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18B1 - 화물차량용 롤바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18B1
KR102444218B1 KR1020220044586A KR20220044586A KR102444218B1 KR 102444218 B1 KR102444218 B1 KR 102444218B1 KR 1020220044586 A KR1020220044586 A KR 1020220044586A KR 20220044586 A KR20220044586 A KR 20220044586A KR 102444218 B1 KR102444218 B1 KR 10244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ll
roll bar
fixing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도겸
Original Assignee
하도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도겸 filed Critical 하도겸
Priority to KR102022004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22Connecting elements between stanchions, e.g. roof supporting elements, stiff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화물차량 적재함 양측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 다수의 고정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고,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롤바 및 롤바를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롤바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만곡부 및 직선부를 가지는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 곡면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만곡부를 연결하는 만곡지지편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직선부를 연결하는 플랫지지편을 포함하며, 만곡부는, 제1만곡부, 제2만곡부, 제3만곡부 및 제4만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롤바 {ROLL-BAR FOR FREIGHT VEHICLES}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롤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화물차량용 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물차량의 적재함은 상부가 노출되어있어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상부가 노출되어 있어 비나 눈이 오는 경우 적재된 적재물이 오염될 수 있으며, 적재물이 외부로 떨어져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재함에 롤바를 설치하여 적재물을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롤바는 적재함에 용접 등으로 단순히 고정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직접 롤바를 탈착할 수 없고, 롤바의 형태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화물차량용 롤바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92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화물차량용 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롤바에 전동윈치, 크레인 등을 설치하여 적재함의 적재물을 쉽게 상하차 할 수 있고, 롤바에 멀티 고정구를 부착하여 조명, 파라솔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루프랙, 적재함 프레임, 적재물 고정구, 루프탑 텐트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화물차량용 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롤바 사이에 가로바를 다수 설치하여 터널 형태의 적재함을 구성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측면 도어를 설치하여,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화물차량의 측면에서도 적재물을 상하차 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화물차량 적재함 양측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 다수의 고정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고,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롤바 및 롤바를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롤바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만곡부 및 직선부를 가지는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 곡면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만곡부를 연결하는 만곡지지편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직선부를 연결하는 플랫지지편을 포함하며, 만곡부는, 제1만곡부, 제2만곡부, 제3만곡부 및 제4만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롤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가로바 및 롤바에 가로바를 탈착하도록 마련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로바는,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부, 본체부 양단에 결합되는 부착부 및 부착부 일측 일지점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탈착수단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롤바 다지점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 및 가이드 내부에 결합되고, 중공을 구비한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돌출부를 중공에 삽입하여 롤바 및 가로바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가로바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측면도어, 제2장방형바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면도어, 롤바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멀티고정구, 롤바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 및 롤바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되는 전동윈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롤바에 전동윈치, 크레인 등을 설치하여 적재함의 적재물을 쉽게 상하차 할 수 있고, 롤바에 멀티 고정구를 부착하여 조명, 파라솔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루프랙, 적재함 프레임, 적재물 고정구, 루프탑 텐트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다수의 롤바 사이에 가로바를 다수 설치하여 터널 형태의 적재함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측면 도어를 설치하여,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화물차량의 측면에서도 적재물을 상하차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 및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고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로바 및 탈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측면도어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측면도어 및 후면도어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멀티고정구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크레인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동윈치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200) 및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물차량(200)의 적재함(201)에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고정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고정브라켓(110), 롤바(120) 및 고정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0)은 화물차량 적재함 양측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일단은 화물차량(200)의 적재함(201) 및 사이드게이트(202) 사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게이트(202) 개폐 시에도 간섭없이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10)에는 고정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수단(13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을 적재함(201) 내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켜 상기 롤바(120)를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롤바(120)는 다수의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양단이 고정되고,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바(120)는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롤바(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롤바(120)는 제1장방형바(121), 제2장방형바(122), 만곡지지편(123) 및 플랫지지편(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만곡부(12A, 12B, 12C, 12D) 및 직선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는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는 만곡부(12A, 12B, 12C, 1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2A, 12B, 12C, 12D)는 제1만곡부(12A), 제2만곡부(12B), 제3만곡부(12C) 및 제4만곡부(12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2A, 12B, 12C, 12D)를 제외한 부분은 직선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만곡지지편(123)은 곡면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의 만곡부(12A, 12B, 12C, 12D)를 연결할 수 있다.
플랫지지편(124)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의 직선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지지편(124)에는 다수의 결합홀(124-1)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수단(13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만곡지지편(123) 및 플랫지지편(124)은 상기 제1장방형바(121) 및 제2장방형바(122)의 보강대 역할 수행 및 추가 구조물 체결 시 체결 보조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고정수단(130)은 상기 롤바(120)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고정홀(미도시) 및 상기 결합홀(124-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롤바(120)를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가로바(140) 및 탈착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140)는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롤바(120)를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탈착수단(150)은 상기 롤바(120)에 상기 가로바(140)를 탈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로바(140) 및 탈착수단(150)은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로바(140) 및 탈착수단(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가로바(140)는 본체부(141), 부착부(142) 및 돌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41)는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부착부(142)는 상기 본체부(141)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42)는 지름의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원판이 결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43)는 상기 부착부(142) 일측 일지점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150)은 가이드(151) 및 판스프링(15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51)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롤바(120) 다지점에 결합되며,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51)에는 가이드홈(151-1)이 마련되어 상기 부착부(142) 일지점이 끼움결합 될 수 있다.
판스프링(152)은 상기 가이드(151) 내부에 결합되고, 중공(15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3)를 상기 중공(152-1)에 삽입하여 상기 롤바(120) 및 가로바(14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바(140) 탈거 시, 상기 판스프링(152)을 뒤쪽으로 밀어서 뺄 수 있다.
상기 가로바(140)를 다수 개 설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형태의 적재함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추가 구조물을 체결한 화물차량용 롤바(110)의 실시례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측면도어(16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측면도어(160) 및 후면도어(165)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멀티고정구(17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크레인(180)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동윈치(19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측면도어(160) 및 후면도어(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도어(160)는 상기 가로바(140)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도어(165)는 상기 제2장방형바(122)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도어(160) 및 후면도어(165) 설치 시,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멀티고정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고정구(170)는 상기 롤바(120)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멀티고정구(170) 타단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라솔 등을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크레인(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180)은 상기 롤바(120)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100)는 전동윈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동윈치(190)는 상기 롤바(120)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180) 및 전동윈치(190)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의 적재물을 보다 편리하게 상하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롤바에 전동윈치, 크레인 등을 설치하여 적재함의 적재물을 쉽게 상하차 할 수 있며, 롤바에 멀티 고정구를 부착하여 조명, 파라솔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루프랙, 적재함 프레임, 적재물 고정구, 루프탑 텐트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다수의 롤바 사이에 가로바를 다수 설치하여 터널 형태의 적재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화물차량용 롤바는, 측면 도어를 설치하여,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화물차량의 측면에서도 적재물을 상하차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화물차량용 롤바
110: 고정브라켓
120: 롤바
121: 제1장방형바
122: 제2장방형바
12A: 제1만곡부
12B: 제2만곡부
12C: 제3만곡부
12D: 제4만곡부
123: 만곡지지편
124: 플랫지지편
124-1: 결합홀
130: 고정수단
140: 가로바
141: 부착부
142: 돌출부
150: 탈착수단
151: 가이드
151-1: 가이드홈
152: 판스프링
152-1: 중공
160: 측면도어
165: 후면도어
170: 멀티고정구
180: 크레인
190: 전동윈치
200: 화물차량
201: 적재함
202: 사이드게이트

Claims (5)

  1. 화물차량 적재함 양측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
    다수의 상기 고정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고,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롤바;
    상기 롤바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롤바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가로바; 및
    상기 롤바에 상기 가로바를 탈착하도록 마련되는 탈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롤바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만곡부 및 직선부를 가지는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
    곡면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만곡부를 연결하는 만곡지지편;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장방형바 및 제2장방형바의 직선부를 연결하는 플랫지지편;
    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제1만곡부, 제2만곡부, 제3만곡부 및 제4만곡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바는,
    장방형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양단에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 일측 일지점에 마련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수단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롤바 다지점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 내부에 결합되고, 중공을 구비한 판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를 상기 중공에 삽입하여 상기 롤바 및 가로바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롤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측면도어;
    상기 제2장방형바에 일측을 고정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후면도어;
    상기 롤바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멀티고정구;
    상기 롤바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되는 크레인; 및
    상기 롤바 상단에 고정시켜 적재함의 적재물을 상하차하도록 마련되는 전동윈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롤바.
KR1020220044586A 2022-04-11 2022-04-11 화물차량용 롤바 KR10244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86A KR102444218B1 (ko) 2022-04-11 2022-04-11 화물차량용 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586A KR102444218B1 (ko) 2022-04-11 2022-04-11 화물차량용 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218B1 true KR102444218B1 (ko) 2022-09-15

Family

ID=8328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586A KR102444218B1 (ko) 2022-04-11 2022-04-11 화물차량용 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2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792U (ko) * 1997-06-24 1999-01-25 문홍모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KR200289274Y1 (ko) 2002-03-05 2002-09-16 주식회사 만호 경트럭용 적재함의 보호용구
KR200302747Y1 (ko) * 2002-10-22 2003-01-30 왕기봉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KR101299671B1 (ko) * 2011-10-31 2013-09-10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792U (ko) * 1997-06-24 1999-01-25 문홍모 화물차용 적재함커버 설치용 틀체
KR200289274Y1 (ko) 2002-03-05 2002-09-16 주식회사 만호 경트럭용 적재함의 보호용구
KR200302747Y1 (ko) * 2002-10-22 2003-01-30 왕기봉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KR101299671B1 (ko) * 2011-10-31 2013-09-10 박준홍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9277A1 (en) Ladder Rack Assembly
US5465883A (en) Windshield carrier rack for the rear end of a pickup truck
US20060045698A1 (en) Carrying device for a load space of a motor vehicle
US7533921B2 (en) Multifunctional extendable tailgate
US4369902A (en) Retractable load carrier for vehicles
US4378127A (en) Rack and shell combination for pickup truck
US20020135199A1 (en) Reliable retractable protective cover assembly
US11577637B2 (en) Truck bed rack
DE59704369D1 (de) Tragvorrichtung für einen heckseitigen anbau an kraftfahrzeugen
KR102444218B1 (ko) 화물차량용 롤바
US6406232B1 (en) Retractable cargo cover panel arrangement
US20240149651A1 (en) Vehicle with a Roof Rack System Under a Soft or Removable Roof
US11345416B2 (en) Vehicle bed extender
KR100636548B1 (ko) 화물차량용 루프캐리어
KR20120002898U (ko) 차량용 카고스크린
KR102611948B1 (ko) 픽업 차량용 롤바
KR100806206B1 (ko) 화물차량용 호로
CN215284613U (zh) 一种车载多功能行李架
ITMI990346A1 (it) Carrello scorrevole per telone per autocarro
KR102284989B1 (ko) 캠핑카용 루프랙
US20020040916A1 (en) Carrying rack for vehicle
KR200351284Y1 (ko) 화물차용 선반 고정구
KR102364297B1 (ko)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KR100478052B1 (ko) 자동차용 화물 고정 네트
KR19980039854U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