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671B1 -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671B1
KR101299671B1 KR1020110112147A KR20110112147A KR101299671B1 KR 101299671 B1 KR101299671 B1 KR 101299671B1 KR 1020110112147 A KR1020110112147 A KR 1020110112147A KR 20110112147 A KR20110112147 A KR 20110112147A KR 101299671 B1 KR101299671 B1 KR 10129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support frame
cargo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242A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박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홍 filed Critical 박준홍
Priority to KR102011011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6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적재함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I'자 빔 형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접철되는 하나 이상의 아치형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양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과 양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드이동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판의 상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1롤러와 하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2롤러가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접철할 수 있는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적재함 덮개장치{Covering Device of Loading Case for a Cargo}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 등과 같은 화물적재함을 용이하게 덮어 보호할 수 있는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차량의 뒷부분에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가 설치된다. 그러나 일반 화물차인 경우에 적재함에 덮개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일반 화물차의 사용자는 적재함에 덮개를 씌우지 않은 상태로 도로를 주행하게 되어 주행 중에 화물이 도로에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는 화물에 훼손을 입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화물차에 덮개를 씌워 화물을 보호하고 파손 및 도난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덮개를 덮거나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차량 제조과정에서 덮개가 설치되어 판매되는 차량도 존재하나 통상 덮개가 설치되어 판매되는 차량은 특수화물, 즉 냉장을 요하거나 신선함을 유지해야 하는 등의 물건을 운송하는 경우에 한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 화물차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프레임에 덮개를 씌우는 경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별도로 덮개를 씌우는 작업이 필요 없으나 덮개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과 덮개를 모두 제거해야 하는 등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철과 조립이 가능한 덮개장치가 개발되었는바, 종래의 덮개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구비된 양측 사이드 게이트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조립되고 일측에는 유동방지용 고정나사가 설치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슬라이더 상부에는 지지대 연결구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들보 연결구에 그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아치형 지지들보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덮개장치는, 별도로 덮개를 씌우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덮개가 필요하지 않을 때는 적재함 전방으로 프레임을 밀착시킴으로써 적재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는, 프레임을 적재함 전방으로 밀착시킬 때 각각의 프레임을 독립적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 먼저, 가장 후방의 프레임으로부터 차례로 밀착시켜야 하며 용이한 작업을 위하여 양측에서 동시에 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간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지지력이 우수하지 못하였다. 더욱이, 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의 결합이 슬라이더에 의해 이루고 있으나 "I"자 형의 가이드레일과 "C"자 형의 슬라이더의 단순한 결합으로 인해 프레임이 전후방 이동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물 적재함을 덮을 수 있는 덮개장치를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동시켜 접철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과정에서 덮개장치가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I'자 빔 형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접철되는 하나 이상의 아치형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양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과 양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드이동부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판의 상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1롤러와 하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2롤러가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접철할 수 있는 화물적재함 덮개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된 화물적재함을 용이하게 덮어 보호할 수 있어 적재된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적재장치의 개폐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적재와 하역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덮개장치를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동시켜 접철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과정에서 상기 덮개장치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과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이동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이동부의 결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접철됨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이동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이동부의 결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접철됨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장치(10)는 다양한 화물이 내부에 적재되는 육면체 형상의 일반적인 화물적재함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과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며 접철되거나 펼쳐지는 하나 이상의 아치형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횡단면이 'I'자 형상을 가지는 철제빔이 사용되며, 상기 화물적재함의 양측 길이보다 넓은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ㅡ'자형의 상부판(102)과 하부판 그리고 상기 상부판(102) 중심에서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상부판(102)을 하부판과 연결하는 'l'자형 중심판(104)이 일정길이 연장되며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화물적재함의 양측과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가 등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등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200)에 천막을 씌워 상기 화물적재함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화물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개수로 설치되되,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은 외부에 씌워지는 천막이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등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은 양끝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며 접철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양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부판(102)과 양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드이동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0) 상부판(102)의 상면과 접하는 제1롤러(212)와 하면과 접하는 제2롤러(214)가 축결합된다. 즉, 상기 제1롤러(212)와 제2롤러(214)가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의 측면에 수평축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02)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며 수직회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214)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중심판(104)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이동 중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판(102)의 저면에 맞물리며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이동중 위쪽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0) 상부판(102)의 상면에는 사각빔(106)이 설치될 수 있는바, 상기 사각빔(106)은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며 상부판(10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212)의 가운데에는 상기 사각빔(106)에 맞물리는 이탈방지홈(217)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홈(217)과 상기 사각빔(106)의 맞물리며 상기 제1롤러(212)가 수직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홈(217)과 상기 사각빔(106)이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제1롤러(2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이동 중 이탈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중심판(104) 양쪽 측면에 접하며 수평회전하는 한 쌍의 제3롤러(216)가 포함되되, 상기 제3롤러(216)는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 내부 양쪽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수평판(218)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한 쌍의 수평판(218)이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에서 서로 이격되며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218)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제3롤러(216)가 상기 수평판(218)에 수직축결합됨으로써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3롤러(216)가 상기 중심판(104)과 맞물려 접하면서 수평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가 이동 중 뒤틀리지 않고 일 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중심판(104) 양쪽 측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제3롤러(216)가 포함되되, 상기 제3롤러(216)는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 내부 양쪽 측면에서 상하로 이격되며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판(218)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3롤러(216)는 한 쌍의 수평판(218) 사이에 수직축결합되고, 상기 중심판(104)과 접하며 수평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3롤러(216)가 상기 중심판(104)의 양쪽 측면에 맞물리며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가 이동 중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에 축결합되는 제1롤러(212)와 제2롤러(214) 그리고 제3롤러(216)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판(102)과 중심판(104)과 접하며 수직/수평회전함에 의해 이동 중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가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되거나 윗방향으로 들려 분리되는 것, 한 방향으로 쏠리거나 뒤틀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다수 개가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며 설치된다. 이때, 다수의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막대형태를 가지며 하단은 일측 지지프레임(200)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인접한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어 'ㅅ'자와 같은 형태를 반복하며 다수의 지지프레임(20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첫 번째 지지프레임(200)과 두 번째 지지프레임(200) 간에는 상기 연결부재(220)의 일단이 첫 번째 지지프레임(200)의 하부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두 번째 지지프레임(200)의 상부 일단에 결합되어 상향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두 번째 지지프레임(200)과 세 번째 지지프레임(200) 간에는 상기 연결부재(220)의 일단이 두 번째 지지프레임(200)의 상부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세 번째 지지프레임(200)의 하부 일단에 결합되어 하향경사진 형태를 가지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부분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이동하는바, 상기 지지프레임(200)에는 안쪽면(적재함 쪽 면) 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안내홈(20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02)에는 상기 연결부재(220)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안내홈(202)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접철시에는 상기 연결부재(220)가 서로 오므려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이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안내홈(202)을 따라 윗방향으로 이동하고, 접철된 지지프레임(200)을 펼칠 때에는 상기 연결부재(220)가 서로 펼쳐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이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안내홈(202)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용이하게 접철하거나 펼칠 수 있는 것이다.
10: 덮개장치 100: 가이드레일
200: 지지프레임 210: 슬라이드이동부
212: 제1롤러 214: 제2롤러
216: 제3롤러 220: 연결부재

Claims (5)

  1. 수평방향의 상부판(102)과 상기 상부판(120) 중심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중심판(104)을 포함하여 'I'자 빔 형태로 되어 화물적재함 양측 하단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100)과,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되며 접철되는 지지프레임(2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0) 양끝단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면과 양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드이동부(210)를 포함하는 덮개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는 상기 상부판(102)의 상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2)와, 하면에 접하며 회전하는 제2롤러(214) 및 상기 슬라이드이동부(210) 내부 양쪽 측면에서 서로 이격되며 수평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판(21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판(104) 양쪽 측면에 접하며 수평회전하는 한 쌍의 제3롤러(216)가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00)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부판(102) 상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빔(106)이 설치되고 상기 제1롤러(212)에는 상기 사각빔(106)에 맞닿는 이탈방지홈(217)이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212)가 상기 사각빔(10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덮개장치(10)는 상기 지지프레임(200)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를 구비하여 연결부재(220)의 하단은 일측 지지프레임(200)에 힌지로 결합 되고 상단은 인접한 타측 지지프레임(200)의 안쪽면에 형성된 안내홈(202)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12147A 2011-10-31 2011-10-31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10129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47A KR101299671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47A KR101299671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42A KR20130047242A (ko) 2013-05-08
KR101299671B1 true KR101299671B1 (ko) 2013-09-10

Family

ID=4865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147A KR101299671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14B1 (ko)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2444218B1 (ko) * 2022-04-11 2022-09-15 하도겸 화물차량용 롤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27B1 (ko) * 2013-07-19 2014-05-29 박준홍 컨테이너형 덮개장치
KR101643088B1 (ko) * 2015-03-10 2016-07-26 김홍종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701095B1 (ko) * 2016-07-21 2017-01-31 방경식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KR101954277B1 (ko) * 2016-09-07 2019-03-05 화신이엘티 주식회사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033Y1 (ko) * 2001-05-24 2001-10-15 허덕무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100104937A (ko) * 2009-03-19 2010-09-29 안동준 레일 바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033Y1 (ko) * 2001-05-24 2001-10-15 허덕무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100104937A (ko) * 2009-03-19 2010-09-29 안동준 레일 바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14B1 (ko)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2444218B1 (ko) * 2022-04-11 2022-09-15 하도겸 화물차량용 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242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671B1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CN107599955A (zh) 一种伸缩车辆篷布架
CN102596738A (zh) 用于处理或存储货物的笼
CN109311374B (zh) 具有折叠板的侧壁
US9050986B2 (en) Roll container
CN107667049A (zh) 可提升的承载设备
KR101222185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RU2012104851A (ru) Устройство с переставляемым по высоте погрузочным полом для грузового отде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 такж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ставляемого по высоте погрузочного по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50114577A1 (en) Roll-down door arrangements
KR1012967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CN207791711U (zh) 折叠箱
CN107672956B (zh) 双层可折叠的框架箱
US11254493B2 (en) Foldable container
US6890020B2 (en) Trailer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US8201871B1 (en) Roll-down cargo door arrangements for vehicles
ES2536967T3 (es) Dispositivo de cierre de un compartimento de un vehículo de transporte de mercancías
KR20160095934A (ko) 가변형 유압식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KR101151455B1 (ko) 다목적 슬라이딩 도어 컨테이너
CN210174866U (zh) 顶盖装置及铁路货车
CN207535774U (zh) 一种伸缩车辆篷布架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KR200462024Y1 (ko) 코일 수송용 컨테이너
KR200325046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KR101540456B1 (ko) 화물 운반 차량용 화물 적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