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44Y1 -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44Y1
KR200462444Y1 KR2020120006734U KR20120006734U KR200462444Y1 KR 200462444 Y1 KR200462444 Y1 KR 200462444Y1 KR 2020120006734 U KR2020120006734 U KR 2020120006734U KR 20120006734 U KR20120006734 U KR 20120006734U KR 200462444 Y1 KR200462444 Y1 KR 200462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frames
pair
p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기
Original Assignee
김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기 filed Critical 김중기
Priority to KR2020120006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트럭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 상에 설치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모터, 고정프레임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력축 장나사, 상기 동력축 장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동력축 너트, 그리고 상기 동력축 너트에 연결된 최전방 덮개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덮개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동력축 너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효율적이다.

Description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vering The Loading Portion Of A Truck}
본 고안은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트럭 적재부에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의 후방에는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적재부에 적재물을 실은 후에는 덮개를 씌워 트럭의 운행 중 적재물이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트럭에 덮개를 씌우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트럭 적재부 덮개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덮개 장치들은 특허등록 제10-0835904호(2008. 06. 02. 등록), 특허등록 제10-0709482호(2007. 04. 13.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50808호(2004. 05. 07. 등록),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10499호(2011. 11. 09. 공개),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2089호(2012. 03. 22. 공개) 등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장치들은 나름대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개선의 여지는 있어 보인다.
한편, 특허공개 제1998-060945호(1998. 10. 07. 공개)는 왜건, 밴 등의 차량 지붕에 설치된 루프 내장형 텐트를 개시하고, 특허공개 제10-2012-0050353호(2012. 05. 18. 공개)는 접이식 텐트형 간이창고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트럭 적재부에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과정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트럭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상기 트럭 적재부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트럭 적재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까지에 걸쳐서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동력축 장나사;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에 걸쳐서 각각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수평하게,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그 수직프레임들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덮개프레임;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끼워지는 동력축 너트; 상기 동력축 너트와 연결된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피동축 너트; 및 상기 동력축 장나사의 동력을 상기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도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그에 따라 상기 동력축 너트 및 상기 피동축 너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피동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너트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그것의 상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피동축 너트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이 상기 슬릿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에서 상기 피동축 너트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이 설치된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슬릿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은 자바라식으로 주름이 잡힌 덮개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된 것이고, 그리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프레임들이 펼쳐질때에는 상기 자바라식 덮개가 펼쳐지고, 상기 덮개프레임들이 접혀질 때에는 상기 자바라식 덮개가 접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와 상기 동력축 장나사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이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의 말단부에는 각각 상기 체인과 연결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은 상기 동력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의 말단부에 형성된 상기 3개의 톱니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은 접혔을 때 상기 후방프레임에 모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동력축 너트 및 상기 피동축 너트들은 최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상기 트럭 적재부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트럭 적재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까지에 걸쳐서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동력축 장나사;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수평하게,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그 수직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덮개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끼워지는 동력축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바퀴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동력축 너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가 트럭 적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를 펼친 상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덮개를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의 고정프레임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의 덮개프레임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최전방 덮개프레임이 동력축 장나사 그리고 피동축 장나사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최전방 덮개프레임을 제외한 덮개프레임이 연결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서 최전방 덮개프레임이 동력축 장나사와 연결된 상태 그리고 연결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덮개 장치(10)는 트럭(20)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2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프레임(100), 동력축 장나사(200), 모터(미도시), 감속기(미도시), 피동축 장나사(500), 복수의 덮개프레임(600), 동력축 너트(700), 피동축 너트(800), 동력전달수단(900) 및 덮개(100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그것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방 및 후방은 트럭을 기준으로 정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방프레임(110)은 트럭 적재부(22)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그 수직프레임들(111)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3)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방프레임(110)은 트럭 적재부에서 전방에 설치된다. 후방프레임(120)도 마찬가지로 트럭 적재부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과 그 수직프레임들(121)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과 수평프레임(123)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방프레임(120)은 트럭 적재부에서 후방에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의 하부 말단에서 후방프레임(12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의 하부 말단까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30)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그 내부에 피동축 장나사(500) 및 피동축 너트(700)를 수용하는 것이고,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바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는 동력축 장나사(2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동력축 장나사(200)는 전방프레임(110)의 수평프레임(113)의 중간 부분에서 후방프레임(120)의 수평프레임(123)의 중간 부분까지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축 장나사(20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다. 모터와 동력축 장나사(200) 사이에는 감속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동력축 장나사(200)는 예를 들어, 전방프레임(110)의 수평프레임(113)의 중간 부분 및 후방프레임(120)의 수평프레임(123)의 중간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그 관통부분에는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부(2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10)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 내부에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500)를 가진다. 이러한 피동축 장나사(500)는 동력축 장나사(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피동축 장나사(500)는 예를 들어, 전방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111) 및 후방프레임(120)의 수직프레임(12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그 관통부분에는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부(5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다.
한편, 동력축 장나사(200)로부터 피동축 장나사(500)가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후방프레임(120) 쪽에 있는 동력축 장나사(200) 및 피동축 장나사(500)의 말단부에는 각각 톱니부(230 및 530)가 설치되고, 이러한 톱니부들은 체인(9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900)은 하나의 동력축 장나사(200) 및 2개의 피동축 장나사(500)의 말단부에 형성된 3개의 톱니부(230 및 530)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동력축 장나사(200)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 피동축 장나사(50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력전달수단으로는 체인 대신에 벨트를 사용하고 톱니부 대신에 벨트 풀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10)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덮개프레임(600)을 포함한다. 복수의 덮개프레임(600)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수평하게 그것들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수직프레임(601) 및 그 수직프레임들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602)을 포함한다.
복수의 덮개프레임(600) 중에서 예를 들어, 최전방에 위치하는 덮개프레임(610)의 수평프레임(612)의 중간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축 너트(70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축 너트(700)는 동력축 장나사에 끼워져서 작동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10)에서 동력축 너트(700)와 연결된 덮개프레임, 즉 최전방 덮개프레임(610)의 한 쌍의 수직프레임(611)의 하부 말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피동축 너트(800)가 연결된다. 이러한 피동축 너트(800)는 피동축 장나사(500)에 끼워져서 작동하는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피동축 장나사(500)가 연결프레임(130)의 내부공간(133)에 수용되므로, 피동축 너트(800)도 연결프레임(130)의 내부공간(133)에 수용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면(131)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32)이 형성되어 있다. 최전방 덮개프레임(610)의 수직프레임(611)의 하부 말단은 슬릿(132)을 관통한다. 그럼으로써 피동축 너트(800)는 최전방 덮개프레임(610)의 수직프레임(611)에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한편, 동력축 너트(700) 및 피동축 너트(800)가 연결된 최전방 덮개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덮개프레임, 즉 중간 덮개프레임(620) 및 최후방 덮개프레임(630)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32)의 폭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는 바퀴(640) 내지 롤러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바퀴(640)는 연결프레임(130)의 상면(131)에서 이동하게 된다. 즉 연결프레임(130)의 상면(131)은 바퀴(640)를 위한 레일이 된다. 연결프레임(130)의 상면(131)이 바퀴(640)를 위한 레일로 더욱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면(131)은 슬릿(132)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덮개프레임(600)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최후방 덮개프레임(630)은 후방프레임(12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적절한 것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고정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덮개프레임들간의 이러한 연결은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덮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덮개는 자바라식으로 주름이 잡힌 것이 바람직하고, 천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는 예를 들어, 덮개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부들과 그 결합부들 사이에 자바라식을 접혀지는 접힘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덮개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고, 그것은 접힌 상태에서는 후방프레임(120)쪽에 모이는 형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상황에서 모터를 정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동력축 장나사(200)가 정회전한다. 이때, 동력축 장나사(2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전후방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동력축 장나사(200)가 정회전함에 따라 그것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동력축 너트(700)는 전방으로 움직인다. 한편, 동력축 장나사(200)의 회전 동력은 체인(900)에 의하여 피동축 장나사(500)로 전달되어 피동축 장나사(500)도 함께 정회전한다. 피동축 장나사(500)가 정회전함에 따라 그것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피동축 너트(800)도 전방으로 움직인다. 그럼으로써, 동력축 너트(700) 및 피동축 너트(800)와 연결된 최전방 덮개프레임(610)도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나머지 덮개프레임들(620 및 630)도 최전방 덮개프레임(610)에 이끌려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하여 덮개프레임들(600)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그러한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계속한다. 마지막으로 더 이상 전방으로 움직일 수 없는 한계까지 덮개프레임들이 움직이게 되면, 감속기는 그러한 움직임을 감속시킴과 함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덮개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는 과정은 사용자가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위와 동일하지만 동력축 장나사 및 피동축 장나사의 회전방향 그리고 동력축 너트 및 피동축 너트 등의 움직임 방향만 반대로 작동하여, 덮개프레임들이 다시 후방프레임(120)쪽에 모이는 형태로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피동축 장나사, 피동축 너트, 및 동력전달수단(체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최전방 덮개프레임(610)의 수직프레임(611)의 하부 말단에도 바퀴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연결프레임(130)에도 슬릿(132)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연결프레임(130)에는 바퀴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레일부(135)가 설치되면 족하다. 경우에 따라 덮개프레임(600)의 설치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부(134)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 및 작동에 의하면, 덮개프레임을 후방으로 접은 후 트럭의 측면으로부터 짐을 트럭에 실은 후 덮개프레임을 펼치는 작동만으로 간단하게 트럭에 짐을 싣고 보호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트럭의 후방에 있는 후방프레임에는 문을 설치할 수 있어, 본 고안의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개폐가능한 탑차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10: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100: 고정프레임부
110: 전방프레임 111: 수직프레임
113: 수평프레임 120: 후방프레임
121: 수직프레임 123: 수평프레임
130: 연결프레임 131: 상면
132: 슬릿 133: 내부공간
134: 경사부 135: 레일부
200: 동력축 장나사 220: 베어링부
230: 톱니부 500: 피동축 장나사
520:베어링부 530: 톱니부
600: 덮개프레임 601: 수직프레임
602: 수평프레임 610: 최전방 덮개프레임
620: 중간 덮개프레임 630: 최후방 덮개프레임
640:바퀴 700: 동력축 너트
800: 피동축 너트 900: 동력전달수단(체인)
1000: 덮개

Claims (11)

  1. 트럭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 상에 설치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상기 트럭 적재부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트럭 적재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까지에 걸쳐서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동력축 장나사,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에 걸쳐서 각각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수평하게,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그 수직프레임들을 그것들의 상부 말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덮개프레임,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끼워지는 동력축 너트,
    상기 동력축 너트와 연결된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피동축 너트, 및
    상기 동력축 장나사의 동력을 상기 한 쌍의 피동축 장나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도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그에 따라 상기 동력축 너트 및 상기 피동축 너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피동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너트가 수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그것의 상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피동축 너트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이 상기 슬릿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에서 상기 피동축 너트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두꺼운 폭을 가지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설치된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슬릿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은 자바라식으로 주름이 잡힌 덮개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된 것이고, 그리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프레임들이 펼쳐질때에는 상기 자바라식 덮개가 펼쳐지고, 상기 덮개프레임들이 접혀질 때에는 상기 자바라식 덮개가 접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동력축 장나사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이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의 말단부에는 각각 상기 체인과 연결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동력축 장나사 및 상기 피동축 장나사들의 말단부에 형성된 상기 3개의 톱니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은 접혔을 때 상기 후방프레임에 모이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동력축 너트 및 상기 피동축 너트들은 최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11. 트럭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 상에 설치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는
    상기 트럭 적재부의 바닥의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트럭 적재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까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까지에 걸쳐서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동력축 장나사,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과 수평하게,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그 수직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덮개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 중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축 장나사에 끼워지는 동력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말단에는 바퀴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바퀴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에서 서로 이웃하는 덮개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동력축 장나사가 제자리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동력축 너트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덮개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KR2020120006734U 2012-07-27 2012-07-27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KR200462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34U KR200462444Y1 (ko) 2012-07-27 2012-07-27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734U KR200462444Y1 (ko) 2012-07-27 2012-07-27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444Y1 true KR200462444Y1 (ko) 2012-09-11

Family

ID=4707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734U KR200462444Y1 (ko) 2012-07-27 2012-07-27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23Y1 (ko) 1999-12-20 2000-05-15 삼성상용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200244033Y1 (ko) 2001-05-24 2001-10-15 허덕무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0362668Y1 (ko) 2004-06-21 2004-09-21 정순금 적재함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23Y1 (ko) 1999-12-20 2000-05-15 삼성상용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200244033Y1 (ko) 2001-05-24 2001-10-15 허덕무 차량장착용 가동식 덮개장치
KR200362668Y1 (ko) 2004-06-21 2004-09-21 정순금 적재함 덮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482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US8474896B2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4657300A (en) Camper
US9193305B2 (en) Movable utility rack
US8864212B2 (en) Drive units for tarpaulin cover systems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KR101299671B1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101298213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462444Y1 (ko) 트럭 적재부 자동 덮개 장치
KR101692495B1 (ko) 자동개폐형 루프박스
US7731256B1 (en) Recreational vehicle slide out system
WO2013064816A1 (en) A trailer
JP2595433B2 (ja) 自動車のバン装置
CN106985729B (zh) 载货汽车及其载货车箱
KR20200140379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180602Y1 (ko) 이동식 적재함 바닥
KR200471766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536625B1 (ko)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JP6821204B2 (ja) 二段収納棚装置
KR20200124388A (ko) 차량 적재함용 자동 덮개
KR20210012535A (ko) 차량 적재함용 접철가능한 덮개구조체
CN208069354U (zh) 汽车窗帘安装架
US3343866A (en) Collapsible trailer
KR101856174B1 (ko) 덤프트럭의 자동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