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344B1 - 타이어 가류용 몰드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344B1
KR101312344B1 KR1020110126149A KR20110126149A KR101312344B1 KR 101312344 B1 KR101312344 B1 KR 101312344B1 KR 1020110126149 A KR1020110126149 A KR 1020110126149A KR 20110126149 A KR20110126149 A KR 20110126149A KR 101312344 B1 KR101312344 B1 KR 10131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oove
mold
exhaust
tire vulca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024A (ko
Inventor
유사쿠 미야자키
노보루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Degassing moulding material or draining off gas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가류용 몰드는, 타이어 성형면에 개구하여 형성되는 가늘고 긴 배기홈과, 상기 배기홈에 감입되어 배기홈과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만들어 매설되는 판자 모양의 블레이드와, 상기 배기홈과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을 갖는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를 몰드 깊이 방향의 도중에서 작게 함으로써,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표면측에 위치하는 상측홈부와,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홈부에 비해서 상기 길이 치수가 짧은 하측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홈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 이하이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배기홈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기 블레이드는 적어도, 상기 상측홈부의 바닥면과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방향의 양측 단면에 맞닿는다.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상측홈부와 상기 하측홈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용 몰드{TIRE VULCANIZATION MOLD}
본 발명은,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공기 주입타이어 제조 시, 타이어 구성부재가 부착된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기 위한 타이어 가류용 몰드가 이용된다. 타이어 가류용 몰드는, 그린 타이어를 가열함으로써 가류하는 동시에,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타이어 성형면에 설치된 요철(凹凸)에 의해 타이어 트레드부의 표면에 트레드 패턴을 형성한다.
가류 시에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내에 불필요한 공기가 차게되며, 또한, 타이어 가류용 몰드 내에 가류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가 차게된다. 이들 공기나 가스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타이어 성형면과 그린 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그린 타이어가 부분적으로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며, 그 결과, 그린 타이어의 고무재가 잘 유동되지 못하여, 가류된 타이어의 표면에 고무 충전 부족 등에 의한 가류 고장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는, 공기나 가류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타이어 성형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설치하고, 이 구멍에 블레이드를 매설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상기 구멍의 긴 변과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9-269363호). 이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통해 공기나 가스가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외부로 배출된다.
일본국 특개 2009-269363호에 기재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는, 상기 가늘고 긴구멍 안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가늘고 긴 구멍의 긴 변의 일부에 맞닿도록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가 가늘고 긴 구멍의 긴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지 않아, 타이어 성형면에 개구하는 미세하고 작은 틈새의 면적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가늘고 긴 구멍을 배기홈으로서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국 특개 2009-2693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성형면에 형성되어, 블레이드가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만들어 매설되는 배기홈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공기나 가스의 배기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이다.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는, 트레드 성형면을 갖는 트레드 금형과, 사이드월 성형면을 갖는 사이드 금형을 갖는다.
상기 트레드 금형은,
타이어 성형면에 개구하여 형성되는 가늘고 긴 배기홈과,
상기 배기홈에 감입(嵌入)되어 배기홈과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두고 매설되는 판자 모양의 블레이드와,
상기 배기홈과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을 갖는다.
상기 배기홈은,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를 몰드 깊이 방향의 도중에서 작게 함으로써,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표면측에 위치하는 상측홈부와,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홈부에 비해서 상기 길이 치수가 짧은 하측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홈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 이하이다.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배기홈에 감입(嵌入)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기 블레이드는 적어도, 상기 상측홈부의 바닥면과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방향의 양단(兩端)에 있는 2개의 단면(端面)에 맞닿는다.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상측홈부와 상기 하측홈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 의하면, 공기나 가스의 배기 효율을 한층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를 이용하는 타이어 가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타이어 가류장치의, 가류 직후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도 1a에 이용되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타이어 성형면의 일부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배기홈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배기홈과 블레이드를 배기홈의 개구부에서 보았을 때의, 배기홈과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배기홈(블레이드가 매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을 배기홈의 개구부에서 보았을 때의, 배기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배기홈에 블레이드를 감입한 상태를 측면시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블레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기홈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블레이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블레이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형태의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배기구멍의 변형예를 나타낸 몰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를 이용하는 타이어 가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이다.
타이어 가류장치 1은, 트레드 금형 2, 사이드 금형 3, 블래더(bladder) 4, 상부 플레이트 5a, 하부 플레이트 5b, 샤프트 5c, 승강부 6, 지지세그먼트 7, 가이드링 8을 메인으로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은, 트레드 금형 2와 사이드 금형 3을 포함한다.
트레드 금형 2는, 그린 타이어 G의 트레드부를 가류하는 트레드 성형면을 가지고, 지지세그먼트 7에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금형 3은, 그린 타이어 G의 사이드부를 가류하는 사이드월 성형면을 갖는다. 도 1a 중, 하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금형 3은, 타이어 가류장치 1에 고정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금형 3은, 승강부 6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 5a 및 하부 플레이트 5b는, 타이어 가류장치 1로부터 세워 설치한 샤프트 5c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 5a와 하부 플레이트 5b에, 블래더 4가 설치되어 있다. 블래더 4는, 고무제의 신축 가능한 박막 형상의 부재이다.
가류 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 금형 2 및 사이드 금형 3은, 도시되지 않은 가열원에 의해 170°C 정도로 승온된다. 또한, 블래더 4는, 샤프트 5c의 도시되지 않은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고온 증기에 의해 가압되고 팽창되어 그린 타이어 G의 내주면과 빈틈없이 접촉하고, 그린 타이어 G의 내주면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블래더 4는, 그린 타이어 G를 그 내주면으로부터 확장시키면서, 그린 타이어 G를 트레드 금형 2 및 사이드 금형 3의 타이어 성형면에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시간 그린 타이어 G는 트레드 금형 2, 사이드 금형 3 및 블래더 4를 이용하여 가류되어 타이어 T가 된다.
도 1b는, 타이어 가류장치 1의, 가류 직후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가류 후, 승강부 6은, 도시되지 않은 승강기구에 의해 상승되고, 이에 따라 위쪽에 위치하는 사이드 금형 3이 가류된 타이어 T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가이드링 8의 상승에 따라, 지지세그먼트 7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트레드 금형 2가 가류된 타이어 T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어 T는, 타이어 가류장치로부터 취출된다.
도 2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의 타이어 성형면의 일부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타이어 성형면에 있어서,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는 표면 요철(凹凸)은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배기홈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은,트레드 성형면을 갖는 트레드 금형 2와, 사이드월 성형면을 갖는 사이드 금형 3을 갖는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은,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의 일부인 트레드 성형면을 갖는 트레드 금형 2를 나타내고 있다.
타이어 가류용 몰드 10(이하, 몰드 10이라 함)은, 알루미늄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트레드 금형 2의 내주측 표면이 타이어 성형면(트레드 성형면) 12로 되어 있다. 타이어 성형면 12에는, 배기홈 14가 개구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홈 14에는 블레이드 17이 감입되어 매설되어 있다.
배기홈 14에 매설되는 블레이드 17의 타이어 성형면 12측을 상측으로 정하고, 배기홈 14의 깊이 방향의 안쪽을 하측으로 정한다.
블레이드 17의 상단면과 타이어 성형면 12는 실질적으로 같은 레벨로 되어 있다. 몰드 10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다른쪽 단면을 향해서 배기구멍 21이 연설(延設)되어 있다. 이 배기구멍 21은 배기홈 14와 접속하여, 배기홈 14와 몰드 1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배기홈 14는, 상측홈부 15와, 하측홈부 16을 갖는다. 즉, 배기홈 14는, 길이 치수(도 2 지면상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몰드 깊이 방향의 도중에서 짧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몰드 표면(타이어 성형면 12) 측에 위치하는 긴 변의 상측홈부 15와, 몰드 배면 13(도 4 참조) 측에 위치하는 짧은 변의 하측홈부 16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홈부 15 및 하측홈부 16의 깊이 치수는 각각, 예를 들면 1 mm~4 mm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 mm 정도이다.
상측홈부 15의 두께 치수 t1(도 3, 도 7, 도 8 참조)은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 (도 3 참조)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하측홈부 16의 두께 치수 t2(도 3 참조)는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즉 t1>T≥t2로 되어 있다.
상측홈부 15의 두께 치수 t1은,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05 mm~0.1 mm 정도 크게, 바람직하게는 0.06 mm 정도 (일측에서 0.03 mm 정도) 크게 설정된다. 하측홈부 16의 두께 치수 t2는,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에 대하여, 예를 들면 0 mm~0.1 mm 정도 작게,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보다도 작게 설정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치수 t2를 두께 치수 T에 대하여 0.01 mm 정도 작게 설정되면 좋다.
블레이드 17은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17은, 배기홈 14의 상측홈부 15 및 하측홈부 16의 도 3 중의 D방향에서 본 측면시의 개략적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 17은 상측홈부 15에 대응하는 상측부 18과, 하측홈부 16에 대응하는 하측부 19를 가지고 있다. 상측부 18에 있어서의, 배기홈 14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치수, 즉 길이 치수는, 하측부 19의 길이 치수에 비해 크다.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T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는, 블레이드 17은,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단면 15a, 15a 및 바닥면 15c, 하측홈부 16의 길이 방향 단면 16a, 16a 및 두께 방향 단면 16b, 16b에 맞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는, 블레이드 17은, 적어도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와, 하측홈부 16의 두께 방향 단면 16b, 16b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블레이드 17에는, 배기홈 14에 감입되었을 때에 상측홈부 15와 하측홈부 16을 연통시키는 연통부 2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절결(切欠)되어 형성된 연통부 2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연통부 20은, 하측홈부 16에 감입되는 블레이드 17 부분에, 하측홈부 16에 감입되는 블레이드 17의 선단 단면으로부터 블레이드 17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연통부 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배기홈 14와 블레이드 17을 배기홈 14의 개구부에서 보았을 때의, 배기홈 14와 블레이드 17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블레이드 17이 매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배기홈 14를 배기홈 14의 개구부에서 보았을 때의, 배기홈 14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배기홈 14에 블레이드 17을 감입한 상태를 측면시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17의 상측부 18(도 3 참조)의 두께 방향 단면 18b, 18b(도 7 참조)와 상측홈부 15의 두께 방향 단면 15b, 15b(도 7, 도 8 참조)와의 사이에는,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는, 공기 a나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가류 중의 고온으로 유동 상태가 된 고무(그린 타이어의 미가류 고무)가 통과 못하는 치수를 가지며, 예를 들면 0.02 mm~0.05 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는 연통부 20에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연통부 20은, 하측부 19의 최하 단면으로부터, 상측부 18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측홈부 15(배기홈14)는, 절삭가공이나 방전가공 등에 의해, 설정 치수에 대하여 불균일 없이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 17도 기계가공 등으로 설정 치수에 대하여 정밀도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는, 사이즈가 들쑥날쑥하지 않게 목표 치수대로 형성할 수 있다.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된 블레이드 17은, 적어도,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와 하측홈부 16의 두께 방향 단면 16b, 16b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 17은 주로 하측홈부 16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긴 변)에 걸쳐 상측홈부 15의 두께 방향 단면 15b, 15b와 블레이드 17의 상측부 18의 두께 방향 단면 18b, 18b와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홈 14를 상측홈부 15와, 상측홈부 15보다도 길이 치수가 짧은 하측홈부 16을 갖는 구조로 하여, 타이어 성형면 12에 개구해서 형성되는 상측홈부 15를 가능한 한 유효하게 이용하여, 타이어 성형면 12에 개구하는 미세하고 작은 틈새 g의 면적을 크게 하기 때문에, 배기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가류 시에 불필요한 공기 a나 발생하는 가스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면 12로부터 미세하고 작은 틈새 g 및 연통부 20을 거쳐, 배기구멍 21을 통해 몰드 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타이어 가류 시에, 안정된 배기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타이어 가류 시에, 고무 충전 부족 등의 가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연통부 20이 형성되어 있으면, 연통부 20을 무리없이 대형화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한층 더 유리하게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측부 18의 길이 방향 단면 18a ,18a가 각각,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단면 15a, 15a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상측홈부 15에서 규제되어, 블레이드 17과 배기홈 14와의 사이에서 안정된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를 얻기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상측부 18의 길이 방향 단면 18a, 18a가 각각,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단면 15a, 15a에 맞닿는 경우에는, 하측부 19의 길이 방향 단면 19a, 19a를, 하측홈부 16의 길이 방향 단면 16a, 16a에 맞닿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17의 하측홈부 16에 감입되는 부분(하측부19)의 길이 방향 단면 19a, 19a의 하측의 모서리에, 모따기(面取)부 19c, 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17을 감입할 때에, 블레이드 17의 선단 단면이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에 접촉하더라도, 모따기부 19c가 접촉하므로, 예리한 모서리가 접촉할 경우에 비해서 몰드 모재가 깎여져 나가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몰드 모재의 깎여 나간 찌꺼기가 배기홈 14에 쌓여서 블레이드 17의 매설 상태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모따기부 19c에 의해 블레이드 17이 하측홈부 16에 위치 정합되도록 가이드 되므로, 블레이드 17을 정밀도 높게 배기홈 14에 감입하기 용이해진다.
블레이드 17의 상측홈부 15에 감입되는 부분(상측부 18)의 길이 방향 단면 18a, 18a의 하측의 모서리에도, 모따기부 18c, 18c를 형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17을 감입할 때에, 블레이드 17의 단면이 상측홈부 15의 개구부에 접촉하더라도, 모따기부 18c가 접촉하므로, 예리한 모서리가 접촉할 경우에 비해 타이어 성형면 12가 깎여나가기 어려워진다.
(변형예 1)
도 10과 도 11에 블레이드 17의 변형예 1을 나타낸다. 변형예 1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미세하고 작은 틈새 g 이외에,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단면 15a, 15a와, 블레이드 17의 상측부 18의 길이 방향 단면 18a, 18a와의 사이에도, 미세하고 작은 틈새 g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비해, 타이어 성형면 12에 개구하는 미세하고 작은 틈새 g의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변형예 1에서는, 블레이드 17은,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 하측홈부 16의 길이 방향 단면 16a, 16a 및 두께 방향 단면 16b, 16b에 맞닿게 고정 지지된다.
(변형예 2)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예 2의 블레이드 17은, 블레이드 17의 하측부 19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통부 20을 갖는다. 이와 같이 연통부 20을 형성하더라도, 연통부 20을 무리없이 대형화하기 용이해지므로, 한층 더 유리하게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연통부 20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블레이드 17의 하측부 19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연통부 20을 동시에 조합시킬 수도 있다.
(변형예 3)
도 13은, 변형예 3의 블레이드 17을 나타낸다. 변형예 3의 블레이드 17은,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 2의 블레이드 17의 하측부 19의 하단에, 하측홈부 16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면 16a, 16a간의 거리(하측홈부 16의 길이 치수)와 동등한 길이를 갖는 팽출부를 설치한 것이다. 즉, 하측홈 16에 대응하는 하측부 19 부분에서의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의 거리(길이 치수)는, 하측홈 16의 길이 치수에 비해서 작고, 팽출부에서의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의 거리(길이 치수)는, 상기 하측홈부 16의 길이 치수와 같다. 변형예 3의 블레이드 17을 사용한 경우에는,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될 때에, 팽출부가 하측홈부 16의 길이 방향 단면 16a, 16a에 접촉한다. 또한, 팽출부의 모따기부 19c가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에 접촉한다. 그 때문에, 연통부 20이 하측부 19의 길이 방향 양단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 17은 하측홈부 16에 위치 결정되어 정밀도 높게 배기홈 14에 감입이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3에서는 모두,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고정 지지되지만, 감입에 의한 고정 지지 이외에, 블레이드 17과 배기홈 14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3의 몰드 10에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구조뿐만 아니라, 도 14,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어 성형면 22a를 갖는 복수의 피스 22를 백블록 23에 부착하는 구조도, 몰드 10에 적용할 수 있다. 이 타입의 몰드 10의 경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구멍 21은 피스 22의 배면 22b측에, 피스 22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다른쪽 단면으로 연설하여 배기홈 14에 연통시킨다.
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구멍 21은 피스 22의 배면 22b로부터 타이어 성형면 22a를 향해서 연설하여 배기홈 14에 연통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몰드 10에 있어서도, 배기구멍 21은 몰드 10의 배면 13으로부터 타이어 성형면 12를 향해서 연설하여 배기홈 14에 연통시킬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3에서는, 배기구멍 21에 대한 배기홈 14의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기홈 14의 두께 방향이 배기구멍 21의 연재(延在) 방향을 향하도록 배기홈 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3에서는, 블레이드 17은, 그 상단면을 타이어 성형면 12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는 형태이지만, 블레이드 17을 타이어 성형면 12로부터 돌출시켜도 좋다. 즉, 블레이드 17을, 타이어에 사이프(sipe)를 형성하는 사이프 형성 블레이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의하면, 배기홈 14의 길이 치수가 몰드 깊이 방향의 도중에서 작게 됨으로써, 배기홈 14는, 몰드 표면측에 위치하는 긴 변의 상측홈부 15와, 몰드 배면측에 위치하는 짧은 변의 하측홈부 16을 갖는다. 상측홈부 15의 두께 치수는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하측홈부 16의 두께 치수는 블레이드 17의 두께 치수 이하로 설정된다.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적어도, 상측홈부 15의 바닥면 15c와 하측홈부 16의 두께 방향 단면 16b, 16b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배기홈 14에 감입된 블레이드 17을 지지하면서,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측홈부 15와 블레이드 17과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를 확보할 수 있다. 상측홈부 15와 하측홈부 16을 연통시키는 연통부 20을 블레이드 17에 설치함으로써, 그린 타이어 G를 가류할 때에 불필요한 공기나 가스를, 블레이드 17과 상측홈부 15 사이의 미세하고 작은 틈새 g 및 연통부 20을 거쳐, 몰드 10에 형성한 배기구멍 21을 통해서 몰드 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홈 14를 상측홈부 15와 하측홈부 16을 갖는 구조로 하여, 타이어 성형면 12에 개구하는 상측홈부 15를 가능한 한 유효하게 이용하여, 타이어 성형면 12에 개구하는 미세하고 작은 틈새 g의 면적을 크게하므로, 배기 효율을 한층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몰드 10은, 블레이드 17이 배기홈 14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측홈부 15의 길이 방향 단면 15a, 15a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상측홈부 15에서 규제되므로, 블레이드 17과 배기홈 14와의 사이에서 안정된 미세하고 작은 틈새 g를 얻기 용이해진다.
블레이드 17의 하측홈부 16에 감입되는 부분의 길이 방향 양단의 하측 모서리에, 모따기부 19c, 19c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모따기부 19c, 19c에 의해, 블레이드 17을 하측홈부 16에 정밀도 높게 감입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블레이드 17을 감입할 때에 블레이드 17의 단면이 상측홈부 15의 바닥면에 접촉하더라도, 배기홈 14가 깎여 나가기 어려워진다.
몰드 10에서는,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연통부 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 17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연통부 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연통부 20을 무리없이 대형화하기 용이해지므로, 한층 더 유리하게 배기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타이어 가류용 몰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경을 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타이어 가류 장치
2 트레드 금형
3 사이드 금형
4 블래더(bladder)
5a 상부 플레이트
5b 하부 플레이트
5c 샤프트
6 승강부
7 지지세그먼트
8 가이드링
10 몰드
12 타이어 성형면
13 배면
14 배기홈
15 상측홈부
15a 길이 방향 단면
15b 두께 방향 단면
15c 바닥면
16 하측홈부
16a 길이 방향 단면
16b 두께 방향 단면
17 블레이드
18 상측부
18a 길이 방향 단면
18b 두께 방향 단면
18c 모따기부
19 하측부
19a 길이 방향 단면
19b 두께 방향 단면
19c 모따기부
20 연통부
21 배기구멍
22 피스
22a 타이어 성형면
22b 배면
23 백블록

Claims (9)

  1.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로서,
    트레드 성형면을 갖는 트레드 금형과,
    사이드월 성형면을 갖는 사이드 금형을 가지며,
    상기 트레드 금형은,
    타이어 성형면에 개구하여 형성되는 가늘고 긴 배기홈과,
    상기 배기홈에 감입(嵌入)되어 배기홈과의 사이에 미세하고 작은 틈새를 두고 매설되는 판자 모양의 블레이드와,
    상기 배기홈과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기홈은,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를 몰드 깊이 방향의 도중에서 작게 함으로써,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표면측에 위치하는 상측홈부와, 상기 타이어 가류용 몰드의 몰드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측홈부에 비해서 상기 길이 치수가 짧은 하측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홈부의 두께 치수가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 이하이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배기홈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기 블레이드는 적어도, 상기 상측홈부의 바닥면과 상기 하측홈부의 두께 방향의 양단(兩端)에 있는 2개의 단면(端面)에 맞닿아 있고,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상측홈부와 상기 하측홈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배기홈에 감입되어 매설되었을 때에, 상기 상측홈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兩端)에 있는 2개의 단면(端面)에 맞닿도록 구성된, 타이어 가류용 몰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홈부에 감입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부분 중, 길이 방향의 양측단 모서리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홈부에 감입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부분에는, 상기 하측홈부에 감입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절결(切欠)되어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상기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용 몰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감입되는 상기 배기홈의 상기 상측홈부와 상기 하측홈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측부 및 하측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부가 상기 하측부에 비해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에 대응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치수가 큰, 타이어 가류용 몰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하측부는, 상기 배기구멍에 돌출하도록 연장된 팽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측부의 상기 하측홈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의 거리는, 상기 하측홈부에서의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에 비해 작고, 상기 팽출부에서의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의 양단간의 거리는, 상기 하측홈부에서의 상기 배기홈의 길이 치수와 같은, 타이어 가류용 몰드.
KR1020110126149A 2010-12-08 2011-11-29 타이어 가류용 몰드 KR101312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3496 2010-12-08
JP2010273496 201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24A KR20120064024A (ko) 2012-06-18
KR101312344B1 true KR101312344B1 (ko) 2013-09-27

Family

ID=4614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49A KR101312344B1 (ko) 2010-12-08 2011-11-29 타이어 가류용 몰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0596B2 (ko)
JP (1) JP5895485B2 (ko)
KR (1) KR101312344B1 (ko)
CN (1) CN102555111B (ko)
DE (1) DE102011056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3415B1 (ja) * 2012-02-03 2013-08-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789606B (zh) * 2016-09-28 2021-03-16 通伊欧轮胎株式会社 轮胎硫化模具
JP7308098B2 (ja) 2019-08-21 2023-07-13 株式会社Lixil 建具
US11697312B2 (en) 2020-09-22 2023-07-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abilizer structure for a tread of a t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85A (ko) * 1995-06-07 1997-01-21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와 이의 방법
KR200144036Y1 (ko) 1996-12-02 1999-06-15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6460A (en) * 1954-09-09 1956-07-31 Lloyd L Felker Tire tread molds
US3553790A (en) * 1969-11-10 1971-01-12 Goodyear Tire & Rubber Concealed tire vent mold
DE1965121A1 (de) * 1969-12-27 1971-07-01 Continental Gummi Werke Ag Form,insbesondere Vulkanisierform mit Entlueftungsoeffnungen
US4553918A (en) * 1983-05-30 1985-11-19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molding mold
JP2003205522A (ja) * 2002-01-11 2003-07-22 Bridgestone Corp ゴム成型品加硫モールドとその製造方法
JP2005169929A (ja) * 2003-12-12 2005-06-3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用金型の製造方法
JP2005193577A (ja) * 2004-01-08 2005-07-21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型用金型
JP4487128B2 (ja) * 2004-12-07 2010-06-2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金型及びタイヤ成形金型用のプラグ
US20060134250A1 (en) * 2004-12-22 2006-06-22 Henrotte Eric M Method and apparatus to vent a mold
JP4942961B2 (ja) * 2005-08-01 2012-05-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モールド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4862684B2 (ja) * 2006-05-30 2012-0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成形金型
KR100773343B1 (ko) * 2006-11-20 2007-11-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금형
JP2008284823A (ja) * 2007-05-21 2008-11-27 Bridgestone Corp ピース式タイヤモールドとその製造方法
JP5291976B2 (ja) * 2008-04-21 2013-09-1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金型用ベントプラグ、タイヤ加硫金型、及び該タイヤ加硫金型を使用した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983717B2 (ja) 2008-05-09 2012-07-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85A (ko) * 1995-06-07 1997-01-21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와 이의 방법
KR200144036Y1 (ko) 1996-12-02 1999-06-15 홍건희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6017A (ja) 2012-07-19
DE102011056193A1 (de) 2012-06-14
KR20120064024A (ko) 2012-06-18
US20120148697A1 (en) 2012-06-14
CN102555111B (zh) 2014-10-15
JP5895485B2 (ja) 2016-03-30
CN102555111A (zh) 2012-07-11
US8740596B2 (en)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421B2 (ja) タイヤ成形型
KR101312344B1 (ko) 타이어 가류용 몰드
EP3307530B1 (en) Set of molding elements and mold
US20140166173A1 (en) Tread combining inserts and sipes
JP2009269363A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993018A1 (en) Mold for molding tire, and tire
KR101570803B1 (ko) 타이어의 트레드 몰드
CN103492146B (zh) 轮胎硫化用模具及其制造方法
US10377058B2 (en) Mold for rubber article
KR20120097335A (ko) 타이어 가류용 몰드
JP2014073647A (ja) タイヤ加硫用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
US202201346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US20170361552A1 (en) Tire mold and vent insert having corresponding surfaces
JP2016097505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741054B2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
JP4949880B2 (ja)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
JP2010143086A (ja) タイヤ用モールド
JP2017065231A (ja) タイヤ加硫用金型及びタイヤ製造方法
CN103407025A (zh) 双金属组合结构的无气孔轮胎活络模具及其花纹块
JP5614102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タイヤ成型用金型に用いるサイプ刃、およびタイヤ成型用金型
JP4368164B2 (ja) タイヤの成形型
JP2022114066A (ja) タイヤ用モールド、タイヤ製造方法及びタイヤ
CN104550759A (zh) 活塞铸造模具防错型腔组件
CN105170809B (zh) 一种压气机静子叶片冲切模具的制造方法
KR20220123450A (ko) 가황 몰드의 몰드 세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몰드 세그먼트 및 가황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