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033Y1 -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033Y1
KR200244033Y1 KR2020010015329U KR20010015329U KR200244033Y1 KR 200244033 Y1 KR200244033 Y1 KR 200244033Y1 KR 2020010015329 U KR2020010015329 U KR 2020010015329U KR 20010015329 U KR20010015329 U KR 20010015329U KR 200244033 Y1 KR200244033 Y1 KR 200244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vice
frame
tent
link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무
Original Assignee
허덕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덕무 filed Critical 허덕무
Priority to KR2020010015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033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트럭적재함(1)에 적재된 화물이 비 또는 눈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천막(11)이 구비된 덮개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장치(10)는 트럭적재함(1)의 양측에 장착된 1조의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측에 구비된 이동롤러(121)에 의해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롤러브라켓(120)과, 상기 롤러브라켓(120)의 상부에 수직프레임(101)의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101)의 상측이 수평프레임(102)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엇갈리게 구비되고, 각 단부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을 뒤틀리지 않고, 전, 후로 연동하도록 하는 링크장치(200)와; 상기 1조의 가이드레일(110)의 전, 후 양단에 구비된 제 1, 2구동기어(310)(320)와, 상기 제 1, 2구동기어(310)(320)에 구비된 체인(311)에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200)에 의해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이 연동되도록 제 1, 2구동기어(310)(32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MOVE TYPE COVER EQUIPMENT FOR INSTALLED THE VEHICLE}
본 고안은 트럭적재함에 구비되어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적재함 상부 양측에 1조로 구비된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다수개의 메인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X자 형상의 링크장치에 의해 전, 후 동작시 뒤틀림을 방지하되, 상기 적재함 선단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 최후단에 구비된 메인프레임이 작동하며 다수개의 메인프레임이 연동하도록 하는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덮는 덮개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81523호로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측부분이 프론트패널(1a)과 같은 규격의 아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적재함(1)의 후방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프레임(2)과 ; 상기 고정프레임(2) 및 프론트패널(1a)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가로보(3)와; 그 일측 장착단이 상기한 가로보(3)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경첩(3a)과; 상기 다수 경첩(3a)의 다른 장착단들과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 및 프론트패널(1a)에 각각 얹혀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여닫이형 도어프레임(4)과; 상기 한쌍의 도어프레임(4)을 닫은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도어록킹수단(5)과; 상기 프론트패널(1a)의 외측으로 끈부재에 의해 감침질되는 전방덮개와; 내부공간이 여닫힐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고, 지퍼가 달려 있으며, 다른 끈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에 감침질된 후방덮개(6)와; 도어프레임(4)의 상측을 부분적으로 덮개된 상태에서 일측 도어프레임(4)의 하측에서 타측 도어프레임(4)의 하측까지 덮을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각각 감침질되고, 접힘단 및 연장단을 갖도록 형성된 제 1덮개(7)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덮개장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일측의 도어를 개방 후, 화물을 적재하고, 타측의 도어를 다시 개방한 후 타측에 화물을 적재함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운전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엇다.
또한,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ㄱ'자 형상의 도어를 상부로 개방할 때, 허리를 다치거나 적재함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물적재 완료 후, 상기 도어를 닫고, 일일히 록킹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로 인해 운전자들에게 신뢰감을 잃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 구비된 메인프레임중 최후단에 구비된 메인프레임을 작동하되, 각 메인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링크장치에 의해 뒤틀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연동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 일측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없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즉, 운전자들에게 신뢰감을 주는 제품을 공급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장치의 천막을 일정한 부분에서 접히도록 하여 천막의 찢겨짐등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적재함 덮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덮개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덮개장치중 링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덮개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3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덮개장치중 구동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4 'B'선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구동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트럭적재함 10;덮개장치
11;천막 100;메인프레임
110;가이드레일 120;롤러브라켓
121;이동롤러 122;가이드롤러
200;링크장치 300;구동장치
301;구동축 301a;핸들
302;와이어 303;와이어풀리
310,320;제 1, 2구동기어 330;DC모터
트럭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비 또는 눈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천막이 구비된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덮개장치는 트럭적재함의 양측에 장착된 1조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구비된 이동롤러에 의해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의 상부에 수직프레임의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상측이 수평프레임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엇갈리게 구비되고, 각 단부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메인프레임을 뒤틀리지 않고, 전, 후로 연동되도록 하는 링크장치와;
상기 1조의 가이드레일 전, 후 양단에 구비된 제 1, 2구동기어와, 상기 제 1, 2구동기어에 구비된 체인에 최후단의 메인프레임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메인프레임이 연동되도록 제 1, 2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이 구비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덮개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 덮개장치중 링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덮개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3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덮개장치중 구동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4 'B'-'B'선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구동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덮개장치(10)는 공지의 트럭적재함(1) 상부 양측에 구비된 1조의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하도록 하는 이동롤러(121)가 구비된 롤러브라켓(120)과 상기 롤러브라켓(120)의 상부에 수직프레임(101)의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01)의 상단은 수평프레임(102)에 의해 연결된 메인프레임(10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 사이사이에는 'X'자 형상의 링크장치(200)가 엇갈리게 구비되어, 후술하는 구동장치(300)에 의해 전, 후로 이동할 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개 구비된 메인프레임(100)중 최후단에 구비된 메인프레임(100)을 구동장치(300)의 체인(311)과 고정하여 상기 링크장치(200)에 의해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이 연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1조의 가이드레일(110)의 각 내측양단에 제 1, 2구동기어(310)(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구동기어(310)(320)에 체인(311)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 1구동기어(310)는 트럭적재함(1)의 선단에 구비되고, 제 2구동기어(320)는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구동기어(310)의 내측으로는 구동축(301)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301)의 일측에는 공지의 DC모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DC모터(330)는 트럭의 배터리(Battery)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 정, 역회전하며 상기 구동축(301)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먼저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천막이 접히도록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DC모터(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축(301)의 양단에 구비된 제 1구동기어(31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구동기어(310)와 체인(311)으로 연결된 제 2구동기어(320)가 회전하며 상기 체인(311)에 고정된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이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링크장치(200)는 접히게되며 도3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막(11)이 씌워진 덮개장치(10)는 개방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301)에는 상기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을 고정한 와이어(302)가 감기도록 하는 와이어풀리(303)가 구비되어 상기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체인(31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즉,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와이어(302)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체인(311)에 의해 고정되어 전, 후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덮개장치(10)를 덮도록 하는 동작은 상술한 스위치()의 역회전을 누르면 상기 DC모터(330)는 역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301)도 역회전하며 상기 제 1, 2구동기어(310)(320)도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된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제 1, 2구동기어(310)(320)의 역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체인(3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장치(200)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다른 메인프레임(100)도 연동하며 도 3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인 상태를 이루며 작업은 완료되고, 상기 와이어(302)도 와이어풀리(303)에서 풀리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장치(200)의 중간중간에는 천막유도프레임(210)이 구비되어 도시하지 않은 천막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접히며 개방될 때, 상측으로 올라 상승하도록 하여 천막이 접히는 부분을 일정하도록 유도하는 것이고, 단면상으로의 형상은 상기한 메인프레임(100)과 동일하다.
도시한 바에 의해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링크장치(200)의 중심에 구비된 교차점(200a)에 하향하는 양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된 양단의 상부에는 가이드 부쉬(23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230)의 양측으로 가이드 링크()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링크장치(200)가 구동장치(300)에 의해 접힐 때, 상기 천막유도 프레임(210)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230)도 상승하되, 상기 천막 유도프레임(210)이 전, 후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천막(11)을 상부로 올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롤러브라켓(1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가이드레일(110)의 상부에 이동롤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롤러(121)의 내측에는 기어이빨(121a)가 형성되어 상기 체인(311)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기어이빨(121a)에 의해 이동롤러(121)도 회전하며 상술한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이 이동할 때, 연동하는 다수의 다른 메인프레임(100)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며 접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롤러(121)의 하측에는 가이드롤러(122)가 구비되어, 상기한 가이드레일(110)의 외측에서 상기 롤러브라켓(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롤러(122)의 상하측에 구비되되, 용이하게 회전하며 상기 롤러브라켓(120)의 이동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브라켓(120)의 상부에 구비된 프레임부쉬(123)의 내측으로 메인프레임(100)이 구비되도록 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업계의 제조기술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단을 용접으로 장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덮개장치(10)중 구동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한 DC모터(330)에 의해 상기 구동축(301)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고, 상기 구동축(301)을 트럭적재함(1)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핸들(301a)을 삽입하여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덮개장치(10)를 개방하고자 할 때, 운전자는 적재함 선단에 구비된 구동축(301)에 도시한 핸들(301a)을 돌림으로써, 상기 체인(311)에 의해 고정된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311)의 회전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이동롤러(121)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핸들(301a)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축(301)의 단부는 가능하면 운전석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려서 상기 덮개장치(10)를 개방하기 용이하도록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 구비된 메인프레임중 최후단에 구비된 메인프레임을 작동하되, 각 메인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링크장치에 의해 뒤틀어지지 않고, 연동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함 일측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안전사고 위험없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즉, 운전자들에게 신뢰감을 주는 제품을 공급한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장치의 천막을 일정한 부분에서 접히도록 하여 찢겨짐등의 손상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트럭적재함(1)에 적재된 화물이 비 또는 눈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천막(11)이 구비된 덮개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덮개장치(10)는 트럭적재함(1)의 양측에 장착된 1조의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측에 구비된 이동롤러(121)에 의해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롤러브라켓(120)과, 상기 롤러브라켓(120)의 상부에 수직프레임(101)의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101)의 상측이 수평프레임(102)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엇갈리게 구비되고, 각 단부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을 뒤틀리지 않고, 전, 후로 연동하도록 하는 링크장치(200)와;
    상기 1조의 가이드레일(110)의 전, 후 양단에 구비된 제 1, 2구동기어(310)(320)와, 상기 제 1, 2구동기어(310)(320)에 구비된 체인(311)에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200)에 의해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이 연동되도록 제 1, 2구동기어(310)(32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301)과, 상기 구동축(301)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하는 DC모터(330)가 구비된 구동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01)의 일단에 핸들(301a)을 삽입하여 수동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 구비된 링크장치(200)가 엇갈리는 교차점(200a)에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중간부에는 가이드링크(220)와 결합된 가이드부쉬(230)에 의해 전, 후로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링크장치(200)의 동작에 의해 상, 하 작동하며 천막이 하측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천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천막유도프레임(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01)에는 최후단의 메인프레임(100)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302)에 의해 다수개의 메인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전, 후 이동이 되도록 하는 와이어풀리(30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20010015329U 2001-05-24 2001-05-24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0244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29U KR200244033Y1 (ko) 2001-05-24 2001-05-24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29U KR200244033Y1 (ko) 2001-05-24 2001-05-24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033Y1 true KR200244033Y1 (ko) 2001-10-15

Family

ID=7310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329U KR200244033Y1 (ko) 2001-05-24 2001-05-24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0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44Y1 (ko) 2012-07-27 2012-09-11 김중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KR101299671B1 (ko) * 2011-10-31 2013-09-10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101401027B1 (ko) 2013-07-19 2014-05-29 박준홍 컨테이너형 덮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71B1 (ko) * 2011-10-31 2013-09-10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200462444Y1 (ko) 2012-07-27 2012-09-11 김중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KR101401027B1 (ko) 2013-07-19 2014-05-29 박준홍 컨테이너형 덮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775B2 (en) Side window roller blind
EP1882605B1 (en) Convertible vehicle body
US3059962A (en) Vehicle body with retractable rigid top
JPH07108958A (ja) 自動車のロッカカバー
AU711371B2 (en) Side wall for the body of a vehicle
JP2003507244A (ja) 自動車の居住空間の取外し可能な被覆用モジュール及びかかるモジュールを備えた自動車
US4543746A (en) Sliding double doors, particularly for railway and tramway vehicles
KR200244033Y1 (ko)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EP0650861A1 (en) Retractable hardtop vehicle roof
KR200230350Y1 (ko)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커버장치
JP3301653B2 (ja)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KR19990035380U (ko) 화물차적재함용2단접이덮개의자동개폐장치
KR100465964B1 (ko) 자동차 도어와 루프 및 윈도우의 자동개폐장치
JPS60163723A (ja) 車両用開閉式屋根構造
JPS63242720A (ja) 自動車用大型サンル−フ
JPH0330169Y2 (ko)
KR0119945Y1 (ko) 트레일러 카바의 개폐장치
JP2593958Y2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
JP2002087066A (ja) 車両の後部構造
CN107635810A (zh) 车辆车篷的推和/或拉装置和可打开的车顶的车篷
JPH0752B2 (ja) 仏 壇
KR19980046734U (ko) 트럭용 사이드 스탭
KR200153924Y1 (ko) 전동식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JPH0558161A (ja) 自動車の上部構造
JPH10115111A (ja) 自動車用車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