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000B1 -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000B1
KR101317000B1 KR1020110014586A KR20110014586A KR101317000B1 KR 101317000 B1 KR101317000 B1 KR 101317000B1 KR 1020110014586 A KR1020110014586 A KR 1020110014586A KR 20110014586 A KR20110014586 A KR 20110014586A KR 101317000 B1 KR101317000 B1 KR 10131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ion
water
self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332A (ko
Inventor
요지 모리
야스이치 하가
유지 이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Publication of KR2011010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멀젼화하는 일 없이 유수분리장치 내에 혼합액을 도입할 수 있어, 물과 기름의 분리 능력이 높은 자흡식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혼합액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부가 혼합액을 사이클론 분리에 의해 조분리하는 조분리부와, 조분리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조분리된 혼합액을 비중차에 의해 본분리하는 본분리부와, 본분리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와, 물과 분리하여 본분리부 상부에서 오버플로우하는 기름을 저류하는 저유조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분리 장치부 내에 혼합액을 도입하는 펌프 장치부가 분리 장치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배수부에 접속됨으로써 혼합액을 분리 장치부의 외부로부터 조분리부·본분리부·배수부를 통하여 흡인하는 자흡식 액체펌프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조분리부 상부와 본분리부 위쪽부와 배수부 상부가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어,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를 자흡식 액체펌프에 의해 흡인하여 배출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흡식 유수분리장치{OIL-WATER SEPARATOR WITH SELF-PRIMING PUMP}
본 발명은 자흡식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 식품공장 등에서의 스컴(scum),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의 냉각유(coolant oil), 도금의 탈지(脫脂)공정에서의 부상유(浮上油) 등을 회수한 후의 회수유(回收油 )의 유수(油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공장폐수의 기름 성분은 여러 가지의 잡다한 상태로 유입해 오는 것이 보통이며, 매일 행하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또, 계절과 기온이나, 수온, 폐수 혼합 잡물 등과 전혀 통일되지 않는 것이 기름 성분, 이물질 혼입의 폐수의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폐수를 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함에 있어서는, 소비전력 등의 비용과 큰 설비가 필요한 것임과 동시에, 대량의 약품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염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과 기름을 먼저 사이클론(cyclon)부에 의해 조분리(粗分離)한 후, 비중차분리조(比重差分離槽)에서 물과 기름을 본분리(本分離)하고, 이 본분리로 분리할 수 없었던 물과 기름을 나선형상으로 브러시(brush)가 설치된 하부분리조(下部分離槽)로 분리함으로써, 약품을 전혀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고 컴팩트(compact)한 설비에 의해 물과 기름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액의 분리를 환경오염의 염려도 없이 용이하고 신속히 행할 수 있는 유수분리장치를 먼저 제안하였다(특허문헌1 및 2를 참조).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2001-104705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개 2001-321605호 공보
본 발명자는 먼저 제안한 기술에 대하여 더 연구를 계속한 결과, 물과 기름 혼합액을 유수분리장치에 펌프 등의 송액(送液)수단에 의해 도입할 때에 물과 기름이 펌프 내에서 에멀젼(emulsion)화하기 쉽고, 에멀젼화한 혼합액이 유수분리장치에 도입되었을 경우, 물과 기름의 분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밝혀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혼합액 중의 물과 기름이 에멀젼화하는 일 없이 유수분리장치 내에 혼합액을 도입할 수 있어, 물과 기름의 분리 능력이 높은 자흡식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물에 기름이 혼입되어 있는 혼합액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부와, 그 분리 장치부 내에 상기 혼합액을 도입하는 펌프 장치부를 갖는 구성의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부가 상기 혼합액을 사이클론통(筒) 내에 도입하여 선회류(旋回流)를 생기게 하는 사이클론 분리에 의해 물과 기름을 조분리하는 조분리부와,
그 조분리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조분리부에서 조분리된 혼합액을 복수 단(段)형상으로 통액로(通液路)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기름과 물을 본분리하는 본분리부와,
그 본분리부의 복수 단형상 통액로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본분리부에서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을 상기 복수 단형상 통액로의 하부로부터 분리 장치부의 상부까지 뻗는 배수로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배수부와,
상기 본분리부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분리부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기름을 저류(貯留)하는 저유조(貯油槽)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 장치부가,
상기 분리 장치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배수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혼합액을 상기 분리 장치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분리부·상기 본분리부·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상기 분리 장치부 내에 도입하는 자흡식 액체펌프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를, 일단이 상기 조분리부의 사이클론통보다 상부위치에 접속되어, 타단이 본분리부의 최상단부인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위치의 본분리 장치의 본체에 접속된 연통관(連通管)에 의해 연통 접속함과 아울러, 그 본분리 장치의 본체의 상부로서 상기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부분과, 그 위쪽부분과 인접하는 배수부의 액면(液面)보다 상부를 연통구멍에 의해 연통 접속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조분리부의 액면보다 위쪽과, 상기 본분리부의 액면위치인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과, 상기 배수부의 액면보다 위쪽을 이 순서대로 통기(通氣) 가능하게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를 자흡식 펌프에 의해 흡인하여 배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2. 상기 본분리부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분리부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기름을 상기 저유조에 접속한 통유관(通油管)을 통하여 도입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3. 상기 저유조가 상기 통유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유관의 착탈 시에 상기 분리 장치부 내의 부압(負壓)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상기 통유관에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4. 상기 복수 단형상 통액로가 원추모양의 우산형상부재를 복수 단(段)으로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경사면의 일부에, 각 단을 통액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액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정점(頂点)부분에, 각 우산형상부재의 아래쪽에서 물로부터 분리한 기름을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으로 부상시키는 부상 분리로관(分離路管)이 접속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5.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통액구멍의 통액방향 하류측의 상부에 통액의 흐름에 저항하는 방해판이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6.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7.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청구항 1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혼합액 중의 물과 기름이 에멀젼화하는 일 없이 유수분리장치 내에 혼합액을 도입할 수 있어, 물과 기름의 분리 능력이 높은 자흡식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유수분리장치 내에의 혼합액의 도입을 그 유수분리장치의 분리 장치부의 하류측에 설치한 자흡식 펌프에 의해 흡인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혼합액의 물과 기름이 에멀젼화하는 일 없이 유수분리장치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상류측에 설치한 송액펌프에 의한 송액에서는 물과 기름이 혼합한 상태일 때에 송액펌프 내에 흡인되어 송액됨으로써 그 송액펌프 내에서 혼합액이 교반상태가 되어 물과 기름이 교반 혼합되어서 에멀젼화하여 버렸지만, 청구항 1에 나타내는 발명에서는 펌프는 하류측에 설치한 자흡식 펌프이기 때문에, 그 자흡식 펌프 내에 도입되기 전에 유수분리장치 내에 도입되어 물과 기름이 분리되고,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이 자흡식 펌프 내에 흡인 도입되므로 에멀젼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에멀젼화에 의한 분리 능력의 저하가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혼합액과 함께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는 조분리부·본분리부·배수부의 상부를 통하여 배기되므로, 분리 장치부 내(특히 조분리부의 사이클론통내)에서 혼합액을 현탁시켜 버리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유수분리효율이 저하되는 일 없이 극히 효율적이면서 신속하게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혼합액으로부터 분리된 기름을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저유조에 도입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분리 장치부 내의 부압상태를 유지한 채 저유조에 괸 기름을 폐기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복수 단형상 통액로의 각 우산형상부재의 통액구멍을 통하여 혼합액이 하부로 이동할 때에, 혼합액 중의 기름은 비중이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부상하고, 물은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어, 이 비중차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복수 단형상 통액로를 혼합액이 통과할 때에, 우산형상부재의 방해판에 상기 혼합액이 충돌함으로써 그 혼합액 중의 기름은 비중이 가벼운 것에서 분리하여 위쪽으로 부상하게 되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혼합액과 함께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가 조분리부·본분리부·배수부의 상부를 통과하여 효율적으로 배기된다. 1mm 미만에서는 배기 효율이 나쁘고, 10mm 초과에서는 조분리부의 사이클론 분리 효율이 저하된다.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에 나타내는 발명에 따르면, 혼합액과 함께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가 조분리부·본분리부·배수부의 상부를 통과하여 극히 효율적으로 배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절단 상태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복수 단형상 통액로를 구성하는 우산형상부재, 통액구멍 및 방해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좌측면도.
다음으로, 첨부한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E는 물과 기름의 혼합액, 기름, 물, 공기 등의 흐름을 가리키는 것이며, 화살표 A는 물에 기름이 혼입되어 있는 혼합액(혼합액과 함께 들어가는 공기도 포함함)의 흐름, 화살표 B는 물과 기름이 조분리된 혼합액의 흐름, 화살표 C는 물의 흐름, 화살표 D는 기름의 흐름, 화살표 E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유수분리장치(이하, 간단히 장치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1)는 물에 기름이 혼입되어 있는 혼합액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부(2)와, 그 분리 장치부(2) 내에 상기 혼합액을 도입하는 펌프 장치부(3)를 주된 구성으로 한다.
분리 장치부(2)는 상기 혼합액을 장치(1)의 외부로부터 배관(41)을 통하여 사이클론통(42) 내에 접선방향으로 도입하여 선회류를 생기게 하고, 이 선회류에 의한 사이클론 분리에 의해 물과 기름을 조분리하는 조분리부(4)와, 그 조분리부(4)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조분리부(4)에서 조분리된 혼합액을 복수 단형상으로 형성된 통액로(51)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기름과 물을 본분리하는 본분리부(5)와, 그 본분리부(5)의 복수 단형상 통액로(51)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본분리부(5)에서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을 상기 복수 단형상 통액로(51)의 하부로부터 분리 장치부(2)의 상부까지 뻗는 배수로(61)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배수부(6)와, 상기 본분리부(5)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분리부(5)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기름을 저류하는 저유조(7)를 가져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펌프 장치부(3)는 상기 분리 장치부(2)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배수부(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본 실시예에서는 배수출구(63)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혼합액을 상기 분리 장치부(2)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분리부(4)·본분리부(5)·배수부(6)를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상기 분리 장치부(2) 내에 도입하는 액체펌프, 바람직하게는 자흡식 액체펌프(도시 생략)를 가져 이루어진다. 펌프 장치부(3)에 채용되는 자흡식 액체펌프로서는, 공지공용의 자흡식 구성의 액체펌프이면 좋고, 유수분리의 처리량에 따른 송액성능을 갖는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펌프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자흡식 액체펌프를 갖는 펌프 장치부(3)를 분리 장치부(2)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자흡식 유수분리장치(1)(의 분리 장치부(2) 내)에의 혼합액의 도입을 펌프에 의한 상류측으로부터의 이송은 아니며, 자흡식 액체펌프에 의한 하류측의 흡인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혼합액의 물과 기름이 에멀젼화하는 일 없이 자흡식 유수분리장치(1)(의 분리 장치부(2) 내)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류측에 설치한 송액펌프에 의한 송액에서는 물과 기름이 혼합한 상태일 때에 송액펌프 내에 흡인되어 송액됨으로써 그 송액펌프 내에서 혼합액이 교반상태가 되어 물과 기름이 교반 혼합되어서 에멀젼화하여 버렸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펌프는 하류측에 설치한 자흡식 펌프이기 때문에, 그 자흡식 펌프 내에 도입되기 전에 유수분리장치(1)(의 분리 장치부(2) 내)에 도입되어 물과 기름이 분리되어,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만이 자흡식 펌프 내에 흡인 도입되므로 에멀젼화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에멀젼화에 의한 분리 능력의 저하가 생기는 일은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분리부(4)의 위쪽부와 상기 본분리부(4)의 상부와 상기 배수부(6)의 상부는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어, 혼합액과 함께 분리 장치부(2) 내에 들어간 공기를 펌프 장치부(3)의 자흡식 액체펌프에 의해 흡인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는 구성으로서는, 조분리부(4)의 위쪽부와 본분리부(5)의 상부는 연통관(43)을 통하여 연통되고, 본분리부(5)의 상부와 배수부(6)의 상부는 양쪽 구성부의 격벽 부분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연통구멍(62)을 통하여 연통되는 구성이다. 연통관(43)의 내경과 연통구멍(62)의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5mm이다. 1mm 미만의 경우는 배기 효율이 나빠지고, 10mm 초과의 경우는 조분리부(4)의 사이클론 분리 효율이 저하된다.
연통관(43)과 연통구멍(62)에 의해, 혼합액과 함께 분리 장치부(2) 내에 들어간 공기는 조분리부(4)·본분리부(5)·배수부(6)의 상부를 통하여 배기되므로, 분리 장치부(2) 내(특히, 조분리부(4)의 사이클론통(42) 내)에서 혼합액을 현탁시켜 버리는 경우가 없어진다. 따라서, 유수분리효율이 저하되는 일 없이 극히 효율적이면서 신속하게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중에서, 부호 44는 청소 시나 물빼기 시에 분리 장치부(2)(특히, 조분리부(4)) 내의 부압을 해제하는 에어밸브부를 나타낸다.
이하, 각 구성부 및 유수분리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조분리부(4)에 도입된 혼합액은 비중의 차이에 의해 유입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비중이 무거운 물은 선회에 의해 사이클론통(42)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비중이 가벼운 기름은 선회에 의해 사이클론통(42)의 중심부에 모인다. 혼합액과 함께 들어간 공기는 위쪽으로 빠져, 연통관(43)으로부터 본분리부(5)의 상부를 지나가고, 연통구멍(62)을 통하여 배수부(6)의 상부로 이동한 후, 펌프 장치부(3)의 자흡식 액체펌프에 의해 흡인됨으로써 분리 장치부(2)로부터 배출된다.
조분리부(4)에 있어서 물과 기름이 조분리된 혼합액은, 다음으로 본분리부(5)로 이동하고, 비중이 가벼운 기름은 부상하고, 비중이 무거운 물은 복수 단형상 통액로(51)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 시점에서도 혼합액 중에 공기가 들어가고 있는 경우는, 그 공기는 혼합액 속에서 부상하여 본분리부(5)의 위쪽으로 빠져, 연통구멍(62)으로부터 배수부(6)의 상부로 이동한 후, 펌프 장치부(3)의 자흡식 액체펌프에 의해 흡인됨으로써 분리 장치부(2)로부터 배출된다.
본분리부(5)에서 물로부터 분리 부상한 기름은 그 본분리부(5)의 상부의 오버플로우부(52)로부터 오버플로우하고, 저유조(7)에 접속하는 통유관(71)을 통하여 상기 저유조(7)에 저류한다.
저유조(7)는 상기 통유관(7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유조(7)의 착탈 시에 상기 분리 장치부(2) 내의 부압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폐밸브(72)가 상기 통유관(71)의 경로 중에 설치되어 있다. 저유조(7)에 저류되는 기름이 임의의 양에 도달한 시점(예를 들면, 만배량(滿杯量)이 된 시점이나 임의의 분리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개폐밸브(72)를 닫아 통유관(71)이든지 그 저유조(7)를 분리함으로써 내부에 저류한 기름을 폐기 처리할 수 있다.
본분리부(5)의 복수 단형상 통액로(51)는 도 1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모양의 우산형상부재(53)를 복수 단으로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우산형상부재(53)의 경사면의 일부에, 각 단을 통액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액구멍(54)이 형성되고, 각각의 우산형상부재(53)의 정점부분에, 각 우산형상부재(53)의 아래쪽에서 물로부터 분리한 기름을 상기 본분리부(5)의 위쪽으로 부상시키는 부상분리로관(55, 56)이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복수 단형상 통액부(51)의 각 우산형상부재의 통액구멍을 통하여 혼합액이 하단으로 이동할 때에, 혼합액 중의 기름은 비중이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부상하고, 물은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어, 이 비중차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53)의 통액구멍(54)의 통액방향 하류측의 상부에는 통액의 흐름에 저항하는 방해판(57)이 설치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해판(57)을 설치함으로써, 복수 단형상 통액로(51)를 혼합액이 통과할 때에, 이 방해판(57)에 상기 혼합액이 충돌함으로써 그 혼합액 중의 기름은 비중이 가벼운 것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위쪽으로 부상하는 것으로 되어, 물과 기름을 분리하게 된다.
혼합액은 상기한 바와 같이 먼저 조분리부(4)에서 물과 기름이 조분리되고, 다음으로 본분리부(5)에 이송됨으로써 분리한 기름의 대부분이 부상하여 오버플로우부(52)로부터 오버플로우하여 통유관(71)을 통하여 저유조(7)에 보내진다. 본분리부(5)에 보내진 시점에서 아직 혼합액 중에 혼입되어 있는 기름은 그 본분리부(5)의 복수 단형상 통액로(51)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통과함으로써 서서히 분리함으로써 그 복수 단형상 통액로(51)의 최하부에 도달하기까지 대략 모든 기름이 물로부터 분리하여 부상하게 된다.
복수 단형상 통액로(51)의 각 단에서 분리한 기름은 우산형상부재(53)에 형성된 통액구멍(54)을 통하여 위쪽으로 부상하거나, 혹은 우산형상부재(53)의 하면을 타면서 그 우산형상부재(53)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여 그 우산형상부재(53)의 정점부분에 접속된 부상분리로관(55, 56)을 통하여 위쪽으로 부상하여, 오버플로우부(52)로부터 오버플로우하여 저유조(7)에 보내진다.
이상과 같이 조분리부(4)를 통하여 본분리부(5)를 통과함으로써 혼합액 중의 기름이 분리 제거된 나머지의 물은 배수부(6)의 배수로(61)를 통과한 후, 배수출구(63)로부터 펌프 장치부(3)를 통과한 후, 자흡식 유수분리장치(1)의 다음 공정으로 송수(送水)되거나,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한편, 분리 장치부(2) 내의 액면은,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부(6)의 상부에 설치한 액면조정부(8)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액면조정부(8)의 상하 이동 구성으로서는, 그 액면조정부(8)를 마그넷 커플링부(magnet coupling)(81)를 통하여 분리 장치부(2)의 상부에 장착한 조정핸들(82)을 회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1 :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2 : 분리 장치부
3 : 펌프 장치부
4 : 조분리부
41 : 배관
42 : 사이클론통
43 : 연통관
5 : 본분리부
51 : 복수 단형상 통액로
52 : 오버플로우부
53 : 우산형상부재
54 : 통액구멍
55 : 부상분리로관
56 : 부상분리로관
57 : 방해판
6 : 배수부
61 : 배수로
62 : 연통구멍
63 : 배수출구
7 : 저유조
71 : 통유관
72 : 개폐밸브
8 : 액면조정부
81 : 마그넷 커플링부
82 : 조정핸들

Claims (11)

  1. 물에 기름이 혼입되어 있는 혼합액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부와, 그 분리 장치부 내에 상기 혼합액을 도입하는 펌프 장치부를 갖는 구성의 유수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부가 상기 혼합액을 사이클론통(筒) 내에 도입하여 선회류(旋回流)를 생기게 하는 사이클론 분리에 의해 물과 기름을 조분리(粗分離)하는 조분리부와,
    그 조분리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조분리부에서 조분리된 혼합액을 복수 단(段)형상으로 통액로(通液路)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기름과 물을 본분리(本分離)하는 본분리부와,
    그 본분리부의 복수 단형상 통액로의 하부에 접속되어, 상기 본분리부에서 기름이 분리 제거된 물을 상기 복수 단형상 통액로의 하부로부터 분리 장치부의 상부까지 뻗는 배수로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배수부와,
    상기 본분리부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분리부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기름을 저류(貯留)하는 저유조(貯油槽)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 장치부가,
    상기 분리 장치부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배수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혼합액을 상기 분리 장치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분리부·상기 본분리부·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상기 분리 장치부 내에 도입하는 자흡식 액체펌프를 가져서 이루어지고,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를, 일단이 상기 조분리부의 사이클론통보다 상부위치에 접속되어, 타단이 본분리부의 최상단부인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위치의 본분리 장치의 본체에 접속된 연통관(連通管)에 의해 연통 접속함과 아울러, 그 본분리 장치의 본체의 상부로서 상기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부분과, 그 위쪽부분과 인접하는 배수부의 액면(液面)보다 상부를 연통구멍에 의해 연통 접속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조분리부의 액면보다 위쪽과, 상기 본분리부의 액면위치인 오버플로우부보다 위쪽과, 상기 배수부의 액면보다 위쪽을 이 순서대로 통기(通氣) 가능하게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분리 장치부 내에 들어간 공기를 자흡식 펌프에 의해 흡인하여 배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분리부에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분리부의 상부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기름을 상기 저유조에 접속한 통유관(通油管)을 통하여 도입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조가 상기 통유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유관의 착탈 시에 상기 분리 장치부 내의 부압(負壓)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상기 통유관에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형상 통액로가 원추모양의 우산형상부재를 복수 단(段)으로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경사면의 일부에, 각 단을 통액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액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정점(頂点)부분에, 각 우산형상부재의 아래쪽에서 물로부터 분리한 기름을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으로 부상시키는 부상 분리로관(分離路管)이 접속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우산형상부재의 통액구멍의 통액방향 하류측의 상부에 통액의 흐름에 저항하는 방해판이 설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부의 상부와 상기 본분리부의 위쪽부와 상기 배수부의 상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구멍의 지름이 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KR1020110014586A 2010-03-18 2011-02-18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KR101317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1924A JP4621803B1 (ja) 2010-03-18 2010-03-18 自吸式油水分離装置
JPJP-P-2010-061924 2010-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32A KR20110105332A (ko) 2011-09-26
KR101317000B1 true KR101317000B1 (ko) 2013-10-11

Family

ID=4359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586A KR101317000B1 (ko) 2010-03-18 2011-02-18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57588B2 (ko)
EP (1) EP2366440B1 (ko)
JP (1) JP4621803B1 (ko)
KR (1) KR101317000B1 (ko)
CN (1) CN102151420B (ko)
TW (1) TWI542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1802B1 (ja) * 2010-02-09 2011-01-26 株式会社ワールドケミカル 自吸式固液分離装置
CN103239892A (zh) * 2012-02-10 2013-08-14 长江(扬中)电脱盐设备有限公司 一种分离净化油收集导出装置
CN103372329A (zh) * 2012-04-28 2013-10-30 科赛尔股份公司 分离装置
CN103100238B (zh) * 2012-12-26 2015-08-12 吴义铭 清洗油水分离装置
FR3005650A1 (fr) * 2013-05-14 2014-11-21 Sarl Dev Durable Separateur de graisses sans eau pour bac separateur a graisses sous plonge
US9199251B1 (en) 2013-11-26 2015-12-01 Kbk Industries, Llc Desanding, flow splitting, degassing vessel
US9765265B2 (en) * 2014-04-28 2017-09-19 Kbk Industries, Llc Separation vessel with enhanced particulate removal
US9744478B1 (en) 2014-07-22 2017-08-29 Kbk Industries, Llc Hydrodynamic water-oil separation breakthrough
US9884774B1 (en) 2015-02-04 2018-02-06 Kbk Industries, Llc Highly retentive automatically skimmable tank
US9758389B2 (en) 2015-03-23 2017-09-12 Eco Squared Solutions, Inc System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fluids
JP6529122B2 (ja) * 2015-07-16 2019-06-12 木村電工株式会社 油水分離システム
CN105130038B (zh) * 2015-09-21 2017-10-10 厦门江天智能仿生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化油水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CN105903229A (zh) * 2016-05-10 2016-08-31 广新海事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重力式隔油器
CN106178605B (zh) * 2016-08-31 2018-04-20 吉林省万新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专用螺旋式油水分离装置
CN106698553A (zh) * 2017-02-24 2017-05-24 湖北君集水处理有限公司 一种u型管出水结构的旋流分离器
CN107140758A (zh) * 2017-06-16 2017-09-08 宁波泽清环保科技有限公司 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107265564A (zh) * 2017-06-23 2017-10-20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碱液净化预处理装置
CN107413074A (zh) * 2017-08-04 2017-12-01 怡然科技(深圳)有限公司 油水分离结构
CN108798620A (zh) * 2018-08-14 2018-11-13 北京瑞莱博石油技术有限公司 一种油水两相驱替分离计量装置
US11173424B2 (en) 2019-03-08 2021-11-16 Kbk Industries, Llc Sand removal tank
CN110422816A (zh) * 2019-07-24 2019-11-08 山东裕泰石油装备有限公司 一种油水分离橇装式加油站
US10981088B2 (en) 2019-09-24 2021-04-20 Kbk Industries, Llc Sand collection and concentration tank
US11458418B2 (en) 2020-01-09 2022-10-04 Kbk Industries, Llc Separation tank for sand, oil and water
CN213132256U (zh) * 2020-08-13 2021-05-07 苏州敬天爱人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过滤废渣的油水分离装置
CN113072130B (zh) * 2021-04-28 2024-04-26 新乡市万和过滤技术股份公司 舱底油水分离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0792A (en) 1990-08-03 1992-01-14 Amo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luids
JP2001321605A (ja) 2000-05-12 2001-11-20 World Chemical Co Ltd 油水分離装置
JP2003225660A (ja) 2002-02-07 2003-08-12 Big Alpha Co Ltd 浮上物体回収装置
KR100393376B1 (ko) 1994-07-29 2003-11-07 인터내셔날 플루이드 세퍼레이션 피티와이. 엘티디. 분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705U (ja) * 1984-06-12 1986-01-13 三菱樹脂株式会社 油水分離器
JPH062775B2 (ja) 1984-06-20 1994-01-12 日本石油株式会社 オレフインの気相重合方法
JPH08252404A (ja) * 1995-03-17 1996-10-01 Ebara Corp 油水分離装置
AUPP924799A0 (en) * 1999-03-17 1999-04-15 Geo2 Limited Improved separator and process
JP2001104705A (ja) * 1999-10-06 2001-04-17 World Chemical:Kk 油水分離装置
NO315028B1 (no) 2000-05-04 2003-06-30 Aibel As Fremgangsmate og et system for separering av en blanding
CN1136939C (zh) * 2001-08-10 2004-02-04 耿红军 研磨式原油油水分离器
JP2008264745A (ja) 2007-04-25 2008-11-06 Okano Kiko Kk 油水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0792A (en) 1990-08-03 1992-01-14 Amo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luids
KR100393376B1 (ko) 1994-07-29 2003-11-07 인터내셔날 플루이드 세퍼레이션 피티와이. 엘티디. 분리장치 및 방법
JP2001321605A (ja) 2000-05-12 2001-11-20 World Chemical Co Ltd 油水分離装置
JP2003225660A (ja) 2002-02-07 2003-08-12 Big Alpha Co Ltd 浮上物体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6440B1 (en) 2012-08-22
EP2366440A1 (en) 2011-09-21
CN102151420B (zh) 2013-08-28
JP2011194294A (ja) 2011-10-06
KR20110105332A (ko) 2011-09-26
CN102151420A (zh) 2011-08-17
JP4621803B1 (ja) 2011-01-26
TW201132397A (en) 2011-10-01
TWI542398B (zh) 2016-07-21
US8257588B2 (en) 2012-09-04
US20110226692A1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000B1 (ko) 자흡식 유수분리장치
KR100919367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RU2716120C2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полученной из нефтяной скважины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сепа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0131516A (ja) 油水分離装置
JP2014533194A (ja) 界面エマルジョン、水及び固体を処理する装置
CN108947115A (zh) 服务业污水处置成套系统
JP2014014810A (ja) 浮上油分離回収装置
US20130134087A1 (en)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999760U (zh) 两级气浮除油器
WO2010104054A1 (ja) 膜型メタン発酵処理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処理方法
CN105858813A (zh) 一种乳化油自动化处理系统及其处理工艺
WO2013042197A1 (ja) 排煙脱硫設備における廃水処理設備
US10183877B2 (en) Sewage treatment chlorinator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KR20030059010A (ko) 침사분리기
JP2011045836A (ja) 油水分離システム
CN207713601U (zh) 一种集成式污水处理设备
JP3092013B2 (ja) 油水分離装置
RU2620974C1 (ru) Биореактор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6333097B2 (ja) 流路洗浄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洗浄設備
CN114620802A (zh) 含油污水处理装置及方法
KR20160048500A (ko) 역세척 폐수의 배수를 위한 다공 배수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존공기부상형 수처리장치
CN207391052U (zh) 一种泡沫分离装置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