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22B1 - 디포스핀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전이 금속 착물 - Google Patents

디포스핀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전이 금속 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22B1
KR101311122B1 KR1020087009399A KR20087009399A KR101311122B1 KR 101311122 B1 KR101311122 B1 KR 101311122B1 KR 1020087009399 A KR1020087009399 A KR 1020087009399A KR 20087009399 A KR20087009399 A KR 20087009399A KR 101311122 B1 KR101311122 B1 KR 10131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group
unsubstituted
phosphino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083A (ko
Inventor
미츠히사 야마노
미츠타카 고토
신지 가와구치
마사토시 야마다
준이치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4Phosphines, i.e. phosphorus bonded to only carbon atoms, or to both carbon and hydrogen atoms,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phosphole or anionic phospholide lig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4Phosphines, i.e. phosphorus bonded to only carbon atoms, or to both carbon and hydrogen atoms,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phosphole or anionic phospholide ligands
    • B01J31/2404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 B01J31/2442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comprising condensed ring systems
    • B01J31/2447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comprising condensed ring systems and phosphine-P atoms as substituents on a ring of the condensed system or on a further attached ring
    • B01J31/2452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comprising condensed ring systems and phosphine-P atoms as substituents on a ring of the condensed system or on a further attached ring with more than one complexing phosphine-P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3/00Asymmetric synthe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C07F15/004Iridi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46Ruthenium compounds
    • C07F15/0053Rutheni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6Palladium compounds
    • C07F15/0066Palladi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73Rhodium compounds
    • C07F15/008Rhodi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C07F9/5022Aromatic phosphines (P-C aromatic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C07F9/5027Polyphosp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55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F9/572Five-membered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8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II as the central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신규 리간드를 개시한다. 또한 다양한 비대칭 합성 반응에서 우수한 거울상체선택성 및 촉매 효율을 지니는, 특히 높은 촉매 활성을 보이는, 리간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신규 전이 금속 착물을 개시한다. 전이 금속 착물은 리간드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진다:
Figure 112008027896071-pct00084
[식 중,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C1 -6 알킬기이고; R5 R6 는 독립적으로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85
에서 R5 R6 는 함께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86
로 표시되는 화학식을 형성할 수 있음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3- 내지 8-원 고리임)].

Description

디포스핀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전이 금속 착물{DIPHOSPHINE LIGAND AND TRANSITION METAL COMPLE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리간드, 신규 리간드를 가지는 전이 금속 착물, 및 전이 금속 착물을 이용한 비대칭 합성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비대칭 합성 반응에는 비대칭 환원, 비대칭 이성질체화, 비대칭 수소규소화 등이 포함되고, 리간드로서 광학 활성 화합물을 가지는 로듐, 루테늄, 이리듐 등과의 전이 금속 착물이 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이후 종종 약어 BINAP 로 지칭됨) 이 일반적으로 광학 활성 포스핀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BINAP 의 반응성, 입체적 선택성, 촉매 효율 등이 기질의 종류에 좌우되고, 항상 충분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다른 광학 활성 포스핀이 제조되고 보고되었다 (예, Handbook of Enantioselective Catalysis with Transition Metal Compounds, published by VCH Verlag GmbH, 1993). 광학 활성 포스핀 중에서, 치환체로서 디알킬아미노기를 가지는 광학 활성 포스핀이 WO03/048174 및 WO02/040491 에 기재되어 있다.
BINAP 와 같이 1,1'-비나프틸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예를 들어, JP-A-61-63690 에는 리간드로서 2,2'-비스(디(p-톨릴)포스피노)-1,1'-비나프틸을 가지 는 루테늄 착물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비대칭 환원에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JP-A-3-255090 에는 리간드로서 2,2'-비스(비스(3,5-디알킬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을 가지는 루테늄 착물이 β-케토에스테르의 비대칭 환원에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JP-A-2004-196793 에는 리간드로서 2,2'-비스(비스(3,5-디-tert-부틸-4-메톡시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을 가지는 루테늄 착물이 상기한 바에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이 금속 촉매를 사용한 반응에서 반응 기질에 따라 거울상체선택성 또는 촉매 효율이 불충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신규 리간드, 및 다양한 비대칭 합성 반응에서 우수한 거울상체선택성 및 촉매 효율을 지니는, 특히 높은 촉매 활성을 보이는 리간드를 가지는 신규 전이 금속 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후 약어 화합물(Ⅰ)로 표시됨) 또는 이의 염이 신규 리간드로서 유용함을 발견하였고: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1
[식 중, R1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2 R3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2
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3
으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A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단,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은 제외되고,
리간드로서, 화합물(Ⅰ)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후, 약어 화합물(Ⅱ)로 표시됨) 을 가지는 전이 금속 착물은 비대칭 합성 반응에서, 특히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우수한 거울상체선택성, 특히 촉매 효율을 보이는데, 본 발명은 이를 근거로 한다: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4
[식 중,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5 R6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5
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6
로 표시되는 화합물임].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7
[식 중, R1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2 R3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8
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09
으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A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단,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은 제외됨,
[2] [1] 에 있어서, 식 중 R1, R2 R3 이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6 알킬기인 화합물,
[3] [1] 에 있어서, 식 중 R1, R2 R3 이 각각 비치환 C1 -6 알킬기인 화합물,
[4] [1] 에 있어서,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인 화합물,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학 활성인 화합물,
[6] 리간드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지는 전이 금속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0
[식 중,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5 R6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1
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2
로 표시되는 화합물임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7] [6] 에 있어서,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이리듐, 팔라듐, 니켈 또는 구리인 전이 금속 착물,
[8] [6] 에 있어서,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또는 팔라듐인 전이 금속 착물,
[9] [6] 에 있어서, R4 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C1 -6 알킬기이고, R5 R6 가 각각 비치환 C1 -6 알킬기인 전이 금속 착물,
[10] [6] 에 있어서, 하기에서 선택되는 전이 금속 착물:
(1) [Ru(OAc)2 (L)];
(2) [RuCl2(L)(dmf)n];
(3) [RuCl(Ar)(L)]Cl;
(4) [Ru(2-메틸알릴)2 (L)];
(5) [RuCl2(L)(X)];
(6) (NH2Et2)[{RuCl(L)}2(μ-Cl)3];
(7) [Rh(Y)(L)]Z;
(8) [Pd Cl2(L)]; 및
(9) [{Pd(L)} 2(μ-OH)2]Z2
[식 중, L 은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고, Ac 는 아세틸이고, dmf 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n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Ar 은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이고, 2-메틸알릴은 η3-2-메틸알릴이고, X 는 에틸렌디아민, 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또는 1,1-디(4-아니실)-2-이소프로필-1,2-에틸렌디아민이고, Y 는 1,5-사이클로옥타디엔 또는 노르보나디엔이고, Z 는 짝 음이온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퍼클로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테트라페닐보레이트임],
[11] [6] 에 따른 전이 금속 착물을 함유하는 촉매,
[12]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3
[R4a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5a R6a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4
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5
으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단,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은 제외됨, 및
[13] [12] 에 있어서, R4a, R5a R6a 가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6 알킬기인 화합물.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14]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6
[식 중, 고리 C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7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6] 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에서 환원 반응 처리하는 방법: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7
[식 중, 모든 기호는 상기 정의와 같음].
[15]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18
[식 중, 고리 D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8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6] 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에서 환원 반응 처리하는 방법:
[식 중, 모든 기호는 상기 정의와 같음].
[16]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0
[식 중, 고리 E 및 고리 F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9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6] 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에서 환원 반응 처리하는 방법: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1
[식 중, 모든 기호는 상기 정의와 같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최적의 형태
화합물(I) 및 화합물(Ⅱ) 은 (R) 형태, (S) 형태 및 (R) 형태와 (S) 형태의 혼합물 (둘의 비율에는 제한 없음) 을 포함하고, 광학 활성 형태가 바람직하다.
화합물(I) 및 화합물(Ⅱ) 의 치환체의 정의는 아래에 나타내었다.
R1, R2, R3, R4, R5 또는 R6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C1 -6 알킬기" 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이다.
R1, R2, R3, R4, R5 또는 R6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치환체" 는, 예를 들어, 할로겐 원자 (예,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킬-카르보닐기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피발로일 등),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이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R1 은 바람직하게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C1 -6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 수소 원자,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등이다.
R2 R3 은 바람직하게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 비치환 C1 -6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 메틸, 에틸 등이다.
R4 는 바람직하게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C1 -6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 수소 원자,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등이다.
R5 R6 은 바람직하게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더 바람직하게 비치환 C1 -6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 메틸, 에틸 등이다.
또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고리 A 및 고리 B: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2
[식 중, 고리 A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를 나타냄],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3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는 하기의 시클릭기이다: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4
이러한 시클릭기는 치환체(들)를 가질 수 있고, 치환체의 예에는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킬-카르보닐기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피발로일 등),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이 포함된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고리 A 및 고리 B 로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5
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I) 로서, R1, R2 및 R3 이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6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1, R2 및 R3 이 각각 비치환 C1-6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1 가 수소 원자이고, R2 R3 이 각각 비치환 에틸, 또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6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화합물(I) 은 구체적으로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등, 특히 바람직하게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다.
화합물(Ⅱ) 로서, R4 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 C1 -6 알킬기이고, R5 R6 이 각각 비치환 C1 -6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4 가 수소 원자이고, 또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8
Figure 112008027896071-pct00029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화합물(Ⅱ) 은 구체적으로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등, 더 바람직하게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특히 바람직하게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다.
화합물(I) 및 화합물(Ⅱ) 의 제조 방법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화합물(I) 이 화합물(Ⅱ) 에 포함되므로, 화합물(Ⅱ) 의 제조 방법만 소개한다.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0
[식 중, X 는 이탈기, 예컨대 브롬, 요오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메탄설포닐옥시 등이고, 다른 기호들은 상기 정의와 같다].
화합물(Ⅲ) 은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33, page 3690, 196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Ⅳ) 은 WO2004/101580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즉 보란 시약의 존재하 용매 중에서 화합물(Ⅲ) 을 전환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Ⅳ) 중에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1
[식 중, R4a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R5a R6a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2
이 화학식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3
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임)]
단,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은 제외됨.
R4a, R5a 또는 R6a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로서, 상기 R4, R5 또는 R6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와 유사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R4a, R5a R6a 는 각각 바람직하게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다.
또한, 고리 B'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 로서, 상기 고리 B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3- 내지 8-원 고리" 를 언급할 수 있다.
화합물(Ⅴ) 는 공지된 그대로의 방법, 예를 들어 "Tetrahedron Letters, vol. 31, page 985, 1990,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58, page 1945, 1993"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수득한 화합물(Ⅴ) 은 반응을 위해 분리하지 않고, 화합물(Ⅳ) 과의 반응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Ⅱ) 은 WO2003/048174 에 공지된 방법, 즉, 아민 및 니켈 촉매의 존재하 용매 중에서 화합물(Ⅳ) 과 화합물(Ⅴ) 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생성된 생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응 혼합물에서 분리될 수 있고, 재결정화, 증류,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분리 방법으로 쉽게 정제할 수 있다.
화합물(I) 또는 화합물(Ⅳ) 의 염으로서, 예를 들어, 무기산과의 염 (예, 염산, 하이드로브롬산, 질산, 황산, 인산 등), 유기산과의 염 (예,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합물(I) 또는 화합물(Ⅳ) 이 산성기, 예컨대 카르복실기 등을 가지면, 무기 염기와의 염 (예,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소듐,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등, 암모니아 등), 유기 염기와의 염 (예,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중 "전이 금속" 의 예는 로듐, 루테늄, 이리듐, 팔라듐, 니켈, 코발트, 백금, 철, 금, 은, 구리 등을 포함한다. 이 중, 로듐, 루테늄, 이리듐, 팔라듐, 니켈 및 구리가 바람직하고, 로듐, 루테늄 및 팔라듐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은 공지된 방법 그대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로듐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94, page 6429, 197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용매 중에서 화합물(Ⅱ) 과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를 반응시켜 제조할수 있다. 또한 "Organic Syntheses, vol. 67, page 33, 198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은 퍼클로레이트를 화합물(Ⅱ) 과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과 함께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루테늄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57, page 4053, 199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Ⅱ) 및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을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메탄올 중에서 소듐 아세테이트의 존재하 수득한 생성물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Tetrahedron Asymmetry, vol. 2, page 43, 199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헥산/톨루엔 중에서 화합물(Ⅱ) 및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비스(η3-2-메틸알릴)루테늄(Ⅱ) 을 교반하면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중에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59, page 3064, 199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탄올/벤젠 중 화합물(Ⅱ) 및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vol. 37, page 1703, 199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상기 방법으로 수득되는 화합물(Ⅱ)를 함유하는 루테늄 착물과 디아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중에서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리듐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Journal of Organometallic Chemistry, vol. 428, page 213, 199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용매 중에서 화합물(Ⅱ) 와 [Ir(cod)(CH3CN)2]BF4 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팔라듐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Organometallics, vol. 12, page 4188, 199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Ⅱ) 와 (η3-알릴)(η5-사이클로펜타디에닐)팔라듐(Ⅱ)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팔라듐 착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는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121, page 5450, 1999"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성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수득된 팔라듐 착물과 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추가로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니켈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5th edition Jikken Kagaku Kouza vol. 21, organic transition metal compound, supermolecular complex, pages 293-294 (2004), edited by Chemical Society of Jap (Maruzen)"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용매의 존재하에서 화합물(Ⅱ) 와 무수 니켈 브로마이드를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리 착물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5th edition Jikken Kagaku Kouza vol. 21, organic transition metal compound, supermolecular complex, page 357 (2004), edited by Chemical Society of Jap (Maruzen)"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Ⅱ) 와 구리(I)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63, page 6090, 1998"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디클로로메탄 중 화합물(Ⅱ) 및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퍼클로레이트를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로듐 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이 포함된다 (하기 전이 금속 착물의 화학식에서, L 은 본 발명의 화합물(Ⅱ) 이고, Ar 은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이고, Cp* 는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 Cp 는 사이클로펜타디에닐이고, cod 는 1,5-사이클로옥타디엔이고, Tf 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고, nbd 는 노르보나디엔이고, Ph 는 페닐이고, Ac 는 아세틸이고, Et 는 에틸이고, dmf 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2-메틸알릴은 η3-2-메틸알릴이고, en 은 에틸렌디아민이고, dpen 은 1,2-디페닐에틸렌디아민이고, daipen 은 1,1-디(4-아니실)-2-이소프로필-1,2-에틸렌디아민이고, n 는 1 이상의 정수임).
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및 1,1-디(4-아니실)-2-이소프로필-1,2-에틸렌디아민이 (R) 형태, (S) 형태, (R) 형태 및 (S) 형태의 혼합물(그 비율에는 제한이 없음) 을 포함하지만, 광학 활성 형태가 바람직하다.
[Rh Cl (L)]2, [Rh Br (L)]2, [Rh I (L)]2, [Rh Cp*(L)]2, [Rh(cod)(L)]OTf, [Rh(cod)(L)]BF4, [Rh(cod)(L)]ClO4, [Rh(cod)(L)]PF6, [Rh(cod)(L)]BPh4, [Rh(nbd)(L)]OTf, [Rh(nbd)(L)]BF4, [Rh(nbd)(L)]ClO4, [Rh(nbd)(L)]PF6, [Rh(nbd)(L)]BPh4, [Rh(L)(CH3OH)2]OTf, [Rh (L) (CH3OH)2]BF4, [Rh (L) (CH3OH)2]ClO4, [Rh (L) (CH3OH)2]PF6, [Rh (L) (CH3OH)2]BPh4.
루테늄 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RuCl2(L)]n, [RuBr2(L)]n, [RuI2(L)]n, [Ru(OAc)2 (L)], [Ru(O2CCF3)2 (L)], (NH2Me2)[{RuCl(L)}2(μ-Cl)3], (NH2Et2)[{RuCl(L)}2(μ-Cl)3], (NH2Me2)[{RuBr(L)}2(μ-Br)3], (NH2Et2)[{RuBr(L)}2(μ-Br)3], (NH2Me2)[{RuI(L)}2(μ-I)3], (NH2Et2)[{RuI(L)}2(μ-I)3], [Ru2Cl4(L)2 (NEt3)], [RuCl2 (L) (dmf)n], [Ru(2-메틸알릴)2 (L)], [RuCl(Ar)(L)]Cl, [RuCl(Ar)(L)]Br, [RuCl(Ar)(L)]I, [RuCl(Ar)(L)]OTf, [RuCl(Ar)(L)]ClO4, [RuCl(Ar)(L)]PF6, [RuCl(Ar)(L)]BF4, [RuCl(Ar)(L)]BPh4, [RuBr(Ar)(L)]Cl, [RuBr(Ar)(L)]Br, [RuBr(Ar)(L)]I, [RuI(Ar)(L)]Cl, [RuI(Ar)(L)]Br, [RuI(Ar)(L)]I, [Ru(L)](OTf)2, [Ru(L)](BF4)2, [Ru(L)](ClO4)2, [Ru(L)](PF6)2, [Ru(L)](BPh4)2, [RuH(L)2]Cl, [RuH(L)2]OTf, [RuH(L)2]BF4, [RuH(L)2]ClO4, [RuH(L)2]PF6, [RuH(L)2]BPh4, [RuH(CH3CN)(L)]Cl, [RuH(CH3CN)(L)]OTf, [RuH(CH3CN)(L)]BF4, [RuH(CH3CN)(L)]ClO4, [RuH(CH3CN)(L)]PF6, [RuH(CH3CN)(L)]BPh4, [Ru Cl (L)]OTf, [Ru Cl (L)]BF4, [Ru Cl (L)]ClO4, [Ru Cl (L)]PF6, [Ru Cl (L)]BPh4, [RuBr (L)]OTf, [Ru Br (L)]BF4, [Ru Br (L)]ClO4, [Ru Br (L)]PF6, [Ru Br (L)]BPh4, [Ru I (L)]OTf, [Ru I (L)]BF4, [Ru I (L)]ClO4, [Ru I (L)]PF6, [Ru I (L)]BPh4, [RuCl2(L)(en)], [RuCl2(L)(dpen)], [RuCl2(L)(daipen)], [RuH(η1-BH4)(L)(en)], [RuH(η1-BH4)(L)(daipen)], [RuH(η1-BH4)(L)(dpen)].
상기 [RuCl2(L)(en)], [RuCl2(L)(dpen)] 및 [RuCl2(L)(daipen)] 에서 디아민 리간드인 en, dpen 및 daipen 에 대응되는 디아민 리간드로서, 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아민, 1,2-사이클로헵탄디아민, 2,3-디메틸부탄디아민, 1-메틸-2,2-디페닐-1,2-에틸렌디아민, 1-이소부틸-2,2-디페닐-1,2-에틸렌디아민, 1-이소프로필-2,2-디페닐-1,2-에틸렌디아민, 1,1-디(4-아니실)-2-메틸-1,2-에틸렌디아민, 1,1-디(4-아니실)-2-이소부틸-1,2-에틸렌디아민, 1,1-디(4-아니실)-2-벤질-1,2-에틸렌디아민, 1-메틸-2,2-디나프틸-1,2-에틸렌디아민, 1-이소부틸-2,2-디나프틸-1,2-에틸렌디아민, 1-이소프로필-2,2-디나프틸-1,2-에틸렌디아민, 프로판디아민, 부탄디아민, 페닐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리듐 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r Cl (L)]2, [Ir Br (L)]2, [Ir I (L)]2, [Ir Cp*(L)]2, [Ir(cod)(L)]OTf, [Ir(cod)(L)]BF4, [Ir(cod)(L)]ClO4, [Ir(cod)(L)]PF6, [Ir(cod)(L)]BPh4, [Ir(nbd)(L)]OTf, [Ir(nbd)(L)]BF4, [Ir(nbd)(L)]ClO4, [Ir(nbd)(L)]PF6, [Ir(nbd)(L)]BPh4 .
팔라듐 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PdCl2 (L)], [PdBr2(L)], [PdI2(L)], [Pd (π-알릴)(L)]Cl, [Pd (π-알릴)(L)] OTf, [Pd (π-알릴)(L)]BF4, [Pd (π-알릴)(L)] ClO4, [Pd (π-알릴)(L)]PF6, [Pd (π-알릴)(L)]BPh4, [Pd(L)](OTf)2, [Pd(L)](BF4)2, [Pd(L)](ClO4)2, [Pd(L)](PF6)2, [Pd(L)](BPh4)2, [Pd(L)2], [Pd(L)(H2O)2](OTf)2, [Pd(L)(H2O)2](BF4)2, [Pd(L)(H2O)2](ClO4)2, Pd(L)(H2O)2](PF6)2, [Pd(L)(H2O)2](BPh4)2, [{Pd(L)}2(μ-OH)2](OTf)2, [{Pd(L)}2(μ-OH)2](BF4)2, [{Pd(L)}2(μ-OH)2](ClO4)2, [{Pd(L)}2(μ-OH)2](PF6)2, [{Pd(L)}2(μ-OH)2](BPh4)2.
니켈 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NiCl2 (L)], [NiBr2 (L)], [NiI2 (L)], [Ni(π-알릴)(L)]Cl, [Ni(cod)(L)], [Ni(nbd)(L)].
구리 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CuCl(L)], [CuBr(L)], [CuI(L)], [CuH(L)], [Cu(η1-BH4)(L)], [Cu(Cp)(L)], [Cu(Cp*)(L)], [Cu(L)(CH3CN)2]OTf, [Cu(L)(CH3CN)2]BF4, [Cu(L)(CH3CN)2]ClO4, [Cu(L)(CH3CN)2]PF6, [Cu(L)(CH3CN)2]BPh4 .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중에서 다음이 특히 바람직하다:
(1) [Ru(OAc)2 (L)];
(2) [RuCl2(L)(dmf)n];
(3) [RuCl(Ar)(L)]Cl;
(4) [Ru(2-메틸알릴)2 (L)];
(5) [RuCl2(L)(X)];
(6) (NH2Et2)[{RuCl(L)}2(μ-Cl)3];
(7) [Rh(Y)(L)]Z;
(8) [Pd Cl2(L)]; 및
(9) [{Pd(L)}2(μ-OH)2]Z2
[식 중, L 은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고, Ac 는 아세틸이고, dmf 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n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Ar 은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이고, 2-메틸알릴은 η3-2-메틸알릴이고, X 는 에틸렌디아민, 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또는 1,1-디(4-아니실)-2-이소프로필-1,2-에틸렌디아민이고, Y 는 1,5-사이클로옥타디엔 또는 노르보나디엔이고, Z 는 짝 음이온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퍼클로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임].
상기 Ar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의 치환체로서, 예를 들어, C1 -6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Ar 로서 벤젠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득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이 촉매로 사용될 때, 이는 착물의 순도를 증가시킨 후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착물을 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이 촉매로 사용되는 경우, "전이 금속 착물" 은 비대칭 합성 반응의 반응 시스템에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미리 제조 및 분리된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비대칭 합성 반응, 예컨대 비대칭 환원 반응 등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체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예는 하기에 나타내었다.
1. 케톤(1)의 비대칭 환원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4
[식 중, 고리 C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7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광학 활성 화합물(Ⅶ) 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 화합물(Ⅵ) 를 환원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고리 C 의 치환체의 예로서,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임의 할로겐화 C1 -6 알킬기 (예, 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이 포함된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고리 C 의 치환체는 서로 결합하여 벤젠 고리 형태가 될 수 있다.
R7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C1 -6 알킬기" 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을 언급할 수 있다.
R7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치환체" 로서,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킬-카르보닐기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피발로일 등),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화합물(Ⅵ) 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Ⅵ) 1 mol 에 대해 약 0.01 mmol 내지 약 1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 mmol 이다.
화합물(Ⅵ) 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수소 기체가 수소원으로 사용된다. 반응에서 수소 압력은 약 0.1 MPa 내지 10 MPa, 바람직하게 약 0.1 MPa 내지 5 MPa 이다.
화합물(Ⅵ)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서,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 용매 (예,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 용매 (예,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에스테르 용매 (예,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케톤 용매 (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니트릴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 설폭시드 용매 (예, 디메틸 설폭시드 등) 및 아미드 용매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상기한 것 중 두 가지 이상의 혼합 용매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특히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다.
화합물(Ⅵ)의 비대칭 환원 반응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약 0 ℃ 내지 약 180 ℃, 특히 약 20 ℃ 내지 약 100 ℃ 이다.
화합물(Ⅵ) 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바람직하게 염기를 첨가하여 수행된다. "염기" 로서 무기 염기가 바람직하다. 이 중,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이소프로폭시드, 포타슘 tert-부톡시드 등이 더 바람직하고, 포타슘 tert-부톡시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염기" 의 사용량은 화합물(Ⅵ) 1 mol 에 대해, 약 0.001 mmol 내지 약 10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0 mmol 이다.
또한, 화합물(Ⅵ) 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의 전이 금속 착물의 예에는,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니켈 또는 코발트인 전이 금속 착물이 포함된다.
2. 올레핀(1)의 비대칭 환원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5
[식 중, 고리 D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8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약제를 위한 합성 중간생성물로 유용한 광학 활성 화합물(Ⅸ)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에서 화합물(Ⅷ) 에 환원 반응(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여 수득될 수 있다.
고리 D 의 치환체로서,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임의 할로겐화 C1 -6 알킬기 (예, 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킬-카르보닐기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피발로일 등),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R8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C1 -6 알킬기" 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을 언급할 수 있다.
R8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의 "치환체"로서,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 -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포르밀, C1 -6 알킬-카르보닐기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러릴, 이소발러릴, 피발로일 등), C1 -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톡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카르복실, N-모노-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메틸카르바모일, N-에틸카르바모일, N-프로필카르바모일, 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부틸카르바모일, N-이소부틸카르바모일, N-tert-부틸카르바모일 등), N,N-디-C1 -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N,N-디메틸카르바모일, N,N-디에틸카르바모일, N,N-디프로필카르바모일, N,N-디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가 치환가능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화합물(Ⅷ) 및 화합물(Ⅸ) 의 염으로서, 상기 화합물(I) 및 화합물(Ⅳ) 의 염과 유사한 것이 사용된다.
화합물(Ⅷ)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Ⅷ) 1 mol 에 대해 약 0.01 mmol 내지 약 1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 mmol 이다.
화합물(Ⅷ)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수소 기체가 수소원으로 사용된다. 반응 중 수소압은 약 0.1 MPa 내지 10 MPa, 바람직하게 약 0.1 MPa 내지 5 MPa 이다.
화합물(Ⅷ)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에는,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 용매 (예,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 용매 (예,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에스테르 용매 (예,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케톤 용매 (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니트릴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 설폭시드 용매 (예, 디메틸 설폭시드 등) 및 아미드 용매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 중 2 가지 이상의 혼합 용매가 포함된다. 이 중,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특히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화합물(Ⅷ)의 비대칭 환원 반응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약 0 ℃ 내지 약 180 ℃, 특히 약 20 ℃ 내지 약 100 ℃ 이다.
또한, 화합물(Ⅷ)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의 것의 예에는,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니켈 또는 코발트인 전이 금속 착물이 포함된다.
3. 케톤(2)의 비대칭 환원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6
[식 중, 고리 E 및 고리 F 는 각각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9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광학 활성 화합물(XⅠ)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 화합물(X) 에 환원 반응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다.
고리 E 및 고리 F 가 가질 수 있는 치환체로서,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하이드록시기,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로 치환되는 C1-6 알킬기 (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로 치환되는 C1-6 알콕시기 (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및 C1-6 알콕시기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등) 등이 바람직하다.
R9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 의 "치환체" 로서, C1-6 알킬기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C1 -6 아실기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 보호기 (벤질옥시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치환체의 개수는 1 또는 2 이다.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X) 1 mol 에 대해 약 0.01 mmol 내지 약 1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 mmol 이다.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수소 기체가 수소원으로 사용된다. 반응 중 수소압은 약 0.1 MPa 내지 10 MPa, 바람직하게 약 0.1 MPa 내지 5 MPa 이다.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서,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 용매 (예,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 용매 (예,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에스테르 용매 (예,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케톤 용매 (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니트릴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 설폭시드 용매 (예, 디메틸 설폭시드 등) 및 아미드 용매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상기한 것 중 두 가지 이상의 혼합 용매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특히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다.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약 0 ℃ 내지 약 180 ℃, 특히 약 20 ℃ 내지 약 100 ℃ 이다.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바람직하게 염기를 첨가하여 수행된다. "염기" 로서 무기 염기가 바람직하다. 이 중,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이소프로폭시드, 포타슘 tert-부톡시드 등이 더 바람직하고, 포타슘 tert-부톡시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염기" 의 사용량은 화합물(X) 1 mol 에 대해 약 0.001 mmol 내지 약 10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0 mmol 이다.
또한, 화합물(X)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의 전이 금속 착물의 예에는,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니켈 또는 코발트인 전이 금속 착물이 포함된다.
4. 올레핀(2)의 비대칭 환원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7
[식 중, 고리 G 는 임의적으로 치환체(들)를 추가로 가지는 벤젠 고리이고, R10 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이고, R11 는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광학 활성 화합물(XⅢ)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 화합물(XⅡ)에 환원 반응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다.
R10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 로서, 상기 R9 에 있어서의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기" 와 유사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R11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로서, 상기 R8 에 있어서의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와 유사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화합물(XⅡ)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XⅡ) 1 mol 에 대해 약 0.01 mmol 내지 약 1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 mmol 이다.
화합물(XⅡ)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수소원으로 사용된다. 반응 중 수소압은 약 0.1 MPa 내지 10 MPa, 바람직하게 약 0.1 MPa 내지 5 MPa 이다.
화합물(XⅡ)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서,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 용매 (예,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 용매 (예,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에스테르 용매 (예,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케톤 용매 (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니트릴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 설폭시드 용매 (예, 디메틸 설폭시드 등) 및 아미드 용매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상기한 것 중 두 가지 이상의 혼합 용매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특히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화합물(XⅡ)의 비대칭 환원 반응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약 0 ℃ 내지 약 180 ℃, 특히 바람직하게 약 20 ℃ 내지 약 100 ℃ 이다.
또한, 화합물(XⅡ)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의 전이 금속 착물의 예에는,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니켈 또는 코발트인 전이 금속 착물이 포함된다.
5. 올레핀(3)의 비대칭 환원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8
[식 중, R12 R13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이고, * 는 비대칭 탄소의 위치를 나타냄].
광학 활성 화합물(XV)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존재하 화합물(XIV) 에 환원 반응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다.
R12 R13 에 있어서,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로서, 상기 R8 에 있어서의 "치환체(들)를 임의로 가지는 C1 -6 알킬기" 와 유사한 것을 언급할 수 있다.
화합물(XIV)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XIV) 1 mol 에 대해 약 0.01 mmol 내지 약 1 mol, 바람직하게 약 1 mmol 내지 약 10 mmol 이다.
화합물(XIV)의 비대칭 환원 반응에서, 수소 기체가 수소원으로 사용된다. 반응 중 수소압은 약 0.1 MPa 내지 10 MPa, 바람직하게 약 0.1 MPa 내지 5 MPa 이다.
화합물(XIV)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서,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 용매 (예, 헥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 용매 (예,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에스테르 용매 (예,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케톤 용매 (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니트릴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등), 설폭시드 용매 (예, 디메틸 설폭시드 등) 및 아미드 용매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서 선택되는 용매, 또는 상기한 것 중 두 가지 이상의 혼합 용매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중, 알코올 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 특히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화합물(XIV)의 비대칭 환원 반응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 약 0 ℃ 내지 약 180 ℃, 특히 바람직하게 약 20 ℃ 내지 약 100 ℃ 이다.
또한, 화합물(XIV)의 비대칭 환원 반응은,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 이외의 전이 금속 착물의 예에는,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니켈 또는 코발트인 전이 금속 착물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이 금속 착물은 상기 반응 이외에, β-케토에스테르의 비대칭 불소화 반응, 올레핀의 이성질체화 반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약제의 합성 중간생성물로서 유용한 광학 활성 화합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참조예를 참고로 자세하게 설명되나, 이에 제한하여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온은 10 ℃ 내지 35 ℃ 이다. 실시예에서 각 특성의 측정을 위해 하기 기구들이 사용되었다.
1H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1H-NMR): DPX300 (Bruker 사제), 내부 표준 물질: 테트라메틸실란 (TMS), CD2Cl2. 13C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13C-NMR): DPX300 (Bruker 사제), 내부 표준 물질: CDCl3, CD2Cl2. 31P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31P-NMR): DPX300 (Bruker 사제), 외부 표준 물질: 85 % H3PO4 수용액. 질량 분석: JMS-700T (JEOL Ltd. 사제). 원소 분석: vario EL (elementar 사제). 녹는점: 530 (Buchi 사제). 편광계: P-1030 (JASCO 사제).
TOF (moL/moL·h, 턴오버 주파수) 는 반응에 의해 소모되는 수소 압력의 변화를 기질 전환율로 전환하고, 주어진 시간에 전환된 기질의 양을 촉매의 양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참조예 1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S)-1,1'-비-2-나프톨 (26.2 g, 91 mmoL) 의 아세토니트릴 (130 mL) 중 용액에 피리딘 (19.5 g, 2.7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 (64.2 g, 2.5 당량) 을 5 ℃ 에서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5 내지 1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00 mL) 을 3 ℃ 에서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30 mL) 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물 (50 mL)
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50 mL) 및 활성탄 (0.25 g) 을 잔여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활성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헵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8.9 g, 백색 결정). 수율 97 %.
1H-NMR (300MHz, CDCl3, TMS) δ: 7.33 (d, 2H, J = 8.14 Hz), 7.34-7.46 (m, 2H), 7.57-7.63 (m, 2H), 7.68 (d, 2H, J = 9.09 Hz), 8.03 (d, 2H, J = 8.23 Hz), 8.16 (d, 2H, J = 9.08 Hz).
참조예 2
4-브로모-N,N,2,6-테트라메틸아닐린
Figure 112008027896071-pct00039
4-브로모-2,6-디메틸아닐린 (50 g, 0.250 moL) 및 포름산 (375 g, 32.6 당량) 의 용액에 37 % 포름알데하이드 (50.7 g, 2.5 당량) 를 23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및 5 % 소듐 하이드로젠 카보네이트 수용액 (500 mL) 를 잔여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물 (100 mL) 및 5 % 소듐 하이드로젠 카보네이트 수용액 (100 mL) 으로 연이어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혼합물을 자연적으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2.0 g, 무색 액체). 수율 91 %.
1H-NMR (300MHz, CDCl3, TMS) δ: 2.26 (s, 6H), 2.79 (s, 6H), 7.12 (s, 2H).
실시예 1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0
아르곤 대기하에서, 마그네슘 (2.4 g, 0.75 당량), 소량의 요오드 및 소량의 1,2-디브로모에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참조예 2 에서 합성한 4-브로모-N,N,2,6-테트라메틸아닐린 (31.2 g, 0.137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5 ℃ 내지 30 ℃ 에서 1 시간 동안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40 ℃ 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디에틸 포스파이트 (4.69 g, 0.25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 중 용액을 25 ℃ 내지 30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물 (60 mL) 을 혼합물에 0 ℃ 내지 5 ℃ 에서 첨가하고, 톨루엔 (100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물 (30 mL) 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100 g,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6 g, 무색 액체). 수율 40 %.
1H-NMR (300 MHz, CDCl3, TMS) δ: 2.30 (s, 12H), 2.82 (s, 12H), 7.28 (s, 2H), 7.33 (s, 2H), 7.89 (d, 1H, J = 474 Hz).
13C-NMR (75MHz, CDCl3, CDCl3) δ: 19.32, 19.38, 126.09, 127.46, 131.00, 131.17, 132.43, 132.56, 137.09, 137.27, 153.79.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2.51 (dquint, J = 474 Hz, 14 Hz).
실시예 2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1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1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4.6 g, 14 mmoL) 의 톨루엔 (30 mL) 중 용액에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71 mL, 5.4 당량) 을 실온에서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 (8.7 g, 10.8 당량)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20 g, 톨루엔) 로 정제하고 잔여물을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0 g, 백색 결정). 수율 65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30-1.75 (m, 3H), 2.28 (s, 12H), 2.81 (s, 12H), 5.44-5.51 (m, 0.5H), 6.70-6.76 (m, 0.5H), 7.23 (s, 2H), 7.28 (s, 2H).
13C-NMR (75MHz, CDCl3, CDCl3) δ: 19.70, 42.69, 121.39, 122.17, 133.62, 133.75, 137.76, 137.9, 153.46.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5- -1.5 (m), 0.2-1.2 (m).
실시예 3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2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0.17 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1.76 g, 3.21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2.14 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 mL) 중 용액에 실시예 2 에서 합성한 비 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2.52 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 실온에서 30 분 동안, 그리고 105 ℃ 에서 96 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86 g, 백색 결정). 수율 64 %. 녹는점 265 ℃. 광학 회전: [α]D = -76.5°(25 ℃, c = 1.00, CHCl3).
1H-NMR (300 MHz, CDCl3, TMS) δ: 2.04 (s, 12H), 2.07 (s, 12H), 2.74 (s, 24H), 6.63 (s, 2H), 6.66 (s, 2H), 6.73 (s, 1H), 6.76 (s, 1H), 6.84 (s, 2H), 6.86 (s, 3H), 7.27-7.33 (m, 3H), 7.54-7.58 (m, 2H), 7.78 (s, 1H), 7.83 (s, 1H), 7.86 (s, 1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19.01, 19.03, 42.43, 42.52, 125.03-137.14(m), 148.94, 149.87.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5.52 (s).
질량 분석 (EI-MS)
측정값; 905 [M-H]+
참조예 3
4-브로모-2,6-디에틸-N,N-디메틸아닐린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3
4-브로모-2,6-디에틸아닐린 (30 g, 0.131 moL) 및 포름산 (196 g, 4.27 moL) 의 용액에 37 % 포름알데하이드 (26.7 g, 2.5 당량) 를 37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 (100 mL) 및 8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150 mL) 을 혼합물에 0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1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50 mL) 및 물 (50 mL)로 연이어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9.4 g, 연한 황색 액체). 수율 88 %.
1H-NMR (300MHz, CDCl3, TMS) δ: 1.21 (t, 6H, J= 7.5Hz), 2.62 (q, 4H, J= 7.5Hz), 2.80 (s, 6H), 7.16 (s, 2H).
실시예 4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4
아르곤 대기하에서, 마그네슘 (2.8 g, 1.0 당량), 소량의 요오드 및 소량의 1,2-디브로모에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 중 용액을 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참조예 3 에서 합성한 4-브로모-2,6-디에틸-N,N-디메틸아닐린 (29.4 g, 0.115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0 ℃ 내지 25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40 ℃ 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디에틸 포스파이트 (4.01 g, 0.25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mL) 중 용액을 20 ℃ 내지 25 ℃ 에서 1 시간에 결쳐 첨가하였다. 물 (90 mL) 을 혼합물에 5 ℃ 내지 10 ℃ 에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100 g,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34 g, 무색 액체). 수율 72 %.
1H-NMR (300 MHz, CDCl3, TMS) δ: 1.20 (t, 12H, J= 8Hz), 2.67 (q, 8H, J= 8Hz), 2.83 (s, 12H), 7.38 (d, 4H, J= 14Hz), 7.98 (d, 1H, J= 474Hz).
13C-NMR (75MHz, CDCl3, CDCl3) δ: 15.18, 15.31, 25.01, 43.31, 43.40, 126.84, 127.01, 128.37, 129.35, 129.51, 131.00, 144.24, 144.42, 152.93, 152.97.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2.70 (dquint, J = 474 Hz, 14 Hz).
질량 분석 (EI-MS)
측정값; 400 [M]+
실시예 5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5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4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8.12 g, 20 mmoL) 의 톨루엔 (48 mL) 중 용액에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68 mL, 3.5 당량) 을 25 ℃ 내지 30 ℃ 에서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 (8.3 g, 7.0 당량)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50 g, 톨루엔)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1 g, 무색 오일). 수율 64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32-1.65 (m, 3H), 1.20 (t, 12H, J= 8Hz), 2.66 (q, 8H, J= 8Hz), 2.82 (s, 12H), 6.20 (dq, 1H, J= 376Hz, J= 7Hz), 7.34 (d, 4H, J= 12Hz).
13C-NMR (75MHz, CDCl3, CDCl3) δ: 15.24, 24.99, 25.59, 43.33, 67.91, 121.94, 122.71, 131.57, 131.70, 144.44, 144.58, 152.12, 152.16.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6- -1.5 (m), 0.2-1.2 (m).
실시예 6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6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0.28 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2.93 g, 5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3.61 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중 용액에 실시예 5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4.79 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105 ℃ 에서 9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30 g, 황색을 띠는 백색 분말). 수율 84 %. 광학 회전: [α]D = -32.2°(25 ℃, c = 1.01, CHCl3).
1H-NMR (300 MHz, CDCl3, TMS) δ: 1.00 (s, 24H), 2.43-2.45 (m, 16H), 2.74-2.76 (m, 24H), 6.46-8.01 (m, 20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15.48, 24.86, 24.97, 43.62, 43.75, 125.22-148.94(m).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4.44 (s).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1017 [M-H]+, 1019 [M+H]+, 1057 [M+K]+
참조예 4
4-브로모-2,6-디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닐린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7
2,6-디이소프로필아닐린 (25 g, 0.141 moL) 의 톨루엔 (25 mL) 중 용액에 디메틸 설폭시드 (12.1 g, 1.1 당량)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90 ℃ 로 가열하였다. 48 % 하이드로브롬산 수용액 (26.1 g, 1.1 당량) 을 혼합물에 동일한 온도에서 3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86 ℃ 에서 3 시간 동안, 그리고 10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 mL) 을 혼합물에 0 ℃ 에서 첨가하고, 1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30 mL)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1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50 mL)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4-브로모-2,6-디이소프로필아닐린 (29.4 g, 담황색 액체) 을 수득하였다. 37 % 포름알데하이드 (23.1 g, 2.5 당량) 를 상기 합성한 4-브로모-2,6-디이소프로필아닐린의 포름산 (189 g, 4.11 moL) 중 용액에 32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 (100 mL) 및 8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150 mL) 을 혼합물에 0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1M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50 mL) 및 물 (50 mL) 로 연이어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5.0 g, 무색 고체). 수율 95 %.
1H-NMR (300MHz, CDCl3, TMS) δ: 1.20 (d, 12H, J= 6.9Hz), 2.82 (s, 6H), 3.31(septet, 2H, J= 6.9Hz), 7.20 (s, 2H).
실시예 7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8
아르곤 대기하에서, 마그네슘 (2.4 g, 0.75 당량), 소량의 요오드 및 소량의 1,2-디브로모에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참조예 4 에서 합성한 4-브로모-2,6-디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닐린 (34.9 g, 0.123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5 ℃ 내지 35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40 ℃ 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디에틸 포스파이트 (4.23 g, 0.25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0 ℃ 내지 25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물 (30 mL) 을 혼합물에 5 ℃ 내지 10 ℃ 에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물 (30 mL) 을 여과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를 여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분할하였고,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95 g, 백색 고체). 수율 63 %.
1H-NMR (300 MHz, CDCl3, TMS) δ: 1.19 (dd, J = 7Hz, 1Hz, 24H), 2.84 (s, 12H), 3.35 (septet, J = 6Hz, 4H), 7.40 (d, J = 14Hz, 4H), 8.02 (d, 1H, J = 474 Hz).
13C-NMR (75MHz, CDCl3, CDCl3) δ: 24.14, 24.32, 28.34, 43.71, 43.92, 126.65, 126.81, 127.92, 129.27, 149.89, 150.06, 151.45, 151.49.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2.93 (dquint, J = 474 Hz, 14 Hz).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457 [M+H]+, 495 [M+K]+.
실시예 8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49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7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 옥사이드 (8.08 g, 18 mmoL) 의 톨루엔 (48 mL) 중 용액에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60 mL, 3.3 당량) 을 25 ℃ 내지 30 ℃ 에서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 (7.0 g, 6.3 당량)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5 g, 백색 결정). 수율 67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45-1.75 (m, 3H), 1.18 (dd, J = 7Hz, 2Hz, 24H), 2.83 (s, 12H), 3.33 (septet, J = 7Hz, 4H), 5.57-5.64 (m, 0.5H), 6.82-6.89 (m, 0.5H), 7.34 (d, J = 12Hz, 4H).
13C-NMR (75MHz, CDCl3, CDCl3) δ: 24.14, 24.32, 28.34, 43.71, 43.92, 126.65, 126.81, 127.92, 129.27, 149.89, 150.06, 151.46, 151.49.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6- -1.5 (m), 0.5-1.5 (m).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453 [M-H]+, 493 [M+K]+.
실시예 9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0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0.25 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2.63 g, 5.0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3.25 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6 mL) 중 용액에 실시예 8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보란 착물 (5.03 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105 ℃ 에서 9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26 g, 적색을 띠는 백색 결정). 수율 41 %. 녹는점 265 ℃. 광학 회전: [α]D = -2.7°(25 ℃, c = 1.00, CHCl3).
1H-NMR (300 MHz, CDCl3, TMS) δ: 0.97-1.19 (m, 48H), 2.74-2.85 (m, 24H), 3.10-3.32 (m, 8H), 6.63-7.85 (m, 20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24.07, 24.20, 28.13, 28.31, 44.09, 44.25, 127.52-147.94 (m).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4.90 (s).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1129 [M-H]+, 1131 [M+H]+, 1169 [M+K]+.
실시예 10
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1
질소 흐름하에서, 마그네슘 (5.3 g, 1.00 당량), 소량의 요오드 및 소량의 1,2-디브로모에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4-브로모-N,N-디에틸아닐린 (49.7 g, 0.217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5 ℃ 내지 35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 ℃ 에서 4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디에틸 포스파이트 (9.20 g, 0.30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0 ℃ 내지 25 ℃ 에서 15 분 동안 첨가하였다. 6M 염산 (30 mL) 및 물 (30 mL) 을 혼합물에 3 ℃ 내지 15 ℃ 에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를 여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물 (30 mL), 5 %-소듐 하이드로젠 카보네이트 수용액 (30 mL) 및 포화 염수 (30 mL) 으로 연이어 세정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n-헵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9.82 g, 백색 결정). 수율 87 %. 녹는점 129.1 ℃.
1H-NMR (300 MHz, CDCl3, TMS) δ: 1.16 (t, J = 7 Hz, 12H), 3.28 (q, J = 7 Hz, 8H), 6.67 (dd, J = 2 Hz, 6 Hz, 4H), 7.47 (dd, J = 13 Hz, 9 Hz, 4H), 7.93 (d, J = 468 Hz, 1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12.82, 44.71, 111.20, 111.37, 116.02, 117.51, 132.79, 132.96, 150.66, 150.68.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2.70 (dquint, J = 468 Hz, 13 Hz).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345 [M+H]+, 367 [M+Na]+, 383 [M+K]+.
실시예 11
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2
질소 흐름하에서, 실시예 10 에서 합성한 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3.76 g, 10 m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5 mL) 중 용액에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35 mL, 3.3 당량) 을 25 ℃ 내지 30 ℃ 에서 2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 (6.3 g, 9.7 당량)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 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8 g, 백색 결정). 수율 49 %. 녹는점 108.5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50-1.50 (m, 3H), 1.14 (t, J = 7 Hz, 12H), 3.34 (q, J = 7 Hz, 8H), 5.53-5.59 (m, 0.5H), 6.62-6.66 (m, 4H), 6.77-6.84 (m, 0.5H), 7.41-7.48 (m, 4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12.42, 44.28, 109.64, 110.52, 111.27, 111.42, 134.12, 134.26, 149.62.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7.7 - -4.7 (m), -4.6 - -1.7 (m).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341 [M-H]+, 343 [M+H]+, 365 [M+Na]+. 381 [M+K]+.
실시예 12
(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3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0.13 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 1,1'-비나프틸 (1.31 g, 2.3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1.60 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 용액에 실시예 11 에서 합성한 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1.86 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105 ℃ 에서 1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49 g, 진한 회색 분말). 수율 23 %. 광학 회전: [α]D = -22.8°(25 ℃, c = 0.20, CHCl3).
1H-NMR (300 MHz, CDCl3, TMS) δ: 1.07-1.16 (m, 24H), 3.21-3.36 (m, 16H), 6.30-7.92 (m, 28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13.10, 13.13, 44.66, 111.68, 112.09, 125.42, 125.85, 127.74, 127.99, 128.19, 130.84, 133.34, 133.94, 134.72, 134.85, 135.00, 136.17, 136.32, 136.48, 148.02.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7.86 (s).
질량 분석 (EI-MS)
측정값; 906 [M+], 905 [M-H]+.
참조예 5
N-(4-브로모페닐)피롤리딘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4
N-페닐피롤리딘 (73.8 g, 0.501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0 mL) 중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124.8 g, 1.4 당량) 를 20 ℃ 내지 30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mol/L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300 mL) 을 혼합물에 27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7.4 g, 갈색 결정). 수율 86 %. 녹는점 88.1 ℃.
1H-NMR (300 MHz, CDCl3, TMS) δ: 1.94-2.02 (m, 4H), 3.19-3.26 (m, 4H), 6.39(d, J = 8 Hz, 2H), 7.25(d, J = 8 Hz, 2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25.95, 48.14, 113.66, 132.15.
질량 분석 (EI-MS)
측정값; 225 [M]+, 224 [M-H]+.
실시예 13
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5
질소 흐름하에서, 마그네슘 (9.7 g, 1.0 당량), 소량의 요오드 및 소량의 1,2-디브로모에탄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0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참조예 5 에서 합성한 N-(4-브로모페닐)피롤리딘 (90.5 g, 0.400 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 mL) 중 용액을 20 ℃ 내지 40 ℃ 에서 1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 ℃ 에서 4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디에틸 포스파이트 (16.80 g, 0.30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 mL) 중 용액을 혼합물에 20 ℃ 내지 30 ℃ 에서 15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6M 염산 (60 mL) 및 물 (60 mL) 혼합물에 -15 ℃ 내지 10 ℃ 에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 및 아세톤 (100 mL) 을 여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분할하고, 유기층을 포화 염수 (60 mL) 로 2 회 세정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91 g, 담황색 백색 결정). 수율 7 %. 녹는점 199.0 ℃.
1H-NMR (300 MHz, CDCl3, TMS) δ: 1.98-2.02 (m, 8H), 3.28-3.32 (m, 8H), 6.54-6.57 (m, 4H), 7.44-7.51 (m, 4H), 7.95 (d, J = 468 Hz, 1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25.84, 47.84, 111.64, 111.82, 116.26, 117.76, 132.68, 132.85, 150.57.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3.28 (dquint, J = 468 Hz, 13 Hz).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340 [M]+, 339 [M-H]+.
실시예 14
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6
질소 흐름하에서, 실시예 13 에서 합성한 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50 g, 7.34 mmoL)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mL) 중 용액에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29 mL, 3.9 당량) 을 25 ℃ 내지 30 ℃ 에서 2.4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후, 실리카겔 (10.0 g, 22.6 당량)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25 g, 디클로로메탄)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7 g, 백색 결정). 수율 27 %. 녹는점 178.3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35-1.55 (m, 3H), 1.90-2.03 (m, 8H), 3.23-3.30 (m, 8H), 5.55-5.61 (m, 0.5H), 6.52-6.55 (m, 4H), 6.79-6.86 (m, 0.5H), 7.42-7.48 (m,4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25.43, 47.42, 110.01, 110.89, 111.69, 111.84, 133.97, 134.11, 149.61.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6.7- -4.7 (m), -3.1- -1.1 (m).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338 [M]+, 337 [M-H]+.
실시예 15
(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7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34.3 m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358.9 mg, 0.65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440.5 m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 중 용액에 실시예 14 에서 합성한 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핀-보란 착물 (512.0 m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105 ℃ 에서 12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67.0 mg, 진한 회색 분말). 수율 62 %. 광학 회전: [α]D = -185°(25 ℃, c = 0.20, CHCl3).
1H-NMR (300 MHz, CDCl3, TMS) δ: 1.91-2.00 (m, 16H), 3.20-3.30 (m, 16H), 6.26-7.83 (m,28H).
13C-NMR (75 MHz, CDCl3, CDCl3) δ: 25.90, 47.88, 111.80, 111.85, 111.99, 125.69, 126.13, 127.91, 128.18, 131.03, 133.44, 134.48, 134.62, 134.76, 136.12, 147.56, 148.18.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7.45 (s).
질량 분석 (FAB-MS)
측정값; 898 [M]+, 897 [M-H]+.
실시예 16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100.9 mg, 0.202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79.5 mg, 0.418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52 g, 적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6.3(s), 27.0(s), 34.1(d, J=28Hz), 44.8(d, J=28Hz), 48.2(d, J=36Hz), 64.2(s), 71.5(s).
실시예 17
디아세토{(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의 합성
[Ru(OAc)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16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 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 (502.2 mg, 0.435 mmoL) 에 소듐 아세테이트 (637.3 mg, 7.77 mmoL) 의 메탄올 (6 mL) 중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고 20 분 동안 반응하도록 정치시켰다. 톨루엔 (6 mL) 및 물 (6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물 (6 mL) 을 유기층에 추가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의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여물을 톨루엔/n-헥산 혼합 용매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56 mg, 오렌지색 분말). 수율 62 %.
1H-NMR (300 MHz, CD2Cl2, CD2Cl2) δ: 1.77 (s, 12H), 1.85 (s, 6H), 2.34 (s, 12H), 2.52 (s, 12H), 2.90 (s, 12H), 6.6-6.7 (m, 4H), 6.7-6.8 (m, 2H), 6.9-7.1 (m, 2H), 7.2-7.3 (m, 2H), 7.3-7.4 (m, 2H), 7.5-7.6 (m, 2H), 7.6-7.7 (m, 2H).
13C-NMR (75 MHz, CD2Cl2, CD2Cl2) δ: 13.8, 18.7, 19.4, 22.6, 23.2, 31.5, 42.2, 124.5, 126.1, 126.6, 127.2, 127.3, 127.6, 128.1, 128.2, 128.6, 128.9, 129.8, 130.1, 130.4, 132.8, 133.0, 134.0, 134.1, 134.2, 135.4, 135.5, 135.6, 135.7, 138.2, 149.8, 150.9, 187.2.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61.4 (s).
실시예 18
η6-벤젠 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 클로라이드의 합성
[RuCl(벤젠)(L)]C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99.1 mg, 0.198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65.6 mg, 0.403 mmoL) 에 에탄올 (45 mL) 및 벤젠 (6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5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갑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30 mg, 갈색 분말). 수율 93 %.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7.3 (d, J= 62.2Hz), 34.5 (d, J= 62.4Hz).
실시예 19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비스(η3-2-메틸알릴)루테늄(Ⅱ)의 합성
[Ru(2-메틸알릴)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비스(η3-2-메틸알릴)루테늄(Ⅱ) (160.8 mg, 0.503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52.4 mg, 0.499 mmoL) 에 톨루엔 (2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 ℃ 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톨루엔 (1 mL) 및 n-헥산 (5 mL) 으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0 mg, 황색 분말). 수율 14 %.
1H-NMR (300 MHz, CD2Cl2, CD2Cl2) δ: 1.51 (s, 2H), 1.70 (s, 12H), 2.17 (s, 6H), 2.23 (s, 12H), 2.27 (s, 4H), 2.30-2.50 (m, 14H), 2.82 (s, 12H), 6.2-6.3 (m, 4H), 7.1-7.3 (m, 4H), 7.3-7.4 (m, 2H), 7.5-7.6 (m, 10H).
13C-NMR (75 MHz, CD2Cl2, CD2Cl2) δ: 13.7, 18.8, 18.9, 24.1, 37.4, 41.5, 41.9, 42.2, 93.7, 124.3, 125.3, 125.4, 127.1, 128.1, 130.2, 132.2, 132.6, 132.9, 134.1, 134.7, 136.2, 137.0, 143.2, 148.8, 149.5.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34.5 (s).
실시예 20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온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8
실시예 16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 (2.2 mg, 0.00195 mmoL), (2S)-(+)-1,1-비스(4-메톡시페닐)-3-메틸-1,2-부탄디아민 (2.4 mg, 0.0078 mmoL) 및 포타슘 tert-부톡시드 (1.7 mg, 0.0156 mmoL) 의 2-프로판올 (1 mL) 중 용액에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온 (0.05 g, 0.195 mmoL) 의 2-프로판올 (1 mL) 중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 MPa 수소압하 25 ℃ 에서 12 시간 동안 수소화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G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SIL-DEX CB, 0.32 mm×25 m) 전환율 99.6 % 및 광학 순도 94.6 %ee(R) 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온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59
실시예 16 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 (1.7 mg, 0.00195 mmoL), (2S)-(+)-1,1-비스(4-메톡시페닐)-3-메틸-1,2-부탄디아민 (2.4 mg, 0.0078 mmoL) 및 포타슘 tert-부톡시드 (1.7 mg, 0.0156 mmoL) 의 2-프로판올 (1 mL) 중 용액에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온 (0.05 g, 0.195 mmoL) 의 2-프로판올 (1 mL) 중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 MPa 수소압하 25 ℃ 에서 12 시간 동안 수소화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G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SIL-DEX CB, 0.32 mm×25 m) 전환율 60.8 % 및 광학 순도 62.9 %ee(R) 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2-(6-메톡시-3,4-디하이드로-나프탈렌-2-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0
실시예 17 에서 합성한 디아세토{(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 (9.2 mg, 0.00817 mmoL) 및 2-(6-메톡시-3,4-디하이드로-나프탈렌-2-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114 g, 20.42 mmoL) 의 에탄올 (40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MPa 수소압하 25 ℃ 에서 수소화 처리하였다. TOF (moL/moL·h, 턴오버 주파수) 는 1538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HPL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LCEL-OD, 4.6 mm×25 cm) 전환율 99.9 % 및 광학 순도 98.1 %ee(+) 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2
2-(6-메톡시-3,4-디하이드로-나프탈렌-2-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1
실시예 17 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디아세토{(S)-2,2'-비스[비스(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 (10.2 mg, 0.01069 mmoL) 및 2-(6-메톡시-3,4-디하이드로-나프탈렌-2-일)-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332 g, 20.52 mmoL) 의 에탄올 (40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MPa 수소압하 25 ℃ 에서 수소화처리하였다. TOF (moL/moL·h, 턴오버 주파수) 는 844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HPL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LCEL-OD, 4.6 mm×25 cm) 전환율 99.9 % 및 광학 순도 98.4 %ee(+) 를 확인하였다.
참조예 6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2
아르곤 대기하에서, 마그네슘 (3.0 g, 1.0 당량) 및 소량의 요오드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브로모-N,N-디메틸아닐린 (25 g, 0.125 moL) 을 45 ℃ 에서 첨가한 후, 혼합물을 5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포스파이트 (8.63 g, 0.50 당량) 를 5 ℃ 에서 첨가한 후, 혼합물을 5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30 mL) 을 혼합물에 3 ℃ 에서 첨가하고, 톨루엔 (60 mL) 및 6M 염산 (30 mL) 을 여기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분할하고, 수성층을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로 중화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 으로 추출하였다. 그 후,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53 g, 연갈색을 띠는 백색 결정). 수율 52.9 %. 녹는점 152.1 ℃.
1H-NMR (300 MHz, CDCl3, TMS) δ: 3.01 (s, 12H), 6.71 (d, 2H, J = 8.94 Hz), 6.72 (d, 2H, J = 8.94 Hz), 7.48 (d, 2H, J = 8.91 Hz), 7.52 (d, 2H, J = 8.88 Hz), 7.96 (d, 1H, J = 470.1 Hz).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22.78 (dquint, J = 469.2 Hz, 12.7 Hz).
C16H21N2OP 에 대한 원소 분석
이론값; C: 66.65, H: 7.34, N:9.72, P:10.74.
측정값; C: 66.56, H: 7.43, N:9.57, P:10.79.
참조예 7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3
아르곤 대기하에서, 세륨 클로라이드 (7.69 g, 3.0 당량)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mL) 중 용액을 실온에서 (25 ℃)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1.22 g, 3.1 당량) 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참조예 6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3.0 g, 10.4 mmoL) 및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0.47 g, 1.2 당량) 를 연이어 혼합물에 5 ℃ 에서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 mL) 을 혼합물에 3 ℃ 에서 첨가하고, 톨루엔 (40 mL) 및 6M 염산 (10 mL) 을 여기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로 중화시키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수성층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5 % 염수 (20 mL) 로 연이어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자연적으로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5 g,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 로 정제하였다. 잔여물을 n-헵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61 g, 백색 결정). 수율 20.5 %. 녹는점 142.6 ℃.
1H-NMR (300 MHz, CDCl3, TMS) δ: 0.43-1.33 (m, 3H), 3.03 (s, 12H), 6.26 (dq, 1H, J = 375.1 Hz, 6.57 Hz), 7.51 (d, 4H, J = 8.81 Hz), 7.54 (d, 4H, J = 8.81 Hz).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6.40- -4.73 (m), -3.33- -1.66 (m).
참조예 8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4
아르곤 대기하에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디클로로니켈 (48 mg, 0.1 당량), 참조예 1 에서 합성한 (S)-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1'-비나프틸 (507 mg, 0.92 mmoL) 및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620 mg, 6.0 당량)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중 용액에 참조예 7 에서 합성한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606 mg, 2.3 당량) 을 실온에서 첨가하 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110 ℃ 에서 129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탄올을 잔여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61 mg, 황-백색 결정). 수율 62.9 %.
1H-NMR (300 MHz, CDCl3, TMS) δ: 2.88 (s, 24H), 6.43 (d, 4H, J = 6.79 Hz), 6.50-6.59 (m, 4H), 6.77-7.03 (m, 12H), 7.18-7.26 (m, 2H), 7.51 (d, 2H, J = 7.13 Hz), 7.78 (d, 2H, J = 7.56 Hz), 7.83 (d, 2H, J = 8.28 Hz).
31P-NMR (121 MHz, CDCl3, 85 % H3PO4) δ: -18.00 (s).
실시예 22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99.9 mg, 0.1997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19.2 mg, 0.4015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485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4.4(s), 63.4(s), 73.5(s), 74.4(s).
실시예 23
디아세토{(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의 합성
[Ru(OAc)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22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 (105.9 mg, 0.102 mmoL) 에 소듐 아세테이트 (320.1 mg, 3.9 mmoL) 의 메탄올 (5 mL) 중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20 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톨루엔 (5 mL) 및 물 (5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톨루엔 (5 mL) 을 수성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물 (5 mL) 을 모든 유기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의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여물을 톨루엔/n-헥산 (10 mL) 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0.2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60.6 (s).
실시예 24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152.2 mg, 0.3043 mmoL) 및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616.0 mg, 0.604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7905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31.7(s), 39.9(d, J=26.1Hz), 46.2(d, J=26.5Hz), 50.2(q), 51.2(s), 66.7(s), 68.1(s).
실시예 25
디아세토{(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의 합성
[Ru(OAc)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24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 아미드 착물 (128.6 mg, 0.102 mmoL) 에 소듐 아세테이트 (318.3 mg, 3.880 mmoL) 의 메탄올 (5 mL) 중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20 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톨루엔 (5 mL) 및 물 (5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톨루엔 (5 mL) 을 수성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물 (5 mL) 을 모든 유기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의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6.2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63.9 (s).
실시예 26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66.5 mg, 0.1330 mmoL) 및 실시예 9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00.5 mg, 0.2656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3792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34.5(s), 44.0(s).
실시예 27
디아세토{(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의 합성
[Ru(OAc)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26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 (146.5 mg, 0.1046 mmoL) 에 소듐 아세테이트 (322.6 mg, 3.933 mmoL) 의 메탄올 (5 mL) 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여 20 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톨루엔 (5 mL) 및 물 (5 mL)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톨루엔 (5 mL) 을 수성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물 (5 mL) 을 모든 유기층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할하였다. 유기층의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2.3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65.5 (s).
실시예 28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 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26.6 mg, 0.0532 mmoL) 및 실시예 12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97.7 mg, 0.1077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40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51.2(s).
실시예 29
디클로로{(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N,N-디메틸포름아미드 착물의 합성
[RuCl2(L)(dmf)n] L=(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27.0 mg, 0.054 mmoL) 및 실시예 15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97.3 mg, 0.1082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45 m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52.6(s).
실시예 30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비스(η3-2-메틸알릴)루테늄(Ⅱ)의 합성
[Ru(2-메틸알릴)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비스(η3-2-메틸알릴)루테늄(Ⅱ) (19.4 mg, 0.0607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55.0 mg, 0.0692 mmoL) 에 톨루엔 (2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10 ℃ 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갑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8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38.2 (s).
실시예 31
6-벤젠)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 클로라이드의 합성
[RuCl(벤젠)(L)]C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50.9 mg, 0.102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61.4 mg, 0.203 mmoL) 에 에탄올 (5 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5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갑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25.4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6.0(d, J= 63.3Hz), 33.1 (d, J= 62.7Hz).
실시예 32
디에틸암모늄 {트리-μ-클로로비스[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네이트(Ⅱ)]} 의 합성
(NH2Et2)[{RuCl(L)}2(μ-Cl)3]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31 에서 합성한 (η6-벤젠)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Ⅱ) 클로라이드 (100.6 mg, 0.097 mmoL) 및 디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1.6 mg, 0.106 mmoL) 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 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갑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0.8 mg, 갈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7.3(d, J=37.5Hz), 52.4 (d, J= 38.8Hz).
실시예 33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루테늄(Ⅱ)
[RuCl2(L)(X)]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X=(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21.2 mg, 0.042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70.3 mg, 0.088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18.8 mg, 0.089 mmoL) 의 2-프로판올 (5 mL) 중 용액을 수득한 화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3.1 mg, 황토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2.6(s).
실시예 34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루테늄(Ⅱ)의 합성
[RuCl2(L)(X)]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X=(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50.4 mg, 0.101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91.1 mg, 0.211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44.4 mg, 0.209 mmoL) 의 2-프로판올 (7 mL) 중 용액을 수득한 화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6.7 mg, 황토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2.6(s).
실시예 35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루테늄(Ⅱ)의 합성
[RuCl2(L)(X)]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 피노]-1,1'-비나프틸, X=(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클로로루테늄(Ⅱ)] (13.8 mg, 0.028 mmoL) 및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57.9 mg, 0.057 mmoL) 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6.1 mg, 0.029 mmoL) 의 2-프로판올 (5 mL) 중 용액을 수득한 화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75.9 mg, 황토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5.0(s).
실시예 36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루테늄(Ⅱ)의 합성
[RuCl2(L)(X)]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X=(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6-벤젠) 클로로루테늄(Ⅱ)] (19.8 mg, 0.040 mmoL) 및 실시예 9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90.8 mg, 0.080 mmoL) 에 N,N-디 메틸포름아미드 (2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19.0 mg, 0.090 mmoL) 의 2-프로판올 (5 mL) 중 용액을 수득한 화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5.4 mg, 황토색 분말).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47.7(s).
실시예 37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Rh(cod)(L)]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48.0 mg, 0.0973 mmoL) 및 은 퍼클로레이트 (43.4 mg, 0.209 mmoL) 에 아세톤 (7.5 mL)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56.1 mg, 0.196 mmoL)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312 g).
1H-NMR (300 MHz, CD2Cl2, CD2Cl2) δ: 2.8(s, 12H), 3.1(s, 12H), 4.6(m, 2H), 4.9(m, 2H), 5.9(d, 4H, J=7.6Hz), 6.5(d, 2H, J=8.5Hz), 6.8(d, 4H, J=8.6Hz), 6.9(m, 2H), 7.1(m, 4H), 7.3-7.5(m,6H), 7.6-7.7(m, 4H), 7.8-7.9(m, 2H).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1.6(s), 22.8(s).
실시예 38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Rh(cod)(L)]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101.6 mg, 0.206 mmoL) 및 은 퍼클로레이트 (86.7 mg, 0.418 mmoL) 에 아세톤 (2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75.1 mg, 0.413 mmoL)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5427 g).
1H-NMR (300 MHz, CD2Cl2, CD2Cl2) δ: 1.9(s, 12H), 2.3(s, 12H), 2.2-2.5(m, 8H), 2.6(s, 12H), 2.9(s, 12H), 4.61(mb, 2H), 4.9(mb, 2H), 6.5(d, 2H, J=8.6Hz), 6.9-7.0(m, 4H), 7.0-7.1(m, 2H), 7.1-7.2(m, 4H), 7.3-7.4(m, 2H), 7.7-7.9(m, 6H).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2.9(s), 24.1(s).
실시예 39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
[Rh(cod)(L)]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47.2 mg, 0.0957 mmoL) 및 은 퍼클로레이트 (40.0 mg, 0.193 mmoL) 에 아세톤 (1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98.8 mg, 0.195 mmoL)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7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5.2(s), 26.4(s).
실시예 40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Ru(cod)(L)]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25.2 mg, 0.0511 mmoL) 및 은 퍼클로레이트 (21.3 mg, 0.103 mmoL) 에 아세톤 (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실시예 9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22.2 mg, 0.108 mmoL)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51 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6.2(s), 27.4(s).
실시예 41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Rh(cod)(L)]OTf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9.3 mg, 0.1053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95.5 mg, 0.1053 mmoL) 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40 ℃ 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34 mg).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2.9(s), 24.1(s).
실시예 42
(π-알릴){(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Pd(π-알릴)(L)]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 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π-알릴)팔라듐(Ⅱ)] (13.15 mg, 0.05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90.7 mg, 0.1 mmol) 을 메탄올 (2 mL) 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 (2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조작을 2 회 반복하였다. 리튬 퍼클로레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 (16 mg, 0.1 mmol) 의 메탄올 (2 mL) 중 용액을 여기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2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87 mg). 수율 75.2 %.
1H-NMR (300 MHz, CDCl3) δ: 1.81 (d, J = 8.0 Hz, 12 H), 2.34 (d, J = 5.8 Hz, 12 H), 2.56 (d, J = 4.1 Hz, 12 H), 2.87 (d, J = 3.7 Hz, 12 H), 2.94-3.02 (m, 1 H), 3.93-4.25 (m, 3 H), 5.67-5.79 (m, 1 H), 6.42 (d, J = 8.5 Hz, 1 H), 6.50 (d, J = 12.7 Hz, 2 H), 6.61 (d, J = 8.7 Hz, 1 H), 6.76 (d, J = 12.9 Hz, 2 H), 6.98-7.11 (m, 2 H), 7.25-7.42 (m, 8 H), 7.60-7.67 (m, 4 H).
13C-NMR (75 MHz, CDCl3) δ: 19.1, 19.7, 42.2, 42.4, 126.0, 126.2, 126.5, 126.6, 126.9, 127.1, 127.3, 127.6, 127.8, 128.2, 133.4, 133.7, 133.9, 134.1, 135.1, 135.4, 135.6, 135.8, 136.0, 137.0, 137.1, 137.2, 152.3
31P-NMR (121.5 MHz, CDCl3) δ: 20.0 (d, J = 49.3 Hz), 22.6 (d, J = 49.1 Hz).
MS (FAB), m/z = 1053 (M+).
실시예 43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의 합성
[PdCl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비스(아세토니트릴)팔라듐(Ⅱ) (104 mg, 0.40 mmol) 의 벤젠 (4 mL) 중 용액에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63 mg, 0.40 mmol) 의 벤젠 (4 mL) 중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40 mg).
1H-NMR (300 MHz, CDCl3) δ: 1.83 (s, 12 H), 2.29 (s, 12 H), 2.57 (s, 12 H), 2.82 (s, 12 H), 6.59 (d, J = 8.5 Hz, 2 H), 7.04-7.50 (m, 14 H), 7.58-7.63 (m, 4 H).
31P-NMR (121.5 MHz, CDCl3) δ 28.5 (s).
MS (FAB), m/z = 1081 (M-H+), m/z = 1047 (M-Cl+).
실시예 44
{디-μ-하이드록소비스[[(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Pd(L)}2(μ-OH)2](BF4)2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43 에서 합성한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108.4 mg, 0.10 mmol) 을 디클로로메탄 (10.8 mL), 물 (1 mL), 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38.9 mg, 0.20 mmol) 및 분자체 4A (1.5 g) 과 함게 실온에서 에서 29 시간 동안 교반하고,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의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7 mg). 수율 60.0 %.
1H-NMR (300 MHz, CDCl3) δ: -2.88 (s, 2 H), 1.98 (br s, 24 H), 2.08 (s, 24 H), 2.45 (s, 24 H), 2.63 (s, 24 H), 6.26 (d, J = 8.6 Hz, 4 H), 6.98-7.12 (m, 20 H), 7.28-7.39 (m, 8 H), 7.73 (d, J = 8.2 Hz, 4 H), 7.83 (d, J = 8.7 Hz, 4 H).
31P-NMR (121.5 MHz, CDCl3) δ: 28.4 (s).
실시예 45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 스피노]-1,1'-비나프틸}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Ir(cod)(L)]BF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9.9 mg, 0.020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5.7 mg, 0.020 mmoL) 에 디클로로메탄 (1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12.8(s).
실시예 46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Ir(cod)(L)]BF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0.9 mg, 0.022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0.1 mg, 0.022 mmoL) 에 디클로로메탄 (1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14.1(s).
실시예 47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Ir(cod)(L)]BF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0.7 mg, 0.022 mmoL) 및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0 mg,0.022 mmoL) 에 디클로로메탄 (1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15.4(s).
실시예 48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Ir(cod)(L)]BF4 L=(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9.5 mg, 0.019 mmoL) 및 실시예 12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7.4 mg, 0.019 mmoL) 에 디클로로메탄 (1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12.5(s).
실시예 49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Ir(cod)(L)]BF4 L=(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이리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5.2 mg, 0.011 mmoL) 및 실시예 15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3.3 mg, 0.011 mmoL) 에 디클로로메탄 (1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 하였다.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13.1(s).
실시예 50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비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Cu(L)(CH3CN)2]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퍼클로레이트 (163 mg, 0.50 mmol),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54 mg, 0.50 mmol) 및 디클로로메탄 (2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5 ℃ 감압하에서 농축시킨 후, 농축물을 진공, 실온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65 mg) (황색 결정, 수율 98.1 %).
1H-NMR (300 MHz, CDCl3) δ: 1.76 (s, 12 H), 2.29 (s, 6 H), 2.35 (s, 12 H), 2.52 (s, 12 H), 2.86 (s, 12 H), 6.59-6.63 (m, 6 H), 6.99-7.04 (m, 2 H), 7.16-7.32 (m, 4 H), 7.46-7.61 (m, 8 H).
31P-NMR (121.5 MHz, CDCl3) δ: -2.04 (s).
실시예 51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비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Cu(L)(CH3CN)2]ClO4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I) 퍼클로레이트 (163 mg, 0.50 mmol),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97 mg, 0.50 mmol) 및 디클로로메탄 (2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25 ℃ 감압하에서 농축시킨 후, 농축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23 mg) (황색 결정, 수율 100.5 %).
31P-NMR (121.5 MHz, CDCl3) δ: -3.0 (s).
실시예 52
디클로로{(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의 합성
[PdCl2(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비스(아세토니트릴)팔라듐(Ⅱ) (52 mg, 0.20 mmol),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59 mg, 0.20 mmol) 및 벤젠 (24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하 25 ℃ 에서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진공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5 mg) (오렌지색 결정, 수율 59.1 %).
1H-NMR (300 MHz, CDCl3) δ: 2.7 (s, 12 H), 3.0 (s, 12 H), 5.9 (d, J = 7.8 Hz, 4 H), 6.7 (d, J = 7.5 Hz, 4 H), 6.8 (d, J = 8.6 Hz, 2 H), 7.1 (t, J = 7.4 Hz, 2 H), 7.3-7.5 (m, 10 H), 7.6 (d, J = 8.1 Hz, 2 H), 7.6-7.7 (m, 4 H).
31P-NMR (121.5 MHz, CDCl3) δ: 27.4 (s).
MS(FAB) m/z=969(M-H+), m/z=935(M-Cl+).
실시예 53
2-아미노-5-클로로-2',3'-디메톡시벤조페논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5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클로로(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루테늄(Ⅱ) (119.7 mg, 0.43 mmol) 및 실시예 3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29.8 mg, 0.47 mmol) 에 톨루엔 (7.5 mL) 및 트리에틸아민 (0.3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35 ℃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며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잔여물 (24.3 mg, 10.71 μmol) 및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S,S)-DPEN) (49.0 mg, 68.8 μmol) 에 2-프로판올/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11) 혼합물 (1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아미노-5-클로로-2',3'-디메톡시벤조페논 (6.25 g, 21.42 mmol)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47.7 mg, 0.85 mmol) 에 부어 넣고, 혼합물을 1 MPa 수소압하 23 ℃ 에서 수소화 처리하였다. TOF (mmoL/μmoL·h, 턴오버 주파수) 는 29.0×10- 3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HPL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LCEL OJ-RH, 4.6 mm×15 cm) 광학 순도 96.0 %ee(S) 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
2-아미노-5-클로로-2',3'-디메톡시벤조페논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6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클로로(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루테늄(Ⅱ) (149.6 mg, 0.53 mmol) 및 (S)-2,2'-비스[비스(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33.7 mg, 0.59 mmol) 에 톨루엔 (9 mL) 및 트리에틸아민 (0.45 mL) 을 첨 가하고, 혼합물을 135 ℃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며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잔여물 (20.6 mg, 10.71 μmol) 및 (1S,2S)-(-)-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S,S)-DPEN) (49.0 mg, 68.8 μmol) 에 2-프로판올/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11) 혼합물 (15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아미노-5-클로로-2',3'-디메톡시벤조페논 (6.25 g, 21.42 mmol)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47.7 mg, 0.85 mmol) 에 부어 넣고, 혼합물을 1.0 MPa 수소압하 23 ℃ 에서 수소화 처리하였다. TOF (mmoL/μmoL·h, 턴오버 주파수) 는 10.0×10- 3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HPLC 로 분석하여 (컬럼: CHIRALCEL OJ-RH, 4.6 mm×15 cm) 광학 순도 96.0 %ee(S)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4
에틸 (Z)-3-아세틸아미노-3-페닐-아크릴레이트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7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 mg, 0.0023 mmol) 및 실시예 12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0 mg, 0.0033 mmol) 에 메탄올 (2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Z)-3-아세틸아미노-3-페닐-아크릴레이트 (37.4 mg, 0.160 mmol) 의 메탄올 (0.5 mL) 중 용액과 1 MPa 수소압하 25 ℃ 에서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컬럼: CHIRALCEL OJ-H) 광학 순도 50.9 %ee(R) 임을 확인하였다. 전환율을 1H-NMR 로 분석하여 100 %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5-58
실시예 54 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3, 6 및 15, 및 참조예 8 의 광학 활성 리간드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리간드 ee, % 전환율 % 절대 배열
55 실시예 3 72.8 100 R
56 참조예 8 60.4 100 R
57 실시예 6 76.3 100 R
58 실시예 15 42.3 100 R
비교예 4
에틸 (Z)-3-아세틸아미노-3-페닐-아크릴레이트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8
실시예 54 의 방법에 따라, 리간드로서 (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INAP) 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광학 순도는 36.9 %ee(R) 이었다. 전환율을 1H-NMR 로 분석하여 100 %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9
이타콘산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69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0 mg, 0.0021 mmol) 및 참조예 8 에서 합성한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4.6 mg, 0.0058 mmol) 에 메탄올 (4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타콘산 (21.8 mg, 0.168 mmol) 의 메탄올 (1 mL) 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 MPa 수소압하 25 ℃ 에서 15 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2 mL 의 반응 혼합물을 취하고, 황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메틸화 용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컬럼: βDEX-225 (0.25 mm i.d.×30 m, 0.25 μm)) 전환율 100 %, 및 광학 순도 56.2 %ee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0-63
실시예 59 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3, 6, 12 및 15 의 광학 활성 리간드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리간드 ee, % 전환율 % 절대 배열
60 실시예 3 61.9 100 R
61 실시예 6 29.9 100 R
62 실시예 12 64.1 100 R
63 실시예 15 47.3 100 R
비교예 5
이타콘산의 비대칭 수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70
실시예 57 의 방법에 따라, 리간드로서 (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INAP) 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환율은 100 % 및 광학 순도는 6.9 %ee(R) 이었다.
실시예 64
N,N-디에틸네릴아민의 비대칭 이성질체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71
실시예 38 에서 합성한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 (25.9 mg, 0.0213 mmoL) 및 N,N-디에틸네릴아민 (480 mg, 2.296 mmoL) 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40 ℃ 에서 이성질체화시켰다. TOF (moL/moL·h, 턴오버 주파수) 는 131.9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컬럼: Inert Cap CHIRAMIX, 0.32 mm×30 m) 전환율 100 % 및 광학 순도 100 %ee(S) 임을 확인하였다.
참조예 9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의 합성
[Rh(cod)(L)]ClO4 L=(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μ-클로로비스[(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310.5 mg, 0.630 mmoL) 및 은 퍼클로레이트 (267.5 mg, 1.290 mmoL) 에 아세톤 (60 m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S)-BINAP) (784.9 mg, 1.206 mmoL) 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 용매를 감압하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아세톤 및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65 g). 수율 55 %.
1H-NMR (300 MHz, CD2Cl2, CD2Cl2) δ: 2.1-2.6(m, 8H), 4.6(m, 2H), 4.9(bs, 2H), 6.52(d, 2H), 6.7(t, 4H), 6.8(t, 2H), 7.0(t, 2H), 7.4(m, 6H), 7.55(m,10H), 7.6-7.7(d,2H), 7.7-7.8(d, 2H), 7.8-7.9(m, 2H).
31P-NMR (121 MHz, CD2Cl2, 85 % H3PO4) δ: 25.2(s), 26.4(s).
비교예 6
N,N-디에틸네릴아민의 비대칭 이성질체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72
참조예 9 에서 합성한 (η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로듐(I) 퍼클로레이트 (27.0 mg, 0.0289 mmoL) 및 N,N-디에틸네릴아민 (546.2 mg, 2.609 mmoL)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40 ℃ 에서 이성질체화시켰다. TOF (moL/moL·h, 턴오버 주파수) 는 78.1 이었다. 반응 혼합물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컬럼: Inert Cap CHIRAMIX, 0.32 mm×30 m) 전환율 100 % 및 광학 순도 100 %ee(S)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5
tert-부틸 2-메틸-3-옥소-3-페닐-프로피네이트의 비대칭 불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73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시예 44 에서 합성한 {디-μ-하이드록소비스[[(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2.4 mg, 0.01 mmoL), 에탄올 (0.3 mL), tert-부틸 2-메틸-3-옥소-3-페닐-프로피네이트 (46.9 mg, 0.2 mmoL) 및 N-플루오로 벤젠설폰이미드 (95 mg, 0.3 mmol) 를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용액 (2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 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컬럼: CHIRALPAK AD-H, 4.6 mm×15 cm, n-헥산/2-프로판올=200/1), 광학 순도는 72.5 %ee(S) 임을 확인하였다.
참조예 10
{디-μ-하이드록소비스[[(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Pd(L)}2(μ-OH)2](BF4)2 L=(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디클로로{(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100 mg, 0.125 mmol) 을 디클로로메탄 (10 mL), 물 (1 mL), 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8 mg, 0.25 mmol, 2 당량) 및 분자체 4A (1.5 g) 과 실온에서 2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성 재료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의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9 mg). 수율 48.4 %.
비교예 7
tert-부틸 2-메틸-3-옥소-3-페닐-프로피네이트의 비대칭 불소화
Figure 112008027896071-pct00074
아르곤 대기하에서, 참조예 10 에서 합성한 {디-μ-하이드록소비스[[(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팔라듐(Ⅱ)]} 비스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9.5 mg, 0.01 mmoL), 에탄올 (0.3 mL), tert-부틸 2-메틸-3-옥소-3-페닐-프로피네이트 (46.9 mg, 0.2 mmoL) 및 N-플루오로벤젠설폰이미드 (95 mg, 0.3 mmol) 를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용액 (2 mL) 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 으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컬럼: CHIRALPAK AD-H, 4.6 mm×15 cm, n-헥산/2-프로판올=200/1), 광학 순도는 58.1 %ee(S)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6
22-1,5-사이클로옥타디엔){(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니켈(0)의 합성
[Ni(cod)(L)] L=(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아르곤 대기하에서, 비스(1,5-사이클로옥타디엔)니켈(0) (48.3 mg, 0.1756 mmol) 및 (S)-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75.3 mg, 0.1932 mmol) 를 톨루엔 (2 mL) 내에서 60 ℃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98.0 mg). 암자색 분말.
31P-NMR (121 MHz, C6D6, 85 % H3PO4) : δ 30.6(s).
본 발명의 화합물(Ⅱ) 를 가지는 전이 금속 착물을 비대칭 합성 반응 (특히, 비대칭 환원) 의 리간드로서 사용하여, 절대 배열을 가지는 목적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출원 제 2005-272599 호를 바탕으로 하며, 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Claims (22)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112013015457785-pct00075
    [식 중, R1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2 R3 는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거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7
    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8
    으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A 는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9
    )]
    단,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은 제외됨.
  2. 제 1 항에 있어서, 식 중 R1 이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2 R3 이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거나; 또는 R1 이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0
    가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1
    (식 중, 고리 A 는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2
    )
    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식 중 R1, R2 R3 이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식 중 R1, R2 R3 이 각각 비치환 C1-6 알킬기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1 이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3
    가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4
    (식 중, 고리 A 는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5
    )
    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인 화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활성인 화합물.
  9. 리간드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지는 전이 금속 착물:
    Figure 112013015457785-pct00078
    [식 중, R4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5 R6 는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거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79
    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0
    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B 는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6
    )].
  10. 제 9 항에 있어서, 식 중 R4 가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5 R6 이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거나; 또는 R4 가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7
    가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8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099
    )
    으로 표시되는 기인 전이 금속 착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식 중 R4 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5 R6 이 각각 비치환된 C1-6 알킬기인 전이 금속 착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식 중 R4 가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5 R6 이 각각 비치환된 C1-6 알킬기인 전이 금속 착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R4 가 수소 원자, 또는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100
    가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101
    (식 중, 고리 B 는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102
    )
    으로 표시되는 기인 전이 금속 착물.
  14. 제 9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이리듐, 팔라듐, 니켈 또는 구리인 전이 금속 착물.
  15. 제 9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이 로듐, 루테늄 또는 팔라듐인 전이 금속 착물.
  16. 제 9 항에 있어서, 하기에서 선택되는 전이 금속 착물:
    (1) [Ru(OAc)2 (L)];
    (2) [RuCl2(L)(dmf)n];
    (3) [RuCl(Ar)(L)]Cl;
    (4) [Ru(2-메틸알릴)2 (L)];
    (5) [RuCl2(L)(X)];
    (6) (NH2Et2)[{RuCl(L)}2(μ-Cl)3];
    (7) [Rh(Y)(L)]Z;
    (8) [Pd Cl2(L)]; 및
    (9) [{Pd(L)} 2(μ-OH)2]Z2
    [식 중, L 은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2'-비스[비스(4-디에틸아미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또는 2,2'-비스[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이고, Ac 는 아세틸이고, dmf 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n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Ar 은 C1-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젠이고, 2-메틸알릴은 η3-2-메틸알릴이고, X 는 에틸렌디아민, 1,2-디페닐에틸렌디아민 또는 1,1-디(4-아니실)-2-이소프로필-1,2-에틸렌디아민이고, Y 는 1,5-사이클로옥타디엔 또는 노르보나디엔이고, Z 는 짝 음이온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퍼클로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또는 테트라페닐보레이트임].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이 금속 착물을 함유하는 촉매.
  18.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1
    [식 중, R4a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고,
    R5a R6a 는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이거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2
    는 화학식
    Figure 112013015457785-pct00083
    으로 표시되는 기임,
    (식 중, 고리 B' 는 니트로, 니트로소, 시아노, 하이드록시, C1-6 알콕시기, 포르밀,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 N-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및 N,N-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로 이루어진 치환체 군 B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112013015457785-pct00103
    )]
    단,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포스핀-보란 착물은 제외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식 중 R4a, R5a R6a 가 각각 치환체 군 A 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기인 화합물.
  20. 제 18 항에 있어서, 식 중 R4a, R5a R6a 가 각각 비치환된 C1-6 알킬기인 화합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메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에틸페닐)포스핀-보란 착물 또는 비스(4-디메틸아미노-3,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보란 착물인 화합물.
  22. 제 18 항에 있어서, 비스[4-(피롤리딘-1-일)페닐]포스핀-보란 착물인 화합물.
KR1020087009399A 2005-09-20 2006-09-20 디포스핀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전이 금속 착물 KR101311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2599 2005-09-20
JP2005272599 2005-09-20
PCT/JP2006/319095 WO2007034975A1 (ja) 2005-09-20 2006-09-20 ジホスフィン配位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遷移金属錯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083A KR20080048083A (ko) 2008-05-30
KR101311122B1 true KR101311122B1 (ko) 2013-09-25

Family

ID=3788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399A KR101311122B1 (ko) 2005-09-20 2006-09-20 디포스핀 리간드 및 이를 이용한 전이 금속 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691718B2 (ko)
EP (2) EP1927596B9 (ko)
JP (2) JP5252921B2 (ko)
KR (1) KR101311122B1 (ko)
CN (1) CN101312984B (ko)
ES (1) ES2389109T3 (ko)
IL (1) IL190030A0 (ko)
PT (1) PT1927596E (ko)
WO (1) WO20070349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2302B2 (en) 2014-06-18 2019-11-12 Lg Chem, Ltd. Ligand compound, organic chromium compound, catalyst system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and method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using the catalyst system
US10688473B2 (en) 2014-12-11 2020-06-23 Lg Chem, Ltd. Ligand compound, organic chromium compound, catalyst system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and method for oligomerizing olefin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4881B2 (ja) 2008-09-19 2011-03-09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ルテニウム錯体の製造方法
EP3438115B1 (en) * 2010-05-21 2020-01-29 Firmenich SA Ruthenium based complexes
JP6657121B2 (ja) * 2014-06-12 2020-03-04 ジョンソン、マッセイ、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錯体
CN114931961B (zh) * 2022-06-10 2024-02-27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氢甲酰化催化剂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691A (ja) * 2001-12-07 2003-08-19 Takeda Chem Ind Ltd ジホスフィ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690A (ja) 1984-09-04 1986-04-01 Takasago Corp ルテニウム−ホスフイン錯体
JPH0768260B2 (ja) 1990-03-01 1995-07-2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2,2’―ビス〔ジ―(3,5―ジアルキルフェニル)ホスフィノ〕―1,1’―ビナフチル及びこれを配位子とする遷移金属錯体
JP2739254B2 (ja) * 1990-10-01 1998-04-1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イリジウム―光学活性ホスフィン錯体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3770639B2 (ja) * 1995-10-31 2006-04-2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ジホスフィンの製造方法
JP4367982B2 (ja) 1997-07-18 2009-11-18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光学異性体の製造法
GB2351735A (en) 1999-07-01 2001-01-10 Merck & Co Inc Synthesis of (r)-1-(3,5-bis(trifluoromethyl)-phenyl)ethan-1-ol by asymmetric hydrogenation
US6653485B2 (en) * 2000-11-17 2003-11-25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Ortho substituted chiral phosphines and phosphinites and their use in asymmetric catalytic reactions
ATE438653T1 (de) 2001-12-07 2009-08-15 Takeda Pharmaceutica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phosphinverbindungen und zwischenprodukte für das verfahren
JP4489416B2 (ja) 2002-12-05 2010-06-23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ジホスフィン化合物を配位子とする遷移金属錯体
PT1626052E (pt) 2003-05-19 2012-02-14 Takeda Pharmaceutical Processo para produção de complexos de fosfina-boran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691A (ja) * 2001-12-07 2003-08-19 Takeda Chem Ind Ltd ジホスフィ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2302B2 (en) 2014-06-18 2019-11-12 Lg Chem, Ltd. Ligand compound, organic chromium compound, catalyst system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and method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using the catalyst system
US10688473B2 (en) 2014-12-11 2020-06-23 Lg Chem, Ltd. Ligand compound, organic chromium compound, catalyst system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and method for oligomerizing olefin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1147B2 (en) 2015-03-17
JP5252921B2 (ja) 2013-07-31
IL190030A0 (en) 2008-08-07
JP5438166B2 (ja) 2014-03-12
US8691718B2 (en) 2014-04-08
JPWO2007034975A1 (ja) 2009-04-02
EP1927596B9 (en) 2013-05-15
EP1927596A1 (en) 2008-06-04
US20140171655A1 (en) 2014-06-19
US20090270635A1 (en) 2009-10-29
ES2389109T3 (es) 2012-10-23
CN101312984B (zh) 2015-05-27
CN101312984A (zh) 2008-11-26
WO2007034975A1 (ja) 2007-03-29
PT1927596E (pt) 2012-08-09
EP1927596B1 (en) 2012-08-01
EP1927596A4 (en) 2011-04-27
EP2420507A1 (en) 2012-02-22
KR20080048083A (ko) 2008-05-30
JP2012214484A (ja)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4075B1 (en) Novel ruthenium complexes having hybrid amine liga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6653485B2 (en) Ortho substituted chiral phosphines and phosphinites and their use in asymmetric catalytic reactions
JP4004123B2 (ja) ルテニウム錯体を触媒と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US8981147B2 (en) Diphosphine ligand and transition metal complex using the same
US20050119495A1 (en) P-chiral phospholanes and phosph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asymmetric catalytic reactions
US20030144137A1 (en) P-chiral phospholanes and phosph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asymmetric catalytic reactions
JP2681057B2 (ja) 2,2’―ビス(ジフェニルホスフィノ)―5,5’,6,6’,7,7’,8,8’―オクタヒドロ―1,1’―ビナフチル及びこれを配位子とする遷移金属錯体
JP2003522162A (ja) キラルフェロセンホスフィン及び不斉触媒反応におけるその使用
US6790973B2 (en) Ruthenium complexes and process for preparing alcoholic compounds using these
US5457219A (en) Phosphorus compounds
US20030163003A1 (en) Chiral ligands, transition-metal complexes thereof and uses thereof in asymmetric reactions
WO2005007662A2 (en) Biphosphine ruthenium complexes with chiral diamine ligande as catalysts
JP2003535869A (ja) 不斉触媒用キラル配位子
EP0732337B1 (en) Optically active asymmetric diphosp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substance in its presence
JP4237979B2 (ja) 光学活性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3206295A (ja) 光学活性ジホスフィン配位子
CN101243100A (zh) 二茂铁-二膦配体
JP2005528354A (ja) フェロセニル配位子及び触媒反応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2527445A (ja) 置換されたイソホスフィンドリン類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9980080036A (ko) 아미도포스핀포스피나이트 화합물
JP5009613B2 (ja) 不斉合成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キラル配位子
JP4902952B2 (ja) 不斉合成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キラルのホス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