후 방향에서의 독립 급치(315)군의 일렬은 제2 나선(302)의 수에 따라 급동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복수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몸체부(311)의 외주면에서 나선 급치(314) 및 각 독립 급치(315)의 부착 위치가 제1 나선(301)과 제2 나선(302)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전술한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독립 급치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나선의 나선 피치와 제2 나선의 나선 피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쌍방 또는 일방의 나선 피치를 몸체부의 전후 방향에서의 임의의 범위에서 다른 범위에서의 나선 피치보다 크거나 작게 함으로써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 사이에 독립 급치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짧게 하거나, 제1 나선의 감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독립 급치의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콘케이브(3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이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간격이, 급동(31)의 어느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와, 이 독립 급치(3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의 간격과, 급동 원주 방향에서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배열된다.
그 때문에,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어느 독립 급치(315)와 함께 급동(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신되는 제1 직선(L1)상에 배치될 때,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어느 독립 급치(3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와 함께 급동(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 직선(L1)에 대하여 급동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어긋나서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신되는 제2 직선(L2)상에 배치되게 된다.
즉,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급동(31)의 어는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때,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어느 독립 급치(3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급동(31)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때,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31)의 각 독립 급치(315)와, 그 독립 급치(3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독립 급치(315)의 급동 원주 방향에서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그 시빙 바디 형성편(322A)에 대하여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의 급동 원주 방향에서의 간격도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만곡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한편,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이 독립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과 마찬가지로 등간격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지만, 독립 급치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의 변경에 맞추어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이 일부의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에서는 크고, 나머지 시빙 바디 형성편끼리의 간격에서는 작아지도록 부등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독립 급치(315)와 몸체부(3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급치(314)를 구비하고, 나선 급치(314)를 상기 급동(31)과 축선이 일치하는 제1 나선(301)을 따라 배치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급동(31)에서 하나의 제2 나선(30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각 독립 급치(315)가, 반송되어 오는 탈곡 대상물인 곡간에 대하여 앞부터 순서대로 시간차를 두고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독립 급치(315)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곡간에 작용하기 때문에, 급동(31)으로의 순간적인 과부하나, 급동(31)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부(3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승차감을 쾌적하게 개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콤바인(1)의 탈곡부(30)는, 또한 콘케이브(32)는 급동(31)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빙 바디(322)의 만곡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끼리의 간격을, 이들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급동(31)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독립 급치(315)의 선단부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설정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콘케이브(32)에서 시빙 바디(322)의 어느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독립 급치(315)와 대향할 때,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도 독립 급치(315)와 대향하여, 이들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이 상시 각 독립 급치(315)와 곡간을 사이에 두고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곡간이 대략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되어, 급동(31)과 콘케이브(32) 사이에서의 곡간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탈곡 작업이 가능해져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콤바인(1)의 탈곡부(30)에서, 콘케이브(32)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케이브(32)에서는, 급동 원주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병설된 2개의 분할 콘케이브(320)가, 왼쪽 분할 콘케이브(320)의 프레임 바디(321)의 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R)과, 오른쪽 분할 콘케이브(320)의 프레임 바디(321)의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을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연결된다. 각 분할 콘케이브(320)의 프레임 바디(3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8의 (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분할 콘케이브(320) 중, 급동 회전 방향 위쪽의 오른쪽 분할 콘케이브(320)에 있어서의 프레임 바디(321)의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은 수직부(321La)와 수평부(321Lb)를 가지며, 수평부(321Lb)가 수직부(321La)의 상단부로부터 급동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322A)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은 그 앞쪽 단부의 우측에서 앞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과 연결되고, 그 뒤쪽 단부의 우측에서 뒤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B)과 연결된다. 이 연결부에서는,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직부(321La)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좌단부와 고착되고,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평부(321Lb)가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의 좌단부 상에 탑재된다.
또한,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은 그 좌측에서 왼쪽 분할 콘케이브(320)의 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R)과 접합 가능해진다. 이 접합부에서는,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직부(321La)가 왼쪽 분할 콘케이브(320)에 있어서의 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R)의 수직부(321Ra)에 전후에 걸쳐서 면 접촉된다. 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R)은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과 좌우 대칭으로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둥근 막대형 부재(326)가,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직부(321La)의 오른쪽 방향 그리고 수평부(321Lb)의 바로 하방에서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F)(321B) 사이에 마련된다. 둥근 막대형 부재(326)는 그 우측의 외주면이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평부(321Lb)의 오른쪽 단면과 연속하도록, 수평부(321Lb)보다 오른쪽, 즉 급동 회전 방향 위쪽으로 약간 돌출된다. 이리하여,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에, 급동 회전 방향 위쪽 근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대향하는 곡면부(327)가 마련된다. 단, 둥근 막대형 부재는 원통형 부재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는,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의 수평부(321Lb)가, 그 좌우 방향 중간부에서 급동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선에서, 전후의 단부를 제외하고 하방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리하여,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321L)에, 급동 회전 방향 위쪽 근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대향하는 모서리부(328)가 마련된다.
즉, 콘케이브(32)는 좌우의 분할 콘케이브(320) 중, 급동 회전 방향 위쪽의 오른쪽 분할 콘케이브(320)에 있어서의 프레임 바디(321)의, 왼쪽 분할 콘케이브(320)와의 연결 측에 위치하는 왼쪽 프레임 바디 성형편(321L)에, 급동 회전 방향 위쪽 근처의 시빙 바디 형성편(322A)과 대향하는 곡면부(327) 또는 모서리부(328)를 마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탈곡 작업 시, 급동(31)에 의해 탈곡되는 곡간이, 오른쪽 분할 콘케이브(320)에서 급동 회전 방향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흐르는 경우에, 곡면부(327) 또는 모서리부(328)에 접촉하여 프레임 바디(321)의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 특히 그 수평부(321Lb)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곡간이 대두 곡간인 경우에 대두의 오립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곡간의 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으로의 걸림에 의한 분할 콘케이브(320)(콘케이브(32))의 막힘이나, 곡간의 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21L)으로의 걸림에 의한 탈곡부(30) 전체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작업 시의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는, 곡간을 로프 형상으로 서로 얽히기 어렵게 함으로써, 원활한 탈곡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유용하다.
1…콤바인
30…탈곡부
31…급동
32…콘케이브
301…제1 나선
302…제2 나선
311…몸체부
313…급치
314…나선 급치
315…독립 급치
321…프레임 바디
321F…앞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
321B…뒤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
321L…왼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
321R…오른쪽 프레임 바디 형성편
322…시빙 바디
322A…시빙 바디 형성편

Claims (7)

  1. 전후 방향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급동, 및
    상기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는 콘케이브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탈곡부로서,
    상기 급동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원통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급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동과 축선이 일치하고 서로의 감는 방향이 동일하며 서로의 나선 피치가 다른 제1 나선과 제2 나선의 교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치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급치와 이 급치에 대하여 상기 제2 나선보다 나선 피치를 작게 설정하는 상기 제1 나선의 1주기 전 또는 후에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급치를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일부만 중복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급동의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시킨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과,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좌우의 각 단부 사이에 마련하는 좌우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을 가지는 프레임 바디, 및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통 형상의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을 가지는 시빙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시빙 바디 형성편을 상기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 사이에 만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마련하고,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시빙 바디의 만곡 방향에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의 간격을 서로 이웃하는 시빙 바디 형성편이 상기 급동의 전후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급치의 선단부와 동시에 대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을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에 상기 시빙 바디 형성편의 축선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은, 상기 복수의 급치에 상기 콘케이브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급치를 포함하고, 급치를 그 일부가 상기 급동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콘케이브에 대하여 중복되도록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시빙 바디 형성편의 급동 측 외주면을 상기 전후의 프레임 바디 형성편의 급동 측 단면과 동일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는, 상기 시빙 바디의 각 시빙 바디 형성편을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은, 상기 급치를 독립 급치로 하고, 상기 독립 급치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에 급동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선 급치를 마련하고, 상기 나선 급치를 상기 급동과 축선이 일치하는 제1 나선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KR1020107028869A 2008-06-17 2009-03-17 콤바인의 탈곡부 KR101318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8137A JP5355944B2 (ja) 2008-06-17 2008-06-17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JP-P-2008-158137 2008-06-17
JPJP-P-2008-158135 2008-06-17
JP2008158135A JP5355943B2 (ja) 2008-06-17 2008-06-17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2008173915A JP5179974B2 (ja) 2008-07-02 2008-07-02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JP-P-2008-173915 2008-07-02
PCT/JP2009/055120 WO2009154030A1 (ja) 2008-06-17 2009-03-17 コンバインの脱穀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923A KR20110025923A (ko) 2011-03-14
KR101318407B1 true KR101318407B1 (ko) 2013-10-15

Family

ID=4143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869A KR101318407B1 (ko) 2008-06-17 2009-03-17 콤바인의 탈곡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18407B1 (ko)
CN (1) CN102065677B (ko)
WO (1) WO20091540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75B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대동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34B1 (ko) * 2011-12-02 2018-08-02 (주)아모레퍼시픽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BE1023990B1 (nl) 2016-03-29 2017-10-25 Cnh Industrial Belgium Nv Dors- en scheidingssysteem voor een oogstmachine
CN111713270A (zh) * 2019-03-22 2020-09-29 山东理工大学 一种开放式螺旋纵轴脱粒滚筒
CN113491203B (zh) * 2020-04-01 2022-06-10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玉米脱粒装置
CN111820015B (zh) * 2020-08-12 2022-07-08 中联重机浙江有限公司 一种蚕豆收割机用低破损复脱型脱粒筛选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52A (ja) * 1996-01-10 1997-07-22 Kubota Corp 排ワラ細断装置
JPH10210851A (ja) * 1997-01-28 1998-08-11 Kubota Corp 脱穀装置のコンケーブ
JP2005253388A (ja) 2004-03-12 2005-09-22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
JP2005304427A (ja) * 2004-04-23 2005-11-04 Kubota Corp 全稈投入型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744U (ko) * 1986-04-11 1987-10-20
CN2425496Y (zh) * 2000-06-15 2001-04-04 黄宝玉 轴流式滚筒脱粒装置
JP2004275085A (ja) * 2003-03-17 2004-10-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CN2867838Y (zh) * 2006-01-24 2007-02-14 广州市科利亚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收割机的脱粒滚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52A (ja) * 1996-01-10 1997-07-22 Kubota Corp 排ワラ細断装置
JPH10210851A (ja) * 1997-01-28 1998-08-11 Kubota Corp 脱穀装置のコンケーブ
JP2005253388A (ja) 2004-03-12 2005-09-22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
JP2005304427A (ja) * 2004-04-23 2005-11-04 Kubota Corp 全稈投入型脱穀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75B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대동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030A1 (ja) 2009-12-23
CN102065677B (zh) 2012-08-15
CN102065677A (zh) 2011-05-18
KR20110025923A (ko) 201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407B1 (ko) 콤바인의 탈곡부
CN102282978B (zh) 纵轴流式脱粒装置
CN101953257A (zh) 脱粒分离滚筒、脱粒分离装置及联合收割机
JP6639993B2 (ja) コンバイン
JP2012231703A (ja) コンバインの扱胴
JP6995132B2 (ja) 扱胴
JP533611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CN201479625U (zh) 脱粒分离滚筒、脱粒分离装置及联合收割机
JP2020048474A (ja) コンバイン
KR101604644B1 (ko) 콤바인의 탈곡 장치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179974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535594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KR20210058751A (ko) 콤바인
JP5355944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JP6335514B2 (ja) 脱穀装置
JP2004261118A (ja) コンバイン
JP6215145B2 (ja) コンバイン
JP2010011780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部
KR102275501B1 (ko) 탈곡장치의 급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그리고 콤바인 탈곡장치의 급치 조립 방법
JP2005110672A (ja) 汎用形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8136399A (ja) 脱穀装置
JP7527951B2 (ja) 脱穀装置
JP2014014306A (ja) 脱穀装置
JP200731906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