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31A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731A KR20220000731A KR1020200078734A KR20200078734A KR20220000731A KR 20220000731 A KR20220000731 A KR 20220000731A KR 1020200078734 A KR1020200078734 A KR 1020200078734A KR 20200078734 A KR20200078734 A KR 20200078734A KR 20220000731 A KR20220000731 A KR 20220000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driven pulley
- opening
- plate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 측면판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덮는 커버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판의 후방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풀리; 일측 고정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개폐구동수단을 경유하여 타측 고정풀리에 권취되는 케이블; 양 측면판 상단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면서 구속되어 측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상부를 둘러싸는 커버리브;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시킴으로써 각 커버리브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은 최후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을 덮는 커버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화물챠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용 적재함은 각종 건축자재, 폐기물, 폐 콘크리트, 생활 폐기물, 임목, 폐목 및 각종 혼합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차량은 운행중에 적재함에 실린 화물이 도로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도로 교통법상 의무적으로 적재함 커버를 씌우고 운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건축용 골재 등을 주로 실어 나르는 암롤 차량이나 덤프트럭 또는 쓰레기를 나르는 청소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적재함 커버를 씌우는 일이 번잡하여 적재함 커버를 씌우지 않고서 운행하게 되어 적재함에 실려진 골재 및 쓰레기가 도로 위로 떨어져 뒤따라오는 다른 차량들에게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적재함 커버를 자동으로 덮어씌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구조의 적재함 커버의 자동개폐장치가 발명된 바 있으나 이는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설치단가가 높으며, 작동시 오작동 및 고장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함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전기적, 기계적 동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따르면,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적재함(1)의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플레이트(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2)들과, 마주보는 슬라이더 간을 연결하면서 커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리브(3)들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 양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풀리(4)와, 상기 적재함의 전방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풀리와 케이블(c)로 연동되는 한 쌍의 제2고정풀리(5)와, 상기 제2고정풀리 간에 축 결합되는 구동축(6)과, 상기 제2고정풀리 중 어느 하나와 와이어로 연동되는 구동풀리(7)와,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핸들(8)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구동하는 모터(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들은 상기 고정풀리와 종동풀리에 걸린 케이블이 관통하면서 걸리게 되고 가장 후방에 있는 슬라이더는 케이블과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핸들 혹은 모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이 수평으로 이동하면 가장 후방에 있는 슬라이더도 함께 이동하면서 다른 슬라이더들을 밀어 전방으로 밀집되게 하여 커버가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는 슬라이더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단순히 올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진동이나 풍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다.
심지어 슬라이더의 이탈로 인해 리브들이 전복될 위험도 있다.
이것은 화물을 덮고 있는 커버가 들춰지게 되어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비산되면서 안전상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슬라이더들이 가이드 플레이트와 충돌하면서 차량 운행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의 뼈대를 이루는 커버리브가 자동으로 이동되어 적재함의 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가 적재함의 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하는 보조커버리브 및 후방개폐수단이 더 구비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는,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 측면판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덮는 커버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판의 후방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풀리; 일측 고정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개폐구동수단을 경유하여 타측 고정풀리에 권취되는 케이블; 양 측면판 상단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면서 구속되어 측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상부를 둘러싸는 커버리브;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시킴으로써 각 커버리브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은 최후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전면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전면판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종동풀리어셈블리와, 상기 전면판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종동풀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이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시작하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일측 고정풀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타측 고정풀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구동풀리로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상부종동풀리와,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좌종동풀리 및 제1우종동풀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상부종동풀리 및 제2하부종동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리브가 결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케이블 중 상측케이블이 관통하는 상부홀더와, 하측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최후방에 위치한 슬라이더에는, 적재함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고 커버가 부착되는 보조커버리브 및 최후방 슬라이더가 상기 후면판에 도달하면 상기 보조커버리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덮게 구동하는 후방개폐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개폐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중 최후방의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측면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푸싱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더 중 최후방의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측면판의 전단에 설치되는 커버리브와 상기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중 중간 슬라이더의 하부에는 락킹홈이 형성된 락킹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중간에는 상기 락킹홈에 인입될 수 있는 락킹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를 개폐할 때 슬라이더가 측면판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고, 슬라이더의 경사판이 내향 절곡되어 커버를 내측으로 오므려주기 때문에 화물이 비산되거나 유출될 위험이 없다.
그리고 적재함 후면에 보조커버리브가 구비되어 있어 화물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슬릿이 형성되어 브라켓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커버가 흔들리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조커브리브와 후방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방개폐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조커브리브와 후방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방개폐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이 장착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화물차량의 적재함(100)은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면판(110)과,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후면판(120) 및 상기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의 양측을 막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면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측면판(120)에 구비되는 고정풀리(10)와, 상기 측면판(120)과 전면판(110)에 걸쳐 구비되는 케이블(20)과, 상기 케이블(2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30)와,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리브(40) 및 상기 전면판(110)에 설치되는 개폐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후방개폐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풀리(10)는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판(1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판(120)의 외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풀리(10)는 양쪽 측면판(120)에 각각 1개씩 한 쌍이 구비되는데, 각 측면판(120)의 후방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풀리(10)는 상기 측면판(120)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고정풀리(10)의 측면이 상기 측면판(12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적재함(100)을 덮는 커버(c)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풀리(10)에 감기는 케이블(20)이 측면판(120)에 최대한으로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고정풀리(10) 중 일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고정풀리(10)에 권취되고, 상기 개폐구동수단(50)을 경유하여 타측에 위치하는 나머지 고정풀리(10)에 권취되는 것으로 실제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고정풀리(10) 사이에서 팽팽하게 감긴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고정풀리(10)들이 연동되도록 하며, 케이블(20) 상에 상기 슬라이더(30)가 결합되고, 중간에 설치된 개폐구동수단(50)이 케이블(20)을 정방향으로 감거나 혹은 역방향으로 감도록 구동함으로써 케이블(20)에 결합된 슬라이더(30)를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고정풀리(1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케이블(21)과,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케이블(22)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당연히 상측케이블(21)과 하측케이블(2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더(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에 각각 거치, 안착된 상태로 후술하는 상기 커버리브(40)를 양단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측면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는 수평판(31), 수직판(32), 경사판(33) 및 상부홀더(34)와 하부홀더(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31), 수직판(32), 경사판(33)은 모두 평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수평판(31)은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32)은 상기 수평판(31)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33)은 상기 수직판(32)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에 걸려 거치된 상태가 되며 상기 경사판(33)은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30)에 결합되는 커버(c)가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커버(c)가 상기 수직판(32)에 결합되되, 상기 경사판(33)까지 연장되어 상기 경사판(33)과도 결합된다.
따라서, 적재함(100) 내부의 화물이 외부로 비산되거나 화물차량 주행시 커버(c)가 펄럭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0)가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데, 내측으로 절곡되어 대략 'ㄱ'형 앵글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수평판(31)의 폭은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직판(32)의 측면에는 상부홀더(34)와 하부홀더(35)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홀더(34)와 하부홀더(35)는 관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20)이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홀더(34)에는 상기 상측케이블(21)이 관통하고, 상기 하부홀더(35)에는 상기 하측케이블(22)이 관통한다.
즉, 상기 상부홀더(34) 및 하부홀더(35)의 내경이 상기 케이블(20)의 외경보다 길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하부홀더(35)의 경우 케이블(20)이 관통하는 홀이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케이블(22)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런데 상기 슬라이더(30)는 복수개가 상기 측면판(120)의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에 후술하는 커버리브(4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30)들 중에 최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30')는 상기 상측케이블(21)과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최후방 슬라이더의 상부홀더는 상측케이블(21)과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2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최후방의 슬라이더(30')는 케이블(20)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슬라이더 중 중간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0)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하부에 락킹수단(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킹수단(80)은 커버(c)가 펼쳐져 화물을 완전히 덮은 상태, 즉 상기 슬라이더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운행시 상기 슬라이더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커버(c)의 양측이 펄럭이거나 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슬라이더(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락킹부재(81), 락킹핀(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1)는 중간 슬라이더(30)의 하부, 다시 말해서, 상기 경사판()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판재이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81)의 하부에는 락킹홈(82)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홈(82)은 상기 락킹핀(83)이 인입되면서 걸리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함의 후방을 향해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락킹홈(82)의 폭은 상기 락킹핀(8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락킹홈(82)의 입구 측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되어 상기 락킹핀(83)의 인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걸림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락킹핀(83)은 상기 측면판(130)의 중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판(13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돌출 길이는 상기 락킹홈(82)을 통과하여 돌출될 정도가 적절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리브(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버리브(40)는 적재함(100)의 상부를 덮는 커버(c)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커버(c)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곡선빔(curved beam), 활(bow), '┏┓'와 같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리브(4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실 형상의 빔을 벤딩하거나 중공 형상의 관을 벤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리브(40)의 양단은 각각 마주보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수평판에 결합되어 적재함(100)의 상부를 둘러싸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20)을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개폐구동수단(50)이 상기 전면판(11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풀리(10)에 권취된 케이블(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1), 구동풀리(52), 제1종동풀리어셈블리(53), 제2종동풀리어셈블리(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51)는 상기 전면판(1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51)는 전기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52)는 상기 전면판(1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51)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52)의 측면은 상기 전면판(110)에 근접하게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면판(110) 일측 상부에는 제1종동풀리어셈블리(53)가 구비되고, 타측 상부에는 제2종동풀리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53)는 일측 고정풀리(10) 및 구동풀리(52)와 연동되고,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54)는 타측 고정풀리(10) 및 구동풀리(52)와 연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53)는 제1상부종동풀리(53a), 제1좌종동풀리(53b), 제1우종동풀리(53c)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53a)는 상기 구동풀리(52)의 상측, 상기 전면판(110) 일측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좌종동풀리(53b)는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53a)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풀리(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우종동풀리(53c)는 상기 제1좌종동풀리(53b)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풀리(5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54)는 제2상부종동풀리(54a) 및 제2하부종동풀리(5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종동풀리(54a)는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53a)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되 상기 전면판(110)의 타측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하부종동풀리(54b)는 상기 제2상부종동풀리(54a)의 하측에 이격되어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구동풀리(52)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좌종동풀리(53b)에 감기고, 일측 측면판(120)을 따라 연장되어 일측 고정풀리(10)에 감기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다시 상기 측면판(12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53a)에 감기면서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2하부종동풀리(54b)에 감기면서 방향 전환되어 타측 측면판(120)을 따라 연장되며, 타측 고정풀리(10)에 감기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상기 제2상부종동풀리(54a)까지 연장되어 감기고, 상기 제1우종동풀리(53c)에 감기면서 상기 구동풀리(52)에 다시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52)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상기 상측케이블(21)이 적재함(100)의 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기 슬라이더(30)들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커버리브(40)들이 접히면서 커버(c)가 적재함(100)을 개방한다.
반대로 상기 구동풀리(52)가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상기 상측케이블(21)은 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기 커버리브(40)들이 펼쳐지면서 커버(c)가 적재함(100)을 닫게 된다.
참고로 상기 모터(51) 대신 상기 구동풀리(52)에 핸들(미도시)을 장착하여 수동으로 상기 구동풀리(52)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핸들과 모터 모두 설치되게 하여 수동 및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슬라이더 중 최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30')에는 적재함(100)의 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하는 보조커버리브(60) 및 보조커버리브를 회동시키는 후방개폐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조커브리브와 후방개폐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버리브(40)에 의해 적재함(100)에 커버가 씌워지더라도 적재함(100)의 후면은 일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완전히 덮어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 보조커버리브(60)는 상기 커버리브(40)와 대동소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대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개폐수단(70)은 '┗┛' 형상의 브라켓(71)과, 상기 브라켓(7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핀(72)과, 상기 회동핀(7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73)와, 상기 회동핀(72)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73)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1)은 최후방 슬라이더(30')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73)의 상단에 상기 보조커버리브(6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스프링(74)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71)에 형성된 걸림부재(76)에 걸쳐지고 타단은 상기 회동부재(73)의 상단 또는 보조커버리브(60)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또 상기 측면판(120)의 상단 최후방에는 푸싱바(75)가 형성된다.
상기 푸싱바(75)의 단부는 둥글게 처리된 라운딩부(75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에는 상기 라운딩부(75a)와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둥근 밀림부(7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최후방 슬라이더(30')가 적재함(100)의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재(73)의 상단은 상기 비틀림스프링(74)에 의해 뒤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이 상기 푸싱바(75)에 닿으면서 상기 회동부재(73)는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73)가 상기 회동핀(7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부재(73)의 상단이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동부재(73)에 결합된 보조커버리브(60) 및 부착된 커버(c)는 적재함(100)의 후면을 덮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림부(73a)는 상기 라운딩부(75a)와 접촉되면서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회동부재(73)는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푸싱바(75)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71)이 진입할 수 있도록 슬릿(75b)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슬릿(75b)은 상기 브라켓(71)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71)을 구속시켜 잡아주기 때문에 차량 운행시 상기 개폐구동수단(50) 및 슬라이더(30)가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최후방 슬라이더(30')에 바로 인접하는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커버리브(40)에는 수평으로 스토퍼(77)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77)의 단부는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77)는 모든 커버리브(40)가 접힌 상태에서 바람이나 진동으로 인해 상기 회동부재(73)가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77)의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을 잡아주므로 상기 회동부재(73)가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처럼, 모든 커버리브(40)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회동부재(73)를 잡아준다.
이하에서는 도 5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커버리브가 모두 포개어져 커버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리브 및 보조커버리브가 모두 펼쳐져 적재함을 커버로 덮은 상태를 나타낸다.
작업자는 화물을 모두 적재하고 상기 모터(51)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풀리(5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52)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풀리(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측케이블(21)은 후방으로, 하측케이블(22)은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30')는 상측케이블(21)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케이블(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최후방 슬라이더(30)에 고정된 커버리브(40)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부착된 커버가 펼쳐지는데, 펼쳐지는 커버(c)에 의해 각 커버리브들이 상호 벌어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슬라이더(30)들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최후방 슬라이더(30')가 상기 후면판(120)에 도달하면 상기 회동부재(73)의 밀림부(73a)가 상기 푸싱바(75)의 라운딩부(75a)와 접촉하면서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이 뒤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동핀(72)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재(73)는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b)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73)에 결합된 상기 보조커버리브(60)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적재함(100)의 후면을 덮게 된다.
반대로 커버(c)를 개방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모터(51)를 역회전시켜 상기 구동풀리(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상측케이블(21)은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최후방에 있는 슬라이더(3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정지하고 있는 다른 슬라이더(30)들을 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모든 슬라이더(30)들이 전방으로 밀집하면서 상기 커버리브(40)들은 포개져 접힌다.
따라서, 상기 커버리브(40)에 부착된 커버(c)가 접히면서 상기 적재함(100)이 개방된다.
이때, 최후방 슬라이더(30')가 이동하면 상기 회동부재(73)는 상기 비틀림스프링(74)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보조커버리브(60)는 최후방의 커버리브(40)와 포개어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후방개폐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후방개폐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후방개폐수단(70)은 브라켓(71), 회동핀(72), 회동부재(73), 비틀림스프링(74) 및 와이어(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71), 회동핀(72), 회동부재(73), 비틀림스프링(74)은 상술한 실시 예의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푸싱바(75), 스토퍼(77) 대신, 와이어(78)를 사용한다.
상기 와이어(78)는 상기 회동부재(73)의 하단과 상기 커버리브(40) 중 상기 적재함(100)의 전단에 설치된 커버리브(40)를 연결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78)의 길이는 상기 커버(c)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측면판(130)의 전단에 설치된 커버리브(40)와 상기 회동부재(73)를 팽팽하게 연결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되, 상기 회동부재(73)의 상단이 상기 적재함(100)의 후방으로 완전히 회동할 정도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c)가 접혀진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재(73)는 상기 비틀림스프링(74)에 의해 원위치되고, 상기 와이어(78)는 느슨해져 상기 측면판(13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고정풀리
20 : 케이블
21 : 상측케이블 22 : 하측케이블
30 : 슬라이더 31 : 수평판
32 : 수직판 33 : 경사판
34 : 상부홀더 35 : 하부홀더
40 : 커버리브
50 : 개폐구동수단 51 : 모터
52 : 구동풀리 53 :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53a : 제1상부종동풀리 53b : 제1좌종동풀리
53c : 제1우종동풀리 54 :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54a : 제2상부종동풀리 54b : 제2하부종동풀리
60 : 보조커버리브
70 : 후방개폐수단 71 : 브라켓
72 : 회동핀 73 : 회동부재
73a : 밀림부 74 : 비틀림스프링
75 : 푸싱바 75a : 라운딩부
75b : 슬릿 76 : 걸림부재
77 : 스토퍼 78 : 와이어
80 : 락킹수단 81 : 락킹부재
82 : 락킹홈 83 : 락킹핀
100 : 적재함 110 : 전면판
120 : 후면판 130 : 측면판
c : 커버
20 : 케이블
21 : 상측케이블 22 : 하측케이블
30 : 슬라이더 31 : 수평판
32 : 수직판 33 : 경사판
34 : 상부홀더 35 : 하부홀더
40 : 커버리브
50 : 개폐구동수단 51 : 모터
52 : 구동풀리 53 :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53a : 제1상부종동풀리 53b : 제1좌종동풀리
53c : 제1우종동풀리 54 :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54a : 제2상부종동풀리 54b : 제2하부종동풀리
60 : 보조커버리브
70 : 후방개폐수단 71 : 브라켓
72 : 회동핀 73 : 회동부재
73a : 밀림부 74 : 비틀림스프링
75 : 푸싱바 75a : 라운딩부
75b : 슬릿 76 : 걸림부재
77 : 스토퍼 78 : 와이어
80 : 락킹수단 81 : 락킹부재
82 : 락킹홈 83 : 락킹핀
100 : 적재함 110 : 전면판
120 : 후면판 130 : 측면판
c : 커버
Claims (8)
-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 측면판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덮는 커버를 개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판의 후방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풀리;
일측 고정풀리에 권취되고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개폐구동수단을 경유하여 타측 고정풀리에 권취되는 케이블;
양 측면판 상단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면서 구속되어 측면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상부를 둘러싸는 커버리브;
상기 전면판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슬라이더를 왕복시킴으로써 각 커버리브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은 최후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전면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전면판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종동풀리어셈블리와, 상기 전면판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종동풀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이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시작하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일측 고정풀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타측 고정풀리, 제2종동풀리어셈블리,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구동풀리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동풀리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상부종동풀리와, 상기 제1상부종동풀리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좌종동풀리 및 제1우종동풀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종동풀리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2상부종동풀리 및 제2하부종동풀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리브가 결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케이블 중 상측케이블이 관통하는 상부홀더와, 하측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홀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한 슬라이더에는,
적재함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상을 이루고 커버가 부착되는 보조커버리브 및 최후방 슬라이더가 상기 후면판에 도달하면 상기 보조커버리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덮게 구동하는 후방개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개폐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중 최후방의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측면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푸싱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개폐수단은,
상기 슬라이더 중 최후방의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지하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측면판의 전단에 설치되는 커버리브와 상기 회동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중 중간 슬라이더의 하부에는 락킹홈이 형성된 락킹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중간에는 상기 락킹홈에 인입될 수 있는 락킹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8734A KR20220000731A (ko) | 2020-06-26 | 2020-06-26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8734A KR20220000731A (ko) | 2020-06-26 | 2020-06-26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731A true KR20220000731A (ko) | 2022-01-04 |
Family
ID=7934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8734A KR20220000731A (ko) | 2020-06-26 | 2020-06-26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073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306B1 (ko) * | 2023-04-19 | 2023-10-26 | 한재석 | 덮개 자동개폐기능 및 차단판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7512B1 (ko) | 1995-06-15 | 1998-06-01 | 전성원 | 트럭의 데크(Deck) 자동덮개장치 |
KR19990030481A (ko) | 1999-01-14 | 1999-04-26 | 조래건 | 탄환식 전기충격기 |
-
2020
- 2020-06-26 KR KR1020200078734A patent/KR202200007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7512B1 (ko) | 1995-06-15 | 1998-06-01 | 전성원 | 트럭의 데크(Deck) 자동덮개장치 |
KR19990030481A (ko) | 1999-01-14 | 1999-04-26 | 조래건 | 탄환식 전기충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306B1 (ko) * | 2023-04-19 | 2023-10-26 | 한재석 | 덮개 자동개폐기능 및 차단판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9482B1 (ko) |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 |
JP4744759B2 (ja) | 乗り物のトランク中に収納可能なルーフ | |
JP2007138630A (ja) | オート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システム | |
KR20220000731A (ko)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
US7559600B2 (en) | Windscreen deflector for automotive vehicles | |
WO2005070790A1 (ja) | コンテナ | |
US7891729B2 (en) | Sliding roof structu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01239837A (ja) | 格納スペース内に移送可能なサイドメンバを備えた車両ルーフ構造体 | |
KR20200107995A (ko)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자동개폐장치 | |
JPH0558163A (ja) | 煽り屋根の開閉装置 | |
KR101252985B1 (ko) |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 |
KR101985966B1 (ko) | 화물차량의 적재함 커버 개폐장치 | |
KR20020010331A (ko) | 자동차의 루프랙 장치 | |
KR20200124388A (ko) | 차량 적재함용 자동 덮개 | |
KR20210026968A (ko) |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 |
JP4133469B2 (ja) | コンテナ等の開閉屋根 | |
KR200170010Y1 (ko) | 적재함커버 자동개폐장치 | |
JPS6331819A (ja) | 車両のキヤンバストツプ | |
JPH10211820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H04321425A (ja) | 煽り屋根の開閉装置 | |
JPH0420809B2 (ko) | ||
CN201158331Y (zh) | 驱动车篷敞合的装置 | |
KR20200015327A (ko) | 화물차량 및 폐기물 수집ㆍ운반 차량 자동 덮개장치 | |
KR100229269B1 (ko) |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 |
KR19990020155A (ko) |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 자동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