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476B1 -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476B1
KR101312476B1 KR1020127034061A KR20127034061A KR101312476B1 KR 101312476 B1 KR101312476 B1 KR 101312476B1 KR 1020127034061 A KR1020127034061 A KR 1020127034061A KR 20127034061 A KR20127034061 A KR 20127034061A KR 101312476 B1 KR101312476 B1 KR 10131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arboxylic acid
seal
unsaturated carboxylic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955A (ko
Inventor
시게노리 나카노
가오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1)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5∼6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2)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10∼30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3)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RESIN COMPOSITION, HEAT-SEALABLE FILM, AND LAMINATED FILM}
본 발명은, 히트 시일에 적합한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튜브상 또는 플랫 필름상의 포장 재료를 히트 시일로 밀봉(록 시일)하여, 내용물을 보존 중 및 운반 중 등에 내포하여 보호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록 시일 시의 시일 강도의 향상에 대해서는, 포장 재료, 포장 기계, 혹은 포장 조건 등의 면에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포장 재료에 사용하는 폴리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가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아이오노머(ionomer)는, 열간 시일성, 저온 시일성, 내유성(耐油性) 등에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어느 정도 강한 록 시일성을 가지고 내용물을 보호하면서, 내용물을 포장 재료 속에서 꺼내고 싶을 때에는, 시일부를 힘을 가하여 벗김으로써 개봉 가능하게 히트 시일(필러블 시일)하는 방법도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산(酸) 아이오노머 80∼93중량% 및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 7∼20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평1-49382호 공보 참조). 이 폴리머 재료를 사용한 포장 재료는, 온도에 의해 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필름이나 적층물을 형성하여 포장기로 충전 포장하는 경우, 백킹이나 바닥부를 높은 온도 조건에서 록 시일하고, 천정부 측을 낮은 온도 조건에서 필러블 시일함으로써, 하나의 포장 재료를 사용하여 록 시일부와 필러블 시일부를 겸비한 포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에 사용하는 폴리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층과 같은 기재(基材)층과 아이오노머층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한 적층 포장재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적층 포장재의 경우에는,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에서, 저온 시일 조건에서는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정도의 시일 강도를 나타내고, 고온 시일 조건에서는 록 시일에 적합한 높은 시일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 포장 재료에서는, 실용상으로는 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포장 재료에는, 특히, 필러블 시일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온도 영역, 즉 필러블 시일부의 시일 강도가 온도에 의존하여 크게 변화되지 않는 온도 영역(플래토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일 형태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의 금속염 60∼95중량부와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4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조성물의 시일층을 형성한 포장용 적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평5-11549호 공보 참조). 이 포장용 적층 필름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낮고 또한 일정한 시일 강도를 나타냄(즉 플래토 영역이 발현됨)과 함께, 고온 시일 조건 하에서 높은 시일 강도를 나타낸다고 되어 있다.
또, 에틸렌 및 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에 더하여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5∼25중량% 가지는 아이오노머와 프로필렌코폴리머의 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평1-49382호 공보 참조).
나아가서는, 록 시일 시의 고온 영역에서 높은 시일 강도가 얻어짐(예를 들면, 180℃ 이상에서 20N/15㎜ 이상)과 함께, 필러블 시일 시에는 종래 이상의 높은 시일 강도가 광범위한 온도 영역에 있어서 온도 의존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얻어지는(즉, 플래토 영역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이라고 하여, (A)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질량이, 상기 (A) 아이오노머의 전체 질량의 1∼4.5질량%인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09/145235호 팸플릿 참조).
또, 비교적 낮은 시일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정전기 축적이 적은, 록 시일 성능과 필러블 시일 성능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표 제2008-500450호 공보 참조).
그런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할 때, 통상, T다이 압출기나 인플레이션 압출기 등의 가공 기계로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이때, 압출된 필름이 가공 기계로부터 흘러나오는 방향을 머신 디렉션(Machine Direction;MD)이라고 하고, MD와 직행하는 방향을 트랜스버스 디렉션(Transverse Direction;TD)이라고 한다.
상기 종래의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얻어진 필름을 히트 시일하면, 상기 MD 및 상기 TD와 시일 방향 또는 박리 방향의 관계에 따라서는, 히트 시일로부터 12시간 경과 전후까지는 목적으로 하는 필러블 시일 강도가 발현되지 않고, 히트 시일로부터 수일(즉 1∼3일) 경과 후에 비로소 목적으로 하는 필러블 시일 강도가 발현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황 하에서, 히트 시일한 직후부터 안정적인 필러블 시일 강도와 록 시일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1)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0.5∼6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2)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10∼30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3)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
<2>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인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0.5질량%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총량을 100질량%라고 하였을 때,
상기 (1) 성분의 함유량이 30∼60질량%이고,
상기 (2) 성분의 함유량이 30∼60질량%이며,
상기 (3) 성분의 함유량이 5∼15질량%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1) 성분 및 상기 (2) 성분이,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6> 상기 (3)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5∼20g/10분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7>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8> 인플레이션법에 의한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9>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히트 시일 필름.
<10>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9>에 기재된 히트 시일 필름.
<11> 기재 필름 위에, <9> 또는 <10>에 기재된 히트 시일 필름을 가지는 적층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 시일한 직후부터 안정적인 필러블 시일 강도와 록 시일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 시일 바 영역 A, 시일 바 영역 B, 박리 방향 MD, 및 박리 방향 TD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經時)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2(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3(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1)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0.5∼6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간단히 「(1) 성분」이라고도 한다)과, (2)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10∼30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간단히 「(2) 성분」이라고도 한다)과, (3)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간단히 「(3) 성분」이라고도 한다)을 함유하고,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0.5∼6g/10분인 것을 「저(低)MFR」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1) 성분을 「저MFR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10∼30g/10분인 것을 「고(高)MFR」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2) 성분을 「고MFR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트랜스버스 디렉션(TD)과 평행한 방향으로 박리하는 경우의 박리 방향을 「박리 방향 TD」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머신 디렉션(MD)과 평행한 방향으로 박리하는 경우의 박리 방향을 「박리 방향 M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10N/15㎜)를 「필러블 시일 강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록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20N/15㎜ 이상)를 「록 시일 강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필러블 시일 강도가 얻어지는 시일 온도 영역으로서, 플래토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시일 온도 영역을, 「필러블 영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1)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저온 시일 조건(예를 들면, 160℃ 이하. 이하 동일.)에 있어서,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어느 정도 낮은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10N/15㎜ 이하)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2)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고온 시일 조건(예를 들면, 180℃ 이상. 이하 동일.)에 있어서 록 시일에 적합한 높은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20N/15㎜ 이상)가 얻어짐과 함께,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도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어느 정도 높은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N/15㎜ 이상)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1) 성분 및 상기 (2)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10N/15㎜)가 얻어짐과 함께, 고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록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20N/15㎜ 이상)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3)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필러블 영역(플래토 영역)의 온도 폭이 확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에 의해,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특히 박리 방향 TD에 대한 시일 강도에 있어서,) 히트 시일 직후부터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10N/15㎜)가 얻어진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히트 시일 직후부터 안정적인 록 앤드 필 성능(록 시일 성능 및 필러블 시일 성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박리 방향 TD에 대한 시일 강도와 박리 방향 MD에 대한 시일 강도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포장 재료의 방향성과 상관없이, 다양한 시일 형태나 다양한 시일 포장 기계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러블 영역(플래토 영역)의 온도 폭을 넓힐 수 있다. 즉,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시일 강도의 시일 온도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필러블 시일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당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전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가,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적극적으로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원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의 소량이면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란,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질량%를 넘으면,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히트 시일 직후에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예를 들면, 저온 시일 조건에 있어서, 히트 시일 직후의 시일 강도가 너무 높아질)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2질량%를 넘으면, 필름을 권취한 후의 밀착 감김(tight winding after being taken-up)의 발생, 필름끼리의 블로킹의 발생, 튜브상 필름(tublar film)을 형성했을 때의 개구성(mouth-opening property)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도 생긴다. 밀착 감김, 블로킹은, 포장체를 제조하는 컨버터에서의 2차 가공성(최종 포장체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킴과 함께, 불량품 발생률이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개구성의 저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성형할 때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여기서,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이소부틸이나 n-부틸 등의 탄소수 4 이상의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1.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1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0.5질량% 이하가 더더욱 바람직하며, 0.1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0질량%(즉,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상기 (1) 성분 및 상기 (2) 성분의 적어도 일방에,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1) 성분과 상기 (2)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이하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조합 (A) … 상기 (1) 성분으로서의 저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와, 상기 (2) 성분으로서의 고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조합
조합 (B) … 상기 (1) 성분으로서의 저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와, 상기 (2) 성분으로서의 고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조합
조합 (C) … 상기 (1) 성분으로서의 저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와, 상기 (2) 성분으로서의 고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조합
조합 (D) … 상기 (1) 성분으로서의 저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와, 상기 (2) 성분으로서의 고MFR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조합
상기의 조합 중, 필름의 밀착 감김이 발생하기 어려운 관점에서는, 조합 (A), 조합 (C) 및 조합 (D)가 바람직하고, 조합 (A)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성분으로서는, 상기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5∼6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상기 (1)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지는 관점에서, 0.5∼5g/10분이 바람직하고, 0.5∼4g/10분이 더욱 바람직하며, 0.5∼3g/10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1) 성분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지는 관점에서,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즉,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때], 3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5∼5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 성분으로서는, 상기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10∼3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상기 (2)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지는 관점에서, 10∼25g/10분이 바람직하고, 11∼20g/10분이 더욱 바람직하며, 11∼15g/10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2)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10g/10분 이상인 것에 의해, 저온 시일 온도에서 필러블 영역이 얻어진다.
상기 (2)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30g/10분 이하인 것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 안정적인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으로 필름을 성형할 때, 상기 서술한 필름의 블로킹의 발생, 상기 서술한 튜브상 필름을 형성했을 때의 개구성의 저하, 및 상기 서술한 2차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안정적인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2) 성분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즉,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때], 3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α,β-불포화 카르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적어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에는, 필요에 따라, 불포화 카르본산 이외의 모노머가 공중합되어도 된다.
상기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저온 시일된 필러블 시일부의 시일 강도를 종래 이상으로 높이고, 그 시일 강도를 넓은 온도 영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는 점에서, 에틸렌과 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2원 랜덤 공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 무수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무수 말레산 모노메틸, 무수 말레산 모노에틸 등) 등의 탄소수 4∼8의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하프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되어도 되는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 이외의 모노머」로서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과 탄소수 1∼8의 알킬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노르말부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노르말부틸 등이 있다. 그 외에, 일산화탄소,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도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다.
당연하지만, 이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 공중합되어도 된다.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중합 비율(질량비)은, 1∼25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20질량%이다. α,β-불포화 카르본산의 공중합비가 1질량% 이상이면, 저온 시일성의 점에서 더욱 유리하다.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당해 베이스 폴리머에 포함되는 카르본산기가 금속 이온에 의해 가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한 형태도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금속 이온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등의 1가 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 아연 등의 2가 금속 이온, 알루미늄, 철 등의 3가 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일부의 시일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나트륨, 아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의 중화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의 중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0∼40%이다. 중화도는, 10% 이상이면 히트 시일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40% 이하이면 성형 시의 유동성의 점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중화도는, 상기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베이스 폴리머) 중에 포함되는 전체 카르본산기 중,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되어 있는 카르본산기의 비율(%)을 가리킨다.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또는 그 아이오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혹은 이들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이오노머를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사제의 상품명 하이밀란(Himilan) 시리즈, 상품명 뉴크렐(Nucrel) 시리즈, 미국 듀폰사제의 상품명 서린(Surlyn)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공중합되어도 되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이외의 모노머도 포함하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로서는, 미국 듀폰사제의 상품명 엘바로이(Elvaloy) 시리즈, 바이넬(Bynel)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상기 (3)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3) 성분으로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폴리프로필렌」이라고도 한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필러블 시일에 적합한 시일 강도가 얻어지는 저온 시일 조건의 온도 폭이 확대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상기 (3)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결정성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상기 (3)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의 랜덤, 블록, 교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름 성형성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있는 랜덤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상기 (3)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하중 2160g, JIS K7210)는, 0.5∼100g/10분이 바람직하고, 5∼20g/10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3) 성분의 함유량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즉,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라고 하였을 때], 5∼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에 더해, 추가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 활제, 방운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다른 폴리올레핀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이것에 의해 필러블 시일성과 록 시일성의 밸런스를 조정해도 된다. 상기 다른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 등)의 양을 많게 하여 결정성을 저하시키거나 실질 결정성을 나타내지 않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부텐, 및 기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폴리머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프로필렌과 공중합하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에틸렌, 부텐, 헥센, 옥텐 등)의 양을 많게 하여 결정성을 저하시키거나 실질 결정성을 나타내지 않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조제는, 이미 서술한 각 성분을 동시에 또는 차례로 드라이 블렌드 또는 멜트 블렌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드라이 블렌드에 의하는 경우에는, 성형기 중에서 각 성분이 용융 가소화되어 균일하게 용융 혼합되고, 멜트 블렌드에 의하는 경우에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반바리 믹서 등의 각종 믹서, 롤, 각종 니더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합된다. 혼합성의 점에서는, 멜트 블렌드가 바람직하다. 혼합 순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스티렌,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종이, 알루미늄박, 금속 증착 필름 등의 각종 기재에 시일재로서 부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상에는, 접착제를 통하여 부여해도 되고, 기재 표면에 직접 부여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혹은 2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해 사슬 신장을 실시한 폴리에스테르우레탄폴리올의 어떤 단체(單體) 또는 그 혼합물에 가교제를 배합하여 얻어지는 접착제 조성물 등의 공지된 앵커 코트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시일재로서 사용할 때에는, 필름상 또는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상이나 시트상의 성형체는, 전형적으로는, 인플레이션법, 캐스팅법(플랫 다이법이나 T 다이법이라고도 불린다), 압출, 공압출, 적층 등에 의해 성형된다. 또, 이러한 성형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배향(1축 배향 또는 2축 배향)이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이나 플랫 다이법 등에 의해 압출 성형함으로써, 필름(히트 시일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단독으로 압출하여 단층 필름을 얻어도 되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그 밖의 수지 조성물(접착제층용의 수지 조성물 등)과 함께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을 얻어도 된다.
상기 인플레이션법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고리형의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하고, 얻어지는 고리형의 필름을 기류에 의해 팽창시켜, 인플레이션 필름(인플레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플랫 다이법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플랫 다이(T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하고, 얻어지는 필름을, 순환하는 유체가 내부에 들어 있는 1개의 금속 롤(칠 롤) 또는 수욕(水浴)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캐스트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인플레이션법 또는 상기 플랫 다이법에서는, 필름의 즉시 급랭 또는 캐스팅의 후에 필름을 추가로 배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부여하는 방법을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방법은 조합시켜서 적용해도 된다.
(1) 열융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미리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체를 기재 상에 접착제를 통하여 얹어 열압착하는 방법이다. 혹은, 기재 또는 성형체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공압출법, 압출 피복법 등에 의해 미리 접착제를 적층한 후에, 기재와 성형체를 열압착하는 방법이다.
(2)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미리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체와 기재를 T-다이법 등에 의해 성형한 접착제의 용융막을 개재하여 맞붙이는 방법이다.
(3) 공압출법
기재 수지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혹은 기재 수지와 접착제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이다.
(4) 접착제를 사용한 압착·접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미리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체 또는 기재의 일방 또는 쌍방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 접착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부여하는 기재의 표면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미리 실시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주지(主旨)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조제>
표 1의 「실시예 1」란에 나타내는 조성의 각 성분을, 단축 압출기(65㎜φ)에 의해, 수지 온도 200℃, 스크루 회전수 30rpm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아이오노머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88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12질량%]의 아연 아이오노머〔중화도 36%, MFR(190℃, 2160g 하중) 1.5g/10분〕
·EMAA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88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12질량%, MFR(190℃, 2160g 하중) 13.5g/10분〕
·EMAA2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81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11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 8질량%, MFR(190℃, 2160g 하중) 10.0g/10분〕
·EMAA3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80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10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 10질량%, MFR(190℃, 2160g 하중) 36.0g/10분〕
·EMAA4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91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9질량%, MFR(190℃, 2160g 하중) 1.5g/10분〕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MFR(230℃, 2160g 하중) 8.0g/10분, 밀도 910kg/㎥, 프라임 폴리머(주)제 프라임 폴리프로 F219DA〕
<평가>
(인플레이션 필름의 제조)
하기의 시일층용의 재료, 하기 중간층용의 재료, 및 하기 기재 접착층용의 재료를, 45㎜φ 3종 3층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투입하고, 수지 온도 180℃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한 후, 압출 성형에 의해, 시일층/중간층/기재 접착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총 두께가 50㎛(각 층의 두께 비율은, 1/1/1)인 인플레이션 필름[이하, 인플레 필름(50)이라고 약기한다.]을 성형하였다.
-시일층용의 재료-
상기 「수지 조성물의 조제」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이다.
-중간층용의 재료-
하기의 EMAA5이다.
·EMAA5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95질량%, 메타크릴산 함량 5질량%, MFR(190℃, 2160g 하중) 1.5g/10분〕
-기재 접착층용의 재료-
하기의 LDPE1이다.
·LDPE1 :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FR(190℃, 2160g 하중) 1.6g/10분, 밀도 920kg/㎥〕
(적층 필름의 제조)
계속하여, 12㎛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12)〕/15㎛ 두께의 폴리에틸렌〔PE(15)〕의 적층 기재를 준비하고, 그 PE(15) 상에 상기 인플레 필름(50)을 다른 PE(15)(이하, 「PE(15) 샌드」라고도 한다)를 개재하여 얹고, 65㎜φ 라미네이터(온도 315℃)로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함으로써, PET(12)/PE(15)/PE(15) 샌드/인플레 필름(50)의 구성[여기서, 인플레 필름(50)은, 기재 접착층 측에서 PE(15) 샌드와 접하고 있다]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히트 시일)
얻어진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인플레 필름(50)의 시일층 면끼리 겹치고, 바 실러 타입(편면 가열)의 히트 실러를 사용해, 실압 0.2MPa, 시일 시간 0.5초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을 행하였다.
이 히트 시일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흐름 방향(MD)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의 시일 바 영역 A[시일 강도(박리 방향 TD)의 측정용]와, 필름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TD)의 시일 바 영역 B[시일 강도(박리 방향 MD)의 측정용]와, 각각을 설치하였다.
여기서, 「필름의 흐름 방향」이란, 45㎜φ 3종 3층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인플레 필름(50)을 성형할 때에, 인플레 필름(50)이 흘러나오는 방향을 가리킨다.
[시일 강도(박리 방향 MD)의 경시 변화의 측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바 영역 B를, 박리 방향 MD로 박리하고(도 1 참조), 박리 시의 박리 강도를 시일 강도로서 측정하였다.
상기 시일 강도의 측정을, 시일 직후, 시일로부터 1일 후, 시일로부터 3일 후, 시일로부터 7일 후에 각각 행하여, 시일 강도(박리 방향 MD)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일 직후」란, 히트 시일로부터 5시간 이내에 시일 강도를 측정한 것을 가리킨다(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이들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일 강도(박리 방향 TD)의 경시 변화의 측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바 영역 A를, 박리 방향 TD로 박리하고(도 1 참조), 박리 시의 박리 강도를 시일 강도로서 측정하였다.
상기 시일 강도의 측정을, 시일 직후, 시일로부터 1일 후, 시일로부터 3일 후, 시일로부터 7일 후에 각각 행하여, 시일 강도(박리 방향 TD)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이들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측정 결과)를 도 4∼5에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단, 시일 강도의 경시 변화의 측정은, 시일 직후의 시일 강도와, 시일로부터 3일 후의 시일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행하였다.
평가 결과(측정 결과)를 도 6∼7에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3(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3(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측정 결과)를 도 8∼9에 나타낸다.
도 8은, 비교예 1(박리 방향 M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박리 방향 TD)에 있어서의, 시일 온도와 시일 강도의 관계 및 그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112012108482527-pct00001
상기 표 1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MFR(g/10분)」은,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의 조건으로 측정된 값이다.
<평가 결과>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실시예 3의 수지 조성물은, 박리 방향 MD 및 박리 방향 TD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시일 직후부터 안정적인 록 앤드 필 성능을 발현하는 것을 알았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IBA(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함유량 3.9질량%)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은, 박리 방향 TD에 대하여, 시일 직후부터 시일 1일 후에 걸쳐, 시일 온도 160℃ 이하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가 너무 강하여 필러블 시일은 되지 않고, 3일 경과 후에 비로소 필러블 시일 영역에 안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실시예 3의 수지 조성물은 시일 직후부터 안정적인 록 앤드 필 성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는, 시일 강도가 25∼30N/15㎜ 부근을 넘으면, 계면 박리가 아니라 시일부의 파괴가 일어났다.
또, 「박리 방향 MD」의 조건에 대하여 대비하면, 실시예 1∼3(도 2, 도 4, 도 6)에서는 비교예 1(도 8)에 비해, 필러블 시일부로서 적절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10N/15㎜)로 하기 위한 시일 온도의 폭이 각별히 넓어져 있었다.
마찬가지로, 「박리 방향 TD」의 조건에 대하여 대비하면, 실시예 1∼3(도 3, 도 5, 도 7)에서는 비교예 1(도 9)에 비해, 필러블 시일부로서 적절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시일 강도 5∼10N/15㎜)로 하기 위한 시일 온도의 폭이 각별히 넓어져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필러블 시일부로 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의 폭이 넓고, 필러블 시일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시일 형태나 다양한 시일 포장 기계에 대응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일본 출원 제2010-127129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또한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11)

  1. (1)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0.5∼6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2)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10∼30g/10분인,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3)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하는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그 아이오노머의 총량 중에 있어서의 α,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0.5질량% 이하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성분, 상기 (2) 성분, 및 상기 (3) 성분의 총량을 100질량%라고 하였을 때,
    상기 (1) 성분의 함유량이 30∼60질량%이고,
    상기 (2) 성분의 함유량이 30∼60질량%이며,
    상기 (3) 성분의 함유량이 5∼15질량%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성분 및 상기 (2) 성분이,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 성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2160g 하중 조건 하, JIS K7210)가, 5∼20g/10분인 수지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플레이션법에 의한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히트 시일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히트 시일 필름.
  11. 기재 필름 위에, 제9항에 기재된 히트 시일 필름을 가지는 적층 필름.
KR1020127034061A 2010-06-02 2011-05-27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KR101312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7129 2010-06-02
JP2010127129 2010-06-02
PCT/JP2011/062274 WO2011152324A1 (ja) 2010-06-02 2011-05-27 樹脂組成物、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955A KR20130018955A (ko) 2013-02-25
KR101312476B1 true KR101312476B1 (ko) 2013-09-27

Family

ID=4506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061A KR101312476B1 (ko) 2010-06-02 2011-05-27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16405B2 (ko)
EP (1) EP2578627A1 (ko)
JP (1) JP4942858B2 (ko)
KR (1) KR101312476B1 (ko)
CN (1) CN102918100B (ko)
MX (1) MX2012013793A (ko)
WO (1) WO2011152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0286A1 (en) * 2010-12-27 2013-11-06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extrusion coating, and laminate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6262071B2 (ja) * 2014-05-12 2018-01-17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20170114173A (ko) * 2016-04-05 2017-10-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저온 실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저온 실링 특성을 갖는 무광 필름
JP7256586B6 (ja) * 2017-08-28 2023-04-21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20230203350A1 (en) * 2020-07-14 2023-06-29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
EP4183576A4 (en) * 2020-07-14 2024-07-24 Mitsui Chemicals Inc AQUEOUS DISPERSION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AMIN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275A1 (ja) * 2004-12-20 2006-06-29 Tohcello Co., Ltd. オレフィン系重合体延伸フィルム
WO2009145235A1 (ja) * 2008-05-30 2009-12-03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高分子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34A (en) * 1980-06-17 1982-01-16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Heat-sealable resin composition
JPS58215437A (ja) * 1982-06-04 1983-12-14 イ−・アイ・デユポン・デ・ニモアス・アンド・カンパニ− ヒ−トシ−ル組成物
US4550141A (en) 1983-08-22 1985-10-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ends of ionomer with propylene copolymer
JPS6351438A (ja) 1986-08-22 1988-03-0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S6449382A (en) * 1987-08-19 1989-02-23 Nec Corp Solid-state image pickup element
NZ228160A (en) * 1988-03-18 1990-11-27 Grace W R & Co Hot melt gasket comprising an ethylene/olefinic carboxylic acid copolymer
JPH0511549A (ja) 1991-07-02 1993-01-22 Hitachi Ltd 電子写真装置
JP3842108B2 (ja) * 2000-10-31 2006-11-08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体
EP1718699B1 (en) * 2004-02-04 2012-10-17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article thereof
DE602005027685D1 (de) 2004-05-24 2011-06-09 Du Pont Polymermischungen für abziehbare und/oder permanente dichtungen
JP2006068275A (ja) 2004-09-02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CN101103069A (zh) * 2004-12-20 2008-01-09 东赛璐株式会社 烯烃系聚合物拉伸膜
JP5011549B2 (ja) 2004-12-28 2012-08-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半導体装置
JP5206361B2 (ja) 2008-11-26 2013-06-12 株式会社Ihi ガスエンジンの燃料ガス供給装置とそのタール析出防止方法
IN2012DN00698A (ko) * 2009-07-09 2015-06-19 Mitsui Du Pont Polychemic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275A1 (ja) * 2004-12-20 2006-06-29 Tohcello Co., Ltd. オレフィン系重合体延伸フィルム
WO2009145235A1 (ja) * 2008-05-30 2009-12-03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高分子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16405B2 (en) 2014-05-06
JP4942858B2 (ja) 2012-05-30
CN102918100A (zh) 2013-02-06
EP2578627A1 (en) 2013-04-10
MX2012013793A (es) 2012-12-17
WO2011152324A1 (ja) 2011-12-08
KR20130018955A (ko) 2013-02-25
US20130079457A1 (en) 2013-03-28
JPWO2011152324A1 (ja) 2013-08-01
CN102918100B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476B1 (ko)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KR101264254B1 (ko) 열융착성 다층 필름
JP4684366B2 (ja) 高分子組成物
JP4621303B1 (ja) 高分子組成物、無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無延伸フィルム、ヒートシール材料及び包装材料
JP6262071B2 (ja)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5061267B2 (ja) 押出し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並びに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4474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그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뚜껑재, 용기용 부재 세트 및 용기
JP5095509B2 (ja) 積層フィルム
TWI682845B (zh) 二軸延伸乙烯聚合物膜及包裝體
JP2009227790A (ja) 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易剥離性フィルム、該組成物層を有する積層体
KR20190055789A (ko) 적층 필름, 라미네이트 필름 및 포장 용기
JP6391519B2 (ja) ヒートシール用組成物及び積層体
JP312530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2012206438A (ja) 多層フィルム及び輸液バッグの外装袋
JP2002210873A (ja)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2838120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積層フィルム
JP2020121753A (ja) 食品包装用離型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