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731B1 -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731B1
KR101296731B1 KR1020130019157A KR20130019157A KR101296731B1 KR 101296731 B1 KR101296731 B1 KR 101296731B1 KR 1020130019157 A KR1020130019157 A KR 1020130019157A KR 20130019157 A KR20130019157 A KR 20130019157A KR 101296731 B1 KR101296731 B1 KR 10129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guide
frame
loading box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양 측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화물차 적재함의 양 측단부에 한 쌍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ㄷ'자 형상으로 된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이웃하는 타 프레임과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자바라 링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화물차 적재함에 천막의 개폐작업이 간편하며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THE AUTO-COVERING DEVICES FOR CARGO LOADING BOX}
본 발명은 천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 특장차 등 대형 트럭의 적재함에 천막이 적용되는데 있어서 천막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함에 다양한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화물차는 화물을 간편하게 싣고 내리기 위하여 대부분 적재함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할 때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루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시킨다.
또한, 화물이 적재된 적재함이 개방되어 있어서 눈/비가 내릴 때 적재된 화물이 젖을 수 있기 때문에 기상변화에 따라 적재함을 천막으로 덮어야 하기도 한다. 화물이 적재된 적재함에 천막을 씌우기 위해서는 화물이 루프에 의해 결박된 상태에서 그대로 그 위에 천막을 씌우거나 또는 결박된 루프를 풀고 천막을 씌운 후 다시 그 위로 루프를 결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루프의 위에 천막을 씌우면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 바람에 의하여 천막이 찢겨 나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그렇다고 결박한 루프를 풀고 천막을 씌우기에는 천막을 씌우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가 내포되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천막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무밴드나 끈을 재봉하고 화물을 씌울 때 이 재봉된 고무밴드나 끈을 차량에 결박하여 천막을 씌우고 있으나, 이 또한, 천막의 상단부를 별도의 루프 등으로 고정시켜 주지 않으면 차량이 운행하는 도중 천막이 찢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의 화물차는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천막과 루프를 이용하여 씌우고 결박하기 위해서는 천막을 씌운 후 루프를 결박시켜야 하므로, 화물을 포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결박 및 씌우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43020에서는 화물차의 적재함 포장용 커버가 제시되었으나 이 또한 루프를 통한 고정작업이 필요하여 적재함에 포장용 커버를 씌우고 고정하는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43020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부에 프레임, 자바라링크 및 천막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화물차 적재함에 천막의 개폐가 용이한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가이드부에 구동부를 마련하여 자동으로 천막의 개폐가 가능한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양 측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화물차 적재함의 양 측단부에 한 쌍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ㄷ'자 형상으로 된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이웃하는 타 프레임과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자바라 링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상에서 이송되는 제 1이송휠;과 상기 절곡부의 제 1절곡면과 제 2절곡면에 각각 가이드 되는 한 쌍의 제 2이송휠; 및 상기 제 1이송휠 및 제 2이송휠을 회전가능하도록 내측에 고정시키고 상기 절곡부를 내재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케이싱;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제 1이송휠은 단면의 구조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접지면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제 1 이송휠이 배치되는 제 1수용공간과 제 2 이송휠이 배치되는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 1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폭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이송휠은 축방향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이송휠은 축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는 구동부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와 상기 구동부몸체의 저면에 구성되며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제 1구동휠;과 상기 모터 및 상기 제 1구동휠을 연동시키는 이음수단;과 상기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제 2구동휠을 구비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스위칭 모듈은 화물차 적재함에 배치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와 회전각도에 따라 전원이 ON/OFF 되는 스위칭 축; 및 상기 스위칭 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스위칭 롤러가 결합되는 스위칭 바;가 포함되되, 상기 스트퍼는 상기 스위칭 롤러의 이송경로에 대응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는 가이드부에 프레임, 자바라 링크 및 천막이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화물차 적재함에 천막의 개폐작업이 간편하며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에 구동부를 결합하여 작업자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자동으로 천막의 개폐가 가능하며 스위칭 모듈이 더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가 적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에 구동부가 구성되는 예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전방이라 함은 차량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을 뜻하는 것이고, 후방이라 함은 차량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가 적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는 화물차, 특장차 등 대형 트럭의 적재함에 천막(400)이 적용되는데 있어서 천막(40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1)는 복수의 가이드부(100), 복수의 프레임(200), 복수의 자바라링크 및 천막(400)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특장차 등의 적재함 바닥면(10) 양 측면에는 절곡부(20)가 형성되는데, 절곡부(20)는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적재함 바닥면(10)의 양 측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되어 적재함의 양측단의 전후방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20)는 외측면인 제 1절곡면(21)과 내측면인 제 2절곡면(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20)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 1이송휠(120), 제 2이송휠(130) 및 제 1이송휠(120) 및 제 2이송휠(130)을 구비하는 케이싱(110)으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싱(110)은 일측부가 개방된 사각 테두리 형상의 단면이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배치되는 위치가 화물차 적재함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케이싱 제 1측면(112)이, 화물차 적재함의 반대방향인 외측면에는 케이싱 제 2측면(114)이 형성되며, 케이싱(110)의 내측공간은 적재함 바닥면(10)을 기준으로 그 상부 공간은 제 1수용공간(117)이, 적재함 바닥면(10)을 기준으로 그 하부공간은 제 2수용공간(118)으로 구분된다.
상기 가이드부(100)가 상기 절곡부(20)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가능토록 하기 위해 케이싱 제 1측면(112)에는 케이싱개방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개방부(116)를 통해 절곡부(20)가 케이싱(110)에 내재될 수 있게 되어, 가이드부(100)는 절곡부(20)에 가이드 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송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11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00)가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10)과 절곡부(20)에 지지된 상태로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이송휠(120)과 제 2이송휠(130)이 더 구성된다.
제 1이송휠(120)은 상기 케이싱(110)의 제 1수용공간(117)에 배치된 상태로 적재함의 바닥면 상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 2이송휠(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제 2수용공간(118)에 배치된 상태로 각각 절곡부(20)의 제 1절곡면(21) 및 제 2절곡면(22) 상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이송휠(120)은 단면의 구조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접지되는 면이 좁게 구성되므로 복수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00)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 1이송휠(120)의 중심축으로써 제 1이송축(122)이 구성되는데, 상기 제 1이송축(122)의 양단은 케이싱 제 1측면(112) 및 케이싱 제 2측면(114)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또한 한 쌍의 제 2이송휠(130)은 각각 그 중심축으로써 제 2이송축(132)이 구성되며 상기 제 2이송축(132)은 각각 제 2이송축(132) 지지부(134)를 통하여 케이싱 제 1측면(112) 및 케이싱 제 2측면(114)에 고정되되, 상기 제 2이송축(132)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00)는 구조적으로 한 쌍의 제 2이송휠(130) 사이에 절곡부(20)가 배치되므로, 상기 제 1이송휠(120)이 적재함 바닥면(10)에 접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이송휠(120)은 제 1이송축(122) 길이방향의 정 중앙이 아닌 케이싱 제 1측면(112)에 치우쳐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100)가 적용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가이드 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제 1이송휠(120)이 제 1이송축(122) 길이방향의 정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인 제 1수용공간(117)의 폭이 제 2수용공간(118)의 폭 보다 크게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제 2측면(114)을 기준으로 케이싱 제 1측면(112)과의 간격에 있어 상측보다 하측을 좁게 구성함으로써 제 2이송휠(130)이 배치되는 제 2수용공간(118)의 폭은 제 1수용공간(117)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이송휠(130) 사이에 절곡부(20)가 배치되더라도 적재함 바닥면(10)에 접지되는 제 1이송휠(120)의 궤도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도 제 1이송휠(120)이 적재함 바닥면(10)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되고, 한 쌍의 제 2이송휠(130)이 절곡부(20)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가능한 구조라면 가이드부(100)의 형상 및 구조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물차 적재함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복수의 가이드부(100)는 후술하는 프레임(200)에 의해 한 쌍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프레임(200)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00)의 상부에 고정된다.
한편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프레임(200)은 일 프레임(200)과 이웃하는 타 프레임(200) 간에는 각각 자바라 링크(3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자바라 링크(300)에 의해 복수 프레임(200)은 가각 절첩이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부(100)가 전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프레임(200)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 링크(300)는 자바라 방식의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구성으로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는 천막(400)이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100)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천막(400)이 펼쳐진 것을 나타낸 예이며 도 3b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천막(400)이 접혀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에 고정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의 각 간격에는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자바라 링크(300)와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천막(400)으로 구성되므로 적재함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100)의 일측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 프레임(200),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이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의 가이드부(100)가 적재함의 후방끝단으로 이동되면 그와 연동되는 프레임(200)과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이 적재함 전체에 걸쳐 펼쳐지게 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의 가이드부(100)가 적재함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프레임(200)과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은 가이드부(100)에 연동되어 적재함의 전방으로 접혀지게 된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적재함 바닥면(10)은 전방 즉, 트럭의 앞방향을 향해 보조바닥면(11)이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 프레임(200),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은 접힌 상태에서 모두 상기 보조바닥면(11)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에 구동부(600)가 구성되는 예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에 구동부(600)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600)는 가이드부(100)에 결합되어 천막(400)장치(1)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부(600)는 화물차 적재함의 전방 내지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적재함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600)가 화물차 적재함의 후방 일측에 구성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a는 구동부(6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0)는 모터, 구동부몸체(610), 제 1구동휠((630), 구동휠지지부(631), 제 2구동휠(640), 구동기어(622), 종동기어(632), 동력전달수단(625), 구동부가이드(650) 및 스위칭 모듈(66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몸체(610)는 최후방 가이드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부(600)의 작동에 의해 최후방 가이드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그와 연동되는 프레임(200),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이 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바는 없으나 별도의 제어부를 마련하여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600)의 전진, 후진 및 정지 등의 명령을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구동모터(620)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610)는 저면에 구동휠지지부(631)를 통해 제 1구동휠((630)이 적재함 바닥면(10)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620)의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동기어(622)와 상기 제 1구동휠((630)의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종동기어(632)는 동력전달수단(625)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620)가 회전함에 따라 제 1구동휠((63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625)은 일례로 체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0)는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적재함의 양측단에 형성된 절곡부(20)에 지지되는 제 2구동휠(640)이 마련되는데, 제 2구동휠(640)은 상기 제 2이송휠(130)의 구조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절곡부(20)의 제 1절곡면(21) 및 제 2절곡면(22) 상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 2구동휠(640)은 구동부몸체(610)에서 연장되는 구동부가이드(650)에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600)에는 스위칭 모듈(660)이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스위칭 모듈(660)이 구동가이드에 배치되는 예가 제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모듈(660)이 구동부(600)에 배치되는 데 있어 위치적으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스위칭 모듈(660)은 스위칭 바(664) 및 스위칭 롤러(666)로 구성되고 스위칭 바(664) 및 스위칭 롤러(666)가 이송되는 궤도에 대응되도록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스토퍼(670)가 더 구성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스위칭 모듈(660)은 상기 구동부(600)의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가이드부(100)가 이송됨에 있어 가이드부(100)가 화물차 적재함의 전후방 양끝단을 벗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바, 본 스위칭 모듈(660)의 작동에 기하여 가이드부(100)가 화물차 적재함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그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동관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5b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스위칭 모듈(660)의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도 5b는 최후방의 가이드부(100)가 구동부(600)의 동력전달에 의해 자동으로 적재함의 후방끝단으로 이동되고 그와 연동되는 프레임(200)과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이 적재함 전체에 걸쳐 펼쳐진 것을 나타내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의 가이드부(100)가 구동부(600)의 동력전달에 의해 적재함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프레임(200)과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400)은 가이드부(100)에 연동되어 적재함의 전방으로 접혀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도 5b에서 확대 도시된 구동부(600)를 살펴보면 구동부(60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모듈(660)이 배치되고 스위칭 모듈(660)은 스위칭 축(662)이 기 세팅된 회전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62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로써, 스위칭 축(662)에는 스위칭 바(664)와 스위칭 롤러(666)가 구성되어 스위칭 롤러(666)가 화물차 적재함에 배치되는 스토퍼(670) 닿게 되면 스위칭 바(664)가 회동되면서 스위칭 축(662)을 회전시키게 되며 기 세팅된 회전각도에 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620)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화물차 적재함의 후방 끝단을 벗어나기 전에 멈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670)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스위칭 롤러(666)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며 스위칭 롤러(666)가 스토퍼(670)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670)가 경사면으로 구성되므로 스위칭 롤러(666)가 스토퍼(670)에 접한 상태로 타고 올라가면서 스위칭 축(662)의 회전이 서서히 진행되도록 하여 전원 공급량도 서서히 줄이다 멈추도록 구현하여 완충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구동부(600)의 동작이 갑자기 멈출 경우 천막장치(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c는 구동부(600)가 화물차 적재함의 전방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구동부(600)가 적재함의 전방 끝단부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에서도 적재함에는 스토퍼(670)가 배치되고 상술하였던 적재함의 후방에서 적용되는 스위칭 모듈(660)의 작동관계가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천막장치 10 : 적재함 바닥면
20 : 절곡부 100 : 가이드부
200 : 프레임 300 : 자바라 링크
400 : 천막 600 : 구동부

Claims (8)

  1.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 가능토록 구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여 일체 거동하도록 고정하는 'ㄷ'자 형상으로 된 복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는 타 프레임과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자바라 링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상에서 이송되는 제 1이송휠;
    상기 절곡부의 제 1절곡면과 제 2절곡면에 각각 가이드 되는 한 쌍의 제 2이송휠; 및
    상기 제 1이송휠 및 제 2이송휠을 회전가능하도록 내측에 고정시키고 상기 절곡부를 내재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휠은 단면의 구조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접지면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제 1 이송휠이 배치되는 제 1수용공간과 제 2 이송휠이 배치되는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 1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폭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송휠은 축방향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이송휠은 축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는 구동부가 결합되되,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
    상기 구동부몸체의 저면에 구성되며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제 1구동휠;
    상기 모터 및 상기 제 1구동휠을 연동시키는 이음수단;
    상기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제 2구동휠을 구비하는 구동부가이드;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칭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화물차 적재함에 배치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와;
    회전각 변위에 따라 구동모터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칭 축;
    상기 스위칭 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스위칭 롤러가 결합되는 스위칭 바;가 포함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위칭 롤러의 이송경로에 대응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1020130019157A 2013-02-22 2013-02-22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10129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157A KR101296731B1 (ko) 2013-02-22 2013-02-22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157A KR101296731B1 (ko) 2013-02-22 2013-02-22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731B1 true KR101296731B1 (ko) 2013-08-20

Family

ID=4922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157A KR101296731B1 (ko) 2013-02-22 2013-02-22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7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091B1 (ko) * 2014-03-26 2015-05-12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화물차 적재함의 천막 개폐 장치
KR101605480B1 (ko) * 2014-09-16 2016-03-22 화신강업(주)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200486625Y1 (ko) * 2016-12-09 2018-06-14 김범준 레일기어형 화물차량용 천막프레임
KR20190014802A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WO2020179945A1 (ko)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CN114919490A (zh) * 2022-05-24 2022-08-19 陶毅 一种钢结构棚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091B1 (ko) * 2014-03-26 2015-05-12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화물차 적재함의 천막 개폐 장치
KR101605480B1 (ko) * 2014-09-16 2016-03-22 화신강업(주)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200486625Y1 (ko) * 2016-12-09 2018-06-14 김범준 레일기어형 화물차량용 천막프레임
KR20190014802A (ko) * 2017-08-03 2019-02-13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KR101985966B1 (ko) * 2017-08-03 2019-06-05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WO2020179945A1 (ko)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CN114919490A (zh) * 2022-05-24 2022-08-19 陶毅 一种钢结构棚架
CN114919490B (zh) * 2022-05-24 2024-04-05 山西新石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结构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101166206B1 (ko)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US8864212B2 (en) Drive units for tarpaulin cover systems
US20110254310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ES2697498T3 (es) Dispositivo para transportar piezas de equipaje
KR200471318Y1 (ko) 캠핑카
KR101299671B1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US8100625B2 (en) Conveyor trailer
US10611288B2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KR20160095934A (ko) 가변형 유압식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EP1623935B1 (en) Container with sliding canopy construction
ES2648807T3 (es) Dispositivo de asistencia a la descarga de un remolque de transporte de tapiz que se puede enrollar
US20170341560A1 (en) Tailgate loading ramp
ES2676064T3 (es) Sistema de descarga para unidad de carga
KR101540456B1 (ko) 화물 운반 차량용 화물 적재함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282115Y1 (ko) 무개화차용 덮개장치
ES2666862T3 (es) Dispositivo de entoldado/desentoldado lateral de una caja de carga de tipo basculante, vehículo y caja de carga provista de este dispositivo
CN106043075A (zh) 一种车载自卸系统
CN206690951U (zh) 一种便于卸货的货车
KR101890040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자동식 안전덮개
JP2008094198A (ja) 運送車両の荷台装置
ES2293618T3 (es) Unidad de transporte de mercancia de cortina lateral para transporte por carretera e intermod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