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966B1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966B1
KR101985966B1 KR1020170098727A KR20170098727A KR101985966B1 KR 101985966 B1 KR101985966 B1 KR 101985966B1 KR 1020170098727 A KR1020170098727 A KR 1020170098727A KR 20170098727 A KR20170098727 A KR 20170098727A KR 101985966 B1 KR101985966 B1 KR 10198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ider
loading box
fixe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02A (ko
Inventor
조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9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9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레일 플레이트;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적재함을 덮는 커버리브;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커버리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각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상기 제1고정풀리와 제2고정풀리가 연동되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고정풀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리브가 절첩되게 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일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freight car cover}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덮는 커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화물챠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용 적재함은 각종 건축 폐기물, 폐 콘크리트 폐기물, 생활 폐기물, 임목, 폐목 및 각종 혼합 폐기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차량은 운행중에 적재함에 실린 화물이 도로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도로 교통법상 의무적으로 적재함 커버를 씌우고 운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특히, 건축용 골재 등을 주로 실어 나르는 암롤 차량이나 덤프트럭 또는 쓰레기를 나르는 청소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적재함 커버를 씌우는 일이 번잡하여 적재함 커버를 씌우지 않고서 운행하게 되어 적재함에 실려진 골재 및 쓰레기가 도로 위로 떨어져 뒤따라오는 다른 차량 들에게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적재함 커버를 자동으로 덮어씌울 수 있도록 된 여러 가지 구성의 적재함 커버의 자동개폐장치가 발명된 바 있으나 이는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설치단가가 높으며, 작동시 오작동 및 고장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함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전기적, 기계적 동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따르면,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적재함(1)의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플레이트(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2)들과, 마주보는 슬라이더 간을 연결하면서 커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리브(3)들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4)와, 상기 적재함의 전방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풀리와 케이블(c)로 연동되는 한 쌍의 제2고정풀리(5)와, 상기 제2고정풀리 간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6)과, 상기 제2고정풀리 중 어느 하나와 와이어로 연동되는 구동풀리(7)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핸들(8)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모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들은 상기 고정풀리와 종동풀리에 걸린 케이블이 관통하면서 걸리게 되고 가장 후방에 있는 슬라이더는 케이블과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핸들 혹은 모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이 수평으로 이동하면 가장 후방에 있는 슬라이더도 함께 이동하면서 다른 슬라이더들을 밀어 전방으로 밀집되게 하여 커버가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슬라이더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단순히 올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진동이나 풍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이탈될 위험이 있다.
심지어 슬라이더의 이탈로 인해 리브들이 전복될 위험도 있다.
이것은 화물을 덮고 있는 커버가 들춰지게 되어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비산되면서 안전상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슬라이더들이 가이드 플레이트와 충돌하면서 차량 운행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137512(1998.2.10) "트럭의 데크 자동덮개장치" - 대한민국 공개실용 10-1999-0030481(1999.7.26) "덤프 트럭용 적재함 자동커버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뼈대를 이루는 커버리브를 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될 때 레일 플레이트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가 적재함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후방에 보조커버리브가 더 구비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적재함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레일 플레이트;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적재함을 덮는 커버리브;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커버리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각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상기 제1고정풀리와 제2고정풀리가 연동되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고정풀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리브가 절첩되게 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일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사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제1고정풀리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축과 축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사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적재함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레일 플레이트;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적재함을 덮는 커버리브;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커버리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각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 일측에 고정되고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 타측에 고정되고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일측 제1고정풀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타측 제1고정풀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를 거쳐 구동풀리로 권취되고, 상기 각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일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커버리브 양측에는, 적재함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고 커버에 부착되는 보조커버리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커버리브와 보조커버리브 사이에는 인장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커버리브의 양단부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바가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가 레일 플레이트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커버 개폐시 또는 차량 운행시 이탈되지 않으며 커버리브가 전복될 위험도 없다.
따라서, 화물차량 적재함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아 안전하다.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가 레일 플레이트와 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적재함 후면에 보조커버리브가 구비되어 있어 화물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일 플레이트(10), 커버리브(20), 슬라이더(30), 제1고정풀리(40), 제2고정풀리(50), 케이블(60), 개폐구동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레일 플레이트(10)는 화물차량의 적재함(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함(100)의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적재함(10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양 측면판(130)과 전면판(110) 및 후면판(120), 하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방된 장방형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10)는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30)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접혀져 단면이 대략 'ㄱ'형 앵글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10)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때문에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의 폭은 후술하는 슬라이더(30)에 형성된 안내홈(31)의 깊이와 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리브(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리브(20)는 적재함을 덮는 커버에 부착되어 커버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대략 활(bow)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가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리브(2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실 형상의 빔을 벤딩하여 제작하거나 중공형상의 관을 벤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더(30)는 대략 직육면체와 같이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리브(20)의 양단부와 결합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각 커버리브(20)에 두 개씩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면에는 안내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31)은 절개된 형상과 같이 깊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한다.
즉, 종래 슬라이더의 경우 레일 플레이트(10)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어 이탈의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안내홈(31)의 폭은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게 하여 억지 끼움과 같이 결합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가 적재함(10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가 씌워지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30)에 상기 커버리브(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부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리브(20)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볼트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슬라이더(30)의 재질은 표면이 부드러운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10)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고정풀리(40)와 제2고정풀리(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고정풀리(40)는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30)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의 후방 하측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적재함(100)의 측면판(1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풀리(40)는 양측에 각각 1개씩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풀리(50)는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판(110) 외부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풀리(50)는 제1고정풀리(40)와 케이블(60)에 의해 권취되도록 나란하게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풀리(50)도 양측에 각각 1개씩 한 쌍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고정풀리(40)와 제2고정풀리(50)에는 케이블(60)이 권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있는 제1고정풀리(40)와 제2고정풀리(50)가 짝을 이루어 하나의 케이블(60)에 의해 연동되도록 권취되고, 타측에 있는 제1고정풀리(40)와 제2고정풀리(50)가 짝을 이루어 다른 하나의 케이블(60)에 의해 연동되도록 권취된다.
상기 케이블(60)은 종래와 다르게 적재함(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레일 플레이트(1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화물차량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60)은 상기 제1고정풀리(40)와 제2고정풀리(50)에 각각 감기면서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30)를 각각 관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케이블(60)이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 플레이트(10)를 따라 삽입된 복수개의 슬라이더(30)를 각각 관통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슬라이더(30)의 하측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예비로 관통홀(32)이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2)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6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30)가 상기 케이블(60)에 걸리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더(30)들 중에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30) 2개는 각각 상기 케이블(60)과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0)이 움직일 때 상기 케이블(60)을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판(110)에는 상기 제2고정풀리(5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개폐구동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풀리(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개폐구동수단(70)은 구동축(71), 종동풀리(72), 구동풀리(73), 핸들(74)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50) 사이에 구동축(71)이 개재된다. 즉, 상기 구동축(71)의 양단에 상기 제2고정풀리(50)가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7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고정풀리(50)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71)에는 종동풀리(72)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2고정풀리(5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종동풀리(72)의 하측에는 구동풀리(7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73)는 별도의 케이블(60)에 의해서 상기 종동풀리(72)와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종동풀리(72)에는 핸들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핸들(7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종동풀리(72)가 회전하고 연이어 상기 구동풀리(73)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71)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구동수단(70)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제2고정풀리(50)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개폐구동수단(70)은 구동축(71), 구동모터(75)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판(110)에 구동모터(7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75)는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축(71)과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5)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축(71)을 회전시킨다.
또 다르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및 자동 개폐구동수단 모두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74)의 경우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구동모터(75)도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함(100)의 최후방에는 적재함(100)의 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하는 보조커버리브(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버리브(20)에 의해 적재함(100)에 커버가 씌워지더라도 적재함(100)의 후면은 일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완전히 덮어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 보조커버리브(21)는 대략 '┏┓'형상을 이루고 커버에 부착되면서 양단이 상기 최후방에 위치하는 커버리브(20)의 양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커버리브(21)의 양단부가 상기 최후방 커버리브(20)의 양단부 외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커버리브(21)와 최후방의 커버리브(2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3)이 개재된다. 상기 인장스프링(23)으로 인해 상기 보조커버리브(21)는 상기 커버리브(20)로부터 펼쳐진 상태가 아니라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커버리브(20)가 완전히 전개되어 펼쳐질 경우 상기 보조커버리브(21)도 완전히 펼쳐지도록 상기 보조커버리브(21)의 양단부에는 걸림바(2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22)는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30)까지 연장되도록 하되 상기 보조커버리브(21)와 일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30)에는 상기 걸림바(22)가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2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바(22)가 진행하다 걸림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리브(20)들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펼쳐지면 상기 걸림바(22)는 상기 스토퍼(24)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수직상태이던 상기 걸림바(22)와 보조커버리브(21)가 점차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적재함(100)의 후면을 완전히 덮어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인데, (a)는 커버리브가 모두 포개어져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리브가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작업자는 상기 핸들(74)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상기 구동모터(75)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축(71)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71) 양단에 축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50)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고정풀리(50)가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풀리(40)들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60)이 각각 이동하는데, (a)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가 연결된 케이블이 상기 적재함(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30)는 케이블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블(60)이 계속 이동하면 최후방의 슬라이더(30)는 다른 슬라이더(30)를 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모든 슬라이더(30)들이 전방으로 밀집하면서 상기 커버리브(20)들은 포개져 절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0)들은 상기 레일 플레이트(10)가 안내홈(31)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리브(20)가 부착된 커버가 접히면서 상기 적재함(100)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보조커버리브(21)는 인장스프링(23)의 인장에 의해 상기 최후방의 커버리브(20)와 포개어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화물을 모두 적재하고, (b)와 같이 커버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핸들(74)이나 구동모터(75)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제2고정풀리(50)가 반대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60)은 반대로 이동하게 되고, 케이블(60)에 고정된 상기 최후방의 슬라이더(30)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는 커버가 펼쳐지면서 커버에 부착된 각각의 커버리브(20)도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최후방의 커버리브(2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바(22)가 상기 스토퍼(24)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하기 때문에 점차 수평으로 놓여지고, 상기 보조커버리브(21)는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므로 상기 보조커버리브(21)가 부착된 커버가 적재함의 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레일 플레이트(10), 커버리브(20), 슬라이더(30), 제1고정풀리(40), 제1종동풀리어셈블리(80), 제2종동풀리어셈블리(90), 구동풀리(73), 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10), 커버리브(20), 슬라이더(30), 제1고정풀리(40), 구동풀리(73)는 상술한 구성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80)는 복수개의 풀리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110) 외부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3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전환풀리(81), 상기 적재함(10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전환풀리(82), 전면판(1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5전환풀리(8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90)는 복수개의 풀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판(110) 외부 타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3전환풀리(91) 및 상측에 위치하는 제4전환풀리(9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80) 하측으로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판(110)에 구동풀리(7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73)는 핸들(74)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발명의 동력전달 과정은,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핸들(74)로 상기 구동풀리(7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전환풀리(81), 일측 제1고정풀리(40), 제2전환풀리(82), 제3전환풀리(91), 타측 제1고정풀리(40), 제4전환풀리(92), 제5전환풀리(83)를 거쳐 권취되는 케이블(60)이 상기 구동풀리(73)로 다시 이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0)들은 후방으로 전개되면서 커버가 펼쳐진다.
상기 핸들(74)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풀리(73)를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블(60)은 반대로 회전하여 커버는 절첩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레일 플레이트
20 : 커버리브
21 : 보조커버리브 22 : 걸림바
23 : 인장스프링 24 : 스토퍼
30 : 슬라이더
31 : 안내홈 32 : 관통홀
40 : 제1고정풀리
50 : 제2고정풀리
60 : 케이블
70 : 개폐구동수단 71 : 구동축
72 : 종동풀리 73 : 구동풀리
74 : 핸들 75 : 구동모터
80 :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81 : 제1전환풀리
82 : 제2전환풀리 83 : 제5전환풀리
90 :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91 : 제3전환풀리 92 : 제4전환풀리
100 : 적재함 110 : 전면판
120 : 후면판 130 : 측면판

Claims (6)

  1. 적재함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레일 플레이트;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적재함을 덮는 커버리브;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커버리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각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상기 제1고정풀리와 제2고정풀리가 연동되도록 권취하고, 상기 각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케이블;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2고정풀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리브가 절첩되게 하는 개폐구동수단;
    적재함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고, 커버에 부착되며,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커버리브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커버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일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사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제1고정풀리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축과 축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2고정풀리 사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4. 적재함의 양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레일 플레이트;
    커버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적재함을 덮는 커버리브;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커버리브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각 레일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 일측에 고정되고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 외부 타측에 고정되고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상기 적재함의 전면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일측 제1고정풀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타측 제1고정풀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를 거쳐 구동풀리로 권취되고, 상기 각 슬라이더를 관통하되,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일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커버리브 양측에는,
    적재함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고 커버에 부착되는 보조커버리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커버리브와 보조커버리브 사이에는 인장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커버리브의 양단부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바가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KR1020170098727A 2017-08-03 2017-08-03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KR10198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27A KR101985966B1 (ko) 2017-08-03 2017-08-03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27A KR101985966B1 (ko) 2017-08-03 2017-08-03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02A KR20190014802A (ko) 2019-02-13
KR101985966B1 true KR101985966B1 (ko) 2019-06-05

Family

ID=6536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27A KR101985966B1 (ko) 2017-08-03 2017-08-03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945A1 (ko)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KR101296731B1 (ko) * 2013-02-22 2013-08-20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200476699Y1 (ko) * 2014-12-09 2015-03-23 장민서 적재함 가변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512B1 (ko) 1995-06-15 1998-06-01 전성원 트럭의 데크(Deck) 자동덮개장치
KR19990030481A (ko) 1999-01-14 1999-04-26 조래건 탄환식 전기충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KR101296731B1 (ko) * 2013-02-22 2013-08-20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200476699Y1 (ko) * 2014-12-09 2015-03-23 장민서 적재함 가변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02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206A (en) Pickup truck bed cover system
US5301987A (en) Convertible top stack latch
CN207225490U (zh) 用于车辆的一体式延伸车厢组件
US6152511A (en) Convertible trailer system
JP6324698B2 (ja) 自動車のためのルーフ開放構造
US11648993B2 (en) Automotive vehicle with telescoping tailgate
KR101032768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KR101985966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US7416247B2 (en) Retractable vehicle roof system
CN107735304B (zh) 敞篷货车用自动盖装置
WO2005070790A1 (ja) コンテナ
US2238573A (en) Lift for raising motor vehicles
KR20200140379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KR101756886B1 (ko) 암롤 차량용 적재함 단일 커버의 한 방향 개폐장치
KR200282115Y1 (ko) 무개화차용 덮개장치
JP2726890B2 (ja) 自動車用屋根開閉装置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220000731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JP4790429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KR101703893B1 (ko) 고강도 섬유시트를 이용한 커튼식 밀폐형 적재함 덮개
KR20210026968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US6088974A (en) Mobile cover for scrap metal containers
KR0142816B1 (ko)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덮개판 자동개폐장치
KR200476699Y1 (ko) 적재함 가변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